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381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381B1
KR101113381B1 KR1020090116670A KR20090116670A KR101113381B1 KR 101113381 B1 KR101113381 B1 KR 101113381B1 KR 1020090116670 A KR1020090116670 A KR 1020090116670A KR 20090116670 A KR20090116670 A KR 20090116670A KR 101113381 B1 KR101113381 B1 KR 101113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e cell
inner frame
pair
outer frame
circu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164A (ko
Inventor
백운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381B1/ko
Priority to JP2010037258A priority patent/JP5166462B2/ja
Priority to US12/912,232 priority patent/US8999570B2/en
Priority to EP10191816A priority patent/EP2328197B1/en
Priority to CN201010557065.8A priority patent/CN102082242B/zh
Publication of KR2011006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프레임에 베어셀의 평면부 측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리브를 형성하여, 베어셀의 정확한 위치에 내부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측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의 단부와 연결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제2측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가 연결된 둘레와 연결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평면부를 구비하는 베어셀;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 모듈; 상기 베어셀과 상기 보호회로 모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셀의 평면부 측으로 연장되며 마주하는 적어도 한 쌍의 리브를 구비하는 내부프레임; 및 상기 베어셀, 보호회로 모듈 및 내부프레임을 수용하는 외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부 외부프레임과 하부 외부프레임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한다.
배터리 팩, 내부프레임, 외부프레임, 베어셀, 리브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품 간 조립 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케이스에 장착된 형태에 따라 일반적으로 외장형 배터리 팩(hard pack)과 내장형 배터리 팩(inner pack)으로 분류된다. 이 중, 내장형 배터리 팩은 외부기기의 내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기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덮개를 덮어 사용하므로, 장착이 상대적으로 번거로운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설계가 용이하고 저렴하며 호환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내장형 배터리 팩은 충방전 가능한 베어셀과, 베어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충방전을 제어하고, 과충방전 시 회로를 차단하는 보호회로 모듈과, 베어셀과 보호회로 모듈 사이의 틈에 충진되는 수지와, 베어셀과 보호회로 모듈 및 수지를 팩킹하여 외부기기에 장착가능한 형태로 성형되는 외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배터리 팩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베어셀의 양극에 리드를 접속하고, 음극에 피티씨 써미스터(PTC thermister)를 접속한 상태에서, 보호회로 모듈을 리드 및 피티씨 써미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어서, 보호회로 모듈이 베어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회로 모듈과 베어셀 사이의 틈에 수지를 충진하여 기계적으로 고정한다. 또한, 외부기기에 장착 가능한 형태를 갖는 외부프레임을 이용하여 일체의 베어셀과 보호회로 모듈을 팩킹한다. 여기서, 외부프레임은 베어셀과 보호회로 모듈 및 수지와 함께 다른 수지로 몰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고객의 외관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부품 간의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형태의 배터리 팩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프레임에 베어셀의 평면부 측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리브를 형성하여, 베어셀의 정확한 위치에 내부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측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의 단부와 연결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제2측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가 연결된 둘레와 연결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평면부를 구비하는 베어셀;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 모듈; 상기 베어셀과 상기 보호회로 모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셀의 평면부 측으로 연장되며 마주하는 적어도 한 쌍의 리브를 구비하는 내부프레임; 및 상기 베어셀, 보호회로 모듈 및 내부프레임을 수용하는 외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부 외부프레임과 하부 외부프레임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2측면부 중 일 측면부에는 전극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베어셀의 제1측면부 중 일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베어셀의 한 쌍의 제1측면부 중 일 측면부 및 한 쌍의 제2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는 상기 베어셀의 평면부 측으로 3㎜ 내지 10㎜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보호회로 모듈은 용접에 의해 부착되거나, 절연테이프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셀, 보호회로 모듈 및 내부프레임을 수용하며, 상기 베어셀의 한 쌍의 평면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외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부 외부프레임과 하부 외부프레임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외부프레임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셀의 제1측면부와 맞닿는 상기 내부프레임에는 상기 베어셀의 평면부와 수직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외부프레임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어셀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테이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은 PC(Polycarbonate),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및 ABS(Acronitrile-Butadiene-Styren)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프레임에 베어셀의 평면부 측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리브를 형성하여, 베어셀의 정확한 위치에 내부프레 임을 결합시킴으로써, 최종 제품인 배터리 팩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베어셀의 유동이 방지되어 견고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전극조립체와 그 외주면을 감싸는 캔 또는 파우치로 구성된 베어셀(10)과, 베어셀(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호회로 모듈(30), 내부프레임(20) 및 외부프레임(40)을 포함한다.
