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769B1 - Implant for induction of autologous tissue bearing the characteristic of biodegradable within the body - Google Patents

Implant for induction of autologous tissue bearing the characteristic of biodegradable within the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769B1
KR101091769B1 KR1020110018610A KR20110018610A KR101091769B1 KR 101091769 B1 KR101091769 B1 KR 101091769B1 KR 1020110018610 A KR1020110018610 A KR 1020110018610A KR 20110018610 A KR20110018610 A KR 20110018610A KR 101091769 B1 KR101091769 B1 KR 101091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tissue
prosthesis
pres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원경
강민지
강민정
허정환
Original Assignee
(주)키메드
강원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메드, 강원경 filed Critical (주)키메드
Priority to KR102011001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7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 A61L2300/604Biodegrad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PURPOSE: An internal degradable self-tissue induction prosthesis is provided to remove foreign body sensations and to prevent necrosis of corresponding tissue. CONSTITUTION: An internal degradable self-tissue induction prosthesis is constituted as follows. The internal degradable self-tissue induction prosthesis is made of internal resolvable material, is formed by a plurality of frames, and has a closed three 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 A penetration hole is formed in one part of the closed three 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

Description

체내 분해성 자가 조직 유도 보형물{Implant for induction of autologous tissue bearing the characteristic of biodegradable within the body}Implant for induction of autologous tissue bearing the characteristic of biodegradable within the body}

본 발명은 체내 분해성 자가 조직 유도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체내 분해성 재료에 의해 제조되며, 다수의 프레임들에 의해 형성되되, 2차원 골격구조이거나, 일부 개방형 또는 폐쇄형의 3차원 골격구조인 체내 분해성 자가 조직 유도 보형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체내 분해성 재료에 의해 제조되며, 2차원 평면체이거나, 일부 개방형 또는 폐쇄형의 3차원 곡면체 또는 다면체로서, 상기 2차원 평면체, 곡면체 또는 다면체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체내 분해성 자가 조직 유도 보형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gradable autologous tissue induced implant, more particularly in a medical implant, the implant is made of a degradable material in the body, formed by a plurality of frames, two-dimensional skeletal structure, or part It provides an in vivo degradable autologous tissue-derived implant that is an open or closed three-dimensional framework.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al implant, the implant is made of a decomposable material in the body, a two-dimensional planar body, or some open or closed three-dimensional curved or polyhedron, the two-dimensional planar, curved or polyhedr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provides a degradable autologous tissue induced implant in the body is 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보형물을 의료용 체내 분해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하되, 성형을 요하는 인체의 특정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보형물에 상응하게 대체가능하며, 이에 더하여, 일정 시간내에 체내에서 분해되므로, 보형물을 체내에 장시간 보유함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이물감이 없도록 하는 것 등을 작용효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sthesis is manufactured by using a decomposable material for medical use, and is manufactured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specific part of the human body requiring molding, and thus can be replaced with a conventional implant. In addition, since it decomposes in the body within a certain time, the effect is that there is no foreign matter caused by the retention of the implant in the body for a long time.

불의의 사고에 의한 결함을 복원함으로써 치료하거나 또는 선천적 결함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 미용의 목적 등으로 보형물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사례에서, 상기 보형물은 대체로 인체에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료를 선정하여 사용하며, 이러한 재료들은 금속, 세라믹, 고분자 재질 등을 망라하여 적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prosthesis for the purpose of treating or repairing a defect caused by an accident or for improving a congenital defect or for cosmetic purposes, the prosthesis is generally selected by selecting a material that can minimize side effects to the human body. These materials are applied to metals, ceramics, and polymer materials.

예로써, 미용의 목적으로 성형하기 위하여 시술되는 코, 광대뼈, 턱, 가슴 등에는 실리콘(silicone) 이나 고어텍스(goretex) 재질의 보형물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실리콘 등의 재질의 보형물은 체내에 삽입된 채로 보형된 신체 부위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For example, a prosthesis made of silicone or goretex is mainly applied to the nose, cheekbone, jaw, and chest to be molded for cosmetic purposes. It maintains the shape of the prosthetic body part while being inserted into it.

