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834B1 - Method of sound-output depending on use frequency - Google Patents

Method of sound-output depending on use frequ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834B1
KR101093834B1 KR1020040093521A KR20040093521A KR101093834B1 KR 101093834 B1 KR101093834 B1 KR 101093834B1 KR 1020040093521 A KR1020040093521 A KR 1020040093521A KR 20040093521 A KR20040093521 A KR 20040093521A KR 101093834 B1 KR101093834 B1 KR 101093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level
default
source leve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53474A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834B1/en
Publication of KR2006005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4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8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특정 음원의 출력시에 각 음원마다 고유의 레벨로 음원을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각 음원마다 사용빈도가 높은 음원을 해당 음원의 디폴트 출력 음원레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원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복수의 음원들 각각에 대한 디폴트 음원레벨을 설정하는 단계와; 특정 음원 발생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음원으로 설정된 디폴트 음원레벨의 음량크기로 상기 해당 음원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at a unique level for each sound source at the time of outputting a specific sound sour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fault output source level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It is characterized by setting.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setting a default sound source level for each of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specific sound source generation event occurs, outputting the sound source in the volume level of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set as the sound source.

이동통신단말기, 음원, 레벨, 벨소리, MP3Mobile terminal, sound source, level, ringtone, MP3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빈도에 따른 특정 음원레벨로 출력하는 방법{METHOD OF SOUND-OUTPUT DEPENDING ON USE FREQUENCY} How to output at specific sound source level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SOUND-OUTPUT DEPENDING ON USE FREQUENCY}             

도 1은 종래의 음원출력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ound source output proces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디폴트 음원레벨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default sound source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디폴트 음원레벨에 따라 각 음원을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each sound source according to a default sound source leve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302: 특정음원 발생 이벤트 304: 요청된 특정음언 출력302: Specific sound source event 304: Requested specific speech output

306: 재생되는 음원레벨 변화? 308: 변화된 음원레벨의 누적치 증가306: Change in sound source level being played? 308: increase the cumulative value of the changed sound source level

310: 음원재생 종료 요청? 312: 디폴트 음원레벨 설정
310: Sound source playback end request? 312: Default source level setting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특정 음원의 출력 시에 각 음원마다 고유의 레벨로 음원을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각 음원마다 사용빈도가 높은 음원을 해당 음원의 디폴트 출력 음원레벨로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utputting a sound source at a unique level for each sound source at the time of outputting a specific sound sour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default output sound source level of a high frequency source for each sound source It is about how to set.

최근에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내 음원제공에 있어서, 64화음 벨소리 음원, MP3 음원, 키톤 음원, 통화 중 음성 음원 등 다양한 음원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음원들은 소정의 음원레벨에 따라 그 음량이 결정되어 출력된다.Recently, various functions have been provi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particular, in the provision of a sound sour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arious sound sources such as a 64 chord ringtone sound source, an MP3 sound source, a keytone sound source, and a voice sound during a call ar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and output.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음원이 출력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sound sour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착신 콜 요청에 의해 벨소리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이동통신단말기 내 MP3 기능을 재생시키는 이벤트, 키패드 눌림에 의한 키톤 음원 발생 이벤트, 통화음성을 이어 스피커(ear speaker)를 통해 발생시키는 이벤트 등과 같이 특정한 음원에 대해서 출력 또는 재생을 요청하는 특정 음원 발생 이벤트가 있는 경우(102)에는, 이동통신단말기는 가장 최근에 재생된 음원의 음원레벨을 파악(104)하여 상기 파악된 음원레벨의 음량크기로 요청된 특정 음원을 출력(106)한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an ringtone by an incoming call request, an event for reproducing an MP3 func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vent of generating a keytone sound source by pressing a keypad, and an audio call through an ear speaker. If there is a specific sound source generation event requesting output or reproduction for a specific sound source, such as an event to be made (10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rasps the sound source level of the most recently played sound source (104) and determines the identified sound source level. Outputs a specific sound source requested as the volume level of 106.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has the following problems.

