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009B1 - Switching-type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devices - Google Patents

Switching-type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009B1
KR101092009B1 KR1020110035927A KR20110035927A KR101092009B1 KR 101092009 B1 KR101092009 B1 KR 101092009B1 KR 1020110035927 A KR1020110035927 A KR 1020110035927A KR 20110035927 A KR20110035927 A KR 20110035927A KR 101092009 B1 KR101092009 B1 KR 101092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connection
wireless
wireless connection
pair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상수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텍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텍시스템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3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0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Abstract

PURPOSE: A wireless multi-connection peripheral device of a switching mode is provided to instantly perform wireless connection of a host device if a user operates a switch and to reduce the incur expense of a user. CONSTITUTION: A connection controller(130) loads fairing data from a fairing data storing unit by linking a selection option of a selecting unit through a host selecting unit(110). The connection controller obtains a specific link key address value from the array of a link key address value by us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link key address. The connection controller obtains a link key value through the obtained link key address. The connection controller sets up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hos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nnection unit.

Description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Switching-type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devices}Switching-type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devices

본 발명은 한 대의 주변장치에 대하여 여러 대의 호스트 장치를 사용자가 소망하는 대로 그때그때 스위칭하면서 무선(예: 블루투스) 연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컴퓨터에 블루투스 등으로 무선 연결하여 사용하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주변장치에서 여러 대의 호스트 장치(예: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TV)를 스위치에 각각 매핑시킨 후에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그에 대응되는 호스트 장치와의 무선 연결(예: 블루투스 페어링)을 즉시 달성하는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wirelessly connecting (eg, Bluetooth) a plurality of host devices to a single peripheral device while switching at the time desired by the user.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nipulates a switch after mapping a plurality of host devices (for example, a computer, a smart phone, and a smart TV) to a switch in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used by wirelessly connecting the computer to a Bluetoo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ulti-connection technology of a switching method that instantly achieves a wireless connection (eg, Bluetooth pairing) with a corresponding host device.

최근들어 전자기기를 무선 연결하는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인터넷 등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이나 스마트폰의 기기제어 목적으로는 무선 랜(Wireless LAN)이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각종의 주변장치(예: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를 연결하는 목적으로는 주로 블루투스가 사용된다. 무선 랜이나 블루투스 외에도 지그비나 UWB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있으며, 향후에도 새로운 기술이 계속적으로 제시될 것이다.Recently, technology for wirelessly connecting electronic devices has been widely used. Wireless LAN is mainly used for network connection or smartphone device control for the Internet, and for connecting various peripheral devices (eg keyboard, mouse, printer) to a computer or smartphone. Bluetooth is mainly used. In addition to WLAN and Bluetooth, there are wireless network technologies such as ZigBee and UWB, and new technologies will continue to be presented in the future.

이중에서 휴대폰, 스마트폰, 컴퓨터, 주변장치의 연결에 널리 사용되는 블루투스에 대해 살펴본다. 블루투스는 2.4 GHz의 ISM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10 ~ 100 미터 정도의 거리에서 작동한다. 블루투스를 이용하면 근거리 내에서 무선으로 포인트투포인트(P2P)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기기 간에 연결이 필요할 때 케이블을 대신하여 연결 통로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에서 핸즈프리 등을 연결할 때 블루투스를 활용하고 있으며, 컴퓨터에 각종의 주변장치를 연결할 때에도 블루투스가 사용된다. 또한, 오디오와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무선 헤드폰을 구성하기도 한다.Among them, we will look at Bluetooth, which is widely used to connect mobile phones, smartphones, computers, and peripherals. Bluetooth operates at a distance of 10 to 100 meters using the 2.4 GHz ISM frequency band. Bluetooth allows point-to-point (P2P) connectivity wirelessly within close range, providing a connection path instead of cables when a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is required. Accordingly, Bluetooth is used to connect hands-free to a mobile phone or a smartphone, and Bluetooth is also used to connect various peripheral devices to a computer. It also connects audio and Bluetooth to configure wireless headphones.

한편,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그리고 스마트TV와 같은 스마트 장치의 보급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 장치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 서핑, 유튜브(YouTube), 구글 지도(Google Map), 날씨/뉴스 위젯(widget), 동영상 재생, 주문형 영화(VOD), 헬스케어, 에듀케이션, 보안 등을 비롯하여 각종의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마트 장치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키보드가 필요한데, 현재는 화면에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가상키보드를 표시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애플(APPLE INC.)의 아이폰과 아이패드가 가상키보드를 적용한 대표적인 제품이다.Meanwhile, the spread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smart pads, and smart TVs is expanding rapidly. Smart devices connect to the Internet and provide users with Internet surfing, YouTube, Google Maps, weather / news widgets, video playback, on-demand movies, healthcare, education, security, and more. Provide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such a smart device, a keyboard is required to input characters. Currently,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by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implemented in software on a screen is widely used. Apple Inc.'s iPhone and iPad are the most popular products using virtual keyboards.

이러한 가상키보드는 물리적인 키보드가 필요하지 않아 편리하지만 문자 입력속도가 느리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 장치에 별도의 주변장치(예: 키보드, 마우스, 포인터 등)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사용자들도 있으며, 스마트 장치와 주변장치 간의 연결은 주로 블루투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문자입력 속도는 빠른 반면, 외부에 주변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여러 대의 스마트 장치를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각 장치별로 주변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Such a virtual keyboard is convenient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physical keyboard, but has a decisive disadvantage of slow text input speed. Accordingly, some users connect and use a separate peripheral device (eg, a keyboard, a mouse, a pointer, etc.) to the smart devic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mart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mainly uses Bluetooth. In this case, the character input speed is fast,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peripheral device must be separately provided. In particular, when a user intends to use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peripheral device must be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devic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스마트TV에 대해 블루투스 키보드를 사용한다면, 바람직하게는 이들을 위해서는 블루투스 키보드가 2대가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많은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물론 하나의 키보드를 공용할 수도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 장치 간에 페어링 스위칭을 해주어야 한다. 페어링 스위칭을 해주려면, 기존에 블루투스 키보드에 연결된 스마트 장치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블루투스 페어링을 해제한 후, 새로운 스마트 장치를 사용자가 다시 조작하여 키보드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설정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블루투스 페어링을 해제하고 설정하는데에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기기조작도 상당하므로, 이는 꽤 불편하다. For example, if a user uses a Bluetooth keyboard for a smartphone and a smart TV, then the user would have to spend a lot of money since they would need two Bluetooth keyboards. Of course, one keyboard can be shared, but this requires pairing switching between smart devices. In order to perform pairing switching, a user may need to operate a smart device connected to a Bluetooth keyboard to release Bluetooth pairing, and then operate a new smart device again to establish a Bluetooth pairing with the keyboard. This is quite inconvenient because it takes a long time to unpair and set up Bluetooth pairing, as well as a lot of device manipulation that the user must perform.

