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012B1 -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012B1
KR101083012B1 KR1020100114898A KR20100114898A KR101083012B1 KR 101083012 B1 KR101083012 B1 KR 101083012B1 KR 1020100114898 A KR1020100114898 A KR 1020100114898A KR 20100114898 A KR20100114898 A KR 20100114898A KR 101083012 B1 KR101083012 B1 KR 10108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rmate
concrete
silica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배
이종인
김우재
길배수
김도수
박용순
강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트라이포드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트라이포드,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트라이포드
Priority to KR102010011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012B1/ko
Priority to PCT/KR2010/009259 priority patent/WO201206730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012B1/ko
Priority to CN201110369609.2A priority patent/CN102531444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4Sea water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6Corrosion of reinforcement res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Aftertreatme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t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및 해안 매립지에 시공되는 해안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용할 수 있는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을 억제하고, 염소 이온 및 황산 이온의 침투 저항성 및 철근의 부식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해안 및 해안 매립지에 시공되는 해안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을 억제하고, 염소 이온과 황산 이온의 침투저항성 및 철근 부식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SILICATE­FORMATE COMPLEX COMPOSITION AND CONCRET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안 및 해안 매립지에 시공되는 해안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용할 수 있는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을 억제하고, 염소 이온 및 황산 이온의 침투 저항성 및 철근의 부식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안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자기수축, 건조수축 등에 의하여 수축응력을 받아 콘크리트의 균열이 발생할 위험이 높고, 해수에 의한 염해와 해안이라는 환경적 특성으로 인하여 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어 염소 이온, 황산 염류 및 수분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부식될 수 있으며, 중성화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위치한 철근이 부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이 급속하게 열화되어 수명이 현저히 저하됨으로써, 구조물의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
염해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손상된 경우, 해수에서 유입된 염소 이온, 황산 이온 및 해사 혼입 등의 내, 외부 요인에 의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매입된 철근의 부식이 직접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열화현상은 손상되기 이전상태로 완전하게 회복되기 어렵고, 다른 열화 요인에 비해 그 손상 정도나 발생빈도 측면에서 매우 심각하다.
현재까지 해안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손상 및 부식 열화를 방지하고 열화된 콘크리트의 성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국내의 연구수준은 매우 취약한 수준이며, 대부분 현장적용을 위한 실험적 연구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최근에는 해양 교량 구조물에서 내염해성 및 철근부식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한 중장기적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나, 기존의 슬래그, 방청제와 같은 혼합재료의 적용, 배합설계 등의 방식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국내 건설기술연구소에서 100년 수명의 해안 구조물용 고내구성 콘크리트 개발 및 현장 실용화를 목적으로 설계부분에 대한 실용화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아직까지 설계, 시공, 재료 및 복합 열화 인자 등을 고려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해안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염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시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염소이온의 고정화 공법이 있는데, 글리코 에테르, 알킬렌 옥사이드 중합물 등의 유기물을 사용하는 방법과 아질산계의 무기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은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내염해성의 신뢰성이 낮고, 장기적으로 반복되는 열화 인자의 공격에 의해 대부분의 재료가 제 기능을 상실하여 손상부위를 재시공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 외에 해안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손상 및 부식 열화를 방지하고 열화된 콘크리트의 성능 회복을 위한 전기방식 공법, 표면도장 공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으나,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효과는 우수한 반면에, 비경제적이고 환경 위해성이 있으며, 반복적인 보수시공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해안 구조물에 적용되는 콘크리트는 초기 시공 시 수축 응력에 의한 수축균열이 발생될 경우 부식 인자의 침투경로를 제공하여 콘크리트의 열화를 더욱 가속화시키므로 수축을 초기에 제어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해안 구조물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체에 직접 적용할 수 있고, 경제성을 확보하면서, 내염해성을 개선하고, 수축 응력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을 억제하고, 염소 이온과 황산 이온의 침투저항성 및 철근 부식저항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함불소 실리카 화합물 30~60중량%, 설파제신(sulfazecin) 5~30중량%, 무수말레인산-아크릴 공중합체 5~20중량% 및 포르메이트계 화합물 30~60중량%를 포함하는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함불소 실리카 화합물은 H2SiF6와 물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르메이트계 화합물은 칼슘 