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174B1 - An hydrocarbon gas production system by dehydration using bilayer membranes - Google Patents

An hydrocarbon gas production system by dehydration using bilayer membra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174B1
KR101079174B1 KR1020090072144A KR20090072144A KR101079174B1 KR 101079174 B1 KR101079174 B1 KR 101079174B1 KR 1020090072144 A KR1020090072144 A KR 1020090072144A KR 20090072144 A KR20090072144 A KR 20090072144A KR 101079174 B1 KR101079174 B1 KR 10107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carbon
layer
based gas
separator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1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4463A (en
Inventor
송선주
김재국
이종숙
문종하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174B1/en
Publication of KR20110014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4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1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01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 C01B3/503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the membrane
    • C01B3/505Membranes containing pall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산소가 접촉하는 측은 산소와 반응하지 않는 물질로 코팅된 분말로 이루어진 박막층 및 산소가 접촉하지 않는 측은 수소 투과율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진 투과층으로 이루어진 이중충 분리막을 이용하여 탄화수소계 가스를 제조할 수 있는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more specifically, the side in which oxygen is in contact with the thin film layer made of a powder coated with a material that does not react with oxygen and the side in which the oxygen does not cont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that can produce a hydrocarbon-based gas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composed of a permeable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permeability.

이중층 분리막, 탈수소화반응, 탄화수소계 가스, 수소 투과율 Double Layer Membrane, Dehydrogenation, Hydrocarbon Gas, Hydrogen Permeability

Description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An hydrocarbon gas production system by dehydration using bilayer membranes}Hydrocarbon gas production system by dehydration using bilayer membranes

본 발명은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산소가 접촉하는 측은 산소와 반응하지 않는 물질로 코팅된 분말로 이루어진 박막층 및 산소가 접촉하지 않는 측은 수소 투과율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진 투과층으로 이루어진 이중충 분리막을 이용하여 탄화수소계 가스를 제조할 수 있는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more specifically, the side in which oxygen is in contact with the thin film layer made of a powder coated with a material that does not react with oxygen and the side in which the oxygen does not cont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that can produce a hydrocarbon-based gas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composed of a permeable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permeability.

수소를 포함하는 기체에서 수소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수소를 투과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수소를 포함하는 기체로부터 수소를 분리하는 분리막 기술이 가장 많이 이용된다.Although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separating hydrogen from a gas containing hydrogen, a membrane technology for separating hydrogen from a gas containing hydrogen using a material that transmits hydrogen is most used.

이때, 상기 수소를 투과하는 물질에는 대표적으로 Pd가 있으며, 이외 Nb, Y, Zr, Ti 등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hydrogen-permeable material is typically Pd, and may be other than Nb, Y, Zr, Ti and the like.

상기 Nb, Y, Zr, Ti 등은 상기 Pd에 비해 수소 투과률이 높기는 하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하여 수소 투과를 막는 문제점이 있어 실제 공정에서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Pd는 산소와 반응하지 않아 산소와 접촉하는 환경에서도 수소를 효과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기는 하나 상기 Nb, Y, Zr, Ti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The Nb, Y, Zr, Ti and the like have a higher hydrogen permeability than Pd, but have a problem of preventing oxide permeation by forming oxides by reacting with oxygen, making it difficult to use in actual processes. At this time, the Pd does not react with oxygen, but can effectively transmit hydrogen even in an environment in contact with oxygen, but has a relatively expensive problem compared to the Nb, Y, Zr, and Ti.

한편, 에틸렌(ethylene)은 많은 산업 분야에서 많은 양이 사용되는데, 농업 등에서는 에틸렌을 식물 호르몬으로 이용하여 개화와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사용하거나, 상기 에틸렌을 기반으로 하는 냉장용기에서 유리 섬유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과 반응시켜 에탄올을 제조하여 경쟁력이 있는 연료로 활용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ethylene (ethylene) is used in a large amount in many industries, and in agriculture, ethylene is used as a plant hormone to promote flowering and growth, or a variety of ethylene-based refrigeration vessels to glass fibers In addition to being used in the field, it is also used as a competitive fuel by producing ethanol by reacting with water.

