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776B1 - 터치 패널 및 그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및 그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776B1
KR101085776B1 KR20100003952A KR20100003952A KR101085776B1 KR 101085776 B1 KR101085776 B1 KR 101085776B1 KR 20100003952 A KR20100003952 A KR 20100003952A KR 20100003952 A KR20100003952 A KR 20100003952A KR 101085776 B1 KR101085776 B1 KR 101085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ouch panel
patterns
lines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0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957A (ko
Inventor
한동균
박성수
박명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0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776B1/ko
Priority to US13/008,307 priority patent/US8928603B2/en
Publication of KR2011008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776B1/ko
Priority to US14/589,400 priority patent/US955784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단독 정전용량 방식 기반의 정교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제 1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제1전극 패턴들과, 그 제1방향의 전극 라인과 교차되게 제2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제2전극 패턴들로 구성되며, 그 제1전극 패턴들 각각은 서로 다른 폭의 전극 라인들이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이며, 그 제2전극 패턴들도 그 제1전극 패턴들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터치 패널을 통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두 입력 방식을 구분하고, 구분된 입력 방식에 의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각 라인의 폭 및 간격을 달리함으로써 정교한 좌표값 검출을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터치 입력 수단에 구애받지 않고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및 그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TOUCH PANEL AND DEVICE FOR RECOGNIZING INPUT USING THE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펜 입력을 정확히 인식하기 위한 터치 패널 및 그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보면서 상기 터치 패널 상에 스타일러스 펜 또는 손가락 등으로 접촉, 가압함에 따른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의 입력 방식에는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이 있다.
먼저, 저항막 방식은 스크린 위에 두 층의 얇은 도전층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압력에 의해 직접 접촉이 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감지의 대상이 도체 또는 부도체 여부와 상관없다. 반면에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는 감지의 대상이 반드시 도체이어야 하고 감지 가능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주기 위해 접촉면으로는 일정이상의 면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손가락 감지에는 문제가 없으나 도체 팁으로 된 경우 접촉면적이 작아 감지가 되지 않는 등 에러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에서도 정교한 좌표 지정이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필기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스크린에 근접하게 되는 도체 팁에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배터리가 내장되고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는 경우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손가락 감지만 가능한 기존 정전용량 방식과 다른 전극 패턴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감지 방식도 상호 정전용량 방식(mutual capacitance)을 쓴다.
이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은 크게 단독 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과 상호 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도 단독 정전용량 방식에 따른 터치 패널은 도 1에서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단독 정전용량 방식에서 손가락 감지에 사용되는 전극패턴(100)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무늬의 전극패턴(100)의 세부 구조(110)를 보면, 제1패턴(120)은 제 1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패턴(130)은 그 제1방향과 수직이 되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며, 교차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전극패턴에서 도면부호 140에 의해 지시되는 부분과 도면부호 150에 의해 지시되는 부분이 터치될 경우 정전용량은 면적에 비례하므로 하나의 동일 패턴(130) 상 부분을 터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호 크기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호 크기 차이에 의해 터치점에서 발생하는 좌표 검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상호 정전용량 방식에 따른 터치 패널은 도 2에서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2는 일반적인 상호 정전용량 방식에서 스타일러스 펜 감지에 사용되는 전극패턴(200)을 예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격자 무늬의 전극패턴(200)의 세부 구조(210)를 보면, 제1라인(220) 및 제2라인(230, 240, 250)은 각각 제1방향, 제2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은 구성요소를 전기적필드(electric field)를 송신하는 송신부, 전기적 필드의 변화를 감지하는 수신부로 나누어 도체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필드의 변화를 감지하여 좌표를 추출한다. 이 방식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자 한다면, 교차하는 두 방향의 전극 중, 1방향의 전극을 송신부, 2방향의 전극을 수신부로 나누어 기능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만약 스타일러스의 접촉을 감지하고자 하면 1방향의 전극 대신 스타일러스 자체에서 전기적 필드를 송신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이와 같이 도 2의 터치 패널은 상호 정전용량 방식 기반으로 동작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에 따른 단독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 면적에 따른 신호 크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좌표 검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 전기를 공급받는 송신부 역할을 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여 정밀한 터치가 가능하지만,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 단독 정전용량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비 전력이 높다. 