포르메이트 및 바륨 포르메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결합재(Bind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술한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 유무기 복합 조성물 0.2~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콘크리트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종 슬래그 시멘트; 2종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애쉬 5~39중량% 및 잔부로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플라이애쉬 5~39중량% 및 잔부로 1종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애쉬 5~39중량% 및 잔부로 2종 슬래그 시멘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해안 및 해안 매립지에 시공되는 해안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을 억제하고, 염소 이온과 황산 이온의 침투저항성 및 철근 부식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판상-링상 구속균열 시험 몰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한 콘크리트 유동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한 내염해성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한 황산염 저항성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 유무기 복합 조성물은 콘크리트의 수축저항성을 개선하여 수축균열을 억제하고, 콘크리트에 침투된 염소 이온과 황산 이온을 화학적으로 고정화하여 유리 염소 이온과 황산 이온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콘크리트내에서 염소 이온과 황산 이온의 확산 계수 및 침투깊이를 저감하고 철근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염소 이온과 황산 이온의 침투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소 이온과 황산 이온의 침투를 방지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의 부식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함불소 실리카 화합물 30~60중량%, 설파제신(sulfazecin) 5~30중량%, 무수말레인산-아크릴 공중합체 5~20중량% 및 포르메이트계 화합물 30~60중량%를 포함하는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함불소 실리카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함불소 실리카 화합물과 콘크리트가 반응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표면에서 실리카와 유리불소의 화학작용(하기 화학식 1)으로 인하여 철근표면에 FeF2-SiO2 조성의 치밀한 보호층(protective layer)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은 콘크리트 중에 확산된 염소이온의 침투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철근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화학식 1)
3Fe2 +(aq) + SiF6 2 -(aq) + 20H-(aq) → 3FeF2-SiO2(s) + 2H+(aq)
하기 화학식 2와 같이 실리카 및 유리불소이온은 규불화수소산(H2SiF6)에서 해리된 규불화이온(SiF6 2-)의 가수분해 반응을 통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함불소 실리카 화합물은 H2SiF6와 물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SiF6 2 -(aq) + 2H20(l) → SiO2(s) + 4H+(aq) + 6F-(aq)
상기 함불소 실리카 화합물은 가수분해 반응 후 실리카 2~50중량%, 유리불소이온(F-) 1~20중량% 및 잔부는 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이고, 유리불소이온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철근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보호층이 충분히 형성될 수 없다. 반면에, 실리카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고, 유리불소이온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멘트-물계에 불용성 미립자를 과다하게 생성시켜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실리카는 2~50중량%의 범위로, 상기 유리불소이온은 1~20중량%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불소 실리카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에서 30~60중량%가 사용되며, 상기 함량이 3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불투수성 보호층이 형성되지 않고, 수축 저항성의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오히려 콘크리트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설파제신(sulfazecin)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파제신(C12H20N4O9S)은 다음의 화학식 3과 같은 화학적 치환반응을 통하여 유리 염소 이온을 화학적으로 고정화시켜 내염해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화학식 3)
[HOOC-(C11H18N4O4)-SO3H]n + nCl- → [(C11H18N4O4)-Cl]n + nCOO- + nSO3 - + 2nH+
상기 화학식 3에서 SO3H와 Cl-의 이온 교환에 의하여 유리 염소 이온이 안정화된다.
상기 설파제신은 본 발명의 전체 조성물에서 5~30중량%가 사용된다. 상기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설파제신의 염소 이온 고정화 반응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아 유리 염소 이온의 고정화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 사용되는 정도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비경제적이며, 오히려 콘크리트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무수말레인산-아크릴 공중합체(MA-co-AA)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수말레인산-아크릴 공중합체는 콘크리트 유동성 유지 성능(slump releasing effect)에 관여하는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물에서 5~20중량%가 사용된다.
상기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유동성 유지 성능 개선의 효과가 미미하며,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량에 비하여 효과의 개선 정도가 낮아 비경제적이고, 콘크리트 물성 자체가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포르메이트계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포르메이트계 화합물의 작용은 콘크리트의 황산염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포르메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칼슘 포르메이트와 바륨 포르메이트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르메이트계 화합물은 칼슘 포르메이트 및 바륨 포르메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포르메이트계 화합물 중 칼슘 포르메이트 화합물이 유리 황산 이온을 불용성 화합물로 안정화시키는 반응은 다음 화학식 4에 나타나 있다.
(화학식 4)
Ca2 +(aq) + 2HCOO-(aq) + SO4 2 -(aq) → CaSO4(s) + 2HCOO-(aq)
또한, 포르메이트계 화합물 중 바륨 포르메이트 화합물이 유리 황산 이온을 불용성 화합물로 안정화시키는 반응은 다음 화학식 5에 나타나 있다.
