KR101119615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615B1
KR101119615B1 KR1020040105169A KR20040105169A KR101119615B1 KR 101119615 B1 KR101119615 B1 KR 101119615B1 KR 1020040105169 A KR1020040105169 A KR 1020040105169A KR 20040105169 A KR20040105169 A KR 20040105169A KR 101119615 B1 KR101119615 B1 KR 101119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unit
support plate
dust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530A (ko
Inventor
김경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615B1/ko
Priority to DE602005026358T priority patent/DE602005026358D1/de
Priority to AT05111735T priority patent/ATE498347T1/de
Priority to EP05111735A priority patent/EP1669015B1/en
Priority to US11/297,342 priority patent/US7578027B2/en
Priority to RU2005138720/11A priority patent/RU2327409C2/ru
Publication of KR2006006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유니트와 집진장착부의 상?하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집진유니트가 집진장착부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유동방지장치 및 상방지지장치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진공청소기 본체(200)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서 바닥면의 이물이 흡입되는 흡입노즐체(100)와, 상기 본체(200) 내부에서 공기중의 이물을 집진하는 집진유니트와(300),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서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함몰 성형되어 상기 집진유니트(300)를 수용하는 집진장착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니트(300)와 집진장착부(270)의 상?하면 일측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집진장착부(270)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유동방지장치(F)와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장착을 안내하고 상기 집진유니트(300)를 탄성 지지하는 상방지지장치(26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집진유니트의 착탈이 용이해짐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 집진장착부, 다관절지지판, 지지판섭동홈

Description

진공청소기 { Vacuum cleaner }
도 1은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 집진유니트가 집진장착부에 삽입된 상태의 정면을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 집진유니트가 집진장착부에서 분리된 상태의 측면을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 집진유니트가 다관절지지판과 접촉된 상태의 측면을 보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 집진유니트가 집진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흡입노즐체 110. 노즐상부커버
120. 노즐하부커버 130. 회동레버
200. 본체 210. 조작부
220. 이동바퀴 230. 전선고정구
240. 전선 250. 흡입호스
262. 다관절지지판 264. 탄성부재
270. 집진장착부 272. 이탈방지홈
280. 집진통배기씰 290. 토출부
300. 집진유니트 310. 집진통
312. 흡입가이드 314. 손잡이
316. 지지판섭동홈 320. 상면커버
340. 분리판 342. 낙하부
350. 필터조립체 350a.내부필터
350b.외부필터 352. 씰링부
354. 체결리브 F . 유동방지장치
L . 램프 260 . 상방지지장치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유니트와 집진장착부의 상?하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집진유니트가 집진장착부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유동방지장치 및 상방지지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집진유니트의 착탈시에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체(60)와,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하여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 발생수단(미도시)이 내장된 본체(70), 그리고 상기 본체(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청소기 사용시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조작부(7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흡입노즐체(60)는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미도시)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외관은 하측에 구비되는 노즐하부커버(60')와 상측에 구비되는 노즐상부커버(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70)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바퀴(62)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본체(70)는 흡입노즐체(60)에 대하여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70)는 흡입노즐체(6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본체(7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상면 후단부에는 회동레버(64)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동레버(64)를 밟은 상태에서 손으로 상기 조작부(72)를 잡고 본체(7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7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높이에 맞게 본체(7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70)의 후면에는 전선고정구(71)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고정구(71)는 상기 본체(70)의 후면 상하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한 쌍의 전선고정구(71)에 전선(C)이 감겨져 보관된다.
