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297B1 -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 Google Patents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297B1
KR101088297B1 KR1020090005054A KR20090005054A KR101088297B1 KR 101088297 B1 KR101088297 B1 KR 101088297B1 KR 1020090005054 A KR1020090005054 A KR 1020090005054A KR 20090005054 A KR20090005054 A KR 20090005054A KR 101088297 B1 KR101088297 B1 KR 10108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tongue
oral
oral treatmen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5645A (en
Inventor
이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와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와이드
Priority to KR1020090005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297B1/en
Priority to PCT/KR2010/000392 priority patent/WO2010085098A2/en
Publication of KR2010008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6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2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 치료 등을 포함한 구강 치료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개시된다.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는 몸체부의 양측면에 측면날개부를 돌출 형성하여 환자의 구강 내 양측면 볼부분의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킴으로써,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와 환자의 양측면 볼부분 사이의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어금니 안쪽의 잇몸이 삽입되는 잇몸삽입홈(3421)을 구비함으로써, 측면날개부(3420)를 환자의 어금니 안쪽 위/아래의 잇몸 사이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Disclosed are an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including dental care. Oral treatment aids are formed by protruding side wings on both sides of the body to elastically adhere to the skin of both sides of the ball in the patient's mouth, further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oral care aids and both sides of the patient. Can be. In addition, by providing a gum insertion groove 341 into which the gum inside the molar of the patient is inserted, the side wing portion 3420 can be stably adhered between the gums above and below the inside of the molar of the patient.

구강치료, 측면날개, 볼, 잇몸, 어금니 Oral treatment, side wings, cheek, gum, molar

Description

구강치료용 보조장치{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Oral treatment aids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본 발명은 치과 치료 등을 포함한 구강 치료에 사용되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치료 시 환자의 피 또는 세척액 등이 환자의 목구멍으로 넘어가는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used in oral treatment, including dental treatment, and more specifically,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for preventing discomfort that the patient's blood or washing liquid, such as to pass to the patient's throat during oral treatmen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치과 치료 등을 포함한 구강 치료 시 환자는 몸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도록 유니트 체어(Unit Chair)에 앉은 후 유니트 체어에 비치된 각종 치료용 장비를 통하여 치료를 받게 된다. 이때, 환자의 몸이 거의 누워있는 상태이므로, 구강 치료 시 세척액이나 환자의 피, 타액 등이 환자의 구강에 고이게 되고, 유니트 체어에 비치된 유체흡입 장치(suction unit)를 통하여 환자의 구강에 고여있는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In general, during oral treatment, including dental treatment, the patient is treated by various treatment equipments provided in the unit chair after sitting on a unit chair to lean the upper body of the body. At this time, since the patient's body is almost lying down, the washing liquid, the patient's blood, saliva, etc. are accumulated in the patient's oral cavity during oral treatment, and accumulated in the patient's oral cavity through a suction unit provided in the unit chair. The washing liquid or the patient's saliv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비록 유체 흡입 장치를 통하여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을 외부로 배출하지만, 발생 즉시 배출되지 않으므로, 환자는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이 목구멍을 통하여 기도나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혀를 뒤로 말아서 목구멍을 혀로 막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lthough the fluid or the patient's saliv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uid inhalation device, it is not immediately discharged, so the patient rolls his tongue backwards so that the cleaning fluid or the patient's saliva does not pass through the throat to the airways or esophagus. There is discomfort that must be covered by the tongue.

또한, 환자가 혀로 목구멍을 막고 있더라도, 일부의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이 목구멍으로 넘어가게 되고, 이때 환자는 목구멍으로 넘어오는 세척액이나 피를 삼키게 되는 불쾌함과 더불어 삼킬 때의 구강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치료를 잠시 멈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patient is covering the throat with the tongue, some of the washing liquid or the saliva of the patient is passed to the throat, and at this time, the patient is unpleasant to swallow the washing liquid or blood that comes into the throat and the movement of the mouth when swallowing. There is a discomfort to stop treat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강치료를 받는 환자의 목젖 전방의 구강을 밀폐하여 구강 치료 시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이 환자의 목구멍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치료용 보조기구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구강치료용 보조기구의 예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2008-0061702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ral treatment aids are developed to seal the oral cavity in front of the neck of the patient undergoing oral treatment to prevent the washing fluid or the saliva of the patient from falling into the throat of the patient during oral treatment. There is a trend. Examples of such oral treatment aids are disclos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8-0061702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그러나, 상기한 구강치료용 보조기구는 환자의 목젖 전방의 구강 내를 밀폐하게 되지만 환자의 구강 내 양측면 볼부분과의 밀착성은 다소 부족하다. 따라서, 구강 치료 시 구강치료용 보조기구와 구강 내 양측면 볼부분 사이를 통해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이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However, the oral treatment aid described above closes the oral cavity in front of the neck of the patient, but lacks adhesion to both sides of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refore, during oral treatmen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cleaning solution or the saliva of the patient is introduced through the oral treatment aid and the two sides of the oral cav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와 환자의 구강 내 양측면 볼부분 사이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oral cavity and the side cheeks of the patient's mouth.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는, 환자의 목젖 전방의 구강 내를 밀폐하도록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환자의 구강 내 양측면 볼부분의 피부에 밀착되는 한 쌍의 측면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측면날개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Oral treatment aid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portion is inserted to seal the oral cavity in front of the neck of the patient, and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It may include a pair of side wing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part. Here, the body portion and the side wing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또한, 상기 측면날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 외주연에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ide w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상부 외주연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구강 내 상면 피부에 밀착되는 상면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al treatment aid is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is inserted further comprises a top wing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kin of the patient's mouth can do.

또한, 상기 측면날개부는 상기 상면날개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상면날개부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ide w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wing portion to protrude more than the upper wing portion.

또한, 상기 상면날개부와 상기 측면날개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wing portion and the side w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또한, 상기 측면날개부가 상기 환자의 어금니 안쪽 위/아래의 잇몸 사이에 안정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상면날개부와 상기 측면날개부가 만나는 부위에 상기 환자의 어금니 안쪽의 잇몸이 삽입되는 잇몸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gum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gum inside the molars of the patient is inserted is formed at a site where the upper wing and the side wings meet so that the side wings are stably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ums inside the molars of the patient.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연결통로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연결통로와 연결되는 흡착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상기 흡착홀은 상기 상면날개부 또는 상기 측면날개부까지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assage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and at least one suction ho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suction hole extends to the upper wing portion or the side wing portion.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expand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에 따르면,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양측면에 측면날개부를 돌출 형성하여 환자의 구강 내 양측면 볼부분의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킴으로써,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와 환자의 양측면 볼부분 사이의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oral car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side wings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oral care auxiliary device to elastically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both sides of the ball in the mouth of the patient, the oral care auxiliary device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patient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환자의 어금니 안쪽의 잇몸이 삽입되는 잇몸삽입홈(3421)을 구비함으로써, 측면날개부(3420)를 환자의 어금니 안쪽 위/아래의 잇몸 사이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gum insertion groove 341 into which the gum inside the molar of the patient is inserted, the side wing portion 3420 can be stably adhered between the gums above and below the inside of the molar of the pati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shows a state wearing the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One front view and side view.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는 몸체부(1100), 날개부(1200) 및 혀말이부(1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oral care auxiliar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00, a wing portion 1200 and a tongue portion 1300, and the like. Can be.

몸체부(1100)는 환자의 목젖(uvula)(7) 전방의 구강(oral cavity)(1) 내를 밀폐하도록 삽입되며, 환자의 혀(3)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볼록한 반달형상 또는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dy portion 1100 is inserted to seal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1 in front of the patient's uvula 7 and is upwardly convex or crescent to be positioned over the patient's tongue 3.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a shape.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를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바람직하게는 경구개(hard palate)에 위치시킴에 따라, 환자의 목젖(7)에 접촉하여 환자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거부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부(1100)는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 측에 대응하는 일면이 오목하거나 적어도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y placing the oral treatment aid 1000 in the oral cavity (1), preferably hard palate in front of the patient's throat (7),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throat (7) to vomit the patient In order to solve the rejection, such as to cause the body portion 1100 is preferably one surface in the direc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that is,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hroat 5 side is concave or at least flat. .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가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혹시 환자의 목구멍(5)을 통해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몸체부(1100)는 환자의 목구멍(5)보다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ven if the oral treatment aid 1000 is located in the oral cavity 1 in front of the patient's throat 7, the body 1100 may prevent the patient from falling through the patient's throat 5. It is desirable to make the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throat 5.

