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516B1 - process based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process based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516B1
KR101107516B1 KR1020100016406A KR20100016406A KR101107516B1 KR 101107516 B1 KR101107516 B1 KR 101107516B1 KR 1020100016406 A KR1020100016406 A KR 1020100016406A KR 20100016406 A KR20100016406 A KR 20100016406A KR 101107516 B1 KR101107516 B1 KR 101107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boration
product information
collaborative
information manage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6888A (en
Inventor
최헌종
이석우
김보현
백재용
김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1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516B1/en
Publication of KR2011009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8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5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업 기업 간 협업에 의해 생성된 제품 정보를 내부의 로컬 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과, 웹 환경에서 상기 협업 기업 간 협업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협업 프로세스를 실행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포털 서버를 포함하여 프로세스 기반 제품 관리(PPDM)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기업 간 제품 정보 데이터의 공동 생산과 생산된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웹 기반의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포털 서버를 중심으로 협업 프로세스를 합의된 방법에 따라 모델링하고, 스마트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여러 기업에서 여러 사람이 작성한 제품 정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product information generated by collaboration between collaborative companies in a local server, and setting a collaboration process between the collaborative companies in a web environment, and executing and managing a set collaboration process. By implementing a process-based product management (PPDM) system, including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portal server, it is possible to co-produce product information data between companies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produced data. By collaboratively modeling the collaboration process around the portal server and interfacing with smart clients, companies can efficiently create and systematically manage product information data created by different people.

Figure R1020100016406
Figure R1020100016406

Description

프로세스 기반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process based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Process based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프로세스 기반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협업 기업 간의 데이터 관리 및 보안을 강화하고 협업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제품 정보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 기반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reinforcing data management and security among collaborative enterprises and sequentially generating and managing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 collaborative process. It is about a method.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각 전문분야의 기술력 있는 기업들이 경쟁 속에서 살아남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적은 자본과 기술을 갖고 있는 중소 제조기업(SMMEs: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Enterprises)의 경영 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기업 간 전문성 보완 및 기술 연대를 통해 경쟁 환경에 공동으로 대응하는 협업체제의 도입이 이루어졌다. 현대 사회는 경쟁에서 절대 우위에 서지 못한다면 시대가 요구하는 ‘협업’이라는 키워드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중소 제조 기업은 보다 다양한 가치 사슬 속에서 기업 간 협업으로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As society advances, technology companies in each specialty survive the competition. This change in the environment has changed a lot in the way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enterprises (SMMEs), which have relatively little capital and technology, operate. This led to the introduction of a collaborative system that jointly copes with the competitive environment through complementary expertise and technological solidarity. Since modern society cannot be free from the keyword 'collaboration' required by the era if it does not have an absolute advantage in competition, SMEs are gaining new competitiveness through collaboration among companies in a more diverse value chain.

하지만, 각각의 고유한 프로세스와 문화를 갖고 있는 서로 다른 기업들이 협업을 한다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때문에 서로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해주는 협업기업 간에도 기업 고유의 영역에 대한 보안이 필요하며, 기업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히 진행되고 정보의 교환도 막힘이 없어야 한다. However, it is not easy to collaborate with different companies with their own unique processes and cultures. Therefore, the security of the company's unique areas is needed even between collaborative companies that make use of each other's advantages and make up for the weak points.

조직 내의 업무처리 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소요하는 전체 시간 중에 단지 10%만이 업무 자체에 소요되고 나머지 90%의 시간은 업무 간의 연계와 전이에 소요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보면, 협업 기업 간의 업무처리에는 2배 이상의 노력의 필요할 것이다. 기업 간 업무처리에 있어서의 연계와 소통, 이것이 기업 간 협업 성공의 가장 큰 열쇠라고 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ductivity of work within the organization, research shows that only 10% of the total time required to process work is spent on the task itself, and the remaining 90% is spent on linkage and transfer between tasks. In light of these findings, more than twice as much effort will be required to handle the work among collaborators. Linkage and communication in business processes is the key to the success of collaboration among companies.

업무 프로세스 관리(BPM : business Process Management)는 이러한 연계와 소통을 위한 프로세스 관리를 중심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데이터 중심의 시스템들이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조회하고 특정한 값을 계산하는데 주목했다면, 업무 프로세스 관리(BPM)는 데이터가 어떤 업무에서 사용되고 그 이전 업무와 그 이후 업무에서는 어떻게 이용될지에 대한 규칙을 중심으로 한 업무 흐름에 주목한다. 따라서 기업 간 협업을 위해서는 협업 기업 간 프로세스의 교류가 필수적이다. 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 is a system centered on process management for such linkage and communication. While traditional data-centric systems have focused on entering, viewing, and calculating specific values for work, 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 is about how data is used and how it is used before and after. Pay attention to the rule-based workflow. Therefore, exchange of processes between collaborative companies is essential for collaboration between companies.