인체용으로 특수 제작된 실리콘 보형물이 개발되어 거부반응이나 이물감 등의 부작용이 예전보다 많이 감소하였고, 고체 젤리형 실리콘은 액체처럼 말랑말랑하면서도 고체이므로 흘러내리거나 스며들 위험이 없도록 하여 시술 후 생체와의 적합성을 크게 높이며, 이물감을 배제하는 등 기술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Specially manufactured silicone implant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side effects such as rejection and foreign body feelings, and solid jelly-type silicones are soft and solid like liquids, so there is no risk of spills or seeps after the procedur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been steadily being made, such as greatly improving the suitability and eliminating foreign object.

그러나,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실리콘 막에 식염수를 채우거나 겔 형태의 실리콘을 사용하는 등 실리콘을 사용한 모든 유방 성형 보형물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특히, 식약청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 권고에 따라 실리콘 막 및 실리콘 겔 형태의 인공유방 시술 후 몸속 인공유방과 맞붙은 흉터 막에서 드물지만 '역형성대세포림프종(ALCL)'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내용의 서한을 의료기관에 배포하였다. 즉, 실리콘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이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however,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arned that all breast-forming implants that use silicone can cause cancer, such as filling the silicone membrane with saline or using gel-type silicone. In particular, KFDA is rarely found in scar membranes that adhere to artificial breasts in the body after silicone membrane and silicone gel-type breast breast surgery, according to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recommendation. A letter was sent to the medical institution. In other words, the safety of the use of silicon is still a problem.

또한, 일단 체내에 삽입된 보형물은 생체 조직이 아닌 이상, 그 이물감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고, 생체와의 적합성 문제로 일정 적응 기간이 필요하며, 물리적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보형물이 손상 또는 변형되거나, 보형물과 함께 주변 조직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once the implant is inserted into the body,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exclude the foreign body feeling, and a certain adaptation period is required due to compatibility with the living body,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implant may be damaged or deform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urrounding tissues were destroyed along with the implant.

특히, 조직이 얇거나 부피가 작은 곳에 보형물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해당 조직에서의 혈액의 공급 및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조직이 괴사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particular, when the implant is inserted in a thin or small volume of tissue, the supply and circulation of blood in the tissue may not be smooth. Therefore, the tissue is necrotic after a long time. There was also.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체내에서 분해되는 재질로 보형물을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보형물을 사용함으로써 피시술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제거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remove the foreign body feeling to the subject by using a conventional implant by making the implant in a material that is decomposed in the body after a certain time. do.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체내에서 분해되어 없어지는 재료를 사용하여 보형물을 제조함으로써 생체 조직 중 부피나 두께가 적거나 얇아서 취약한 부분에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보형물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해당 조직이 괴사될 위험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prosthesis using a material that is decomposed in the body after a certain time, even if the volume or thickness of the biological tissue is applied to a weak part of the volume or thickness of the thin tissues, due to prolonged use of the implant Another purpose is to prevent the risk of necrosis.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3차원 보형물을 제작하되, 상기 보형물의 재료는 초기강도가 확보된 재료로서 단단한 골격구조를 이루며, 이로써 이식이 필요한 부분에 대응되는 원하는 형태의 3차원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주변 생체 조직이 보형물의 내부 공간으로 성장하도록 함으로써, 보형물이 조직내에서 소멸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자신의 생체 조직을 이용하여 보형하는 결과가 되므로, 사용에 의한 안정성, 생체 적합성 면에서의 안정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implant having a space therein, the material of the implant is a material having a secure initial strength to form a rigid skeleton structure, there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desir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that needs to be implanted In addition to enabling implementation, as time passes, the surrounding biological tissue grow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implant, so that even if the implant disappears within the tissue, it ultimately results in prosthesis using its own biological tissu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stability in terms of stability and biocompatibility.

또한, 본 발명은 시술부위가 외력에 노출되거나 또는 외부에 의한 신체적 접촉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보형부위의 손상에 대한 부담감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burden of damage to the prosthetic part even when the surgical site is exposed to external force or physical contact by the outsid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료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체내 분해성 재료에 의해 제조되며, 다수의 프레임들에 의해 형성되되, 2차원 골격구조이거나, 일부 개방형 또는 폐쇄형의 3차원 골격구조인 체내 분해성 자가 조직 유도 보형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medical implant, the implant is made of a decomposable material in the body, formed by a plurality of frames, two-dimensional skeletal structure, or some open or closed It provides a decomposable autologous tissue-derived implant that is a three-dimensional skeletal structure of.

