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572B1 - 평면 변압기 - Google Patents

평면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572B1
KR101105572B1 KR1020100058528A KR20100058528A KR101105572B1 KR 101105572 B1 KR101105572 B1 KR 101105572B1 KR 1020100058528 A KR1020100058528 A KR 1020100058528A KR 20100058528 A KR20100058528 A KR 20100058528A KR 101105572 B1 KR101105572 B1 KR 101105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bobbin
thin film
film pattern
metal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576A (ko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572B1/ko
Priority to EP11798308.0A priority patent/EP2583288B1/en
Priority to PCT/KR2011/002751 priority patent/WO2011162473A2/en
Priority to CN201180040581.6A priority patent/CN103081044B/zh
Priority to US13/806,483 priority patent/US8947190B2/en
Priority to TW100113517A priority patent/TWI471877B/zh
Publication of KR2011013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572B1/ko
Priority to US14/575,460 priority patent/US940124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19Planar transformers with printed windings, e.g. surrounded by two cores and to be mounted on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코어의 사이에 체결되는 보빈과;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에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제 1 절연부에 제공되어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에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평면 변압기{Planar Transformer}
실시예는 평면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를 채용한 전원 공급 장치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는 모스 트랜지스터(MOS 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나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와 같은 스위칭 소자와 변압기를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가전 제품 등이 경박단소의 경향으로 개발됨에 따라,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도 슬림화하게 구현되도록 요구받고 있으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구성하는 회로 부품 중 큰 부피를 차지하는 변압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오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평면 변압기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평면 변압기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코어의 사이에 체결되는 보빈과;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에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제 1 절연부에 제공되어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에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제 1 체결부에 의해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제 1 절연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제 1 체결부에 의해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제 1 절연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제 1 체결부에 의해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제 1 절연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와;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3 절연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제 1 체결부에 의해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제 1 절연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와;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3 절연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제 1 체결부에 의해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제 1 절연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와;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4 절연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제 1 체결부에 의해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제 1 절연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와;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4 절연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제 1 체결부에 의해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제 1 절연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와; 코어와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3 절연부와; 제 3 절연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4 절연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평면 변압기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평면 변압기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3은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5는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8은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9는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0은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1은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2는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3은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4는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5는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6은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7은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8은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9는 본 발명의 제 3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0은 본 발명의 제 3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1은 본 발명의 제 3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2는 본 발명의 제 3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3은 본 발명의 제 3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4는 본 발명의 제 3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5는 본 발명의 제 3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6은 본 발명의 제 3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7은 본 발명의 제 3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8은 본 발명의 제 3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9는 본 발명의 제 4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0은 본 발명의 제 4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1은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2는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3은 본 발명의 제 4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4는 본 발명의 제 4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5는 본 발명의 제 4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6은 본 발명의 제 4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7은 본 발명의 제 4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8은 본 발명의 제 4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9는 본 발명의 제 4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0은 본 발명의 제 4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91은 본 발명의 제 4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2는 본 발명의 제 4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93은 본 발명의 제 4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4는 본 발명의 제 4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95는 본 발명의 제 4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6은 본 발명의 제 4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97은 본 발명의 제 4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8은 본 발명의 제 4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99는 본 발명의 제 5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0은 본 발명의 제 5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01은 본 발명의 제 5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2는 본 발명의 제 5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03은 본 발명의 제 5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4는 본 발명의 제 5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05는 본 발명의 제 5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6은 본 발명의 제 5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07은 본 발명의 제 5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8은 본 발명의 제 5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09는 본 발명의 제 5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0은 본 발명의 제 5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평면 변압기(후도시)는 코어(후도시), 보빈(후도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 제 1 절연부(후도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 제 2 절연부(후도시)등을 포함한다.
코어(후도시)는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코어(후도시)는 하부 코어(후도시)와 상부 코어(후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보빈(후도시)은 코어(후도시)의 사이에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코어(후도시)와 보빈(후도시)의 사이에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을 포함할 수가 있고,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후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후도시)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후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에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후도시)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후도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제 1 절연부(후도시)에 제공되어 제 1 절연부(후도시)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을 포함할 수가 있고,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후도시)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후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에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후도시)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후도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코어(후도시)와 보빈(후도시)의 사이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와 서로 이격되며 제 1 체결부(후도시)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을 포함할 수가 있고,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후도시)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후도시)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체결부(후도시)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3 절연부(후도시)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후도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코어(후도시)와 보빈(후도시)의 사이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와 서로 이격되며 제 1 체결부(후도시)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을 포함할 수가 있고,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후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후도시)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후도시)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후도시)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체결부(후도시)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4 절연부(후도시)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후도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후도시)는 보빈(후도시)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후도시)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전원 신호 공급부(후도시)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후도시)는 보빈(후도시)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후도시)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전원 신호 공급부(후도시)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후도시)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후도시)는 보빈(후도시)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후도시)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전원 신호 출력부(후도시)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후도시)는 보빈(후도시)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후도시)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전원 신호 출력부(후도시)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후도시)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평면 변압기(후도시)를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 도 1 내지 도 110과 같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0)는 코어(102), 보빈(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 제 1 절연부(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 제 2 절연부(112)등을 포함한다.
코어(102)는 제 1 체결부(1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04)은 제 1 체결부(102a)에 의해 코어(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102)는 하부 코어(102b)와 상부 코어(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02a)는 제 1 체결 돌기(102a1, 1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104)은 제 1 체결부(1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102)는 제 2 체결부(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104a)는 제 2 체결 홀(1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102d)는 하부 코어(102b)와 상부 코어(1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1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1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는 코어(102)와 보빈(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1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는 제 1 절연부(1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1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114)는 보빈(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14)는 보빈(1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116)는 보빈(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16)는 보빈(1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0)는 코어(102), 보빈(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 제 1 절연부(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 제 2 절연부(1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0)는 평면 변압기(1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1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0)는 평면 변압기(1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00)는 코어(302), 보빈(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06), 제 1 절연부(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 제 2 절연부(312)등을 포함한다.
코어(302)는 제 1 체결부(3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304)은 제 1 체결부(302a)에 의해 코어(3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302)는 하부 코어(302b)와 상부 코어(3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302a)는 제 1 체결 돌기(302a1, 3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304)은 제 1 체결부(3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3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302)는 제 2 체결부(3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3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304a)는 제 2 체결 홀(3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302d)는 하부 코어(302b)와 상부 코어(3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3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3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06)는 코어(302)와 보빈(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3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 LP4)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 LP4)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 LP4)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 LP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 LP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3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3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3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는 제 1 절연부(3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3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3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3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3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314)는 보빈(3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14)는 보빈(3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3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316)는 보빈(3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16)는 보빈(3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3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00)는 코어(302), 보빈(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06), 제 1 절연부(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0), 제 2 절연부(3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00)는 평면 변압기(3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3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00)는 평면 변압기(3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00)는 코어(502), 보빈(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 제 1 절연부(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 제 2 절연부(512)등을 포함한다.
코어(502)는 제 1 체결부(5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504)은 제 1 체결부(502a)에 의해 코어(5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502)는 하부 코어(502b)와 상부 코어(5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502a)는 제 1 체결 돌기(502a1, 5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504)은 제 1 체결부(5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5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502)는 제 2 체결부(5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5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504a)는 제 2 체결 홀(5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502d)는 하부 코어(502b)와 상부 코어(5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5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5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는 코어(502)와 보빈(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5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5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5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5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는 제 1 절연부(5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5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 LP8)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 LP8)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 LP8)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 LP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 LP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5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5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5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514)는 보빈(5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14)는 보빈(5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5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516)는 보빈(5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16)는 보빈(5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5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00)는 코어(502), 보빈(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06), 제 1 절연부(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0), 제 2 절연부(5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00)는 평면 변압기(5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5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00)는 평면 변압기(5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00)는 코어(702), 보빈(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06), 제 1 절연부(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 제 2 절연부(712)등을 포함한다.
코어(702)는 제 1 체결부(7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704)은 제 1 체결부(702a)에 의해 코어(7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702)는 하부 코어(702b)와 상부 코어(7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702a)는 제 1 체결 돌기(702a1, 7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704)은 제 1 체결부(7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7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702)는 제 2 체결부(7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7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704a)는 제 2 체결 홀(7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702d)는 하부 코어(702b)와 상부 코어(7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7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7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06)는 코어(702)와 보빈(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7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 LP10)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 LP10)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 LP10)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 LP1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 LP1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7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7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7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는 제 1 절연부(7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7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 LP12)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 LP12)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 LP12)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 LP1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 LP1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7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7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7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714)는 보빈(7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14)는 보빈(7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7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716)는 보빈(7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16)는 보빈(7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7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00)는 코어(702), 보빈(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06), 제 1 절연부(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0), 제 2 절연부(7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00)는 평면 변압기(7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7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00)는 평면 변압기(7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5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00)는 코어(902), 보빈(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06), 제 1 절연부(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0), 제 2 절연부(912)등을 포함한다.
코어(902)는 제 1 체결부(9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904)은 제 1 체결부(902a)에 의해 코어(9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902)는 하부 코어(902b)와 상부 코어(9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902a)는 제 1 체결 돌기(902a1, 9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904)은 제 1 체결부(9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9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902)는 제 2 체결부(9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9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904a)는 제 2 체결 홀(9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902d)는 하부 코어(902b)와 상부 코어(9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9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9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0)는 코어(902)와 보빈(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9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9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9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08)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9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9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06)는 제 1 절연부(9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9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9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9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9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914)는 보빈(9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14)는 보빈(9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9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916)는 보빈(9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16)는 보빈(9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9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00)는 코어(902), 보빈(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06), 제 1 절연부(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0), 제 2 절연부(9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00)는 평면 변압기(9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9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00)는 평면 변압기(9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6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100)는 코어(1102), 보빈(1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06), 제 1 절연부(1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10), 제 2 절연부(1112)등을 포함한다.
코어(1102)는 제 1 체결부(11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104)은 제 1 체결부(1102a)에 의해 코어(1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1102)는 하부 코어(1102b)와 상부 코어(1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102a)는 제 1 체결 돌기(1102a1, 11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1104)은 제 1 체결부(11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1102)는 제 2 체결부(1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1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1104a)는 제 2 체결 홀(11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1102d)는 하부 코어(1102b)와 상부 코어(11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11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11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10)는 코어(1102)와 보빈(1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1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1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11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8)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1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06)는 제 1 절연부(11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1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 LP17)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 LP17)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 LP17)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 LP1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 LP1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11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1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1114)는 보빈(1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114)는 보빈(11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1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1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1116)는 보빈(1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116)는 보빈(11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1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1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100)는 코어(1102), 보빈(1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06), 제 1 절연부(1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10), 제 2 절연부(11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100)는 평면 변압기(11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11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100)는 평면 변압기(11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7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300)는 코어(1302), 보빈(1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 제 1 절연부(1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310), 제 2 절연부(1312)등을 포함한다.
코어(1302)는 제 1 체결부(13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304)은 제 1 체결부(1302a)에 의해 코어(13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1302)는 하부 코어(1302b)와 상부 코어(13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302a)는 제 1 체결 돌기(1302a1, 13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1304)은 제 1 체결부(13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3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1302)는 제 2 체결부(13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3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1304a)는 제 2 체결 홀(13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1302d)는 하부 코어(1302b)와 상부 코어(13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13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13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310)는 코어(1302)와 보빈(1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3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3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3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 LP19)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 LP19)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 LP19)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 LP1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 LP1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13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3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13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는 제 1 절연부(13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3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3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13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3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13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1314)는 보빈(13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314)는 보빈(13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3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3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1316)는 보빈(13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3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316)는 보빈(13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3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3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3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300)는 코어(1302), 보빈(1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306), 제 1 절연부(1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310), 제 2 절연부(13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300)는 평면 변압기(13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13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300)는 평면 변압기(13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8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500)는 코어(1502), 보빈(1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506), 제 1 절연부(1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510), 제 2 절연부(1512)등을 포함한다.