이때, 상기 에틸렌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과거에는 에탄(ethane)을 뜨거운 증기에 노출시키는 정통적인 열분해로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 상기 에틸렌을 제조하는 경우 다량의 온실 가스를 배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In this case, as the method for preparing ethylene, in the past, a method of producing ethylene by conventional pyrolysis of exposing ethane to hot steam was used. Problems such as occurred.

최근, 상기 에틸렌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에서 상술한 수소를 투과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에탄에서 에틸렌을 생산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Pd는 고가인 점, 상기 Nb, Y, Zr, Ti 등은 산소와 반응하여 수소 투과를 막는다는 등의 문제가 해결되고 있지않은 실정이다.Recently, a method of producing ethylene from ethane using the hydrogen-permeable material described above has been attempted as a method for producing the ethylene, but as described above, the Pd is expensive, the Nb, Y , Zr, Ti and the like have not solved the problem of reacting with oxygen to prevent hydrogen perme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하여 상기 이중층 분리막에서 탈수화반응을 통해 탄화수소계 가스를 제조할 수 있는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producing a hydrocarbon-based gas through the dehydration reaction in the bilayer separator using a bilayer separa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소가 접촉하는 표면에는 산소와 반응하지 않아 산화물을 생성하지 않는 수소 투과 물질이 표면에 노출되고, 상기 산소와 접촉하지 않는 표면에는 수소 투과률이 높은 수소 투과 물질이 노출된 이중층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여 보다 생산 효율이 높은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곳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a hydrogen-permeable material that does not react with oxygen to produce a oxide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oxygen, and a hydrogen-permeable material having a high hydrogen permeability on the surface does not contact with oxygen It is a place to provide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of higher production efficiency by providing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consisting of an exposed double-layer separa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중층 분리막;을 포함하되,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일측 표면 측에는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일측 표면상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 수단 및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일측 표면상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회수하는 수증기 회수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타측 표면 측에는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타측 표면상에 제1탄화수소계 가스를 공급하는 제1탄화수소계 가스 공급 수단 및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타측 표면상에서 생성된 제2탄화수소계 가스를 회수하는 제2탄화수소계 가스 회수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이중층 분리막은 2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산소가 접촉하는 일측 표면 측에 구비된 제1층은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수소를 투과시키는 층이고,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가 접촉하는 타측 표면 측에 구비된 제2층은 수소를 투과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진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layer separator; the one side surface side of the bilayer separator oxygen supply means for supplying oxygen on one side surface of the bilayer separator and water vapor generat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bilayer separator Steam 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is provided, and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double-layer separator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double-layer separator and the second gener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ouble-layer separator A second hydrocarbon-based gas 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a hydrocarbon-based gas is provided, and the double-layer separation membrane is composed of two layers, and the first lay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oxygen forms an oxide by reacting with oxygen. Is a layer that transmits hydrogen without being contacted with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A second laye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side, which provides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wit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 layer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a layer made of a material which transmits the hydroge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Nb, Zr, Y 및 Ti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consisting of any one or more of Nb, Zr, Y and Ti.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소가 접촉하는 일측 표면 측에 구비된 제1층은 Pd가 상기 제2층 상에 일정 두께로 코팅된 형태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layer provided on one surface side in which the oxygen is in conta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yer of the Pd is coat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second layer.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소가 접촉하는 일측 표면 측에 구비된 제1층은 분말 형태의 상기 제2층의 표면에 Pd가 코팅된 형태로 구비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layer provid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oxygen conta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yer provided in the form of Pd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of powder form.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는 탈수소화반응에 의해 상기 제2탄화수소계 가스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hydrocarbon gas is changed to the second hydrocarbon gas by a dehydrogenation reac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는 에탄(ethane) 가스이고, 상기 제2탄화수소계 가스는 에틸렌(ethylene)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hydrocarbon gas is an ethane gas, and the second hydrocarbon gas is an ethylene gas.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xcellent effects.