베어셀(10)은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측면부(10a,10b)와. 제1측면부(10a,10b)의 단부와 연결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제2측면부(10c,10d)와, 마주하는 한 쌍의 평면부(10e,10f)를 구비하고, 제2측면부(10c,10d) 중 일 측면부(10c)에 노출된 전극단자(11)를 구비한다.
그리고, 내부프레임(20)은 베어셀(10)의 한 쌍의 제1측면부(10a,10b) 중 일 측면부(10b) 및 한 쌍의 평면부(10e,10f)가 노출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프레임(20) 외측에는 보호회로 모듈(30)이 안착된다. 이때, 내부프레임(20)과 보호회로 모듈(30)은 용접 또는 절연테이프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프레임(20)은 베어셀(10)의 한 쌍의 제1측면부(10a,10b) 중 일 측면부(10b) 및 한 쌍의 평면부(10e,10f)가 노출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도 4와 같이 베어셀(10)의 제1측면부(10a,10b) 중 일 측면부(10a)에 접하는 'ㅡ'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프레임(20)은 마주보는 세 쌍의 변(20a,20b,20c)으로부터 베어셀(10)의 평면부(10e,10f) 측으로 연장되는 리브(22)를 구비한다. 이러한 리브(22)는 내부프레임(20)이 A 방향에서 어느 한 쪽으로의 치우침, 즉 오차 없이 베어셀(10)에 조립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프레임(20)의 리브(22)는 베어셀(10)의 평면부(10e,10f)와 맞닿는 모든 변(20a,20b,20c)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베어셀(10)의 유동이 방지되어 내부프레임(20)이 베어셀(10)에 보다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접착 수단 없이도 베어셀(10)과 내부프레임(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외부프레임(40)은 상부 외부프레임(40a) 및 하부 외부프레임(40b)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함에 의해 보호회로 모듈(20)과 내부프레임(10)이 장착된 베어셀(10)을 감싸며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프레임(40)에는 후술할 외부 입출력 단자부(31)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단자노출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외부프레임(40)은 상부 외부프레임(40a) 및 하부 외부프레임(40b)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하였지만, 베어셀(10)의 한 쌍의 평면부(10e,10f)가 노출되는 'ㅁ'자 형상으로 외부프레임(40)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내부프레임(20)은 베어셀(10)과 보호회로 모듈(30)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며, 외부프레임(40)은 배터리 팩의 외곽 형태 및 강도를 위해 설치된다. 내부프레임(20)과 외부프레임(40)은 PC(Polycarbonate),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및 ABS(Acronitrile-Butadiene-Styren)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프레임(4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소재에서 발생되는 약간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프레임(20)과 외부프레임(4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베어셀(10)의 제1측면부(10a)와 맞닿는 내부프레임(20)의 하나의 변에는 베어셀(10)의 평면부(10e,10f)와 수직되는 돌출부(23)가 형성되고, 돌출부(23)에 대응하는 외부프레임(40)에는 홀(43)이 더 형성되어 내부프레임(20)과 외부프레임(4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베어셀(10) 및 보호회로 모듈(30)에 대해 설명한다.