특히, 사용자가 이 블루투스 키보드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었다면 불편함은 더욱 증가된다. 사용자가 키보드로 통상의 업무를 수행하던 중에 스마트폰으로 트위터 입력할 일이 생겼다면, 사용자는 컴퓨터를 조작하여 컴퓨터와 키보드 간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해제한 후, 스마트폰과 키보드 간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설정한다. 트위터에 짧은 문장을 남긴 후에는 다시 통상을 업무를 위해 컴퓨터와 키보드를 연결해야 하므로, 다시 복잡한 과정을 거쳐 스마트폰에서 컴퓨터로 블루투스 키보드의 연결을 스위칭한다.In particular, if the user was using the Bluetooth keyboard connected to the computer, the inconvenience is further increased. If a user enters a Twitter input with a smartphone while performing a normal task with a keyboard, the user operates a computer to release Bluetooth pairing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keyboard, and then sets up Bluetooth pairing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keyboard. After leaving a short sentence on Twitter, you'll need to connect your computer and keyboard again for normal work.

이러한 상황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컴퓨터 주변장치 외에도 무선 헤드폰이나 무선 핸즈프리 등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무선 헤드폰의 경우, 여러 대의 사운드 발생장치(예: 스마트폰, 오디오, TV, 셋톱박스 등)와 연결을 그때그때 변경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운드 발생장치 간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해제하고 재설정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걸리기에 사용자로서는 기기별로 무선 헤드폰을 별도로 구매하거나 아니면 아예 무선 헤드폰을 이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결정을 내린다.This situation applies equally to wireless headphones and wireless handsfree in addition to computer peripherals such as keyboards and mice. For wireless headphones,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connection with multiple sound generators (e.g. smartphones, audio, TV, set-top boxes, etc.) at that time. Even in this case, the process of releasing and resetting Bluetooth pairing between sound generating devices is cumbersome and time consuming, so the user decides to purchase wireless headphones separately for each device or not to use wireless headphones at all.

그에 따라, 한 대의 주변장치에 대하여 여러 대의 호스트 장치를 사용자가 소망하는 대로 그때그때 빠르고 간편하게 스위칭하면서 무선(예: 블루투스) 연결하는 기술이 종래로 요망되었다. 하지만, 한 대의 호스트 장치(예: 컴퓨터)에 여러 대의 주변장치를 연결하는 것은 종래로 제공되어 왔으나, 한 대의 주변장치에 여러 대의 호스트 장치를 연결하여 스위칭하며 사용하는 아이디어는 제공된 바 없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들은 과도한 비용지출을 감수하거나 아니면 사용상의 불편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there has conventionally been a demand for a technique of wirelessly connecting (eg, Bluetooth) to a plurality of host devices for a single peripheral device at the time as the user desires, then switching quickly and easily. However, connecting several peripherals to one host device (eg a computer) has been conventionally provided, but the idea of connecting and switching multiple host devices to one peripheral device has not been provided. User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have to spend excessive expenses or use inconvenience.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대의 주변장치에 대하여 여러 대의 호스트 장치를 사용자가 소망하는 대로 그때그때 스위칭하면서 무선(예: 블루투스) 연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컴퓨터에 블루투스 등으로 무선 연결하여 사용하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주변장치에서 여러 대의 호스트 장치(예: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TV)를 스위치에 각각 매핑시킨 후에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그에 대응되는 호스트 장치와의 무선 연결(예: 블루투스 페어링)을 즉시 달성하는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기술을 제공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wirelessly connecting (eg, Bluetooth) to a single peripheral device while switching several host devices as desired by the user.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nipulates a switch after mapping a plurality of host devices (for example, a computer, a smart phone, and a smart TV) to a switch in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used by wirelessly connecting the computer to a Bluetooth.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ing wireless multi-connection technology that instantly achieves a wireless connection (eg, Bluetooth pairing) with a corresponding host devi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는 복수 개의 호스트 장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복수 개의 호스트 장치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호스트 장치에 대한 선택옵션을 제공하는 호스트 선택부(110); 호스트 선택부에서 선택된 호스트 장치에 대해 무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접속부(120); 무선접속부와 선택된 호스트 장치 간의 무선 접속에서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를 선택된 호스트 장치에 할당된 호스트 선택부의 선택옵션과 링크하여 저장하는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 특정의 호스트 장치와 무선 접속을 설정할 때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를 호스트 선택부의 현재 설정된 선택옵션과 링크하여 페어링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호스트 선택부를 통해 호스트 무선 접속 요청이 검출되면 호스트 선택부의 선택옵션에 링크하여 저장해둔 페어링 데이터를 페어링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로딩하고, 로딩한 페어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무선접속부를 통해 무선 접속을 설정하는 접속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switched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 host device so that a user can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host devices in order to selectively wirelessly connect to the plurality of host devices. A host selector 110 providing a selection option; A wireless connection unit 120 for providing a wireless connection to the host device selected by the host selection unit; A pairing data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the pairing data generat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access unit and the selected host device in link with the selection option of the host selection unit allocated to the selected host device; The pairing data generated when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specific host device is linked to the currently selected selection option of the host selection unit and stored in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When a host wireless connection request is detected through the host selection unit, the pairing data is stored in the selection option of the host selection unit. And a connection control unit 130 for loading the paired data stored by linking from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and setting up a wireless 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connection unit using the loaded pairing data.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에서 접속제어부(130)는 페어링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로딩한 페어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무선접속부를 통해 무선 접속을 설정한 후, 무선 접속 설정 과정에서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를 호스트 무선 접속 요청에 관련된 선택옵션과 링크하여 페어링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of th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controller 130 sets up a wireless 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access unit using pairing data loaded from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and then pairing generated during the wireless connection setting process. It is desirable to link the data with a selection option related to the host radio access request and store it in the pairing data storage.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에서 페어링 데이터는 해당 호스트 장치와의 무선 접속에 대한 라스트 프로파일(Last Profile) 정보 및 무선 접속을 위한 링크 키(Link key) 값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switched wireless multiplexing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iring data includes last profile information on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corresponding host device and a link key value for wireless connection.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에서, 페어링 데이터는 해당 호스트 장치와의 무선 접속에 대한 라스트 프로파일 정보 및 무선 접속을 위한 링크 키 값으로의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접속제어부(130)는 링크 키 값으로의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 키 값을 획득한 후 획득된 링크 키 값을 이용하여 무선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페어링 데이터는 1 ~ n비트(2≤n≤7)의 라스트 프로파일 정보와 1 ~ (8-n)비트의 링크 키 주소로의 액세스 정보와 8 비트의 링크 키 주소 값의 배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접속제어부(130)는 링크 키 주소로의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 키 주소 값의 배열로부터 특정의 링크 키 주소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링크 키 주소 값을 이용하여 링크 키 값을 획득하여 무선 접속의 설정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witching wireless multiplexing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ing data includes a last profile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corresponding host device and access information to a link key value for a wireless connection. 130 may acquire a link key value using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link key value and then set up a wireless connection using the obtained link key value. The pairing data includes last profile information of 1 to n bits (2≤n≤7), access information to link key addresses of 1 to (8-n) bits, and an array of 8-bit link key address values. The access control unit 130 is configured to obtain a specific link key address value from the array of link key address values us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link key address, and to obtain a link key value using the obtained link key address value. It is desirable to utilize for setting up a wireless connection.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에서,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는 외부의 호스트 장치에 대해 유선 접속(예: USB)을 제공하기 위한 유선접속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접속제어부(130, 330)는 호스트 선택부의 특정 설정에 대응하여 무선접속부를 통한 무선 접속을 해제하고 유선접속부를 통한 유선 접속을 설정한다.In the switched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further comprises a wired connection 350 for providing a wired connection (eg, USB) to an external host device, the connection The controllers 130 and 330 release the wireless 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connection unit and set the wired connection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in response to the specific setting of the host selector.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에서 무선 접속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witched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access technology is preferably Bluetooth.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나 스마트폰, 스마트TV 등과 같은 여러 대의 호스트 장치에 대하여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주변장치를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무선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호스트 별로 주변장치를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어져서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st devices such as a computer, a smart phone, and a smart TV at that time, so that a peripheral device can be purchased separately for each host.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cost savings for the user and the efficient use of the user's workspace.

