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165B1 -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 Google Patents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165B1
KR101081165B1 KR1020080117331A KR20080117331A KR101081165B1 KR 101081165 B1 KR101081165 B1 KR 101081165B1 KR 1020080117331 A KR1020080117331 A KR 1020080117331A KR 20080117331 A KR20080117331 A KR 20080117331A KR 101081165 B1 KR101081165 B1 KR 101081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mpact sound
floor impact
absorbing panel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792A (ko
Inventor
이재익
이정희
배상준
박찬용
안기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7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1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몰탈층과 슬라브층 사이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과 슬라브층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몰탈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이 설치되고, 상기 몰탈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으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키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적층된 복수개의 원통형 발포 기둥으로 이루어져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장기 안정성 및 편평도를 보장하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하부 공간의 일부에만 설치되어 충격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장기 안정성을 보장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발포 고분자로 이루어진 제3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을 제공한다.
바닥 충격음, 발포 고분자, 플라스틱, 원통형 발포 기둥, 경량기포콘크리트

Description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Floor impact sound absorbing panel}
본 발명은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습식 시공법 또는 반건식 시공법을 적용할 경우 사용될 수 있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주택의 초고층화에 따른 철골조 투입, 슬라브층 두께 감소 등과 같은 건축 구조의 변화에 따라 공동주택의 층간에 바닥 충격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바닥 충격음에 대한 거주자들의 불만이 증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바닥 충격음을 감소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은 소음을 내지 않는 것이 최우선이나 그것은 실생활에서 거의 불가능하며, 현재 공동주택의 건설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바닥 충격음이 슬라브층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바닥 충격음을 분산 및 흡수하여 층간 소음 전달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은 습식용과 반건식용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습식용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은 공동주택의 바닥이 습식 시공법에 의해 시공될 경우 사용되고, 반건식용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은 공동주택의 바닥이 반건식 시공법에 의해 시공될 경우 사용된다. 상기 반건식 시공법은 슬라브층 위에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진한 점도의 몰탈을 바로 시공하는 시공법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습식 시공법은 슬라브층 위에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매우 묽은 점도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시공하고,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가 굳어진 다음 진한 점도의 몰탈을 시공하는 시공법을 의미한다.
상기 반건식 시공법에 의하면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위에 몰탈층이 바로 형성되기 때문에 습식 시공법에 비해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고, 상기 습식 시공법에 의하면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시공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단열성능이 향상되고 바닥의 편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각 건설사들은 주위 여건 및 위 시공법들의 장점을 고려하여 상기 반건식 시공법 및 습식 시공법 중 하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건설사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동일 높이의 건물에 최대한 많은 가구수를 확보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관련업계에서는 공동주택 바닥의 두께, 특히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의 두께를 줄이기 위한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특히, 반건식 시공법에 비해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두께만큼 더 두꺼운 바닥을 형성하게 되는 습식 시공법을 사용하는 경우 건설사들은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킬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끼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킬 경우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에 비해 충격음 저감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건축업계에서는 두께가 얇으면서도 충격음 저감 효율이 매우 양호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업계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두께가 얇으면서도 충격음 저감 효율이 매우 양호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몰탈층과 슬라브층 사이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과 슬라브층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몰탈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이 설치되고, 상기 몰탈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으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키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적층된 복수개의 원통형 발포 기둥으로 이루어져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장기 안정성 및 편평도를 보장하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하부 공간의 일부에만 설치되어 충격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장기 안정성을 보장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발포 고분자로 이루어진 제3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층은 닫힌 기공 형상의 발포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2 ~ 7 mm의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발포 고분자의 밀도는 20 ~ 6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01
범위 내에서, 동탄성 계수는 8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02
이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한편,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제1층은 150 ~ 35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03
범위 내의 밀도와 7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04
이하의 동탄성 계수를 갖는 3개의 무기공 플라스틱판이 적층되어 2 ~ 7 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라스특판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플라스틱판에는 나머지 2개의 플라스틱판을 이격시키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내부는 비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층에 포함된 원통형 발포 기둥의 직경은 5 mm ~ 15 mm 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2층에 포함된 원통형 발포 기둥의 밀도는 10 ~ 4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05
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2층의 두께는 15 ~ 30 mm 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2층의 동탄성 계수는 3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06
이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2층에 포함된 원통형 발포 기둥은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오스 및 스타치(starch)를 포함하는 혼합체를 발포시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층은 상기 제2층 하부 공간의 15 ~ 30 % 범위 내에만 설치되고, 상기 제3층의 밀도는 20 ~ 6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07