상기 본체(7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70)의 중앙부에는 흡입노즐체(60)를 통해서 흡입된 이물이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유니트(10)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된 흡입호스(74)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70)의 전면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0)를 본체(70) 외부로 인출시 사용되는 착탈노브(76)와, 상기 본체(70)의 후방으로 일정부분 함몰된 집진장착부(78)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장착부(78) 내부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0)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집진장착부(78)의 후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집진통배기씰(80)이 구비된다. 상기 집진통배기씰(80)은 집진유니트(10)의 일측과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집진유니트(10)와 모터(미도시)사이에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집진통배기씰(8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70)의 전방하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점등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청소기 전방을 밝혀주는 램프(L)가 설치된다. 따라서, 식탁 밑이 나 구석진 모서리등 어두운 곳의 청소를 수행할 시에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L)의 우측면(도 1에서 볼 때)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0)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집진통배기씰(80)을 거쳐 상기 본체(70)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7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79)의 내측에는 배기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배기필터는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는 공기의 이물을 다시 걸러내어 실내공간으로 보다 쾌적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집진유니트(10)는 크게 이물이 집진되는 집진통(11)과, 상기 집진통(11)의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고 집진통(11)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상면커버(20) 및 하면커버(12)로 구성되며, 상기 집진통(11)의 일측면 상단부에는 흡입가이드(14)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커버(20)의 상면 중앙부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 성형되어 상기 착탈노브(76)에 의해서 구속되는 착탈홈(22)이 구비된다. 상기 착탈홈(22)은 집진유니트(10)가 집진장착부(78)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집진유니트(10)가 본체(7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것으로, 상기 집진유니트(10)와 본체(70)의 분리는 상기 착탈노브(76)를 조작하여 구속을 해지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집진유니트(10)를 본체(70) 내부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착탈노브(76)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집진유니트(10)의 분리를 위해서 설치된 착탈노브(76)가 본체(10) 외 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유니트와 집진장착부의 하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는 폭으로 성형되어 집진유니트를 착탈시에 서로 탄성 지지하는 다관절지지판과 지지판섭동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서 바닥면의 이물이 흡입되는 흡입노즐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공기중의 이물을 집진하는 집진유니트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집진유니트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함몰 성형되어 상기 집진유니트를 수용하는 집진장착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니트와 집진장착부의 상?하면 일측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집진유니트가 집진장착부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유동방지장치와, 상기 집진유니트의 장착을 안내하고 상기 집진유니트를 탄성 지지하는 상방지지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장치는, 상기 집진유니트의 상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방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집진장착부의 일측과 간섭되는 이탈방지리브와; 상기 집진장착부의 일측에서 상기 이탈방지리브와 대응되도록 성형되어, 상기 이탈방지리 브를 수용하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방지지장치는, 상기 집진장착부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유니트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다관절지지판과; 상기 집진유니트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관절지지판이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지지판섭동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관절지지판의 하부에는 상기 다관절지지판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관절지지판은 다수개의 평판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섭동홈과 접촉에 의해서 플렉시블하게 유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집진유니트의 착탈시에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며,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 집진유니트가 집진장착부에 삽입된 상태의 정면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체(100)와, 상기 흡입노즐체(100)를 통하여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내장된 본체(200), 그리고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청소기 사용시 사용 자가 파지하기 위한 조작부(21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흡입노즐체(100)는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미도시)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흡입노즐체(100)의 외관은 상측에 구비되는 노즐상부커버(110)와 하측에 구비되는 노즐하부커버(120)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하부커버(120)에는 외부공기의 주(主)흡입통로가 되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체(100)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200)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바퀴(220)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본체(200)는 흡입노즐체(100)에 대하여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200)는 흡입노즐체(10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본체(20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흡입노즐체(100)의 상면 후단부에는 회동레버(13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동레버(130)를 밟은 상태에서 손으로 상기 조작부(210)를 잡고 본체(20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200)는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높이에 맞게 본체(20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200)의 후면에는 전선고정구(230)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고정구(230)는 상기 본체(200)의 후면 상하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한 쌍의 전선고정구(2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240)이 감겨져 보관된다.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상기 흡입노즐체(100)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의 중앙부에는 흡입노즐체(100)를 통해서 흡입된 이물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집진유니트(300)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된 흡입호스(2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집진유니트(300)의 외관과 대응되도록 본체(200) 내부로 함몰 성형된 집진장착부(270)가 형성된다.상기 집진장착부(270)의 내부에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집진장착부(270)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집진통배기씰(280)이 구비된다. 상기 집진통배기씰(280)은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유니트(300)의 일측과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집진유니트(300)와 모터사이의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집진통배기씰(280)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진통배기씰(280)의 하측에는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착탈시에 상하로 유동하는 다관절지지판(262)이 구비된다.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은 다수개의 평판이 힌지 결함됨으로써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착탈시에 집진유니트(300) 저면과의 간섭에 대하여 플렉시블하게 유동한다.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의 하측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264)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264)는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을 상방으로 지지함으 로써 상기 집진유니트(300) 저면과의 간섭이 해지되면 다관절지지판(262)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집진장착부(270)의 상면에는 '
Figure 112004058712449-pat00001
' 모양(도 4에서)의 종단면을 가지고 하방으로 돌출 성형된 이탈방지홈(272)이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홈(272)은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유니트(300)의 이탈방지리브(3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됨으로써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집진장착부(270)에 장착시에 서로 구속하게 된다.