이를 고려하여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 터치 입력 수단에 구애받지 않으면서도 단독 정전용량 방식을 위한 터치 패널 구조가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독 정전용량 방식을 사용하면서 정교한 좌표값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 패널 및 그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있어서, 제 1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전극 패턴들과, 상기 제1방향의 전극 라인과 교차되게 제2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전극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 패턴들 및 상기 제2전극 패턴들 각각은 서로 다른 폭의 상기 전극 라인들이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에 있어서, 제 1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전극 패턴들과, 상기 제1방향의 전극 라인과 교차되게 제2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전극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 패턴들 및 상기 제2전극 패턴들 각각은 서로 다른 폭의 상기 전극 라인들이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터치 입력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한 입력 신호를 근거로 터치 입력 수단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손가락 접촉에 의한 감지 신호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판단부와, 상기 모드 판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터치 입력 수단의 접촉 및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라인의 폭 및 간격을 달리함으로써 터치점의 입력 감도를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정교한 좌표값 검출을 용이하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손가락 접촉과 스타일러스 펜의 접근 및 접촉을 모두 감지할 수 있어 사용자는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의 터치 입력 수단에 구애받지 않고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단독 정전용량 방식에서의 전극패턴 예시도,
도 2는 상호 정전용량 방식에서의 전극패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상기 도 3의 터치 패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 전극 패턴에 따른 신호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입력 인식 장치의 내부 블록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입력 인식 장치의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단독 정전용량 방식 기반의 정교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제 1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제1전극 패턴들과, 그 제1방향의 전극 라인과 교차되게 제2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제2전극 패턴들로 구성되며, 그 제1전극 패턴들 각각은 서로 다른 폭의 전극 라인들이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이며, 그 제2전극 패턴들도 그 제1전극 패턴들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터치 패널을 통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두 입력 방식을 구분하고, 구분된 입력 방식에 의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각 라인의 폭 및 간격을 달리함으로써 정교한 좌표값 검출을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터치 입력 수단에 구애 받지 않고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터치 패널의 구조를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평면 구조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터치 패널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터치 패널은 직선 전극 라인들로 구성되며, 가로 방향으로 전극 라인들이 배열되며, 세로 방향으로도 전극 라인들이 배열된다. 이때, 기존의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터치 패널에서 각 라인 간 간격이 예컨대, 4mm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전극 패턴(310)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전극 패턴(320)의 중심 간의 거리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즉, 기존의 동일 간격의 격자 패턴에서 단위 간격(예컨대, 4mm)당 하나의 격자가 있던 공간에 복수의 전극 라인들이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4mm라는 치수는 기존의 라인 간 간격과의 단순 크기 비교를 위한 예시적인 숫자에 불과할 뿐, 이러한 치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로 방향의 전극 패턴들(300, 310, 320)에 대응하여 세로 방향으로는 전극 패턴들(330, 340, 350)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가로 방향의 전극 패턴들에 의한 평면판과 세로 방향의 전극 패턴들에 의한 평면판은 서로 포개지는 것이 아니라 그 평면판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층을 이룬다.
하나의 전극 패턴을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극 패턴(350)은 복수개의 라인들(410, 420, 430, 440, 450)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극 패턴(350)과 평행하게 전극 패턴들(330, 340)이 모여서 하나의 평면판을 형성한다. 세로 방향의 전극 패턴(330, 340, 350)에 의해 형성된 평면판에 대해 직각 방향의 평행한 전극 패턴들(300, 310, 320)이 다른 평면판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독 정전용량 방식을 사용하면서도 정교한 펜 인식을 위해 하나의 전극 패턴 내에서 각 라인들의 폭 및 간격을 변화시킨 터치 패널 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극 패턴(35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라인들(410, 420, 430, 440, 450)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는 복수개의 라인들(410, 420, 430, 440, 450) 중 중앙의 라인(430) 폭이 가장 크고 가장자리의 라인(410, 450) 폭이 가장 작은 전극 패턴을 예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중앙의 라인폭이 가장 크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라인 폭이 좁아지는 배열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전극 패턴에서 그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각 라인 간의 간격에 있어서는 중앙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각 라인들이 배열된다.
