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486B1 -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hold unit thereof - Google Patents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hold unit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486B1
KR101103486B1 KR1020090058970A KR20090058970A KR101103486B1 KR 101103486 B1 KR101103486 B1 KR 101103486B1 KR 1020090058970 A KR1020090058970 A KR 1020090058970A KR 20090058970 A KR20090058970 A KR 20090058970A KR 101103486 B1 KR101103486 B1 KR 101103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old
rotating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9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1436A (en
Inventor
조승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90058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486B1/en
Publication of KR20110001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4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4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구성이 향상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홀드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에 의해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터치조작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자세에 따라 터치조작부를 통한 조작신호의 입력을 선택적으로 홀드(Hold) 또는 비홀드상태로 전환시키는 홀드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홀드 및 비홀드상태 전환이 사용자에 의한 홀드유닛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홀드/비홀드 조작의 오류가 발생되지 않아 내구성과 함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isclosed a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old unit thereof having improved durabili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having a touch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by a touch,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through the touch operation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attitude And a hold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the input of the operation signal to a hold or non-hold stat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the hold and non-hold state switching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old unit by the user, the error of the hold / non-hold operation does not occur,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and durability.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폰, 홀드, 비홀드, 회전, hol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hold, non-hold, rotate, hold.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홀드유닛{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HOLD UNIT THEREOF}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holding unit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HOLD UNIT THEREOF}

본 발명은 터치 입력방식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홀드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의 일부가 회전됨에 연동하여 동작을 홀드/비홀드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홀드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method and a hold unit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holding / non-holding a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a rotation of a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It's about the unit.

일반적으로 터치방식으로 동작되는 터치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홀드/비홀드시키기 위한 홀드수단을 구비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홀드수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에 마련된 홀드키를 가압조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홀드/비홀드시킨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touch phone operated by a touch method, a user is provided with holding means for selectively holding / non-holding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olding mea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st commonly used is to press / hold the hold ke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hold / unhold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상기 홀드키는 가압하는 시간차 예컨대, 상기 홀드키의 가압시간이 2초 이상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비홀드상태로 전환시키고, 1초 이하일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홀드상태로 전환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가압방식의 홀더키의 경우, 소정 가압시간이 필요함에 따른 즉각적인 동작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hold key is a time difference for pressurizing, for example, when the pressing time of the hold key is 2 seconds or more,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nged to the non-hold state, and when it is 1 second or less,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hold state. Let's do it. However, in the case of the holder key of the press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n immedi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quired pressing time.

상기 가압방식의 홀더키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으로써, 상기 홀더키를 양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마련하여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홀드/비홀드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홀더키의 경우도, 상기 홀더키의 크기 제한에 따른 조작의 어려움과 함께, 기구적 마찰에 따른 내구성 저하가 야기된다. As a countermeasure for improving the pressurized holder key, the holder key may be provided on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idirectionally slide to hold / unhol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liding posi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holder key of the sliding method, along with difficulty of operation due to the size limitation of the holder key, durability deterioration due to mechanical friction is caused.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가압 또는 슬라이드방식의 홀드키는 모두, 사용자가 원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보관 중 작동됨에 따른 사용자 신뢰성 저하의 문제점을 구비한다. In addition, all of the pressing or slide-holding key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user reliability as it is operated during storage even though the user does not want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빈번한 조작에도 내구성이 향상된 홀드유닛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ld unit with improved durability even in frequent opera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홀드유닛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ld unit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홀드유닛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ld unit that can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홀드유닛의 동작에 다양한 편의기능을 부가 구동시킬 수 있는 홀드유닛의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ld unit that can additionally drive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in the operation of the hold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 및 홀드유닛을 포함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and a hold uni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는 터치에 의해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터치조작부를 구비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includes a touch manipulation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by touch.

상기 홀드유닛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자세에 따라 상기 터치조작부를 통한 조작신호의 입력을 선택적으로 홀드(Hold) 또는 비홀드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홀드유닛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대해 수납시 상기 홀드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 기 몸체에 대해 회전시 상기 비홀드상태로 전환시킨다. The hold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lectively switches the input of the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touch operator to a hold or non-hold state according to a rotational posture. To this end, the hold unit switches to the hold state upon receip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and to the non-hold state upon ro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홀드유닛은 회전체, 제1 및 제2자석, 스토퍼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 unit includes a rotating body, first and second magnets, a stopper and a controller.

