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292B1 -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와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와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292B1
KR101105292B1 KR1020090050043A KR20090050043A KR101105292B1 KR 101105292 B1 KR101105292 B1 KR 101105292B1 KR 1020090050043 A KR1020090050043 A KR 1020090050043A KR 20090050043 A KR20090050043 A KR 20090050043A KR 101105292 B1 KR101105292 B1 KR 10110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articles
dmso
polymer
biodegradabl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244A (ko
Inventor
김근풍
이용훈
이건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298343&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052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90050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292B1/ko
Priority to EP10783614.0A priority patent/EP2439228B1/en
Priority to CN2010800034968A priority patent/CN102369234B/zh
Priority to ES10783614.0T priority patent/ES2635538T3/es
Priority to PCT/KR2010/003610 priority patent/WO2010140865A2/ko
Priority to AU2010254741A priority patent/AU2010254741B2/en
Priority to CA2801706A priority patent/CA2801706C/en
Publication of KR2010013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244A/ko
Priority to US13/158,798 priority patent/US8329856B2/en
Publication of KR10110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2Pulverisation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4Powdering or granulating by precipitation from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2009/125Micropellets, microgranules, micro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89Microcapsule with solid core [includes liposo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세입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DMSO에 용해시켜 저온의 탄화수소 용액에 분사시켜 냉동된 DMSO 미세입자를 만든 후, 이를 저온의 염 수용액에 넣어 DMSO를 용해시키고, 염을 제거함으로써 고분자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다공성,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하고 미립 담체 크기를 조절 가능하여 주사기로 주입 할 수 있으며, 양산 제조가 용이한 새로운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세입자는 생분해성이며, 생체적합성을 갖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주사기를 통해 생체 내에 주입하여 손상된 세포 또는 조직 재생용 세포 전달체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미세입자, 생분해, PLGA, DMSO, 상분리, 냉각

Description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와 그의 제조방법{Biodegr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and their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DMSO에 용해시켜 저온의 탄화수소 용액에 분사시켜 냉동된 DMSO 미세입자를 만든 후, 이를 저온의 염 수용액에 넣어 DMSO를 용해시키고, 염을 제거함으로써 고분자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scaffold)는 다양한 조직재생을 위한 주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지지체는 충분한 세포 접착 밀도, 세포증식 및 분화를 위한 영양과 산소 공급을 촉진시키기 위해 공극간 연결이 우수한 다공성 구조가 요구된다.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그 중에서 공극형성입자 침출법(porogen leaching)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공극형성입자는 염, 발포성염,탄수화물, 탄화수소 왁스등 다양한 입자가 활용되며, 고분자/용매/공극형성입자 혼합물에서 공극형성입자를 선택적으로 녹여 내거나 발포시켜 공극을 형성 시키는 방법이다. 그 외 유화/동결건조, 상분리법, 임계 액체상의 팽창, 3차원 잉크제트 프린팅 등의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A. G. Mikos, G. Sarakinos, S. M. Leite, J. P. Vacanti, R. Langer, Biomaterials, 14 (1993) 323-330; Z. Ma, C. Gao, Y. Gong, J. Shen, J. Biomed. Mater. Res. 67B (2003) 610-617; A. Park, B. Wu, L. G. Griffith, J. Biomater. Sci. Polym. Ed. 9 (1998) 89-110).
이러한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세포의 접착과 분화를 유도하여 뼈, 연골, 간 재생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지지체는 외과적 수술을 통해 체내에 이식되는데, 이는 환자에 신체적, 경제적 부담이 된다. 따라서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를 주사형으로 주입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세포를 포함한 고분자 액을 주사한 후 광-가교 하거나 졸-겔 현상에 의해 하이드로 젤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J. j. Marler, A. Guha, J. Rowley, R. Koka, D. Monney, J. Upton, J. p. Vacanti, Plast. Reconstr. Surg. 105 (2000) 2049-2058; S. He, M. J. Yaszemski, A. W. Yasko, P. S. Engel, A. G. Mikos, Biomaterials, 21 (2000) 2389-2394).
