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167B1 - safety candlestick. - Google Patents

safety candle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167B1
KR101093167B1 KR1020090061223A KR20090061223A KR101093167B1 KR 101093167 B1 KR101093167 B1 KR 101093167B1 KR 1020090061223 A KR1020090061223 A KR 1020090061223A KR 20090061223 A KR20090061223 A KR 20090061223A KR 101093167 B1 KR101093167 B1 KR 101093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holder
safety
pip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3780A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09006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167B1/en
Publication of KR2011000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F21V35/003Special means for attaching the candle to the candle holder

Abstract

물이 충입되는 통 모양의 투명한 재질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 하단에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용기; 초 하단으로 끼워져 초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가 상부에 형성된 꽂을대, 상기 꽂을대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측 하단면에 안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 1조립체; 및 상기 꽂을대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초 하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관로, 상기 관로의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되는 촛농받이, 상기 관로 하부에 형성되는 추역할부를 포함하는 제 2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인 안전 촛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위험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안전 촛대를 제공할 수 있다.A container including a container formed of a transparent transparent material into which water is filled, and a pedestal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 first assembly including a holder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older, the support being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lder and sea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a pipe line fit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pipe in a pip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art so as to be penetrated by the plug, a candle tray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line, and a reversal portion formed under the pipe line. It relates to a safety candle holder comprising; a second assembly compri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ty candle holder that can minimize the risk of fire.

촛대 candlestick

Description

안전 촛대{safety candlestick.}Safety candlestick.

본 발명은 초를 세워주는 촛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의 위험성을 최소화 시키는 안전 촛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dlestick for standing cand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candlestick to minimize the risk of fire.

초란 밀이나 백랍 또는 쇠기름 따위의 원료를 끓여서 원기둥 모양으로 굳힌 몸체에 심지를 삽입시킨 것으로, 이러한 심지에 불을 붙일 경우 부드럽고 은은한 촛불의 정취를 느낄 수 있고, 몸체의 촛농이 녹아내리면서 불을 밝혀준다는 의미에 따라 전통적으로 일반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경건함과 자기 희생적 사랑이 요구되는 장소나 종교행사나, 경축행사 등에 상징적인 의미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촛불이 산화하면서 공기중의 나쁜 냄새나 담배연기 등을 제거할 수 있고, 은은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어 레스토랑이나 카페, 주점 같은 장소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Boiled raw materials such as wheat, pewter or iron oil are inserted into the body, which has been hardened in a cylindrical shape.When the fire is ignited, the wick can be felt soft and soft, and the candlelight of the body melts to reveal the fire. Traditionally, it is widely used not only in ordinary families but also symbolically in places where religiousness and self-sacrificing love are required, religious events, and celebrations. In addition, the candle can be oxidized to remove bad smell in the air, tobacco smoke, etc., and to create a subtle atmosphere, so it is widely used in places such as restaurants, cafes, and taverns.

이러한 초는 일반적으로 바닥에 초의 하단을 녹여 붙여 사용하는데, 최근에는 미관상 촛대와 함께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se candles are generally used by melting the bottom of the candle on the bottom, which is recently used with aesthetic candle holders.