베어셀(10)은 전극단자(11)를 구비하며, 전극단자(11)가 보호회로 모듈(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내부프레임(20)이 베어셀(10)과 보호회로 모듈(30) 사이에 위치하여 전극단자(11) 외의 영역을 절연시킨다. 보호회로 모듈(30)은 베어셀(10)의 전극단자(11)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설치된 전기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하며, 그 상부에 외부 입출력 단자부(3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베어셀(10)은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을 구비하며, 전극조립체는 양면에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판, 세퍼레이터, 양면에 음극 활물 질이 코팅된 음극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양극판과 음극판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에는 전극탭이 접합되고, 전극탭 중 하나는 캔 또는 캡플레이트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전극단자(11)에 연결되며 캔 외부로 인출되어 보호회로 모듈(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호회로 모듈(30)은 베어셀(10)의 한 쌍의 제1측면부(10a,10b) 중 일 측면부(10a) 및 한 쌍의 제2측면부(10c,10d)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내부프레임(20)의 외측에 안착된다. 이때, 내부프레임(20)과 보호회로 모듈(30)은 용접 또는 절연테이프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회로 모듈(30)은 베어셀(10)의 전극단자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베어셀(10)의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인쇄회로기판(도면부호 미기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인쇄회로기판에는 배터리에 대한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함으로써 충전 상태를 균일하게 하는 회로, 또는 과방전 및 과충전을 방지하는 회로와 같은 보호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회로 모듈(30)은 써미스터(Thermistor) 또는 온도 퓨즈와 같은 보호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전지의 고온상승이나 과도한 충방전으로 전지의 전압, 전류가 규정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지의 파열, 발화 등의 위험을 방지한다. 또한, 보호회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에 베어셀(10)의 전극탭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설치된 전기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보호회로 모듈(30)은 베어셀(10)과 외부기기(미도시)와의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부에 보호회로 모듈(30)과 외부 기기와의 전기적 매개체 역할을 하는 외부 입출력 단자부(3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 입출력 단자부(31)는 금속부(31a)와, 금속부(31a)를 감싸는 하우징부(3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금속부(31a)는 전도성 재질인 금(Au)으로 도금되어 이루어져 베어셀(10)과 외부기기와의 사이에 전기신호를 흐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며, 하우징부(31b)는 절연성 재질인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하우징부(31b)에 일정 간격으로 개재된 금속부(31a)를 상호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내부프레임(20)을 사이에 두고 보호회로 모듈(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어셀(10)에는 배터리 팩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도록 외부프레임(40)이 결합되고, 베어셀(10) 및 외부프레임(40)의 외측을 테이핑 부재(50)로 감싸서 베어셀(10)과 외부프레임(40)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과 내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부프레임(20)은 베어셀(20)의 한 쌍의 평면부(10e,10f) 및 제1측면부(10a,10b) 중 일 측면부(10b)가 노출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프레임(20)의 마주보는 세 쌍의 변(20a,20b,20c)에는 베어셀(10)의 평면부(10e,10f)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리브(22)가 형성된다.