또한, 몸체부(1100)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를 밀폐할 수 있도록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하며, 너무 딱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100 maintains a certain degree to the external load to seal the inside of the mouth (1) in front of the patient's throat (7), it is preferable not to be too har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몸체부(11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등의 경한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 몸체의 외곽을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 몸체가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100 may be used in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preferably a silicon or rubber material may be used, and more preferably,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may be configured in a form wrapped around the outer body made of silicone or rubber material.

날개부(1200)는 몸체부(1100)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환자의 구강(1) 내 피부 에 밀착된다. 바람직하게, 날개부(1200)는 몸체부(1100)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외곽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몸체부(1100)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Wing portion 120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1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mouth (1) of the patient. Preferably, the wing portion 1200 may be integrally protruded from the body portion 1100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on the outer sid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1100.

또한, 날개부(1200)는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밀착되기 용이하여야 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형태에 대응되도록 유연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날개부(1200)는 몸체부(1100)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wing portion 1200 should be eas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the flexibility is required to correspond to the various oral forms of the patient. Therefore, the wing portion 1200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body portion 1100, it is preferable to have an elastic forc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날개부(12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portion 1200 may be used for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preferably,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used for the body portion 1100 may be used.

혀말이부(1300)는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줄 수 있도록 몸체부(1100)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혀말이부(1300)는 몸체부(1100)의 하단 양측부를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여 만곡되게 돌출 형성할 수 있다. Tongue section 1300 may be provided in a pair in the body portion 1100 to roll both sides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inward. For example, the tongue portion 1300 may protrude in a curved manner by extending inwardly both lower ends of the body portion 1100, respectively.

또한, 혀말이부(1300)는 몸체부(1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1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tongue portion 130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1100, preferably forme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1100, more preferably thinner towar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또한, 혀말이부(1300)는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줄 수 있도록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하며, 너무 딱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ongue tip 1300 maintains a certain degree to the external load so that both sides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can be rolled inward, it is preferable not to be too har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혀말이부(13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 또는 내부 몸체에 사용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 직하게는 내부 몸체에 사용된 플라스틱 재질의 외곽을 외부 몸체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gue portion 1300 can be used in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preferably,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used in the body portion 1100, or a plastic used in the inner body. The material may be used, and more preferably, it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plastic material used in the inner body with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used in the outer body.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혀말이부(1300)를 몸체부(110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부(1100)와 한 쌍의 혀말이부(1300)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ir of tongue portions 13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1100 is illust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ody portion 1100 and the pair of tongue portions 1300 are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formed by a separate member and combin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는 구강치료를 받는 환자의 목젖(7) 전방, 바람직하게는 경구개와 혀(3)의 윗부분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환자의 구강(oral cavity)(1)과 인후(인두(pharynx)와 후두(larynx)를 합하여 칭하는 말이며, 목구멍(5)이라고도 함)를 밀폐함으로써, 환자가 구강치료를 받으면서 발생하는 세척액 또는 환자의 침, 피 등의 타액 또는 치료용 집도 도구가 인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ral treatment aid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so that the front of the neck (7), preferably the palate and the tongue (3) of the patient undergoing oral treatment. To seal the patient's oral cavity (1) and throat (the pharynx (larynx) and larynx), also known as the throat (5)), which causes the patient to receive oral treatment Saliva, such as acupuncture and blood, or therapeutic tools in a patient can also prevent the tool from passing into the throat.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의 몸체부(1100) 외주연에 대응되는 외곽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날개부(120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다양한 구강 형태에 대응되도록 유연성이 향상되어 구강(1) 내 피부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g portion 1200 protrudes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t the outer sid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1100 of the oral treatment aid 1000, thereby improving flexibility to correspond to the various oral forms of the patient Adhesion with the skin in the oral cavity 1 can be improved.

특히, 몸체부(1100)의 하단 양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혀말이부(1300)가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줌으로써,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와 환자 혀(3)의 양측면 사이에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air of tongue portions 1300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100 rolls both sides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inward, thereby assisting the oral treatment device 1000 and the patient tongue ( The adhesion between the two side surfaces of 3)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몸체부(1100)의 하단 양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혀말이부(1300)가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줌으로써, 환자의 환부, 즉 치아 또는 잇몸으로부터 환자의 혀(3)를 이격시켜 구강치료 시 환자의 혀를 구강치료용 도구들 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tongue portions 1300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100 rolls both sides of the patient's tongue 3 inward, thereby injuring the patient's tongue, that is, the tongue of the patient from the teeth or gums. (3) can be spaced apart to protect the patient's tongue from oral treatment tools during oral treat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treatment ai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oral care ai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a patient's mouth. One front view and side view.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2000)는 몸체부(2100), 날개부(2200), 혀삽입부(2300) 및 혀걸이부(2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4 to 6, the oral treatment aid 2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dy portion 2100, wing 2200, tongue inserting portion 2300 and tongue hook portion (2400) and the like.

몸체부(2100)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를 밀폐하도록 삽입되며, 환자의 혀(3)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볼록한 반달형상 또는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dy portion 2100 is inserted to seal the inside of the mouth 1 in front of the patient's throat 7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half-moon or crescent shape that is upwardly convex to be positioned on the patient's tongue 3. .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2000)를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바람직하게는 경구개(hard palate)에 위치시킴에 따라, 환자의 목젖(7)에 접촉하여 환자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거부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부(2100)는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 측에 대응하는 일면이 오목하거나 적어도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2100)는 환자의 목구멍(5) 보다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y placing the oral treatment aid 2000 in the oral cavity (1), preferably hard palate in front of the patient's neck (7),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throat (7) to vomit the patient In order to solve the rejection, such as causing the body portion 2100 is preferably one surface in the direction of being inserted into the mouth 1 of the patient, that is,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hroat 5 side is concave or at least flat. .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2100 is preferably larger in area than the throat 5 of the patient.

또한, 몸체부(2100)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를 밀폐할 수 있도록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하며, 너무 딱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2100 maintains a certain degree to the external load so as to seal the inside of the mouth 1 in front of the patient's throat 7, it is preferable not to be too har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몸체부(21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 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등의 경한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 몸체의 외곽을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 몸체가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날개부(2200)는 몸체부(2100)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밀착된다. 바람직하게, 날개부(2200)는 몸체부(2100)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외곽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몸체부(2100)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2200)는 몸체부(2100)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2100 can be used in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preferably a silicon or rubber material can be used, and more preferably,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may be configured in a form wrapped around the outer body made of silicone or rubber material. The wing portion 2200 is provid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21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mouth 1 of the patient. Preferably, the wing portion 22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2100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on the outer sid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2100. In addition, the wing portion 2200 is formed thinner than the body portion 2100, it is preferable to have an elastic forc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날개부(22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2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portion 2200 can be used in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preferably,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used for the body portion 2100 can be used.

혀삽입부(2300)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2000)에 환자의 혀(3)를 삽입하여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날개부(2200)의 하면을 혀(3)의 양측면 길이 정도로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tongue inserting portion 2300 is formed by cut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2200 about the length of both sides of the tongue 3 so that the patient's tongue 3 can be stably worn in the oral treatment aid 2000. can do.