기업 간의 원활한 연계와 소통을 위해 업무 프로세스 관리(BPM)시스템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실제로 깊이 있는 협업을 위해서는 여전히 데이터 중심의 시스템 기능이 중요하다. 현재의 협업은 이전의 구매 중심의 공급 사슬 관리에서 벗어나 설계 협업, 생산 협업 중심으로 협업 영역의 깊이와 넓이가 확대되고 있다. 기업 간 협업에서 다루어지는 데이터의 수준이 메시지, 스케줄, 문서뿐만 아니라 도면, 해석 결과, 생산 데이터까지 확대되면서 협업 시스템에서 다루어야 하는 데이터의 수준과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양과 질의 증가와 더불어 서로 다른 기업의 데이터 제작자들이 하나의 주제로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데이터 관리보다 더욱더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서로 다른 기업의 여러 저작자에 의해 만들어진 제품 정보가 같은 룰에 의해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 systems are needed to facilitate seam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enterprises, but data-driven system functions are still important for in-depth collaboration. Today's collaboration extends beyond the procurement-driven supply chain management, extending the depth and breadth of collaboration to design and production collaboration. As the level of data handled in cross-enterprise collaboration extends not only to messages, schedules and documents, but also to drawings, analysis results, and production data, the level and amount of data that must be handled in the collaboration system is exploding. In addition to increasing volume and quality, data producers from different companies generate data on a single topic, which requires more systematic data management methods than conventional data management.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systematically managing product information produced by various authors of different companies under the same rule has emerged.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품정보관리 시스템(PDM: Product Data Management)을 바탕으로 협업 기업 간의 데이터 관리 및 보안을 강화하고 협업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제품 정보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 기반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data management and security between collaborative companies based on a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PDM) and sequentially generates and manages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 collaborative process. To provide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또한, 본 발명은 협업 기업 간 생성되는 제품 정보를 상호 합의하에 정의된 프로세스에 의해 업무를 연결하여 체계적으로 저장 및 활용하기 위한 프로세스 기반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ystematically storing and utilizing business information by a process defined under mutual agreement of product information generated between collaborative companies.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기반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협업 기업 간 협업에 의해 생성된 제품 정보를 내부의 로컬 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웹 환경에서 상기 협업 기업 간 협업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협업 프로세스를 실행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포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collaborative enterprises in the internal local server; And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portal server for setting a collaboration process between the cooperative companies in a web environment and executing and managing the set collaboration process.

또한,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 기반의 제품 정보 관리 방법은 협업 기업 간 합의된 협업 프로세스 정의 방법에 따라 각각 서브 프로세스를 설계하여 전체 프로세스를 완성하는 협업 기업 간 협업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를 저장하는 단계; 웹 환경에서 모델링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상기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 상의 액티비티를 정의된 담당자에게 전달하여 상기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 실행된 협업 프로세스의 결과로 생성된 협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협업 프로세스의 진행 및 결과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fine a collaboration process between collaboration companies to complete the entire process by designing each sub-process according to the collaboration process definition method agreed between the collaboration companies step; Storing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Executing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by transferring an activity on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to a defined person based on a process modeled in a web environment; Storing the collaboration data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executed collaboration process; And monitor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on the progress and the result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본 발명은 BPM 시스템과 PDM 시스템의 장점을 활용하여 PPDM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기업 간 제품 정보 데이터의 공동 생산과 생산된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웹 기반의 협업포털을 중심으로 협업 프로세스를 합의된 방법에 따라 모델링하고, 스마트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함으로써 여러 기업에서 여러 사람이 작성한 제품 정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PPDM system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BPM system and the PDM system, thereby enabling the joint production of product information data between companies and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roduced data.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odels the collaboration process based on the web-based collaboration portal according to the agreed method, and by using a smart client interface to efficiently create and systematically manage product information data created by several people in different companies It can be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의 기업들의 PDM 시스템과 PPDM 포털 서버의 활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의 웹 포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의 프로세스 모델러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 및 웹서비스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제품 정보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협업 프로세스의 정의 순서 및 보안 설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업무 실행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utilization of a PDM system and a PPDM portal server of enterprises in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eb portal of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process modeler of a process 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client interface unit and a web service interface unit of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a process 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definition order and security settings of a collabo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ask execution screen for verifying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업무 프로세스는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업에서 수행하는 업무절차로써 단위업무(activity)의 집합체이며, 업무의 복잡도에 따라 여러 계층의 하위 프로세스(sub process)를 가질 수 있다.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는 크게 단일 기업의 내부에서 발생하여 수행되는 내부 프로세스(private process)와 거래 파트너 기업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처리되는 공개 프로세스(public process)로 구분 공개 협업에 참여하는 두 개 이상의 개별 기업 프로세스들을 통합적으로 표현한 프로세스 즉,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공개 프로세스를 협업 프로세스(Collaborative Business Process)라고 한다. 이러한 기업 간 협업 프로세스는 개별기업들이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위업무들과 단위업무들 사이에서의 기업 간 유기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A business process is a collection of activities that a company performs to achieve a specific purpose. It can have multiple layers of subprocesses,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the work. The business process of a company is largely divided into a private process that occurs inside a single company and a public process that is processed through interaction with a trading partner company. Processes that collectively represent enterprise processes, that is, commonly used public processes, are called collaborative business processes. This intercompany collaboration process represents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and their units.

협업 프로세스는 기업 내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기업 간 상호 교환해야 하는 메시지 형태로 정의된다. 하지만 상대 기업이 내부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동안의 업무 진행에 대해서는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협업 기업 간의 분쟁이 발생되기도 하는데, 이는 두 기업 간의 내부 프로세스와 메시지 형태의 상호교환 프로세스를 하나의 프로세스로 정의함에 따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협업 기업 간 표준화된 업무절차를 정의해야 하고,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의 공개여부를 협업에 참여하는 기업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정의된 프로세스는 협업 기업 간 상호 인증절차를 수행해야 한다.Collaborative processes are defined in the form of messages that need to be exchanged between companies around the company's internal processes. However, there is no way to check on the progress of the counterpart's internal processes, which can lead to disputes between collaborating companies. This is easily defined by defining the internal process and the interchange process in the form of messages as one process. I can solve it. To do this, standardized work procedures should be defined between collaborative companies, and whether or not to disclose the defined collaborative processes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collaboration, and the defined processes should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s between collaborative companies.