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3층의 동탄성 계수는 10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08
이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3층의 두께는 2 ~ 13 mm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층 내지 제3층은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크기로 모듈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바닥 충격음 저감 성능과 장기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상기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은 반건식 시공법 및 습식 시공법에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어느 시공법에 사용되던 간에 그 구조에는 변화가 없는바 이하에서는 상기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이 습식 시공법에 사용된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의 제1층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의 제2층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의 제3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은 벽면(4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슬라브층(10)과 마감 몰탈층(3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층 내지 제3층(110, 130, 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층(110)은 상기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의 최상부층으로서, 공동주택의 바닥 시공 시 그 상면에 묽은 점도의 경량기포콘크리트가 도포된다. 상기 제1층(110)에 묽은 점도의 경량기포콘크리트가 도포될 경우, 도포 시점부터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가 굳어져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으로 형성될 때까지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에 포함된 물이 상기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 내부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층(110)은 방수기능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층(110)은 바닥 충격음을 1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흡음 기능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층(110)은 닫힌 기공 형상의 발포 고분자(발포 폴리에틸렌(EPE, Expanded Polyethylene)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층(110)을 닫힌 기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에 포함된 물이 상기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의 내부로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층(110)을 발포 고분자로 형성함으로써 바닥 충격음을 1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포 고분자의 밀도는 20 ~ 6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09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도가 상기 상한보다 클 경우 상기 제1층(110)이 너무 뻣뻣해지기 때문에 취급의 용이성 및 바닥 충격음 저감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밀도가 상기 하한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1층(110)의 찢김 현상이 용이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제1층(110)의 두께는 2 ~ 7 mm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110)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층(11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울 경우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두께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바, 발포 고분자의 낭비가 초래됨과 동시에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의 두께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본 발명의 취지에도 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층(110)의 두께는 위와 같은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 고분자의 동탄성 계수는 8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10
이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 고분자의 동탄성 계수가 너무 클 경우 상기 제1층(110)이 너무 딱딱하기 때문에 상기 제1층(110)의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발포 고분자의 동탄성 계수는 위와 같은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탄성 계수는 특정 물질의 연성 또는 강성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손실계수와 함께 진동저감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수이다. 동탄성 계수가 작을수록 물질은 연한 성질을 갖게 되고, 동탄성 계수가 클수록 물질은 단단한 성질을 갖게 된다. 상기 동탄성 계수는 주파수 응답에서의 고유진동수를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1에 의해 산정되고, 상기 손실계수는 상기 주파수 응답에서 고유진동수의 좌, 우변으로 3dB 감쇄한 곳의 진동수를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2에 의해 산정된다.
Figure 112008081127472-pat00011
(단, S는 동탄성계수(KS F2868 "거주공간 뜬바닥용 재료의 동탄성 계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 m은 단위면적당 하중판의 질량,
Figure 112008081127472-pat00012
는 시료의 고유진동수)
Figure 112008081127472-pat00013
(단,
Figure 112008081127472-pat00014
는 손실계수,
Figure 112008081127472-pat00015
은 고유진동수의 우변으로 3dB 감쇄한 곳의 진동수,
Figure 112008081127472-pat00016
은 고유진동수의 좌변으로 3dB 감쇄한 곳의 진동수,
Figure 112008081127472-pat00017
는 시료의 고유진동수)
앞서서는 상기 제1층(110)을 닫힌 기공 형상의 발포 고분자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제1층(110)은 2 ~ 7 mm의 두께를 갖는 LPB(Layered Plastic Bubble) 시트(sheet)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LPB 시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무기공 플라스틱판(112, 114, 120)이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3개의 플라스틱판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플라스틱판(114)에는 나머지 2개의 플라스틱판(112, 120)을 이격시키기 위한 돌기(116)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16)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공간(11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층(110)을 LPB 시트로 형성할 경우, 최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플라스틱판(112, 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상기 돌기(116)의 내부공간(118)에 바닥 충격음을 흡수할 수 있는 공기가 채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1층(110)의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판(112, 114, 120)이 무기공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층(110)이 수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판(112, 114, 12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PVC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판(112, 114, 120)의 밀도는 150 ~ 35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18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판(112, 114, 120)의 밀도가 위와 같은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경우, 첫째 상기 제1층(11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돌기(116)가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의 장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고, 둘째 상기 플라스틱판(112, 114, 120)이 너무 뻣뻣해지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판(112, 114, 120)의 동탄성 계수는 7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19
이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판(112, 114, 120)의 동탄성 계수가 너무 클 경우 상기 제1층(110)이 너무 딱딱하기 때문에 상기 제1층(110)의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이 저하된다.
