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523B1 - hand drier - Google Patents

hand d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523B1
KR101107523B1 KR1020090110866A KR20090110866A KR101107523B1 KR 101107523 B1 KR101107523 B1 KR 101107523B1 KR 1020090110866 A KR1020090110866 A KR 1020090110866A KR 20090110866 A KR20090110866 A KR 20090110866A KR 101107523 B1 KR101107523 B1 KR 101107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nozzle
hand dryer
duct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4276A (en
Inventor
양희식
오준택
허일행
Original Assignee
(주)스페이스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페이스링크 filed Critical (주)스페이스링크
Priority to KR1020090110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523B1/en
Priority to JP2010256975A priority patent/JP2011104377A/en
Publication of KR2011005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2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5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건조기 사용시 보다 빠르게 손을 건조시킴과 더불어 손으로부터 탈루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보관 및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손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건조기는 구동부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 노즐로 분사하여 손을 건조시키는 손건조기에 있어서, 상면이 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어 손건조부가 형성된 본체와, 손건조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며 외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노즐덕트와, 구동부와 노즐턱트를 연결하여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노즐덕트로 공급하는 연결관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dryer, which allows to dry hands more quickly when using a hand dryer and to effectively store and discharge the water that is fugitively removed from the hand. Hand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 dryer for drying the hand by injecting the outside air through the duct by the drive unit to dry the h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the hand dryer is formed; Coupled to the hand-drying unit, the nozzle duct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on the inside and an air inlet on the outside, and a connecting pipe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drive unit to the nozzle duct by connecting the drive unit and the nozzle duct.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손건조기, 핸드 드라이어 Hand Dryer, Hand Dryer

Description

손건조기{hand drier}Hand drier

본 발명은 손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손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손으로부터 탈루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보관 및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손건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 dryer capable of quickly drying a user's hand and effectively storing and discharging water released from the hand.

사람들은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세면을 하거나 손을 씻게 된다. 손은 하루에도 수 회 씻게 되며, 손을 씻은 후에는 수건을 이용하여 손에 묻은 물기를 닦아주게 된다.People wash their hands or wash their hands to keep clean. Your hands will be washed several times a day, and after you wash your hands, use a towel to wipe off the water on your hands.

한편, 일반 건물 또는 공공 기관 등에 설치된 화장실의 경우에는 사람이 필요에 따라서 손을 씻은 후 손에 묻은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종이타월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타월은 일회용이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많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불리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toilet installed in a general building or a public institution, a paper towel is provided so that a person can remove the water on his or her hands after washing the hand as needed. However, since these paper towels are disposab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not only waste of resources but also need continuous management.

이에, 최근 공공 화장실의 벽면에는 종이타월 대신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사람의 손에 묻어 있는 물기를 건조시키도록 된 손건조기가 설치되어 있다.In recent years, a hand dryer is installed on a wall of a public restroom to dry the water on a human hand using compressed air instead of a paper towel.

기존에 보급된 손건조기는 일반적으로 모터에 결합된 팬을 회전시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킨 후, 이 외부공기를 소정 온도로 상승시켜 배출하는 열풍장치를 본체 내에 설치하고, 본체에 형성된 개방구를 통해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the hand dryers that are supplied generally rotate a fan coupled to a motor to introduce external air, and then install a hot air device in the main body to raise and discharge the external ai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main body.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hot air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손건조기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44413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기재된 등록특허 제544413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The hand dryer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544413, which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손건조기는 손을 투입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의 양측이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개방부로 배출됨으로 인해 보다 효율적으로 손을 건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1. The hand dryer is open at both sides of the drying unit for drying by hand. For this reason,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nozzle is discharged to the open portion,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hand cannot be dried more efficiently.

2. 손전조시 발생하는 물이 개방부로 배출되는 공기와 더불어 개방부를 통해 손건조기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2.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ter generated during hand dryin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and dryer through the opening along with the air discharged into the opening.