(화학식 5)
Ba2 +(aq) + 2HCOO-(aq) + SO4 2 -(aq) → BaSO4(s) + 2HCOO-(aq)
화학식 4와 화학식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르메이트계 화합물은 콘크리트 중 외부에서 침투된 유리 황산 이온의 화학적 흡착(이온 교환반응)에 의해 유리 황산이온을 CaSO4, BaSO4와 같은 불용성 화합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콘크리트에 침투된 유리 황산 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포르메이트계 화합물은 본 발명의 전체 조성물에서 30~60중량%가 사용되며, 상기 함량이 3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리 황산 이온의 안정화 정도가 미미하며,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되는 정도에 비하여 그 효과의 개선이 미미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물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은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적용대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해양환경에 사용되는 구조물에 콘크리트가 주로 이용되는 측면을 고려하여 볼 때, 콘크리트 조성물에 가장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은 해안 매립지 구조물, 해안 부두, 해안 교량, 해안 발전소, 해안 터널 등 해안에 시공되는 건축 및 토목구조물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콘크리트 조성물에 적용되는 경우에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의 함량은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결합재(Bind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3.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 유무기 복합 조성물이 0.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수축억제, 염소이온과 황산이온의 침투저항성 및 철근 부식저항성의 개선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될 수 없다. 반면에,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첨가량 대비 상기 개선효과가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물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콘크리트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종 슬래그 시멘트; 2종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애쉬 5~30중량% 및 잔부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플라이애쉬 5~30중량% 및 잔부는 1종 슬래그 시멘트; 및 플라이애쉬(FA) 5~30중량% 및 잔부는 2종 슬래그 시멘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KS L 5120(고로 슬래그 시멘트) 규격에 따르면, 1종 슬래그 시멘트는 고로 슬래그(BFS) 5~30중량% 및 잔부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로 조성되고, 2종 슬래그 시멘트는 고로 슬래그(BFS) 30~60중량% 및 잔부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로 조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조성된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0075394519-pat00001
상기 조성으로 구성된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해안 토목구조물에 사용되는 하기 표 2의 콘크리트 배합을 대상으로 비교예 및 실시예들로 구분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비교예는 콘크리트 배합에서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이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각각 콘크리트에 사용된 결합재(Binder) 100 중량부 대비 각각 0.5 중량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였다. 콘크리트로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50중량%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50중량%로 구성된 2성분계 혼합시멘트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10075394519-pat00002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콘크리트의 성능평가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슬럼프 플로우), 압축강도(재령 7일, 28일), 수축균열저항성, 내염해성 및 내화학성(황산염저항성)에 대해 실시하였다.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 시험은 KS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수축균열저항성은 도 1의 판상-링형 구속균열 시험용 몰드를 사용하여 균열패턴 및 균열면적을 측정하였다. 내염해성은 고농도 염수(3% NaCl 수용액)에 실시예에 따른 28일 양생한 콘크리트 시험체를 7일, 56일 침지 후 염소이온 침투깊이를 측정하였으며, 내화학성은 고농도 황산용액(5% H2SO4 수용액)에 10x20cm 규격의 콘크리트 시험체를 28일 양생한 후 7일, 28일 침지후 화학적 침식에 의한 시험체의 중량변화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콘크리트 유동성 및 압축강도 측정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첨가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가 비교예에 비해 동등 이상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를 확보함으로써 콘크리트 기초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축균열 저항성은 하기 표 3과 같이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콘크리트의 균열패턴이 개선되고 균열면적도 크게 저감되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첨가율 증가에 따라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Figure 112010075394519-pat00003
고농도 염수에 침지시킨 후 콘크리트의 내염해성 효과를 평가한 결과 도 4와 같이 침지재령에 관계없이 비교예에 비해 염소이온 침투깊이가 크게 감소되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첨가율 증가에 따라 내염해성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농도 황산용액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황산염 저항성은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가 모두 황산염에 의한 콘크리트의 중량감소율이 크게 저감됨으로써 높은 황산염 저항성을 보였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첨가율이 증가되면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도 5).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된 포르메이트계 화합물이 콘크리트에 침투된 유리 황산이온을 불용성 염으로 안정화시키는 효과에 의해 황산이온이 콘크리트를 침식시켜 발생하는 중량감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Claims (5)

  1. 함불소 실리카 화합물 30~60중량%, 설파제신(sulfazecin) 5~30중량%, 무수말레인산-아크릴 공중합체 5~20중량% 및 포르메이트계 화합물 30~60중량%를 포함하는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불소 실리카 화합물은 H2SiF6와 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 유무기 복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르메이트계 화합물은 칼슘 포르메이트 및 바륨 포르메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 유무기 복합 조성물.
