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056B1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056B1
KR101082056B1 KR1020110038226A KR20110038226A KR101082056B1 KR 101082056 B1 KR101082056 B1 KR 101082056B1 KR 1020110038226 A KR1020110038226 A KR 1020110038226A KR 20110038226 A KR20110038226 A KR 20110038226A KR 101082056 B1 KR101082056 B1 KR 101082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ubstrate
stereoscopic image
polarization control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영
전병건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3/247,737 priority Critical patent/US84368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크로스토크 등 입체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시야각 특성이나 콘트라스트 특성 등이 우수하여, 탁월한 품질의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장치{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는 표시하는 대상의 3차원 정보를 관찰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이다.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은, 크게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상기에서 안경 방식은 다시 편광 안경 방식과 LC 셔터 안경(LC shutter glass)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무안경 방식은 다시 2안식/다시점 양안 시차 방식, 체적형 방식 또는 홀로그래픽 방식 등을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 상태에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관찰자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표시 소자; 상기 표시 소자로부터 영상 신호가 전달되는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흡수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편광판 및 상기 제 1 편광판으로부터 영상 신호가 전달되는 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 1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편광 조절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이 상기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 또는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관찰자가 편광 안경을 착용하고,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편광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정의하면서, 수직, 수평, 직교 또는 평행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목적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의 실질적인 수직, 수평, 직교 또는 평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조 오차(error) 또는 편차(variation) 등을 감안한 오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경우, 약 ±15도 이내의 오차, 바람직하게는 약 ±10도 이내의 오차,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도 이내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 폭, 두께 또는 피치 등을 정의하면서 용어 「동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는 목적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의 실질적 동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조 오차 또는 편차 등을 감안한 오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동일은 약 ±60㎛ 이내의 오차,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내의 오차,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내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관찰자측」 또는 「영상 신호가 전달되는 측」은, 구동 상태에서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가 관찰자에게 진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구동 상태」 또는 「입체 영상의 표시 상태」는,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구동 중인 상태로서, 구체적으로는 입체 영상을 관찰자에게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상기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경우, 구체적으로는 구동 상태에서 장치의 상부에서 관찰자의 머리를 바라보는 방향에서 관찰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난 입체 영상 표시 장치(1)는, 표시 소자(13)와 상기 표시 소자(13)에서 출사되는 영상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에 배치된 제 1 편광판(14)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14)은, 투과축 및 상기 투과축에 직교하는 흡수축을 포함하는 광학 소자이고, 이에 따라 표시 소자(13)에서 출사되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그 가운데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축을 가지는 신호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시 소자(13)를 기준으로 제 1 편광판(14)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편광판(1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편광판(14)과 제 2 편광판(12)은 각각 흡수축과 투과축을 가지고,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제 2 편광판의 흡수축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판(12, 14)의 투과축도 역시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 편광판(12)의 표시 소자(14)와는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광원(1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으로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직하형(direct type) 또는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외에도 다양한 광원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터(15)는, 상기 제 1 편광판(14)에서 관찰자측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1의 표시 소자(13)는, 2장의 기판(131A, 131B)의 사이에 액정층(132)을 개재시켜서 형성되는 투과형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패널은, 예를 들면, 순차적으로 배치된 기판(131A), 화소 전극, 배향막, 액정층(132), 배향막, 공통 전극 및 기판(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광원(11)측 기판(131A)에는, 투명 화소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동 소자로서 TFT(Thin Film Transistor)와 배선 등을 포함하는 액티브형 구동 회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화소 전극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하고, 화소별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배향막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와 같은 재료를 포함하며, 액정을 배향시키고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액정층(132)은, 예를 들면, VA(Vertical Alignment), TN(Twisted Nematic), STN(Super Twisted Nematic) 또는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의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132)은, 구동 회로로부터의 인가 전압에 의해서, 광원(11)으로부터의 광을 화소별로 투과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공통 전극은, 예를 들면 ITO를 포함하고, 공통의 대향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액정층(132)에는 구동 상태에서 좌안용 또는 우안용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복수의 화소(pixel)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소는, 예를 들면, 각각 배향막의 사이에 밀봉된 액정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이고, 하나 이상의 단위 화소가 우안용 및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 DL)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 DL)은 행 및/또는 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하나의 예시적인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 DL)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와 같이, 상기 우안용 및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 DL)은 공통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3은, 다른 예시적인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 DL)의 배치를 나타내고, 각각의 영역(DR, DL)이 격자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영상 신호 생성 영역의 배치가 도 2 및 3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다양한 디자인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구동 상태에서 신호에 따라 각각의 화소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신호를 관찰자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11)에서 출사한 광이 제 1 편광판(12)을 투과하여 표시 소자에 입사한 후, 우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을 투과한 광은 우안용 영상 신호가 되고,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L)을 투과한 광은 좌안 영상 신호가 된다.