상기 회전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대한 수납위치와 회전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체에는 회전위치에 위치할 때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 가능한 카메라유닛, 스피커유닛, 이어폰 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됨이 좋다. The rotating body is rota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and is capable of moving between a storage position and a rotati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At least one of the camera unit, the speaker unit, and the earphone jack may be installed to the rotating body to be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when positioned in the rotation position.

상기 제1자석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나란한 길이를 가지고 설치된다. 상기 제2자석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나란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자석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면이 상기 제1자석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The first magnet is installed in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length parallel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The second magnet is installed in the rotating body having a length parallel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the surface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magnet.

이때, 상기 제1 및 제2자석은 상호 일부 영역만이 중첩된 상태로 상호 마주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길이방향에 대한 1/2 길이만큼 상호 마주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2자석이 제1자석의 1/2 길이지점을 통과할 때의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1 및 제2자석의 이격된 간격은 0.1 ~ 0.3mm으로 이격됨으로써, 비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자석은 동일한 두께 및 크기를 가짐으로써 동일 자력을 구비함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자석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좋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may preferably face each other in a state where only partial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overlap each other.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face each other by 1/2 length of each length dir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dd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rotating body by the repulsive force when the second magnet passes through the 1/2 length point of the first magnet. For reference, the spaced interval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contacted by being spaced apart by 0.1 to 0.3 mm.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may have the same magnetic force by having the same thickness and siz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may be install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body.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범위를 규제하며, 상호 간섭되는 가이드돌 기와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돌출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회전체 상에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의 길이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반경에 대응된다. The stopper regulates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ng body, and includes a guide protrusion and a guide groove interfering with each other. Here, the guide protrusion is provided to protrude in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guide groove is formed through the rotating body.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corresponds to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체의 자세에 연동하여 상기 홀드 또는 비홀드상태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의 상태를 전환시킨다. 이러한 제어부는,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며 자력을 가지는 제1센서 및, 상기 센서의 자력 세기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여부 파악하여, 상기 홀드 또는 비홀드상태로 전환시키는 제2센서를 포함한다. The controller changes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to the held or non-held state in association with the posture of the rotating body. The controller includes a first sensor installed in the rotating body and having a magnetic force, and a second senso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according to the magnetic strength of the sensor and to switch to the hold or non-hold stat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의 일부가 회전됨에 연동하여 단말기 몸체에 마련된 터치조작부를 통한 조작신호의 입력을 선태적으로 홀드/비홀드시킬 수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이 간편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by interlocking a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can be selectively held / non-hold the input of the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touch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mobile communication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ecomes simple.

둘째, 사용자에 의해 홀드유닛의 회전조작 전에는 홀드/비홀드상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기존 홀드키의 가압 또는 슬라이드방식에 따른 오작동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사용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Second, since the hold / non-hold state switching is not performed before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old unit by the user, the malfunction of the existing hold key may be improved by pressing or sliding.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user can be improved.

셋째, 두 자석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비접촉된 상태로 발생되는 척력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력을 부가할 수 있어, 접촉에 의한 마찰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빈번한 조작에도 두 자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대한 회전체의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해진다. Third, the two magnets can be added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by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in a non-contacted state spaced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friction caused by the contact does not occur. Therefore, the durability of the two magnets can be improved even during frequent operation, and smooth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ossible.

넷째, 회전체에 카메라유닛, 스피커유닛 등과 같이 비홀드상태에서만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 가능하도록 유닛들을 설치시킬 수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계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Fourth, the units can b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ly in the non-hold state such as a camera unit, speaker unit, etc., to improve the design aesthetic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Will b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는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 및 홀드유닛(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and a hold unit 2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는 터치에 의해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터치조작부(11)가 전면의 액정패널(12)에 마련된 이동통신 단말기(1)의 몸체이다. 참고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이동통신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보드(13)를 비롯한 소정의 부품이 마련되며, 이러한 기술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is a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n which a touch manipulation unit 11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by touch is provid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12 on the front surface. For reference, the in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part including a main control board 13 for controlling a series of operations for mobile communication, such a technical configuration can be understood from the known technology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omitted.