이때, 리브(22)는 베어셀(10)의 평면부(10e,10f)로 3㎜ 내지 10㎜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브(22)가 3㎜ 미만으로 형성되면, 충분히 베어셀(10)을 고정해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 1의 A 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하여 내부프레임(20)을 베어셀(10)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리브(22)가 10㎜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베어셀(10)에 내부프레임(20)을 조립할 때 용이하게 삽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베어셀(10)과 내부프레임(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프레임(20) 외측에 보호회로 모듈(30)이 안착되는데, 이때 내부프레임(20)과 보호회로 모듈(30)은 용접 또는 절연테이프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과 내부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프레임(20)은 베어셀(20)의 한 쌍의 평면부(10e,10f) 및 제1측면부(10a,10b) 중 일 측면부(10b)가 노출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프레임(20)의 마주보는 두 쌍의 변(20b,20c)에는 베어셀(10)의 평면부(10e,10f)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리브(22)가 형성된다. 즉, 베어셀(10)의 제2측면부(10c,10d)와 맞닿는 내부프레임(20)의 변들(20b,20c)로부터 베어셀(10)의 평면부(10e,10f)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리브(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내부프레임(20)의 리브(22) 구조에 의해서도 도 1의 A 방향으로의 흔들림 없이 내부프레임(20)이 베어셀(10)에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부품 간의 위치 오차와 같은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공정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과 내부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프레임(20)은 베어셀(20)의 제1측면부(10a,10b) 중 일 측면부(10a)에 'ㅡ'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프레임(20)의 마주보는 한 쌍의 변(20a)에는 베어셀(10)의 평면부(10e,10f)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리브(22)가 형성된다. 베어셀(10)의 한 쌍의 제1측면부(10a,10b)에만 리브(22)가 형성되어도,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부프레임(20)이 베어셀(10)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베어셀(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코어팩이 외부프레임(40)과 조립된 후, 테이핑 부재(50)가 그 외측을 감쌀 수 있다. 테이핑 부재(50)는 코어팩과 외부프레임(40)의 결합 상태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외부프레임(40)과 코어팩 간의 체결부만을 국부적으로 감싸는 형태일 수도 있고, 외부프레임(40)과 코어팩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단일의 시트 형상일 수도 있다. 여기서, 테이핑 부재(50)의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테이핑 부재(50)는 이차전지의 방전용량이나 제조일자 등이 인쇄될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에 대한 보호나 절연 기능 등을 포함하는 포장용 라벨일 수 있다. 포장용 라벨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포장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또는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축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과 내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과 내부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과 내부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어셀 10a,10b : 제1측면부
10c,10d : 제2측면부 10e,10f : 평면부
20 : 내부프레임 22 : 리브
23 : 돌출부 30 : 보호회로 모듈
31 : 외부 입출력 단자부 40 : 외부프레임
40a : 상부 외부프레임 40b : 하부 외부프레임
43 : 홀 50 : 테이핑 부재

Claims (16)

  1.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측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의 단부와 연결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제2측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가 연결된 둘레와 연결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평면부를 구비하는 베어셀;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 모듈; 및
    상기 베어셀과 상기 보호회로 모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셀의 평면부 측으로 연장되며 마주하는 적어도 한 쌍의 리브를 구비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리브는 상기 베어셀의 평면부 측으로 3㎜ 내지 10㎜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측면부 중 일 측면부에는 전극단자가 형성되는 배터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베어셀의 제1측면부 중 일 측면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베어셀의 한 쌍의 제1측면부 중 일 측면부 및 한 쌍의 제2측면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팩.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PC(Polycarbonate),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및 ABS(Acronitrile-Butadiene-Styren)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된 배터리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보호회로 모듈은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 배터리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보호회로 모듈은 절연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배터리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 보호회로 모듈 및 내부프레임을 수용하며, 상기 베어셀의 한 쌍의 평면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외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의 제1측면부와 맞닿는 상기 내부프레임에는 상기 베어셀의 평면부와 수직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외부프레임에 홀이 형성되는 배터리 팩.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테이핑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은 PC(Polycarbonate),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및 ABS(Acronitrile-Butadiene-Styren)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된 배터리 팩.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부 외부프레임과 하부 외부프레임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 팩.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팩.