상기 본체(200)의 전방하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점등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청소기 전방을 밝혀주는 램프(L)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L)는 식탁 밑이나 구석진 모서리등 어두운 곳의 청소를 수행할 시에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램프(L)의 우측면에는 상기 집진유니트(300)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집진통배기씰(280)을 거쳐 상기 본체(20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29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토출부(290)의 내측에는 배기필터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배기필터는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는 공기의 이물을 다시 걸러내어 실내공간으로 보다 쾌적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집진유니트(300)는 집진장착부(27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흡입노즐체(1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싸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이물을 걸러내거나, 별도의 필터를 통하여 이물을 걸러서 포집하거나, 또는 싸이클론방식 및 필터방식을 동시에 실시하여 이물을 그 내부에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진유니트(300)는 크게 원통형의 집진통(310)과, 상기 집진통(310)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집진통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상면커버(3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통(310)의 일측면 상단부에는 흡입가이드(312)가 돌출 형성되어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집진통(3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가이드(312)의 타측 외주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 성형된 손잡이(314)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314)는 집진유니트(300)를 착탈하거나 집진통(310) 내부의 이물을 비울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진통(310)의 저면에는 상기 다관절지지판(262)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집진통(310) 내부로 함몰 성형된 지지판섭동홈(316)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섭동홈(316)은 집진유니트(300)를 집진장착부(270)에 장착시에 다관절지지판(262)이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판섭동홈(316)은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에 의해서 상방으로 탄성 지지된다.
한편, 상기 상면커버(320)의 상면 외주에는 상기 이탈방지홈(272)과 대응되는 폭으로 상방으로 돌출 성형된 이탈방지리브(322)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리브(322)는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집진장착부(270)에 장착시에 상기 이탈방지홈(27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본체(20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상기 집진통(310)의 내부 중심에는 유입된 이물 중에서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이물이 하측에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판(34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집진통 (31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3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집진통(310)의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도록 하기 위해 돌출 성형된 낙하부(342)가 구비되어 질량이 큰 이물은 상기 집진통(310)의 하측에 낙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커버(320)와 분리판(340)의 사이에는 상기 집진유니트(300) 내부에 유입된 이물을 필터링하도록 소정의 통기성을 가지는 필터조립체(35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조립체(350)는 크게 내부필터(350a) 및 외부필터(350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조립체(350)는 공기가 강하게 유동되는 것을 고려하여 일정 이상의 강도가 확보되고, 세척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의 것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섬유재로 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내부필터(350a)는 대략 내부가 천공된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집진통(310) 내부로 유입된 이물 중에서 미세한 이물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필터(350a)의 하부 일측에는 탄성부재로 성형되어, 상기 내부필터(350a)가 외부필터(350b)의 일측과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씰링부(352)가 구비된다.
한편, 외부필터(350b)는 상기 내부필터(350a)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고 대략 원통모양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필터(350b)의 상부 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외부필터(350b)가 상기 상면커버(320)의 저면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리브(354)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본체(200)에 내장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렇게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흡입노즐체(100)에 의하여 이물을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흡입가이드(312)를 통해서 집진통(3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집진통(31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중에서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이물은 상기 낙하부(342)를 통과하여 분리판(340)의 하측으로 떨어져 쌓이게 되고, 상대적으로 질량이 적은 이물은 회전하면서 상기 필터조립체(350) 내부로 유입된다.