협업이란 기본적으로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공개하여 상호간의 업무진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필요하지만 기업비밀이나 기술사항 등의 자료는 서로 공개를 꺼리기 마련이다. 따라서 협업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참여 기업은 기업 의지에 따라 프로세스나 액티비티를 공개하거나 공개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 협업 프로세스의 보안은 크게 프로세스 보안과 액티비티 보안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프로세스 보안은 하위프로세스를 포함한 전체 프로세스에 대하여 기업 및 사용자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기능이고, 액티비티 보안은 프로세스를 이루고 있는 하나하나의 액티비티에 대해 기업 및 사용자 접근권한을 설정하는 기능이다. 각각의 협업기업은 협업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의 시 프로세스 및 액티비티에 대해 공개여부를 결정하여 적용하여야 한다.Collaboration is basically necessary to open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to facilitate the work of each other, but it is reluctant to disclose data such as company secrets and technical matters. As a result, participating companies in collaborative business processes must be able to or without disclosing their processes or activities at their will. The security of collaborative processes is largely divided into process security and activity security. Here, process security is the function to set up enterprise and user access rights for the whole process including subprocesses, and activity security is the function to set up enterprise and user access rights for each activity in the process. Each collaborator shall determine and apply the disclosure of processes and activities when defining collaborative business processes.

제품 개발 및 생산의 과정에는 다양한 제품 관련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른 정보들도 파생되어 계속 활용되므로 제품 및 제조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제품 정보 관리(product data management 이하, PDM라 칭함)는 제품수명 주기 상에 나타나는 모든 업무와 정보를 제품 중심으로 통합 관리함으로써 전체적인 엔지니어링 효율 향상을 얻고자 하는 개념이다. PDM 시스템에는 제품 및 부품 정보, 각종 기술문서, 도면, 이미지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여러 가지 기능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지속적인 이력관리가 되어야 한다.  In the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a variety of product-related data is generated, and other information is derived based on this data, and thus, systematic management of product and manufacturing information is required. Product data manag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M) is a concept to achieve overall engineering efficiency improvement by integrating and managing all tasks and information appearing in the product life cycle. PDM system includes functions to manage product and part information, various technical documents, drawings, images, etc. integrally, and these various functions should be connected organically for continuous history management.

PDM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제품구조 및 구성관리 기능이다. 제품구조는 부품 간의 상하 조립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위부품, 하위부품, 소요수량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제품구성은 조립사양 및 옵션과 같은 변형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정보가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야 기업 현장에서 PDM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 구조 및 구성 관리의 기능은 부품 구성표(Bill Of Material 이하, BOM라 칭함)로 나타낸다. BOM은 설계뿐만 아니라 생산 및 사후관리 등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 넓게 활용되기 때문에 가장 대표적인 제품의 중심 정보이다.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in PDM is product structure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The product structure represents the up and down assembly relationship between parts, and has information such as upper part, lower part, and required quantity. Product composition represents de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assembly specifications and options, and this information must be managed efficiently so that PDM can be properly used in the enterprise. The function of this product structure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is represented by a bill of materials (Bill Of Material). BOM is the central information of the most representative products because it is widely used not only in design but also in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production and after-care.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협업 프로세스를 적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PPDMS: Process Based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기업 간 협업에 활용되는 시스템으로서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어디서든 별도의 설치과정 없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Next, a structure of a process based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PPD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above-described collaboration process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that is used for collaboration between companies and should be used anywhere without a separate installation process using a web brow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각 기업들에 포함된 PDM 시스템(110)과, 웹 서버에 포함된 PPDM 포털 서버(120) 및 저장부(130)와, 제품 정보 서비스 풀(PaaS(Platform as a Service) Pool)(1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DM system 110 included in each company, a PPDM portal server 120 and a storage unit 130 included in a web server, and a product information service pool. (PaaS (Platform as a Service) Pool) 140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PDM 시스템(110)은 제조 기업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제품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기본적으로는 웹 서버가 아닌 로컬 서버(111)를 기본 서버로 하여 기업 내부에 관련 제품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PPDM에서 사용된 PDM 시스템(110)은 기업 간 협업으로 개발되는 제품 정보의 저장 및 관리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협업 BOM의 작성 및 부품, 도면, 설계변경 정보의 직접 교환 및 재사용이 가능한 PDM시스템이어야 한다.The PDM system 110 is a system that manages product information, which is the center of a manufacturing company, and basically stores related product information data inside an enterprise using a local server 111 as a basic server instead of a web server. PDM system 110 used in PPDM should be a PDM system capable of creating and collaborating BOM and directly exchanging and reusing parts, drawings, and design change information because it is a standard for storing and managing product information developed by collaboration between companies. .

PPDM 포털 서버(120)는 프로세스 모델러(121), 프로세스 실행부(122), 프로세스 관리부(123), 프로세스 평가부(124), 엔진부(125), 스마트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126) 및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127)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PPDM portal server 120 includes a process modeler 121, a process execution unit 122, a process management unit 123, a process evaluation unit 124, an engine unit 125, a smart client interface unit 126, and a web service interfac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unit 127.

여기서, PPDM 포털은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환경에서 구현된다. 상기 도 3의 (a)는 로그인 후 처음에 보여지는 PPDM의 메인 화면, (b)는 내업무 메뉴에서의 업무목록 화면, (c)는 정의된 프로세스를 게시하여 협업 관계자들이 정의된 프로세스를 열람하고 개선 제안을 할 수 있는 프로세스맵 화면, (d)는 실행된 프로세스가 모니터링 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Here, the PPDM portal is implemented in a web environment as shown in FIG. 3 (a) is the main screen of the PPDM initially shown after login, (b) is a task list screen in the My Work Menu, (c) is a post defined process to view the processes defined by the collaborators The process map screen, (d), in which the proposed process can be suggest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re the executed process is monitored.

