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197B1 -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197B1
KR101119197B1 KR1020110031125A KR20110031125A KR101119197B1 KR 101119197 B1 KR101119197 B1 KR 101119197B1 KR 1020110031125 A KR1020110031125 A KR 1020110031125A KR 20110031125 A KR20110031125 A KR 20110031125A KR 101119197 B1 KR101119197 B1 KR 101119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oyancy
floats
floating body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표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5/00Building or assembling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e.g. semi-submersible platforms, SPAR platforms or wind turbin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1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concrete, e.g. reinfo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7/00Transporting or installing offshore structures on site using buoyancy forces, e.g. using semi-submersible barges, ballasting the structure or transporting of oil-and-gas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60Concre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 B63C2007/125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using buoyant masses, e.g. foams, or a large plurality of small buoyant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 띄어진 복수개의 부유체를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를 연결장치를 통해 완충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내에 부력재를 주입한 후 그 상부 전체에 상판을 현장 타설하여 구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하고 보다 안정적인 수상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일체화된 부유체에 의해 부력 및 수평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다기능 수상 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한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CONCRETE FLOATING BODY OF MULTI-FUN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 띄어진 복수개의 부유체를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를 연결장치를 통해 완충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내에 부력재를 주입한 후 그 상부 전체에 상판을 현장 타설하여 구성한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바다, 강, 호수 등과 같은 수상에 부유체를 설치하여 수상 구조물을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식 수상 구조물은 대표적으로 해상플랜트, 수상 낚시터, 수상공원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규모 역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부유체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구조물로서, 부유체의 구조적 효율성을 위하여 내부 공간에는 통상 일정 간격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다수의 중공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부유체의 내부 공간에 부력재를 충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부유체는, 공장 등에서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부유체를 완성한 후, 수상에 띄어지게 되는데, 이때 수상에 뛰어진 부유체는 서로 연결된다.
이후, 상기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콘크리트 부유체의 상부에 수상 구조물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개의 콘크리트 부유체가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각 부유체의 부력은 물론 각 부유체의 수평도를 맞추기가 어려우며, 이로인해 상기 개별적으로 연결된 복수개 콘크리트 부유체의 상부에 직접 수상 구조물을 시공하게 되면 불균일한 부력 및 수평도로 인해 수상 구조물이 한 쪽으로 기울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수상 구조물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콘크리트 부유체가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의 연결부위만 파손되더라도 전체 콘크리크 부유체의 연결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어, 수상 구조물의 안정성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에 띄어진 복수개의 부유체를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를 연결장치를 통해 완충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내에 부력재를 주입한 후 그 상부 전체에 상판을 현장 타설하여 구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하고 보다 안정적인 수상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일체화된 부유체에 의해 부력 및 수평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다기능 수상 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한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면적을 복수개로 분할한 크기로 형성됨과 아울러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 상부가 개방된 부력공간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부유체와, 상기 복수개의 부유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 상기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를 완충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와, 상기 부유체의 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력공간부내에 채워지는 부력재와,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 상부에 현장 타설되어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를 일체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부력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상에 띄어진 복수개의 부유체를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를 연결장치를 통해 완충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내에 부력재를 주입한 후 그 상부 전체에 상판을 현장 타설하여 구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하고 보다 안정적이다.
또한, 상기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의 상부에 수상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도 더욱 견고하고 보다 안정적인 수상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체화된 부유체에 의해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이면서 부력 및 수평도까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다기능 수상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연결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1)는, 바다, 강, 호수 등과 같은 수상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이러한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1)를 이용하여 수상 구조물(건축물), 즉, 해상플랜트, 수상 낚시터, 수상공원, 선착장, 수상 편의시설 등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부유체(1)는,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와, 연결장치(30)와, 부력재(40)와, 상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는, 일정면적을 복수개로 분할한 크기로 형성됨과 아울러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 상부가 개방된 부력공간부(12)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부유체(11)와, 상기 복수개의 부유체(11)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0)으로 구성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된다.