64화음 벨소리 음원, MP3 음원, 키톤 음원, 통화 중 음성 음원 등과 같은 다 양한 음원들은 그 용도 및 성질을 달리하는데, 특정 음원발생 이벤트 발생시에 일괄적으로 최근 재생된 음원의 음원레벨로 하여 요청된 특정 음원을 발생시키는 불합리한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MP3 음원을 가장 높은 출력을 발생시키는 음원레벨 5로 하여 재생시키고 음원레벨 5상태에서 MP3 재생 모드를 종료하였다면, 이 상태에서 추후 콜 착신이 있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최근 종료된 음원레벨5 크기로 벨소리를 울리게 되어 사용자 의도와 상관없이 주변에 벨소리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가장 최근에 재생되는 음원레벨이 디폴트 음원레벨로 일괄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각 음원의 특성에 맞는 음원레벨이 디폴트로 설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Various sound sources such as 64 chord ringtones, MP3s, keytones, and voice calls during a call have different uses and properties. There was an unreasonable problem of generating the sound source. For example, if the most recent MP3 sound source is played at the sound source level 5 that generates the highest output and the MP3 play mode is terminated at the sound source level 5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end recently if there is a call reception in this stat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ingtone is ringing at the sound source level 5 size, causing ring noise in the surroundings regardless of the user intention. As such, since the most recently reproduced sound source level is collectively set as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und source level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und source is not set as the default.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안출된 것으로서, 각 음원마다 출력 디폴트로서 별도의 음원레벨을 각각 갖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디폴트로 설정되는 음원레벨은 각 음원별로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던 음원레벨을 해당 음원의 디폴트 음원레벨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음원마다 고유의 디폴트 음원레벨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separate sound source level as an output default for each sound source, and in particular, the sound source level set as the default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for each sound source. Set the level to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setting a unique default sound source level for each sound source.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원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복수의 음원들 각각에 대한 디폴트 음원레벨을 설정하는 단계와; 특정 음원 발생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음원으로 설정된 디폴트 음원레벨의 음량크기로 상기 해당 음원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default sound source level for each of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specific sound source generation event occurs, outputting the sound source in the volume level of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set as the sound sour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의 일반적 관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general practices of those belonging to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F부(202)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02)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204)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RF unit 202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F unit 202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204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and the like. That is, the data processor 104 may be configured of a modem and a co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such as voice.

오디오 처리부(206)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04)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04)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udio processor 206 reproduces a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204 through a speaker or transmits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to an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204. To perform.

키입력부(2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로서 동작하며, LCD(210)는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제어부(208)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재생되는 음원레벨의 누적치 저장 작업과 각 음원마다의 디폴트 음원레벨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가진 프로그램에 따라 각 기능부를 제어한다.The key input unit 212 operates a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and the LCD 210 displays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on a screen. The controller 208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08 controls each function unit according to a program having an operation of storing a cumulative value of the reproduced sound source levels and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a default sound source level for each sound source. do.

메모리(214)는 롬(ROM) 및 램(RAM)으로 이루어지는데 롬(ROM)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팅(booting) 프로그램 및 운영체계(OS)가 상주해 있으며,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올라가 있다. 특히, 메모리에는 벨소리 음원, MP3음원, 키톤음원 등과 같이 다양한 음원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롬(ROM)이나 램(RAM)에는 운영자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데, 특히 본원 발명의 경우에는 음원레벨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다. 도 2에서는 그 특징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음원레벨 데이터베이스(220)를 별도로 도시하였다.Memory 214 is composed of a ROM (ROM) and RAM (RAM), the ROM (boot) program and operating system (O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id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gram to control it. In particular, various sounds are stored in the memory, such as a ringtone sound source, an MP3 sound source, and a keytone sound source. Further, operator data and user data are stored in a ROM or a RA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ource level database is provided. In FIG. 2, the sound source level database 220 is separately illustrated to clarify its features.