본 발명에 따르면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주변장치와 여러 대의 호스트 장치와의 무선 연결 선택을 사용자가 단순히 주변장치에 연계된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편리하게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and a plurality of host devices can be conveniently achieved by a user simply operating a switch connected to the peripheral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호스트 장치와의 무선 연결에 필요한 페어링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각 스위치에 링크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그 저장해둔 페어링 데이터를 로딩하여 활용하므로 무선 연결의 스위칭을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iring data necessary for wireless connection with each host device is generated in advance, linked to each switch and stored,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the stored pairing data is loaded and utilized to quickly switch the wireless connection. The advantage is that it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에서 페어링데이터 저장부에 호스트 장치별 페어링데이터를 저장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에서 사용자가 호스트선택부를 통해 연결 요청한 호스트 장치에 대해 무선 접속을 스위칭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에서 페어링데이터를 관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에서 페어링데이터를 관리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에서 사용자가 호스트선택부를 통해 연결 요청한 호스트 장치에 대해 유/무선 접속을 스위칭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storing pairing data for each host device in a pairing data storage unit in a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cept of switching a wireless connection for a host device that a user requests to connect through a host selection unit in a wireless multi-connection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managing pairing data in a wireless multiple connectivity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managing pairing data in a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Bluetooth profil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ireless multiplexing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switching a wired / wireless connection for a host device that a user requests to connect through a host selection unit in a wireless multi-connect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무선 접속 기술의 일 예로서 블루투스를 기준으로 설명을 전개한다.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100)는 호스트 장치(210, 220) 중에서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무선 연결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an example of a wireless access technology will be described based on Bluetooth. The wireless multi-connection peripheral device 100 may be selectively wireless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host devices 210 and 220.

블루투스나 범용직렬버스(USB)와 같은 포인트투포인트 방식의 접속 기술에서는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와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가 구분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마스터 역할을 하는 장치를 호스트 장치라 하고 슬레이브 연할을 하는 장치를 주변장치라고 하였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이 대표적인 호스트 장치(마스터)이며, 이들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의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헤드셋, 프린터는 주변장치(슬레이브)이다. 일반적으로 호스트 장치에는 여러 개의 주변장치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고, 주변장치는 하나의 호스트 장치에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는 여러 개의 주변장치(예: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가 USB로 연결되는 반면, 키보드는 여러 대의 컴퓨터에 동시에 연결될 수 없다. In the point-to-point connec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or Universal Serial Bus (USB), a device serving as a master and a device serving as a slave are distinguished. In this specification, a device serving as a master is referred to as a host device and a slave connection. The device that does this is called a peripheral device. Computers or smartphones are representative host devices (masters), and various devices connected to these host devices to provide services, such as keyboards, mice, headsets, and printers, are peripherals (slaves). In general, several peripheral devices may be connected to a host device at the same time, and the peripheral device may be connected to only one host device. For example, a computer can have multiple peripherals (such as a mouse, keyboard, and printer) connected via USB, while the keyboard cannot be connected to multiple computers at the same time.

한편, 기술 규격에서는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규정하고 있지 않더라도 상위 어플리케이션에서 마스터 역할과 슬레이브 역할에 대응되는 개념을 정의하고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호스트 장치와 주변장치의 개념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랜을 이용하여 컴퓨터에 주변장치를 연결한 경우, 무선 랜 기술규격에서는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이들 장치를 접속시키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에서 마스터 역할과 슬레이브 역할에 대응되는 개념을 정의하고 있으므로, 여전히 호스트 장치와 주변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Meanwhile, even though the technical standard does not define the master and the slave, the concept of the host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even when the upper application defines the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master role and the slave role. For example, when a peripheral device is connected to a computer using a wireless LAN, the WLAN specification does not define a master and a slave, but defines a concept corresponding to a master role and a slave role in an application that connects these devices. You can still apply host devices and peripherals.