그러나 이런 하이드로겔은 고체 표면에 부착이 필요한 세포에는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며,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내부에 봉입된 세포를 보호하기 힘들 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공성 구조를 갖는 젤라틴으로 제조된 미세입자인 컬티스퍼(Cultispher)를 포함한 광범위한 천연 및 합성 미세입자가 부착 의존성 동물세포 배양에 이용되고 있으나 생체적합성이 떨어지고, 기계적 강도가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주사용 미세입자 제조방법은 유화-용매 증발법(Emulsification-Solvent Evaporation)이다. 그 중 W/O/W 이중 유화 방법은 두 번의 유화단계를 거치는데 첫 번째 유화단계인 W/O 유화액의 안정성에 따라 다공성 구조가 결정된다. 유화액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뭉침(coalescence), 융합(fusion), 상분리(creaming) 등의 과정을 거쳐 수상과 유기상이 서로 분리되려고 하기 때문에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M. Kanouni, H. L. Rosano, N. Naouli, Adv. Colloid Interface Sci. 99 (2002) 229-254; A. J. Webster, M. E. Cates, Langmuir, 14 (1998) 2068-2079).
또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를 녹인 유기상에 발포성 염을 녹인 수용액을 첨가하여 W/O 유화액을 형성하고,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재분산, 유화시키는 W/O/W 이중 유화 단계를 포함하는 미립 담체 제조방법이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801194호). 상기 미립 담체는 생분해성, 높은 공극율, 공극간 우수한 상호연결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양산 제조공정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다공성,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하고 미립 담체 크기를 조절 가능하여 주사기로 주입 할 수 있으며, 양산 제조가 용이한 방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미세입자 제조 방법이 가지는 기술적 단점이 극복된 새로운 미세입자 제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DMSO에 용해시킨 후 저온의 탄화수소 용액에 분사시켜 냉동된 DMSO 미세입자를 만든 후, 이를 저온의 염 수용액에 넣어 DMSO를 용해시킴으로써 우수한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다공성, 기계적 강도 등을 가지는 고분자 미세입자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용액을 DMSO의 녹는점 미만 온도의 탄소수 5 내지 10(C5 내지 C10)의 탄화수소 용액에 분사시켜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미세입자를 염 수용액에 첨가하여 DMSO를 용해시켜 DMSO를 제거하 는 단계; 및
(d) 상기 미세입자에서 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DMSO에 용해시킨 후 저온의 탄소수 5 내지 10(C5 내지 C10)의 탄화수소 용액에 분사시켜 냉동된 DMSO 미세입자를 만든 후, 이를 저온의 염 수용액에 넣어 DMSO를 용해시킨 다음 염을 제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유기용매는 서로 잘 섞이기 때문에 유기용매를 다른 유기용매(즉, A유기용매 및 B유기용매로 표시)에 분사시켜 미세입자를 제조할 수 없다. 이는 고분자를 녹인 A유기용매를 분사하여 B유기용매에 접촉되는 순간 서로 두 유기용매가 섞이므로 A유기용매를 동결시킬 수 없기 때문에 미세입자를 제조할 수 없다.