먼저, 본 발명의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은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해 간단한 시스템으로 탄화수소계 가스를 제조하는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First,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the double-layer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 system for producing a hydrocarbon-based gas by a simple system through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또한, 본 발명의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은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해 에탄으로부터 에틸렌을 제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the bilayer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 system capable of producing ethylene from ethane through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the double-layer separator.

또한, 본 발명의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은 산소와 접촉하는 표면에는 산화되지 않은 수소 투과 물질로 이루어지고, 산소와 접촉하지 않는 표면에는 수소 투과율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진 이중층 분리막으로 탄화수소계 가스를 생산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탄화수소계의 생산 효율이 월등한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using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the double-layer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hydrogen permeable material that is not oxidiz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oxygen,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ydrogen permeability on the surface not in contact with oxygen. By producing a hydrocarbon gas with a double-layer separator, a system having a higher production efficiency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hydrocarbon system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ere selected as general terms as widely used as possible, but in some cases, th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re included. In this case, the meanings described or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idered, rather than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The meaning should be grasped.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 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100)은 적어도 이중층 분리막(110)을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100 through dehydrogenation using a bilay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a bilayer separator 11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100)은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일측 표면(112) 상에 산소(O2)(122)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 수단(미도시) 및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일측 표면(112) 상에서 생성된 수증기(124)를 회수하는 수증기 회수 수단(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100 through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bilay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oxygen (O 2 ) 122 on one surface 112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Oxygen supply means for supplying (not shown) and water vapor recovery means (not shown) for recovering the steam 124 generated on one surface 112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이때, 상기 산소 공급 수단(미도시) 및 수증기 회수 수단(미도시)은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일측 표면(112) 상에 산소(122)를 공급하거나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일측 표면(112) 상에서 생성된 수증기(124)를 회수하는 수단들이기만 하면 된다.In this case, the oxygen supply means (not shown) and the water vapor recovery means (not shown) may be in any form, and supply oxygen 122 on one surface 112 of the double layer separation membrane 110 or the double layer separation membrane ( All that is needed is to recover the water vapor 124 produced on one surface 112 of 11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100)은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타측 표면(114) 상에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를 공급하는 제1탄화수소계 가스 공급 수단 (미도시) 및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타측 표면(114) 상에서 생성된 제2탄화수소계 가스(134)를 회수하는 제2탄화수소계 가스 회수 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100 through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the bilay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2 on the other surface 114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First hydrocarbon-based gas supply means (not shown) for supplying a second hydrocarbon-based gas 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the second hydrocarbon-based gas 134 generated on the other surface 114 of the double-layer separator 110 (not shown) City).

이때,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 공급 수단(미도시) 및 제2탄화수소계 가스 회수 수단(미도시)은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타측 표면(114) 상에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를 공급하거나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타측 표면(114) 상에서 생성된 제2탄화수소계 가스(134)를 회수하는 수단들이기만 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supply means (not shown) and the second hydrocarbon-based gas recovery means (not shown) may be in any form, and the first hydrocarbon on the other surface 114 of the double layer separation membrane 110. It may be merely means for supplying the system gas 132 or recovering the second hydrocarbon-based gas 134 generated on the other surface 114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이때,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는 탈수소화반응에 의해 상기 제2탄화수소계 가스(134)로 변화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는 에탄(ethane) 가스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탄화수소계 가스(134)는 에틸렌(ethylene) 가스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2 is changed to the second hydrocarbon-based gas 134 by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2 may be an ethane gas, and the second hydrocarbon-based gas 134 may be an ethylene gas.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100)은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가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타측 표면(114) 상에 공급되면,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타측 표면(114) 상에서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에서 수소(116)가 분리되는 탈수소화반응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가 제2탄화수소계 가스(134)로 변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에서 분리된 수소(116)는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을 투과하여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일측 표면(112)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일측 표면(112) 상에 공급된 산소(122)와 결합하여 수증기(124)를 생성하게 된다.That is,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100 through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the bilay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2 is the other surface 114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When supplied to the phase, a dehydrogenation reaction in which hydrogen 116 is separated from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2 occurs on the other surface 114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thereby causing the first hydrocarbon-based. The gas 132 is changed into the second hydrocarbon-based gas 134. In this case, the hydrogen 116 separated from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2 passes through the bilayer separator 110 and moves to one surface 112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and the bilayer separator 110. Water vapor 124 is generated by combining with oxygen 122 supplied on one surface 112 of the.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은 타측 표면(114) 상에서 수소(116)를 분리하고 이를 일측 표면(112)으로 투과시키게 되는데,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을 통해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일측 표면(112) 상에 투과된 상기 수소(116)는 상기 산소(122)와 반응하게 된다.The bilayer separator 110 separates the hydrogen 116 on the other surface 114 and transmits the hydrogen 116 to one side surface 112. One side surface 112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is formed through the bilayer separator 110. The hydrogen 116 transmitted on) reacts with the oxygen 122.