[도 1]에서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100)는 블루투스를 통하여 여러 호스트 장치(210, 220) 중에서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접속을 위하여 호스트 장치(210, 220)는 각각 블루투스 모듈(211, 221)을 구비하고 있으며,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100)도 무선접속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블루투스 기반으로 본 발명이 구현되는 경우에는 무선접속부(120)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FIG. 1, the wireless multi-connection peripheral device 100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various host devices 210 and 220 through Bluetooth. For wireless connection, the host devices 210 and 220 have Bluetooth modules 211 and 221, respectively, and the wireless multi-connection peripheral device 100 also includes a wireless connection unit 120.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ased on Bluetooth, the wireless connection unit 1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uetooth module.

호스트 선택부(110)는 이들 호스트 장치(210, 220) 중에서 어느 장치와 무선 접속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이다. 호스트 선택부(110)는 각각의 호스트 장치(210, 220)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호스트 선택부(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원가능한 호스트 장치의 갯수 만큼의 기계적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기계적 스위치(SW1, SW2)가 제 1 호스트(210)와 제 2 호스트(220)에 대한 선택옵션이 된다. 즉, 제 1 스위치(SW1)를 누르면 제 1 호스트(210)가 선택되고, 제 2 스위치(SW2)를 누르면 제 2 호스트(220)가 선택된다. 호스트 선택부(110)는 기계적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프트스위치나 조그다이얼, 또는 터치패널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선택부(110)는 각각의 호스트 장치를 구분하여 선택하는 기능과 그 선택된 호스트 장치로의 무선 연결을 기동시키는 기능을 구별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st selector 110 is a component for selecting which of these host devices 210 and 220 to wirelessly connect with. The host selector 110 provides a user with a selection option for selecting each of the host devices 210 and 220. The host selector 1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many mechanical switches as the number of host devices that can be supported. In this case, each of the mechanical switches SW1 and SW2 becomes a selection option for the first host 210 and the second host 220. That is, when the first switch SW1 is pressed, the first host 210 is selected, and when the second switch SW2 is pressed, the second host 220 is selected. The host selector 110 is not limited to a mechanical switch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oft switch, a jog dial, or a touch panel. In addition, the host selection unit 110 preferably includes a function for distinguishing and selecting each host device and a function for activating a wireless connection to the selected host device.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는 호스트 장치(210, 220) 간의 무선 접속에서 생성되는 페어링 데이터(pairing data)를 저장한다. 페어링(pairing)은 주로 블루투스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나, 본 명세서에서는 포인트투포인트 방식의 접속을 널리 페어링이라고 부른다.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100)와 호스트 장치(210, 220) 간에 무선 접속을 수행하면 그 과정에서 그 무선 접속에 직접 관련된 정보가 생성되는데, 이를 페어링 데이터라고 정의한다. 페어링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는 페어링 데이터를 호스트 선택부(110)의 선택옵션에 링크하여 저장한다. 즉, 제 1 호스트(210)와의 무선 연결에서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는 제 1 선택옵션(SW1)에 링크시켜 저장하고, 제 2 호스트(220)와의 무선 연결에서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는 제 2 선택옵션(SW2)에 링크시켜 저장한다.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140 stores pairing data generated in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host devices 210 and 220. Pairing is a term mainly used in Bluetooth, but in this specification, a point-to-point connection is widely referred to as pairing. When a wireless connec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wireless multi-connection peripheral device 100 and the host devices 210 and 220, information directly related to the wireless connection is generated in the process, which is defined as pairing data. Pairing data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140 stores the pairing data by linking to the selection option of the host selecting unit 110. That is, the pairing data generat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first host 210 is stored by linking to the first selection option SW1, and the pairing data generat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second host 220 is stored in the second selection option ( Link to SW2) and save.

접속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100)의 무선 접속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접속제어부(130)의 구성에 대해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nection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wireless connection of the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control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먼저, 특정의 호스트 장치(210, 220)로부터 접속 요청이 들어오면 무선 접속이 설정되는데, 이때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를 호스트 선택부(110)의 현재 설정된 선택옵션과 링크하여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즉, 사용자가 통상의 방식에 따라 호스트 장치(210, 220)을 조작하여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100)로의 무선 연결을 요청하면, 그에 따라 주변장치(100)와 당해 호스트 장치(210, 220) 간의 무선 연결이 설정되며, 이 과정에서 페어링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때, 호스트 선택부(110)의 선택옵션이 놓여진 상태에 따라 페어링 데이터가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위치가 결정되는데, 가령 호스트 선택부(110)이 제 1 선택옵션으로 설정되어 있었다면 페어링 데이터는 제 1 선택옵션에 링크되어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로 저장된다.First, when a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a specific host device 210 or 220, a wireless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140 links the generated pairing data with the currently selected selection option of the host selecting unit 110. Store in That is, when a user requests a wireless connection to the wireless multi-connect peripheral 100 by manipulating the host devices 210 and 220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peripheral device 100 and the host device 210 or 220 accordingly are requested.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two is established, and pairing data is generated in the process. At this time, the location where the pairing data is stored in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14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selection option of the host selecting unit 110 is set. For example, if the host selecting unit 110 is set as the first selection option, The pairing data is linked to the first selection option and stored in the pairing data storage 140.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호스트 선택부(110)를 제 1 선택옵션(SW1)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제 1 호스트(210)를 통상의 방식으로 조작하여 주변장치(100)와의 무선 접속을 요청한다.[엄밀하게 기술하면, 호스트 선택부(110)가 제 1 선택옵션(SW1)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주변장치(100)와의 무선 접속이 요청된 장치가 제 1 호스트(210)이다.] 해당 기술규격에 규정된 방식에 따라 주변장치(100)와 제 1 호스트(210) 간에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페어링 데이터가 생성된다. 접속제어부(130)는 페어링 데이터를 현재 설정된 제 1 선택옵션(SW1)에 링크시켜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도 2(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호스트 선택부(110)를 제 2 선택옵션(SW2)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제 2 호스트(220)를 조작하여 주변장치(100)와의 무선 접속을 요청하면, 접속제어부(130)는 주변장치(100)와 제 2 호스트(220) 간의 무선 접속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를 제 2 선택옵션(SW2)에 링크시켜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한다.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In a state where the user sets the host selection unit 110 as the first selection option SW1, the user operates the first host 210 in a normal manner to request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peripheral device 100. When the host selector 110 is set to the first selection option SW1, the device requesting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peripheral device 100 is the first host 210.] Accordingly, a wireless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peripheral device 100 and the first host 210, and pairing data is generated in this process. The connection controller 130 links the pairing data to the currently set first selection option SW1 and stores the pairing data in the pairing data storage 140. Similarly, as shown in FIG. 2 (b), the user operates the second host 220 while the host selector 110 is set to the second selection option SW2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peripheral device 100. When the connection request is made, the connection controller 130 performs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peripheral device 100 and the second host 220 and links pairing data generated in this process to the second selection option SW2 to pair the pairing data. The storage unit 140 stores.