또한, 본 발명은 의료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체내 분해성 재료에 의해 제조되며, 2차원 평면체이거나, 일부 개방형 또는 폐쇄형의 3차원 곡면체 또는 다면체로서, 상기 2차원 평면체, 곡면체 또는 다면체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체내 분해성 자가 조직 유도 보형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al implant, the implant is made of a decomposable material in the body, a two-dimensional planar body, or some open or closed three-dimensional curved or polyhedron, the two-dimensional planar, curved or polyhedr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provides a degradable autologous tissue induced implant in the body is formed.

상기 보형물의 어느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생체 조직과 연결되어 상기 생체 조직에 견인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protrusion may be further formed at any portion of the prosthesis, such that the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biological tissue to impart traction to the biological tissue.

상기 골격구조는 가로와 세로 프레임들이 교번하여 엮어진 망형 골격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keletal structure is preferably a mesh skeleton structure in which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are interwoven alternately.

상기 의료용 보형물은 성형용 보형물의 용도를 가지며, 상기 보형물이 성형을 위한 인체의 일 부분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된 부분의 주변 생체조직이 상기 보형물의 골격구조 또는 관통공을 통과하여 성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dical implant has a use of a molding implant, and after the implant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human body for molding, the surrounding biological tissue of the inserted portion is allowed to grow through the skeletal structure or through hole of the implant. It is preferabl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을 의료용 체내 분해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하되, 성형을 요하는 인체의 특정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3차원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보형물에 상응하게 충분히 대체가능하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ducing a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medical body decomposable material, by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specific part of the human body that requires molding,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implant An effect is expected to make it sufficiently replaceabl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은 일정 시간내에 체내에서 분해되므로, 보형물을 체내에 장시간 보유함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이물감이 없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composed in the body within a certain time, it is expected that there is no effect of foreign bodies generated by retaining the prosthesis in the body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은 생체 조직 중 부피나 두께가 적거나 얇아서 취약한 부분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보형물이 분해되어 소멸되므로, 해당 조직이 괴사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In addition,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pplied to a weak or small volume or thickness of biological tissues, since the prosthesis decomposes and extinguishes over time, thus preventing the risk of necrosis of the tissue. The effect is expec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을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3차원 형상으로 제작하되, 3차원 형상을 이루고 있는 표층에 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거나, 3차원 형상이 복수의 프레임에 의한 골격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조직이 보형물 내로 성장하도록 도와 궁극적으로는 자신의 생체 조직을 이용하여 보형할 수 있어, 시술 후에도 성형된 부위가 생체적 안정성을 이루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In addition,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surface layer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r the three-dimensional shape may be configured to form a skeletal structure by a plurality of frames. It can help to grow into this implant and ultimately can be implanted using its own biological tissue, the effect is expected to achieve the bio-stable stability of the molded part after the procedur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을 성형의 목적으로 시술한 후에도 해당 시술에 대한 충격이나 접촉에 대한 부담감을 크게 완화시키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In addition, even after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molding,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impact on the procedure or the burden on conta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격구조의 보형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격구조의 보형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표피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형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격구조의 보형물에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돌기부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격구조의 보형물을 코에 삽입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격구조의 보형물을 코에 삽입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의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보형물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lant of the skelet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lant of the skelet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plant formed through holes in the epiderm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implant of the skelet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cedure using the projection of FIG.
6 is a view showing the insertion of the implant of the skelet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after a certain time after inserting the implant of the skelet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respectively show perspective views of the prosthesis represen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 및 실시예를 기초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격구조의 보형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은 그 일 실시예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외부가 소통되는 3차원의 골격구조를 갖는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lant of the skelet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ee-dimensional skeletal structure in which a space is formed inside and communicates inside and outside.

여기서 골격구조란 주로 뼈대만으로 이루어지는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형물은 의료용 흡수형 봉합사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봉합사를 인위적으로 엮어서 도 9와 같은 평면형 2차원의 구조체 또는, 개방형 또는 폐쇄형의 구형 또는 다각형 등 3차원의 구조체로 제작한 것을 보형물로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skeletal structure means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hape mainly consisting of the skeleton. 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sthesis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edical absorbent suture, or the like, for example, by artificially weaving the suture, a planar two-dimensio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9, or an open or closed type Produced by 3D structure such as spherical or polygonal can be used as implant.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은 체내에서 분해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재질로서 예를 들면, plain surgical catgut, chromic catgut, polyglylic acid, glicolide lactide 중합체, polydioxanone, monocryl(glycolide와 caprolactone의 중합체), polyglyconate 등을 들 수 있다. Here,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decomposed in the body, for example, plain surgical catgut, chromic catgut, polyglylic acid, glicolide lactide polymer, polydioxanone, monocryl (polymer of glycolide and caprolactone) , polyglyconate, and the like.