코어(1502)는 제 1 체결부(15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504)은 제 1 체결부(1502a)에 의해 코어(15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1502)는 하부 코어(1502b)와 상부 코어(15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502a)는 제 1 체결 돌기(1502a1, 15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1504)은 제 1 체결부(15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5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1502)는 제 2 체결부(15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5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1504a)는 제 2 체결 홀(15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1502d)는 하부 코어(1502b)와 상부 코어(15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15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15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510)는 코어(1502)와 보빈(1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5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5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5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 LP22)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 LP22)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 LP22)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 LP2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 LP2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5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15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5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5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5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15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506)는 제 1 절연부(15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5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5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5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 LP24)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 LP24)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 LP24)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 LP2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 LP2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5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15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5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5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5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15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1514)는 보빈(15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514)는 보빈(15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5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5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5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1516)는 보빈(15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5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516)는 보빈(15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3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5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5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500)는 코어(1502), 보빈(1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506), 제 1 절연부(1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510), 제 2 절연부(15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500)는 평면 변압기(15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15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500)는 평면 변압기(15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9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700)는 코어(1702), 보빈(1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706), 제 1 절연부(1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 제 2 절연부(1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 제 3 절연부(1715)등을 포함한다.
코어(1702)는 제 1 체결부(17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704)은 제 1 체결부(1702a)에 의해 코어(17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1702)는 하부 코어(1702b)와 상부 코어(17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702a)는 제 1 체결 돌기(1702a1, 17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1704)은 제 1 체결부(17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7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1702)는 제 2 체결부(17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7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1704a)는 제 2 체결 홀(17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1702d)는 하부 코어(1702b)와 상부 코어(17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17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17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706)는 코어(1702)와 보빈(1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7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7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7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17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7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7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7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17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는 제 1 절연부(17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7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7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17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7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17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는 코어(1702)와 보빈(1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7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17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17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17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1714)는 보빈(17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7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714)는 보빈(17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7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7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7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1716)는 보빈(17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716)는 보빈(17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716)는 보빈(17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716)는 보빈(17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7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7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700)는 코어(1702), 보빈(1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706), 제 1 절연부(1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0), 제 2 절연부(1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713), 제 3 절연부(17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700)는 평면 변압기(17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17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700)는 평면 변압기(17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10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900)는 코어(1902), 보빈(1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906), 제 1 절연부(1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 제 2 절연부(1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 제 3 절연부(1915)등을 포함한다.
코어(1902)는 제 1 체결부(19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904)은 제 1 체결부(1902a)에 의해 코어(19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1902)는 하부 코어(1902b)와 상부 코어(19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902a)는 제 1 체결 돌기(1902a1, 19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1904)은 제 1 체결부(19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9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1902)는 제 2 체결부(19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9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1904a)는 제 2 체결 홀(19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1902d)는 하부 코어(1902b)와 상부 코어(19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19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19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906)는 코어(1902)와 보빈(1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9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9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8, LP29)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8, LP29)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8, LP29)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8, LP2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8, LP2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9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19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9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9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9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19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는 제 1 절연부(19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9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9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19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9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19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는 코어(1902)와 보빈(1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9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19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19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19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1914)는 보빈(19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9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914)는 보빈(19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9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9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9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1916)는 보빈(19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916)는 보빈(19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916)는 보빈(19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916)는 보빈(19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9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9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900)는 코어(1902), 보빈(1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906), 제 1 절연부(1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0), 제 2 절연부(1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913), 제 3 절연부(19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900)는 평면 변압기(19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19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900)는 평면 변압기(19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11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100)는 코어(2102), 보빈(2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106), 제 1 절연부(2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 제 2 절연부(2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 제 3 절연부(2115)등을 포함한다.
코어(2102)는 제 1 체결부(21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2104)은 제 1 체결부(2102a)에 의해 코어(2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2102)는 하부 코어(2102b)와 상부 코어(2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2102a)는 제 1 체결 돌기(2102a1, 21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2104)은 제 1 체결부(21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2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2102)는 제 2 체결부(2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21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2104a)는 제 2 체결 홀(21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2102d)는 하부 코어(2102b)와 상부 코어(21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21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21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106)는 코어(2102)와 보빈(2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21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2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1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2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21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1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2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2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는 제 1 절연부(21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1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2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3, LP34)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3, LP34)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3, LP34)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1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3, LP3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3, LP3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21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2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2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는 코어(2102)와 보빈(2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21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2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21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21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21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2114)는 보빈(2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2114)는 보빈(21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1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21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21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2116)는 보빈(2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116)는 보빈(21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2116)는 보빈(21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116)는 보빈(21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21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1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100)는 코어(2102), 보빈(2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106), 제 1 절연부(2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0), 제 2 절연부(2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113), 제 3 절연부(21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100)는 평면 변압기(21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21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100)는 평면 변압기(21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12 실시예>
도 23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300)는 코어(2302), 보빈(2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306), 제 1 절연부(2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 제 2 절연부(2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 제 3 절연부(2315)등을 포함한다.
코어(2302)는 제 1 체결부(23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2304)은 제 1 체결부(2302a)에 의해 코어(23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2302)는 하부 코어(2302b)와 상부 코어(23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2302a)는 제 1 체결 돌기(2302a1, 23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2304)은 제 1 체결부(23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23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2302)는 제 2 체결부(23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23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2304a)는 제 2 체결 홀(23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2302d)는 하부 코어(2302b)와 상부 코어(23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23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23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306)는 코어(2302)와 보빈(2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23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2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3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2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3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23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3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23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23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는 제 1 절연부(23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3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23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23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23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23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는 코어(2302)와 보빈(2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23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2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8, LP39)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8, LP39)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8, LP39)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1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8, LP3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8, LP3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23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23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23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2314)는 보빈(23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2314)는 보빈(23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3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23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23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2316)는 보빈(23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316)는 보빈(23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2316)는 보빈(23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316)는 보빈(23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23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3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300)는 코어(2302), 보빈(2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306), 제 1 절연부(2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0), 제 2 절연부(2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313), 제 3 절연부(23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300)는 평면 변압기(23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23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300)는 평면 변압기(23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13 실시예>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500)는 코어(2502), 보빈(2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506), 제 1 절연부(2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 제 2 절연부(2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 제 3 절연부(2515)등을 포함한다.
코어(2502)는 제 1 체결부(25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2504)은 제 1 체결부(2502a)에 의해 코어(25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2502)는 하부 코어(2502b)와 상부 코어(25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2502a)는 제 1 체결 돌기(2502a1, 25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2504)은 제 1 체결부(25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25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2502)는 제 2 체결부(25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25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2504a)는 제 2 체결 홀(25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2502d)는 하부 코어(2502b)와 상부 코어(25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25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25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506)는 코어(2502)와 보빈(2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25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2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5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0, LP41)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0, LP41)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0, LP41)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1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0, LP4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2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0, LP4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5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25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5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5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25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25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는 제 1 절연부(25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5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25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2, LP43)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2, LP43)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2, LP43)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1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2, LP4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2, LP4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25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25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25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는 코어(2502)와 보빈(2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25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2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25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25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25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2514)는 보빈(25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2514)는 보빈(25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5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25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25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2516)는 보빈(25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516)는 보빈(25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2516)는 보빈(25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516)는 보빈(25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25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5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500)는 코어(2502), 보빈(2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506), 제 1 절연부(2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0), 제 2 절연부(2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513), 제 3 절연부(25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500)는 평면 변압기(25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25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500)는 평면 변압기(25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14 실시예>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700)는 코어(2702), 보빈(2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706), 제 1 절연부(2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 제 2 절연부(2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 제 3 절연부(2715)등을 포함한다.
코어(2702)는 제 1 체결부(27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2704)은 제 1 체결부(2702a)에 의해 코어(26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2702)는 하부 코어(2702b)와 상부 코어(27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2702a)는 제 1 체결 돌기(2702a1, 27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2704)은 제 1 체결부(27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27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2702)는 제 2 체결부(27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27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2704a)는 제 2 체결 홀(27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2702d)는 하부 코어(2702b)와 상부 코어(27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27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27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706)는 코어(2702)와 보빈(2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27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2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7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5, LP4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5, LP4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5, LP4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1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5, LP4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2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5, LP4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7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27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7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7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27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27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는 제 1 절연부(27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7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27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27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27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27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는 코어(2702)와 보빈(2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27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2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8, LP49)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8, LP49)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8, LP49)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1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8, LP4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8, LP4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27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27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27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2714)는 보빈(27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7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2714)는 보빈(27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7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27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27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2716)는 보빈(27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716)는 보빈(27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2716)는 보빈(27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716)는 보빈(27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27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7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700)는 코어(2702), 보빈(2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706), 제 1 절연부(2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0), 제 2 절연부(2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713), 제 3 절연부(27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700)는 평면 변압기(27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27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700)는 평면 변압기(27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15 실시예>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900)는 코어(2902), 보빈(2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906), 제 1 절연부(2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 제 2 절연부(2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 제 3 절연부(2915)등을 포함한다.
코어(2902)는 제 1 체결부(29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2904)은 제 1 체결부(2902a)에 의해 코어(29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2902)는 하부 코어(2902b)와 상부 코어(29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2902a)는 제 1 체결 돌기(2902a1, 29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2904)은 제 1 체결부(29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29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2902)는 제 2 체결부(29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29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2904a)는 제 2 체결 홀(29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2902d)는 하부 코어(2902b)와 상부 코어(29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29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29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906)는 코어(2902)와 보빈(2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29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2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9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2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9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29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9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9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29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29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는 제 1 절연부(29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9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29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1, LP52)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1, LP52)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1, LP52)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1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1, LP5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1, LP5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29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29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29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는 코어(2902)와 보빈(2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29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2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3, LP54)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3, LP54)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3, LP54)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1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3, LP5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3, LP5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29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2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29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29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2914)는 보빈(29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9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2914)는 보빈(29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9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29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29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2916)는 보빈(29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916)는 보빈(29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2916)는 보빈(29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916)는 보빈(29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29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29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900)는 코어(2902), 보빈(2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2906), 제 1 절연부(2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0), 제 2 절연부(2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2913), 제 3 절연부(29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900)는 평면 변압기(29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29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2900)는 평면 변압기(29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16 실시예>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100)는 코어(3102), 보빈(3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106), 제 1 절연부(3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 제 2 절연부(3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 제 3 절연부(3115)등을 포함한다.
코어(3102)는 제 1 체결부(31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3104)은 제 1 체결부(3102a)에 의해 코어(3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3102)는 하부 코어(3102b)와 상부 코어(3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3102a)는 제 1 체결 돌기(3102a1, 31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3104)은 제 1 체결부(31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3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3102)는 제 2 체결부(3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31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3104a)는 제 2 체결 홀(31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3102d)는 하부 코어(3102b)와 상부 코어(31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31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31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106)는 코어(3102)와 보빈(3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31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3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1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5, LP5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5, LP5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5, LP5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1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5, LP5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30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5, LP5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31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1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3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3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는 제 1 절연부(31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1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3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7, LP58)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7, LP58)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7, LP58)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1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7, LP5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7, LP5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31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3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3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는 코어(3102)와 보빈(3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31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3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9, LP60)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9, LP60)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9, LP60)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2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9, LP6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59, LP6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31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31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31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3114)는 보빈(3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114)는 보빈(31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1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31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1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3116)는 보빈(3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116)는 보빈(31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3116)는 보빈(31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116)는 보빈(31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31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1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100)는 코어(3102), 보빈(3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106), 제 1 절연부(3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0), 제 2 절연부(3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113), 제 3 절연부(31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100)는 평면 변압기(31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31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100)는 평면 변압기(31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17 실시예>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300)는 코어(3302), 보빈(3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306), 제 1 절연부(3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 제 2 절연부(3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 제 3 절연부(3315)등을 포함한다.