상기 제2층(130)은 상기 제1층(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복수개의 원통형 발포 기둥(132)으로 이루어져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장기 안정성을 보장한다. 상기 제2층(130)을 적층된 복수개의 원통형 발포 기둥(132)으로 구성할 경우, 발포로 인해 상기 기둥(132) 내부에 포함된 공간과 상기 기둥(132) 간의 공간이 바닥 충격음을 흡수하기 때문에 상기 제2층(130)이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 발포 기둥(132)은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오스 및 스타치(starch)를 포함하는 혼합체를 발포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타치는 옥수수 전분 등과 같은 전분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원통형 발포 기둥(132)의 직경은 5 ~ 15 mm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발포 기둥(132)의 직경이 너무 크면 장기간 사 용에 의해 상기 제2층(130)이 침하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원통형 발포 기둥(132)의 직경이 너무 작으면 첫째, 상기 원통형 발포 기둥(132)의 제조가 난해하고, 둘째, 상기 원통형 발포 기둥(132) 사이의 공간이 협소해지기 때문에 상기 제2층(130)의 충격음 저감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 섬유의 직경은 위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형 발포 기둥(132)의 밀도는 10 ~ 4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20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발포 기둥(132)의 밀도가 너무 클 경우 상기 제2층(130)이 너무 딱딱해지기 때문에 상기 제2층(130)의 충격음 저감 효율이 저하된다. 반면, 상기 원통형 발포 기둥(132)의 밀도가 너무 작을 경우 상기 제2층(130)이 너무 무르게 되기 때문에 상기 제2층(130)의 장기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 발포 기둥(132)의 밀도는 위와 같은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층(130)의 두께는 15 ~ 30 mm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130)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찢김 현상이 용이하게 발생하고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층(13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울 경우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두께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바, 재료의 낭비가 초래됨과 동시에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의 두께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본 발명의 취지에도 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층(130)의 두께는 위와 같은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층(130)의 동탄성 계수는 3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21
이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탄성 계수가 너무 클 경우 상기 제2층(130)이 너무 딱딱하기 때문에 상기 제2층(130)의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이 저하된다.
상기 제3층(15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층(130)의 하부 공간 중 일부 공간(152)에는 설치되지 아니하고 나머지 공간에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일부 공간(152)에 바닥 충격음을 흡수할 수 있는 공기가 채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3층(150)의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층(150)은 탄성 복원력을 갖는 발포 고분자(발포 폴리에틸렌 등)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층(150)이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경우 슬라브층(10) 상면에 불규칙한 요철이 보정되기 때문에 상기 제3층(150)이 바닥의 편평도 향상에 일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층(150)이 발포 고분자로 이루어질 경우, 발포로 인해 상기 제3층(150)의 내부에 바닥 충격음을 흡수할 수 있는 공기가 채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3층(150)의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층(130)이 차지하는 공간은 상기 제3층(150)의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 향상 및 장기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층(130) 하부 전체 공간에 대해 15 ~ 30 %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층(150)의 안정성 및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층(150)의 밀도는 20 ~ 60
Figure 112011013194486-pat00022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층(150)의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층(150)의 동탄성 계수는 100
Figure 112011013194486-pat00023
이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층(150)의 두께는 상기 제3층(150)의 안전성 향상, 바닥 충격음 저감 효율의 향상,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의 두께 감소 측면에서 고려하여 보면, 2 ~ 13 mm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은 소정 크기, 예컨대, 가로 세로의 길이가 모두 1m인 크기 또는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1m, 2m인 크기 등으로 모듈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의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바닥 충격음 저감 패널(100)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험예에서, 제1층(110)은 3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24
의 밀도와, 5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25
의 동탄성 계수와 5 mm의 두께를 갖는 EPE(Expanded Polyetylene)5로 형성되었고, 제2층(130)은, 12
Figure 112008081127472-pat00026
의 동탄성 계수와, 20 mm의 두께를 갖도록 직경이 9 mm이고 밀도가 2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27
인 원통형 발포 기둥(132)을 적층하여 형성되었다. 상기 원통형 발포 기둥(132)은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오스 및 스타치를 포함하는 혼합체를 발포하여 제조하였다. 제3층(150)은 42
Figure 112008081127472-pat00028
의 밀도와, 6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29
의 동탄성 계수와 5 mm의 두께를 갖도록 발포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형성되었다. 상기 제3층(150)이 차지하는 공간은 상기 제2층(130) 하부 전체 공간의 20%로 설정되 었다.