상기 터치조작부(1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의 액정패널(12)을 통해, 후술할 홀드유닛(20)에 의해 비홀드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의 전면에 표시된다. 이러한 터치조작부(11)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예컨대, 음성통화 및 인터넷통신 등과 같은 소정 서비스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입력키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참고로, 상기 액정패널(12) 상에는 음성통화 정보, 화상통화 정보, 인터넷통신 정보, 게임 정보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이다. 여기서, 상기 터치조작부(11)는 상기 액정패널(12)을 통한 서비스 표시 중에는 미표시된 상태이다가, 사용자에 의한 액정이 터치되는 경우에 전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may be switched to the non-hold state by the hold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Is displayed on the front.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1 selectively displays various input keys so that a user can use a predetermined service such as a voice call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provided by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For reference, the liquid crystal panel 12 i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such as voice call information, video call information, Internet communication information, game information,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1 is not displayed during the service display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12, and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when the liquid crystal is touched by the user.

참고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는 상기 터치조작부(11)와 함께, 일반적인 가압방식의 조작키(14)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작키(14)의 기술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or refere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key 14 of a general pressing method together with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1. Sinc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such an operation key 14 can be understood from a known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홀드유닛(2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자세에 따라 상기 터치조작부(11)를 통한 조작신호의 입력을 홀드(Hold) 또는 비홀드상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상기 홀드상태는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의 전면에 마련된 터치조작부(11)가 비작동되어 조작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상태에 대응되며, 상기 비홀드상태는 상기 홀드상태와 반대로 터치조작부(11)를 통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때, 상기 홀드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조작부(11)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표시가 가능하나, 비홀드상태에서는 터치조작부(11)를 통한 서비스의 제공이 중지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터치조작부(11)를 통해 소정 서비스가 제공되는 비홀드상태에서 서비스의 종료 없이 홀드유닛(20)에 의해 홀드상태로 전환된 경우, 제공되던 서비스는 일시 정지 상태로 전환된다. The hold unit 20 is rota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to switch the input of the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touch control unit 11 to a hold or non-hold state according to a rotational posture. Let's do it. Here, the hold state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1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is inoperative to enable input of an operation signal, and the non-hold state is opposite to the hold state. 11) Operation is possible. At this time, in the hold state, the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touch operator 11 may be displayed, but in the non-hold state, the provision of the service through the touch operator 11 may be stopped. For reference, in the non-hold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service is provided through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1, when the service is switched to the hold state by the hold unit 20 without ending the service, the provided service is switched to the pause state.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해 수납시에는 홀드상태로 전환시키고,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해 R1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비홀드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홀드유닛(2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회전체(21), 제1자석(23), 제2자석(24), 스토퍼(25) 및 제어부(28)를 포함한 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is switched to a hold state when it is stored, and when it is rotated in the R1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it is switched to a non-hold state. Let's do it. As shown in FIG. 2, the hold unit 20 includes a rotating body 21, a first magnet 23, a second magnet 24, a stopper 25, and a controller 28.

상기 회전체(2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2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마련된 회전축(22)을 중심으로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R1 및 R2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2)의 위치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의 상단 연부 측으로 치우지게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 회전축(22)의 위치는 가변 가능하다. 상기 회전체(21)는 도 1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수납위치로 위치일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측면을 제외하고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회전체(21)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해 항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변형예도 가능하다. The rotating body 2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Here, the rotating body 21 is rotated in the R1 and R2 directions, as shown in Figures 3 and 4 around the rotating shaft 22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rotary shaft 22 is exemplified as being disposed toward the upper edg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the position of the rotary shaft 22 is variable. 1 and 3, the rotor 2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when it is in the storage position,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except a side surface. . However, the rotating body 21 is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at all times, and a modification that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is also possible.