음원레벨 데이터베이스(220)는 각 음원마다 누적치 음원레벨과 디폴트 음원레벨을 저장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가 벨소리 음원, MP3 음원, 키톤 음원, 통화 중 음성 음원과 같이 다양한 음원을 제공하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음원레벨 필드(222,224,226)를 두어서 해당 음원의 누적치 음원레벨 및 디폴트 음원레벨을 저장한다. 상기에서 누적치 음원레벨이라 함은 해당 음원의 출력시에 현재까지 적용된 음원레벨의 사용치가 누적 저장되는 항목을 말하고, 디폴트 음원레벨이라 함은 해당 음원의 각 음원레벨 중에서 가장 누적치가 높은 음원레벨을 나타내는 항목으로서, 이하에서는 누적치 음원레벨 및 디폴트 음원레벨이라 함은 상기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다음의 표 1에서 각 음원과 해당 음원에 대한 누적치 음원레벨과 디폴트 음원레벨을 일예로서 나타내었다.
The sound source level database 220 manages the database to store the cumulative value sound source level and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for each sound source.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various sound sources such as a ringtone sound source, an MP3 sound source, a keytone sound source, and a voice sound during a call, the respective sound level fields 222, 224, 226 are placed as shown in FIG. Stores the sound source level and default sound source level. The cumulative value sound source level refers to an item in which the usage value of the sound source level applied to the present time is accumulated and stored at the time of outputting the sound source, and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indicates a sound source level having the highest cumulative value among the respective sound source levels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umulative value sound source level and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shall mean the above meanings. Table 1 shows the cumulative sound source level and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for each sound source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as an example.

Figure 112004053145118-pat00001
Figure 112004053145118-pat00001

상기 표 1에서 벨소리 음원레벨 필드의 경우, 레벨1은 사용빈도가 1회, 레벨2는 사용빈도가 7회, 레벨3은 사용빈도가 5회, 레벨4는 사용빈도가 4회, 레벨5는 사용빈도가 3회로 각각 누적치 음원레벨로서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누적치 음원레벨은 벨소리 음원의 해당 음원레벨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때 그대 그때마다 갱신되어 저장된다. 한편, 표 1에서 벨소리 음원레벨의 디폴트 음원레벨은 현재 상태에서 레벨2가 가장 많은 7회 사용 누적되었으므로 레벨2가 디폴트 음원레벨 로 설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MP3 음원레벨의 경우에는 음원레벨4가 가장 많은 9회 사용 누적되었으므로 음원레벨4가 디폴트 음원레벨로 설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ring 1 sound source level field in Table 1, Level 1 is 1 frequency, Level 2 is 7 frequency, Level 3 is 5 frequency, Level 4 is 4 frequency, Level 5 is The frequency of use is registered three times as cumulative value sound source levels. This cumulative value source level is updated and stored each time when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level of the ringtone source is made by the user's selection. On the other hand, in Table 1,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of the ringtone sound source level is accumulated 7 times the most used level 2 in the current state, it can be seen that the level 2 is set to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MP3 sound source level, since the sound source level 4 is accumulated the most 9 times,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source level 4 is set as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각 음원마다 디폴트 음원레벨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default sound source level for each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대기모드 상태에서 특정 음원에 대한 음원발생 이벤트가 발생(302)되는 경우, 제어부는 요청된 음원을 재생(304)한다. 예를 들어, 대기상태(idle state)에서 사용자로부터 MP3 동작 명령을 입력받아 특정 MP3 음원을 발생시켜야 하는 MP3 음원발생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요청된 MP3 음원을 소정의 음량으로 출력 재생시킨다. First, when a sound source generation event for a particular sound source is generated 302 in the standby mode, the controller plays 304 the requested sound source. For example, when an MP3 sound generation event that generates a specific MP3 sound source is generated by receiving an MP3 operation command from a user in an idle state, the requested MP3 sound source is output and reproduced at a predetermined volume.