혀걸이부(2400)는 환자의 혀(3)가 혀삽입부(2300)에 삽입될 때 환자의 혀(3) 하면을 걸어줄 수 있도록 혀삽입부(2300)의 하부에 날개부(2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혀걸이부(2400)의 두께는 환자의 혀(3) 하면을 탄성적으로 걸어줄 수 있도록 날개부(2200)의 두께보다 적어도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tongue hanger 2400 may have a wing 220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ongue insert 2300 so as to walk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when the tongue 3 of the patient is inserted into the tongue insert 2300. It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tongue portion 2400 is preferably at least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wing portion 2200 to elastically walk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2000)의 작용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치료용 보조장치(2000)에 형성되는 혀삽입부(2300)를 통해 환자의 혀(3)를 삽입한 후 혀걸이부(2400)로 혀(3)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걸어주어 환자의 구강(1) 내에 장착할 수 있다. Since the operation of the oral treatment aid 2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inserting the patient's tongue 3 through the tongue insertion portion 2300 formed in the oral treatment aid 2000,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3 by the tongue hook portion 2400 Can be elastically hung and mounted in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따라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가 환자의 구강(1) 내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혹시 환자의 목구멍(5)을 통해 넘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구강치료 시 환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oral treatment aid 1000 is located in the patient's mouth 1, it is possible to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patient during the oral treatment by not passing over the throat 5 of the patient.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as seen from the front side and rear side of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7, Figures 10 and 11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7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는 몸체부(3100), 혀삽입부(3200), 구강흡착부(3300) 및 날개부(3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7 to 11, the oral care auxiliary apparatus 3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portion 3100, the tongue inserting portion 3200, oral adsorption portion 3300 and wings 3400, and the like.

몸체부(3100)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를 밀폐하는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 내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혹시 환자의 목구멍(5)을 통해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환자의 목구멍(5) 보다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Body portion 3100 has a shape for sealing the inside of the mouth (1) in front of the patient's throat (7). Preferably, even if the body portion 3100 is located in the oral cavity in front of the patient's throat 7, the body 3100 may be larger than the patient's throat 5 so as not to fall through the patient's throat 5. have.

또한, 몸체부(3100)는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하며, 너무 딱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몸체부(31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등의 경한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 몸체의 외곽을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 몸체가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몸체부(3100)는 후술할 혀삽입부(3200)에 삽입되는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주는 한 쌍의 혀말이부(3110)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3100 maintains a certain degre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load, it is preferable not to be too hard.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3100 can be used in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preferably a silicon or rubber material can be used, and more preferably,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may be configured in a form wrapped around the outer body made of silicone or rubber material. The body portion 3100 may include a pair of tongue tip portions 3110 that roll up both sides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which is inserted into the tongue inserting portion 3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혀말이부(3110)는 몸체부(3100)의 하단 양측부를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여 만곡되게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혀말이부(3110)는 몸체부(3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1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Tongue 311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curved manner by extending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310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ongue portion 311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3100, preferably forme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1100, more preferably thinner towar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또한, 혀말이부(3110)는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줄 수 있도록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하며, 너무 딱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ongue portion 3110 maintains a certain degree to the external load so that both sides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can be rolled inward, it is preferable not to be too har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혀말이부(311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 또는 내부 몸체에 사용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부 몸체에 사용된 플라스틱 재질의 외곽을 외부 몸체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gue portion 3110 can be used in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preferably, silicone or rubber material used in the body portion 3100, or plastic used in the inner body. The material may be used, and more preferably,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astic material used for the inner body may be configured to be wrapped in a silicon or rubber material used for the outer body.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혀말이부(3110)를 몸체부(310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부(3100)와 한 쌍의 혀말이부(3110)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ir of tongue portions 3110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3100 is illust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ody portion 3100 and the pair of tongue portions 3110 are formed. It may be formed by a separate member and combined.

몸체부(3100)는 환자의 혀(3)가 혀삽입부(3200)에 삽입될 때 환자의 혀(3) 하면을 걸어주는 혀걸이부(3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3100 may further include a tongue hook portion 3120 that hangs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when the tongue 3 of the patient is inserted into the tongue insertion portion 3200.

혀걸이부(3120)는 한 쌍의 혀말이부(3110)의 하단을 각각 연장되게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혀걸이부(312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혀말이부(311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Tongue hook portion 312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tongue tips 3110, respectively.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gue portion 3120 can be used in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preferably,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used for the tongue portion 3110 can be used.

또한, 혀걸이부(3120)는 몸체부(3100)의 삽입되는 반대측 일면, 즉 후술할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를 포함하는 일면의 혀말이부(3110)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혀걸이부(3120)의 두께는 환자의 혀(3) 하면을 탄성적으로 걸어줄 수 있도록 혀말이부(3110)의 두께보다 적어도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ongue portion 3120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from the tongue side portion 3110 of one side including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portion 3100 is inserted, that is, the fluid suction fastening terminal 3130 to be described later. .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tongue portion 3120 is preferably at least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tongue portion 3110 to elastically walk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본 실시예에서는, 혀걸이부(3120)를 혀말이부(311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혀걸이부(3120)를 혀삽입부(3200)의 하부에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한 쌍의 혀말이부(3110)와 결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ongue hook portion 31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ngue tip portion 3110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ongue hook portion 3120 is separately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ongue inserting portion 3200. It may be formed as a member and combined with a pair of tongue portions 3110.

몸체부(3100)는 내부에 유체,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연결통로(3101)가 형성되며, 연결통로(3101)는 후술할 구강흡착부(3300)의 흡착홀(3301)과 연결된다. 또한, 몸체부(3100)는 구강흡착부(3300)에 음압(negative press)을 제공하도록 연결통로(3101)와 연결되는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3100 has a connection passage 3101 through which a fluid, preferably air, can flow therein, and the connection passage 3101 is connected to an adsorption hole 3301 of the oral adsorption portion 3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3100 may include a fluid suction coupling terminal 313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3101 to provide a negative pressure to the oral suction portion 3300.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는 몸체부(3100)의 삽입되는 반대측 일면, 즉 목구멍(5) 측과 반대되는 몸체부(3100)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The fluid suction fastening terminal 313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n one surface of the body 3100 opposite to the side of the body 3100, that is, opposite to the throat 5.

또한,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는 유체 이송관(미도시)과의 체결을 통하여 유체 흡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이때,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에는 유체 이송관과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나사선은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의 내부에 암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의 외부에 수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luid suction coupling terminal 3130 is connected to the fluid suction device (not shown) through the fastening with the fluid transfer pipe (not show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fastening terminal 3130 for fluid suction to facilitate fastening with the fluid transfer pipe. For example, the screw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emale screw inside the fastening terminal 3130 for fluid suction,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ale screw outside the fastening terminal 3130 for fluid suction.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유체 흡입장치는 별도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강치료용 유니트 체어에 포함된 에어 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수동에 의하거나 전기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유체 흡입장치는 유니트 체어에 포함된 에어 펌프 즉, 치과 치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흡입기(suction instrument)를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luid suction device may use a separate pump, or may use an air pump included in the unit chair for oral treatment. At this time, in the case of using a separate pump may be by manual or using electrical energy. The fluid suction device may use an air pump included in the unit chair, that is, a suction instrument commonly used in dental treatment.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를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바람직하게는 경구개(hard palate)에 흡착시킴에 따라, 환자의 목젖(7)에 접촉하여 환자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거부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부(3100)는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 측에 대응하는 일면이 오목하거나 적어도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y adsorbing the oral treatment device 3000 in the mouth (1), preferably hard palate in front of the patient's throat (7), the patient's throat (7)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throat (7) vomiting the patient In order to solve the rejection, such as to cause the body portion 3100 is preferably one surface in the direction of being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that is,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hroat 5 side is concave or at least flat. .

혀삽입부(3200)는 몸체부(3100)에 환자의 혀(3)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때, 혀삽입부(3200)의 개구 면적은 혀 중간뒷부분의 단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혀삽입부(3200)는 몸체부(3100)의 하단면을 반원의 홈 형태로 형성하거나 몸체부(3100)에 타원 형태로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혀삽입부(3200)는 몸체부(3100)의 하단부, 한 쌍의 혀말이부(3110) 및 혀걸이부(3120)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tongue insertion part 3200 is formed to be opened so that the tongue 3 of the patient can be inserted into the body part 3100. At this time, the opening area of the tongue insertion portion 320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iddle back portion of the tongue. In addition, the tongue inserting portion 3200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00 in a semicircular groove shape or penetrate the body portion 3100 in an elliptic shape. In addition, the tongue insertion part 3200 may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lower end of the body part 3100, a pair of tongue tip parts 3110, and a tongue hook part 3120.