도 1에서 제 1 편광판(14)은 우안용 및 좌안용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가 입사하면, 편광판(14)의 투과축과 평행한 광을 투과시킨다.
광학 필터(15)는, 제 1 편광판(14)을 기준으로 표시 소자(13)의 반대측, 즉 편광판(14)의 관찰자측에 배치된다. 표시 소자(13)에서 생성되어 제 1 편광판(14)을 투과한 영상 신호는, 다시 광학 필터(15)를 거쳐 관찰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광학 필터(15)에는, 예를 들면, 제 1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편광 조절 영역 및 상기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광축은 영상 신호가 편광 조절 영역을 투과하는 과정에서의 지상축(slow axis) 또는 진상축(fast axis)을 의미한다.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 중 어느 하나는 표시 소자(13)로부터 입력된 우안용 영상 신호의 편광 상태를 조절하는 우안용 편광 조절 영역(PR)이고, 다른 하나는 좌안용 영상 신호의 편광 상태를 조절하는 좌안용 편광 조절 영역(PL)일 수 있다. 광학 필터(15)에서 우안용 편광 조절 영역(PR)은, 구동 상태에서 표시 소자의 우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에서 생성 및 전달되는 우안용 영상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좌안용 편광 조절 영역(DL)은, 표시 소자의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L)에서 생성 및 전달되는 좌안용 영상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은 공통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격자 패턴을 이루면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PL, PR)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광학 필터의 하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PR, PL)이 격자 패턴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있는 광학 필터의 하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5의 예시에서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PL, PR)이 이루는 피치(도 4 또는 5의 P), 즉 제 1 또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의 폭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의 간격의 합 및 제 1 또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의 간격(ex. 도 4 또는 5의 V)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이 이루는 피치는, 전술한 표시 소자에서 좌안용 영상 또는 우안용 영상을 생성하는 단위 화소(DL, DR)의 폭의 2배일 수 있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좌안용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단위 화소(도 2 또는 3의 DL) 및 우안용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단위 화소(도 2 또는 3의 DR)가 스트라이프상 또는 격자 형상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피치(P)는 상기 단위 화소(DR 또는 DL)의 폭(도 2 또는 3의 W1 또는 W2)의 2배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간의 간격(ex. 도 4 또는 5의 V)은, 표시 소자에서 좌안용 영상 또는 우안용 영상을 생성하는 단위 화소의 폭(예를 들면, 도 2 또는 3의 W1 또는 W2)과 동일한 수치를 가질 수 있다.
구동 상태에서 제 1 편광 조절 영역을 투과한 영상 신호와 제 2 편광 조절 영역을 투과한 영상 신호는 서로 상이한 편광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편광 조절 영역을 투과한 영상 신호와 제 2 편광 조절 영역을 투과한 영상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는 좌원 편광된 영상 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우원 편광된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즉,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좌안용 영상 신호는 제 1 편광판을 거쳐 편광 조절층의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입사한 후에, 좌원 편광 또는 우원 편광된 상태로 출사되고, 또한 우안용 영상 신호는 제 1 편광판을 거쳐 편광 조절층의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영역으로 입사한 후에, 상기 좌안용 영상 신호와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우원 편광 또는 좌원 편광된 상태로 출사될 수 있다.