즉, 콘크리트 부유체(1)의 상부에 시공할 수상 구조물의 면적이 결정되면, 상기 수상 구조물의 면적 및 형태에 맞게 콘크리트 부유체(1)를 만들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 부유체(1)를 하나로 만들수 없으므로 도 1과 같이 상기 수상 구조물의 면적을 복수개로 분할한 크기로 상기 복수개의 부유체(11)를 제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 분리된 복수개의 부유체(11)는 상기 연결수단(20)을 통해 일정 개수씩 연결하여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2개의 단일 부유체(11)를 연결수단(20)으로 각각 연결하여, 2개의 단위 부유체(10a,10b)를 구성한 경우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다양하게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는, 각각의 단일 부유체(11)를 수상에 띄운 상태에서 연결수단(20)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20)은, 상기 서로 마주하는 복수개 부유체(11)의 각 외벽을 관통하는 볼트부재(21)와, 상기 복수개 부유체(11)의 각 부력공간부(12)내에서 상기 볼트부재(2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너트판(2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20)에 의해 각 단일 부유체(11)가 견고하게 연결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치(30)는, 상기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를 완충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개 단위 부유체(10a,10b)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완충부재홈(31)과, 상기 완충부재홈(31)에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돌출부(33)가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에는 중공부(34)가 형성된 고무재질의 완충부재(32)와, 상기 완충부재(32)의 중공부(34) 양측 단부를 상기 서로 마주하는 단위 부유체(10a,10b)와 각각 연결하는 커넥터(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재홈(31)은 서로 마주하는 단위 부유체(10a,10b)의 외벽면에 반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32)의 양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3)도 상기 완충부재홈(31)과 대응하는 반원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35)의 일단부는 상기 완충부재(32)의 중공부(34) 내측까지 돌출되게 연장되고, 타단부는 상기 단위 부유체(10a,10b)의 부력공간부(12) 내측까지 돌출되게 연장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35)의 양단부에는 각각 너트(36)가 결합되어 상기 완충부재(32)와, 상기 완충부재(32)의 양단부에 밀착된 각 단위 부유체(10a,10b)가 완충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32)는, 후술하는 상판(50)의 균열시에도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를 서로 완충가능하게 연결해줌으로써, 해양에서 파도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고, 각 단위 부유체(10a,10b)가 서로 충돌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재(40)는, 상기 각 단일 부유체(11)의 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력공간부(12)내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 부력재(40)로는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티로폼 외에도 다양한 부력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력공간부(12)내에 별도의 스티로폼을 채우지 않더라도 상기 부력공간부(12)내에 채워진 공기가 부력재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각 단일 부유체(11)의 내부가 상기 부력재(40)로 채워짐으로써, 만일 단일 부유체(11)의 외벽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물이 부유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50)은,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 상부에 현장 타설되어 형성됨으로써,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를 일체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부력공간부(12)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즉, 상기 수상에 띄어진 복수개 단위 부유체(10a,10b)의 상부 전체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함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가 일체화됨과 동시에 각 단일 부유체의 부력공간부(12)의 개방된 상부가 밀폐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 상부에 콘크리트로 현장 타설되어 형성되는 상판(50)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가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1)가 더욱 견고하고 보다 안정적이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1)의 상부에 수상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도 더욱 견고하고 보다 안정적인 수상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화된 부유체에 의해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이면서 부력 및 수평도까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다기능 수상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1)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미리 제작된 복수개의 부유체(11)를 수상에 띄우는 제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복수개의 부유체(11)는, 상부가 개방된 부력공간부(12)를 갖도록 미리 공장 등에서 제작되거나 설치장소 인근에서 제작된다.
상기 제1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수상에 띄어진 복수개의 부유체(11)를 연결수단(20)을 통해 연결하여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를 구성하는 제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볼트부재(21)의 양단부를 각 단일 부유체(11)의 외벽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각 단일 부유체(11)의 부력공간부(12)에서 볼트부재(21)의 양단부에 너트판(22)을 체결함으로써, 각 단일 부유체(11)가 결합되면서 상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2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를 연결장치(30)를 통해 완충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완충부재(32)의 양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3)를 상기 서로 마주하는 단위 부유체(10a,10b)의 완충부재홈(31)에 삽입한 후, 상기 커넥터(35)의 일단부는 상기 완충부재(32)의 중공부(34) 내측으로 돌출되게 삽입하고, 타단부는 상기 단위 부유체(10a,10b)의 부력공간부(12) 내측으로 돌출되게 삽입한다. 이후 상기 커넥터(35)의 양단부에 각각 너트(36)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가 서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3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단위 부유체(10a,10b)의 부력공간부(12)내에 부력재(40)를 주입하는 제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부력재(40)로는 스티로폼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복수개 단위 부유체(10a,10b)의 상부 전체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를 일체화시킴과 아울러 부력공간부(12)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제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5단계까지 진행하게 되면,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가 일체화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10b) 상부에는 상판(50)이 형성되게 된다.
이후, 상기 상판(50)의 상측에 다양한 기능을 하는 수상 구조물을 건설하게 된다.