하지만, DMSO와 탄화수소는 흔히 사용하는 유기용매이지만 극성(polarity) 차이가 커서 서로 섞이지 않는다. 또한 DMSO가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잘 녹이기 때문에 이용할 수 있으며, DMSO의 녹는점(melting point; 18℃)이 높아서 쉽게 동결시킬 수 있으며, DMSO가 물에 매우 잘 녹기 때문에 동결 후 동결된 입자를 물에 넣으면 DMSO는 쉽게 녹아 나오고, DMSO에 녹아 있는 고분자는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DMSO가 동결되었던 형태 그대로 미세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기존의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유화-용매 증발법(Emulsification-Solvent Evaporation)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계면활성제을 사용하는 등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미세입자 크기 조절에 한계가 있으며, 미세입자의 공극율 조절도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분자를 DMSO에 녹이는 농도에 따라 공극율이 결정되므로 공극율 조절이 용이하고, 고분자가 녹아 있는 DMSO 용액을 분사할 때 흘려주는 용액량과 공기량을 외부에서 밸브를 조절함으로서 미세입자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단순히 용액을 분사시켜 제조하므로 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성도 좋은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은
(a)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용액을 DMSO의 녹는점 미만 온도의 탄소수 5 내지 10(C5 내지 C10)의 탄화수소 용액에 분사시켜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미세입자를 염 수용액에 첨가하여 DMSO를 용해시켜 DMSO를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미세입자에서 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단계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oly(D,L-lactic-co-glycolic acid), PLG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 또는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 성분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LA, PGA, PLG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LA 또는 PLGA이다. 이들 고분자로서 중량 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5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은 구형의 미세입자를 쉽게 제조할 수 있는 특징과 미세입자의 크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중량 평균분자량에 의해 미세입자 크기의 제어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용액은 해당 고분자를 1%~25%(w/v)의 농도가 되도록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농도 조절을 통해 제조되는 생분해성 다공성 미세입자의 공극율을 조절할 수 있다. 고분자 용액의 농도가 1%미만이 되면 미세입자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 실용성이 떨어지며, 25% 초과가 되면 점도가 너무 높아 분사시 섬유상(fiber)이 형성되는 등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된 유기용매는 어는점이 높고, 탄화수소(hydrocarbon)와 상분리를 이루는DMSO(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b)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DMSO의 녹는점 미만 온도의 탄소수 5 내지 10(C5 내지 C10)의 탄화수소 용액에 분사시켜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탄화수소 용액은 섭씨 영하 0℃ 이하에서 얼지 않고 DMSO와 상분리되는 탄소수 5 내지 10(C5 내지 C10)의 탄화수소, 예를 들어, 펜탄(pentane), 헥산(hexane), 헵탄(heptane), 옥탄(octane), 노난(nonane), 데칸(dec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와 같은 포화 탄화수소 및 이들의 혼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휘발성이 좋은 n-헥산(n-hexane)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n-헥산의 높은 휘발성으로, 최종적으로 동결건조 과정이나 자연건조 과정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탄소수 5 미만의 탄화수소는 휘발성이 너무 커서 제조상 어려움이 있고, 탄소수 10 초과의 탄화수소는 실용성이 떨어진다. 탄화수소 용액의 온도는 DMSO의 동결을 위하여 DMSO의 녹는점 미만 온도일 수 있으며, 1기압의 경우 약 18℃ 미만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DMSO의 동결 및 미세입자의 형성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20℃ 내지 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수용액의 분사방식은 상용화된 노즐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분사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분사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용액의 양을 조절하여 탄화수소 용액에 분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저온유체(cryogenic fluid) 내로의 스프레이 방법에 의한 미세입자의 제조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사되는 고분자 용액의 양은 0.2g/min ~ 20.0g/min 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분사 공기의 양은 1.0 ℓ/min (liter per minute) ~ 30.0 ℓ/min 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함으로써 미세입자의 크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단계를 통해, 저온의 탄화수소 용액에 분사된 미세입자는 상분리 및 냉동에 의해 그 모양이 유지되고 냉동상태로 가라 앉는다. 냉동 미세입자의 대부분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된 DMSO이며, 미세입자에서 DMSO를 제거하기 위해, 다음 단계를 통해 염 수용액으로 DMSO를 녹여내게 된다.