구강흡착부(3300)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와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몸체부(3100)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구강흡착부(3300)는 몸체부(3100)의 외주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의 상면 및 좌우측면하부의 외주연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Oral adsorption unit 3300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3100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oral care device 3000 and the skin of the patient's mouth (1). For example, the oral adsorption portion 3300 may be integral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3100, preferably the upp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310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또한, 구강흡착부(3300)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이 흡입력(음압)에 의해 환자의 구강(1) 내의 피부에 흡착되도록 연결통로(3101)와 연결되는 흡착홀(3301)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착홀(3301)은 구강흡착부(330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adsorption hole 3301 is formed in the oral adsorption unit 3300,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3101 so as to suck air and be adsorbed to the skin in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by the suction force (negative pressure). Preferably, a plurality of adsorption holes 3301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ral adsorption unit 3300.

이때, 흡착홀(3301)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강흡착부(3300)는 환자의 구강 내 피부에 흡착되기 용이하여야 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구조에 대응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uction hole 330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polygon. In addition, the oral adsorption portion 3300 should be easy to be adsorbed to the skin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and preferably has an elastic force to correspond to the various oral structures of the patient.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구강흡착부(33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al adsorption portion 3300 can be used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preferably can be used as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used in the body portion 3100.

날개부(3400)는 몸체부(3100)의 외주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의 상면 및 좌우측면 외주연에 몸체부(3100)의 삽입되는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상면 및 좌우측면 피부에 밀착된다. Wing part 340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3100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3100, preferably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sid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3100 oral cavity (1) ) It adheres to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skin inside.

또한, 날개부(3400)는 구강흡착부(3300)와 일체로 형성되고, 구강흡착 부(3300)의 흡착홀(3301)이 날개부(3400)의 일부까지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wing 34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ral suction unit 3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hole 3301 of the oral suction unit 3300 is extended to a part of the wing 3400.

또한, 날개부(3400)는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흡착되기 용이하여야 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구조에 대응되도록 탄성적으로 구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몸체부(3100)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g portion 3400 should be easy to be adsorbed to the skin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and is preferably elastically bent to correspond to various oral structures of the patient, so that the thickness 3400 may be thinner than the body portion 3100. Can b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날개부(34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portion 340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of silicon or rubber material used for the body portion 3100.

날개부(340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날개부(3400)는 상면날개부(3410) 및 측면날개부(3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g part 3400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g part 3400 may include an upper wing part 3410 and a side wing part 3420.

상면날개부(3410)는 몸체부(3100)의 상면 외주연에 몸체부(3100)가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즉 구강(1)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상면, 예컨대 입천정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상면날개부(3410)는 몸체부(3100)의 외주연 양측부위에서 중앙부위로 갈수록 돌출되는 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wing part 341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310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art 3100 is inserted into the mouth 1 of the patient, that is,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mouth 1 so that the patient's mouth is closed. (1) It is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side, for example, the ceiling skin. The upper wing portion 3410 may have a larger protruding area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s of the body portion 3100 toward the center portion.

측면날개부(3420)는 몸체부(3100)의 양측면 외주연에 몸체부(3100)가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구강(1)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양측면 볼부분의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날개부(3420)는 상면날개부(3410)의 양측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면날개부(3410) 보다 더 돌출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ide wing portion 3420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3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at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3100, and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oral cavity 1 so that the patient's mouth ( 1) It may be composed of a pair so as to elastically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both sides of the ball portion. In addition, the side wing portion 3420 may be integrally formed to extend from both side ends of the upper wing portion 3410 so as to protrude more than the upper wing portion 3410.

이때, 측면날개부(3420)가 환자의 어금니 안쪽 위/아래의 잇몸 사이에 안정적으로 끼워지도록 상면날개부(3410)와 측면날개부(3420)가 만나는 부위에 환자의 어금니 안쪽의 잇몸이 삽입되는 잇몸삽입홈(3421)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ms inside the patient's molar tooth are inserted into a portion where the upper wing part 3410 and the side wing part 3420 meet so that the side wing part 3420 is stably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ums inside the patient's molar tooth. A gum insertion groove 341 may be formed.

또한, 구강흡착부(3300)의 흡착홀(3301)이 상면날개부(3410) 및 측면날개부(3420)까지 확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dsorption holes 3301 of the oral suction unit 3300 is preferably extended to the upper blade portion 3410 and the side blade portion 342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는 구강치료를 받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 내를 밀폐하도록 삽입됨으로써, 환자가 구강치료를 받으면서 발생하는 세척액 또는 환자의 침, 피 등의 타액 또는 치료용 집도 도구가 인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oral treatment aid 3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to seal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n front of the neck 7 of the patient who is receiving oral treatment, so that the patient receives oral treatment. Washing fluid or saliva, such as saliva, blood, or therapeutic tools of the patient can also prevent the passing of the throat to the throat.

이때, 몸체부(3100)의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에 유체 이송관을 체결한 후 유체 흡입장치를 통해 유체를 흡입하면, 몸체부(3100) 내의 연결통로(3101)와 연결되는 구강흡착부(3300)의 흡착홀(3301)에 음압이 형성되어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를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흡착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fluid suction tube is fastened to the fluid suction coupling terminal 3130 of the body portion 3100 and the fluid is sucked through the fluid suction device, the oral suc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3101 in the body portion 3100.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adsorption hole 3301 of the part 3300 to adsorb the oral treatment aid 3000 to the skin in the mouth 1 of the patient.

따라서, 구강치료 시 환자가 입을 움직이더라도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와 환자의 피부 간의 밀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혀말이부(3110)가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주어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와 환자 혀(3)의 양측면 사이에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혀걸이부(3120)가 혀삽입부(3200)를 통해 삽입되는 혀(3)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걸어주어 혹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가 환자의 목구멍(5)을 통해 넘어가지 않도록 구강치료 시 환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100)의 상면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상면날개부(3410)가 환자의 구강(1) 내 상면, 예컨대 입천정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고, 몸체부(3100)의 양측면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측면날개부(3420)가 환자의 구강(1) 내 양측면 볼부분의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때, 상면날개부(3410)와 측면날개부(3420)가 만나는 부위에 환자의 어금니 안쪽의 잇몸이 삽입되는 잇몸삽입홈(3421)이 형성됨으로써, 측면날개부(3420)를 환자의 어금니 안쪽 위/아래의 잇몸 사이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patient moves the mouth during oral treatment, it is possible to firmly maintain the close contact state between the oral treatment aid 3000 and the skin of the patient. In addition, a pair of tongue tip 3110 rolls both sides of the patient's tongue (3) inward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oral treatment aid (3000) and both sides of the patient tongue (3), tongue The hook portion 3120 elastically hangs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3 inserted through the tongue insertion portion 3200 so that the oral treatment aid 3000 does not fall through the throat 5 of the patient. Treatment can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patient. In addition, the upper wing portion (3410) protruding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3100 is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atient's mouth (1), for example, the ceiling ceiling, both sides of the outer portion of the body 3100 The side wing portion 3420 formed to protrude on the elastically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both sides of the ball in the mouth (1) of the patient.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portion 3410 and the side wing portion 3420 is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gum insertion groove 341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inner side of the molars, thereby forming the side wing portion 3420 in the upper side of the patient's molars Can be securely attached between the lower gums.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3는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3에 나타낸 제 1 몸체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3에 나타낸 제 2 몸체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2의 A부위에 대한 확대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and FIG. 14 is for an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4, FIG. 1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the first body shown in FIG. 13, and FIG. 17 is a second view shown in FIG. 13.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the body, and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2, and FIG. 1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도 12 내지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4000)는 제 1 몸체(4100), 제 2 몸체(4200) 및 체결수단(4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 to 19, the oral treatment aid 40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4100, a second body 4200, a fastening means 4300, and the like. can do.

제 1 몸체(4100)는 후술할 제 2 몸체(4200)의 안착홈(4201)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 1 몸체(4100)는 환자의 구강(1)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혀(3)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볼록한 반달형상 또는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혹시 환자의 목구멍(5)을 통해 넘어가지 않도 록 하기 위해 환자의 목구멍(5) 보다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410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4201 of the second body 4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detachably coupled thereto. In addition, the first body 4100 has a predetermined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mouth 1 of the patient. Preferably, it may be formed in a half moon shape or a crescent shape that is convex upward so as to be located on the patient's tongue 3, even if it is located in the oral cavity 1 in front of the patient's throat 7 5) it can be larger than the patient's throat (5) in order not to fall through.