1: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10a, 10b: 단위 부유체
11: 부유체 12: 부력공간부
20: 연결수단
21: 볼트부재 22: 너트판
30: 연결장치 31: 완충부재홈
32: 완충부재 33: 돌출부
34: 중공부 35: 커넥터
36: 너트 40: 부력재
50: 상판

Claims (4)

  1. 일정면적을 복수개로 분할한 크기로 형성됨과 아울러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 상부가 개방된 부력공간부(12)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부유체(11)와;
    서로 마주하는 상기 복수개의 부유체(11)의 각 외벽을 관통하는 볼트부재(21)와 상기 복수개의 부유체(11)의 각각의 상기 부력공간부(12)내에서 상기 볼트부재(2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너트판(22)으로 구성된 연결수단(20)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 10b)와;
    서로 이격된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 10b)를 완충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 10b)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완충부재홈(31)과, 상기 완충부재홈(31)에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돌출부(33)가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에는 중공부(34)가 형성된 완충부재(32)와, 상기 완충부재(32)의 상기 중공부(34)의 양측 단부를 서로 마주보는 상기 단위부유체(10a, 10b)와 각각 연결하는 커넥터(35)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결장치(30)와;
    상기 부유체(11)의 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력공간부(12)내에 채워지는 부력재(11) 및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 10b)의 상부에 현장 타설되어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 10b)를 일체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부력공간부(12)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상판(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2. 삭제
  3. 삭제
  4. 상부가 개방된 부력공간부(12)를 갖는 복수개의 부유체(11)를 수상에 띄우는 제 1단계;와
    서로 마주하는 상기 복수개의 부유체(11)의 각 외벽을 관통하는 볼트부재(21)와 상기 복수개의 부유체(11)의 각각의 상기 부력공간부(12)내에서 상기 볼트부재(2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너트판(22)으로 구성된 연결수단(20)을 통하여 상기 수상에 띄워진 상기 복수개의 부유체(11)를 연결하여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 10b)를 구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 10b)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완충부재홈(31)과, 상기 완충부재홈(31)에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돌출부(33)가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에는 중공부(34)가 형성된 완충부재(32)와, 상기 완충부재(32)의 상기 중공부(34)의 양측 단부를 서로 마주보는 상기 단위부유체(10a, 10b)와 각각 연결하는 커넥터(35)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결장치(30)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 10b)를 완충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 10b)의 부력공간부(12)내에 부력재(40)를 주입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 10b)의 상부 전체에 콘트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위 부유체(10a, 10b)를 일체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부력공간부(12)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의 시공방법.
KR1020110031125A 2011-04-05 2011-04-05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119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125A KR101119197B1 (ko) 2011-04-05 2011-04-05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125A KR101119197B1 (ko) 2011-04-05 2011-04-05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9197B1 true KR101119197B1 (ko) 2012-03-20

Family

ID=4614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125A KR101119197B1 (ko) 2011-04-05 2011-04-05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1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610B1 (ko) 2013-09-13 2015-03-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CN108068998A (zh) * 2017-08-24 2018-05-25 湖南大学 一种柔性连接器及浮式平台连接结构
KR102007875B1 (ko) 2019-03-12 2019-08-06 주식회사 태성공영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683A (ja) * 1994-08-18 1996-03-05 Maeda Okugai Bijutsu Kk 浮島用浮ブロック
KR101000450B1 (ko) * 2010-09-02 2010-12-13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코리아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683A (ja) * 1994-08-18 1996-03-05 Maeda Okugai Bijutsu Kk 浮島用浮ブロック
KR101000450B1 (ko) * 2010-09-02 2010-12-13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코리아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부유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610B1 (ko) 2013-09-13 2015-03-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CN108068998A (zh) * 2017-08-24 2018-05-25 湖南大学 一种柔性连接器及浮式平台连接结构
KR102007875B1 (ko) 2019-03-12 2019-08-06 주식회사 태성공영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348B1 (ko) 콘크리트 부잔교
ES2835551T3 (es) Cimentación de gravedad para aerogeneradores offshore
KR102292821B1 (ko)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101851933B1 (ko) 콘크리트 부유체
CA2980959C (en) Gravity-based found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s
US20160138239A1 (en) Caisson
JP2016070053A (ja) 鉄材テトラポッドを利用した防波構造物
KR101119197B1 (ko)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CN205396473U (zh) 一种浮式模块化预制混凝土水上平台
AU2017253505B2 (en) Sea wall structures, sea wal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assembly of the same
US20100014920A1 (en) Turbine structure and gate structure having flexible joint and inside stuffing for tidal power plant
CN104313999A (zh) 一种桥墩结构
CN105178347A (zh) 一种海上测风塔基础、海上测风平台及其使用方法
JP2016084660A (ja) 洋上風力発電装置の基礎構造
KR100995667B1 (ko) 해상풍력발전 지지구조체용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59666B1 (ko) 조립식 수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120679A (ko) 부력 프리플렉션을 갖는 해상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000964B1 (ko) 폰툰형 구조물
US10214870B2 (en) Buoyancy compensated erosion control module
CN103516298A (zh) 一种水面浮体光伏***
KR0130745B1 (ko) 연약지반이 있는 곳에서의 방파제, 호안, 접안시설 등의 해상구조물의 축조방법
JP5397701B2 (ja) 防波堤構築用鋼ブロック及び防波堤構築方法
KR200341453Y1 (ko) 해상 구조물용 함체
ES2638011B1 (es) Cimentación por gravedad para la instalación de aerogeneradores offshore y torres meteorológicas
WO2020188127A1 (es) Método de instalación de estructura marítima offshore y estructura marítima offsh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