한편, 상기 회전체(21)에는 도 4와 같이 R1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어 비홀드상태에서 동작되는 다양한 기능의 유닛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회전체(21)의 전면에는 R1방향으로 회전된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어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외장 스피커(S)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회전체(21)의 후면에 설치되어, 회전체(21)가 회전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만 사용 가능하게 노출되는 카메라유닛(C)과 램프(P)를 마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체(21)의 측면에는 이어폰 잭이 설치되는 것과 같은 변형예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과 같은 외장 스피커(S), 카메라유닛(C) 및 램프(P) 등의 구동을 위해, 상 기 회전체(21)의 내부에 스피커(S), 카메라유닛(C) 및 램프(P) 각각의 제어보드가 실장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의 메인 제어보드(13)와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body 21, as shown in Figure 4 rotates in the R1 direction can be installed to the unit of various functions that are exposed to the outside only when located in the rotational position operating in the non-holding stat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 an external speaker S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ly when rotated in the R1 direc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camera unit C and the lamp P which ar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1 and are exposed to be available only when the rotating body 21 is positioned at the rotational position. You can also arrang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variant such as an earphone jack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tating body 21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in order to drive the external speaker S, the camera unit C, and the lamp P as described above, the speaker S, the camera unit C and the lamp ( P) Each control board may be mounted and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board 1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상기 제1자석(23)은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상기 회전체(21)의 회전방향(R1)(R2)으로 연장된 소정 길이(L1)를 가지고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자석(24)은 상기 제1자석(23)과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체(21)의 회전방향(R1)(R2)으로 연장된 소정 길이(L2)를 가지고 상기 회전체(21)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자석(23)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설치되는 고정 자석인데 반하여, 상기 제2자석(24)은 상기 회전체(21)에 설치됨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는 구동 자석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은 서로 동일한 두께 및 크기를 가짐으로써, 동일 자력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이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설치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부피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magnet 23 has a predetermined length L1 extending in the rotation direction R1 and R2 of the rotating body 21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Installed with In addition, like the first magnet 23, the second magnet 24 has the predetermined length L2 extendin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1 (R2) of the rotor 21 and the rotor 21. It is installed in). Here, the first magnet 23 is a fixed magnet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while the second magnet 24 is a drive that is changed in position as it is installed in the rotating body (21) It is a magnet.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have the same thickness and size, and thus have the same magnetic for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are not shown in detail, but are illustrated as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the same volume for ease of installation.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호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면이 상호 마주하되, 상호 소정간격(D) 이격되어 비접촉됨으로써 접촉 마찰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은 소정 영역 중첩된 대면 면적을 구비하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와 회전체(21)에 각각 설치된다. 이렇게 제1 및 제2자석(23)(24)의 사이에는 동일 극성이 마주함에 따라 상호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 사이의 척력 발생에 의해, 제1 및 제2자석(23)(24)은 회전체(21)를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해 회전방향으로 가압 가동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로써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face each other with the same polarity, but are contacted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durability due to contact friction. do.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and the rotating body 21 to have a face area overlapping a predetermined area. As the same polarity is encounter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in this manner, a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to pus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generate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so that the rotating body 21 is moved relativ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It can act as an actuator (Actuator) to pressurize in the rotation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 사이에서 발생되는 상호 밀어내는 힘인 척력은 하기 수학식 1에 표현되는 것과 같이, 자력 및 대면 면적에 비례하며, 제1 및 제2자석(23)(24) 사이의 이격 간격(D)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Specifically, the repulsive force, which is the mutual pushing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is proportional to the magnetic force and the facing area, a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and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I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separation interval D between (23) and (24).

F = u×T×L×W÷D2 F = u × T × L × W ÷ D 2

여기서, u와 T는 자력을 결정하는 제1 및 제2자석(24)의 재질 및 두께를 각각 지칭하며, L 및 W는 상기 대면 면적을 결정하는 길이 및 폭을 각각 지칭한다. Here, u and T refer to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4 for determining magnetic force, respectively, and L and W refer to the length and width for determining the facing area, respectively.