이때, 상기 수소(116)와 산소(122)의 반응으로 인해 열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된 열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100)을 히팅(heating)하는 오토서멀 바란스(authothermal balance)를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해, 종래의 열분해와는 달리 열역학적으로 제한되는 조건 반응물 이상으로 상기 제2탄화수소계 가스(134)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heat is generated due to the reaction of the hydrogen 116 and oxygen 122, the heat generated by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100 through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middle layer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An autothermal balance (heating) is achiev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the second hydrocarbon-based gas 134 above a thermodynamically restricted condition reactant, unlike conventional pyrolysi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의 이중층 분리막의 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들이다.2A and 2B are conceptual views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double layer separator of a hydrocarbon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 lay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은 타측 표면(114) 상에 접촉하는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로부터 수소를 분리하여 일측 표면(112) 상으로 투과시켜 상기 일측 표면(112) 상에 접촉하는 산소(122)와 접촉하여 수증기(124)를 생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bilayer separator 110 separates hydrogen from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2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114 and permeates onto one surface 112. It serves to generate the water vapor 124 in contact with the oxygen 122 in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112.

따라서,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은 상기 산소(122)와 접촉하는 일측 표 면(112)과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와 접촉하는 타측 표면(114)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ilayer separator 110 may be divided into one surface 112 in contact with the oxygen 122 and the other surface 114 in contact with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2. 110 may be divided into two layers as shown in FIGS. 2A and 2B.

즉,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은 상기 일측 표면(112) 측에 구비된 제1층(210, 230) 및 상기 타측 표면(114) 측에 구비된 제2층(220)으로 이루어져 있다.That is, the bilayer separator 110 includes first layers 210 and 230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112 and a second layer 220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114 side.

이때, 상기 제2층(220)은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와 접촉하여 상기 제2탄화수소계 가스(132)로부터 수소(116)를 분리하여 투과시키는 역할을 함으로 수소 투과를 투과시키는 수소 투과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소 투과 물질은 수소 투과률이 높을수록 더 효과적임으로 상기 제2층(220)은 Nb, Zr, Y 및 Ti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소 투과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econd layer 22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2 to separate and transmit hydrogen 116 from the second hydrocarbon-based gas 132 to transmit hydrogen permeation. Preferably, the hydrogen permeable material is more effective as the hydrogen permeability is higher, so the second layer 220 is preferably a hydrogen permeable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Nb, Zr, Y, and Ti. Do.

이때, 상기 Nb, Zr, Y 및 Ti는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하는 물질이기는 하나 상기 제2층(220)은 산소와 접촉하지 않음으로 상기 Nb, Zr, Y 및 Ti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Nb, Zr, Y and Ti is a material that reacts with oxygen to form an oxide, but the second layer 220 does not contact oxygen and thus includes any one or more of the Nb, Zr, Y and Ti. You may.