프로세스 모델러(121)는 협업 기업 간의 합의된 모델링 방법에 따라 각각의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협업 프로세스를 설정한다. 프로세스 모델러(121)는 PPDM 포털에 접속하여 프로세스 모델링을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여 실행한다. 이러한 실행 화면은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사용자는 상기 도 4의 화면에서 프로세스의 선후관계, 액티비티 담당자, 생성되어야 하는 데이터 속성 등으로 정의한다. The process modeler 121 sets up a collaboration process by modeling each process according to a modeling method agreed between the collaboration companies. The process modeler 121 downloads, installs and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for accessing the PPDM portal to process modeling. The execution screen is as shown in FIG. 4, and the user defines the process of the process, activity manager, data attribute to be generated, and the like in the screen of FIG. 4.

프로세스 실행부(122)는 모델링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정의된 프로세스의 액티비티를 정의된 담당자에게 전달하여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상기 도 3의 (b)의 업무목록 화면을 통해 프로세스 실행부(122)에 의해 실행된 프로세스가 하나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rocess execution unit 122 delivers the activity of the defined process based on the modeled process to the defined person in charge and executes the process. Through the task list screen of FIG. 3B, it can be seen that the process executed by the process execution unit 122 can check the state allocated to one user.

프로세스 관리부(123)는 비정상적인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경우, 강제 종료하거나, 이미 수행된 프로세스를 앞으로 되돌리거나, 담당자를 바꾸거나 하여 프로세스가 원활히 실행되도록 관리한다. 프로세스 관리부(123)는 특정 관리자만 접근 가능하다. 즉, 프로세스 관리부(123)는 협업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과정에서 실행에 오류가 발생하면 프로세스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비정상 프로세스를 관리한다. When an abnormal process is executed, the process manager 123 manages the process to be executed smoothly by forcibly terminating, returning a process already performed, or changing a person in charge. The process manager 123 is accessible only to a specific manager. That is, the process manager 123 manages the abnormal process so that the process is performed smoothly when an error occurs in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collaboration process.

엔진부(123)는 프로세스 모델러(121)에서 설정된 협업 프로세스를 할당 및 자동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The engine unit 123 performs control for allocating and automatically executing the collaboration process set by the process modeler 121.

프로세스 평가부(124)는 협업 프로세스의 실행된 결과들을 대상으로 진행사항을 모니터링 하거나 실적을 가시화한다. 즉, 프로세스 평가부(124)는 실행중이거나 실행이 완료된 협업 프로세스를 프로세스 실행에 관한 모니터링과 실행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함께 제공한다. 프로세스 평가부(124)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실행된 프로세스의 어떤 항목을 모니터링 할 것인지 실적 그래프의 형태를 무엇으로 할 것인지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구현한다. The process evaluator 124 monitors the progress or visualizes the results of the executed results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That is, the process evaluator 124 provides a collaboration process that is running or has been completed, together with monitoring of process execution and analysis of execution data. The process evaluator 124 implements by customizing which items of the process executed by the user's request or what the shape of the performance graph is.

스마트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126) 및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127)는 컴포넌트화된 PDM시스템(110)과 프로세스상의 개별 액티비티의 업무 실행화면을 웹 환경으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스마트 클라이언트는 C/S기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하는 방법이고, 웹 서비스는 웹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인터페이스하는 방법이다. PPDM 시스템은 연결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상의 액티비티를 모델링 후 실행화면을 연결할 때 스마트 클라이언트 혹은 웹 서비스의 URL을 실행화면에 삽입하여 해당 화면과 연결한다. 하나의 액티비티에서 C/S기반 어플리케이션과 웹기반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모두 필요한 경우에는 웹 화면을 분할하는 iFrame 기법을 활용하여 웹기반 어플리케이션 안에 iFrame으로 C/S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스마트 클라이언트 URL을 삽입하여 한 화면에서 연동한다.The smart client interface unit 126 and the web service interface unit 127 connect the componentized PDM system 110 and the task execution screen of individual activities on the process to the web environment. Here, the smart client is a method used for a C / S-based application, and the web service is a method for interfacing a web-based application. The PPDM system performs the interface in two way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application to which it is connecting. As shown in FIG. 5, when linking an execution screen after modeling an activity on a process, a URL of a smart client or a web service is inserted into the execution screen and connected to the screen. If both C / S-based application and web-based application are required in one activity, one screen is inserted by inserting smart client URL of C / S-based application into iFrame in web-based application by using iFrame technique that splits web screen. To work with

저장부(130)는 웹 서버의 저장부(130)와 로컬 서버(111)의 저장부로 구분되며, 웹 서버의 저장부(130)는 다시 협업 프로세스를 저장하는 협업 프로세스 저장부(131)와, 기업에서 공개한 제품 데이터(협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협업 데이터 저장부(132)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모델러(121)에서 모델링된 협업 프로세스는 협업 프로세스 저장부(131)에 저장되며, 개별 기업에서 생성한 협업데이터는 먼저 로컬서브(111)에 저장되었다가 협업에 필요한 자료만 선별해서 협업 데이터 저장부(132)로 저장된다. 협업 데이터 저장부(132)에 저장된 데이터라고 하더라도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접근이 가능하다.The storage unit 130 is divided into a storage unit 130 of the web server and a storage unit of the local server 111, the storage unit 130 of the web server again the collaboration process storage unit 131 for storing the collaboration process, It includes a collaboration data storage unit 132 for storing product data (collaboration data) published by the company. The collaborative process modeled by the process modeler 121 is stored in the collaborative process storage unit 131, and the collaborative data generated by the individual companies is first stored in the local sub111, and then only the data necessary for the collaboration are selected to store the collaborative data. Stored to section 132. Even data stored in the collaboration data storage unit 132 may be accessed only by authorized users.