좌원 편광 및 우원 편광된 영상 신호를 배출할 수 있는 광학 필터로는,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에 모두 λ/4 파장판이 배치되어 있되, 상기 제 1 편광 조절 영역에 배치된 λ/4 파장판의 광축과 상기 제 2 편광 조절 영역에 배치된 λ/4 파장판의 광축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는 광학 필터가 예시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편광 조절 영역은 제 1 방향으로 광축을 가지는 λ/4 파장판이고, 상기 제 2 편광 조절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광축을 가지는 λ/4 파장판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λ/4 파장판」은 입사되는 광을 각각의 파장의 1/4 파장만큼 위상 지연을 시킬 수 있는 위상 지연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도 4 또는 5의 예시의 광학 필터의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PR, PL)의 광축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의 예시에서 제 1 편광 조절 영역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광축은 A1으로 표시되고, 제 2 편광 조절 영역에 제 2 방향으로 형성된 광축은 A2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PR, PL)의 광축(A1, A2)은, 상기 광축(A1, A2)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이 상기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평행 또는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축 배치를 통하여, 표시 소자에서 생성되어 편광판을 투과한 영상 신호가 정확하게 좌원 편광 및 우원 편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수한 입체 영상 품질을 구현하고, 또한 입체 영상 표시에서 문제되는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광축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은, 도 6을 참조하면, 「θ1+θ2」 또는 「360-(θ1+θ2)」의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θ1 및 θ2가 동일한 각도일 경우, 이등분선은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PR, PL)의 경계선(L)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PR, PL)의 광축(A1, A2)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면, 도 6에서 「θ1+θ2」 또는 「360-(θ1+θ2)」의 각도가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축 배치를 통하여, 시야각 및 콘트라스트비 등의 입체 영상 품질을 우수하게 구현하고, 또한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 필터는, 기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λ/4 파장판이 상기 기재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λ/4 파장판은, 상기 표시 소자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재는 관찰자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로는,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유리 기재 또는 플라스틱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재로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기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가시광 영역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약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5% 이상인 플라스틱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경량인 표시 장치의 구현을 위하여, 플라스틱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기재는 상기 λ/4 파장판에 비하여 낮은 굴절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약 1.33 내지 1.53의 굴절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가 λ/4 파장판에 비하여 낮은 굴절률을 가지도록 하면, 휘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반사 방지 및 콘트라스트비 등의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기재는 (-) 플레이트의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기재일 수 있다. 용어 (-) 플레이트의 특성은, 기재가 하기 일반식 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식 1]
Nx = Ny > Nz
상기 일반식 1에서 Nx는 기재의 면 내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기재의 내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Nz는 기재의 두께 방향을 굴절률을 나타낸다.
이 분야에서는 기재의 Nx, Ny 및 Nz의 측정 방식이 널리 공지되어 있고, 평균적 기술자는 상기 공지된 방식에 따라 기재의 굴절률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상기 기재는 면 방향의 위상차(Re)가 -50 nm 내지 50 nm, 바람직하게는 -30 nm 내지 3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nm 내지 15 n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은,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가 -70 nm 내지 70 nm, 바람직하게는 -50 nm 내지 5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nm 내지 30 nm일 수 있다.