이상과 같은 수학식 1을 참고하면, 상기 수납위치 또는 회전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회전체(21)의 회전력은, 상대적으로 자력이 작은 자석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최적화된 공간 활용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의 크기는 상호 동일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 사이의 대면적 면적을 결정하는 대면 길이는 전체 길이(L)의 1/2으로 설정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 사이의 척력에 의한 회전체(21)의 동작력을 극대화시킴이 좋다. 이때, 상기 제2자석(24)이 상기 제1자석(23)의 1/2 길이(L1)를 통과할 때 척력의 최대값 지점(M)을 통과하게 됨에 따라, 초기 동작력이 극대화되어 R1 또는 R2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회전체(21)의 회전력을 부가하게 된다. Referring to Equation 1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21 rotated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or the rotational position is determined by a magnet having a relatively small magnetic forc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optimized space utilization, the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may be the same. In addition, the face length for determining the large area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is set to 1/2 of the total length L, whereby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 It is good to maximize the operating force of the rotor 21 by the repulsive force between 24).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magnet 24 passes through the maximum value point M of the repulsive force when passing through the 1/2 length (L1) of the first magnet 23, the initial operating force is maximized to R1 Or it adds a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21 to be rotated in the R2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의 길이(L1)(L2)가 상호 동일하므로, 도 4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의 길이(L1)(L2)가 회전거리(R)에 대응 된다. 즉, 상기 제1자석(23)에 대한 제2자석(24)의 회전거리(R)가 제1자석(23)의 길이(L1)에 대응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회전거리(R)는 상기 회전축(22)에서 d1만큼 이격된 제1자석(23)의 척력 작용점에서의 제2자석(24)의 회전거리 또는 스트로크(stroke)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22)으로부터 제1자석(23)까지 이격된 거리(d1)와 회전반경(θ)의 곱에 대응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에 의해 회전력을 향상시키고 작동감을 더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축(22)으로부터 제1자석(23)까지의 거리(d1)가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의 가용 범위 내에서 최대한 클수록 좋다. Here, since the lengths L1 and L2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are the same, the lengths L1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are as shown in FIG. 4. (L2) corresponds to the rotation distance (R). That is, the rotation distance R of the second magnet 24 with respect to the first magnet 23 corresponds to the length L1 of the first magnet 23. For reference, the rotation distance R refers to the rotation distance or stroke of the second magnet 24 at the repulsive action point of the first magnet 23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22 by d1, It corresponds to the product of the distance (d1) and the rotation radius (θ) spaced from the rotation axis 22 to the first magnet (23). In this case, in order to improve the rotational force by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and to make the operation more smooth, the distance d1 from the rotation shaft 22 to the first magnet 23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arger it is possible within the available range of the body 10, the better.

또한,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에 의한 회전체(21)의 회전력은 제1 및 제2자석(23)(24) 사이의 이격된 간격(D)에 의해 결정되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이격된 간격(D)이 작을수록 좋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의 이격된 간격(D)이 대략 0.1mm ~ 0.3mm인 것으로 예시하며, 보다 자세하게는 0.2mm인것으로 예시한다. In addi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21 by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is determined by the spaced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As in Equation 1, the smaller the interval D is, the bett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aced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is about 0.1 mm to 0.3 mm, and more specifically, about 0.2 mm.

종합적으로,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자석(23)(24) 사이의 척력 발생에 의해 회전체(21)의 최대 동작력 확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자석(23)(24)의 길이(L1)(L2) 및 이격된 간격(D)을 각각 5mm, 5mm 및 0.2mm인 것으로 예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이 상호 대면되는 길이는 2.5mm씩이다. Overall, in order to secure the maximum operating force of the rotating body 21 by generating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in the present embodiment. Length L1 (L2) and spaced distance D of 24 are illustrated as 5 mm, 5 mm, and 0.2 mm,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facing each other are 2.5 mm.