3. 손건조기 내부에 손건조시 배출되는 물을 보관하기 위한 물보관함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물보관함에 보관된 물은 오랜시간 경과시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물통내부의 물을 수시로 확인하여 버려줘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3. There is a water storage box for storing the water discharged during hand drying inside the hand dryer. The water stored in this water storage box has a problem of causing bad smell after a long time and check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from time to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thrown away.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손건조기를 사용하여 손을 건조시 보다 빠르게 손을 건조함과 더불어 손으로부터 탈루되는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관 및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손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by using a hand dryer to dry the hand faster than when drying the hand to provide a hand dryer that can be more effectively stored and discharged water from the hand Its technical purpose is.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손건조기는 구동부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 노즐로 분사하여 손을 건조시키는 손건조기에 있어서, 상면이 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어 손건조부가 형성된 본체와, 손건조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덕트와, 구동부와 노즐덕트를 연결하여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노즐덕트로 공급하는 연결관와, 구동부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손건조부의 내측으로 사용자의 손이 진입되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물저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에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덕트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은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손건조기는 구동부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 노즐로 분사하여 손을 건조시키는 손건조기에 있어서, 상면이 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어 손건조부가 형성된 본체와, 손건조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덕트와, 상기 노즐덕트의 유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노즐덕트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수의 밸브와, 구동부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다수의 노즐턱트에 제공하는 연결관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손건조부의 내측으로 사용자의 손이 진입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물저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에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덕트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은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건조부에는 다수의 밸브와 각각 연동하여 동작하는 다수의 표시등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노들덕트는 밸브에 의해 상측의 노즐덕트로부터 하측의 노즐덕트로 순차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and drye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 dryer for drying the hand by injecting the outside air through the duct by the drive unit to dry the h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hand drying unit A main body formed therein, a nozzle duct which is coupled to the hand drying unit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therein, and a connection pipe which connects the driving unit and the nozzle duct to supply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to the nozzle duct; And a sensor for detecting driving of the user's hand into the hand drying unit.
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reservoir formed with a groove for storing water.
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 for absorbing water is provid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nozzles formed in the nozzle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lower side.
In addition, the hand drye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and dryer for drying the hand by injecting the outside air through the duct by the drive unit,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hand drying I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hand-drying unit, a plurality of nozzle ducts ar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plurality of nozzles are formed inside, and the compressed air i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nozzle duct, respectively, and the compressed air flowing into the nozzle ducts A plurality of valv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a connecting pipe for providing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to the plurality of nozzle jaws,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hand entering the inside of the hand dry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reservoir formed with a groove for storing water.
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 for absorbing water is provid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nozzles formed in the nozzle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lower side.
In addition, the hand-dry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dicators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valve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he node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quentially driven from the upper nozzle duct to the lower nozzle duct by the val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손건조기는 사용자의 손을 보다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손으로부터 탈루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보관 및 배출할 수 있게 된다.The hand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ry the user's hand more quickly and can effectively store and discharge the water released from the han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 of on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of such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 dryer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손건조기는 본체(10)와, 본체(10)에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로부터 공기를 유입받아 분사하는 노즐덕트(30)와, 상기 노즐덕트(30)와 구동부(20)를 연결하는 연결관(4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Hand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the drive unit 20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the nozzle duct 30 for injecting and injecting air from the drive unit 20 and In addition, the nozzle duct 30 and the driving unit 20 ar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pe 40.

본체(10)는 그 상측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손을 건조시기키 위한 손건조부(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손건조기의 상측 형상이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건조부(11)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형상이다.The main body 10 has an upper side formed in a disc shape and a hand drying unit 11 for drying hands is formed therein. Therefore, the upper shape of the hand dryer is made of a donut shape. The hand dryer 11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open.

상기 본체(10)의 하측은 손건조부(11)의 방향으로 그 끝단이 돌출됨과 더불어 그 상면에 홈(12a)이 형성된 물저장부(12)가 구비된다. 상기 물저장부(12)에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패드(12b)가 구비된다.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water storage unit 12, the end of which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hand drying unit 11, the groove 12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water storage unit 12 is provided with a pad (12b) for absorbing water.