상기에서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는 하기 일반식 2로 계산될 수 있고, 또한 면 방향 위상차(Rin)는 하기 일반식 3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일반식 2]
Rth = d × (Nz-Ny)
[일반식 3]
Rin = d × (Ny-Nx)
상기 일반식 2 및 3에서 Nx, Ny 및 Nz는 일반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d는 기재의 두께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기재가 (-) 플레이트의 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위상차를 가지는 경우, 기재의 광축, 예를 들면, 지상축은, 전술한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PR, PL)의 경계선 또는 상기 제 1 편광 조절 영역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PR, PL)의 광축(A1, A2)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과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치로 인하여, 우수한 표시 품질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고, 또한 크로스토크 현상 등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광학 특성을 가지는 기재를 사용하여, 광학 필터에 의한 광 분할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고, 또한,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TAC(triacetyl cellulose) 기재; 노르보르넨 유도체 등의 COP(cyclo olefin copolymer) 기재; PMMA(poly(methyl methacrylate) 기재; PC(polycarbonate) 기재; PE(polyethylene) 기재; PP(polypropylene) 기재; PVA(polyvinyl alcohol) 기재; DAC(diacetyl cellulose) 기재; Pac(Polyacrylate) 기재; PES(poly ether sulfone) 기재; PEEK(polyetheretherketon) 기재; PEI(polyetherimide) 기재; PEN(polyethylenemaphthatlate) 기재; PET(polyethyleneterephtalate) 기재; PI(polyimide) 기재; PSF(polysulfone) 기재; PAR(polyarylate) 기재 또는 비정질 불소 수지계 기재 등을 들 수 있고, 하나의 예시에서는 TAC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단일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으나, 보다 얇은 두께의 소자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단일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는, 또한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차단제 또는 흡수제를 적정량 기재에 포함시키면, 자외선에 의한 광학 필터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장치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 또는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 에스테르(salicylic acid ester) 계열, 벤조페논(benzophenone) 계열, 옥시벤조페톤(oxybenzophenone) 계열,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 계열, 시아노 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계열 또는 벤조에이트(benzoate) 계열의 유기 화합물 또는 산화아연(zinc oxide) 또는 니켈 착염(nickel complex salt) 등과 같은 무기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 중 유기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내에서의 자외선 차단제 또는 흡수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 효과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기재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흡수제를, 기재의 주재료에 대한 중량 비율로 약 0.1 중량% 내지 25 중량% 정도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기재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λ/4 파장판은, 기재측으로부터 배향층 및 상기 배향층상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층은, 예를 들면, 영역별로 상이한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λ/4 파장판일 수 있고, 액정층 하부의 배향층은 상기 파장판의 광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층일 수 있다. 상기에서 배향층으로는,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배향층을 사용할 수 있다. 배향층의 예로는, 직선 편광된 광의 조사에 의하여 유도되는 이성화(cis-trans isomerization), 프리즈 재배열(fries rearrangement) 또는 이량화(dimerization) 반응에 의하여 배향이 결정되고, 결정된 배향에 의하여 인접하는 액정층에 배향을 유도할 수 있는 광배향층, 러빙 처리된 폴리이미드층과 같은 고분자층 또는 복수의 홈 영역이 패터닝되어 형성되어 있는 아크릴계 경화형 수지층 등일 수 있다.
또한, 액정층으로는,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광가교성 또는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가교층 또는 광중합층일 수 있다. 이 분야에서는 상기 특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액정 화합물이 공지되어 있으며, 그 예로는 머크(Merk)사의 RM(Reactive Mesogen) 또는 BASF사의 LC242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를 구성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서는 광학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고, 상기의 편광판의 흡수축과 광학 필터의 광축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은 공지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에서 상기 표시 소자와 광학 필터는 하기 일반식 4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4]
A < B - (2/3) × c
상기 일반식 4에서 A는, 광학 필터의 길이이고, B는 표시 소자의 길이이며, c는, 광학 필터와 표시 소자의 간격이다.