한편, 상기 제1층(210,230)은 상기 산소(122)와 접촉하는 일측 표면(112) 상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1층(210,230)은 상기 산소(122)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하지 않는 구조인 동시에 수소를 투과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since the first layers 210 and 230 are provided on one surface 112 in contact with the oxygen 122, the first layers 210 and 230 do not react with the oxygen 122 to form an oxide.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structure that transmits hydroge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100)의 일 구성인 이중층 분리막(110)의 일 실시 예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표면(112) 측에 구비되며, Pd가 일정 두께로 코팅된 층인 제1층(210)과 상기 타측 표면(114) 측에 구비되며, 상기에서 상술 한 수소 투과 물질로 이루어진 제2층(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100 through dehydrogenation using a bilay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 2A. 112 is provided on the side, the first layer 210 is a layer coat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other surface 114 is provided on the side, and consists of the second layer 220 made of the above-described hydrogen permeable material Can be.

즉,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일 실시 형태는 상기 Nb, Zr, Y 및 Ti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소 투과 물질로 이루어진 제2층(220)과 상기 제2층(220) 상에 상기 Pd가 일정 두께로 코팅된 제1층(210)으로 이루진 형태이다.That is, one embodiment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includes a second layer 220 made of a hydrogen permeable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Nb, Zr, Y, and Ti, and the second layer 220 on the second layer 220. Pd consists of a first layer 210 coat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따라서,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이 2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산소(122)가 접촉하는 일측 표면(112) 측에 구비된 제1층(210)은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수소를 투과시킬 수 있는 Pd가 일정 두께의 박막 형태로 구비되고, 산소가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가 접촉하는 타측 표면(114) 측에 구비된 제2층(220)은 수소 투과률이 높은 수소 투과 물질로 이루어진 이중층 분리막(110)을 제공한다.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the bilayer separator 110 is composed of two layers, but the first layer 210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112 side of the oxygen 122 is in contact with the bilayer separator 110. Pd, which is capable of permeating hydrogen without forming an oxide by reacting with oxyge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other surface 114 to which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2 contacts without oxygen is in contact. The second layer 220 provided on the side provides a double layer separator 110 made of a hydrogen permeable material having a high hydrogen permeabil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100)의 일 구성인 이중층 분리막(110)의 다른 실시 예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표면(112) 측에 구비되며, 상기 Pd 코팅막(232)을 구비한 상기 Nb, Zr, Y 및 Ti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소 투과 물질 분말(234)이 박막 형태로 이루어진 제1층(230)과 상기 타측 표면(114) 측에 구비되며, 상기 Nb, Zr, Y 및 Ti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소 투과 물질로 이루어진 제2층(220)으로 이루어진 형태이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double-layer separator 11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100 through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the double-lay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b A first layer 230 having a thin film form of a hydrogen permeable material powder 234 provided on the side of 112 and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he Nb, Zr, Y, and Ti provided with the Pd coating layer 232. And a second layer 220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114 side and made of a hydrogen permeable material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Nb, Zr, Y, and Ti.

즉, 도 2에 도시된 이중층 분리막(110)은 상기 Nb, Zr, Y 및 Ti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소 투과 물질로 이루어진 제2층(220)을 준비하고, 상기 Nb, Zr, Y 및 Ti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소 투과 물질을 분말화하고, 상기 분 말화된 수소 투과 물질의 표면에 Pd를 코팅함으로써 상기 Pd 코팅막(232)을 구비한 수소 투과 물질 분말(234)을 획득하여 상기 제2층(220) 상에 코팅하거나 소결하여 상기 제1층(230)의 박막을 획득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bilayer separator 110 shown in FIG. 2 prepares a second layer 220 made of a hydrogen permeable material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he Nb, Zr, Y, and Ti, and the Nb, Zr, Y and The hydrogen permeable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Ti is powdered, and Pd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powdered hydrogen permeable material to obtain a hydrogen permeable material powder 234 having the Pd coating layer 232. It may be configured by obtaining a thin film of the first layer 230 by coating or sintering on the second layer 220.