이어서, 사용자가 호스트 선택부(110)를 통해 무선 접속을 요청하면, 호스트 선택부(110)의 선택옵션에 대응하여 호스트 장치(210, 22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호스트 장치와 주변장치(100) 간에 무선 접속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 선택부(110)가 제 1 선택옵션(SW1)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무선 접속을 요청하면 제 1 호스트(210)와 주변장치(100) 간에 무선 접속을 설정하고, 호스트 선택부(110)가 제 2 선택옵션(SW2)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무선 접속을 요청하면 제 2 호스트(220)와 주변장치(100) 간에 무선 접속을 설정한다. 접속제어부(130)는 당해 선택옵션에 링크하여 저장해둔 페어링 데이터를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로부터 로딩하고, 그 로딩한 페어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무선접속부(120)를 통해 무선 접속을 설정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requests a wireless connection through the host selector 110, one of the host devices 210 and 220 is select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ption of the host selector 110, and the selected host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are selected. Establish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100. For example, when the host selector 110 requests wireless access while the host selector 110 is set to the first select option SW1, a wireless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host 210 and the peripheral device 100 and the host selector ( When requesting a wireless connection while the 110 is set as the second selection option SW2, a wireless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second host 220 and the peripheral device 100. The connection controller 130 loads the pairing data stored in link with the selection option from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140 and establishes a wireless 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connection unit 120 using the loaded pairing data.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호스트 선택부(110)를 제 1 선택옵션(SW1)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무선 접속을 요청하면, 접속제어부(130)는 제 1 선택옵션에 링크하여 이전에 저장해 두었던 페어링 데이터를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로부터 로딩한다. 이 로딩된 페어링 데이터에는 제 1 선택옵션(SW1)에 대응되는 호스트 장치, 즉 제1 호스트(210)와의 무선 접속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제어부(130)는 이 로딩된 페어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선접속부(120)에 접속 명령을 내려 제 1 호스트(210)와 무선 접속을 달성하게 된다. 제 1 호스트(210)에 관하여 미리 저장해둔 페어링 데이터를 활용하기에 무선 접속이 바람직하게는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도 3(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호스트 선택부(110)를 제 2 선택옵션(SW2)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무선 접속을 요청하면, 접속제어부(130)는 제 2 선택옵션에 링크하여 이전에 저장해 두었던 페어링 데이터를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로부터 로딩하고, 이 로딩한 페어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변장치(100)와 제 2 호스트(220) 간의 무선 접속이 바람직하게는 신속하게 달성된다.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When the user requests the wireless connection while the host selector 110 is set to the first selection option SW1, the connection controller 130 links the first selection option to store pairing data previously stored in pairing data. It is loaded from the unit 140. The loaded pairing data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hos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lection option SW1, that is, the first host 210. Therefore, the connection controller 130 issues a connection command to the wireless connection unit 120 by using the loaded pairing data to achieve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first host 210. The wireless connection is preferably made quickly in order to utilize the pre-stored pairing data with respect to the first host 210. Similarly, as shown in FIG. 3 (b), when the user requests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host selection unit 110 set as the second selection option SW2, the connection controller 130 selects the second selection option. Loading the previously stored pairing data from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140, and using this loaded pairing dat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peripheral device 100 and the second host 220 is preferably quickly Is achieved.

한편, [도 3]에 도시된 무선 접속 과정에서 페어링 데이터가 변경될 수도 있기에, 접속제어부(130)는 호스트 선택부(110)의 조작에 따라 무선 접속을 설정할 때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를 호스트 선택부(110)의 당해 선택옵션에 링크하여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a)]에서 제 1 호스트(210)와 주변장치(100)와 무선 접속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를 제 1 선택옵션(SW1)에 링크하여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도 3(b)]에서 제 2 호스트(220)와 주변장치(100)와 무선 접속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를 제 2 선택옵션(SW2)에 링크하여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airing data may be chang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process shown in FIG. 3, the connection controller 130 may select the pairing data generated when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st selecting unit 110. It is preferable to store in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140 by linking to the selection option of 110. That is,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140 may link the pairing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wirelessly connecting the first host 210 and the peripheral apparatus 100 to the first selection option SW1 in FIG. 3 (a). 3, the pairing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wirelessly connecting the second host 220 and the peripheral apparatus 100 in FIG. 3 (b) to the second selection option SW2 to link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 14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100)에서 페어링데이터를 관리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블루투스 기술을 기초로 작성되었는데, 블루투스 이외의 다른 무선 연결 기술에서도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적용할 수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managing pairing data in the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written based on Bluetooth technology, and can be applied in a similar concept to other wireless connection technologies other than Bluetooth.

먼저, 주변장치(100)와 호스트 장치(210, 220) 간에 무선 연결이 이루어지면 그 페어링 과정에서 링크 키(Link key) 값이 생성된다. 링크 키는 당해 무선 연결된 호스트 장치(210, 220)와 주변장치(100) 간의 페어링 동작의 결과이며, 무선 연결을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장치 간에 다시 무선 연결한다면 링크 키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신속하게 무선 연결이 이루어진다.First, when a wireless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peripheral apparatus 100 and the host apparatuses 210 and 220, a link key value is generated during the pairing process. The link key is a result of a pairing operation between the wirelessly connected host devices 210 and 220 and the peripheral device 100 and is required for wireless connection. For example, if a wireless connection is made again between the same devices, the link keys are compared and matched to make the wireless connection quick.