예를 들어, glicolide lactide 중합체의 경우에는 초기 인장강도가 매우 강하며, 이러한 인장강도를 체내에서도 약 한달간 지속시킬 수 있으므로, 보형물로서 필요한 초기 강도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인장강도가 지속되는 시간은 이식된 주변의 조직이 보형물 내부로 성장해 들어가는데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은 보형물로서 필요한 체내 초기 강도를 충분히 가지며, 보형물과 동일한 형상의 조직이 완성될 수 있도록 보형물의 내부에 조직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glicolide lactide polymer, the initial tensile strength is very strong, and the tensile strength can be maintained in the body for about a month, thereby sufficiently satisfying the initial strength required as a prosthesis. In addition, the length of time that the tensile strength lasts secures enough time for the implanted surrounding tissue to grow into the implant. That is,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fficient initial strength in the body as a prosthesis, and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tissue can grow inside the prosthesis so that the tissue of the same shape as the prosthesis can be completed.

이후, 이러한 재질은 생체 내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서 체내에서 조금씩 가수분해되어서 없어지거나, 가수분해되고 남은 잔유물은 외력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분해되기 용이하다. 따라서, 생체내에서 일정시간(통상 약 2개월)이 지난 후에 가수분해되어 체내로 흡수되거나, 체내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미처 분해되지 않고 남아 있는 보형물은 그 기계적 강도가 많이 약화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으므로, 보형물 또는 피보형 조직의 손상, 변형 등에 대한 공포감, 부담감 등이 없고, 분해되지 않는 보형물로 인해 보형물 주변의 조직 중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기는 조직부위가 괴사되는 문제점 또한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ubsequently, the material is hydrolyzed in the body little by little over time after a certain time in vivo, or the remaining residues are easily physically decomposed by external force. Therefor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usually about two months) in vivo, the hydrolysis is absorbed into the body, o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body, the remaining prosthesis remains undecomposed, and its mechanical strength is greatly weakened. As it can be physically decomposed, there is no fear or burden of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implant or the implanted tissue, and the problem of necrotic tissue parts that impair blood circulation among the tissues around the implant due to the non-decomposed implant can also be solved. Will be.

보형물 내부로 성장하는 조직에 의해서 보형된 부위의 조직에 대한 연속적 순환계통이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보형된 부위의 조직 전반에 걸쳐서 혈행이 좋아질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보형물 주변조직이 보형물(인공적 보형물 및 자가 조직에 의한 비분해 보형물도 포함한다)에 의해 단절된 순환계통에 놓이게 되어 혈액 순환 장애를 일으키거나 괴사되는 문제점이 있어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한 것인 바, 이러한 문제점흘 해결한 본 발명은 그 의의가 크다고 할 것이다. A continuous circulatory system for the tissue of the site implanted by the tissues growing into the implant may be realized, and thus blood circulation may be improved throughout the tissue at the site of the implanted site, which means that the tissue around the implant is implanted (artificial implants). And a non-degradable prosthesis due to autologous tissues), which is placed in a circulatory system disconnected by the autologous tissue, causing problems or necrosis of blood circul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The significance is great.