(c)단계는 (b)단계에서 제조된 DMSO가 포함된 미세입자를 염 수용액에 첨가하여 DMSO를 용해시켜 DMSO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염 수용액은 섭씨 0℃ 이하에서 얼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MSO의 제거를 위하여 물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제조시 미세입자의 안정성을 위하여 가급적 섭씨 0℃ 이하의 용액으로 DMSO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5% 내지 30% 농도의 NaCl 또는 CaCl2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염 수용액은 20% 내지 25% 염화나트륨(NaCl)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20 내지 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미만은 염 수용액이 얼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하고, 0℃ 초과는 제조시 미세입자의 안정성이 나빠지고, 제조된 입자끼리 달라 붙어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d)단계는 DMSO가 제거된 미세입자에서 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염의 제거는 과량의 물, 바람직하게는 D.D.W(deionized distilled water)을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용해시키기 위한 DMSO(Dimethyl Sulfoxide)와 냉각 유기용매인 탄화수소의 상분리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제조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단순하고 효율적이며 양산 공정이 간단한 특징을 갖고, 미세입자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생체에 주사로 주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는 10㎛ 내지 1000㎛의 직경을 가진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직경은 DMSO 수용액상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의 농도, 탄화수소 용액으로의 분사시 분사량 및 분사 공기의 양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DMSO 수용액상의 생분해성 폴 리에스테르계 고분자의 농도가 높을수록, 탄화수소 용액으로의 분사시 분사량이 많을수록, 탄화수소 용액으로의 분사시 분사 공기의 양이 적을 수록 더 큰 직경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는 세포가 포함되도록 배양하여 주사 가능한 형태의 세포 운반체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다공성,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하고 미립 담체 크기를 조절 가능하여 주사기로 주입 할 수 있으며, 양산 제조가 용이한 새로운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세입자는 생분해성이며, 생체적합성을 갖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주사기를 통해 생체 내에 주입하여 손상된 세포 또는 조직 재생용 세포 전달체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
(1) 중량 평균분자량이 110,000이고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비율이 75:25인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LGA) 35g을 500ml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서 7%(w/v)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5℃로 냉각된 n-헥산(n-hexane)에 상기 고분자 용액을 분사량 0.2 g/min, 분사 공기의 양 5.0 ℓ/min의 조건으로 분사하였다. 이 때, 분사된 고분자 용액은 저온의 n-헥산에서 구형으로 냉동된다.
냉동된 미세입자를 수득하여 이를 -20℃로 냉각된 25%(w/v) NaCl 수용액 1,000ml에서 72시간 동안 방치하면서 DMSO(Dimethyl Sulfoxide) 성분을 용해시킨 후, 여과하여 DMSO가 제거된 고분자 미세입자를 얻었다. 이를 다시 5,000ml 증류수로 세척 여과하여 잔류 DMSO 및 NaCl를 제거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를 완성하였다.
(2) 이와 더불어 DMSO에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을 분사량 3.0g/min, 분사 공기의 양 3.0 ℓ/min의 조건으로 n-헥산 용액에 분사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1)의 방법과 같이 수행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를 제조하였다.
(3) 또한, DMSO에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을 분사량 5.0g/min, 분사 공기의 양 1.0 ℓ/min의 조건으로 n-헥산 용액에 분사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1)의 방법과 같이 수행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를 제조하였다.