링크 키는 수 바이트에서 수십 바이트 정도의 길이이며 기기 간에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계산된다. 블루투스에서는 링크 키를 여러 개, 예컨대 6 개를 저장한다. 따라서, 주변장치(100)는 호스트 장치(210, 220)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링크 키를 Link key data[0] 내지 Link key data[5] 중에서 적절한 위치에 저장한다. The link key is a few bytes to tens of bytes long and is calculated each time a pairing operation is performed between devices. Bluetooth stores several link keys, for example six. Therefore, the peripheral apparatus 100 stores the link key generated during the pairing process with the host apparatuses 210 and 220 in an appropriate position among the link key data [0] to the link key data [5].

또한, 페어링 결과로 생성되는 프로파일 정보에 대해 기술한다. 프로파일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하는데, 주변장치(100)와 호스트 장치(210, 220)가 무선 연결을 달성한 후에 실제로 어떠한 작업을 수행할 것인지에 관련된 정보이다. 기기 간에 페어링을 수행할 때 양 기기는 반드시 서로 맞추어보며, 그 결과 특정의 프로파일이 협의되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프로파일 정보를 라스트 프로파일(Last Profile) 필드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e profile information generated as a result of pairing is described. The profi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what operation is actually performed after the peripheral device 100 and the host device 210 or 220 achieve a wireless connection. When pairing devices, both devices must match each other, and as a result, a specific profile is negotiated and set. The profile information thus set is stored in the Last Profile field.

호스트 장치(210, 220)에 대해 생성된 링크 키는 Link key data[] 배열에서 적당한 위치에 저장되므로, 각 선택옵션 별로 그 저장된 링크 키의 위치를 기억해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각 선택옵션 별로 링크 키가 저장된 주소 값을 Bluetooth address data[] 배열에 저장하고, 다시 Bluetooth address data[] 배열에서 당해 선택옵션에 관련된 주소를 'Bluetooth address data 주소' 필드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이유로 'Last Profile' 필드와 'Bluetooth address data 주소' 필드를 1 바이트(8 비트) 내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각각 4 비트씩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역시 후술하는 이유로 'Bluetooth address data' 필드는 1 바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link keys generated for the host devices 210 and 220 are stored at appropriate positions in the link key data [] array,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e positions of the stored link keys for each selection option. To this end, an address value in which a link key is stored for each option may be stored in the Bluetooth address data [] array, and then an address related to the option in the Bluetooth address data [] array may be stored in the 'Bluetooth address data address' field.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tore the 'Last Profile' field and the 'Bluetooth address data address' field in 1 byte (8 bits) for reasons described below. For example, 4 bits may be allocated. In addition, for reasons described later, the 'Bluetooth address data' field is preferably 1 byte.

따라서, 제 1 선택옵션(SW1)에 링크되어 저장된 페어링 데이터를 파악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procedure of identifying the pairing data stored by being linked to the first selection option SW1 is as follows.

(1) SW1에 할당된 1 바이트로부터 'Last Profile' 값과 'Bluetooth address data 주소' 값을 획득한다.(1) Obtain 'Last Profile' value and 'Bluetooth address data address' value from 1 byte allocated to SW1.

(2) 'Bluetooth address data 주소' 값으로부터 SW1에 할당된 Bluetooth address data 필드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SW1에 할당된 Bluetooth address data 값을 획득한다.(2) From the value of 'Bluetooth address data address', the position of the Bluetooth address data field allocated to SW1 is determined, and the Bluetooth address data value assigned to SW1 is obtained therefrom.

(3) Bluetooth address data 값은 그에 대응하는 링크 키가 저장된 주소이므로 이로부터 SW1에 할당된 링크 키 필드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SW1에 할당된 링크 키 값을 획득한다.(3) Since the Bluetooth address data value is an address where the corresponding link key is stored, the position of the link key field assigned to SW1 is determined therefrom, and the link key value assigned to SW1 is obtained therefrom.

이처럼 복잡한 구조를 채택하는 이유는 종래의 무선 접속 프로그램을 최대한 재활용할 수 있기에 소프트웨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포인트투포인트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하여 무선 접속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은 이미 상당한 테스트를 거쳤기에 소프트웨어 안정성이 보장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 접속 프로그램은 Link key data[] 배열과 1 바이트의 Bluetooth address data를 기초로 작성된 것이므로, 이를 변경없이 재활용하여 소프트웨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4]의 데이터 구조가 바람직하다.
The reason for adopting such a complicated structure is that software stability can be maintained because the conventional radio access program can be recycled as much as possible. That is, a wireless access program has been developed for a conventional point-to-point type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and these programs have already undergone substantial tests, thereby ensuring software stability. Since the conventional wireless access program is written based on the link key data [] array and 1 byte of Bluetooth address data, the data structure of [FIG. 4] is preferable in that the software stability can be maintained by reusing it without modific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100)에서 페어링데이터를 관리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managing pairing data in the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각 선택옵션(SW1, SW2) 별로 페어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체를 마련하였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과정을 통하여 특정의 호스트 장치(210, 220)와 페어링을 수행하면, 이때 생성된 각종 정보, 즉 라스트 프로파일(Last Profile) 값과 Bluetooth address data 값, 그리고 링크 키(Link key) 값을 당해 선택옵션에 할당된 페어링 데이터 구조체에 입력하여 저장한다. 이때, Bluetooth address data 값은 Link key data[] 배열에서 링크 키가 저장된 위치의 정보를 가리킨다. 링크 키 값이 페어링 데이터 구조체 내에 저장되어 있기에 Link key data[] 배열을 조회할 필요가 없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한 경우에는 Bluetooth address data 값은 저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This embodiment has provided a data structure for storing pairing data for each of the selection options SW1 and SW2. Accordingly, when pairing with a specific host device (210, 220)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2,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at this time, that is, Last Profile value, Bluetooth address data value, and link A link key value is input to the pairing data structure assigned to this selection option and stored. At this time, the Bluetooth address data value indicates information of a location where the link key is stored in the link key data [] array. If the program is written so that the link key value is stored in the pairing data structure, there is no need to query the Link key data [] array.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하여 특정의 호스트 장치(210, 220)와 무선 접속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도, 당해 선택옵션에 할당된 페어링 데이터 구조체로부터 필요한 정보(라스트 프로파일, 링크 키)를 획득하며,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호스트 장치와 무선 접속을 수행한다.
Similarly, even when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specific host device 210 or 220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3, necessary information (last profile, link key) from the pairing data structure assigned to the selection option. And obtain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host device using the information.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프로파일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프로파일이란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때 특정 어플리케이션마다 사용해야 하는 프로토콜의 종류와 사용방법을 규정한 것이다. [도 6]은 2001년 2월에 발표된 1.1 버전의 블루투스 프로파일 규격에 규정된 총 13개의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uetooth profile as an example to present a concept of a profile described herein. Profiles define the types of protocols that should be used for specific applications and how to use them when building an application. FIG. 6 shows a total of 13 profiles defined in the 1.1 version of the Bluetooth profile specification released in February 2001.