즉, 질량이 작은 이물은 상기 토출안내관(미도시)을 통해 빠져나가기 위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필터조립체(350)에 의하여 분리되어 집진통(310)의 내부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조립체(3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토출안내관(미도시)을 거쳐 집진유니트(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집진장착부(270)에 형성된 집진통배기씰(280)을 통과하여 모터(미도시)를 경유한 다음 상기 본체(200)의 외면에 장착된 토출부(290)를 통해서 청소기 외부로 토출되면서 청소는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집진유니트(300)를 장착시의 다관절지지판(262)과 지지판섭동홈(316) 및 이탈방지홈(272)과 이탈방지리브(322)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 집진유니트(300)가 집진장착부 (27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장착된 상태까지의 작용을 보이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본체(200)에서 분리된 상태 즉,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집진유니트(300)를 상기 집진장착부(270)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여 상기 집진유니트(300)를 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이 지지판섭동홈(316)에 삽입되도록 위치를 일치시켜서 상기 집진유니트(300)를 삽입한다.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집진장착부(270) 내부에 삽입되는 동안에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은 도 6과 같이 상기 지지판섭동홈(316)과 접촉하게 되어 플렉시블하게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리브(322)는 이탈방지홈(272)의 단부 즉, '
Figure 112004058712449-pat00002
' 모양의 종단면에서 볼 때 하단부와 슬라이딩하게 된다.
즉, 상기 집진유니트(300)는 이탈방지리브(322)와 이탈방지홈(272)의 간섭에 의해서 상기 이탈방지홈(272)의 상면 즉, '
Figure 112004058712449-pat00003
' 모양의 종단면에서 볼 때 상부보다 낮은 높이를 유지하면서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판섭동홈(316)은 다관절지지판(262)과 접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집진장착부(270)에 완전히 삽입되게 되면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서로 간섭되던 이탈방지리브(322)와 이탈방지홈(272)가 위치가 일치되면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이탈방지리브(322)는 이탈방지홈(272)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서로 간섭이 해지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리브(322)와 이탈방지홈(272)의 간섭이 해지됨과 동시에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은 탄성부재(264)에 의해서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면서 원상(도 5와 같은 상태)으로 복귀된다. 그리고, 원상으로 복귀된 다관절지지판(262)은 상기 집진유니트(300)를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런 상태 즉, 상기 이탈방지리브(322)가 이탈방지홈(272)에 삽입되고,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이 지지판섭동홈(316)의 내부에서 원상으로 회복된 상태가 되면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장착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집진유니트(300)를 본체(20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314)를 파지한 상태로 하방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이탈방지리브(322)는 이탈방지홈(272)의 내부에서 분리되고, 동시에 상기 지지판섭동홈(316)은 다관절지지판(262)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집진유니트(300)를 좌측(도 7에서 볼때)으로 인출하게 되면 도 6과 같은 상태를 거쳐 도 5와 같이 완전히 분리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는, 집진유니트와 집진장착부의 상?하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집진유니트가 집진장착부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유동방지장치 및 상방지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집진유니트 의 착탈시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집진유니트의 착탈을 위한 구성이 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 증대와 외관의 미려함으로 인하여 청소기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만족도 향상도 기대된다.