또한, 제 1 몸체(4100)는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몸체(4100)는 후술할 제 2 몸체(4200) 보다 탄성력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였다.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4000)를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바람직하게는 경구개(hard palate)에 위치시킴에 따라, 환자의 목젖(7)에 접촉하여 환자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거부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몸체(4100)는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 측에 대응하는 일면이 오목하거나 적어도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41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a certain degree of shape with respect to external load. Specifically, the first body 41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maller elastic force than the second body 4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used any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astic material as an embodiment It was. In addition, by placing the oral treatment aid 4000 in the oral cavity (1), preferably hard palate in front of the patient's neck (7),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throat (7) to vomit the patient In order to solve the rejection, such as to cause the first body 4100 is preferably one surface in the direc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mouth 1 of the patient, that is,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hroat 5 side is concave or at least flat. Do.

제 1 몸체(4100)는 후술할 제 2 몸체(4200)의 혀삽입부(4220)에 삽입되는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주는 한 쌍의 혀말이부(411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혀말이부(4110)는 제 1 몸체(4100)의 하단 양측부를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여 만곡되게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혀말이부(4110)는 제 1 몸체(4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1 몸체(41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body 4100 may include a pair of tongue tip portions 4110 which roll up both sides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which is inserted into the tongue inserting portion 4220 of the second body 4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ave. For example, the tongue portion 4110 may protrude to be curved by extending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4100 inward. In addition, the tongue portion 411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4100, preferab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4100, more preferably the thickness toward the lower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hin.

제 1 몸체(4100)는 제 2 몸체(4200)의 안착홈(4201)과 대향되는 일면에 유체,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연결통로(4101)가 형성되며, 제 1 몸체(4100)를 제 2 몸체(4200)에 삽입하여 체결한 후에는 연결통로(4101)가 후술할 제 2 몸체(4200)의 흡착홀(4231)과 연결된다. The first body 41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ssage 4101 through which fluid, preferably air, can flow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4200 that faces the seating groove 4201, and the first body 4100. After inserting and fastening to the second body 4200, the connection passage 4101 is connected to the adsorption hole 4231 of the second body 4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 1 몸체(4100)는 흡착홀(4231)에 음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를 구비할 수 있다.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는 제 1 몸체(4100)가 제 2 몸체(4200)에 대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제 1 몸체(4100)의 일면, 즉 목구멍(5) 측과 반대되는 제 1 몸체(4100)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body 4100 may include a fluid suction fastening terminal 4130 connected to provide a negative pressure to the suction hole 4231. The fluid suction fastening terminal 4130 has a first body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4100, ie, the throat 5, in an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4100 is inser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4200.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to protrude on one surface of the 4100.

또한,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는 유체 이송관(미도시)과의 체결을 통하여 유체 흡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이때,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에는 유체 이송관과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나사선은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의 내부에 암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의 외부에 수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luid suction fastening terminal 4130 is connected to the fluid suction device (not shown) through the fastening with the fluid transfer pipe (not show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fastening terminal 4130 for fluid suction to facilitate fastening with the fluid transfer pipe. For example, the screw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emale screw inside the fastening terminal 4130 for fluid suction,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ale screw outside the fastening terminal 4130 for fluid suction.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유체 흡입장치는 별도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강치료용 유니트 체어에 포함된 에어 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수동에 의하거나 전기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유체 흡입장치는 유니트 체어에 포함된 에어 펌프 즉, 치과 치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흡입기(suction instrument)를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luid suction device may use a separate pump, or may use an air pump included in the unit chair for oral treatment. At this time, in the case of using a separate pump may be by manual or using electrical energy. The fluid suction device may use an air pump included in the unit chair, that is, a suction instrument commonly used in dental treatment.

제 1 몸체(4100)는 외주연에 연결통로(4101)와 연결되도록 연결홈(4103)이 다수 개 형성되고, 이 연결홈(4103)들을 형성함에 따라 연결홈(4103)들 사이에는 다수 개의 돌기(4105)가 형성된다. 이때 돌기(4105)들은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 사이에 연결통로(4101)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통로(4101)가 형성되는 제 1 몸체(4100)의 일면으로 약간 돌출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body 4100 has 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410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ssages 4101,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between the connecting grooves 4103 as the connecting grooves 4103 are formed. 4105 is formed. At this time, the projections 4105 are slightly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4100 in which the connection passage 4101 is formed so as to maintain a gap of the connection passage 4101 between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It is preferred to extend protrudingly.

또한, 제 1 몸체(4100)의 연결통로(4101)가 연결홈(4103)을 통해 제 2 몸체(4200)의 흡착홀(4231)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제 1 몸체(4100)에 형성되는 연결홈(4103) 및 돌기(4105)는 흡착홀(423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connection passage 4101 of the first body 4100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4231 of the second body 4200 through the connection groove 4103, a connec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body 4100 ( 4103 and the projections 4105 are preferably located at least one or more in the adsorption hole (4231).

제 1 몸체(4100)에는 후술할 체결핀(4310)이 삽입되어 관통하도록 체결구멍(4107)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를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되도록 한 쌍의 제 1 체결구멍(410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구멍(4107)의 내경은 체결핀(4310)의 외경에 대응되며, 후술할 제 2 체결구멍(4205a)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fastening hole 4107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4100 such that a fastening pin 431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rethrough. Preferably, a pair of first fastening holes 4107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luid suction fastening terminal 4130. here.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astening hole 4107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in 4310, and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4205a to be described later.

제 1 몸체(4100)는 연결통로(4101)가 형성되는 일면의 제 1 체결구멍(4107) 주위에 제 1 단차돌기(4109a)가 형성되어 후술할 제 2 몸체(4200)의 제 2 체결구멍(4205b)에 끼워지면서 연결통로(4101)와 제 1 및 제 2 체결구멍(4107,4205b)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또한, 제 1 몸체(4100)는 연결통로(4101)가 형성되는 일면 및 제 1 단차돌기(4109a) 주위에 제 1 단차돌기(4109a) 보다 작게 돌출되는 제 2 단차돌기(4109b)가 형성되어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 사이에 연결통로(4101)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4100 has a first stepped protrusion 4109a formed around the first fastening hole 4107 on one surface of which the connection passage 4101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fastening hole of the second body 4200 (to be described later) 4205b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ssage 4101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4107 and 4205b is blocked. In addition, the first body 4100 has a second stepped projection 4109b formed to protrude smaller than the first stepped projection 4109a around one surface on which the connection passage 4101 is formed and around the first stepped projection 4109a. A distance of the connection passage 4101 may be maintained between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제 2 몸체(4200)는 제 1 몸체(410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환자의 목젖 전방의 구강(1) 내를 밀폐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형태에 대응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제 1 몸체(4100) 보다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 제 2 몸체(42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4200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body 4100 and seals the inside of the mouth 1 in front of the neck of the patient, and the first body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correspond to various mouth shapes of the pati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4100). In addition, the second body 4200 may use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ilicon material may be used as an embodiment.

제 2 몸체(4200)는 제 1 몸체(4100)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제 1 몸체(4100)의 삽입방향과 대향되는 일면에 제 1 몸체(4100)의 형상과 대응하는 안착홈(4201)이 형성된다. 이때,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흡착홀(4231)에 음압이 형성될 때 제 1 몸체(4100)의 연결통로(4101) 및 연결홈(4103)과 제 2 몸체(4200)의 흡착홀(4231) 간의 개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 2 몸체(4200)에 충분한 인장응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 2 몸체(4200)의 안착홈(4201) 내경을 제 1 몸체(4100)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4200)에 삽입되는 제 1 몸체(41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의 가장자리 부위를 밀폐할 수 있도록 안착홈(4201)의 가장자리로부터 제 1 몸체(4100)의 가장자리를 에워싸도록 이탈방지용 리브(4203)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4200 has a mounting groove 420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body 4100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4100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body 4100 so that the first body 4100 may be inserted therein. do. At this time, when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suction hole 423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are coupled, the connection passage 4101 and the connection groove 4103 of the first body 4100 a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sufficient tensile stress to the second body 4200 so that the open state between the suction holes 4231 of the second body 4200 can be maintained. To this end,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groove 4201 of the second body 4200 may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4100. In addition, the edge of the seating groove 420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4100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4200 and the edges of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may be sealed. A separation preventing rib 420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first body 4100.