통상적으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 시에는, 표시 소자의 영상 신호 생성 영역(도 1의 DR 및 DL)과 각 영상 신호 생성 영역에 대응하는 광학 필터의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우안용 및 좌안용 편광 조절 영역)을 동일한 크기로 정확하게 대응되도록 설계하고, 우안용 영상 신호와 좌안용 영상 신호를 분리하며, 이에 따라서 표시 소자와 광학 필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에서는, 광학 필터의 크기가 표시 소자와는 다르도록 제어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일반식 4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반식 4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표시 소자와 광학 필터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크로스토크가 방지되고, 시야각이 넓어지며, 관찰자가 보다 우수한 품질의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4에서 A는 광학 필터의 길이이고, 구체적으로는, 구동 상태에서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관찰자를 기준으로 한 수평 방향의 길이이다.
또한, 상기 일반식 4에서 B는 표시 소자의 길이이고, 구체적으로는, 구동 상태에서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관찰자를 기준으로 한 수평 방향의 길이이다.
또한, 상기 일반식 4에서 c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내에서 광학 필터와 표시 소자의 간격이다. 예를 들어,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표시 소자로서 도 1과 같이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간격은 표시 소자 내에서 액정층의 표면과 광학 필터에서 상기 액정층과 대향하고 있는 표면의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소자가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c는 상기와 같은 액정층과 광학 필터의 간격이거나, 또는 상기 컬러 필터의 표면과 광학 필터에서 상기 컬러 필터와 대향하고 있는 표면의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장치에서 표시 소자(13)와 광학 필터(15)만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7에는 도 1의 장치의 경우에 상기 A, B 및 c가 표시되어 있다. 도 7에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관찰하는 방향은 도 1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표시 소자와 광학 필터의 중심선은 서로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 「중심선」은, 표시 소자 또는 광학 필터 등의 소자를 수평 방향으로 이등분하고 있는 선을 의미하고, 상기에서 수평 방향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상태에서 관찰자를 기준으로 정하여 지는 방향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소자의 중심선과 광학 필터의 중심선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에 Q선을 따라서 서로 일치하고 있다.
상기 일반식 4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표시 소자와 광학 필터를 설계함으로써, 좌안용 영상 신호가 우안에 입사되거나, 혹은 우안용 영상 신호가 좌안에 입사되는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넓은 시야각과 우수한 콘트라스트 비율 등을 확보할 수 있어서 입체 영상의 품질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4에서 B 등의 구체적인 수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태양에 따라서 정하여 진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표시 소자와 광학 필터는 상기 일반식 4의 관계를 만족하고, 또한 구동 상태에서 상기 표시 소자에서 전달되는 우안 영상 신호는 광학 필터의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입사되고, 좌안용 영상 신호는 광학 필터의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영역에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소자의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 DL)이 도 2와 같은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는 경우, 광학 필터의 편광 조절 영역(PR, PL)도 도 4와 같이 대응되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표시 소자의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 DL)이 도 3과 같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광학 필터의 편광 조절 영역(PR, PL)도 도 5와 같이 대응되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와 같은 표시 소자의 영상 신호 생성 영역과 광학 필터의 편광 조절 영역은 하기 일반식 5의 관계를 추가로 만족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식 5]
E × (1-(2c)/(3B)) = F
상기 일반식 2에서 E는 표시 소자의 중심선에서 우안용 또는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까지의 거리이고, F는 광학 필터의 중심선에서 상기 거리 E의 영상 신호 생성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까지의 거리이며, B 및 c는 상기 일반식 4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E × (1-(2c)/(3B))」및 F는 동일한 수치를 가지고, 여기에서 동일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 오차 등을 감안한 실질적인 동일이다.