코어(3302)는 제 1 체결부(33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3304)은 제 1 체결부(3302a)에 의해 코어(33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3302)는 하부 코어(3302b)와 상부 코어(33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3302a)는 제 1 체결 돌기(3302a1, 33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3304)은 제 1 체결부(33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33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3302)는 제 2 체결부(33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33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3304a)는 제 2 체결 홀(33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3302d)는 하부 코어(3302b)와 상부 코어(33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33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33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는 코어(3302)와 보빈(3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33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33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33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33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33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306)는 제 1 절연부(33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3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33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3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3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3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33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3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33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33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는 코어(3302)와 보빈(3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33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3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33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33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33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3314)는 보빈(33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314)는 보빈(33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3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33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3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3316)는 보빈(33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316)는 보빈(33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3316)는 보빈(33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316)는 보빈(33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33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3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300)는 코어(3302), 보빈(3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306), 제 1 절연부(3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0), 제 2 절연부(3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313), 제 3 절연부(33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300)는 평면 변압기(33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33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300)는 평면 변압기(33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18 실시예>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500)는 코어(3502), 보빈(3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506), 제 1 절연부(3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 제 2 절연부(3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 제 3 절연부(3515)등을 포함한다.
코어(3502)는 제 1 체결부(35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3504)은 제 1 체결부(3502a)에 의해 코어(35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3502)는 하부 코어(3502b)와 상부 코어(35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3502a)는 제 1 체결 돌기(3502a1, 35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3504)은 제 1 체결부(35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35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3502)는 제 2 체결부(35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35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3504a)는 제 2 체결 홀(35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3502d)는 하부 코어(3502b)와 상부 코어(35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35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35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는 코어(3502)와 보빈(3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35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35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35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35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35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506)는 제 1 절연부(35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5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35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5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5, LP6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5, LP6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5, LP6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2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5, LP6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3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5, LP6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5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35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5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5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35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35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는 코어(3502)와 보빈(3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35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3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35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35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35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3514)는 보빈(35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514)는 보빈(35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5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35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5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3516)는 보빈(35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516)는 보빈(35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3516)는 보빈(35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516)는 보빈(35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35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5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500)는 코어(3502), 보빈(3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506), 제 1 절연부(3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0), 제 2 절연부(3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513), 제 3 절연부(35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500)는 평면 변압기(35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35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500)는 평면 변압기(35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19 실시예>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700)는 코어(3702), 보빈(3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706), 제 1 절연부(3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 제 2 절연부(3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 제 3 절연부(3715)등을 포함한다.
코어(3702)는 제 1 체결부(37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3704)은 제 1 체결부(3702a)에 의해 코어(37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3702)는 하부 코어(3702b)와 상부 코어(37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3702a)는 제 1 체결 돌기(3702a1, 37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3704)은 제 1 체결부(37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37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3702)는 제 2 체결부(37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37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3704a)는 제 2 체결 홀(37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3702d)는 하부 코어(3702b)와 상부 코어(37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37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37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는 코어(3702)와 보빈(3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37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37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8, LP69)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8, LP69)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8, LP69)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2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8, LP6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68, LP6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37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37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37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706)는 제 1 절연부(37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7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37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7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3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7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37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7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7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37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37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는 코어(3702)와 보빈(3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37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3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37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37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37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3714)는 보빈(37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7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714)는 보빈(37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7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37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7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3716)는 보빈(37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716)는 보빈(37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3716)는 보빈(37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716)는 보빈(37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37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7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700)는 코어(3702), 보빈(3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706), 제 1 절연부(3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0), 제 2 절연부(3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713), 제 3 절연부(37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700)는 평면 변압기(37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37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700)는 평면 변압기(37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0 실시예>
도 39는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900)는 코어(3902), 보빈(3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906), 제 1 절연부(3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 제 2 절연부(3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 제 3 절연부(3915)등을 포함한다.
코어(3902)는 제 1 체결부(39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3904)은 제 1 체결부(3902a)에 의해 코어(39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3902)는 하부 코어(3902b)와 상부 코어(39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3902a)는 제 1 체결 돌기(3902a1, 39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3904)은 제 1 체결부(39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39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3902)는 제 2 체결부(39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39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3904a)는 제 2 체결 홀(39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3902d)는 하부 코어(3902b)와 상부 코어(39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39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39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는 코어(3902)와 보빈(3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39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39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39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39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39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906)는 제 1 절연부(39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9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39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9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3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9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39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9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9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39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39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는 코어(3902)와 보빈(3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39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3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4, LP75)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4, LP75)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4, LP75)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2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4, LP7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4, LP7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39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3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39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39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3914)는 보빈(39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9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914)는 보빈(39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9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39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39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3916)는 보빈(39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916)는 보빈(39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3916)는 보빈(39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916)는 보빈(39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39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39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900)는 코어(3902), 보빈(3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3906), 제 1 절연부(3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0), 제 2 절연부(3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3913), 제 3 절연부(39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900)는 평면 변압기(39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39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3900)는 평면 변압기(39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1 실시예>
도 41은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2는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100)는 코어(4102), 보빈(4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106), 제 1 절연부(4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 제 2 절연부(4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 제 3 절연부(4115)등을 포함한다.
코어(4102)는 제 1 체결부(41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4104)은 제 1 체결부(4102a)에 의해 코어(4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4102)는 하부 코어(4102b)와 상부 코어(4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4102a)는 제 1 체결 돌기(4102a1, 41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4104)은 제 1 체결부(41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4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4102)는 제 2 체결부(4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41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4104a)는 제 2 체결 홀(41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4102d)는 하부 코어(4102b)와 상부 코어(41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41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41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는 코어(4102)와 보빈(4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41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41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6, LP77)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6, LP77)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6, LP77)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2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6, LP7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6, LP7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41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4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4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106)는 제 1 절연부(41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1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4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1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8, LP79)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8, LP79)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8, LP79)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2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8, LP7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4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78, LP7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41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1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4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4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는 코어(4102)와 보빈(4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41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4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41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41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41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4114)는 보빈(4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4114)는 보빈(41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1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41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41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4116)는 보빈(4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116)는 보빈(41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4116)는 보빈(41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116)는 보빈(41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41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1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100)는 코어(4102), 보빈(4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106), 제 1 절연부(4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0), 제 2 절연부(4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113), 제 3 절연부(41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100)는 평면 변압기(41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41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100)는 평면 변압기(41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2 실시예>
도 43은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4는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43 및 도 4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300)는 코어(4302), 보빈(4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306), 제 1 절연부(4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 제 2 절연부(4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 제 3 절연부(4315)등을 포함한다.
코어(4302)는 제 1 체결부(43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4304)은 제 1 체결부(4302a)에 의해 코어(43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4302)는 하부 코어(4302b)와 상부 코어(43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4302a)는 제 1 체결 돌기(4302a1, 43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4304)은 제 1 체결부(43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43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4302)는 제 2 체결부(43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43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4304a)는 제 2 체결 홀(43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4302d)는 하부 코어(4302b)와 상부 코어(43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43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43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는 코어(4302)와 보빈(4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43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43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43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43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43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306)는 제 1 절연부(43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3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43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3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2, LP83)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2, LP83)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2, LP83)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2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2, LP8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4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2, LP8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3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43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3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43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43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는 코어(4302)와 보빈(4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43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4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4, LP85)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4, LP85)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4, LP85)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2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4, LP8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4, LP8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43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43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43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4314)는 보빈(43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4314)는 보빈(43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3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43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43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4316)는 보빈(43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316)는 보빈(43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4316)는 보빈(43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316)는 보빈(43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43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3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300)는 코어(4302), 보빈(4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306), 제 1 절연부(4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0), 제 2 절연부(4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313), 제 3 절연부(43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300)는 평면 변압기(43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43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300)는 평면 변압기(43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3 실시예>
도 45는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6은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500)는 코어(4502), 보빈(4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506), 제 1 절연부(4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 제 2 절연부(4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 제 3 절연부(4515)등을 포함한다.
코어(4502)는 제 1 체결부(45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4504)은 제 1 체결부(4502a)에 의해 코어(45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4502)는 하부 코어(4502b)와 상부 코어(45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4502a)는 제 1 체결 돌기(4502a1, 45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4504)은 제 1 체결부(45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45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4502)는 제 2 체결부(45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45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4504a)는 제 2 체결 홀(45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4502d)는 하부 코어(4502b)와 상부 코어(45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45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45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는 코어(4502)와 보빈(4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45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4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6, LP87)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6, LP87)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6, LP87)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2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6, LP8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6, LP8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45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45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45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506)는 제 1 절연부(45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5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45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5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4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5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45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5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5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45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45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는 코어(4502)와 보빈(4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45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4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9, LP90)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9, LP90)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9, LP90)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2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9, LP9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89, LP9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45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45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45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4514)는 보빈(45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4514)는 보빈(45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5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45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45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4516)는 보빈(45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516)는 보빈(45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4516)는 보빈(45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516)는 보빈(45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45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5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500)는 코어(4502), 보빈(4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506), 제 1 절연부(4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0), 제 2 절연부(4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513), 제 3 절연부(45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500)는 평면 변압기(45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45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500)는 평면 변압기(45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4 실시예>
도 47은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8은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700)는 코어(4702), 보빈(4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706), 제 1 절연부(4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 제 2 절연부(4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 제 3 절연부(4715)등을 포함한다.
코어(4702)는 제 1 체결부(47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4704)은 제 1 체결부(4702a)에 의해 코어(47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4702)는 하부 코어(4702b)와 상부 코어(47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4702a)는 제 1 체결 돌기(4702a1, 47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4704)은 제 1 체결부(47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47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4702)는 제 2 체결부(47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47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4704a)는 제 2 체결 홀(47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4702d)는 하부 코어(4702b)와 상부 코어(47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47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47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는 코어(4702)와 보빈(4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47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47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1, LP92)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1, LP92)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1, LP92)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3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1, LP9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1, LP9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47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47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47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706)는 제 1 절연부(47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7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47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7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3, LP94)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3, LP94)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3, LP94)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3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3, LP9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4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3, LP9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7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47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7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7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47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47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는 코어(4702)와 보빈(4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47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4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5, LP9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5, LP9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5, LP9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3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5, LP9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5, LP9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47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47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47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4714)는 보빈(47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7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4714)는 보빈(47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7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47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47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4716)는 보빈(47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716)는 보빈(47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4716)는 보빈(47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716)는 보빈(47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47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7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700)는 코어(4702), 보빈(4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706), 제 1 절연부(4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0), 제 2 절연부(4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4713), 제 3 절연부(4715)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700)는 평면 변압기(47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47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700)는 평면 변압기(47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5 실시예>
도 49는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0은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49 및 도 5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900)는 코어(4902), 보빈(4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06), 제 1 절연부(4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 제 2 절연부(4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17), 제 4 절연부(4919)등을 포함한다.
코어(4902)는 제 1 체결부(49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4904)은 제 1 체결부(4902a)에 의해 코어(49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4902)는 하부 코어(4902b)와 상부 코어(49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4902a)는 제 1 체결 돌기(4902a1, 49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4904)은 제 1 체결부(49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49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4902)는 제 2 체결부(49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49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4904a)는 제 2 체결 홀(49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4902d)는 하부 코어(4902b)와 상부 코어(49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49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49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06)는 코어(4902)와 보빈(4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49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4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4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49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49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49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는 제 1 절연부(49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9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49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49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49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49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17)는 코어(4902)와 보빈(4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49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4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4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9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49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4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49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49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4914)는 보빈(49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4914)는 보빈(49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4914)는 보빈(49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4914)는 보빈(49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49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49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4916)는 보빈(49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916)는 보빈(49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49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49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900)는 코어(4902), 보빈(4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06), 제 1 절연부(4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4910), 제 2 절연부(4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4917), 제 4 절연부(49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900)는 평면 변압기(49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49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4900)는 평면 변압기(49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6 실시예>
도 51은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2는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51 및 도 5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100)는 코어(5102), 보빈(5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06), 제 1 절연부(5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 제 2 절연부(5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17), 제 4 절연부(5119)등을 포함한다.