서비스 풀(PaaS Pool)(140)은 액티비티의 업무 실행화면에 액티비티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의 여러 기능을 서비스 단위로 컴포넌트화하여 담아놓은 서비스의 집합소이다. 서비스 풀(PaaS Pool)(140)은 기본 기능의 단위에 따라 기능(function), 모듈(module),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협업관계에 있는 기업들이 협업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해당 액티비티의 실행화면을 디자인할 때 쉽고 빠르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A service pool (PaaS Pool) 140 is a collection of services that componentizes various functions of an application into service units so that an application that can perform a function required by an activity can be easily connected to an activity execution screen of the activity. The service pool 140 may include a function, a module, an application, etc. according to a unit of a basic function. It helps companies in a collaboration to quickly and easily define the collaboration process and design the execution screen for the activity.

이와 같은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기업 간의 협업관계에서 활용된다. 웹 서버에 포함된 하나의 PPDM 포털 서버(120)와, 기업별로 로컬 PDM시스템(110)을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Such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s utilized 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ompanies, as shown in FIG. 2. One PPDM portal server 120 included in the web server, and configured to utilize the local PDM system 110 for each company.

기업 A, B, C는 서로 협업 관계에 놓여있다. 기업 A의 프로세스 중 일부의 서브 프로세스를 기업 B에서 수행하고, 기업 B에서 수행하는 서브 프로세스에 포함된 액티비티 중 하나를 기업 C에서 수행하는 협업관계이다. 각 기업은 PDM 시스템(110)을 활용하여 제품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Companies A, B, and C are in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A sub-process of some of Company A's processes is performed by Company B, and one of the activities included in Company B's subprocesses is a collaboration in Enterprise C. Each company manages product information using the PDM system 110.

기업 A, B, C는 협업 프로세스 모델러(121)를 사용하여 협업 프로세스를 모델링 한다. 모델링 된 프로세스의 액티비티에 해당하는 실행화면은 서비스 풀(140)에서 해당하는 기능에 맞는 서비스를 골라서 액티비티에 속성에 따라 기능에 맞는 스마트 클라인언트 인터페이스(126) 혹은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127)를 통해 연결된다. 프로세스 모델러(121)에서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는 PPDM 포털 서버(120)의 협업 프로세스 저장부(131)에 저장되고, 프로세스 실행부(122)와 엔진부(123)에 의해 정의에 따라 사용자에게 업무를 할당한다. Companies A, B, and C model the collaboration process using the collaboration process modeler 121. The execution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ctivity of the modeled process select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from the service pool 140 and connects it to the smart client interface 126 or the web service interface 127 according to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the activity. do. The collaborative process defined by the process modeler 121 is stored in the collaborative process storage unit 131 of the PPDM portal server 120, and processes the task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definition by the process execution unit 122 and the engine unit 123. Assign.

할당된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 기업의 담당자는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에 의해 협업에 필요한 부분의 제품 정보를 PPDM 포털 서버(120)에 등록한다. 제품정보는 협업 프로세스 실행 이전에 각 기업에서 로컬 서버에 미리 만들어 놓을 수 있으며, 협업 프로세스 실행을 하면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생성되는 제품 정보는 기본적으로 로컬 서버(111)에 저장된다. 프로세스의 정의에 따라 협업 기업에 공개되는 제품 정보는 기업 내부의 로컬서버(111)에서 PPDM 포털 서버(120)의 협업 데이터 저장부(132)로 복사된다. 여기서 PPDM 포털 서버(120)에 등록된 자료는 별도의 보안 권한이 부여된 상대 기업이나 사용자에게만 열람 및 수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보안 권한이 부여된 상대 협업 기업은 상호 협의된 협업 프로세스에 의해 PPDM 포털 서버(120)에 등록된 협업 기업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활용할 수 있다. 각각의 기업은 다른 협업 기업의 BOM과 도면, 기술 문서의 정보들을 권한이 있는 한도 안에서 모두 직접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ssigned task, the person in charge of each company registers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portion necessary for the collaboration in the PPDM portal server 120 by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Product information can be created in advance on the local server of each company prior to executing the collaborative process, or can be created while executing the collaborative process. The generated product information is basically stored in the local server 111.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process, product information disclosed to the collaborative enterprise is copied from the local server 111 inside the enterprise to the collaborative data storage unit 132 of the PPDM portal server 120. Here, the data registered in the PPDM portal server 120 can be viewed and modified only by a counterpart company or a user who has been granted a separate security right. Accordingly, the partner company that has been granted security authority may import and use data of the partner company registered in the PPDM portal server 120 by a mutually negotiated collaboration process. Each company can directly store and utilize information from other collaborative companies' BOMs, drawings, and technical documents, as far as they are entitled.

이와 같이 구성된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을 통해 내부 사용자는 로컬 서버(111)에 접속하여 PDM 시스템(11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 협업 사용자는 PPDM 포탈 서버(120)에 접속하고, 내 업무에서 프로세스 모델러(121)에 의해 정의되고 프로세스 실행부(122) 및 엔진부(125)에 의해 전달된 업무목록을 보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 급에서는 실행된 전체 프로세스 및 제품정보 데이터를 프로세스 평가부(123)에 의해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다.Through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 internal user can access the local server 111 to use the PDM system 110. A general collaborative user accesses the PPDM portal server 120, and processes in my work. The task list defined by the modeler 121 and transmitted by the process execution unit 122 and the engine unit 125 may be performed to perform a task. In the manager level, the executed process and product information data may be monitored and analyzed by the process evaluator 123.