상기 관계를 만족하도록 영상 신호 생성 영역과 편광 조절 영역의 관계를 조절함으로써, 크로스토크 방지와 시야각 확보 등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품질 향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 중심선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소자를 수평 방향으로 이등분하고 있는 선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E는 표시 소자의 중심선에서 우안용 또는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까지의 거리이고, 구체적으로는, 구동 상태에서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관찰자를 기준으로 한 수평 방향의 거리이며, 또한 중심선으로부터 해당 영상 신호 생성 영역이 시작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Q선에 위치하는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으로 가장 먼저 형성되어 있는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L)까지의 거리는 EL1으로 표시되어 있고, 두번째로 형성되어 있는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L)까지의 거리는 EL2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으로 가장 먼저 형성되어 있는 우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까지의 거리는 0이며, 두번째로 형성되어 있는 우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까지의 거리는 ER2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 F는 광학 필터의 중심선에서 상기 E의 거리를 가지는 영상 신호 생성 영역에 대응되는 제 1 또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 즉 우안용 또는 좌안용 편광 조절 영역까지의 거리이고, 구체적으로는, 구동 상태에서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관찰자를 기준으로 한 수평 방향의 거리이며, 또한 중심선으로부터 해당 편광 조절 영역이 시작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상기에서 E의 거리를 가지는 우안용 또는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 대응되는 제 1 또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은 상기 E의 거리를 가지는 우안용 또는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에서 생성되는 우안용 또는 좌안용 영상 신호가 입사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우안용 또는 좌안용 편광 조절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중심선(Q선에 위치함)으로부터 우측으로 가장 먼저 형성되어 있는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L)(거리 EL1)에 대응되는 편광 조절 영역(PL)의 거리는 FL1으로 표시되어 있고, 두번째로 형성되어 있는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L)(거리 EL2)에 대응되는 편광 조절 영역(PL)까지의 거리는 FL2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으로 가장 먼저 형성되어 있는 우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에 대응되는 편광 조절 영역까지의 거리는 0이며, 두번째로 형성되어 있는 우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DR)(거리: EL2)에 대응되는 편광 조절 영역의 거리는 FR2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존재하는 영역의 거리 관계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거리 관계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에 존재하는 영역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치에 의하여,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우안용 및 좌안용 영상 신호는 정확하게 광학 필터의 대응되는 편광 조절 영역을 경유하여 관찰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상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주요 소자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표시 장치는 전술한 소자 외에도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자, 예를 들면, 편광 안경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그 경우 각 소자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표시 소자; 흡수축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및 제 1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편광 조절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을 가지는 광학 필터를 상기 순서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치 단계에서 상기 편광판의 흡수축과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이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배치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기술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일 수 있고, 따라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은 유형의 표시 소자와 편광 제어 소자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태양은 상기와 같은 편광판의 흡수축과 광축의 이등분선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수행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공지의 적절한 방식에 따라서 장치의 각 소자들을 적절한 하우징(housing) 등에 수납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의 배치 단계는,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소자 및 광학 필터가 전술한 일반식 4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체 단계에서는, 구동 상태에서 광학 필터의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는 표시 소자에서 전달되는 우안용 영상 신호가 입사되고, 다른 영역에는 표시 소자에서 전달되는 좌안용 영상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하도록 수행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일반식 5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 외에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다른 요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내용이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 및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크로스토크 등 입체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시야각 특성이나 콘트라스트 특성 등이 우수하여, 탁월한 품질의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및 3은, 예시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표시 소자의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 생성 영역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 4 및 5는, 예시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광학 필터의 예시적인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광학 필터의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의 광축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 및 8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소자간의 크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정면 크로스토크율은 하기의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1. 정면 크로스토크율의 평가 방법