해당 MP3 음원 출력 중에 출력되는 음량이 적당하지 않다고 판단한 사용자가 특정 음원레벨로 음량을 높이거나 낮추는 경우(306a), 제어부는 변화된 음원레벨에 대한 사용 횟수를 1 증가(308)시켜 MP3 음원레벨 필드의 누적치 음원레벨을 업그레이드 시킨다. 상기 업그레이드가 있은 후 음원재생 종료 요청이 있는가를 판단(310)하여 음원재생 종료 요청이 없는 경우(310b)에는 계속해서 변화된 음원레벨 크기로 음원을 출력 재생(304)한다. If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volume output during the output of the MP3 sound source is not appropriate, increases or decreases the volume to a specific sound source level (306a),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changed sound source level by 1 (308) to the MP3 sound source level field. Upgrade the cumulative sound level. After the upgra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sound source reproduction end request (310). If there is no sound source reproduction end request (310b), the sound source is continuously output and reproduced at the changed sound source level.

반면에 음원 재생 중에 음원레벨에 변화가 없는 경우(306b)에는 누적치 음원레벨 업그레이드 과정 없이 음원재생 종료 요청이 있는가를 판단(310)하여 음원재생 종료 요청이 없는 경우(310a)에는 이전의 음원레벨 크기로 계속하여 음원을 출 력 재생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sound source level during sound source playback (306b),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sound source play end request without the cumulative value sound source level upgrade process (310). Continue playing the sound source.

한편, 음원 재생 중에 사용자로부터 음원재생 종료 요청이 있는 경우(310a)에는, 누적치 음원레벨 중에서 가장 누적치가 높은 음원레벨을 디폴트 음원레벨로 설정(312)하고 음원재생을 종료함으로써, 각 음원에 대한 디폴트 음원레벨 설정 과정을 마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requests a sound source reproduction end from the user during sound source reproduction (310a), the sound source level having the highest cumulative value among the cumulative value sound source levels is set as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312) and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is terminated, thereby causing a default for each sound source. You can finish the sound level setting process.

도 4는 도 3의 플로우에 따라 각 음원마다 설정된 디폴트 음원레벨에 따라 음원을 출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a default sound source level set for each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flow of FIG. 3.

도 3의 도시한 과정을 거쳐 각 음원마다 디폴트 음원레벨이 설정(402)된 후 특정 음원 재생 요청 이벤트가 있는 경우(404)에, 제어부는 요청된 해당 음원의 디폴트 음원레벨 수치를 음원레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406)하여 가져온다. 그 후, 검색된 해당 음원의 디폴트 음원레벨의 크기로 해당 음원을 출력 재생(408)한다. When there is a specific sound source reproduction request event after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is set 402 for each sound source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value of the requested sound source from the sound source level database. Retrieve (406). Thereafter, the sound source is output and reproduced 408 at the size of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of the sound source found.

예를 들어, 대기모드(idle state)에서 콜 착신 요청이 있어 착신 벨소리 발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제어부(208)는 벨소리의 디폴트 음원레벨을 음원레벨 데이터베이스(220)내의 벨소리 음원레벨 필드(222)에서 검색한다. 표 1의 벨소리 음원레벨의 디폴트 음원레벨이 레벨2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어부(208)는 음원레벨 2의 크기로 벨소리를 출력시킨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request in the idle state and an incoming ringtone occurrence event occurs, the controller 208 sets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of the ringtone in the ringtone sound source level field 222 in the sound source level database 220. Search on. Since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of the ringtone sound source level in Table 1 is set to level 2, the control unit 208 outputs the ringtone in the size of the sound source level 2.

한편, 대기모드(idle state)에서 사용자로부터 MP3재생 요청이 있어 MP3 음원 재생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표 1에서와 같이 MP3 음원레벨 필드의 디폴트 음원 레벨이 레벨4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음원레벨 4의 크기로 MP3 음원을 출력시킨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 MP3 playback request from the user in idle mode and an MP3 sound source playback request,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of the MP3 sound source level field is set to level 4 as shown in Table 1, Outputs MP3 sound source in size.