그러면 이와 같은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n,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uch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제품 정보 관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방법은 협업 프로세스 정의,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 실행, 협업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분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업 간 협업으로 제품개발을 수행하는 2개의 기업(리딩 기업, 협업 기업)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리딩 기업(메인 기업)은 협업 프로세스의 정의 시 프로세스의 시작과 끝을 갖고 있는 기업이다. 하지만, 다양하게 존재하는 협업의 관계에서 리딩 기업은 언제나 리딩하는 입장에 놓이는 것만이 아님을 유념해야 한다.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collaboration process definition,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execution, collaboration process monitoring and analys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wo companies (reading company, collaboration company) that performs product development by collaboration between companies as an example. The leading company (main company) is the company that ha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process when defining the collaboration proces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a diverse and collaborative relationship, leading companies are not always in the position of reading.

먼저,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0단계에서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프로세스 모델러(121)에서 협업 프로세스의 정의를 수행한다. First, as shown in FIG. 6, in step 210,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efines the cooperative process in the process modeler 121.

리딩 기업은 전체 모듈을 개발해야하는 업체로서, 전체 모듈과 그 안에 포함된 서브모듈1을 개발한다. 협업 기업은 전체 모듈에 포함되는 서브모듈2를 개발한다. 여기서 전체 모듈은 서브모듈1과 서브모듈2의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협업관계에 있는 두 기업은 합의된 협업 프로세스 정의 방법에 의해 프로세스 모델러(121)를 이용하여 서브모듈1과 서브모듈2를 설계하여 전체모듈을 완성하는 협업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A leading company is a company that needs to develop a whole module, and develops the whole module and submodule 1 included therein. The collaborative company develops submodule 2 that is included in the whole module. Here, the entire module is composed of the sub-module 1 and the sub-module 2. The two companies in such a cooperative relationship define a cooperative process for designing submodule 1 and submodule 2 using the process modeler 121 by the agreed cooperative process definition method to complete the entire module.

이러한 협업 프로세스 정의를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리딩 기업은 프로세스의 시작과 끝, 그리고 내부 정의부분을 정의하고 협업 기업에서 정의해야하는 부분은 비어있는 상태로 둔다. 이후, 협업 기업은 비어있는 부분에 자사영역에 대한 액티비티를 서브 프로세스로 모델링한다. 이때 메인 기업과 협업 기업은 서로에게 모델링에 참고가 될 액티비티의 열람 보안을 해제 즉, 프로세스 보안을 해제하고 상대기업이 볼 수 있도록 한다. 협업 기업의 액티비티로는 “서브모듈2의 도면작성”, “서브모듈2의 부품 속성 등록” 등이 있을 수 있다. 리딩 기업의 액티비티로는 “전체모듈의 BOM 작성”, “서브모듈2의 설계검토” 등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this collaborative process definitio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first, the leading company defines the start and end of the process, and an internal definition part, and the parts to be defined in the collaborative company are left empty. The collaborator then models the activities in its area as subprocesses in the blank areas. At this time, the main company and the collaborating company release each other the security of the activity that is a reference for modeling, that is, the process security and the partner company can see. Activities of collaborative companies may include "drawing drawings of submodule 2" and "registering component properties of submodule 2". The activities of a leading company may include "making a BOM of the whole module" and "design review of submodule 2".

이렇게 프로세스의 시작과 끝, 액티비티가 정의되면,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프로세스 모델러(121)에서 프로세스 상의 액티비티 각각의 업무실행화면을 정의한다. 리딩 기업의 “전체모듈의 BOM 작성” 액티비티를 예로 들면, 첨부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M 화면의 BOM 검색 정보를 연결하여 전체모듈에 포함하는 서브모듈1과 서브모듈2을 검색해 전체모듈의 BOM을 작성하도록 한다. 리딩 기업의 “서브모듈2의 설계검토”로 예를 들면, 상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M의 BOM 전개화면을 연결하여 서브모듈2의 설계BOM을 검토하고 관련 속성을 검토할 수 있다. When the start and end of the process, the activities are defined,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efines the work execution screen of each activity on the process in the process modeler 121.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8, a sub-module 1 and a sub-module 2 are included in the entire module by concatenating the BOM search information of the PDM screen. Search for and create a BOM for the entire module. For example, as shown in (c) of FIG. 8, the design BOM of the sub-module 2 is reviewed by connecting the BOM deployment screen of the PDM, and the related attributes are reviewed. can do.

이러한 협업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220단계에서 프로세스 모델러(121)는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를 협업 프로세스 저장부(131)에 저장한다. When the collaboration process is completed, in step 220, the process modeler 121 stores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in the collaboration process storage unit 131.

다음으로 230단계에서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프로세스 실행부(122)에서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스 실행부(122)는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들 중 하나를 실행하여 인스턴스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프로세스 엔진부(125)에서 발생된 인스턴스에 의해 각 기업의 담당자에게 업무를 할당하면, 상기 도 8의 (a)와 같이 사용자의 업무목록에 할 일이 배정된다. 이러한 업무목록에서 배정된 업무를 확인하면 상기 210단계에서 연결한 업무실행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담당자는 업무실행화면에 연결된 PDM 시스템(110)에서 전체모듈의 BOM을 작성하거나, 서브모듈2의 BOM과 속성을 확인하여 설계를 검토 액티비티를 수행한다. In operation 230,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executes the collaboration process defined by the process execution unit 122. In more detail, the process execution unit 122 executes one of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es to generate an instance. Accordingly, when a task is assigned to the person in charge of each company by the instance generated by the process engine unit 125, a task to be assigned to the task list of the user is assigned as shown in FIG. When the task assigned to the task list is confirmed, the task execution screen connected in step 210 is displayed. Accordingly, the person in charge creates a BOM of the entire module in the PDM system 110 connected to the work execution screen or checks the BOM and properties of the submodule 2 to perform a design review activity.