따라서,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이중층 분리막(110)이 2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산소(122)가 접촉하는 일측 표면(112) 측에 구비된 제1층(230)은 Pd 코팅막(232)이 표면에 구비된 수소 투과 물질 분말(234)이 박막 형태로 구비되고, 산소가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132)가 접촉하는 타측 표면(114) 측에 구비된 제2층(220)은 수소 투과률이 높은 수소 투과 물질로 이루어진 이중층 분리막(110)을 제공한다.According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bilayer separator 110, the bilayer separator 110 is formed of two layers, but the first layer 230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112 of the oxygen 122 is in contact with the bilayer separator 110. Hydrogen permeable material powder 234 having a Pd coating film 232 on the surfa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114 side to which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2 contacts without oxygen contacting. The second layer 220 provides a double layer separator 110 made of a hydrogen permeable material having a high hydrogen permeability.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은 이중층 분리막을 포함하되,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일측 표면 측에는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일측 표면상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 수단 및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일측 표면상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회수하는 수증기 회수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타측 표면 측에는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타측 표면상에 제1탄화수소계 가스, 예컨대, 에탄 가스를 공급하는 제1탄화수소계 가스 공급 수단 및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타측 표면상에서 생성된 제2탄화수소계 가스, 예컨대, 에틸렌 가스를 회수하는 제2탄화수소계 가스 회수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이중층 분리막은 제1층과 제2층의 2층으로 구비되되, 상기 산소가 접촉하는 일측 표면 측에 구비된 제1층은 산소와 반응하지 않아 산화물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수소를 투과시킬 수 있는 층으로 이루어진 층, 예컨대, Pd가 일정 두께로 구비(또는 코팅)된 층 또는 Pd가 코팅된 분말 형태의 수소 투과 물질이 구비(또는 코팅) 층으로 구비되고, 타측 표면 측에 구비된 제2층은 산소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산소와의 반응 여부와 상관없이 수소 투과률이 높은 수소 투과 물질, 예컨대, Nb, Zr, Y 및 Ti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수소 투과 물질로 이루어진 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the bilay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layer separator, wherein one side surface side of the bilayer separator supplies oxygen on one surface of the bilayer separator. Oxygen supply means and water vapor 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the water vapor generated on one surface of the double layer separation membrane is provided, the other surface of the double layer separation membrane to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for example ethane gas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ouble layer separation membrane A first hydrocarbon-based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and a second hydrocarbon-based gas 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a second hydrocarbon-based gas, for example, ethylene gas, generat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double-layer separator, and the double-layer separator includes a first layer It is provided with two layers of the second layer, one side of the oxygen contact The first layer provided on the surface side is a layer composed of a layer which does not react with oxygen to transmit hydrogen without forming an oxide, for example, a layer having (or coated) Pd in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coated with Pd. Since the hydrogen permeable material in the form of powder is provided (or coated) layer, and the second laye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side does not contact oxygen, the hydrogen permeable material having high hydrogen permeability regardless of reaction with oxygen, For exampl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layer made of a hydrogen permeable material made of any one or more of Nb, Zr, Y and Ti.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의 이중층 분리막의 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들이다.2A and 2B are conceptual views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double layer separator of a hydrocarbon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 lay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이중층 분리막 122 : 산소110: bilayer separator 122: oxygen

124 : 수증기 132 : 제1탄화수소계 가스124: water vapor 132: first hydrocarbon-based gas

134 : 제2탄화수소계 가스134: second hydrocarbon-based gas

Claims (6)