그러나 이와 같은 촛대는, 초가 촛대 몸체의 상부에 뾰족하게 형성된 촛대꽂이에 초의 하단 일부만이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외부에서 작은 힘만 가해져도 촛 대나 초가 쓰러지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화재까지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촛농이 흘러내려 주변이 지저분해질 뿐만 아니라, 촛대가 주는 심미감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andlestick is fixed to the candlestick holder which is poi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ndlestick body, so only a small portion of the candle is fixed, and even a small amount of external force causes the candlestick or candle to fall, and in some cases may cause a fire.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ndlesticks flow down and the surroundings are not only dirty, but the aesthetics of the candlesticks are insufficien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의 위험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안전 촛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afety candle holder that can minimize the risk of fi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촛농받이를 설치하여 촛농으로 주변이 더럽혀지는 것을 막고, 촛농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안전 촛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candle holder to install the candle holder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with the candle holders, and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candle holder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꽃 형상을 본따고, 발광부재를 이용하여 보다 뛰어난 아름다움을 주는 안전 촛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del the shape of a lotus, and to provide a safety candle holder using a light emitting member to give more excellent beaut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물이 충입되는 통 모양의 투명한 재질의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하단에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용기, 초 하단으로 끼워져 초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가 상부에 형성된 꽂을대, 상기 꽂을대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측 하단면에 안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 1조립체 및 상기 꽂을대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초 하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관로, 상기 관로의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되는 촛농받이, 상기 관로 하부에 형성되는 추역할부를 포함하는 제 2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꽂을대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관로가 초 하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추역할부의 무게를, 초가 타서 상기 고정부가 모습을 드러낸 경우의 초와 고정부 사이에 존재하는 마찰력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 container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of a cylindrical transparent material filled with water and the bas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fit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candle to be fixed to the candle A diameter of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ortion so that the fixing portion can be penetrated by the first assembly including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suppor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assembly including a pipe passage fitted to the bottom of the pipe in a pipe shape, a candle holder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a reversing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ipe. A pipeline is fitted at the bottom of the candle and is fixed. And a second, high characterized in that larger than frictional force that exists between the state of the case to embellish.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연꽃 꽃잎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연꽃 꽃받침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tus petal, and the pedest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tus calyx.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edesta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light source member therei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져 초가 넘어지더라도 화재 발생을 줄 일수 있고 초가 다 탄 경우에 자동으로 촛불을 꺼지게 하는 안전 촛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ty candle holder that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fire even if the candle falls over when an external shock or pressure is applied and automatically turns off the candle when the candle burns ou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촛농받이를 설치하여 촛농으로 주변이 더럽혀지는 것을 막고, 촛농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안전 촛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a candle holder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with the candle, and can provide a safety candle holder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cand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꽃 모양을 가지고 광원 부재를 이용하여 뛰어난 심미감을 주는 안전 촛대를 제공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afety candle holder having a lotus shape and using the light source member to give an excellent aesthetic feeling.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안전촛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 safety candle hold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촛대의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촛대의 제 1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촛대의 2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of a safety candle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assembly of a safety candle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wo assemblies of safety candle holde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촛대는 용기, 제 1조립체 및 제 2조립체를 포함한다. A safety cand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a first assembly and a second assembly.

상기 용기(100)는 물이 충입되는 통 모양의 투명한 재질의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 하단에 형성되는 받침대(120)를 포함한다.The container 10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10 of a cylindrical transparent material in which water is filled and a pedestal 12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수용부(110)는 유리, 도자기, 크리스탈,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재질로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내부가 고르게 투영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됨이 물 충입이 용이하고, 상기 수용부(110) 내부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10)에 초가 위치한 상태에서 촛불이 타오르므로 충분한 내구성을 갖추어야 함은 물론이고, 그 외관 역시 미려한 형상을 갖는 것이 촛대가 장식용으로도 많이 사용되는 추세로 보아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10)는 일반적인 원통과 같은 통 모양뿐만 아니라 각진 모양, 통상적인 어항의 모양, 불상 등과 같은 종교적 의미를 갖는 무늬, 나비 모양, 자유의 여신상, 꽃 봉오리 모양 등 과 같이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The accommodating part 110 is made of a material of glass, ceramics, crystal, plastic or metal. Preferably, the accommodating part 1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which can be evenly projected inside. It helps to identify the condition. In addition, since the candle is burned in the state where the candle is placed in the receiving part 110, it should be of sufficient durability, and its appearance also has a beautiful shape. Therefore, the accommodating part 110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s well as a cylindrical shape, a pattern having a religious meaning such as an angular shape, a shape of a conventional fish tank, a Buddha statue, a butterfly shape, a statue of liberty, a bud shape, and the like. Would be possible.

상기 받침대(120)는 상기 수용부(110)에 견고하고도 안정감 있는 입설감을 주기 위해서 별도의 중량체로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 역시 상기 수용부(110) 조화되는 아름다운 형상으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The pedestal 120 is installed as a separate weight in order to give a firm and stable sense of standing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it also needs to be manufactured in a beautiful shape in harmony with the receiving portion 110.