KR1020090116670A 2009-11-30 2009-11-30 배터리 팩 KR101113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670A KR101113381B1 (ko) 2009-11-30 2009-11-30 배터리 팩
JP2010037258A JP5166462B2 (ja) 2009-11-30 2010-02-23 バッテリパック
US12/912,232 US8999570B2 (en) 2009-11-30 2010-10-26 Battery pack exhibiting enhances structural strength
EP10191816A EP2328197B1 (en) 2009-11-30 2010-11-19 Battery pack
CN201010557065.8A CN102082242B (zh) 2009-11-30 2010-11-19 电池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670A KR101113381B1 (ko) 2009-11-30 2009-11-30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164A KR20110060164A (ko) 2011-06-08
KR101113381B1 true KR101113381B1 (ko) 2012-03-02

Family

ID=4351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670A KR101113381B1 (ko) 2009-11-30 2009-11-30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99570B2 (ko)
EP (1) EP2328197B1 (ko)
JP (1) JP5166462B2 (ko)
KR (1) KR101113381B1 (ko)
CN (1) CN1020822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6277B (zh) * 2008-06-11 2013-09-11 浜松光子学株式会社 玻璃熔接方法
KR101665727B1 (ko) 2008-06-11 2016-10-12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용착 방법
WO2009157282A1 (ja) 2008-06-23 2009-12-3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
JP5535589B2 (ja) 2009-11-25 2014-07-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535588B2 (ja) 2009-11-25 2014-07-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567319B2 (ja) 2009-11-25 2014-08-0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466929B2 (ja) 2009-11-25 2014-04-0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535590B2 (ja) 2009-11-25 2014-07-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JP5481172B2 (ja) 2009-11-25 2014-04-2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及びガラス層定着方法
EP2752918B1 (en) * 2011-12-14 2018-02-28 Lg Chem, Ltd.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101893961B1 (ko) 2012-01-04 2018-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2153A (ja) * 2003-10-17 2005-06-02 Sony Corp 外装フィルムを使用した薄型バッテリー構造並びに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767A (en) * 1984-03-13 1986-04-15 Sanyo Electric Co., Ltd. Lead storage battery
CN1300889C (zh) * 1999-03-26 2007-02-1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叠合片封装型电池
JP3762721B2 (ja) * 2002-06-28 2006-04-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3973166B2 (ja) * 2004-11-19 2007-09-1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4961669B2 (ja) * 2005-01-31 2012-06-2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池パック構造
JP4931409B2 (ja) * 2005-12-02 2012-05-1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0824875B1 (ko) * 2006-08-31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JP5300187B2 (ja) * 2006-09-07 2013-09-25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誘導作用で充電されるパック電池
US7808131B2 (en) * 2006-10-12 2010-10-05 Xtreme Power Inc. Precision battery pack circuits
JP4293226B2 (ja) 2006-11-02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
KR100884473B1 (ko) 2007-03-28 2009-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전지 팩
KR100824898B1 (ko) * 2007-04-19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팩 전지
KR100835743B1 (ko) 2007-05-01 2008-06-05 (주)이젠솔루션 2차 전지용 배터리팩
KR100922468B1 (ko) * 2007-09-21 200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867922B1 (ko) * 2007-10-09 2008-1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943570B1 (ko) * 2007-10-30 2010-0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090075396A (ko)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이랜텍 배터리 팩
KR100984133B1 (ko) * 2008-04-11 2010-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042750B1 (ko) * 2009-01-09 2011-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2153A (ja) * 2003-10-17 2005-06-02 Sony Corp 外装フィルムを使用した薄型バッテリー構造並びに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164A (ko) 2011-06-08
US8999570B2 (en) 2015-04-07
JP2011119203A (ja) 2011-06-16
CN102082242B (zh) 2014-12-17
US20110129696A1 (en) 2011-06-02
JP5166462B2 (ja) 2013-03-21
EP2328197A1 (en) 2011-06-01
CN102082242A (zh) 2011-06-01
EP2328197B1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381B1 (ko) 배터리 팩
KR100922469B1 (ko) 배터리 팩
EP1714334B1 (en) Secondary battery of assemble-type structure
EP1995804B1 (en) Battery pack
KR101240822B1 (ko) 배터리 조립체
KR101303477B1 (ko) 배터리 어셈블리
KR100824876B1 (ko) 배터리 팩
KR101199107B1 (ko) 배터리 어셈블리
KR101699855B1 (ko) 전기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221780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317460A (ja) パック電池
KR101100971B1 (ko) 배터리 팩
KR101101022B1 (ko) 배터리 팩
JP2004022480A (ja) 電池パック
KR101101019B1 (ko) 배터리 팩
WO2019139280A1 (ko) 이형지 커버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308169B1 (ko) 배터리 팩
KR101264519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