상기 스토퍼(25)는 상기 회전체(21)의 회전범위를 규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25)는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돌기(26)과 가이드홈(27)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돌기(26)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돌출 마련되 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홈(27)은 상기 가이드돌기(26)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의 회전체(21)에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27)은 상기 회전체(21)의 회전방향(R1)(R2)에 나란하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고 회전체(21)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27)의 길이는 상기 회전체(21)의 회전거리(r)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21)의 회전거리(r)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2)에서 d2만큼 이격된 가이드돌기(26)의 회전거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22)으로부터 가이드돌기(26)까지 이격된 거리(d2)와 회전반경(θ)의 곱에 대응된다.The stopper 25 regulates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or 21. To this end, the stopper 25 includes a guide protrusion 26 and a guide groove 27, as shown in Figs. The guide protrusion 26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The guide groove 27 is provided in the rotating body 21 at a position where the guide protrusion 26 can be inserted. Here, the guide groove 27 is formed in the rotating body 21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parallel to the rotation direction (R1) (R2) of the rotating body (21).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27 corresponds to the rotation distance r of the rotating body 21. Here, as shown in FIG. 4, the rotation distance r of the rotating body 21 refers to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guide protrusion 26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22 by d2, and the rotation shaft 22. ) Corresponds to the product of the distance d2 and the rotation radius θ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rotrusion 26.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가이드돌기(26) 및 가이드홈(27)의 개수가 각각 하나인 것으로 예시하나, 상기 가이드돌기(26) 및 가이드홈(27)의 개수는 가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돌기(26)가 회전체(21)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27)이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마련되는 것과 같은 변형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2 to 4 illustrate that the number of the guide protrusions 26 and the guide grooves 27 is one, respectively, but the number of the guide protrusions 26 and the guide grooves 27 is variable.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guide protrusion 26 may be provided in the rotating body 21 and the guide groove 27 may b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회전체(21)의 자세에 연동하여 홀드 또는 비홀드상태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상태를 전환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한 회전체(21)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제1 및 제2센서(29)(30)를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28 switches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o a hold or non-hold state in association with the attitude of the rotating body 21. To this end, the controller 28 includes first and second sensors 29 and 30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rotor 21 relativ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여기서, 상기 제1센서(29)는 상기 회전체(21)와 연동하도록 회전체(21) 상에 설치되되, 자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센서(29)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회전체(21)가 도 2의 도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해 수납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의 메인 제어보드(13)와 마주하고, 도 3의 도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해 회전체(21)가 R1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에는 메인 제어보드(13)로부터 멀어진다. 즉, 상기 제1센서(29)는 자석 센서인 것이다.Here, the first sensor 29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body 21 to interlock with the rotating body 21, and has a magnetic forc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first sensor 29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rotor 21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as shown in FIG. 2. The main control board 13 faces the main control board 13 of the body 10 and is rotated in the R1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as shown in FIG. 3. Away from That is, the first sensor 29 is a magnetic sensor.

상기 제2센서(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의 메인 제어보드(13)에 마련되어 상기 제1센서(29)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의 세기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센서(30)는 상기 제1센서(29)와의 접근성에 의해 가변되는 자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내부 저항이 가변되는 홀센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센서(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제어보드(13)에 실장되거나,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메인 제어보드(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제어보드에 실장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의 전면에 마련된 터치조작부(11)를 통한 조작신호의 입력을 홀드/비홀드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2센서(30)는 감지되는 제1센서(29)의 자력 세기가 클 경우, 상기 회전체(21)가 수납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파악하며, 상기 제2센서(30)로부터 감지되는 제1센서(29)의 자력 세기가 상대적으로 낮아진 경우, 회전체(21)가 회전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The second sensor 30 is provided on the main control board 1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to sen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first sensor 29. Specifically, the second sensor 30 is configured as a Hall sensor in which the internal resistance is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that is variable by the access to the first sensor 29. Here, the second sensor 30 is mounted on the main control board 13 as shown, or not shown in detail, but mounted on a separate control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board 13 for mobile communication. The input / output of the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1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10 is held / non-holded.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sensor 29 detected is large, the second sensor 30 recognizes that the rotating body 21 is located at a storage position, and the second sensor 30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sensor 29 detected from the relatively low,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or 21 is located in the rotation posi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의 홀드 동작을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hold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우선, 도 3과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해 상기 회전체(21)가 수납된 상태로 마련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는 홀드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4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체(21)가 R1방향으로 회전되면, 이통통신 단말기(1)는 비홀드상태로 전환된다. First, as shown in FIG. 3, when the rotatable body 21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maintains a hold state. Thereafter, as shown in FIG. 4, when the rotating body 21 is rotated in the R1 direction by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switched to the non-hold state.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마련된 제1자석(23)과 회전체(21)에 마련된 제2자석(24) 사이에 발생되는 척력으로 인해, 상기 회전체(21)의 R1방향 회전력이 가동된다. 좀더 자세하게는, 상기 제2자석(24)이 도 3과 같이, 상기 제1자석(23)의 길이(L1)에 대한 1/2인 지점을 기준으로 하부와 마주한 상태로써 제1 및 제2자석(23)(24) 사이의 척력이 평형을 유지한다. 이후, 상기 회전체(21)에 R1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질 경우,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2자석(24)이 회전체(21)에 연동하여 제1자석(23)과의 척력 평형이 해제되면서 척력 최대값 지점(M)인 제1자석(23) 길이(L1)의 1/2 지점을 통과하면서 R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자석(24)은 척력 최대값 지점(M)을 통과함에 따라, 회전체(21)의 R1방향으로의 초기 회전력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0)에 대한 회전체(21)의 회전거리(r)는 스토퍼(25)에 의해 규제된다. Here, due to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 23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and the second magnet 24 provided in the rotor 21, the rotational force in the R1 direction of the rotor 21 Is operat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agnet 24 based on a point 1/2 of the length L1 of the first magnet 23. The repulsive force between 23 and 24 is in equilibrium. Then, when the rotational force in the R1 direction is applied to the rotating body 21, as shown in Figure 4, the second magnet 24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ng body 21 and the repulsive force with the first magnet 23 The balance is released and rotates by R while passing through a 1/2 point of the length L1 of the first magnet 23 that is the maximum repulsive force point M. Accordingly, as the second magnet 24 passes through the maximum repulsive force point M, the initial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21 in the R1 direction is maximized. Here, the rotation distance r of the rotating body 21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25.