이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프로파일은 `Generic Access Profile(GAP)'으로 블루투스 장치가 그 연결할 상대방을 발견하고, 커넥션을 하여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에 관련된 보안에 관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다. 이 프로파일은 제목 그대로 모든 프로파일의 기초가 된다. Among them, the most basic profile is `Generic Access Profile (GAP) ', which defines how a Bluetooth device discovers a connection partner, establishes a connection by establishing a connection, and related security information. This profile is, by title, the basis of all profiles.

나머지 프로파일은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의 상위 계층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뉜다. L2CAP 상위 계층으로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사용하는 것은 `Service Discovery Application Profile'이고, L2CAP 상위 계층으로 TCS(Telephony Control Protocol)를 사용하는 것은 `Cordless Telephony Profile'와 `Intercom Profile'이며, L2CAP 상위 계층으로 RFCOMM을 사용하는 것은 `Serial Port Profile'이다.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기술규격에 정해진 것이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파일은 통신 관련 규격에서 일반적으로 정의하는데, 기본 개념이 유사하므로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100)가 블루투스 외의 다른 무선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경우라도 프로파일의 개념을 이와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The remaining profile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higher layers of the 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L2CAP). The use of Service Discovery Protocol (SDP) as the upper layer of L2CAP is `Service Discovery Application Profile ', and the use of Telephony Control Protocol (TCS) as the upper layer of L2CAP is` Cordless Telephony Profile' and `Intercom Profile ', and the upper level of L2CAP Using RFCOMM as a layer is the `Serial Port Profile '. Since the Bluetooth profile is defined in the technical standar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Profiles are generally defined in communication-related standards, and since the basic concepts are similar, the concept of profiles may be similarly applied even when the wireless multi-connection peripheral device 100 is implemented based on other wireless technology than Bluetooth.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3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호스트선택부(310)를 통해 연결 요청한 호스트 장치(410, 420, 430)에 대해 유/무선 접속을 스위칭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실시예와 구성과 동작원리에 있어서 대부분 공통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shows a user selecting the host selection unit 310 in the embodiment of FIG.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switching a wired / wireless connection to host devices 410, 420, and 430 that have requested connection. Since this embodiment is mostly comm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onfigurations and principles of opera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ces.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장치(300)가 유선 접속부(350)를 더 구비하여 유선 라인, 예컨대 범용직렬버스(USB)를 통한 접속도 제공한다. 호스트 선택부(310)에서 3가지 선택옵션(SW1, SW2, SW3)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선택옵션(SW1, SW2)을 설정한 경우에는 무선접속부(320)를 통하여 제 1 호스트(410)나 제 2 호스트(420)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제 3 선택옵션(SW3)을 선택한 경우에는 유선접속부(350)를 통하여 제 3 호스트(430)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유선 연결된 경우에는 무선 연결은 모두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ripheral device 300 further includes a wired connection unit 350 to provide a connection via a wired line,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When the user selects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options SW1 and SW2 by providing three selection options SW1, SW2, and SW3 in the host selection unit 310, the host selection unit 310 provides the first selection options through the wireless connection unit 320. Wirelessly connected to the host 410 or the second host 420, when the user selects the third selection option (SW3) is connected to the third host 430 by wire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350. In the case of a wired connection, it is preferable that all wireless connections be released.