(4) 중량 평균분자량이 110,000이고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비율이 75:25인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LGA)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3.0% 농도 그리고 12.0% 농도가 되도록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7.0% 농도의 고분자 용액과 동일하게 분사량 5.0g/min, 분사 공기의 양 1.0 ℓ/min의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고분자 용액의 농도 조절을 통해 제조되는 생분해성 다공성 미세입자의 겉보기 밀도를 측정함으로써 공극율을 조절할 수 있음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고분자 미세입자의 물리적 특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를 대상으로 미세입자의 크기, 제조 수율 및 겉보기 밀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미세입자의 크기는 전자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여 측정하였고, 제조 수율은 투입된 고분자의 양 대비 최종적으로 수득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겉보기 밀도는 일정양의 미립 담체를 일정한 부피를 갖는 매스실린더에 넣고, 일정한 속도와 일정한 횟수로 탭핑(톡톡 쳐주는 과정)하는 탭 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 내지 5 및 하기 표 1에서 보듯이, 고분자 용액의 분사량에 비례하여, 그리고, 분사공기의 양에 반비례하여 미세입자의 크기가 커짐을 알 수 있었으며 고분자 용액의 농도가 높아지면 겉보기 밀도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세입자의 크기는 세포 배양 후 체내 투여에 적합한 크기이었으며, 수율로 볼 때,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사 조건 미세입자
크기(㎛)
수율
(%)
겉보기 밀도
(g/ml)
고분자 용액
농도
(%)
고분자 용액
분사량
(g/min)
분사 공기의 양
(ℓ/min)
7 0.2 5 100 이하 54 0.18
3 3 100~300 62 0.087
5 1 300~500 68 0.071
3 3 3 100~300 59 0.045
12 3 3 100~300 67 0.13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다공성,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하고 미립 담체 크기를 조절 가능하여 주사기로 주입 할 수 있으며, 양산 제조가 용이한 새로운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세입자는 생분해성이며, 생체적합성을 갖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주사기를 통해 생체 내에 주입하여 손상된 세포 또는 조직 재생용 세포 전달체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세입자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1,500; 고분자 용액농도 : 7% 분사량 : 0.2 g/min; 분사속도 : 5 ℓ/min)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세입자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300; 고분자 용액농도 : 7% 분사량 : 3.0 g/min; 분사속도 : 3 ℓ/min)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세입자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230; 고분자 용액농도 : 7% 분사량 : 5.0 g/min; 분사속도 : 1 ℓ/min)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세입자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550; 고분자 용액농도 : 3% 분사량 : 3.0 g/min; 분사속도 : 3 ℓ/min)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세입자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350; 고분자 용액농도 : 12% 분사량 : 3.0 g/min; 분사속도 : 3 ℓ/min)

Claims (7)

  1. (a)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가 용해된 DMSO를 DMSO의 녹는점 미만 온도의 탄소수 5 내지 10(C5 내지 C10)의 탄화수소 용액에 분사시켜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미세입자를 염 수용액에 첨가하여 DMSO를 용해시켜 DMSO를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미세입자에서 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직경이 10㎛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는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oly(D,L-lactic-co-glycolic acid), PLG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고분자로서 중량 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용해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1 내지 25%(w/v)가 되도록 DMSO에 용해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hydrocarbon)는 펜탄(pentane), 헥산(hexane), 헵탄(heptane), 옥탄(octane), 노난(nonane), 데칸(dec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 수용액은 5 내지 30%(w/v)의 NaCl 또는 CaCl2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7. 삭제
KR1020090050043A 2009-06-05 2009-06-05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와 그의 제조방법 KR10110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043A KR101105292B1 (ko) 2009-06-05 2009-06-05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와 그의 제조방법
PCT/KR2010/003610 WO2010140865A2 (ko) 2009-06-05 2010-06-04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와 그의 제조방법
CN2010800034968A CN102369234B (zh) 2009-06-05 2010-06-04 可生物降解聚合物微粒子及其制造方法
ES10783614.0T ES2635538T3 (es) 2009-06-05 2010-06-04 Micropartículas poliméricas biodegradables y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 las mismas