이상과 같이, 상기 회전체(21)가 R1방향으로 R만큼 회전되어 회전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체(21)의 위치 정보가 제1센서(29)와 제2센서(30) 사이의 신호 교환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터치조작부(11)를 통한 조작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비홀드 상태로 전환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ng body 21 is rotated by R in the R1 direction and positioned at the rotating posi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otating body 21 is a signal between the first sensor 29 and the second sensor 30. It is sensed by the exchange, and is switched to the non-hold state where the input of the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1 is possible.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위치에 위치하는 회전체(21)를 다시 R2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터치조작부(14)를 통한 조작신호의 입력이 불가능한 홀드상태로 전환된다. 이때에도, 상기 제1 및 제2자석(23)(24) 사이의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21)의 R2방향 회전력이 보조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ng body 21 located in the rotation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again in the R2 direction, it is switched to the hold state in which the input of the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4 is impossible. At this time, the rotational force in the R2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1 is assisted by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 and 2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홀드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old unit,

도 3은 수납위치에 위치하는 홀드유닛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hold unit located in the storage position;

도 4는 회전위치에 위치하는 홀드유닛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그리고,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hold unit located in the rotational position, and

도 5는 도 1의 배면도이다. 5 is a rear view of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이동통신 단말기 10: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1: 터치 조작부 13: 메인 제어보드11: Touch control panel 13: Main control board

20: 홀드유닛 21: 회전체20: hold unit 21: rotating body

23: 제1자석 24: 제2자석23: first magnet 24: second magnet

25: 스토퍼 28: 제어부25: stopper 28: control unit

Claims (20)