[도 7]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주변장치(300)를 개인용컴퓨터(PC)와 같은 거치형 제품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제품에 사용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즉, 개인용컴퓨터는 고정 설치되는 거치형 제품이므로 주변장치(300)와 개인용컴퓨터와의 연결은 유선 연결이 무방하다. 오히려 개인용컴퓨터와 주변장치(300)를 무선 연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용컴퓨터에 무선모듈, 예컨대 블루투스 동글이나 블루투스 카드와 같은 제품을 추가로 구매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개인용컴퓨터에는 무선 연결이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무선 연결이 바람직하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유선 연결은 아예 불가능하다. 이처럼 유선 연결이 바람직한 제품과 무선 연결이 바람직한 제품을 지원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주변장치(300)는 무선접속부(320)와 유선접속부(350)를 구비한다.
The embodiment of FIG. 7 is useful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peripheral device 300 in a stationary product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nd a mobile product such as a smartphone. That is, since the personal computer is a stationary product that is fixedly install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ripheral device 300 and the personal computer may be wired. Rather, in order to wirelessly connect the personal computer and the peripheral device 300, a wireless module is not preferable to the personal computer because a wireless module, for example, a product such as a Bluetooth dongle or a Bluetooth card must be additionally purchased and install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martphone, a wireless connection is preferable, and in most cases, a wired connection is not possible at all. In order to support a product in which a wired connection is preferable and a product in which a wireless connection is preferable, the peripher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ireless connection unit 320 and a wired connection unit 35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복수 개의 호스트 장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무선으로 접속하는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로서,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호스트 장치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호스트 장치에 대한 선택옵션을 제공하는 호스트 선택부(110);
상기 호스트 선택부에서 선택된 호스트 장치에 대해 무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접속부(120);
상기 무선접속부와 상기 선택된 호스트 장치 간의 무선 접속에서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 -- 상기 페어링 데이터는 해당 호스트 장치와의 무선 접속에 대한 1 ~ n비트(2≤n≤7)의 라스트 프로파일(Last Profile) 정보와 1 ~ (8-n)비트의 링크 키 주소로의 액세스(Access to Link key address) 정보와 8 비트의 링크 키 주소 값의 배열(Array of Link key addresses)을 포함하여 구성됨 -- 를 상기 선택된 호스트 장치에 할당된 상기 호스트 선택부의 선택옵션과 링크하여 저장하는 페어링데이터 저장부(140);
특정의 호스트 장치와 무선 접속을 초기 설정할 때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선택부의 현재 설정된 선택옵션과 링크하여 상기 페어링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호스트 선택부를 통해 호스트 무선 접속 요청이 검출되면 상기 호스트 선택부의 선택옵션에 링크하여 저장해둔 페어링 데이터를 상기 페어링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로딩하고, 상기 로딩한 페어링 데이터에서 상기 링크 키 주소로의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키 주소 값의 배열로부터 특정의 링크 키 주소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링크 키 주소 값을 이용하여 링크 키 값을 획득함으로써 상기 무선접속부를 통해 상기 무선 접속 요청에 따른 특정의 호스트 장치와 무선 접속을 설정하는 접속제어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
A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 device of a switching method for selectively wirelessly connecting a plurality of host devices,
A host selector 110 providing a selection option for the host device so that a user can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host devices;
A wireless connection unit 120 for providing a wireless connection to the host device selected by the host selection unit;
Pairing data generated in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access unit and the selected host device-The pairing data includes last profile information of 1 to n bits (2 ≦ n ≦ 7) for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corresponding host device. And access to link key address information of 1 to (8-n) bits and an array of 8-bit array of link key addresses. A pairing data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the link with the selection option of the host selecting unit allocated to the host device;
The pairing data generated when initially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specific host device is linked with the currently selected selection option of the host selecting unit and stored in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and when the host wireless connection request is detected through the host selecting unit, the host. The pairing data stored by linking to a selection option of a selection unit is loaded from the pairing data storage unit, and a specific link key is determined from the arrangement of the link key address values using th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loaded pairing data to the link key address. A connection controller 130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specific host device according to the radio access request through the radio access unit by obtaining an address value and obtaining a link key value using the obtained link key address value;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s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제어부(130)는 상기 호스트 무선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로딩한 페어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접속부를 통해 특정의 호스트 장치와 무선 접속을 설정한 후, 상기 무선 접속 설정 과정에서 생성된 페어링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무선 접속 요청에 관련된 선택옵션과 링크하여 상기 페어링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controller 130 establishes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specific hos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access unit by using the pairing data loaded in response to the host wireless access request, and then pairs the pairing data generat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setting process. Switching wireless multi-connected peripherals, characterized in that for linking with the selection option associated with the host wireless access request stored in the pairing data stor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는 외부의 호스트 장치에 대해 유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유선접속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제어부(130, 330)는 상기 호스트 선택부의 특정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접속부를 통한 무선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유선접속부를 통한 유선 접속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multi-connect peripheral device further comprises a wired connection unit 350 for providing a wired connection to an external host device,
The connection controllers 130 and 330 may switch wireless 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connection unit and establish a wired connection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in response to a specific setting of the host selector. .
청구항 1, 2,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은 블루투스를 통한 접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식의 무선 다중연결 주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6,
And wherein the wireless connection is a Bluetooth connection.
KR1020110035927A 2011-04-19 2011-04-19 Switching-type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devices KR1010920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927A KR101092009B1 (en) 2011-04-19 2011-04-19 Switching-type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927A KR101092009B1 (en) 2011-04-19 2011-04-19 Switching-type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009B1 true KR101092009B1 (en) 2011-12-08

Family

ID=4550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927A KR101092009B1 (en) 2011-04-19 2011-04-19 Switching-type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009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25Y1 (en) * 2012-02-06 2012-08-22 아이크래프트 (주)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keyboard
KR101451674B1 (en) 2012-09-14 2014-10-16 이형태 Point-to-Multipoint Connectable Bluetooth Slave Keyboard
KR101451677B1 (en) 2013-03-20 2014-10-22 이형태 Little Keyboard Which Can Do Quick Input
KR101451675B1 (en) 2012-10-05 2014-10-22 이형태 Point-to-multipoint Connectable Slave Keyboard Combined With Wired USB And Wireless Bluetooth And Automatically Charged
KR101451678B1 (en) 2013-04-08 2014-10-22 이형태 Qwerty Type Little Keyboard Which Can Do Quick Input
WO2016052770A1 (en) * 2014-09-29 2016-04-07 이형태 Compact keyboard allowing rapid input
WO2016052771A1 (en) * 2014-09-30 2016-04-07 이형태 Qwerty-type compact keyboard allowing rapid inpu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56B1 (en) 2005-10-28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ing
KR100775000B1 (en) * 2006-04-13 2007-11-09 (주)한국무선네트워크 Mult-functional radio remocon for bluetoot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56B1 (en) 2005-10-28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ing
KR100775000B1 (en) * 2006-04-13 2007-11-09 (주)한국무선네트워크 Mult-functional radio remocon for bluetooth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25Y1 (en) * 2012-02-06 2012-08-22 아이크래프트 (주)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keyboard
KR101451674B1 (en) 2012-09-14 2014-10-16 이형태 Point-to-Multipoint Connectable Bluetooth Slave Keyboard
KR101451675B1 (en) 2012-10-05 2014-10-22 이형태 Point-to-multipoint Connectable Slave Keyboard Combined With Wired USB And Wireless Bluetooth And Automatically Charged
KR101451677B1 (en) 2013-03-20 2014-10-22 이형태 Little Keyboard Which Can Do Quick Input
KR101451678B1 (en) 2013-04-08 2014-10-22 이형태 Qwerty Type Little Keyboard Which Can Do Quick Input
WO2016052770A1 (en) * 2014-09-29 2016-04-07 이형태 Compact keyboard allowing rapid input
WO2016052771A1 (en) * 2014-09-30 2016-04-07 이형태 Qwerty-type compact keyboard allowing rapid inp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009B1 (en) Switching-type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devices
TWI431478B (en) Keyboard-video-switch (kvm) switch with embedded bluetooth module and sharing method thereof
US9256483B2 (en) Multi-in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125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bluetooth device in portable terminal
EP313826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057332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data
KR20120079208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8646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 layer agnostic programming interface for use with smartphones
US20140013257A1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File Processing Based on User Interface
KR20120027233A (en) External touch-screen for a mobile device
US104258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051540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74611A (en) Method for pairing between bluetooth devices and method thereof
JP2016054373A (en) Short range radio device and audio apparatus
EP3704861B1 (en) Networked user interface back channel discovery via wired video connection
CA2508863A1 (en) Wireless proximity area network connectivity platform
KR20110054835A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KR20120105318A (en) Method for sharing of presentation data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US201501931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0582079A (en) Bluetooth connection sett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CN104076941A (en) Multi-target switching transmission method of external Bluetooth selection device
JP5442065B2 (en) Wireless device pairing method
WO2023116493A1 (en) Application permission synchroniz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KR1015330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0462025Y1 (en)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