이탈방지용 리브(4203)에는 후술할 체결핀(4310)의 외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 2 체결구멍(4205a)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4203 may have a second fastening hole 4205a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in 4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 2 몸체(4200)에는 제 1 몸체(4100)의 제 1 체결구멍(4107)과 대응되는 위치에 후술할 체결핀(4310)이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제 2 체결구멍(4205a,4205b)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이탈방지용 리브(4203) 각각에 제 2 체결구멍(420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몸체(4100)가 제 2 몸체(4200)에 삽입되어 체결될 때 제 1 몸체(4100)의 제 1 단차돌기(4109a)가 끼워지면서 체결 핀(4310)이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제 2 체결구멍(4205b)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second fastening hole 4205a or 4205b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4200 so that the fastening pin 4310 to be described later penetrat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4107 of the first body 4100. Can be formed. Preferably, a second fastening hole 4205a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ribs 4203, and when the first body 4100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second body 4200, the first body ( As the first stepped protrusion 4109a of the 4100 is fitted, a second fastening hole 4205b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pin 4310.

제 2 몸체(4200)는 하단 양측부(4209)가 제 1 몸체(4100)의 한 쌍의 혀말이부(411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 2 몸체(4200)는 하단 양측부(4209)를 제 1 몸체(4100)의 한 쌍의 혀말이부(4110)의 형상과 대응되게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여 만곡되게 돌출 형성한다. 또한, 제 2 몸체(4200)는 돌출되는 하단 양측부(4209)를 각각 연장되게 연결하여 환자의 혀(3) 하면을 걸어주는 혀걸이부(4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2 몸체(4200)의 하단부(4207), 하단 양측부(4209) 및 혀걸이부(4210)의 조합에 의해 혀삽입부(4220)가 형성된다. The second body 420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ower both sides 4209 surround the pair of tongue portions 4110 of the first body 4100. That is, the second body 4200 protrudes from the lower both side portions 4209 by extending inwar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air of tongue portions 4110 of the first body 4100. In addition, the second body 4200 may include a tongue hook portion 4210 which extends the protruding lower side portions 4209 so as to extend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At this time, the tongue inserting portion 4220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4207, the lower both side portions 4209, and the tongue catching portion 4210 of the second body 420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혀걸이부(4210)는 제 2 몸체(420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혀걸이부(4210)는 목구멍(5) 측 반대되는 제 2 몸체(4200)의 일면의 하단 양측부(4209)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혀걸이부(4210)는 환자의 혀(3) 하면을 탄성적으로 걸어줄 수 있도록 제 2 몸체(4200)의 하단 양측부(4209)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혀걸이부(4210)를 제 2 몸체(420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혀걸이부(4210)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gue portion 4210 may use the same silicon material as the second body 4200. In addition, the tongue hook portion 4210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side both sides 4209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4200 opposite the throat (5) side. In addition, the tongue hook portion 4210 is preferably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lower side sides 4209 of the second body 4200 to elastically hang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3) of the pati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ongue portion 42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body 4200 is illust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ongue portion 4210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제 2 몸체(4200)는 유체의 유동에 따른 음압에 의해 환자의 구강(1) 내의 피부에 흡착되는 구강흡착부(42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강흡착부(4230)는 제 2 몸체(4200)의 외주연, 바람직하게는 제 2 몸체(4200)의 상면 및 좌우측면하부의 외주연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강흡착부(4230)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이 흡입력(음압)에 의해 환자의 구강(1) 내의 피부에 흡착되도록 제 1 몸체(4100)의 연결통로(4101) 및 제 2 몸체(4200)의 안착홈(4201)과 연결되는 흡착홀(4231)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4200 may include an oral adsorption portion 4230 which is adsorbed to the skin in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by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fluid. The oral adsorption portion 4230 may be integral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body 4200, preferably the upper periphery of the second body 420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In the oral suction unit 4230, the air passages are sucked into the skin in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by the suction force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connection path 4101 and the second body 4200 of the first body 4100 are seated. At least one suction hole 423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roove 4201.

바람직하게는 흡착홀(4231)은 구강흡착부(42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착홀(4231)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강흡착부(4230)는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흡착되기 용이하여야 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구조에 대응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구강흡착부(4230)는 제 2 몸체(420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adsorption holes 4231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ral adsorption unit 4230. At this time, the suction hole 423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polygon. In addition, the oral adsorption portion 4230 should be easy to be adsorbed to the skin in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it is preferable to have an elastic force to correspond to the various oral structures of the patient.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al adsorption portion 4230 may use the same silicone material as the second body 4200.

제 2 몸체(4200)는 외주연, 바람직하게는 제 2 몸체(4200)의 상면 및 좌우측면 외주연에 구강(1)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상면 및 좌우측면 피부에 밀착되는 날개부(42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4240)는 구강흡착부(4230)와 일체로 형성되고, 구강흡착부(4230)의 흡착홀(4231)이 날개부(4240)의 일부까지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body 420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preferably on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body 4200 to protrude forward to the oral cavity 1 to closely adhere to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skins of the patient's oral cavity 1. The wing portion 4240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wing portion 42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ral adsorption portion 4230, it is preferable that the adsorption holes 4231 of the oral adsorption portion 4230 is formed to extend to a portion of the wing portion 4240.

또한, 날개부(4240)는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흡착되기 용이하여야 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구조에 대응되도록 탄성적으로 구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 2 몸체(4200)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날개부(424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제 2 몸체(420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g portion 4240 is to be easily adsorbed to the skin in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and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second body 4200 because it is preferably bent elastically to correspond to the various oral structures of the patient. Can be. Her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portion 424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of the same silicon material as the second body 4200.

날개부(424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날개 부(4240)는 상면날개부(4241) 및 측면날개부(42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g part 4240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g part 4240 may include an upper wing part 4241 and a side wing part 4242.

상면날개부(4241)는 제 2 몸체(4200)의 상면 외주연에 제 2 몸체(4200)가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즉 구강(1)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상면, 예컨대 입천정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상면날개부(4241)는 제 2 몸체(4200)의 외주연 양측부위에서 중앙부위로 갈수록 돌출되는 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wing portion 4241 is protrud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42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4200. It is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outh 1, for example, the ceiling of the mouth.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wing portion 4241 has a larger protruding area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portions of the second body 4200 toward the center portion.

측면날개부(4242)는 제 2 몸체(4200)의 양측면 외주연에 제 2 몸체(4200)가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구강(1)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양측면 볼부분의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ide wing portion 4242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42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at both outer circumferential edges of the second body 4200,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oral cavity 1. It may be configured in a pair to elastically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both sides of the ball in the mouth (1).

또한, 측면날개부(4242)는 상면날개부(4241)의 양측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면날개부(4241) 보다 더 돌출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wing portion 4242 may be integrally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 portions of the top wing portion 4241 to protrude more than the top wing portion 4241.

이때, 측면날개부(4242)가 환자의 어금니 안쪽 위/아래의 잇몸 사이에 안정적으로 끼워지도록 상면날개부(4241)와 측면날개부(4242)가 만나는 부위에 환자의 어금니 안쪽의 잇몸이 삽입되는 잇몸삽입홈(4245)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ms inside the molars of the patient are inserted into the site where the upper wing portion 4221 and the side wing portion 4242 meet so that the side wing portion 4242 is stably fit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ums inside the molars of the patient. A gum insertion groove 4245 may be formed.

또한, 구강흡착부(4230)의 흡착홀(4231)이 상면날개부(4241) 및 측면날개부(42424)까지 확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dsorption holes 4231 of the oral adsorption part 4230 may be extended to the upper wing part 4241 and the side wing part 4424.

체결수단(4300)은 제 1 몸체(4100)가 제 2 몸체(4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The fastening means 4300 fastens and fixes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41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4200.

체결수단(4300)은 체결핀(4310) 및 체결브래킷(4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means 4300 may include a fastening pin 4310 and a fastening bracket 4320.

체결핀(4310)은 원형의 봉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몸체(4100)의 제 1 체결구멍(4107)과 제 2 몸체(4200)의 제 2 체결구멍(4205)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체결핀(4310)은 제 2 몸체(4200)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2 몸체(4200)의 이탈방지용 리브(4203)에 형성되는 제 2 체결구멍(4205)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astening pin 4310 is formed in a circular rod shape and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4107 of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205 of the second body 4200. The fastening pin 4310 may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4205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4203 of the second body 4200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with the second body 4200. Do.