코어(5102)는 제 1 체결부(51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5104)은 제 1 체결부(5102a)에 의해 코어(5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5102)는 하부 코어(5102b)와 상부 코어(5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5102a)는 제 1 체결 돌기(5102a1, 51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5104)은 제 1 체결부(51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5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5102)는 제 2 체결부(5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51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5104a)는 제 2 체결 홀(51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5102d)는 하부 코어(5102b)와 상부 코어(51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51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51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06)는 코어(5102)와 보빈(5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51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5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0, LP101)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0, LP101)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0, LP101)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3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0, LP10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5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0, LP10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51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5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5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는 제 1 절연부(51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1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5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51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5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5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17)는 코어(5102)와 보빈(5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51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5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5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51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51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51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5114)는 보빈(5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114)는 보빈(51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5114)는 보빈(51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114)는 보빈(51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51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1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5116)는 보빈(5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116)는 보빈(51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51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1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100)는 코어(5102), 보빈(5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06), 제 1 절연부(5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110), 제 2 절연부(5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117), 제 4 절연부(51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100)는 평면 변압기(51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51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100)는 평면 변압기(51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7 실시예>
도 53은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4는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53 및 도 5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300)는 코어(5302), 보빈(5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06), 제 1 절연부(5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10), 제 2 절연부(5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17), 제 4 절연부(5319)등을 포함한다.
코어(5302)는 제 1 체결부(53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5304)은 제 1 체결부(5302a)에 의해 코어(53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5302)는 하부 코어(5302b)와 상부 코어(53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5302a)는 제 1 체결 돌기(5302a1, 53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5304)은 제 1 체결부(53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53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5302)는 제 2 체결부(53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53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5304a)는 제 2 체결 홀(53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5302d)는 하부 코어(5302b)와 상부 코어(53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53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53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06)는 코어(5302)와 보빈(5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53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5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5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53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53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53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10)는 제 1 절연부(53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3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53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5, LP10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5, LP10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5, LP10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3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5, LP10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06)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5, LP10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53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53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53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17)는 코어(5302)와 보빈(5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53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5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5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53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53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53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5314)는 보빈(53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314)는 보빈(53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5314)는 보빈(53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314)는 보빈(53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53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3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5316)는 보빈(53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316)는 보빈(53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53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3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300)는 코어(5302), 보빈(5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06), 제 1 절연부(5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310), 제 2 절연부(5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317), 제 4 절연부(53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300)는 평면 변압기(53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53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300)는 평면 변압기(53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8 실시예>
도 55는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6은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500)는 코어(5502), 보빈(5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06), 제 1 절연부(5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 제 2 절연부(5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17), 제 4 절연부(5519)등을 포함한다.
코어(5502)는 제 1 체결부(55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5504)은 제 1 체결부(5502a)에 의해 코어(55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5502)는 하부 코어(5502b)와 상부 코어(55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5502a)는 제 1 체결 돌기(5502a1, 55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5504)은 제 1 체결부(55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55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5502)는 제 2 체결부(55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55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5504a)는 제 2 체결 홀(55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5502d)는 하부 코어(5502b)와 상부 코어(55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55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55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06)는 코어(5502)와 보빈(5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55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5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5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55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55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55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는 제 1 절연부(55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5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55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0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55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55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55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17)는 코어(5502)와 보빈(5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55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5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0, LP111)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0, LP111)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0, LP111)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3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0, LP11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54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0, LP11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55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55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55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5514)는 보빈(55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514)는 보빈(55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5514)는 보빈(55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514)는 보빈(55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55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5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5516)는 보빈(55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516)는 보빈(55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55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5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500)는 코어(5502), 보빈(5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06), 제 1 절연부(5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510), 제 2 절연부(5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517), 제 4 절연부(55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500)는 평면 변압기(55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55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500)는 평면 변압기(55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9 실시예>
도 57은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8은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57 및 도 5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700)는 코어(5702), 보빈(5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06), 제 1 절연부(5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710), 제 2 절연부(5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17), 제 4 절연부(5719)등을 포함한다.
코어(5702)는 제 1 체결부(57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5704)은 제 1 체결부(5702a)에 의해 코어(57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5702)는 하부 코어(5702b)와 상부 코어(57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5702a)는 제 1 체결 돌기(5702a1, 57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5704)은 제 1 체결부(57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57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5702)는 제 2 체결부(57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57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5704a)는 제 2 체결 홀(57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5702d)는 하부 코어(5702b)와 상부 코어(57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57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57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06)는 코어(5702)와 보빈(5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57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5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2, LP113)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2, LP113)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2, LP113)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3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2, LP11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5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2, LP11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57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57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57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710)는 제 1 절연부(57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7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57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7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4, LP115)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4, LP115)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4, LP115)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3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4, LP11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4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4, LP11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7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57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7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7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57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57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17)는 코어(5702)와 보빈(5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57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5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5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57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57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57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5714)는 보빈(57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714)는 보빈(57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5714)는 보빈(57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714)는 보빈(57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57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7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5716)는 보빈(57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7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716)는 보빈(57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4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57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7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700)는 코어(5702), 보빈(5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06), 제 1 절연부(5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710), 제 2 절연부(5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717), 제 4 절연부(57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700)는 평면 변압기(57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57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700)는 평면 변압기(57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0 실시예>
도 59는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0은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59 및 도 6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900)는 코어(5902), 보빈(5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06), 제 1 절연부(5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 제 2 절연부(5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17), 제 4 절연부(5919)등을 포함한다.
코어(5902)는 제 1 체결부(59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5904)은 제 1 체결부(5902a)에 의해 코어(59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5902)는 하부 코어(5902b)와 상부 코어(59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5902a)는 제 1 체결 돌기(5902a1, 59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5904)은 제 1 체결부(59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59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5902)는 제 2 체결부(59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59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5904a)는 제 2 체결 홀(59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5902d)는 하부 코어(5902b)와 상부 코어(59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59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59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06)는 코어(5902)와 보빈(5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59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5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7, LP118)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7, LP118)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7, LP118)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3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7, LP11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56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7, LP11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59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59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59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는 제 1 절연부(59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9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59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1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59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59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59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17)는 코어(5902)와 보빈(5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59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5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0, LP121)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0, LP121)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0, LP121)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3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0, LP12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56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0, LP12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59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5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59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59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5914)는 보빈(59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914)는 보빈(59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5914)는 보빈(59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914)는 보빈(59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59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59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5916)는 보빈(59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916)는 보빈(59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59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59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900)는 코어(5902), 보빈(5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06), 제 1 절연부(5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5910), 제 2 절연부(5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5917), 제 4 절연부(59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900)는 평면 변압기(59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59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5900)는 평면 변압기(59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1 실시예>
도 61은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2는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61 및 도 6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100)는 코어(6102), 보빈(6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06), 제 1 절연부(6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 제 2 절연부(6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17), 제 4 절연부(6119)등을 포함한다.
코어(6102)는 제 1 체결부(61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6104)은 제 1 체결부(6102a)에 의해 코어(6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6102)는 하부 코어(6102b)와 상부 코어(6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6102a)는 제 1 체결 돌기(6102a1, 61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6104)은 제 1 체결부(61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6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6102)는 제 2 체결부(6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61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6104a)는 제 2 체결 홀(61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6102d)는 하부 코어(6102b)와 상부 코어(61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61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61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06)는 코어(6102)와 보빈(6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61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6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6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61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6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6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는 제 1 절연부(61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1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6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3, LP124)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3, LP124)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3, LP124)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4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3, LP12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3, LP12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61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6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6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17)는 코어(6102)와 보빈(6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61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6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5, LP12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5, LP12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5, LP12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4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5, LP12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58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5, LP12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61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61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61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6114)는 보빈(6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114)는 보빈(61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6114)는 보빈(61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114)는 보빈(61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61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1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6116)는 보빈(6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6116)는 보빈(61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61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61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100)는 코어(6102), 보빈(6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06), 제 1 절연부(6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110), 제 2 절연부(6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117), 제 4 절연부(61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100)는 평면 변압기(61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61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100)는 평면 변압기(61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2 실시예>
도 63은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4는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63 및 도 6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300)는 코어(6302), 보빈(6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06), 제 1 절연부(6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 제 2 절연부(6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17), 제 4 절연부(6319)등을 포함한다.
코어(6302)는 제 1 체결부(63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6304)은 제 1 체결부(6302a)에 의해 코어(63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6302)는 하부 코어(6302b)와 상부 코어(63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6302a)는 제 1 체결 돌기(6302a1, 63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체결 돌기(6302a1)는 하부 코어(6302b)에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체결 홈(6302a2)은 상부 코어(6302c)에 제공되어 제 1 체결 돌기(6302a1)와 체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보빈(6304)은 제 1 체결부(63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63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6302)는 제 2 체결부(63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63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6304a)는 제 2 체결 홀(63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6302d)는 하부 코어(6302b)와 상부 코어(63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63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63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06)는 코어(6302)와 보빈(6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63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6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7, LP128)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7, LP128)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7, LP128)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4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7, LP12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6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7, LP12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63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63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63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는 제 1 절연부(63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3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63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9, LP130)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9, LP130)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9, LP130)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4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9, LP13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29, LP13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63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63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63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17)는 코어(6302)와 보빈(6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63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6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1, LP132)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1, LP132)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1, LP132)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4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1, LP13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60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1, LP13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63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63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63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6314)는 보빈(63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314)는 보빈(63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6314)는 보빈(63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314)는 보빈(63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63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06) 또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3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6316)는 보빈(63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6316)는 보빈(63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63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63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300)는 코어(6302), 보빈(6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06), 제 1 절연부(6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310), 제 2 절연부(6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317), 제 4 절연부(63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300)는 평면 변압기(63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63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300)는 평면 변압기(63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3 실시예>
도 65는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6은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65 및 도 6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500)는 코어(6502), 보빈(6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06), 제 1 절연부(6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 제 2 절연부(6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17), 제 4 절연부(6519)등을 포함한다.
코어(6502)는 제 1 체결부(65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6504)은 제 1 체결부(6502a)에 의해 코어(65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6502)는 하부 코어(6502b)와 상부 코어(65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6502a)는 제 1 체결 돌기(6502a1, 65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6504)은 제 1 체결부(65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65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6502)는 제 2 체결부(65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65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6504a)는 제 2 체결 홀(65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6502d)는 하부 코어(6502b)와 상부 코어(65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65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65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는 코어(6502)와 보빈(6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65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65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65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65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65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06)는 제 1 절연부(65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5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65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6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65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65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65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17)는 코어(6502)와 보빈(6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65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6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6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65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17)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65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65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6514)는 보빈(65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514)는 보빈(65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6514)는 보빈(65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514)는 보빈(65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65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5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6516)는 보빈(65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6516)는 보빈(65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65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65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500)는 코어(6502), 보빈(6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06), 제 1 절연부(6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510), 제 2 절연부(6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517), 제 4 절연부(65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500)는 평면 변압기(65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65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500)는 평면 변압기(65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4 실시예>
도 67은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8은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67 및 도 6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700)는 코어(6702), 보빈(6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06), 제 1 절연부(6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 제 2 절연부(6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17), 제 4 절연부(6719)등을 포함한다.