이와 같이 체내에서 분해되는 재질은 현재 주로 수술용 봉합사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봉합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을 응용, 제조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봉합사를 인위적 방법에 의해 골격구조를 이루도록 가공하여 보형하고자 하는 인체부위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사출성형 등 공지의 성형방법이 사용될 수 있거나, 봉합사의 제조방법 중 제조 온도 조건 등 여러 변수들을 차용하여 이를 성형방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성형 방법은 공지의 방법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uch, the material that is decomposed in the body is currently mainly used as a surgical suture. Using such sutures,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manufactured. In this case, the suture is processed to form a skeletal structure by an artificial method and manufact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uman body to be prosthetic, and used as it is. Can be. However, more preferably, a well-known molding method such as injection molding may be used for mass production, or it may be applied to a molding method by borrow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manufacturing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suture manufacturing method. Since such a molding method corresponds to a known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은 이와 같은 공지의 성형방법에 의하여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예를 들어 생체 분해성 재료를 봉합사처럼 실모양으로 뽑아낸 후 이를 연결하여 구 형태의 골격구조가 되도록 한 것이며, 도 2 및 도 3은 예를 들어 상기 재료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구 형태로 제작한 후, 구의 표면에 관통공을 형성한 형태이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는 금형 설계에 기초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미세하게 형상을 조절하여야 하는 경우, 복잡형상, 또는 맞춤형 형상인 경우에는 금형 등에 의해 대량생산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도 1과 같이 인위적 작업(예를 들어 수작업) 등에 의한 봉합사의 연결구조가 더 바람직할 수 있다.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as various embodiments as shown in Figures 1 to 3 by such a known molding method. 1 is, for example, to extract a biodegradable material in the form of a thread like a suture and to connect it to a spherical skeletal structure, Figure 2 and 3 is a sphere that is empty inside, for example using the material After manufacturing in the form,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urface of a sphere. 2 and 3 is to be produced based on the mold design it will be possible to mass production. However, when the shape is to be finely adjusted, in the case of a complicated shape or a customized shape, it may not be suitable to mass-produce by a mold or the like, so as to connect the suture by artificial work (for example, manual work) as shown in FIG. 1. The structure may be more desirable.

다만, 본 발명의 공통되며 특징있는 기술적 사상은 망상구조나 천공된 구조라서 이러한 망 또는 천공구조를 관통하여 이식된 부위의 조직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2차원 평면체(도 10 참조) 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보형물이 이식된 부위의 주변조직이 보형물의 내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보형물의 외면에서 내부에 이르기까지 열려있는 3차원 구조체라는 것임을 유념하여야 한다.However, a common and characterist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twork structure or a perforated structure, which allows the tissue of the implanted portion to grow through such a network or perforated structure to grow, a two-dimensional planar body as described below (Fig. Note that it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at is open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terior of the implant so that a space is formed inside so that the surrounding tissue of the implant can grow into the interior of the implant.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격구조의 보형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표피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형물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본 도면들은 위 내용과 함께 참고될 수 있을 것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lant of the skelet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implant having a through-hole formed in the epiderm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 present drawings and the It may be referred to togeth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격구조의 보형물에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돌기부를 코의 성형시술 중에 코의 연골조직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돌기부는 예를 들어 코의 성형시 좌우 코구멍 부분의 연골조직에 각 돌기부를 인입하여 매립함으로써 연골조직을 상호 견인하여 코 끝을 모아주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보다 더 확장하여 이러한 돌기부는 조직의 분리 접합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분리 및 접합을 요하는 조직에 매립되며, 바람직하게는 분리된 조직을 특정 부위에 재접합 시키기 위한 견인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도 5에서는 이와 같은 견인력 부여를 목적으로 돌기 상호간 수렴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낚시 바늘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implant of the skelet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connected to the cartilage tissue of the nose during the nose molding procedure. Such a protrusion may serve to draw the tip of the nose by pulling the cartilage tissues by mutually embedding the protrusions into the cartilage tissues of the left and right nose hole portions when the nose is molded, for example. Even more broadly, these protrusions are used for separating and joining tissues, and are embedded in tissues requiring separation and conjugation, and preferably provide traction for rebonding the separated tissues to a specific site. In Figure 5 it is preferable to produce a shape such as a fishing hook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jections converge with each other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such a traction force.