상기 본체의 손건조부(11)에는 손건조부(11)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31)이 구비된 노즐덕트(30)가 구비된다. 노즐(31)의 상측에는 손건조부(11)로 사용자의 손이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3)가 구비된다.The hand dryer 11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nozzle duct 30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31 for injecting air toward the hand dryer 11. The upper side of the nozzle 31 is provided with a sensor 13 for detecting the user's hand to the hand drying unit (11).

그리고, 본체(10)의 상면에는 손건조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50)가 구비된다.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50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and dryer.

본체(10)의 일측에는 손건조기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11a)가 형성된다. 이 공기유입구(11a)에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안았지만 손건조기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구동부(20)가 결합된다.One sid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n air inlet (11a)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hand dryer.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air inlet 11a is coupled with a driving unit 20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hand dryer.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도면에 되시되진 않았지만 구동부(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에는 별도의 진동방지부재를 통해 구동부(20)가 체결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the driving unit 20. The driving unit 20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through a separate vibration preventing member.

상기 본체(10)의 상단 내측에는 PCB 기판(60)이 부착되어 설치된다. 이 PCB 기판(60)에는 손건조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실장된다.The PCB substrate 60 is attached and install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The PCB board 60 is mounted with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hand dryer.

구동부(20)는 구동부 케이스(21)와, 구동부 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됨과 더불어 회전축에 팬이 구비된 모터(2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 케이스(21)의 내부에는 구동부(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소음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음판(24) 및 방음필터(25)가 구비된다.The driving unit 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case 21 and a motor 22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case 21 and provided with a fan on a rotating shaft. In addition, a soundproof plate 24 and a soundproof filter 25 for filtering the nois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driving unit 20 are provided inside the driving unit case 21.

상기 구동부 케이스(21)의 일측 끝단에는 공기 배출관(21a)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 일단에는 공기 유입관(21b)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 배출관(21a)에는 연결관(40)이 체결된다.
노즐덕트(30)는 본체(10)에 형성된 손건조부(11)의 형상과 동일하게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An air discharge pipe 21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riving unit case 21, and an air inlet pipe 21b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riving part case 21. The connection pipe 40 is fastened to the air discharge pipe 21a.
The nozzle duct 30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the same manner as the shape of the hand dryer 11 formed in the main body 10.

삭제delete

상기 노즐덕트(30)의 내측에는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노즐(31)이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덕트(30)의 외측 일단에는 노즐덕트(30)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32)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32)에는 연결관(40)이 결합되어 구동부(2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연결관(40)을 통해 노즐덕트(30)로 유입된다.A plurality of nozzles 31 inclined downward are formed inside the nozzle duct 30. An inlet 32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nozzle duct 30 is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nozzle duct 30. The inlet 32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4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ive unit 20 is introduced into the nozzle duct 3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40).

삭제delete

상기 노즐덕트(30)는 본체(10)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거나 초음파 융착을 통해 체결된다. 노즐덕트(30)는 구동부(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The nozzle duct 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or fastened by ultrasonic welding. The nozzle duct 30 is provided to secure a compression space for compress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driving unit 20.

삭제delete

연결관(40)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관으로 형성된다. 연결관(40)의 일단은 구동부(20)에 체결되고 타단은 노즐덕트(30)에 체결된다. 따라서, 구동부(2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연결관(40)을 통해 노즐덕트(30)로 유입되고, 노즐덕트(30)에서 압축된 공기는 다수의 노즐(31)을 통해 분사되게 된다.The connecting tube 40 is formed of a flexible tu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40 is fastened to the driving unit 20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nozzle duct 30.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by the driving unit 20 flows into the nozzle duct 30 through the connecting pipe 40, and the compressed air in the nozzle duct 30 is inj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nozzles 31.