코어(6702)는 제 1 체결부(67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6704)은 제 1 체결부(6702a)에 의해 코어(67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6702)는 하부 코어(6702b)와 상부 코어(67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6702a)는 제 1 체결 돌기(6702a1, 67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6704)은 제 1 체결부(67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67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6702)는 제 2 체결부(67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67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6704a)는 제 2 체결 홀(67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6702d)는 하부 코어(6702b)와 상부 코어(67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67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67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는 코어(6702)와 보빈(6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67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67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67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67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67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06)는 제 1 절연부(67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7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67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7, LP138)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7, LP138)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7, LP138)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4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7, LP13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6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7, LP13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67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67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67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17)는 코어(6702)와 보빈(6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67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6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6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3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67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17)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67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67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6714)는 보빈(67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714)는 보빈(67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6714)는 보빈(67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714)는 보빈(67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67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7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6716)는 보빈(67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6716)는 보빈(67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67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67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700)는 코어(6702), 보빈(6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06), 제 1 절연부(6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710), 제 2 절연부(6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717), 제 4 절연부(67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700)는 평면 변압기(67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67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700)는 평면 변압기(67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5 실시예>
도 69는 본 발명의 제 3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0은 본 발명의 제 3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69 및 도 7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900)는 코어(6902), 보빈(6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06), 제 1 절연부(6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 제 2 절연부(6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17), 제 4 절연부(6919)등을 포함한다.
코어(6902)는 제 1 체결부(69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6904)은 제 1 체결부(6902a)에 의해 코어(69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6902)는 하부 코어(6902b)와 상부 코어(69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6902a)는 제 1 체결 돌기(6902a1, 69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6904)은 제 1 체결부(69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69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6902)는 제 2 체결부(69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69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6904a)는 제 2 체결 홀(69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6902d)는 하부 코어(6902b)와 상부 코어(69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69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69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는 코어(6902)와 보빈(6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69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69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0, LP141)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0, LP141)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0, LP141)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4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0, LP14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0, LP14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69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69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69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06)는 제 1 절연부(69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9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69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6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69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69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69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17)는 코어(6902)와 보빈(6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69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6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6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69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17)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6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69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69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6914)는 보빈(69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914)는 보빈(69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6914)는 보빈(69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914)는 보빈(69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69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69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6916)는 보빈(69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6916)는 보빈(69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69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69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900)는 코어(6902), 보빈(6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06), 제 1 절연부(6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6910), 제 2 절연부(6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6917), 제 4 절연부(69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900)는 평면 변압기(69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69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6900)는 평면 변압기(69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6 실시예>
도 71은 본 발명의 제 3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2는 본 발명의 제 3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71 및 도 7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100)는 코어(7102), 보빈(7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06), 제 1 절연부(7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 제 2 절연부(7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17), 제 4 절연부(7119)등을 포함한다.
코어(7102)는 제 1 체결부(71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7104)은 제 1 체결부(7102a)에 의해 코어(7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7102)는 하부 코어(7102b)와 상부 코어(7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7102a)는 제 1 체결 돌기(7102a1, 71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7104)은 제 1 체결부(71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7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7102)는 제 2 체결부(7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71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7104a)는 제 2 체결 홀(71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7102d)는 하부 코어(7102b)와 상부 코어(71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71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71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는 코어(7102)와 보빈(711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711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71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71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7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7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06)는 제 1 절연부(71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1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7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7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71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7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7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17)는 코어(7102)와 보빈(7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71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7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6, LP147)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6, LP147)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6, LP147)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4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6, LP14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68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6, LP14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71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17)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71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71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7114)는 보빈(7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114)는 보빈(71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7114)는 보빈(71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114)는 보빈(71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71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1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7116)는 보빈(7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116)는 보빈(71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71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1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100)는 코어(7102), 보빈(7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06), 제 1 절연부(7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110), 제 2 절연부(7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117), 제 4 절연부(71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100)는 평면 변압기(71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71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100)는 평면 변압기(71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7 실시예>
도 73은 본 발명의 제 3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4는 본 발명의 제 3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73 및 도 7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300)는 코어(7302), 보빈(7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06), 제 1 절연부(7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 제 2 절연부(7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17), 제 4 절연부(7319)등을 포함한다.
코어(7302)는 제 1 체결부(73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7304)은 제 1 체결부(7302a)에 의해 코어(73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7302)는 하부 코어(7302b)와 상부 코어(73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7302a)는 제 1 체결 돌기(7302a1, 73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7304)은 제 1 체결부(73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73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7302)는 제 2 체결부(73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73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7304a)는 제 2 체결 홀(73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7302d)는 하부 코어(7302b)와 상부 코어(73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73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73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는 코어(7302)와 보빈(7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73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7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8, LP149)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8, LP149)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8, LP149)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4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8, LP14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48, LP14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73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73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73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06)는 제 1 절연부(73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3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73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0, LP151)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0, LP151)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0, LP151)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4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0, LP15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7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0, LP15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73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73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73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17)는 코어(7302)와 보빈(7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73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7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7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73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17)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73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73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7314)는 보빈(73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314)는 보빈(73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7314)는 보빈(73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314)는 보빈(73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73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3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7316)는 보빈(73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316)는 보빈(73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73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3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300)는 코어(7302), 보빈(7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06), 제 1 절연부(7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310), 제 2 절연부(7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317), 제 4 절연부(73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300)는 평면 변압기(73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73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300)는 평면 변압기(73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8 실시예>
도 75는 본 발명의 제 3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6은 본 발명의 제 3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75 및 도 7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500)는 코어(7502), 보빈(7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06), 제 1 절연부(7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 제 2 절연부(7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17), 제 4 절연부(7519)등을 포함한다.
코어(7502)는 제 1 체결부(75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7504)은 제 1 체결부(7502a)에 의해 코어(75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7502)는 하부 코어(7502b)와 상부 코어(75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7502a)는 제 1 체결 돌기(7502a1, 75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7504)은 제 1 체결부(75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75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7502)는 제 2 체결부(75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75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7504a)는 제 2 체결 홀(75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7502d)는 하부 코어(7502b)와 상부 코어(75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75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75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는 코어(7502)와 보빈(7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75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75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75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75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75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06)는 제 1 절연부(75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5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75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4, LP155)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4, LP155)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4, LP155)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5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4, LP15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72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4, LP15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75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75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75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17)는 코어(7502)와 보빈(7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75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7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6, LP157)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6, LP157)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6, LP157)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5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6, LP15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7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6, LP15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75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17)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75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75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7514)는 보빈(75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514)는 보빈(75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7514)는 보빈(75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514)는 보빈(75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75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5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7516)는 보빈(75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516)는 보빈(75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75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5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500)는 코어(7502), 보빈(7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06), 제 1 절연부(7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510), 제 2 절연부(7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517), 제 4 절연부(75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500)는 평면 변압기(75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75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500)는 평면 변압기(75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9 실시예>
도 77은 본 발명의 제 3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8은 본 발명의 제 3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77 및 도 7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700)는 코어(7702), 보빈(7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06), 제 1 절연부(7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 제 2 절연부(7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17), 제 4 절연부(7719)등을 포함한다.
코어(7702)는 제 1 체결부(77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7704)은 제 1 체결부(7702a)에 의해 코어(77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7702)는 하부 코어(7702b)와 상부 코어(77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7702a)는 제 1 체결 돌기(7702a1, 77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7704)은 제 1 체결부(77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77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7702)는 제 2 체결부(77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77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7704a)는 제 2 체결 홀(77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7702d)는 하부 코어(7702b)와 상부 코어(77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77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77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는 코어(7702)와 보빈(7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77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77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8, LP159)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8, LP159)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8, LP159)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5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8, LP15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58, LP15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77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77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77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06)는 제 1 절연부(77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7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77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7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77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77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77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17)는 코어(7702)와 보빈(7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77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7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1, LP162)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1, LP162)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1, LP162)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5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1, LP16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7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1, LP16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77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17)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77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77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7714)는 보빈(77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714)는 보빈(77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7714)는 보빈(77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714)는 보빈(77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77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7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7716)는 보빈(77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716)는 보빈(77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77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7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700)는 코어(7702), 보빈(7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06), 제 1 절연부(7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710), 제 2 절연부(7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717), 제 4 절연부(77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700)는 평면 변압기(77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77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700)는 평면 변압기(77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0 실시예>
도 79는 본 발명의 제 4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0은 본 발명의 제 4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79 및 도 8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900)는 코어(7902), 보빈(7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06), 제 1 절연부(7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 제 2 절연부(7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17), 제 4 절연부(7919)등을 포함한다.
코어(7902)는 제 1 체결부(79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7904)은 제 1 체결부(7902a)에 의해 코어(79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7902)는 하부 코어(7902b)와 상부 코어(79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7902a)는 제 1 체결 돌기(7902a1, 79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7904)은 제 1 체결부(79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79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7902)는 제 2 체결부(79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79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7904a)는 제 2 체결 홀(79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7902d)는 하부 코어(7902b)와 상부 코어(79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79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79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는 코어(7902)와 보빈(7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79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7902a)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3, LP164)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3, LP164)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3, LP164)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5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3, LP16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3, LP16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7908)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79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79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06)는 제 1 절연부(7908)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9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79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5, LP16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5, LP16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5, LP16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5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5, LP16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7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5, LP16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7912)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06)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79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79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17)는 코어(7902)와 보빈(7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79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7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7, LP168)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7, LP168)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7, LP168)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5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7, LP16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7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7, LP16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79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17)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7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79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79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7914)는 보빈(79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914)는 보빈(79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7914)는 보빈(79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914)는 보빈(79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79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79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7916)는 보빈(79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916)는 보빈(79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79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79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900)는 코어(7902), 보빈(7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06), 제 1 절연부(7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7910), 제 2 절연부(7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7917), 제 4 절연부(79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900)는 평면 변압기(79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79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7900)는 평면 변압기(79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1 실시예>
도 81은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2는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81 및 도 8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100)는 코어(8102), 보빈(8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06), 제 1 절연부(8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 제 2 절연부(8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 제 3 절연부(81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17), 제 4 절연부(8119)등을 포함한다.
코어(8102)는 제 1 체결부(81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8104)은 제 1 체결부(8102a)에 의해 코어(8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8102)는 하부 코어(8102b)와 상부 코어(8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8102a)는 제 1 체결 돌기(8102a1, 81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8104)은 제 1 체결부(81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8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8102)는 제 2 체결부(8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81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8104a)는 제 2 체결 홀(81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8102d)는 하부 코어(8102b)와 상부 코어(81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81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81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06)는 코어(8102)와 보빈(8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81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8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8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6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81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8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8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는 제 1 절연부(81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1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8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81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8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8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는 코어(8102)와 보빈(8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81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8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81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81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81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17)는 제 3 절연부(81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1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81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8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81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81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81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8114)는 보빈(8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114)는 보빈(81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8114)는 보빈(81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114)는 보빈(81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81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1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8116)는 보빈(8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116)는 보빈(81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8116)는 보빈(81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116)는 보빈(81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81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1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100)는 코어(8102), 보빈(8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06), 제 1 절연부(8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0), 제 2 절연부(8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113), 제 3 절연부(81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117), 제 4 절연부(81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100)는 평면 변압기(81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81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100)는 평면 변압기(81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2 실시예>
도 83은 본 발명의 제 4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4는 본 발명의 제 4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83 및 도 8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300)는 코어(8302), 보빈(8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06), 제 1 절연부(8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 제 2 절연부(8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 제 3 절연부(83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17), 제 4 절연부(8319)등을 포함한다.