터치에 의해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터치조작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 및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having a touch manipulation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by touch; An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자세에 따라 상기 터치조작부를 통한 조작신호의 입력을 선택적으로 홀드(Hold) 또는 비홀드상태로 전환시키는 홀드유닛; A hold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old unit selectively switching an input of an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touch operator according to a rotational position to a hold or non-hold state; 을 포함하며, Including; 상기 홀드유닛은, The hold uni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체; A rotating body rota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나란한 길이를 가지고 설치되는 제1자석; A first magnet installed in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length parallel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나란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자석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면이 상기 제1자석과 일부 영역 중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자석; A second magnet installed on the rotating body having a length parallel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having a surface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first magnet and disposed so as to overlap a portion of the first magnet so as to face each other; 상기 회전체의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및A stopper for regula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ng body; And 상기 회전체의 자세에 연동하여 상기 홀드 또는 비홀드상태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전환시키는 제어부;A control unit which switches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held or non-held state in association with the attitude of the rotating body; 를 포함하며, Including; 상기 회전체에 카메라유닛, 스피커유닛, 이어폰 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camera unit, speaker unit, earphone jack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홀드유닛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대해 수납시 상기 홀드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대해 회전시 상기 비홀드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hold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o the hold state when rece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and to the non-hold state when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토퍼는, The stopper i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몸체에 돌출 마련되는 가이드돌기; 및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되,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나란하게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홈;A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rotary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and penetrating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body;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며, 자력을 가지는 제1센서; 및A first sensor installed on the rotating body and having a magnetic force; And 상기 제1센서의 위치에 따른 자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 여부 파악하는 제2센서;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by sensing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ensor;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삭제delete 터치 입력방식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신호 입력을 선택적으로 홀드(Hold) 또는 비홀드상태로 전환시키는 홀드유닛에 있어서, In the hold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the operation signal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method to a hold or non-hold stat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체; A rotating body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보조하는 액추에이터부; An actuator unit for assisting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회전체의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및A stopper for regula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ng body; And 상기 회전체의 자세에 연동하여 상기 홀드 또는 비홀드상태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전환시키는 제어부;A control unit which switches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held or non-held state in association with the attitude of the rotating body; 를 포함하며, Including;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The actuator uni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나란한 길이를 가지고 설치되는 제1자석; 및A first magnet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length parallel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상기 제1자석과 동일 형상을 가지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자석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면이 상기 제1자석과 일부 영역 중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자석; A first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magnet and installed in the rotating body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having a surface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first magnet and overlapping the first magnet in a partial region; 2 magnets; 을 포함하며, Including; 상기 회전체에 카메라유닛, 스피커유닛, 이어폰 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홀드유닛. Hold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camera unit, speaker unit, earphone jack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스토퍼는, The stopper i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돌출 마련되는 가이드돌기; 및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회전체에 마련되되,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나란하게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홈;A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rotary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and penetrating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body;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홀드유닛. Hold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며, 자력을 가지는 센서; 및A sensor installed on the rotating body and having a magnetic force; And 상기 센서의 자력 세기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회전 여부 파악하여, 상기 홀드 또는 비홀드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 A control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according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sensor and switches to the hold or non-hold state;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홀드유닛. Hold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58970A 2009-06-30 2009-06-30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hold unit thereof KR1011034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70A KR101103486B1 (en) 2009-06-30 2009-06-30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hold uni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70A KR101103486B1 (en) 2009-06-30 2009-06-30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hold unit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36A KR20110001436A (en) 2011-01-06
KR101103486B1 true KR101103486B1 (en) 2012-01-09

Family

ID=4361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970A KR101103486B1 (en) 2009-06-30 2009-06-30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hold unit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4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7769A1 (en) * 2011-09-30 2013-11-21 Sangita Sharma Mobile device activation by user gras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12A (en) * 2001-09-14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Hinge device using magnetic material for portable telephone
KR20070010561A (en) * 2005-07-19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Hold key and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adopting the same hold key
KR20090035752A (en) * 2007-10-08 2009-04-13 주식회사 자코드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12A (en) * 2001-09-14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Hinge device using magnetic material for portable telephone
KR20070010561A (en) * 2005-07-19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Hold key and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adopting the same hold key
KR20090035752A (en) * 2007-10-08 2009-04-13 주식회사 자코드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36A (en)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4677B1 (en) Mobi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input device
JP5309821B2 (en) Portable device
EP2456175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P2703935B1 (en) Portable device
US7099708B2 (en) Foldable/Slidable Function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110009B1 (en) Electronic apparatus
EP1496675B1 (en) Slidable mobile phone with motor
US20070046635A1 (en) Electronic apparatus
EP2387208B1 (en)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KR20090127261A (en) Adaptable user interface and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90113371A (en) Multimodal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0024524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Unit Being Movable in Relation to a Base Unit
KR101103486B1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hold unit thereof
KR20090125071A (en) Adaptable user interface and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9171085A (en) Electronic device
JP2000235822A (en) Multi-directional switch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129425B1 (en) Key locking device of portable terminal using cover apparatus
KR100632114B1 (en) Pointing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91007B1 (en) Portable device
KR101271533B1 (en) Portable terminal
EP2375703B1 (en)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KR100724433B1 (en) 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EP137205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3918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jog shuttle key
JP2001043776A (en) Opening and closing detecting mechanism of fol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