상기 제 1조립체(200)는 초(400) 하단으로 끼워져 초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205)가 상부에 형성된 꽂을대(210), 상기 꽂을대(210)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0) 내측 하단면에 안착되는 지지부(220)를 포함한다.The first assembly 20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ndle 400, the fixing portion 205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stand 210 formed on the top, the insertion stand 21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support part 220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상기 고정부(205)는 초를 끼워 넣어야 하므로 단단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2에 도시된 것은 일반적인 초에 형성된 원통형의 구멍에 끼울 수 있도록 동그란 원형 모양을 가지는 것이나 다이아몬드 모양, 반원형의 모양을 가져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모양으로도 대체 가능하다.The fixing part 205 is preferably formed of a hard metal material because the candle should be sandwich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is to have a circular circular shap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 cylindrical hole formed in a general candle, diamond or semi-circular shape can have the same effect can be replaced with the above shape.

상기 지지부(220)는 도2에서는 4개의 막대로 이루어져 상기 초(400)와 결합된 상기 꽂을대(21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촛대의 크기에 따라 그 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꽂을대(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그 크기는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받침대(120)의 직경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220 is made of four rods in Figure 2 serves to support the plug 210 coupled with the candle 400, but the number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andlestick. .. Since it plays a role of supporting the stand 210, the size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pedestal 120 so as not to shake.

상기 제 2조립체(300)는 상기 꽂을대(21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20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초 하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관로(310), 상기 관로(310)의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되는 촛농받이(330), 상기 관로 하부에 형성되는 추역할부(320)를 포함한다.The second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wer end of the pip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art 205 so as to be penetrated by the plug 210, the pipeline 310 Candle stand 330 is forme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d the reversing portion 32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상기 관로(310)는 상기 꽂을대(210)에 의하여 관통되어야 하므로 상기 꽂을 대(210)상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20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야만 한다. 다만 너무 큰 직경은 상기 제 2조립체(300)가 상기 수용부(110) 하부로 떨어질 때 안정감을 감소 시킬 우려가 있고, 상기 초(400) 하단에 끼워져야 하므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촛농받이(330)는 상기 관로(310)의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되고 이는 연소되는 초에서 떨어지는 촛농을 받아 내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촛농받이(330)를 설치함으로써 촛농으로 주변이 더럽혀지는 것을 막고, 촛농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촛농받이(330)는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용부(110)에 충입된 물에 넣을 때 부력을 없애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역할부(320)는 상기 관로(31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초(400)가 타서 상기 고정부(205)가 상기 초를 뚫고 모습을 드러내면, 상기 초(400)와 아직 상기 초(400) 내부에 포함되는 고정부(205) 사이에 존재하는 마찰력보다 큰 힘을 하부로 주는 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추역할부(320)는 초(400), 촛농받이(330), 관로(310)의 무게에 따라 변화될 것이다. 또한 상기 추역할부(320)는 상기 수용부(110)에 충입된 물에 넣을 때 부력을 없애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conduit 310 is to be penetrated by the insertion stand 210, it should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art 205 formed on the insertion stand 210. However, too large diameter may reduce the sense of stability when the second assembly 300 fall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and it should be avoided because it should be fitted to the bottom of the candle 400. The candle holder 330 is forme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uit 310 and is for receiving a candle drop falling from the burning candle. Therefore, by installing the candle holders 330, the surroundings of the candle holder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olluted, and the candle holders can be easily cleaned. In addition, the candle holder 330 is preferably formed of light aluminum, it is preferable that a hole is formed as shown in Figure 3 to eliminate buoyancy when put in the water fi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fallback portion 320 is formed under the conduit 310 and when the candle 400 is burned and the fixing part 205 is exposed through the candle, the candle 400 and the candle 400 are still present. ) Acts as a weight giving the force greater than the friction force existing between the fixing portion 205 included in the lower portion. Therefore, the fallback portion 320 will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andle 400, the candle holder 330, the conduit 310. In addition, the inverting portion 32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hole as shown in Figure 3 to remove the buoyancy when put in the water fi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용기, 제 1조립체 및 제 2조립체가 모두 조립된 안전 촛대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candle holder in which a container, a first assembly, and a second assembly are assemble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용기(100), 상기 제 1조립체(200) 및 상기 제 2조립체(300)가 조립된 모습의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ainer 100, the first assembly 200, and the second assembly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물은 언제든지 상기 수용부(110)에 충입될 수 있으나, 조립에 방해되지 않도록 모두 조립한 이후에 충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ater may be fi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at any time, but is preferably filled after all assembl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ssembly.