코어(8302)는 제 1 체결부(83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8304)은 제 1 체결부(8302a)에 의해 코어(83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8302)는 하부 코어(8302b)와 상부 코어(83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8302a)는 제 1 체결 돌기(8302a1, 83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8304)은 제 1 체결부(83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83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8302)는 제 2 체결부(83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83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8304a)는 제 2 체결 홀(83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8302d)는 하부 코어(8302b)와 상부 코어(83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83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83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06)는 코어(8302)와 보빈(8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83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8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3, LP174)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3, LP174)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3, LP174)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5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3, LP17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8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3, LP17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83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83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83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는 제 1 절연부(83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3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83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83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83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83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는 코어(8302)와 보빈(8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83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8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83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83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83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17)는 제 3 절연부(83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3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83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8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83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83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83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8314)는 보빈(83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314)는 보빈(83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8314)는 보빈(83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314)는 보빈(83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83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3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8316)는 보빈(83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316)는 보빈(83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8316)는 보빈(83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316)는 보빈(83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83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3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300)는 코어(8302), 보빈(8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06), 제 1 절연부(8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0), 제 2 절연부(8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313), 제 3 절연부(83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317), 제 4 절연부(83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300)는 평면 변압기(83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83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300)는 평면 변압기(83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3 실시예>
도 85는 본 발명의 제 4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6은 본 발명의 제 4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85 및 도 8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500)는 코어(8502), 보빈(8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6), 제 1 절연부(8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 제 2 절연부(8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 제 3 절연부(85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17), 제 4 절연부(8519)등을 포함한다.
코어(8502)는 제 1 체결부(85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8504)은 제 1 체결부(8502a)에 의해 코어(85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8502)는 하부 코어(8502b)와 상부 코어(85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8502a)는 제 1 체결 돌기(8502a1, 85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8504)은 제 1 체결부(85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85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8502)는 제 2 체결부(85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85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8504a)는 제 2 체결 홀(85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8502d)는 하부 코어(8502b)와 상부 코어(85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85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85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6)는 코어(8502)와 보빈(8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85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8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8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85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85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85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는 제 1 절연부(80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5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85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9, LP180)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9, LP180)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9, LP180)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5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9, LP18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79, LP18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85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85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85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는 코어(8502)와 보빈(8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85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8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85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85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85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17)는 제 3 절연부(85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5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85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8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85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85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85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8514)는 보빈(85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514)는 보빈(85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8514)는 보빈(85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514)는 보빈(85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85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5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8516)는 보빈(85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516)는 보빈(85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8516)는 보빈(85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516)는 보빈(85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85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5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500)는 코어(8502), 보빈(8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06), 제 1 절연부(8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0), 제 2 절연부(8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513), 제 3 절연부(85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517), 제 4 절연부(85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500)는 평면 변압기(85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85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500)는 평면 변압기(85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4 실시예>
도 87은 본 발명의 제 4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8은 본 발명의 제 4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87 및 도 8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700)는 코어(8702), 보빈(8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06), 제 1 절연부(8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 제 2 절연부(8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 제 3 절연부(87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17), 제 4 절연부(8719)등을 포함한다.
코어(8702)는 제 1 체결부(87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8704)은 제 1 체결부(8702a)에 의해 코어(87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8702)는 하부 코어(8702b)와 상부 코어(87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8702a)는 제 1 체결 돌기(8702a1, 87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8704)은 제 1 체결부(87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87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8702)는 제 2 체결부(87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87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8704a)는 제 2 체결 홀(87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8702d)는 하부 코어(8702b)와 상부 코어(87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87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87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06)는 코어(8702)와 보빈(8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87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8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8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87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87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87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는 제 1 절연부(87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7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87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87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87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87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는 코어(8702)와 보빈(8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87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8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87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87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87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17)는 제 3 절연부(87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7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87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6, LP187)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6, LP187)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6, LP187)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5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6, LP18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8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6, LP18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87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87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87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8714)는 보빈(87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714)는 보빈(87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8714)는 보빈(87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714)는 보빈(87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87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7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8716)는 보빈(87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716)는 보빈(87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8716)는 보빈(87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716)는 보빈(87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87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7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700)는 코어(8702), 보빈(8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06), 제 1 절연부(8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0), 제 2 절연부(8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713), 제 3 절연부(87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717), 제 4 절연부(87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700)는 평면 변압기(87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87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700)는 평면 변압기(87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5 실시예>
도 89는 본 발명의 제 4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0은 본 발명의 제 4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89 및 도 90을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900)는 코어(8902), 보빈(8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06), 제 1 절연부(8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 제 2 절연부(8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 제 3 절연부(89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17), 제 4 절연부(8919)등을 포함한다.
코어(8902)는 제 1 체결부(89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8904)은 제 1 체결부(8902a)에 의해 코어(89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8902)는 하부 코어(8902b)와 상부 코어(89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8902a)는 제 1 체결 돌기(8902a1, 89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8904)은 제 1 체결부(89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89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8902)는 제 2 체결부(89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89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8904a)는 제 2 체결 홀(89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8902d)는 하부 코어(8902b)와 상부 코어(89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89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89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06)는 코어(8902)와 보빈(8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89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8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8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89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89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89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는 제 1 절연부(89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9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89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8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89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89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89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는 코어(8902)와 보빈(8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89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8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0, LP191)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0, LP191)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0, LP191)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6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0, LP19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0, LP19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89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89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89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17)는 제 3 절연부(89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9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89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8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89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8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89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89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8914)는 보빈(89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914)는 보빈(89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8914)는 보빈(89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914)는 보빈(896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89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89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8916)는 보빈(89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916)는 보빈(89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8916)는 보빈(89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916)는 보빈(89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89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89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900)는 코어(8902), 보빈(8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06), 제 1 절연부(8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0), 제 2 절연부(8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8913), 제 3 절연부(89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8917), 제 4 절연부(89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900)는 평면 변압기(89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89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8900)는 평면 변압기(89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6 실시예>
도 91은 본 발명의 제 4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2는 본 발명의 제 4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91 및 도 9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100)는 코어(9102), 보빈(9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06), 제 1 절연부(9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 제 2 절연부(9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 제 3 절연부(91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17), 제 4 절연부(9119)등을 포함한다.
코어(9102)는 제 1 체결부(91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9104)은 제 1 체결부(9102a)에 의해 코어(9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9102)는 하부 코어(9102b)와 상부 코어(9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9102a)는 제 1 체결 돌기(9102a1, 91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9104)은 제 1 체결부(91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9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9102)는 제 2 체결부(9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91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9104a)는 제 2 체결 홀(91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9102d)는 하부 코어(9102b)와 상부 코어(91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91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76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06)는 코어(9102)와 보빈(9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91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9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3, LP194)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3, LP194)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3, LP194)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6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3, LP19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9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3, LP19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91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9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9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는 제 1 절연부(91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1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9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5, LP19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5, LP19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5, LP19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6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5, LP19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5, LP19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91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9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9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는 코어(9102)와 보빈(9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91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9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91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91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91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17)는 제 3 절연부(91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1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91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9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91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91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91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9114)는 보빈(9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114)는 보빈(91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9114)는 보빈(91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114)는 보빈(91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91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1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9116)는 보빈(9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116)는 보빈(91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9116)는 보빈(91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116)는 보빈(91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91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1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100)는 코어(9102), 보빈(9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06), 제 1 절연부(9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0), 제 2 절연부(9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113), 제 3 절연부(91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117), 제 4 절연부(91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100)는 평면 변압기(91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91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100)는 평면 변압기(91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7 실시예>
도 93은 본 발명의 제 4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4는 본 발명의 제 4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93 및 도 9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300)는 코어(9302), 보빈(9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06), 제 1 절연부(9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 제 2 절연부(9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 제 3 절연부(93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17), 제 4 절연부(9319)등을 포함한다.
코어(9302)는 제 1 체결부(93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9304)은 제 1 체결부(9302a)에 의해 코어(93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9302)는 하부 코어(9302b)와 상부 코어(93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9302a)는 제 1 체결 돌기(9302a1, 93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9304)은 제 1 체결부(93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93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9302)는 제 2 체결부(93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93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9304a)는 제 2 체결 홀(93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9302d)는 하부 코어(9302b)와 상부 코어(93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93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93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06)는 코어(9302)와 보빈(9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93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9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9, LP200)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9, LP200)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9, LP200)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6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9, LP20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9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99, LP20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93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93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93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는 제 1 절연부(93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3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93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93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93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93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는 코어(9302)와 보빈(9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93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9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93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93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93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17)는 제 3 절연부(93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3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93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3, LP204)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3, LP204)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3, LP204)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6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3, LP20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9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3, LP20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93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93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93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9314)는 보빈(93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314)는 보빈(93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9314)는 보빈(93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314)는 보빈(93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93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3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9316)는 보빈(93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316)는 보빈(93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9316)는 보빈(93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316)는 보빈(93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93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3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300)는 코어(9302), 보빈(9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06), 제 1 절연부(9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0), 제 2 절연부(9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313), 제 3 절연부(93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317), 제 4 절연부(93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300)는 평면 변압기(93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93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300)는 평면 변압기(93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8 실시예>
도 95는 본 발명의 제 4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6은 본 발명의 제 4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95 및 도 9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500)는 코어(9502), 보빈(9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06), 제 1 절연부(9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 제 2 절연부(9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 제 3 절연부(95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17), 제 4 절연부(9519)등을 포함한다.
코어(9502)는 제 1 체결부(95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9504)은 제 1 체결부(9502a)에 의해 코어(95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9502)는 하부 코어(9502b)와 상부 코어(95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9502a)는 제 1 체결 돌기(9502a1, 95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9504)은 제 1 체결부(95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95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9502)는 제 2 체결부(95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95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9504a)는 제 2 체결 홀(95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9502d)는 하부 코어(9502b)와 상부 코어(95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95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95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06)는 코어(9502)와 보빈(9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95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9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5, LP20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5, LP20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5, LP20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6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5, LP20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9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5, LP20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95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95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95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는 제 1 절연부(95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5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95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95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95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95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는 코어(9502)와 보빈(9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95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9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8, LP209)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8, LP209)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8, LP209)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6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8, LP20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08, LP20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95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95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95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17)는 제 3 절연부(95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5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95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9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95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95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95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9514)는 보빈(95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514)는 보빈(9504)의 일측 끝단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9514)는 보빈(95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514)는 보빈(95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95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5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9516)는 보빈(95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516)는 보빈(95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9516)는 보빈(95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516)는 보빈(95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95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5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500)는 코어(9502), 보빈(9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06), 제 1 절연부(9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0), 제 2 절연부(9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513), 제 3 절연부(95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517), 제 4 절연부(95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500)는 평면 변압기(95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95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500)는 평면 변압기(95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9 실시예>
도 97은 본 발명의 제 4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8은 본 발명의 제 4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97 및 도 9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700)는 코어(9702), 보빈(9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06), 제 1 절연부(9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 제 2 절연부(9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 제 3 절연부(97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17), 제 4 절연부(9719)등을 포함한다.
코어(9702)는 제 1 체결부(97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9704)은 제 1 체결부(9702a)에 의해 코어(97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9702)는 하부 코어(9702b)와 상부 코어(97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9702a)는 제 1 체결 돌기(9702a1, 97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9704)은 제 1 체결부(97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97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9702)는 제 2 체결부(97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97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9704a)는 제 2 체결 홀(97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9702d)는 하부 코어(9702b)와 상부 코어(97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97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97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06)는 코어(9702)와 보빈(9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97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9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9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97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97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97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는 제 1 절연부(97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7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97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2, LP213)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2, LP213)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2, LP213)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6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2, LP21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2, LP21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97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97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97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는 코어(9702)와 보빈(9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97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9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97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97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97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17)는 제 3 절연부(97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7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97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5, LP21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5, LP121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5, LP21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6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5, LP21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9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5, LP21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97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97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97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9714)는 보빈(97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714)는 보빈(97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9714)는 보빈(97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714)는 보빈(97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97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7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9716)는 보빈(97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716)는 보빈(97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9716)는 보빈(97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716)는 보빈(97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97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7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700)는 코어(9702), 보빈(9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06), 제 1 절연부(9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0), 제 2 절연부(9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713), 제 3 절연부(97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717), 제 4 절연부(97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700)는 평면 변압기(97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97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700)는 평면 변압기(97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50 실시예>
도 99는 본 발명의 제 5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0은 본 발명의 제 5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99 및 도 10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0 실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900)는 코어(9902), 보빈(9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06), 제 1 절연부(9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 제 2 절연부(9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 제 3 절연부(99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17), 제 4 절연부(9919)등을 포함한다.