삭제delete

상기한 구성으로된 손건조기는 이용자가 손건조부에 손을 삽입하게 되면, 이는 센서(13)에서 검출되어 그 검출신호가 PCB 기판(60)상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모듈로 인가된다. 제어모듈은 모터(22)를 구동하여 팬을 가동함으로써 연결관(40)으로 압축공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40)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노즐덕트(30)에서 다시 한번 압축되고 이와 같이 압축된 공기는 노즐(31)을 통해 외부, 즉 손건조부(11)로 방출되게 된다.
링형상의 노즐덕트(30)에 배열된 다수의 노즐(31)을 통해 압축공기가 손건조부(11)내로 인입된 손에 전체적으로 분사되게 된다. 이때 경사지게 형성된 노즐로 인해 공기가 하측으로 경사지게 분사되어 사용자의 손에 부착되어 있던 물이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떨어진 물은 본체(10)의 하측에 형성된 물저장부(12)로 유입된다. 물저장부(12)로 유입된 물은 물저장부(12)에 구비된 패드(12b)에 흡수되게 된다.
When the user inserts a hand into the hand dryer, the hand dry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detected by the sensor 13 and the detec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module provided on the PCB board 60. The control module supplies the compressed air to the connecting pipe 40 by driving the motor 22 to operate the fan.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connection pipe 40 is compressed once again in the nozzle duct 30, and the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31, that is, the hand drying unit 11.
Through the plurality of nozzles 31 arranged in the ring-shaped nozzle duct 30, the compressed air is totally injected to the hand drawn into the hand dryer 11. At this time, the air is inclined downwardly due to the nozzle formed inclined so that the water attached to the user's hand falls down, and the dropped water flows into the water storage 12 formed under the main body 10.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storage unit 12 is absorbed by the pad 12b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노즐(31)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손건조부의 외측으로 빠져 나가지 않고 사용자의 손을 감싸면서 손건조부 하측으로 강하게 배출되게 되므로 사용자의 손을 매우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nozzle 31 is strongly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hand dry part while covering the user's hand without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hand dry part, thereby drying the user's hand very quickly. It becomes possible.

또한, 손으로부터 탈루된 물은 손건조부 하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손건조기 하측으로 배출되어 손건조기 하측에 형성된 물저장부(12)에 저장되므로 손건조기의 외부로 물이 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water released from the hand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hand dryer together with the air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hand dryer, the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2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hand dryer. Will not.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손건조기는 손건조부(11)에 다수의 노즐덕트(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덕트(30)에 제1 내지 제3 노즐덕트(30a, 30b, 30c)가 구비된다. 물론 이러한 노즐덕트의 갯수는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들 노즐덕트(30a~30c)와 연결관(40)의 사이에는 각각 노즐덕트(30a~30c)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70; 70a~70c)가 구비된다. 이때 밸브(70)로서는 예컨대 전자식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벨브가 사용된다.Hand dry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 duct 30 in the hand dryer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zzle duct 30 includes first to third nozzle ducts 30a, 30b, and 30c. Of course, the number of such nozzle ducts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value. And between the nozzle duct (30a ~ 30c) and the connecting pipe 40 is provided with a valve (70; 70a ~ 70c) for controlling the air flowing into the nozzle duct (30a ~ 30c), respectively. At this time,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capable of electronic control is used as the valve 70.

그리고, 상기 제1~제3 노즐덕트(30a~30c)의 하측에는 해당 노즐덕트(30a~30c)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80: 80a~80c)이 각각 구비된다. 이들 표시등(80a~80c)은 각각 제1 밸브 내지 제3 밸브(70a~70c)와 각각 연동된다.In addition, below the first to third nozzle ducts (30a to 30c) are provided with indicators (80: 80a to 80c)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nozzle ducts (30a to 30c), respectively. These indicator lights 80a to 80c are respectively linked to the first to third valves 70a to 70c.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실시예의 손건조기는 이용자가 손건조부에 손을 삽입하게 되면, 제1~제3 노즐덕트(30a~30c)가 순차적으로 구동된다. 즉 사용자의 손이 손건조부(11)에 진입된 것이 센서(13)에 의해 검출되면 제어모듈은 모터(22)를 구동함과 더불어 우선적으로 제1 밸브(71a)를 개방함으로써 제1 노즐덕트(30a)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1 표시등(80a)을 점등구동한다.
제1 노즐덕트(30a)의 노즐(31)을 통해 압축공기를 배출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모듈은 제2 밸브(70b)를 개방함과 더불어 제2 표시등(80b)을 점등구동한다. 또한 제어모듈은 제2 밸브(70b)를 개방한 후에는 제1 밸브(70a)를 서서히 폐쇠시킴과 더불어 제1 표시등(80a)을 소등시키게 된다.
In the hand dryer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user inserts a hand into the hand dryer, the first to third nozzle ducts 30a to 30c are sequentially driven. That is, when the sensor 13 detects that the user's hand enters the hand drying unit 11, the control module drives the motor 22 and firstly opens the first valve 71a to thereby open the first nozzle duct.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30a. At the same time, the first indicator 80a is turned on and dri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31 of the first nozzle duct 30a, the control module opens the second valve 70b and lights the second indicator 80b. . In addition, after the control module opens the second valve 70b, the control module gradually closes the first valve 70a and turns off the first indicator 80a.