또한, 체결핀(4310)이 제 1 몸체(4100) 및 제 2 몸체(4200)를 관통하여 환자의 목젖(7)에 닿지 않도록 체결핀(4310)의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체결핀(4310)의 외주연에 삽입저지용 리브(431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pin 4310 to adjust the insertion length of the fastening pin 4310 so that the fastening pin 4310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so as not to contact the patient's neck 7. At least one insertion blocking rib 4311 may be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이때, 삽입저지용 리브(4311)는 제 1 체결구멍(4107) 및 제 2 체결구멍(4205)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핀(4310)은 제 2 몸체(4200)의 이탈방지용 리브(4203)에 형성되는 제 2 체결구멍(4205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insertion blocking rib 4311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astening hole 4107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205. In addition, the end of the fastening pin 4310 is tapere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4205a)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4203) of the second body (4200).

또한, 체결핀(4310)은 테이퍼진 단부 또는 테이퍼진 단부 근처의 외주연에 수나사(4313)가 형성되며, 수나사 단부가 후술할 체결브래킷(4320)의 암나사 홀(4321)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in 4310 may have a male thread 4313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near the tapered end or the tapered end, and the male thread end may be screwed into the female screw hole 4321 of the fastening bracket 4320 to be described later. .

체결브래킷(4320)은 제 2 몸체(4200)의 후면에 위치하며,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관통하는 체결핀(4310)의 후방 단부와 나사 체결된다. 체결브래킷(432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체결구멍(4107)과 제 2 체결구멍(4205)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핀(4310)의 후방 단부의 수나사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 홀(4321)이 형성된다. The fastening bracket 432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cond body 4200, and is screwed with the rear end of the fastening pin 4310 passing through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The fastening bracket 4320 is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plate shape, and the male screw of the rear end of the fastening pin 4310 is screw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4107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205. A female screw hole 4321 is formed.

또한, 체결브래킷(4320)은 제 1 몸체(4100) 또는 제 2 몸체(4200)의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 1 몸체(4100)가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을 향한 일면이 오목하거나 평평하게 형성되면, 그와 대응하는 체결브래킷(4320)도 오목하거나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bracket 4320 preferably has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4100 or the second body 4200 is inserted into the mouth 1 of the patient. For example, when one sur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4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that is, one surface toward the throat 5 is concave or flat, the fastening bracket 4320 corresponding thereto is also concave or fla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flat.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핀(4310) 및 체결브래킷(4320)을 이용하여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체결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are fastened using the fastening pins 4310 and the fastening bracket 4320 may be variously fastened. For example,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may be bonded using an adhesiv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4000)의 작용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치료용 보조장치(4000)를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로 이원화하여 구성하고, 제 1 몸체(4100)를 제 2 몸체(4200)에 삽입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Since the operation of the oral care auxiliary device 40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4000 is dualized into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and the first body 4100 is configured to the second body 4200. Can be inserted and detachably combined.

따라서, 구강치료 시에는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결합한 상태로 사용하고, 구강치료 후에는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분리하여 세밀하게 세척 및 소독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사용 회수가 많아짐에 따라 제품이 손상되거나 분실되는 경우에 제 1 몸체(4100) 또는 제 2 몸체(4200)만 추가 구매함으로써 비용절감을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oral treatment,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are used in a combined state, and after the oral treatment,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are separated and washed in detail. Can be disinfected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product increases, the cost may be reduced by additionally purchasing only the first body 4100 or the second body 4200 when the product is damaged or lost.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4000)가 환자의 목젖(7)에 접촉하여 환자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거부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 측에 대응하는 일면을 오목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핀(4310) 및 체결브래킷(4320)을 이용하여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objection of the oral treatment 4000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throat (7) to cause vomiting to the patient, one side in the direc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mouth (ie, throat 5)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may be firmly fastened by using the fastening pins 4310 and the fastening bracket 4320 to maintain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side.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흡입구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al car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20, and FIG. 22 is an exploded view of the inlet filter shown in FIG. 20. Perspective view.

도 20 내지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5000)는 몸체부(5100) 및 호흡구필터부(5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4 실시예의 체결핀(4300) 대신에 필터(5220)를 포함하는 호흡구필터부(5200)를 이용하여 몸체부(5100)를 구성하는 제 1 몸체(5110)와 제 2 몸체(5120)를 체결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2 내지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제 4 실시예의 제 1 몸체(4100) 및 제 2 몸체(4200)의 구성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20 to 22, the oral care aid 50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art 5100 and a respirator filter part 52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body 5110 and the second body constituting the body portion 5100 by using the breathing air filter portion 5200 including a filter 5220 instead of the fastening pin 4300 of the fourth embodiment.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fastening 5120,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body 4100 and the second body 4200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9 are similar,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 및 흡착함에 따라 환자가 코를 통해서만 숨을 쉬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한 응급 시 환자에게 입으로 숨을 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부(5100)를 관통하고 몸체부(5100) 내부의 연결통로(4101)와는 차단되어 있는 호흡구멍(5111,512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as the oral treatment aid is inserted into and adsorb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 body part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reathe only through the nose and also to breathe in the mouth to the patient in an emergenc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breathing holes (5111, 5121) penetrating the 5100 and is blocked from the connecting passage (4101) inside the body portion 5100.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몸체(5110)에는 후술할 호흡구필터부(5200)가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제 1 호흡구멍(5111)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호흡구멍(5111)은 상기 제 4 실시예의 제 1 체결구멍(4107)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5120)에는 제 1 호흡구멍(5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호흡구멍(5121)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호흡구멍(5121)은 상기 제 4 실시예의 제 2 체결구멍(4205)에 대응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t least one first breathing hole 5111 is formed in the first body 5110 to penetrate the breathing air filter part 5200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first breathing hole 5111 may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4107 of the fourth embodiment. 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breathing hole 5121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eathing hole 5111 in the second body 5120. Here, the second breathing hole 5121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4205 of the fourth embodiment.

호흡구필터부(5200)는 제 1 몸체(5110) 및 제 2 몸체(512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호흡관(5210) 및 필터(5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spirator filter unit 5200 is inserted to penetrate the first body 5110 and the second body 5120, and may include a respiratory tube 5210, a filter 5220, and the like.

호흡관(5210)은 원통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호흡구멍(5111) 및 제 2 호흡구멍(5121)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흡관(5210)을 2개의 플라스틱 케이스의 조립체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조립체로 구성되고 관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경도를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reathing tube 52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rod shape and is inserted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breathing hole 5111 and the second breathing hole 512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eathing tube 52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two plastic cas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having two or more assemblies and having sufficient hardness to maintain a tubular shape.

또한, 호흡관(5210)은 제 2 몸체(5120)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2 몸체(5120)의 이탈방지용 리브(4203)에 형성되는 제 2 호흡구멍(5121)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흡관(5210)이 제 1 몸체(5110) 및 제 2 몸체(5120)를 관통하여 환자의 목젖(7)에 닿지 않도록 호흡관(5210)의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호흡관(5210)의 외주연에 삽입저지용 리브(521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eathing tube 5210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reathing hole (5121)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4203) of the second body (5120)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with the second body (5120).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respiratory tube 521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respiratory tube 5210 is inserted so that the respiratory tube 5210 penetrates the first body 5110 and the second body 5120 and does not touch the patient's throat 7. At least one insertion blocking rib 5211 may be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이때, 삽입저지용 리브(5211)는 제 1 호흡구멍(5111) 및 제 2 호흡구 멍(512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흡관(5210)은 제 2 몸체(5120)의 이탈방지용 리브(4203)에 형성되는 제 2 호흡구멍(51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흡관(5210)은 테이퍼진 단부 또는 테이퍼진 단부 근처의 외주연에 수나사(5213)가 형성되어 고정브래킷(5230)의 암나사 홀(5231)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브래킷(5230)은 상기 제 4 실시예의 체결브래킷(4320)에 대응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sertion blocking rib 5211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breathing hole (5111) and the second breathing holes (5121). In addition, the breathing tube 5210 is preferably tapered at the end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econd breathing hole (5121) formed in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4203) of the second body (5120). In addition, the breathing tube 5210 may have a male thread 5213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near the tapered end or the tapered end, and may be screwed into the female thread hole 5231 of the fixing bracket 5230. Here, the fixing bracket 5230 may correspond to the fastening bracket 4320 of the fourth embodiment.