다르게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중앙의 라인 폭이 가장 좁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라인 폭이 커지는 배열을 가지는 전극 패턴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전극 패턴 내에서 전극 라인들 간의 간격은 중앙이 가장 넓고 가장자리의 전극 라인들 간의 간격이 가장 좁은 형태로 각 라인들이 배열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터치 패널의 경우 각 라인의 폭 및 간격이 다르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형태를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 전극 패턴에 따른 신호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서 표시된 신호크기는 실제로 410~450으로 구성된 하나의 전극 400에 의한 것으로 실제 감지되는 양이라기 보다는 각 전극 구성요소에 의한 기여값의 분포를 표시한 것으로 봐야 한다.
도 5에서는 가로 방향의 전극 패턴(300)의 한 라인(400)을 기준으로 각각 폭이 서로 다른 세로 방향의 전극 라인들(410, 420, 430, 440, 450)이 배열된 터치 패널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단면에서는, 중앙의 라인(430) 폭이 가장 큰 경우이며 그 중앙 라인(430)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그 중앙 라인폭보다 작은 폭의 라인(420, 440)이 배열되며 가장자리에는 라인 폭이 가장 작은 라인(410, 450)이 배열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중앙의 라인 폭이 큰 전극 패턴의 경우에는 각 라인들 간의 간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르며, 중앙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진다.
이러한 간격의 차이로 인해 라인들(410, 420)간의 신호(500), 라인들(420, 430) 간의 신호(510), 라인들(430, 440) 간의 신호(520), 라인들(440, 450) 간의 신호(530)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라인의 폭 및 간격이 다름으로 인해 서로 다른 형태의 신호가 감지되는 것처럼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터치 패널의 구조를 이용한다면 라인 간 구별이 용이하여 정밀한 위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한 개의 전극으로 되어 있던 것을 여러 개의 다른 폭과 상호간 거리를 가진 전극으로 나눔으로써, 전극으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의 크기를 거리에 따라 다른 기여를 하도록 분포시키는 것과 같게 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타일러스 펜이나 다양한 면적을 가진 도체 같은 터치 입력 수단을 통해 정교한 좌표 감지가 가능하도록 대응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가로 방향의 전극 패턴과 세로 방향의 전극 패턴 사이에 정전용량이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독 정전용량 방식에서와 마찬가지로 손가락 터치에 의한 감지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 인식 장치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입력 인식 장치의 내부 블록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패널(600)은 도 3에서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터치 패널(600)을 통한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모드 관리부(610)는 손가락 접촉 감지를 위한 단독 정전용량 방식 모드로 동작할지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근 및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모드로 동작할지를 결정하여 결정된 모드로 동작한다.
이를 위해 모드 관리부(610)는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한 입력 신호를 근거로 터치 입력 수단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접근 또는 접촉에 따른 감지 신호인지 손가락 접촉에 의한 손가락 감지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스타일러스 펜은 배터리가 내장되어 소정 주파수의 전압을 발생하는 액티브(active) 스타일러스 펜이거나 일정한 면적을 가진, 도체로 된 팁을 가진 패시브(passive) 스타일러스일 수 있다. 액티브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 패널(600)을 통해 펄스 형태의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 감지를 위해 인접한 전극 사이의 전기적 신호의 차이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 감지 신호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즉, 모드 관리부(610)는 입력 신호의 패턴을 근거로 손가락 감지 신호인지 스타일러스 펜 감지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 감지 신호 처리부(620)는 그 스타일러스 펜 감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시분할한 후 이를 평균화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한 후, 제어부(640)로 전달한다. 스타일러스 펜 감지 신호 처리부(620)에서의 처리를 통해 제어부(640)로는 최종 좌표값이 출력된다. 여기서, 스타일러스 펜 감지 신호의 처리는 일반적인 액티브 스타일러스 펜 감지 신호 처리에 따른 동작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손가락 신호 처리부(630)는 모드 관리부(610)로부터 전달된 손가락 감지 신호를 처리하여 그에 따른 좌표값을 제어부(64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640)는 상기 터치 입력 수단 예컨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및 위치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640)는 터치 스크린상에 좌표값에 따른 명령을 표시하거나 그 내용을 표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패시브 스타일러스의 경우는 일정한 면적을 가진 도체라는 점에서 손가락과 동일하므로 도 6의 손가락 신호처리부만으로 처리하는 구조를 가진다. 단, 처리과정에서 스타일러스 팁의 면적에 따라 손가락과 스타일러스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처리부를 둘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입력 인식 장치에서의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700단계에서 터치 패널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710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스타일러스 펜 감지 신호인지 손가락 감지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스타일러스 펜 감지 신호일 경우 720단계에서 펄스 형태의 스타일러스 펜 감지 신호를 처리하고, 이와 달리 손가락 감지 신호의 경우 730단계에서 좌표값 산출을 위한 손가락 감지 신호를 처리하며, 이러한 신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740단계에서 좌표값을 산출하고, 750단계에서 산출된 좌표값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전극 라인의 폭과 간격이 상이한 전극 라인들이 배열된 전극 패턴들이 적용된 터치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손가락 접촉 감지와 액티브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터치 패널에 있어서,