이와 같은 돌기부 역시 보형물과 동일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돌기부를 이용하여 조직을 원하는 형태대로 성형한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분해되어 소멸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성형된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돌기부만큼은 금속 등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는 비분해성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돌기부와 생체와의 적합성 여부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Such protrusions may also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rosthesis, and thus may be decomposed and extinguish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tissue is formed into a desired shape using the protrusions. However, in order to maintain the molded state as much as possible, a non-degradable material such as metal, which does not decompose in the body may be used. In this case, however, the suitability of the protrusion and the living body should be considered.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격구조의 보형물을 코에 삽입함으로써 코 끝의 모양을 보정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격구조의 보형물을 코에 삽입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화살표는 보형물 내부로 이식된 코 주변의 조직이 성장함을 표현한 것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rrecting a shape of a nose tip by inserting a prosthesis of a skelet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llustrates a prosthesis of a skelet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serting, a perspective view after a certain time is shown, respectively. The arrows in FIG. 6 represent the growth of tissue around the nose implanted into the impla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형물은 체내 분해성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가공이 매우 용이하며, 따라서, 원하는 형태대로 맞춤형 제작을 할 수 있어 복잡한 형상을 포함하여 형상적 제한은 없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강도가 가공 등 취급 수준 이상의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보형 부위의 성형 형상을 새로운 조직이 성장하는 시간 이상으로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As shown, the prosthes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to process because it uses a decomposable polymer material in the body, and thus can be customized to the desired shape, and there is no geometric limitation including a complicated shap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itial strength has a value equal to or higher than a handling level such as processing, the shape of the shape of the pivoted portion can be sufficiently maintained beyond the time for growth of new tissu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은 내부가 비어있는 골격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골격과 골격사이로 이식된 부위의 조직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성장해 들어간다. 이는 상처가 치유되어 새살이 돋아나는 과정과 동일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을 이식한 초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코 성형과정에서 원하는 코의 형상을 보형물에 의해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보형물을 사용하는 경우와도 동일하나, 골격 사이로 성장된 이식 부위 주변의 조직에 의해 중공형 내부가 채워져 새로운 조직을 생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은 그 기능을 다하는 것이며, 따라서 제거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제거를 위한 별도의 시술과정이 필요없도록 하기 위하여 이와 같이 체내에서 분해되어 소실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비해서 보형물의 선명도를 흐리게 표현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보형물이 가수분해 되어 소실되어 가는 것을 의미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keletal structure with an empty interior, the tissue at the site transplanted between the skeleton and the skeleton grows over time. This is the same as the process of wound healing and sprouting, and in the initial implantation of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desired nose can be maintained by the prosthesis in the nose molding process as shown, which uses a conventional prosthesi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body is filled by the tissue around the implantation site grown between the skeletons to create a new tissue, and thus,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lfills its function, and thus may be removed. However, in order to eliminate the need for a separate procedure for removal is to use a material that is decomposed and lost in the body in this way. FIG. 6 shows that the shape of the implant is hydrolyzed and lost over time by blurring the sharpness of the implant as compared to FIG. 5.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보형물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a)는 예를 들어 코 성형용 보형물을, (b)는 예를 들어 광대뼈 성형용 보형물을 각각 나타낸 것이며, 도 9 (a), (b)는 턱 성형용 보형물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본 도면에서 도시한 것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형물이 이식된 부위의 주변조직이 내부로 성장할 수 있도록 표피에서 내부에 이르기까지 열려있는 구조를 구유하고 있는 것인 만큼, 위와 같은 구조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보형물의 형상은 전혀 그 한정됨이 없음을 유념하여야 한다.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prosthesis representing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s shown, Figure 8 (a) is a nose molding for example, (b) is for example The cheekbone molding implants are shown respectively, and FIGS. 9 (a) and 9 (b) show the jaw molding implants, respectively. However, the drawing is only one example, and as described above, it has a structure open from the epidermis to the inside so that the surrounding tissue of the implante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ow inside. As long as it satisfies the above structu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hape of the implant is not limited at all.

도 10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2차원 평면체를 굴곡한 형태의 보형물을 나타낸 것이다. 일단, 이와같은 형상을 제작한 후, 성형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상 보정하여 삽입하되, 상기 굴곡한 형태의 2차원 평면체를 성형부위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식하고(미도시), 이식부위의 조직이 골격구조의 2차원 평면체 또는 관통공이 형성된 2차원 평면체의 골격구조사이 또는 관통공을 관통하여 성장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a)는 2차원 평면체를 아치형으로 구부린 형태를, (b)는 폐원형으로 구부린 형태를 각각 나타내며, 이외에도 형상은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다만, 2차원 평면체의 앞뒤를 관통하도록 골격구조를 형성하거나 관통공이 형성된 평면체이어야 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Figure 10 shows the shape of the bent shape of the two-dimensional plana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ce the shape is manufactured, the shape is corrected and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molding site, and the curved two-dimensional planar body is implanted to form a space inside the molding site (not shown), and the implantation site is inserted. The tissue may be allowed to grow between the two-dimensional planar bodies of the skeletal structure or between the two-dimensional planar bodies with the through holes or through the through-holes. (a) shows a shape in which the two-dimensional planar body is bent in an arc shape, and (b) shows a shape in which the two-dimensional planar body is bent in a circular shap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keletal structure must be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front and rear of the two-dimensional planar body or the planar body formed with the through ho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에 기초하여야 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ased on the preferable embodiment, it is clear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an Example, The scope of this invention should be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im.