Claims (6)

  1.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진공청소기 본체(200)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서 바닥면의 이물이 흡입되는 흡입노즐체(100)와,
    상기 본체(200) 내부에서 공기중의 이물을 집진하는 집진유니트와(300),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서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함몰 성형되어 상기 집진유니트(300)를 수용하는 집진장착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진유니트(300)와 집진장착부(270)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집진장착부(270)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유동방지장치(F)와,
    상기 집진장착부(270)에 제공되며, 상기 집진유니트(300)와 간섭되는 과정에서 플렉서블하게 변형되는 다관절지지판; 및
    상기 다관절 지지판(262)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다관절 지지판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64)가 포함되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장치(F)는,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상부에 돌출 성형되어, 상기 집진장착부(270)의 일측과 간섭되는 이탈방지리브(322)와;
    상기 집진장착부(270)의 일측에서 상기 이탈방지리브(322)와 대응되도록 성형되며, 상기 이탈방지리브(322)를 수용하는 이탈방지홈(27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니트(300)에는,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이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지지판섭동홈(316)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64)는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지지판(262)은 다수개의 평판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섭동홈(316)과 접촉에 의해서 플렉시블하게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40105169A 2004-12-13 2004-12-13 진공청소기 KR101119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169A KR101119615B1 (ko) 2004-12-13 2004-12-13 진공청소기
DE602005026358T DE602005026358D1 (de) 2004-12-13 2005-12-06 Befestigung eines Staubsammelbehälters an einem Staubsauger
AT05111735T ATE498347T1 (de) 2004-12-13 2005-12-06 Befestigung eines staubsammelbehälters an einem staubsauger
EP05111735A EP1669015B1 (en) 2004-12-13 2005-12-06 Attachment of a dust collection unit to a vacuum cleaner
US11/297,342 US7578027B2 (en) 2004-12-13 2005-12-09 Apparatus of mounting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RU2005138720/11A RU2327409C2 (ru) 2004-12-13 2005-12-12 Пылесос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установки пылесбо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169A KR101119615B1 (ko) 2004-12-13 2004-12-13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530A KR20060066530A (ko) 2006-06-16
KR101119615B1 true KR101119615B1 (ko) 2012-03-13

Family

ID=3578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169A KR101119615B1 (ko) 2004-12-13 2004-12-13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78027B2 (ko)
EP (1) EP1669015B1 (ko)
KR (1) KR101119615B1 (ko)
AT (1) ATE498347T1 (ko)
DE (1) DE602005026358D1 (ko)
RU (1) RU232740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245B2 (en) * 2000-01-14 2005-06-28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Upright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air path
US7544224B2 (en) * 2003-08-05 2009-06-09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Cyclonic vacuum cleaner
US7854782B2 (en) * 2007-04-30 2010-12-2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GB2449349B (en) * 2007-05-17 2011-11-16 Bissell Homecare Inc Dust cup latch for cyclone separator vacuum
KR101408723B1 (ko) 2007-12-05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먼지통 및 청소기 본체 겸용 핸들을 구비하는 청소기
SE531908C2 (sv) 2008-01-16 2009-09-08 Electrolux Ab Dammsugare
US9675225B2 (en) 2008-07-04 2017-06-13 Emerson Electric Co. Filter cage for wet/dry vacuums
US9510718B2 (en) 2008-07-04 2016-12-06 Emerson Electric Co. Wet/dry vacuum cleaner filter for wet material collection
US8206482B2 (en) 2008-07-04 2012-06-26 Emerson Electric Co. Vacuum appliance filter assemblies and associated vacuum systems
GB2469045B (en) 2009-03-31 2012-08-29 Dyson Technology Ltd Duct and chassis arrangement of a cleaning apparatus
GB2469047B (en) 2009-03-31 2013-12-04 Dyson Technology Ltd A cylinder type cleaning appliance
GB2469049B (en) 2009-03-31 2013-04-17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with steering mechanism
WO2010112885A1 (en) 2009-03-31 2010-10-07 Dyson Technology Limited A cleaning appliance
GB2469046B (en) 2009-03-31 2012-07-25 Dyson Technology Ltd Mounting arrangement for separating apparatus in a cleaning appliance
CA2754973C (en) 2009-03-31 2016-04-05 Dyson Technology Limited Cylinder type vacuum cleaner
GB2469038B (en) 2009-03-31 2013-01-02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GB2469048B (en) 2009-03-31 2013-05-15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with steering mechanism
GB2469055B (en) 2009-03-31 2013-01-02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with spherical floor engaging arrangement
GB2469051B (en) 2009-03-31 2013-01-02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with steering mechanism
CN101897559B (zh) * 2009-05-26 2014-02-0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真空吸尘器集尘桶的固定结构