코어(9902)는 제 1 체결부(99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9904)은 제 1 체결부(9902a)에 의해 코어(99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9902)는 하부 코어(9902b)와 상부 코어(99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9902a)는 제 1 체결 돌기(9902a1, 99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9904)은 제 1 체결부(99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99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9902)는 제 2 체결부(99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99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9904a)는 제 2 체결 홀(99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9902d)는 하부 코어(9902b)와 상부 코어(99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99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99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06)는 코어(9902)와 보빈(9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99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9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9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99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99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99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는 제 1 절연부(99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9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99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8, LP219)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8, LP219)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8, LP219)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6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8, LP21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18, LP21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99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99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99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는 코어(9902)와 보빈(9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99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9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1, LP222)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1, LP222)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1, LP222)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7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1, LP22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1, LP22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99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99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99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17)는 제 3 절연부(99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9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99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9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99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9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99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99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9914)는 보빈(99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914)는 보빈(99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9914)는 보빈(99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914)는 보빈(99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99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99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9916)는 보빈(99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916)는 보빈(99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9916)는 보빈(99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916)는 보빈(99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99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99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900)는 코어(9902), 보빈(9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06), 제 1 절연부(9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0), 제 2 절연부(9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9913), 제 3 절연부(99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9917), 제 4 절연부(99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900)는 평면 변압기(99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99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0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9900)는 평면 변압기(99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51 실시예>
도 101은 본 발명의 제 5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2는 본 발명의 제 5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101 및 도 10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100)는 코어(10102), 보빈(10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06), 제 1 절연부(10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 제 2 절연부(10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3), 제 3 절연부(101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17), 제 4 절연부(10119)등을 포함한다.
코어(10102)는 제 1 체결부(101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0104)은 제 1 체결부(10102a)에 의해 코어(10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10102)는 하부 코어(10102b)와 상부 코어(10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0102a)는 제 1 체결 돌기(10102a1, 101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10104)은 제 1 체결부(101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01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10102)는 제 2 체결부(10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01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10104a)는 제 2 체결 홀(101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10102d)는 하부 코어(10102b)와 상부 코어(101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101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101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06)는 코어(10102)와 보빈(10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1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0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101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0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10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는 제 1 절연부(101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1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0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5)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101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0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10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3)는 코어(10102)와 보빈(10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1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1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6, LP227)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6, LP227)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6, LP227)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7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6, LP227)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6, LP227)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101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101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101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17)는 제 3 절연부(101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1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101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87, LP229)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8, LP229)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8, LP229)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7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8, LP229)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01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28, LP229)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101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1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101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101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10114)는 보빈(10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114)는 보빈(101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0114)는 보빈(101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114)는 보빈(101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01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1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10116)는 보빈(10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116)는 보빈(101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0116)는 보빈(101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6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116)는 보빈(101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01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1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100)는 코어(10102), 보빈(10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06), 제 1 절연부(10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0), 제 2 절연부(101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113), 제 3 절연부(101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117), 제 4 절연부(101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100)는 평면 변압기(101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101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100)는 평면 변압기(101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52 실시예>
도 103은 본 발명의 제 5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4는 본 발명의 제 5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103 및 도 10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300)는 코어(10302), 보빈(10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06), 제 1 절연부(10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0), 제 2 절연부(10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 제 3 절연부(103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17), 제 4 절연부(10319)등을 포함한다.
코어(10302)는 제 1 체결부(103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0304)은 제 1 체결부(10302a)에 의해 코어(103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10302)는 하부 코어(10302b)와 상부 코어(103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0302a)는 제 1 체결 돌기(10302a1, 103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10304)은 제 1 체결부(103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03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10302)는 제 2 체결부(103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03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10304a)는 제 2 체결 홀(103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10302d)는 하부 코어(10302b)와 상부 코어(103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103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76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06)는 코어(10302)와 보빈(10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3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0, LP231)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0, LP231)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0, LP231)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7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0, LP23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0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0, LP23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103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03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103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0)는 제 1 절연부(103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3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03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2, LP233)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2, LP233)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2, LP233)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7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2, LP23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2, LP23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103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03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103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는 코어(10302)와 보빈(103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3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3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103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103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103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17)는 제 3 절연부(103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3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103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5, LP23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5, LP23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5, LP23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7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5, LP23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03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4, LP235)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103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3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103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103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10314)는 보빈(103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314)는 보빈(103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0314)는 보빈(103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314)는 보빈(103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03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3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10316)는 보빈(103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316)는 보빈(103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6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0316)는 보빈(103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316)는 보빈(103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03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3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300)는 코어(10302), 보빈(103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06), 제 1 절연부(103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0), 제 2 절연부(103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313), 제 3 절연부(103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317), 제 4 절연부(1036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300)는 평면 변압기(103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103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300)는 평면 변압기(103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53 실시예>
도 105는 본 발명의 제 5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6은 본 발명의 제 5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105 및 도 10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500)는 코어(10502), 보빈(10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06), 제 1 절연부(10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 제 2 절연부(10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 제 3 절연부(105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17), 제 4 절연부(10519)등을 포함한다.
코어(10502)는 제 1 체결부(105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0504)은 제 1 체결부(10502a)에 의해 코어(105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10502)는 하부 코어(10502b)와 상부 코어(105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0502a)는 제 1 체결 돌기(10502a1, 105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10504)은 제 1 체결부(105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05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10502)는 제 2 체결부(105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05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10504a)는 제 2 체결 홀(105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10502d)는 하부 코어(10502b)와 상부 코어(105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105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105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06)는 코어(10502)와 보빈(10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5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7, LP238)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7, LP238)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7, LP238)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76)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7, LP23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0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7, LP23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105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05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105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는 제 1 절연부(105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5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05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9, LP240)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9, LP240)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9, LP240)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77)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9, LP24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39, LP24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105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05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105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는 코어(10502)와 보빈(105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5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5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1, LP242)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1, LP242)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1, LP242)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78)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1, LP24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1, LP24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105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105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105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17)는 제 3 절연부(105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5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105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05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105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5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105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105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10514)는 보빈(105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514)는 보빈(105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0514)는 보빈(105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514)는 보빈(105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05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5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10516)는 보빈(105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516)는 보빈(105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0516)는 보빈(105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516)는 보빈(105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05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5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500)는 코어(10502), 보빈(105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06), 제 1 절연부(105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0), 제 2 절연부(105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513), 제 3 절연부(105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517), 제 4 절연부(105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500)는 평면 변압기(105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105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500)는 평면 변압기(105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54 실시예>
도 107은 본 발명의 제 5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8은 본 발명의 제 5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107 및 도 10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700)는 코어(10702), 보빈(10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06), 제 1 절연부(10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 제 2 절연부(10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 제 3 절연부(107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17), 제 4 절연부(10719)등을 포함한다.
코어(10702)는 제 1 체결부(107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0704)은 제 1 체결부(10702a)에 의해 코어(107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10702)는 하부 코어(10702b)와 상부 코어(107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0702a)는 제 1 체결 돌기(10702a1, 107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10704)은 제 1 체결부(107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07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10702)는 제 2 체결부(107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07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10704a)는 제 2 체결 홀(107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10702d)는 하부 코어(10702b)와 상부 코어(107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107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107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06)는 코어(10702)와 보빈(10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7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0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107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07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107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는 제 1 절연부(107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7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07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5, LP24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5, LP24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5, LP24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79)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5, LP24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5, LP24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107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07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107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는 코어(10702)와 보빈(107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7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7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7, LP248)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7, LP248)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7, LP248)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80)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7, LP24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7, LP24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107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107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107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17)는 제 3 절연부(107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7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107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9, LP250)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9, LP250)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9, LP250)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81)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9, LP250)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07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49, LP250)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107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7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107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107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10714)는 보빈(107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714)는 보빈(107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0714)는 보빈(107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714)는 보빈(107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07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7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10716)는 보빈(107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716)는 보빈(107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0716)는 보빈(107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716)는 보빈(107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07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7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700)는 코어(10702), 보빈(107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06), 제 1 절연부(107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0), 제 2 절연부(107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713), 제 3 절연부(107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717), 제 4 절연부(107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700)는 평면 변압기(107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107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700)는 평면 변압기(107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55 실시예>
도 109는 본 발명의 제 5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0은 본 발명의 제 5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109 및 도 1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900)는 코어(10902), 보빈(10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06), 제 1 절연부(10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 제 2 절연부(10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3), 제 3 절연부(109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17), 제 4 절연부(10919)등을 포함한다.
코어(10902)는 제 1 체결부(10902a)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0904)은 제 1 체결부(10902a)에 의해 코어(109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코어(10902)는 하부 코어(10902b)와 상부 코어(109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0902a)는 제 1 체결 돌기(10902a1, 10902a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보빈(10904)은 제 1 체결부(10902a)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0904a)를 포함할 수가 있고, 코어(10902)는 제 2 체결부(109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0902d)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체결부(10904a)는 제 2 체결 홀(10904a)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체결부(10902d)는 하부 코어(10902b)와 상부 코어(10902c)에 제공되어 제 2 체결 홀(10904a)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10902d)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06)는 코어(10902)와 보빈(10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9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06)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1, LP252)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1, LP252)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1, LP252)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8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1, LP25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0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1, LP25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절연부(109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09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절연부(109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는 제 1 절연부(109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902a)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09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3, LP254)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3, LP254)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3, LP254)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8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3, LP25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3, LP25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절연부(109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09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절연부(109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3)는 코어(10902)와 보빈(109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904)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902a)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5, LP256)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5, LP256)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5, LP256)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IP84)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5, LP256)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5, LP256)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3 절연부(109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3)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3 절연부(109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3 절연부(109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17)는 제 3 절연부(10915)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902a)와 체결되며 제 3 절연부(10915)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17)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7, LP258)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7, LP258)의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7, LP258)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IP85)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7, LP258)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전원 신호 공급부(1091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57, LP258)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4 절연부(109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17)의 하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902a)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4 절연부(109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가 있고, 제 4 절연부(109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공급부(10914)는 보빈(109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914)는 보빈(10904)의 일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06)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0914)는 보빈(109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914)는 보빈(10904)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17)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공급부(10914)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06)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공급부(10914)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전원 신호 출력부(10916)는 보빈(109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916)는 보빈(10904)의 타측 끝단 및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0916)는 보빈(109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916)는 보빈(10904)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3)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 출력부(10916)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 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76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전원 신호 출력부(10916)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900)는 코어(10902), 보빈(109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06), 제 1 절연부(109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0), 제 2 절연부(109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0913), 제 3 절연부(10915),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917), 제 4 절연부(10919)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900)는 평면 변압기(10900)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평면 변압기(1090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900)는 평면 변압기(10900)의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 변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상기 제 1 체결부에 의해 상기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보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상기 제 1 절연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와;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보빈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 및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3 절연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44.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상기 제 1 체결부에 의해 상기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보빈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을 포함하며,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상기 제 1 절연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와;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보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 및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3 절연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45.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상기 제 1 체결부에 의해 상기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보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상기 제 1 절연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와;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보빈의 하부에 제공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 및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4 절연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46.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상기 제 1 체결부에 의해 상기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보빈의 하부에 제공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변압된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상기 제 1 절연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을 포함하며,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와;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보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 및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4 절연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47.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상기 제 1 체결부에 의해 상기 코어와 체결되는 보빈과;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보빈의 상부에 제공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부와;
    상기 제 1 절연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 1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부와;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보빈의 하부에 제공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3 절연부와;
    상기 제 3 절연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 3 절연부에 의해 절연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 및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를 절연시키는 제 4 절연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48. 제 43항 내지 제 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제 1 체결부와 이격된 제 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상기 제 2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상기 제 3 체결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49. 삭제
  50. 삭제
  51. 제 43항 내지 제 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제 43항 내지 제 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제 43항 또는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제 45항 또는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77. 삭제
  78. 삭제
  79. 제 43항 내지 제 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로 공급하는 전원 신호 공급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80. 제 7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공급부는 상기 보빈의 일측 끝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면 변압기.