상기 제 1조립체(200)는 지지부(220)가 수용부(110) 내부에 안착되도록 조립된다. 이 후 상기 제 2조립체(300)를 상기 제 1조립체(200)의 꽂을대(210)가 상기 관로(310)를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조립한다. 그 다음, 상기 꽂을대(210)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205)와 상기 관로(310)를 초(400) 하부에 끼워넣어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205)는 초(4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관로(310)보다 더 깊이 끼워 고정시킨다. 상기 관로(310)는 원래 상기 꽂을대(210)를 축으로 하여 움직일 수 있으나 상기 고정부(205)에 고정된 초(4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움직일 수는 없다. 그러나 초(400)가 충분히 타서 상기 고정부(205)가 모습을 드러내면 상기 고정부(205)가 더 이상 초를 뚫지 못하게 막던 고정부(205) 상부의 초도 존재하지 않게 되고, 상기 추역할부(320)의 무게가 상기 초(400)와 아직 상기 초(400) 내부에 포함되는 고정부(205) 사이에 존재하는 마찰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205)가 더 이상 초(400)를 고정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초(400)와 관로(310)는 상기 꽂을대(210)를 타고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 결국 초(400)는 상기 수용부(110)에 충입된 물에 빠지게 되어 촛불은 꺼지게 된다. 따라서 초가 다 타게 되면 자동적으로 수용부(110)에 충입된 물에 빠지게 되므로 화재의 발생 위험이 극히 줄어들게 된다. 초가 다 탔을 때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질 때에도 초(400)가 넘어져도 수용부(110)에 충입된 물에 빠지게 되므로 역시 화재의 발생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The first assembly 200 is assembled such that the support part 220 is seated in the receiving part 110. Thereafter, the second assembly 300 is assembled so that the plug 210 of the first assembly 200 passes through the conduit 310. Next, the fixing part 205 and the pipe line 310 formed on the insertion stand 210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ndle 400. The fixing part 205 is inserted deeper than the conduit 310 so that the candle 400 does not move. The pipeline 310 may originally move with the insertion stand 210 as an axis, but may not move because it is fixed to the candle 400 fixed to the fixing unit 205. However, when the candle 400 is sufficiently burned to reveal the fixing part 205, the candle on the fixing part 205, which prevents the fixing part 205 from penetrating the candle any longer, does not exist. If the weight of the 320 is greater than the friction force existing between the candle 400 and the fixing part 205 still included in the candle 400, the fixing part 205 no longer holds the candle 400. You won't be able to. Therefore, the candle 400 and the conduit 310 fall down on the rod 210. Eventually the candle 400 falls into the water fi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the candle is turned off. Therefore, if the candle burns out, it automatically falls into the water filled in the receiving unit 110,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risk of fire. Not only when the candle burns out, but also when the external shock or pressure is applied, even if the candle 400 falls, the water falls into the water filled in the receiving unit 110, so the risk of fire is also reduc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꽃 모양의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tus-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연꽃 꽃잎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연꽃 꽃받침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특히, 화재에 대한 안전성 뿐만 아니라 불교적 의미를 담고 있어 절에서 많이 사용될 수 있고 수려한 미관으로 가져 장식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tus petal, the pedest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tus calyx. In particular, it contains not only safety of fire but also Buddhist meaning, so it can be used a lot in temples and can be used for decoration because of its beautiful beaut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includes at least one light source member therein.

상기 광원부재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가장 이상적인 광원부재(400)는 소형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공지된 광원부재 중에서 이에 부합하는 것이 바로 LED이다. 또한, 발광다이오드라고 불리는 LED는 종래의 광원부재에 비해 소형이고, 수명은 길며,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들고 효율이 좋기 때문이다. The light source member is preferably a light emitting diode (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ideal light source member 400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mong the known light source members, LED corresponds to this. In addition, LEDs, called light emitting diodes, are smaller than conventional light source members, have a long lifetime, and have low power and good efficiency because electrical energy is directly converted into light energy.