크로스토크율은, 암 상태(Dark state)와 명 상태(Bright stat)에서의 휘도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고,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따라서 크로스토크율을 측정하는 방식은 이 분야에서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편광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사용한 본 실시예에서의 크로스토크율은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한다. 우선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통상의 관측 지점에 입체 영상 관찰용 편광 안경을 위치시킨다. 상기에서 통상의 관측 지점은, 관찰자가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경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의 길이의 3/2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이고, 이러한 위치에서 편광 안경은 관찰자가 표시 장치의 중앙을 관찰하는 것을 가정하여 위치시킨다. 상기에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 길이는, 관찰자가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상태를 가정할 때, 상기 관찰자를 기준으로 한 수평 방향의 길이, 예를 들면, 영상 표시 장치의 가로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배치에서 표시 장치가 좌안용 영상을 출력하도록 한 상태에서 편광 안경의 좌안용 및 우안용 렌즈의 배면에 휘도계(장비명: SR-UL2 Spectrometer)를 배치하고, 각각의 경우의 휘도를 측정한다. 상기에서 좌안용 렌즈의 배면에서 측정되는 휘도는 명 상태의 휘도이며, 우안용 렌즈의 배면에서 측정되는 휘도는 암 상태의 휘도이다. 각 휘도를 측정한 후에, 명 상태의 휘도에 대한 암 상태의 휘도의 비율([암 상태의 휘도]/[명 상태의 휘도])의 백분율을 구하여, 크로스토크율로 규정할 수 있다. 크로스토크율은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되, 표시 장치가 우안용 영상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명 및 암 상태에서의 휘도를 구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좌안용 렌즈의 배면에서 측정되는 휘도는 암 상태의 휘도이며, 우안용 렌즈의 배면에서 측정되는 휘도는 명 상태의 휘도이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로서, 제 1 편광판(도 1의 14)의 흡수축과 광학 필터(15)에서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PL, PR)의 광축을 이등분하는 선이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고 있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광학 필터(15)의 제 1 편광 조절 영역에는 상기 편광판(14)의 흡수축과 시계 방향으로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지상축이 형성된 λ/4 파장판이 위치하고, 제 2 편광 조절 영역에는 상기 편광판(14)의 흡수축과 반시계 방향으로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지상축이 형성된 λ/4 파장판이 위치되었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정면 크로스토크를 평가하고 이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치를 구성하되, 제 1 편광 조절 영역의 광축과 제 2 편광 조절 영역의 광축은 서로 수직을 이루고, 또한 상기 광축을 이등분하는 선은 상기 편광판(14)의 흡수축과 시계 방향으로 1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장치를 구성하고, 정면 크로스토크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치를 구성하되, 제 1 편광 조절 영역의 광축과 제 2 편광 조절 영역의 광축은 서로 수직을 이루고, 또한 상기 광축을 이등분하는 선은 상기 편광판(14)의 흡수축과 시계 방향으로 1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장치를 구성하고, 정면 크로스토크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치를 구성하되, 제 1 편광 조절 영역의 광축과 제 2 편광 조절 영역의 광축은 서로 수직을 이루고, 또한 상기 광축을 이등분하는 선은 상기 편광판(14)의 흡수축과 시계 방향으로 2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장치를 구성하고, 정면 크로스토크를 평가하였다.
상기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크로스토크율(%) 0.5 2.9 6.1 11.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크로스토크율은 약 0.5%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정면 크로스토크율이 1% 미만인 경우에 관찰자가 어지러움이나 불편함 없이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고려하면, 실시예 1의 경우, 우수한 입체 영상을 구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2.9% 이상의 크로스토크율을 나타내어, 입체 영상의 품질이 크게 저하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1: 광원 12, 14: 편광판
13: 표시 소자 131A, 131B: 기재
132: 액정층 15: 편광 제어 소자
DR: 우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
PR: 우안용 영상 신호 편광 조절 영역
DL: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
PL: 좌안용 영상 신호 편광 조절 영역
B: 표시 소자의 길이
A: 광학 필터의 길이
c: 표시 소자와 광학 필터의 간격
Q: 중심선의 배치 위치
EL1, EL2, ER2: 중심선에서 영상 신호 생성 영역까지의 거리
FL1, FL2, FR2: 중심선에서 편광 조절 영역까지의 거리

Claims (16)

  1. 구동 상태에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관찰자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표시 소자; 상기 표시 소자로부터 영상 신호가 전달되는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흡수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편광판 및 상기 제 1 편광판으로부터 영상 신호가 전달되는 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 1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편광 조절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이 상기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 또는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 소자를 기준으로 제 1 편광판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흡수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편광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제 2 편광판의 흡수축은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상태에서 제 1 편광 조절 영역을 투과한 영상 신호와 제 2 편광 조절 영역을 투과한 영상 