  81. 삭제
  82. 제 7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공급부는 터미널 단자인 평면 변압기.
  83. 제 45항 또는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신호를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로 공급하는 전원 신호 공급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84. 제 8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공급부는 상기 보빈의 다른 일측 끝단 및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면 변압기.
  85. 삭제
  86. 제 8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공급부는 터미널 단자인 평면 변압기.
  87. 제 43항 내지 제 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타측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88. 제 8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출력부는 상기 보빈의 타측 끝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면 변압기.
  89. 삭제
  90. 제 8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출력부는 터미널 단자인 평면 변압기.
  91. 제 43항 또는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92. 제 9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출력부는 상기 보빈의 다른 타측 끝단 및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면 변압기.
  93. 삭제
  94. 제 9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출력부는 터미널 단자인 평면 변압기.
  95.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다른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신호를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로 공급하는 전원 신호 공급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96. 제 9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공급부는 상기 보빈의 다른 일측 끝단과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면 변압기.
  97. 삭제
  98. 제 9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공급부는 터미널 단자인 평면 변압기.
  99.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다른 타측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100. 제 9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공급부는 상기 보빈의 다른 타측 끝단과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면 변압기.
  101. 삭제
  102. 제 9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 출력부는 터미널 단자인 평면 변압기.
  103. 제 43항 내지 제 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104. 제 43항 내지 제 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부는 절연 시트인 평면 변압기.
  105. 제 43항 내지 제 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106. 제 43항 내지 제 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부는 절연 시트인 평면 변압기.
  107. 제 43항 또는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연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108. 제 43항 또는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연부는 절연 시트인 평면 변압기.
  109. 제 45항 또는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절연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110. 제 45항 또는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절연부는 절연 시트인 평면 변압기.
  111.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연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112.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연부는 절연 시트인 평면 변압기.
  113.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절연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된 평면 변압기.
  114.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절연부는 절연 시트인 평면 변압기.
  115. 제 43항 내지 제 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하부 코어와 상부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하부 코어와 상기 상부 코어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 제 1 체결 돌기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116.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하부 코어와 상부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부는 제 2 체결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체결부는 상기 하부 코어와 상기 상부 코어에 제공되어 상기 제 2 체결 홀과 체결되도록 제 3 체결 돌기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KR1020100058528A 2010-06-21 2010-06-21 평면 변압기 KR101105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528A KR101105572B1 (ko) 2010-06-21 2010-06-21 평면 변압기
EP11798308.0A EP2583288B1 (en) 2010-06-21 2011-04-18 Planar transformer
PCT/KR2011/002751 WO2011162473A2 (en) 2010-06-21 2011-04-18 Planar transformer
CN201180040581.6A CN103081044B (zh) 2010-06-21 2011-04-18 平面变压器
US13/806,483 US8947190B2 (en) 2010-06-21 2011-04-18 Planar transformer
TW100113517A TWI471877B (zh) 2010-06-21 2011-04-19 平面變壓器
US14/575,460 US9401243B2 (en) 2010-06-21 2014-12-18 Planar transfor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528A KR101105572B1 (ko) 2010-06-21 2010-06-21 평면 변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044A Division KR101174005B1 (ko) 2011-09-26 2011-09-26 평면 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576A KR20110138576A (ko) 2011-12-28
KR101105572B1 true KR101105572B1 (ko) 2012-01-17

Family

ID=4537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528A KR101105572B1 (ko) 2010-06-21 2010-06-21 평면 변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47190B2 (ko)
EP (1) EP2583288B1 (ko)
KR (1) KR101105572B1 (ko)
CN (1) CN103081044B (ko)
TW (1) TWI471877B (ko)
WO (1) WO20111624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393B1 (ko) * 2013-03-13 2014-0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변압기 모듈
US10312012B2 (en) * 2013-08-29 2019-06-04 Solum Co., Ltd.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DE202014105168U1 (de) 2013-11-26 2014-11-13 Wen-Hsiang Wu Li Planarwicklungsmodul und Planartransformator, der dieses verwendet
DE202014105164U1 (de) 2013-12-31 2014-11-11 Wen-Hsiang Wu Li Modularisierte Planarwindung und Planartransformator, der diese verwendet
DE202014105167U1 (de) 2013-12-31 2014-11-13 Wen-Hsiang Wu Li Modularisierte Planarwindungslage und Planartransformator, der diese verwendet
KR101475677B1 (ko) * 2014-09-11 2014-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1639594B1 (ko) 2015-01-15 2016-07-25 (주)코러싱 적층체를 이용한 트랜스포머용 코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062496B2 (en) 2015-02-26 2018-08-28 Lear Corporation Planar transformer
KR101664092B1 (ko) 2015-05-21 2016-10-14 (주)코러싱 코일 조립형 트랜스포머
US10510477B2 (en) 2016-01-08 2019-12-1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lanar transformer with multilayer circuit board
JP6798434B2 (ja) * 2017-06-29 2020-12-09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KR101913172B1 (ko) * 2017-07-21 2018-11-01 주식회사 솔루엠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2169820B1 (ko) * 2018-01-30 2020-10-26 엘에스일렉트릭(주) 복층 인쇄회로기판 구조의 영상 변류기
KR102174306B1 (ko) * 2018-10-10 2020-11-04 이주열 성능 개선을 위한 절연 구조가 적용된 평면 트랜스포머
CN115985640A (zh) * 2023-03-20 2023-04-18 深圳市斯比特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平板变压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0929A (ja) * 1991-09-30 1993-04-09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
US5359313A (en) * 1991-12-10 1994-10-25 Toko, Inc. Step-up transformer
JPH07235426A (ja) * 1994-02-25 1995-09-05 Fuji Electric Co Ltd 電源トランス
KR20100023608A (ko) * 2008-08-22 2010-03-04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맞춤형 트랜스포머 및 인덕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5310A (en) * 1979-02-07 1980-08-12 Toshiba Electric Equip Corp High tension transformer
JPH03283404A (ja) * 1990-03-29 1991-12-13 Tabuchi Denki Kk シートコイル接続用端子台を備えた積層コイル装置
US5010314A (en) * 1990-03-30 1991-04-23 Multisource Technology Corp. Low-profile planar transformer for use in off-line switching power supplies
JP2571825Y2 (ja) * 1992-05-08 1998-05-20 株式会社トーキン 偏平トランス
JPH0613247A (ja) * 1992-06-26 1994-01-21 Fujitsu Ltd プレーナトランス用巻線
US5463303A (en) * 1993-11-02 1995-10-31 Hughes Aircraft Company Multilayer separate windings of inductive charge coupler for automobile battery charging transformer
US5684445A (en) * 1994-02-25 1997-11-04 Fuji Electric Co., Ltd. Power transformer
ATE176357T1 (de) 1996-07-17 1999-02-15 Magnetek Spa Flache magnetische anordnung für elektronische schaltungen
JP2000260639A (ja) * 1999-03-11 2000-09-22 Murata Mfg Co Ltd コイル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278353B1 (en) * 1999-11-16 2001-08-21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Planar magnetics with integrated cooling
US6522233B1 (en) * 2001-10-09 2003-02-18 Tdk Corporation Coil apparatus
ES2197830B1 (es) * 2002-06-26 2005-01-01 Premo, S.A.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transformadores planares y transformador planar fabricado de acuerdo con el mismo.
US7180397B1 (en) * 2004-02-20 2007-02-20 Tyco Electronics Power Systems, Inc. Printed wiring board having edge plating interconnects
WO2005086187A1 (ja) * 2004-03-09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トランス
US7460002B2 (en) * 2005-06-09 2008-12-02 Alexander Estrov Terminal system for planar magnetics assembly
US7372353B2 (en) * 2005-08-29 2008-05-13 Taiwan Thick-Film Ind. Corp. Inverse phase converter
US7439838B2 (en) * 2005-09-09 2008-10-21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s and winding units thereof
JP2007157956A (ja) * 2005-12-05 2007-06-21 Tamura Seisakusho Co Ltd スイッチングトランス
US7956714B2 (en) * 2005-12-16 2011-06-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igh voltage transformer
TW200820278A (en) * 2006-10-16 2008-05-01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JP5081063B2 (ja) * 2008-05-22 2012-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複合型変圧器、および電力変換回路
KR101105536B1 (ko) * 2010-06-04 2012-01-1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평면 변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0929A (ja) * 1991-09-30 1993-04-09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
US5359313A (en) * 1991-12-10 1994-10-25 Toko, Inc. Step-up transformer
JPH07235426A (ja) * 1994-02-25 1995-09-05 Fuji Electric Co Ltd 電源トランス
KR20100023608A (ko) * 2008-08-22 2010-03-04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맞춤형 트랜스포머 및 인덕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83288B1 (en) 2017-07-05
CN103081044B (zh) 2016-05-11
WO2011162473A2 (en) 2011-12-29
US20130099885A1 (en) 2013-04-25
US8947190B2 (en) 2015-02-03
WO2011162473A3 (en) 2012-05-18
EP2583288A4 (en) 2015-07-29
KR20110138576A (ko) 2011-12-28
TWI471877B (zh) 2015-02-01
TW201212060A (en) 2012-03-16
US20150102883A1 (en) 2015-04-16
US9401243B2 (en) 2016-07-26
EP2583288A2 (en) 2013-04-24
CN103081044A (zh)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572B1 (ko) 평면 변압기
TWI278876B (en) Transformer structure
CN101997020B (zh) 带有集成电阻的高压晶体管器件
TWI491021B (zh) 用於電源轉換器的功率積體電路及其製造方法
CN103022002B (zh) 半导体器件
JP5983587B2 (ja) 電子回路装置
JP5578797B2 (ja) 半導体装置
EP3648128B1 (en) Transformer module and power module
TW200849543A (en) Semiconductor power device having a stacked discrete inductor structure
US8598637B2 (en) High voltage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spiral field plate
CN105702668B (zh) 同步开关变换器及用于同步开关变换器的集成半导体开关器件
US20160365304A1 (en) Semiconductor Package with Embedded Output Inductor
CN107731932B (zh) 一种功率缓冲二极管芯片结构及其制作方法
KR101174016B1 (ko) 평면 변압기
KR101174005B1 (ko) 평면 변압기
KR101192621B1 (ko) 평면 변압기
TW201212209A (en) Semiconductor device integrated with converter and package structure thereof
TW202139572A (zh) 高壓半導體裝置以及相關之電源供應器
JP2009038244A (ja) 電流共振電源用トランス及び電流共振電源用トランス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
KR102339135B1 (ko) 브리지 레그 회로 조립체 및 풀-브리지 회로 조립체
US8988179B2 (en) Transformer
TWI277986B (en) Transformer structure
KR101103604B1 (ko) 평면 변압기
US20130285136A1 (en) Schottky diode with enhanced breakdown voltage
KR20120118835A (ko) 평면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