상기 받침대(120)에 LED와 같은 광원부재가 설치됨으로써 LED의 색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더욱이 화재에 대한 안전성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촛대를 제공할 수 있다.By installing a light source member such as an LED on the pedestal 120,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atmospheres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LED, and can provide a beautiful candlestick as well as safety against fir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 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촛대의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of a safety candle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촛대의 제 1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assembly of a safety candle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촛대의 2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wo assemblies of safety candle holde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용기, 제 1조립체 및 제 2조립체가 모두 조립된 안전 촛대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candle holder in which a container, a first assembly, and a second assembly are assemble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꽃 모양의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tus-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용기 110 : 수용부100 container 110 receiving portion

120 : 받침대 200 : 제 1조립체 120: pedestal 200: first assembly

205 : 고정부 210 : 꽂을대 205: fixing portion 210: inserting stand

220 : 지지부 300 : 제 2조립체 220: support portion 300: second assembly

310 : 관로 320 : 추역할부 310: pipeline 320: retrospective installment

330 : 촛농받이 400 : 초330: Candlestick 400: Seconds

Claims (3)

물이 충입되는 통 모양의 투명한 재질의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하단에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용기;A container including a container formed of a cylindrical transparent material filled with water, and a pedestal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초 하단으로 끼워져 초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가 상부에 형성된 꽂을대, 상기 꽂을대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측 하단면에 안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 1조립체; 및A first assembly including a holder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older, the support being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lder and sea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상기 꽂을대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초 하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관로, 상기 관로의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되는 촛농받이, 상기 관로 하부에 형성되는 추역할부를 포함하는 제 2조립체;를 포함하고,A pipe line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pipe in a pip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part so as to be penetrated by the plug, a candle tray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line, and an inverting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ipe line. To include; a second assembly; 상기 꽂을대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관로가 초 하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추역할부의 무게를, 초가 타서 상기 고정부가 모습을 드러낸 경우의 초와 고정부 사이에 존재하는 마찰력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촛대.The fixing portion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g and the pipe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the weight of the reversal portion is characterized by greater than the friction force existing between the candle and the fixed portion when the second burned out the fixing portion. Safety candle hold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부는 연꽃 꽃잎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연꽃 꽃받침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촛대.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tus petal, the pedestal is a safety candlesti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lotus calyx.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받침대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촛대.The pedestal is a safety candl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light source member.
KR1020090061223A 2009-07-06 2009-07-06 safety candlestick. KR101093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223A KR101093167B1 (en) 2009-07-06 2009-07-06 safety candle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223A KR101093167B1 (en) 2009-07-06 2009-07-06 safety candlesti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80A KR20110003780A (en) 2011-01-13
KR101093167B1 true KR101093167B1 (en) 2011-12-15

Family

ID=4361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223A KR101093167B1 (en) 2009-07-06 2009-07-06 safety candle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1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307U (en)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베지테리언부처코리아 Safety candle container including diffuser 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051B1 (en) 2002-12-24 2004-12-29 정 부 박 Candles auto candle hold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051B1 (en) 2002-12-24 2004-12-29 정 부 박 Candles auto candle hold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307U (en)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베지테리언부처코리아 Safety candle container including diffuser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80A (en)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9380B2 (en) Candle holder adapter for an electric lighting fixture
KR100953687B1 (en) An improved candle
KR101158787B1 (en) A cap for candle to perfect combustion and prevent of flow
KR101093167B1 (en) safety candlestick.
CN201814892U (en) Tubular fragrance lamp
JP3153918U (en) Buddhist ware
US6264345B1 (en) Drip preventing candle holder with decorative follower providing auxiliary illumination
US20100104994A1 (en) Candle holder converter assembly
US20040095754A1 (en) Candle lamp
KR200419109Y1 (en) The cup for candle-light assembly
KR200282178Y1 (en) Kerosene lamp for decoration
Wunderlich Light and economy: an essay about the economy of prehistoric and ancient lamps
JP3121390U (en) Candlestick
KR200316338Y1 (en) Candle holder
JP2606225Y2 (en) Floating candle holder
KR200215685Y1 (en) candle light
KR200407026Y1 (en) Decorative candle holders
CN213119017U (en) Outdoor anti-dragging candlestick
KR200200373Y1 (en) A lamp
KR200404568Y1 (en) under water candlestick for decoration
KR200377201Y1 (en) Ornament of lighting consisting of single spiral coil
WO2014194553A1 (en) Combined candle
KR200451236Y1 (en) Decoration lamp
KR101340965B1 (en) Candlestick with a lotus patten
KR200335770Y1 (en) Candle containers and combination portable candle hol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