삭제delete

이어 제어모듈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3 밸브(70c)를 개방함과 더불어 제3 표시등(80c)를 점등구동하고. 제2 밸브(70b)를 서서히 폐쇠시킴과 더불어 제2 표시등(80b)을 소등시키게 된다.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opens the third valve 70c and lights up the third indicator 80c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valve 70b is gradually closed and the second indicator 80b is turned off.

그리고 최종적으로 제어모듈은 모터(22)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더불어 제3 밸브(70c)를 폐쇠시키고, 제3 표시등(80c)을 소등시킴으로써 손건조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Finally, the control module stops the driving of the motor 22, closes the third valve 70c, and turns off the third indicator 80c to complete the hand drying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노즐덕트(30a~30c)로 압축공기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을 통해 손건조부(11) 내부로 진입된 사용자 손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순차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에 부착되어 있는 물기를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탈루시키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mpressed air is sequentially suppli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user's hand entered into the hand drying unit 11 through the method of sequentially supplying the compressed air to the first to third nozzle ducts 30a to 30c. do. Accordingly, the water attached to the user's hand can be quickly and effectively releas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밸브(70a~70c)의 구동방식을 특정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However, the above embodiment shows on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driving method of the first to third valves 70a to 70c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건조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건조기의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 dryer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건조기의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구동부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 노즐로 분사하여 손을 건조시키는 손건조기에 있어서,In the hand dryer for drying the hand by injecting the outside air through the duct to the nozzle by the drive unit, 상면이 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어 손건조부가 형성된 본체와,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s opened, the main body with the hand-drying part, 손건조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덕트와,A nozzle duct coupled to the hand drying unit and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therein, 구동부와 노즐덕트를 연결하여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노즐덕트로 공급하는 연결관와,A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drive unit and the nozzle duct to supply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drive unit to the nozzle duct; 구동부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모듈과,A control module for driving control of the driving unit; 상기 손건조부의 내측으로 사용자의 손이 진입되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기.Hand dry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user's hand enters the inside of the hand dry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물저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기.Hand dry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water storage formed grooves for storing water.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물저장부에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기.Hand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a pad for absorbing wa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노즐덕트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은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기.Hand nozz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nozzles formed in the nozzle duct is formed so that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oward the lower side. 구동부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덕트를 통해 노즐로 분사하여 손을 건조시키는 손건조기에 있어서,In the hand dryer for drying the hand by injecting the outside air through the duct to the nozzle by the drive unit, 상면이 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어 손건조부가 형성된 본체와,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s opened, the main body with the hand-drying part, 손건조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덕트와,A plurality of nozzle ducts coupled to the hand drying unit and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therein, 상기 노즐덕트의 유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노즐덕트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수의 밸브와,A plurality of valve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inlets of the nozzle duct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nozzle ducts; 구동부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다수의 노즐턱트에 제공하는 연결관과,A connecting pipe for providing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to the plurality of nozzle jaws;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과,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손건조부의 내측으로 사용자의 손이 진입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손건조기.Hand dry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user's hand entered into the hand dry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물저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기.Hand dry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water storage formed grooves for storing wat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물저장부에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기.Hand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a pad for absorbing wat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노즐덕트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은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하측을 향하도 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기.Hand nozz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nozzles formed in the nozzle duct is formed so that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oward the lower sid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손건조부에는 다수의 밸브와 각각 연동하여 동작하는 다수의 표시등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기.The hand dryer is a hand dry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dicators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valv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다수의 노들덕트는 밸브에 의해 상측의 노즐덕트로부터 하측의 노즐덕트로 순차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건조기.And said plurality of node ducts are sequentially driven from an upper nozzle duct to a lower nozzle duct by a val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110866A 2009-11-17 2009-11-17 hand drier KR101107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66A KR101107523B1 (en) 2009-11-17 2009-11-17 hand drier
JP2010256975A JP2011104377A (en) 2009-11-17 2010-11-17 Hand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66A KR101107523B1 (en) 2009-11-17 2009-11-17 hand d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276A KR20110054276A (en) 2011-05-25
KR101107523B1 true KR101107523B1 (en) 2012-01-31