신호는 서로 상이한 편광 상태를 가지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상태에서 제 1 편광 조절 영역을 투과한 영상 신호와 제 2 편광 조절 영역을 투과한 영상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는 좌원 편광된 영상 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우원 편광된 영상 신호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광학 필터는,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에 모두 배치되어 있는 λ/4 파장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광학 필터는, 기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λ/4 파장판이 상기 기재상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기재는 (-) 플레이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기재는 λ/4 파장판에 비하여 낮은 굴절률을 가지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기재는 제 1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의 경계선 또는 제 1 편광 조절 영역 및 제 2 편광 조절 영역의 광축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과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축을 가지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기재는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기재는 TAC 기재; COP 기재; PMMA 기재; PC 기재; PE 기재; PP 기재; PVA 기재; DAC 기재; Pac 기재; PES 기재; PEEK 기재; PEI 기재; PEN 기재; PET 기재; PI 기재; PSF 기재; PAR 기재 또는 비정질 불소 수지 기재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4의 관계를 만족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일반식 4]
    A < B - (2/3) × c
    상기 일반식 4에서 A는, 광학 필터의 길이이고, B는 표시 소자의 길이이며, c는, 광학 필터와 표시 소자의 간격이다.
  15. 제 14 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5의 관계를 만족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일반식 5]
    E × (1-(2c)/(3B)) = F
    상기 일반식 5에서 E는 표시 소자의 중심선에서 우안용 또는 좌안용 영상 신호 생성 영역까지의 거리이고, F는 광학 필터의 중심선에서 상기 거리 E의 영상 신호 생성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까지의 거리이며, B는 표시 소자의 길이이고, c는, 광학 필터와 표시 소자의 간격이다.
  16. 좌안용 및 우안용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표시 소자; 흡수축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및 제 1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편광 조절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편광 조절 영역을 가지는 광학 필터를 순서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치 단계에서 상기 편광판의 흡수축과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이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배치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10038226A 2010-09-29 2011-04-2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082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47,737 US8436895B2 (en) 2010-09-29 2011-09-28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4605 2010-09-29
KR1020100094605 2010-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056B1 true KR101082056B1 (ko) 2011-11-10

Family

ID=4539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226A KR101082056B1 (ko) 2010-09-29 2011-04-2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36895B2 (ko)
KR (1) KR1010820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9593A (ja) 2007-12-05 2009-06-25 Arisawa Mfg Co Ltd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位相差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4876A (en) * 1983-10-30 1989-12-05 Stereographics Corporation Achromatic liquid crystal shutter for stereoscopic and other applications
KR101041635B1 (ko) * 2006-04-19 2011-06-15 세트레드 에이에스 3차원 디스플레이 대역폭 개선을 위한 복합시차지각 방식의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TWI365302B (en) * 2007-12-31 2012-06-01 Ind Tech Res Inst Stereo image display with switch function between horizontal display and vertical display
KR101277223B1 (ko) * 2008-07-09 2013-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US8062836B2 (en) * 2009-02-03 2011-11-22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lter for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9593A (ja) 2007-12-05 2009-06-25 Arisawa Mfg Co Ltd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位相差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2203A1 (en) 2012-06-28
US8436895B2 (en)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95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9329400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KR20120002442A (ko) 위상차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1298874B1 (ko) 편광 안경
EP2743749B1 (en) Optical filter
US9279994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1314402B1 (ko) 표시 장치
KR101472180B1 (ko) 광학 필터
KR101082056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266218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9007446B2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device
KR10187502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054321A (ja) 液晶表示装置及び光制御素子
KR101843733B1 (ko) 광학 필터
KR20130048829A (ko) 편광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20212815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20130017887A (ko) 위상 지연 값을 서로 상쇄하도록 배치된 기판을 구비한 액티브 리타더를 사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