EP10783614.0A EP2439228B1 (en) 2009-06-05 2010-06-04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U2010254741A AU2010254741B2 (en) 2009-06-05 2010-06-04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A2801706A CA2801706C (en) 2009-06-05 2010-06-04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3/158,798 US8329856B2 (en) 2009-06-05 2011-06-13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043A KR101105292B1 (ko) 2009-06-05 2009-06-05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와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244A KR20100131244A (ko) 2010-12-15
KR101105292B1 true KR101105292B1 (ko) 2012-01-17

Family

ID=4329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043A KR101105292B1 (ko) 2009-06-05 2009-06-05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와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29856B2 (ko)
EP (1) EP2439228B1 (ko)
KR (1) KR101105292B1 (ko)
CN (1) CN102369234B (ko)
AU (1) AU2010254741B2 (ko)
CA (1) CA2801706C (ko)
ES (1) ES2635538T3 (ko)
WO (1) WO2010140865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254B1 (ko) * 2015-11-17 2017-02-13 주식회사 동일팜텍 생체조직 수복 또는 재생용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WO2020189886A2 (ko) 2019-03-19 2020-09-24 (주)리젠바이오텍 스테로이드계 약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11425A (ko) 2019-03-19 2020-09-29 (주)리젠바이오텍 스테로이드계 약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85721A (ko) 2019-12-31 2021-07-08 (주)리젠바이오텍 성호르몬계 약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7283B1 (ko) 2021-08-26 2022-03-22 정민욱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를 위한 병렬식 막유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사제의 제조방법
US11311854B2 (en) 2017-11-30 2022-04-26 G2Gbio, Inc.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microspheres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storage stab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441B1 (ko) 2013-02-22 2015-01-13 주식회사 바임 폴리락트산(pla) 미세입자의 스프레이 공법에 따른 제조방법
ITTO20130284A1 (it) * 2013-04-09 2014-10-10 Fond Istituto Italiano Di Tecnologi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microparticelle polimeriche sagomate
KR101762996B1 (ko) * 2013-08-29 2017-07-28 (주)엘지하우시스 발포 시트용 발포성 수지 조성물, 발포 시트, 입자상의 폴리락트산 수지의 제조 방법 및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60033897A (ko) * 2014-09-19 2016-03-29 주식회사 덱스레보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52958A1 (ko) * 2014-09-29 2016-04-07 (주)엘지하우시스 중합체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8801A (ko) 2014-09-29 2016-04-07 (주)엘지하우시스 중합체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EP3268424A4 (en) * 2015-03-12 2018-07-18 Timplast International, LLC Composition for the degradation of plastic
KR102464882B1 (ko) * 2015-10-12 2022-11-17 주식회사 파마리서치 중공형 다공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1725279B1 (ko) * 2015-10-27 2017-04-10 주식회사 바임 망상구조를 갖는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KR101685312B1 (ko) * 2015-12-04 2016-12-14 비엘엔에이치 주식회사 다공성 미세 입자 상태의 조직수복용 생분해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성형필러용 주사제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장치
CN110354515B (zh) * 2019-06-05 2021-09-21 河南慧宝源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γ-聚谷氨酸的干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6115A (ja) * 1990-06-13 1992-02-17 Eisai Co Ltd マイクロスフィアの製造法
US5100669A (en) 1988-02-24 1992-03-31 Biomaterials Universe, Inc. Polylactic acid type microspheres containing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6020004A (en) 1997-04-17 2000-02-01 Amgen Inc.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for the sustained delivery of therapeutic drugs
KR20010002589A (ko) * 1999-06-16 2001-01-15 김윤 생리활성물질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9400A (en) * 1989-05-01 1991-05-28 Enzytech, Inc. Very low temperature casting of controlled release microspheres
JP3116311B2 (ja) * 1990-06-13 2000-12-11 エーザイ株式会社 マイクロスフィアの製法
EP0765660A3 (en) * 1995-09-28 1998-09-2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Microcapsules comprising 2-piperazinone-1-acetic acid compounds
KR100392501B1 (ko) * 2000-06-28 2003-07-22 동국제약 주식회사 다중 에멀젼법에 의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0801194B1 (ko) 2006-07-14 2008-02-11 한국과학기술원 세포 배양 및 전달용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 담체와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669A (en) 1988-02-24 1992-03-31 Biomaterials Universe, Inc. Polylactic acid type microspheres containing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H0446115A (ja) * 1990-06-13 1992-02-17 Eisai Co Ltd マイクロスフィアの製造法