Family

ID=4422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866A KR101107523B1 (en) 2009-11-17 2009-11-17 hand dri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104377A (en)
KR (1) KR1011075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306777A (en) * 2011-08-04 2013-02-16 Hokwang Ind Co Ltd Multidirectional air discharge hand drying apparatus
JP5695136B2 (en) * 2013-07-09 2015-04-01 登 井上 Hand dryer
WO2016144152A1 (en) * 2015-03-10 2016-09-15 Salazar Tamez Juan Ruben Hand dryer having ozone generator
EP4259217A1 (en) * 2020-12-08 2023-10-18 Oravel Ltd. Environmentally friendly ozone dissinfictan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752A (en) * 2002-07-04 2004-01-13 호일정공 주식회사 Hinge for door
KR20040100147A (en) * 2003-05-21 2004-12-02 (주)스페이스링크 Hand Dryer
KR200403752Y1 (en) 2005-08-26 2005-12-14 김용철 Sterilization hand dryer
KR100776884B1 (en) 2000-09-29 2007-11-19 마쓰시타 에코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Hand dryer
KR20080026642A (en) * 2005-07-30 2008-03-25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Dry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884B1 (en) 2000-09-29 2007-11-19 마쓰시타 에코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Hand dryer
KR20040003752A (en) * 2002-07-04 2004-01-13 호일정공 주식회사 Hinge for door
KR20040100147A (en) * 2003-05-21 2004-12-02 (주)스페이스링크 Hand Dryer
KR20080026642A (en) * 2005-07-30 2008-03-25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Drying apparatus
KR200403752Y1 (en) 2005-08-26 2005-12-14 김용철 Sterilization hand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04377A (en) 2011-06-02
KR20110054276A (en)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523B1 (en) hand drier
JP2016529954A (en) Body dryer
JP2007298250A (en) Automatic cleaning hot water supply device
CN104840162B (en) Mop autowash and its special mop
KR20120096750A (en) Apparatus for dry umbrella and method thereof
JP2007321442A (en) Sanitary washing device and toilet device
JP5881561B2 (en) Hand dryer with integrated wash-basin
JP2004011315A (en) Set for washing, drying and disinfecting hand
JP2013154107A (en) Hand dryer
US20080301867A1 (en) Tiolet seat with sanitary system
KR100737320B1 (en) Clothing dryer
KR101282971B1 (en) Automatic hand washer
KR20110085324A (en) Hand drier
JP2003275112A (en) Hand washer unit with dryer function
JP7138794B2 (en) Hand dryer, washbasin with hand dryer, and control method for hand dryer
KR100660923B1 (en) Hand cleaner
KR200471238Y1 (en) Hand dryer with blocking plate
CN202010136U (en) Sole cleaning machine
JP2018016955A (en) Toilet bowl
WO2021260916A1 (en) Washstand and hand dryer apparatus
JP7494461B2 (en) Bathtub cleaning device and hot water supply device
CN213282688U (en) Hand cleaning device integrating washing and drying
KR200419923Y1 (en) Low noise hand-dryer
JPH11346589A (en) Pet cleaning apparatus
KR200471706Y1 (en) hand drier for improving the air intake effici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