    제 1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전극 패턴들과,
    상기 제1방향의 전극 라인과 교차되게 제2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전극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 패턴들 및 상기 제2전극 패턴들 각각은 서로 다른 폭의 상기 전극 라인들이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전극 패턴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전극 패턴들 각각은,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에 대해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기 전극 라인의 폭이 작아지며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의 중앙에 폭이 가장 큰 전극 라인이 배열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폭의 전극 라인들 간의 간격은,
    상기 중앙에서의 전극 라인들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넓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전극 패턴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전극 패턴들 각각은,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에 대해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기 전극 라인의 폭이 커지며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의 중앙에 폭이 가장 작은 전극 라인이 배열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폭의 전극 라인들 간의 간격은,
    상기 중앙에서의 전극 라인들 사이의 간격이 가장 넓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좁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패턴들에 의한 평면판과, 상기 제2전극 패턴들에 의한 평면판은 서로 분리된 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7.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에 있어서,
    제 1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전극 패턴들과, 상기 제1방향의 전극 라인과 교차되게 제2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전극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 패턴들 및 상기 제2전극 패턴들 각각은 서로 다른 폭의 상기 전극 라인들이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터치 입력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한 입력 신호를 근거로 터치 입력 수단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손가락 접촉에 의한 감지 신호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판단부와,
    상기 모드 판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터치 입력 수단의 접촉 및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전극 패턴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전극 패턴들 각각은,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에 대해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기 전극 라인의 폭이 작아지며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의 중앙에 폭이 가장 큰 전극 라인이 배열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폭의 전극 라인들 간의 간격은,
    상기 중앙에서의 전극 라인들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넓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전극 패턴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전극 패턴들 각각은,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에 대해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기 전극 라인의 폭이 커지며 상기 각각의 전극 패턴의 중앙에 폭이 가장 작은 전극 라인이 배열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폭의 전극 라인들 간의 간격은,
    상기 중앙에서의 전극 라인들 사이의 간격이 가장 넓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좁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패턴들에 의한 평면판과, 상기 제2전극 패턴들에 의한 평면판은 서로 분리된 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KR20100003952A 2010-01-15 2010-01-15 터치 패널 및 그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KR101085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3952A KR101085776B1 (ko) 2010-01-15 2010-01-15 터치 패널 및 그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US13/008,307 US8928603B2 (en) 2010-01-15 2011-01-18 Touch panel and input recognition device using the touch panel
US14/589,400 US9557849B2 (en) 2010-01-15 2015-01-05 Touch panel and input recognition device using the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3952A KR101085776B1 (ko) 2010-01-15 2010-01-15 터치 패널 및 그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57A KR20110083957A (ko) 2011-07-21
KR101085776B1 true KR101085776B1 (ko) 2011-11-21

Family

ID=4427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3952A KR101085776B1 (ko) 2010-01-15 2010-01-15 터치 패널 및 그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928603B2 (ko)
KR (1) KR1010857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316A1 (ko) * 2012-07-19 2014-01-23 주식회사 멜파스 터치 센싱 방법 및 장치