US6020004A (en) 1997-04-17 2000-02-01 Amgen Inc.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for the sustained delivery of therapeutic drugs
KR20010002589A (ko) * 1999-06-16 2001-01-15 김윤 생리활성물질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254B1 (ko) * 2015-11-17 2017-02-13 주식회사 동일팜텍 생체조직 수복 또는 재생용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US11311854B2 (en) 2017-11-30 2022-04-26 G2Gbio, Inc.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microspheres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storage stability
WO2020189886A2 (ko) 2019-03-19 2020-09-24 (주)리젠바이오텍 스테로이드계 약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11425A (ko) 2019-03-19 2020-09-29 (주)리젠바이오텍 스테로이드계 약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376226B2 (en) 2019-03-19 2022-07-05 Regenbiotech, Inc.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 containing steroid dru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210085721A (ko) 2019-12-31 2021-07-08 (주)리젠바이오텍 성호르몬계 약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7283B1 (ko) 2021-08-26 2022-03-22 정민욱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를 위한 병렬식 막유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사제의 제조방법
WO2023027401A1 (ko) 2021-08-26 2023-03-02 정민욱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를 위한 병렬식 막유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사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9228A2 (en) 2012-04-11
EP2439228A4 (en) 2014-05-14
ES2635538T3 (es) 2017-10-04
US8329856B2 (en) 2012-12-11
CN102369234B (zh) 2013-07-24
EP2439228B1 (en) 2017-05-03
AU2010254741A1 (en) 2012-02-02
CA2801706C (en) 2015-07-28
WO2010140865A3 (ko) 2011-03-31
AU2010254741B2 (en) 2014-04-10
US20110245456A1 (en) 2011-10-06
WO2010140865A2 (ko) 2010-12-09
CN102369234A (zh) 2012-03-07
KR20100131244A (ko) 2010-12-15
CA2801706A1 (en)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292B1 (ko)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와 그의 제조방법
KR101481441B1 (ko) 폴리락트산(pla) 미세입자의 스프레이 공법에 따른 제조방법
Kim et al. Gas foamed open porous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spheres
Hong et al. Preparation of porous polylactide microspheres by emulsion‐solvent evaporation based on solution induced phase separation
KR101663150B1 (ko) 다공성 고분자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직공학용 생분해성 재료
WO2017022750A1 (ja) 人工血管、人工血管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組織再生基材の製造方法
CN103974727A (zh) 多孔组织支架
KR101418888B1 (ko) 다공성 중공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002960A (zh) 微孔双连续结构的多孔支架材料的制备方法
KR100801194B1 (ko) 세포 배양 및 전달용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 담체와그의 제조방법
CN108350180B (zh) 具有网状结构的高分子微细粒子的制备方法
CN100534537C (zh) 微孔双连续结构的多孔支架材料的制备方法
KR100288488B1 (ko) 발포성 염을 이용한 생체조직공학용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방법
CN100525845C (zh) 微孔双连续结构的多孔支架材料的制备方法
KR20140094119A (ko)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CN100534538C (zh) 微孔双连续结构的多孔支架材料的制备方法
JP3525186B2 (ja) 高分子多孔質体の製造方法
WO2018056018A1 (ja) ヘパリンを含有する生体吸収性高分子からなる多孔質基材の製造方法、ヘパリンを含有する生体吸収性高分子からなる多孔質基材、及び、人工血管
JP6803760B2 (ja) ヘパリンを含有する生体吸収性高分子からなる多孔質基材の製造方法
Budyanto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poly (L-lactide)(PLLA) scaffolds using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
KR102256933B1 (ko) 합성고분자-천연고분자 하이브리드 다공성 구형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92650A (ko) 막유화장치를 이용하여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Hacker et al. Solid Lipid Templating: A Versatile Lab-scale Fabrication Technique for Macroporous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408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1229

Effective date: 201806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5846;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80720

Effective date: 201904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3000008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0521

Effective date: 201907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99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715

Effective date: 2024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