또한, 호흡관(5210)은 내벽에 후술할 필터(5220)가 안착되는 안착홈(5215)이 필터(522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호흡관(5210)의 내부에는 필터(5220)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필터삽입저지턱(5217)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piratory tube 5210 may have a seating groove 5215 in which the filter 522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lter tube 5220. Inside the breathing tube 5210, a filter inserting jaw 5217 may be formed to prevent the filter 5220 from being inserted beyond a predetermined depth.

필터(5220)는 호흡관(5210)의 내벽에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원형의 봉 형태로 형성되어 호흡관(52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필터(5220)는 구강 치료 시 환자의 구강(1) 내에 고인 세척액 또는 환자의 타액이 호흡관(5210)을 통해 목구멍(5)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lter 52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of the breathing tube 5210, for example, a circular rod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breathing tube 5210. In this case, the filter 5220 serves to prevent the washing liquid or saliva of the patient from passing through the breathing tube 5210 to the throat 5 during oral treatment.

따라서, 필터(5220)는 미세 다공성 재질, 예컨대 스폰지,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filter 5220 is preferably made of a microporous material such as a sponge or styrofoam.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5000)의 작용은 상기 제 4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5100)를 관통하고 몸체부(5100) 내부의 연결통로(4101) 와는 차단된 호흡구멍(5111,5121)을 포함하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5000)를 환자의 구강(1) 내에 삽입 및 흡착함에 따라 환자가 코를 통해서만 숨을 쉬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한 응급 시 환자에게 입으로 숨을 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50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imilar to the fourth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5000 includes a breathing hole 5111 and 5121 penetrating the body portion 5100 and blocked from the connection passage 4101 inside the body portion 5100. By inserting and adsorbing in the oral cavity (1) of the patient can relie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reathe only through the nose and also to allow the patient to breathe in the emergency in the mouth.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4 실시예의 체결핀(4300) 대신에 필터(5220)를 포함하는 호흡구필터부(5200)를 이용하여 제 1 몸체(5110)와 제 2 몸체(5120)를 체결함으로써, 구강 치료 시 필터(5220)에 의해 환자의 구강(1) 내에 고인 세척액 또는 환자의 타액이 호흡관(5210)을 통해 목구멍(5)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body 5110 and the second body 5120 are fastened by using the respirator filter unit 5200 including the filter 5220 instead of the fastening pin 4300 of the fourth embodiment. In the oral treatment, the filter 5220 may prevent the washing liquid or saliva from the patient from passing through the breathing tube 5210 to the throat 5 by the filter 522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treatment aid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treatment ai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7.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는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ide of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다.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4.

도 16은 도 13에 나타낸 제 1 몸체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the first body illustrated in FIG. 13.

도 17은 도 13에 나타낸 제 2 몸체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of the second body shown in FIG. 13.

도 18은 도 1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2.

도 19는 도 12의 A부위에 대한 확대도이다.FIG. 1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2.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Figure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oral treatment aid shown in FIG.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흡입구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let filter shown in FIG. 20.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0,2000,3000,4000,5000 :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2000,3000,4000,5000: Oral Therapy Aids

1100,2100,3100,5100 : 몸체부 1200,2200,3400,4240 : 날개부1100,2100,3100,5100: Body 1200,2200,3400,4240: Wing

1300,3110,4110 : 혀말이부 2300,3200,4220 : 혀삽입부1300,3110,4110: tongue tip 2300,3200,4220: tongue insert

2400,3120,4210 : 혀걸이부 3130,4130 : 유체흡입용 체결단자2400, 3120, 4210: Tongue hanger 3130, 4130: Fluid suction fastening terminal

3300,4230 : 구강흡착부 3410 : 상면날개부3300,4230: oral adsorption part 3410: upper wing

3420 : 측면날개부 4100,5110 : 제 1 몸체3420: side wing portion 4100, 5110: first body

4200,5120 : 제 2 몸체 4241 : 상면날개부4200, 5120: second body 4241: upper wing portion

4242 : 측면날개부 4300 : 체결수단4242: side wing 4300: fastening means

4310 : 체결핀 4320 : 체결브래킷4310: Fastening pin 4320: Fastening bracket

5200 : 호흡구필터부 5210 : 호흡관5200: breathing filter unit 5210: breathing tube

5220 : 필터 5230 : 고정브래킷5220: filter 5230: fixed bracket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환자의 목젖 전방의 구강 내를 밀폐하도록 삽입되는 몸체부;A body portion inserted to seal the oral cavity in front of the neck of the patient;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환자의 구강 내 양측면 볼부분의 피부에 밀착되는 한 쌍의 측면날개부; 및A pair of side wing parts provided on the body part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both side cheek parts of the patient's mouth; And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상부 외주연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구강 내 상면 피부에 밀착되는 상면날개부;를 포함하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provided on at least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and protru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por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is inserted, the upper wing portion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kin of the patient's mouth.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날개부는 상기 상면날개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상면날개부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ide wing parts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top wing part to protrude more than the top wing pa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날개부와 상기 측면날개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upper wing part and the side wing part are integrally form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날개부가 상기 환자의 어금니 안쪽 위/아래의 잇몸 사이에 안정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상면날개부와 상기 측면날개부가 만나는 부위에 상기 환자의 어금니 안쪽의 잇몸이 삽입되는 잇몸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gum insertion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molar teeth in the area where the upper wing and the side wings meet so that the side wings are securely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ums inside the molars of the patient. Oral treatment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연결통로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상기 연결통로와 연결되는 흡착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상기 흡착홀은 상기 상면날개부 또는 상기 측면날개부까지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ody portion has a connection passage for fluid flow therein is formed, at least one suction ho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 suction hole is the upper wing portion or the Oral treatment aid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extend to the side wings.
KR1020090005054A 2009-01-21 2009-01-21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KR1010882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054A KR101088297B1 (en) 2009-01-21 2009-01-21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PCT/KR2010/000392 WO2010085098A2 (en) 2009-01-21 2010-01-21 Aid for treating oral cavity diseases and filter for breathing device use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054A KR101088297B1 (en) 2009-01-21 2009-01-21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645A KR20100085645A (en) 2010-07-29
KR101088297B1 true KR101088297B1 (en) 2011-12-09

Family

ID=4264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054A KR101088297B1 (en) 2009-01-21 2009-01-21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2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17B1 (en) * 2019-10-10 2020-06-05 문상호 Low-frequency therapeutic apparatus for treating insomnia
US20210401557A1 (en) 2020-06-24 2021-12-30 Shu-Chuan SHEU Oral medical assis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755A (en) * 2000-07-03 2002-01-22 Kenichi Suzuki Mouth n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755A (en) * 2000-07-03 2002-01-22 Kenichi Suzuki Mouth 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645A (en)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783B2 (en) Negative pressure oral apparatus
US5465734A (en) Adjustable tongue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US8517729B2 (en)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WO2006090598A1 (en) Lip closing tool
KR101216154B1 (en) Medical mouthpiece
FR2707504A1 (en) Oral respiratory mask.
US20090272386A1 (en) Nose plug for preventing bruxism
US10028885B2 (en)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JP2019500943A (en) Oral appliance,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177023B1 (en) With no straps, wrapped around the face and replace filters easy to mask
CA2792033C (en)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101088301B1 (en)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JP2017029654A (en)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e or the like
JP2010537706A (en)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unit chair having the same
US201900087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liva Replenishment And Control
KR101088297B1 (en)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EP1981452A1 (en) Tongue - holding device
WO2017119705A1 (en) Dental treatment assisting tool
KR101088300B1 (en) Breathing filter and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having the same
KR101752966B1 (en) Improved Snoring Prevention Device
KR101088298B1 (en)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KR101684247B1 (en) Improved Snoring Prevention Device
WO2019195579A1 (en) Mouth shield device for treatment of dry mouth, teeth grinding, snoring, and sleep apnea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207286436U (en) A kind of noninvasive ventilator Ventilation mask of improvement
JP2013078545A (en) Pharyngeal region protector for intraoral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