또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은 가로 세로가 모두 1 m인 모듈로 형성되어 서로 테이핑에 의해 연결되었고, 슬라브층(10)은 180 mm의 두께로,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은 40 mm의 두께로, 마감 몰탈층은 40 mm의 두께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바닥을 시공한 후 KS F 2863-1 및 2에 의한 "역A특성 평가방법"에 의해 바닥 충격음을 측정한 결과 중량충격음과 경량충격음 모두 1급에 해당하는 매우 우수한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위 실험결과에 의하면,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100)은 30 mm의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바닥 충격음 저감 성능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의 제1층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의 제2층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의 제3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13)

  1. 몰탈층과 슬라브층 사이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과 슬라브층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몰탈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이 설치되고, 상기 몰탈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으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키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적층된 복수개의 원통형 발포 기둥으로 이루어져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장기 안정성 및 편평도를 보장하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하부 공간의 일부에만 설치되어 충격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장기 안정성을 보장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발포 고분자로 이루어진 제3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닫힌 기공 형상의 발포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2 ~ 7 mm의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발포 고분자의 밀도는 20 ~ 6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30
    범위 내에서, 동탄성 계수는 8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31
    이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150 ~ 350
    Figure 112011013194486-pat00032
    범위 내의 밀도와 70
    Figure 112011013194486-pat00033
    이하의 동탄성 계수를 갖는 3개의 무기공 플라스틱판이 적층되어 2 ~ 7 mm의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플라스틱판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플라스틱판에는 나머지 2개의 플라스틱판을 이격시키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내부는 비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에 포함된 원통형 발포 기둥의 직경은 5 mm ~ 15 mm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에 포함된 원통형 발포 기둥의 밀도는 10 ~ 4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34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두께는 15 ~ 30 mm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동탄성 계수는 3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35
    이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에 포함된 원통형 발포 기둥은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오스 및 스타치(starch)를 포함하는 혼합체를 발포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은 상기 제2층 하부 공간의 15 ~ 30 % 범위 내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의 밀도는 20 ~ 6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36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의 동탄성 계수는 100
    Figure 112008081127472-pat00037
    이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의 두께는 2 ~ 13 mm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13. 삭제
KR1020080117331A 2008-11-25 2008-11-25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101081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331A KR101081165B1 (ko) 2008-11-25 2008-11-25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331A KR101081165B1 (ko) 2008-11-25 2008-11-25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792A KR20100058792A (ko) 2010-06-04
KR101081165B1 true KR101081165B1 (ko) 2011-11-07

Family

ID=4236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331A KR101081165B1 (ko) 2008-11-25 2008-11-25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1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254B1 (ko) 1999-10-13 2001-09-24 신승교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100407780B1 (ko) 2001-03-21 2003-12-01 엘지전선 주식회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46002B1 (ko) 2002-02-01 2004-08-25 영보화학 주식회사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KR100473559B1 (ko) 2001-11-16 2005-03-08 엘지전선 주식회사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254B1 (ko) 1999-10-13 2001-09-24 신승교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100407780B1 (ko) 2001-03-21 2003-12-01 엘지전선 주식회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73559B1 (ko) 2001-11-16 2005-03-08 엘지전선 주식회사 충격흡수용 고분자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46002B1 (ko) 2002-02-01 2004-08-25 영보화학 주식회사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792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212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용 완충재 및 이를 구비한 바닥충격음 흡수 패널
KR100783117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한 층간 차음재
KR100718701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200311493Y1 (ko) 방진 및 방음 패널
KR200399170Y1 (ko) 소음차단제
KR100860061B1 (ko) 소음차단제
KR20060021933A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플로팅 플로어 시스템
KR100721850B1 (ko)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KR101081165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200403114Y1 (ko)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다층차음재 구조
KR101058708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20090041580A (ko) 공동주택의 단열 및 바닥충격음 저감장치
KR20090117498A (ko)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KR101058658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101058653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KR10107030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473834B1 (ko) 뜬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1079645B1 (ko) 공동주택의 층간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20090062480A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방음판
KR20160109653A (ko)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구조
KR101302282B1 (ko) 차음재
KR200401924Y1 (ko) 건축물용 층간소음 저감패널
KR102674296B1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