결국, 본 발명에 의할 때 각 음원마다 고유의 디폴트 음원레벨을 가지게 됨으로써, 각 고유의 음원 크기의 음량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sound source has its own default sound source level,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volume of each unique sound source siz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determin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will be apparent in the claims as well as equivalent scope.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음원마다 고유의 디폴트 음원레벨을 가지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각각의 음원마다 디폴트 음원레벨로서 음원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폴트 음원레벨의 설정에 있어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음원레벨을 자동적으로 디폴트 음원레벨로 설정됨으로써 효율적인 음원레벨 설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output a sound source as a default sound source level for each sound source by having a unique default sound source level for each sound source. In addition, the sound source level which i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setting of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is automatically set as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so that an efficient sound source level can be set.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원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복수의 음원들 각각에 대한 디폴트 음원레벨을 설정하는 단계와,Setting a default sound source level for each of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정 음원 발생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음원으로 설정된 디폴트 음원레벨의 음량크기로 상기 해당 음원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원을 출력하는 방법.And outputting the sound source at a volume level of a default sound source level set as the sound source when a specific sound source generation event occurs.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디폴트 음원레벨은 해당 음원의 복수의 음원레벨들 중 사용빈도수가 가장 높은 음원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원을 출력하는 방법.And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is a sound source level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mo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 levels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제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디폴트 음원레벨의 음량크기로 상기 해당음원을 출력하는 동안 음원레벨의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변경된 음원레벨의 음량크기로 상기 해당음원을 출력하는 단계와,Outputting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at the volume level of the changed sound source level when a change in the sound source level is detected while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at the volume level of the default sound source level; 상기 해당음원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변경된 음원레벨의 사용빈도수를 증가하는 단계와,Increas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hanged sound source level while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상기 변경된 음원레벨의 사용빈도수가 상기 해당 음원의 복수의 레벨들 각각에 대한 사용빈도수 중 가장 크면, 상기 변경된 음원레벨을 상기 해당음원의 디폴트 음원레벨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원을 출력하는 방법.And i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hanged sound source level is the highest among the frequency of us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evels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setting the changed sound source level as a default sound source level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How to output the sound source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제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이동통신단말기의 복수의 음원들은 키톤, 벨소리, MP3음원 및 통화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원을 출력하는 방법.And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at least one of a keytone, a ringtone, an MP3 sound source, and a call sound source.
KR1020040093521A 2004-11-16 2004-11-16 Method of sound-output depending on use frequency KR1010938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521A KR101093834B1 (en) 2004-11-16 2004-11-16 Method of sound-output depending on use frequ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521A KR101093834B1 (en) 2004-11-16 2004-11-16 Method of sound-output depending on use frequenc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474A KR20060053474A (en) 2006-05-22
KR101093834B1 true KR101093834B1 (en) 2011-12-13

Family

ID=3715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521A KR101093834B1 (en) 2004-11-16 2004-11-16 Method of sound-output depending on use frequ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83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474A (en)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71102B (en) Audio playing volume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KR100783113B1 (en) Method for shortened storing of music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8491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laying music file and a method thereof
KR20020065645A (en) Portable telephone
KR101093834B1 (en) Method of sound-output depending on use frequency
KR20090027817A (en) Method for output background soun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6634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call in a portable terminal with mp3 play function
KR20010003178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regeneration of media and information data
KR1007522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ckground sound in mobile phone
KR100678119B1 (en) Method for replaying music file in wireless terminal
JP5008797B2 (en) Mobile phone equipment
KR20070021456A (en) Performing and generating music pattern game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67865A (en) Mobile phone capable of playing multimedia contents with a telephone call
KR100678114B1 (en) Method for playing music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77373B1 (en) Method for performing lock mode for children in wireless terminal
JP4356829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07089A (en) Method for editing bell sou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716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going call waiting sou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54628B1 (en) Method for performing action using vibra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07901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file in a wireless mobile terminal
KR20060060180A (en) Method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in mobile phone
JP2001086219A (en)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KR10062134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aving/Resuming Work State and Method for Saving/Resuming Work State
KR20010027241A (en) Terminating call select device in mobile terminal and terminating call select method
KR200424763Y1 (en) Receive terminal including voicetransform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