이렇게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 실행의 과정에서 240단계에서 실행된 협업 프로세스의 결과로 생성된 협업 데이터를 협업 데이터 저장부(132)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협업 기업의 제품 정보는 PPDM 포털 서버(120)의 협업 데이터 저장부(132)를 거쳐 리딩 기업으로 전달되며, 반대로 리딩 기업의 제품정보는 PPDM 포털 서버(120)의 협업 데이터 저장부(132)를 거쳐 협업 기업으로 전달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는 사용자 및 데이터별 보안이 적용된다.In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the collaboration data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executed in step 240 is stored in the collaboration data storage unit 132. Accordingly,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cooperative company is transmitted to the leading company via the collaborative data storage unit 132 of the PPDM portal server 120, and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leading company is the collaborative data storage unit of the PPDM portal server 120. 132) to the collaborative enterprise. Of course, in this process, user and data-specific security is applied.

이와 같은 프로세스 실행 중 업무 실수가 발생하여 되돌아가야할 경우가 발생하면, 250단계에서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프로세스 관리부(124)에서 프로세스 실행을 되돌려 올바른 프로세스 실행을 유도한다.If a business mistake occurs during such a process execution and needs to be returned, in step 250,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returns the process execution from the process manager 124 to induce proper process execution.

마지막으로, 260단계에서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은 프로세스 평가부(123)에서 협업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분석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스 평가부(123)는 실행중이거나 실행이 완료된 프로세스의 진행과 결과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한다. 여기서 모니터링되는 정보는 협업 프로세스가 시작에서 종료까지 걸린 날짜 및 각 액티비티 수행시간, 프로세스 실행 오류 등 정보이다. 분석되는 정보는 협업에 활용된 제품정보를 바탕으로 외주설계실적, 납기지연율 등 실적데이터 정보이다. Finally, in step 260,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erforms collaborative process monitoring and analysis in the process evaluator 123. That is, the process evaluator 123 monitors and analyzes information on the progress and the result of the process being executed or completed. Information monitored here includes the date the collaboration process took from start to finish, the time each activity was executed, and the process execution error. The analyzed information is performance data information such as outsourcing design performance and delivery delay rate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utilized in collaboratio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10 : PDM 시스템, 111 : 로컬 서버,
120 : PPDM 포털 서버, 121 : 프로세스 모델러,
122 : 프로세스 실행부, 123 : 프로세스 실행부,
124 : 프로세스 관리부, 125 : 엔진부,
126 : 스마트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
127 :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
130 : 저장부, 131 : 협업 프로세스 저장부
132 : 협업 데이터 저장부, 140 : 서비스 풀
141 : C/S 기반 어플리케이션, 142 : 웹 기반 어플리케이션
110: PDM system, 111: local server,
120: PPDM portal server, 121: process modeler,
122: process execution unit, 123: process execution unit,
124: process management unit, 125: engine unit,
126: smart client interface unit,
127: web service interface unit,
130: storage unit, 131: collaboration process storage unit
132: collaborative data storage, 140: service pool
141: C / S based application, 142: web based application

Claims (12)