Claims (5)

의료용 보형물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체내 분해성 재료에 의해 제조되며,
다수의 프레임들에 의해 형성되되, 폐쇄형의 3차원 골격구조이며,
상기 폐쇄형 3차원의 골격구조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보형위치에 적용되되, 성형의 용도로 사용되어 비분해 보형물을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분해성 자가 조직 유도 보형물.
In the medical implant, the implant is,
It is made of degradable materials in the body,
It is formed by a plurality of frames, a closed three-dimensional skeleton structur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losed three-dimensional skeletal structure,
The degradable autologous tissue-inducing implant, which is applied to a prosthetic position that can be physically decomposed by external force, is used for shaping to replace a non-degradable implan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의 어느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생체 조직과 연결되어 상기 생체 조직에 견인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분해성 자가 조직 유도 보형물.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on any portion of the implant, wherein the protrusion is connected to biological tissue to impart traction to the biological tiss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구조는 가로와 세로 프레임들이 교번하여 엮어진 망형 골격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분해성 자가 조직 유도 보형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keletal structure is a degradable autologous tissue-induced im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are interwoven mesh structure.
삭제delete
KR1020110018610A 2011-03-02 2011-03-02 Implant for induction of autologous tissue bearing the characteristic of biodegradable within the body KR1010917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610A KR101091769B1 (en) 2011-03-02 2011-03-02 Implant for induction of autologous tissue bearing the characteristic of biodegradable within the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610A KR101091769B1 (en) 2011-03-02 2011-03-02 Implant for induction of autologous tissue bearing the characteristic of biodegradable within the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769B1 true KR101091769B1 (en) 2011-12-08

Family

ID=4550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610A KR101091769B1 (en) 2011-03-02 2011-03-02 Implant for induction of autologous tissue bearing the characteristic of biodegradable within the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76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682A1 (en) 2000-12-19 2002-06-27 Vascular Architects, Inc. Biologically active agen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US20040106988A1 (en) * 2000-09-29 2004-06-03 Summers David P. Resorbable prosthesis for medical treatment
US20090192609A1 (en) * 2008-01-29 2009-07-30 Zimmer, Inc. Implant device for use in an implan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6988A1 (en) * 2000-09-29 2004-06-03 Summers David P. Resorbable prosthesis for medical treatment
US20020082682A1 (en) 2000-12-19 2002-06-27 Vascular Architects, Inc. Biologically active agen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US20090192609A1 (en) * 2008-01-29 2009-07-30 Zimmer, Inc. Implant device for use in an impla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744A (en) Guided development and support of hydrogel-cell compositions
Liu et al. Porous polyethylene implant for cranioplasty and skull base reconstruction
TWI316860B (en) Multi-layered matrix, method of tissue repair using the same and multi-layered implant prepared thereof
US20210353831A1 (en) Scaffolding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353967B2 (en) Self-supporting collagen tunnel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5530888B (en) porous dental implant
Baino et al. Bioceramics in ophthalmology
US10111988B2 (en) Porous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polytetrafluoroethylene (versions), dental implant, vascular implant and tissue implant for substitution plasty of soft tissues
CN108294849A (en) A kind of personalized type femoral bone end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variable modulus
CN110882417B (en) Metal prosthesis of composite porous bioceramic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6798601B (en) kinds of supports
KR101091769B1 (en) Implant for induction of autologous tissue bearing the characteristic of biodegradable within the body
CN102389343B (en) Defective total sternum replacement part for total sternum defect operation treat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uvaneeth et al. Biomaterials and biocompatibility
CA2974455C (en) Resorbable and biocompatible graft in pga for implant following excision of the ipp plaque
CN101627932A (en) Piston-shaped bone repairing support and application thereof
CN211561236U (en) Bone defect repair support
US9833544B2 (en) Biphasic collagen membrane or capsule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CN112842623A (en) Method for modifying surface of hydroxyapatite by 3D (three-dimensional) bioprinting degradable artificial rib
KR20150087790A (en) Method of making a patient-specific implant
CN112690930A (en) Multi-material porous femur distal impla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3749826A (en) Degradable sternocostal implant printed in 3D mode
Jegorov et al. Wichterle hydron for breast augmentation–case reports and brief review
RU47695U1 (en) BIOIMPLANT FOR CULTURE FORMATION AFTER REMOVAL OF THE EYE
Singh et al. Ocular implants and pros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