KR101489813B1 (ko) * 2013-06-28 2015-02-04 삼성전기주식회사 능동형 스타일러스 팬을 포함한 터치패널 및 그 제어방법
US9389737B2 (en) 2012-09-14 2016-07-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in two modes
US11314368B2 (en) 2012-09-14 2022-04-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in two modes
US11360615B2 (en) 2020-05-29 2022-06-1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panel with main subsidiary electrod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0923B2 (en) 2010-12-03 2016-04-12 Apple Inc. Input device for touch sensitive devices
US8928635B2 (en) * 2011-06-22 2015-01-06 Apple Inc. Active stylus
US9329703B2 (en) 2011-06-22 2016-05-03 Apple Inc. Intelligent stylus
US8638320B2 (en) * 2011-06-22 2014-01-28 Apple Inc. Stylus orientation detection
US9501179B2 (en) * 2011-08-04 2016-11-22 Atmel Corporation Touch sensor for curved or flexible surfaces
US9116581B2 (en) * 2011-08-24 2015-08-2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Edge accuracy in a capacitive sense array
WO2013028182A1 (en) * 2011-08-24 2013-02-28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Improved edge accuracy in a capacitive sense array
TWI448939B (zh) * 2011-12-06 2014-08-11 Shih Hua Technology Ltd 觸摸屏面板
US9753577B2 (en) 2011-12-30 2017-09-05 Parade Technologies,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a detection operation
US9081442B2 (en) * 2012-02-27 2015-07-14 Apple Inc. Split sense lines for negative pixel compensation
TWI484395B (zh) * 2012-07-25 2015-05-11 Mstar Semiconductor Inc 自容式觸控面板
US9557845B2 (en) 2012-07-27 2017-01-31 Apple Inc. Input device for and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capacitive devices through frequency variation
US9176604B2 (en) 2012-07-27 2015-11-03 Apple Inc. Stylus device
US9652090B2 (en) 2012-07-27 2017-05-16 Apple Inc. Device for digital communication through capacitive coupling
KR102102663B1 (ko) 2012-10-05 202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US9841862B2 (en) 2012-10-16 2017-12-12 Atmel Corporation Stylus position system
US9958966B2 (en) 2012-10-16 2018-05-01 Atmel Corporation Active stylus communication and position system
US10013096B2 (en) * 2012-10-18 2018-07-03 Atmel Corporation Touch sensor with simultaneously driven drive electrodes
KR20140055880A (ko) * 2012-11-01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048775B2 (en) 2013-03-14 2018-08-14 Apple Inc. Stylus detection and demodulation
KR102157270B1 (ko) 2013-04-26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3763B1 (ko) * 2013-07-31 2016-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US9939935B2 (en) 2013-07-31 2018-04-10 Apple Inc. Scan engine for touch controller architecture
KR102078650B1 (ko) * 2013-09-13 2020-0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ic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표시장치
KR102199213B1 (ko) 2014-03-03 2021-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524248B (zh) * 2014-04-03 2016-03-01 創為精密材料股份有限公司 互電容觸控偵測裝置、系統及其方法
US9690397B2 (en) * 2014-05-20 2017-06-27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ctive pen with a matrix sensor
TWI552039B (zh) * 2014-06-27 2016-10-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
KR102365159B1 (ko) * 2014-07-15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브된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061449B2 (en) 2014-12-04 2018-08-28 Apple Inc. Coarse scan and targeted active mode scan for touch and stylus
KR101598412B1 (ko) * 2015-02-11 2016-02-29 주식회사 하이딥 전극 시트 및 터치 입력 장치
US10310667B2 (en) * 2015-09-21 2019-06-04 Apple Inc. Multi-bar capacitive sense electrode
US10474277B2 (en) 2016-05-31 2019-11-12 Apple Inc. Position-based stylus communication
CN106125975B (zh) * 2016-06-20 2019-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触控装置
KR102491647B1 (ko) 2017-11-13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0285A (ko) * 2019-07-18 2021-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일체형 하우징 표면상의 터치영역 식별 가능한 스위칭 조작 센싱 장치
KR20210147150A (ko) 2020-05-27 2021-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TWI806413B (zh) * 2022-02-09 2023-06-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偵測電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7164A (ja) 2006-03-22 2007-10-04 Wacom Co Ltd 表示装置、センサパネル、位置検出装置、位置入力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8197757A (ja) 2007-02-09 2008-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6332A (en) * 1986-06-26 1987-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bined finger touch and stylus detection system for use on the viewing surface of a visual display device