협업 기업 간 협업에 의해 생성된 제품 정보를 내부의 로컬 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웹 환경에서 상기 협업 기업 간 협업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협업 프로세스를 실행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포털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포털 서버는,
상기 협업 기업 간 합의된 모델링 방법에 따라 각각의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상기 협업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프로세스 모델러;
상기 설정된 협업 프로세스 상의 개별 액티비트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업무 실행화면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들을 서비스 단위로 컴포넌트화하여 보관하는 서비스 풀;
상기 설정된 협업 프로세스를 할당하고, 자동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엔진부;
상기 모델링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정의된 프로세스의 액티비티를 정의된 담당자에게 전달하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프로세스 실행부;
상기 협업 프로세스가 원활히 실행되도록 관리하는 프로세스 관리부;
상기 협업 프로세스의 실행된 결과들을 대상으로 진행사항을 모니터링하거나 실적을 가시화하는 프로세스 평가부;
상기 협업 프로세스 및 협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C/S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컴포넌트화된 상기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과 프로세스 상의 개별 액티비트의 업무 실행화면을 웹 환경에 연결시키는 스마트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 및
웹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컴포넌트화된 상기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과 프로세스 상의 개별 액티비티의 업무 실행화면을 웹 환경에 연결시키는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at stores and manages product information generated by collaboration between collaboration companies on a local server inside; And
It includes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portal server to set up the collaboration process between the collaborative enterprises in the web environment, and execute and manage the established collaboration process,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portal server,
A process modeler modeling each process according to a modeling method agreed between the collaborative enterprises and setting up the collaborative process;
A service pool for componentizing and storing the functions of the application in service units to be connected to an application task execution screen for performing a function required by an individual activity bit on the set collaboration process;
An engine unit for allocating the set collaboration process and controlling the automatic execution;
A process execution unit which executes a process by delivering an activity of a defined process based on the modeled process to a defined person in charge;
A process manager for managing the collaboration process to be executed smoothly;
A process evaluator configured to monitor progress or visualize results of the executed results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collaboration process and the collaboration data;
In the case of a C / S based application, the smart client interface unit connects the work execution screens of the individual activity bits on the componentiz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to a web environment; And
In the case of a web-based application,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a web service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the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business execution screen of the individual activities on the process to the web environ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는 스마트 클라이언트의 유알엘(URL)을 실행화면에 삽입하여 해당 화면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client interface unit inserts a URL of the smart client into the execution screen and connects to the corresponding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기반 인터페이스부는 웹 서비스의 URL을 실행화면에 삽입하여 해당 화면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web-based interface unit inserts a URL of a web service into an execution screen and connects the screen to a corresponding screen.
프로세스 모델러가, 협업 기업 간 합의된 협업 프로세스 정의 방법에 따라 각각 서브 프로세스를 정의하여 전체 프로세스를 완성하는 협업 기업 간 협업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를 협업 프로세스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프로세스 실행부가, 웹 환경에서 모델링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상기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 상의 액티비티를 정의된 담당자에게 전달하여 상기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
실행된 협업 프로세스의 결과로 생성된 협업 데이터를 협업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프로세스 평가부가, 상기 협업 프로세스의 진행 및 결과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협업 프로세스 상의 개별 액티비트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업무 실행 화면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들을 서비스 단위로 컴포넌트화하여 서비스 풀에 보관하는 단계;
상기 업무 실행 화면을 웹 환경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정의된 협업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방법.
Defining, by the process modeler, a collaborative process between collaborative companies, each of which defines a subprocess according to a collaborative process definition method agreed between the collaborating enterprises to complete the entire process;
Storing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in a collaboration process storage;
Executing, by the process execution unit,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by delivering an activity on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to a defined person based on a process modeled in a web environment;
Storing the collaboration data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executed collaboration process in a collaboration data storage; And
The process evaluator comprises the steps of monitor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on the progress and results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The step of executing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Componentizing functions of the application in service units and storing them in a service pool to connect to an application task execution screen for performing a function required by an individual act bit on the collaboration process;
Connecting the task execution screen to a web environment; And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executing the defined collaboration process.
제7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관리부가, 상기 협업 프로세스 실행 중 업무 실수가 발생하면, 올바른 프로세스 실행을 유도하기 위해 협업 프로세스를 되돌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cess management unit, if a business mistake occurs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turning the collaboration process to induce the correct process execu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기업 간 협업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협업 기업들에서 합의된 협업 프로세스 정의 방법에 따라 각각의 개별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정의된 각각의 개별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전체 프로세스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협업 기업들 각각의 프로세스 보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fining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between the collaborative enterprises,
Defining each individual process according to a collaborative process definition method agreed at the collaborative enterprises;
remind Completing the entire process using each individual process defined;
Releasing the process security of each of the collaborative enterprises.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실행 화면을 웹 환경에 연결하는 단계는, 스마트 클라이언트 혹은 웹 서비스의 유알엘(URL)을 삽입하여 상기 업무 실행 화면을 해당 화면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connecting the work execution screen to the web environment, the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the URL of the smart client or a web service to connect the work execution screen with the corresponding scree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협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협업 데이터를 로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협업 데이터를 공동으로 완성하기 위해 협업에 필요한 자료만 선별하여 웹 환경의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포털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기반 제품 정보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toring the generated collaboration data,
Storing the generated collaboration data on a local server;
And selecting only data necessary for collaboration in order to jointly complete the generated collaboration data and storing the data in a process-based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portal server of a web environment.
KR1020100016406A 2010-02-23 2010-02-23 process based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1075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406A KR101107516B1 (en) 2010-02-23 2010-02-23 process based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406A KR101107516B1 (en) 2010-02-23 2010-02-23 process based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888A KR20110096888A (en) 2011-08-31
KR101107516B1 true KR101107516B1 (en) 2012-02-06

Family

ID=4493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406A KR101107516B1 (en) 2010-02-23 2010-02-23 process based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5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6668A (en) * 2013-07-31 2015-02-11 上海长丰智能卡有限公司 Intelligent wi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993A (en) * 2003-12-23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nter-enterprise collaborative process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993A (en) * 2003-12-23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nter-enterprise collaborative process management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소 제조기업을 위한 협업 환경지원 BOM 관리시스템 설계(한국CAD/CAM학회논문집 제14권 제4호, 최헌종 외5인, 페이지 254-260, 2009.8월 발행)*
프로세스 기반의 협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구조 설계(한국CAD/CAM학회논문집 제14권 제5호, 최헌종 외5인, 페이지 338-345, 2009.10월 발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888A (en)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elik et al. Blockchain supported BIM data provenance for construction projects
AU20172407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executing data-driven legal contracts
de Gea et al. Reusing requirements in global software engineering
Pastor et al.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i* framework: An empirical evaluation
Greiner et al. Designing and implementing cross-organizational business processes-description and application of a modelling framework
Gómez et al. Scalable modeling technologies in the wild: an experience report on wind turbines control applications development
KR101107516B1 (en) process based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l-Diraby Web-services environment for collaborative management of product life-cycle costs
Gangadharan et al. BHive: A reference framework for business-driven service design and management
Norta et al. Safeguarding trusted ebusiness transactions of lifecycles for cross-enterprise collaboration
Nunes et al. Developing multi-agent system product lines: from requirements to code
Ali Babar A framework for groupware‐supported software architecture evaluation process in global software development
Ye Combining BIM with smart contract and blockchain to support digital project delivery and acceptance processes
Andreae The common legal platform revolution
Golra A Refinement based methodology for software process modeling
Orriens et al. Rule-based business collabora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Görg et al. Real-time collaboration and experience reuse for cloud-based workflow management systems
Verginadis et al. A light modelling framework for e-government service workflows
Siller et al. Managing collaborative process planning activities through extended enterprise
Xu et al. Role network model-based support for RESTful business processes
Udokwu et al. Publication IV
Alter et al. Using a Work System Metamodel and USDL to Build a Bridge between Business Service Systems and Service Computing
Nakrani et al. Conceptual Framework of Construction Data Storage using Gaia-X Federation Services: Demonstration with Usecase of Project iECO
Rogus et al. SMESDaD–a Synergetic Methodology for Enterprise Software Development and Deployment
Panetto et al. Interoperability for enterprise software and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workshops and the doctorial symposium of the I-ESA International Conference 201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