  4.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결합재(Bind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 유무기 복합 조성물이 0.2~3.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종 슬래그 시멘트; 2종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애쉬 5~39중량% 및 잔부로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플라이애쉬 5~39중량% 및 잔부로 1종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애쉬 5~39중량% 및 잔부로 2종 슬래그 시멘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100114898A 2010-11-18 2010-11-18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KR101083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898A KR101083012B1 (ko) 2010-11-18 2010-11-18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PCT/KR2010/009259 WO2012067304A1 (ko) 2010-11-18 2010-12-23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CN201110369609.2A CN102531444B (zh) 2010-11-18 2011-11-18 硅酸盐-甲酸盐类有机无机复合组合物及包含该组合物的混凝土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898A KR101083012B1 (ko) 2010-11-18 2010-11-18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012B1 true KR101083012B1 (ko) 2011-11-15

Family

ID=4539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898A KR101083012B1 (ko) 2010-11-18 2010-11-18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83012B1 (ko)
CN (1) CN102531444B (ko)
WO (1) WO201206730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2651A1 (en) 1992-03-26 1993-09-29 Nobel Paint and Adhesives AB Mortar
US5814253A (en) 1993-03-25 1998-09-29 Thermoflex, Inc. Process for making a lightweight, cementitious, three dimensional structure
KR100461763B1 (ko) 2001-10-25 2004-12-14 (주)아텍스 콘크리트 급결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1296B2 (ja) * 1989-02-21 1997-11-26 日本セメント株式会社 モルタルまたはコンクリートの白華防止剤および白華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2651A1 (en) 1992-03-26 1993-09-29 Nobel Paint and Adhesives AB Mortar
US5814253A (en) 1993-03-25 1998-09-29 Thermoflex, Inc. Process for making a lightweight, cementitious, three dimensional structure
KR100461763B1 (ko) 2001-10-25 2004-12-14 (주)아텍스 콘크리트 급결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31444A (zh) 2012-07-04
WO2012067304A1 (ko) 2012-05-24
CN102531444B (zh)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Şahmaran et al. Durability properties of micro-cracked ECC containing high volumes fly ash
Chung et al. Chloride ion diffusivity of fly ash and silica fume concretes exposed to freeze–thaw cycles
Dehwah et al. Long-term effect of sulfate ions and associated cation type on chloride-induced reinforcement corrosion in Portland cement concretes
KR101687672B1 (ko) 내화학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및 강재 구조물 표면 보호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보호 시공 공법
JP5889221B2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Türkel et al. Influence of various acids on the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of pozzolanic cement mortars
KR10152770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및 강재 표면 보호용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강재 표면 보호 시공 공법
KR100715517B1 (ko) 고내구성 콘크리트용 내염해성 증진제 조성물과 이를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Boukhelkhal et al. Combined effects of mineral additions and curing conditions on strength and durability of self-compacting mortars exposed to aggressive solutions in the natural hot-dry climate in North African desert region
KR10167447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시공 공법
KR100879882B1 (ko) 친환경 보수모르타르와 침투식 구체강화제 및 엑폭시도료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KR101329698B1 (ko) 균열 자가 치유가 가능한 결정성장형 복합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의 타설방법
KR101083012B1 (ko)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WO2016128385A1 (en) Non-invasive repair and retrofitting of harden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Sadawy Effect of Al2O3 additives on the corrosion and electrochemical behavior of steel embedded in ordinary Portland cement concrete
KR1021891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 공법
KR101086240B1 (ko) 내 황산염 폴리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KR100918427B1 (ko) 해안 콘크리트용 Si/Al 복합 유무기 조성물과 이를 적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KR100933224B1 (ko)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058266B1 (ko) 내부양생 혼합재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첨가된 레미콘
Bibi et al. Resistance of concrete protective coatings in different chemical environments
El-Farissi et 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chloride exposure conditions and material properties on the convection zone depth and the corresponding chloride content
Selander et al. hydrophobic shotcrete–a method to waterproof tunnels
JP2006008442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2114749B1 (ko) 친환경 습윤경화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보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