US4758830A (en) * 1984-10-25 1988-07-19 Ti Corporate Services Limited Switch/display units
US5543591A (en) * 1992-06-08 1996-08-06 Synaptics, Incorporated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and gesture recognition
US5488204A (en) * 1992-06-08 1996-01-30 Synaptics, Incorporated Paintbrush stylus for capacitive touch sensor pad
US6028271A (en) * 1992-06-08 2000-02-22 Synaptics, Inc.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and gesture recognition
US6970160B2 (en) * 2002-12-19 2005-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attice touch-sensing system
US7864160B2 (en) * 2005-10-05 2011-0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rleaved electrodes for touch sensing
JP5060845B2 (ja) * 2007-06-27 2012-10-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画面入力型画像表示装置
TW200951597A (en) * 2008-06-10 2009-12-16 Ind Tech Res Inst Functional device array with self-aligned electrode structure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US8279187B2 (en) * 2008-08-01 2012-10-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ensitive devices with composite electrodes
KR101303635B1 (ko) * 2011-05-26 2013-09-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윈도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7164A (ja) 2006-03-22 2007-10-04 Wacom Co Ltd 表示装置、センサパネル、位置検出装置、位置入力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8197757A (ja) 2007-02-09 2008-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316A1 (ko) * 2012-07-19 2014-01-23 주식회사 멜파스 터치 센싱 방법 및 장치
KR101383589B1 (ko) 2012-07-19 2014-04-09 (주)멜파스 터치 센싱 방법 및 장치
US9389737B2 (en) 2012-09-14 2016-07-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in two modes
US10191580B2 (en) 2012-09-14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in two modes
US10921924B2 (en) 2012-09-14 2021-02-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in two modes
US11314368B2 (en) 2012-09-14 2022-04-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in two modes
US11775124B2 (en) 2012-09-14 2023-10-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in two modes
KR101489813B1 (ko) * 2013-06-28 2015-02-04 삼성전기주식회사 능동형 스타일러스 팬을 포함한 터치패널 및 그 제어방법
US11360615B2 (en) 2020-05-29 2022-06-1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panel with main subsidiary electr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57849B2 (en) 2017-01-31
US8928603B2 (en) 2015-01-06
KR20110083957A (ko) 2011-07-21
US20150109254A1 (en) 2015-04-23
US20110175834A1 (en)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776B1 (ko) 터치 패널 및 그 터치 패널을 이용한 입력 인식 장치
US8749519B2 (en) Touch panel device
US10452215B2 (en) Mutual capacitive force sensor and touch display device with force sensing function and force sensing method thereof
US9535558B2 (en) Integrated electromagnetic and capacitive touch substrate,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KR101101581B1 (ko) 멀티 포인트 터치 감지 장치
US9019216B2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detecting coordinate position
WO20131518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user input using position information and force sensing
US94053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region presses on a capacitive sensing device
KR20090076126A (ko) 압력 감지용 터치스크린
KR101686092B1 (ko) 터치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30071518A (ko) 발진 주파수를 이용한 인체의 접촉 감지 패널
JP2008146654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に用いる位置検出方法
US20160349871A1 (en) Capacitive stereoscopic image sensing
CN107450783B (zh) 电容式触控面板
KR101146098B1 (ko) 채널분할형 센서패턴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
JP3164187U (ja) 感圧型タブレット用信号感応アーキテクチャ
US10288657B2 (en)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a number of objects
KR20110032090A (ko)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이용한 터치인식 장치 및 방법
EP4141627A1 (en)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utual capacitive sensor array, and sensor system
KR20200038758A (ko)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US11726609B2 (en) Touch-sensitive apparatus and method
WO2020124439A1 (zh) 触摸面板、触摸装置及触摸检测方法
KR101168709B1 (ko) 하이브리드 터치 패드
WO2015141353A1 (ja) 入力装置
US20140340355A1 (en) Touch control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