CN102028427B (zh) * 2009-09-29 2013-12-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真空吸尘器
US8640301B1 (en) 2010-02-26 2014-02-04 Bissell Homecare, Inc. Dirt cup latch mechanism for vacuum cleaner
GB2483885B (en) 2010-09-23 2014-12-24 Dyson Technology Ltd A filt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GB2484122A (en) 2010-09-30 2012-04-04 Dyson Technology Ltd A cylinder type cleaning appliance
GB2484120B (en) 2010-09-30 2014-10-01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GB2484121B (en) 2010-09-30 2014-10-22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ing appliance
GB2484124B (en) 2010-09-30 2014-12-03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US8631541B2 (en) * 2011-08-23 2014-01-21 Bissell Homecare, Inc. Auxiliary brush for vacuum cleaner
EP2916705B1 (en) 2012-11-09 2020-06-03 Aktiebolaget Electrolux Cyclone dust separator arrangement, cyclone dust separator and cyclone vacuum clea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225A (ko) * 1999-11-15 2001-06-15 구자홍 싸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 결합장치
KR20040020130A (ko) * 2002-08-29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스
KR20040099977A (ko) * 2003-05-21 2004-12-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진공청소기의 오물수거통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사이클론 진공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86975A (en) * 1931-05-20 1933-01-24 Air Way Electric Appl Corp Improvements relating to couplings for use in suction cleaners
DE8112525U1 (de) * 1981-04-28 1981-09-2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5600 Wuppertal Haltestutzen fuer filterbeutel
DE29617895U1 (de) 1996-10-15 1997-01-02 Trilux Lenze Gmbh & Co Kg Versorgungsbalken für die Intensivpflege
KR100203437B1 (ko) * 1997-03-31 1999-06-15 전주범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장착구조
CA2292317C (en) * 1999-08-13 2004-05-04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Stick-type vacuum cleaner
JP3672871B2 (ja) * 1999-11-15 2005-07-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サイクロン集塵装置の集塵筒結合装置
US6596044B1 (en) * 2000-03-06 2003-07-22 The Hoover Company Dirt collect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KR100583567B1 (ko) * 2000-12-1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필터 착탈확인 구조
KR100412580B1 (ko) * 2001-06-04 2003-12-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444552B1 (ko) 2001-09-13 2004-08-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33407B1 (ko) * 2002-02-06 2004-05-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DE10248087B4 (de) * 2002-10-15 2011-05-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einem entnehmbaren Staubsammelbehälter
KR100485712B1 (ko) * 2002-12-31 2005-04-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진공청소기의 오물수거통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사이클론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225A (ko) * 1999-11-15 2001-06-15 구자홍 싸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 결합장치
KR20040020130A (ko) * 2002-08-29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스
KR20040099977A (ko) * 2003-05-21 2004-12-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진공청소기의 오물수거통 착탈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사이클론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27409C2 (ru) 2008-06-27
KR20060066530A (ko) 2006-06-16
RU2005138720A (ru) 2007-06-27
US20060123589A1 (en) 2006-06-15
EP1669015B1 (en) 2011-02-16
ATE498347T1 (de) 2011-03-15
US7578027B2 (en) 2009-08-25
EP1669015A1 (en) 2006-06-14
DE602005026358D1 (de)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615B1 (ko) 진공청소기
KR100871484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377056Y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US7600293B2 (en) Vacuum cleaner
KR100880492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93276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091836A (ko) 진공청소기
KR100996555B1 (ko) 진공 청소기
KR100941426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996561B1 (ko) 진공청소기
KR101143807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319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119966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020772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1143783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US20060021187A1 (en) Vacuum cleaner and damper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KR1009327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1093876B1 (ko) 진공청소기
KR200344840Y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고정구조
KR100833360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60064767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1119407B1 (ko) 진공청소기
KR20060107627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107626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