이중층 분리막;을 포함하되,Including; bilayer separator;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일측 표면 측에는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일측 표면상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 수단 및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일측 표면상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회수하는 수증기 회수 수단이 구비되고,One side surface side of the bilayer separator is provided with oxygen supply means for supplying oxygen on one side surface of the bilayer separator and water vapor 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the water vapor generat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bilayer separator,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타측 표면 측에는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타측 표면상에 제1탄화수소계 가스를 공급하는 제1탄화수소계 가스 공급 수단 및 상기 이중층 분리막의 타측 표면상에서 생성된 제2탄화수소계 가스를 회수하는 제2탄화수소계 가스 회수 수단이 구비되고,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ilayer separator, a first hydrocarbon-based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first hydrocarbon-based gas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ilayer separator and a second hydrocarbon-based gas recover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ouble-layer separator Hydrocarbon gas recovery means is provided, 상기 이중층 분리막은 2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산소가 접촉하는 일측 표면 측에 구비된 제1층은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수소를 투과시키는 층이고,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가 접촉하는 타측 표면 측에 구비된 제2층은 수소를 투과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진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The bilayer separation membrane is composed of two layers, wherein the first layer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oxygen contacting layer is a layer that transmits hydrogen without reacting with oxygen to form an oxide, and 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contacts The second laye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side to the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bilay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ayer made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hydrog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층은 Nb, Zr, Y 및 Ti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The second layer is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bilay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consisting of any one or more of Nb, Zr, Y and Ti.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산소가 접촉하는 일측 표면 측에 구비된 제1층은 Pd가 상기 제2층 상에 일정 두께로 코팅된 형태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The first layer provid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oxygen contact is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ayer of the Pd is coat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second lay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산소가 접촉하는 일측 표면 측에 구비된 제1층은 분말 형태의 상기 제2층의 표면에 Pd가 코팅된 형태로 구비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The first layer provid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oxygen contact is a hydrocarbon-based gas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ayer provided in the form of a Pd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of powder form. Manufacturing syste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는 탈수소화반응에 의해 상기 제2탄화수소계 가스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is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ydrocarbon-based gas is changed by the dehydrogenation rea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탄화수소계 가스는 에탄(ethane) 가스이고, 상기 제2탄화수소계 가스는 에틸렌(ethylene)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층 분리막을 이용한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탄화수소계 가스 제조 시스템.The first hydrocarbon-based gas is an ethane (ethane) gas, the second hydrocarbon-based gas is a hydrocarbon-based gas production system through a dehydrogenation reaction using a double-lay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thylene (ethylene) gas.
KR1020090072144A 2009-08-05 2009-08-05 An hydrocarbon gas production system by dehydration using bilayer membranes KR1010791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44A KR101079174B1 (en) 2009-08-05 2009-08-05 An hydrocarbon gas production system by dehydration using bilayer membra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44A KR101079174B1 (en) 2009-08-05 2009-08-05 An hydrocarbon gas production system by dehydration using bilayer membra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463A KR20110014463A (en) 2011-02-11
KR101079174B1 true KR101079174B1 (en) 2011-11-03

Family

ID=4377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144A KR101079174B1 (en) 2009-08-05 2009-08-05 An hydrocarbon gas production system by dehydration using bilayer membra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17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2517A (en) 1989-10-27 1993-04-13 Medalert Incorporated Process for production of ethylene from ethane
US6281403B1 (en) 1994-01-14 2001-08-28 Eltron Research, Inc. Solid state proton and electron mediating membrane and use in catalytic membrane reac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2517A (en) 1989-10-27 1993-04-13 Medalert Incorporated Process for production of ethylene from ethane
US6281403B1 (en) 1994-01-14 2001-08-28 Eltron Research, Inc. Solid state proton and electron mediating membrane and use in catalytic membrane rea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463A (en) 201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ibert et al. Ion-conducting ceramic membrane reactors for high-temperature applications
Arratibel Plazaola et al. Recent advances in Pd-based membranes for membrane reactors
Gupta et al. Lanthanum chromite based perovskites for oxygen transport membrane
Dong et al. Dense ceramic catalytic membranes and membrane reactors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Lin Inorganic membranes for process intensification: Challenges and perspective
Basile et al. Pd-based selective membrane state-of-the-art
Liu et al. Methane coupling using catalytic membrane reactors
AU2001295502B2 (en) Mixed conducting membranes for syngas production
Basile Hydrogen production using Pd-based membrane reactors for fuel cells
US10981786B2 (en) Process for producing compressed hydrogen in a membrane reactor and reactor therefor
JP2009519195A (en) Oxidation reactor and oxidation method
WO2006034100A1 (en) Membrane steam reformer
Zhang et al. Enhanced stability of membrane reactor for thermal decomposition of CO2 via porous-dense-porous triple-layer composite membrane
JP4203074B2 (en) Solid membrane module
Garcia-Fayos et al. Gas separation ceramic membranes
KR101096058B1 (en) A dual functional hydrogen separation membrane, hydrogen product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hydrogen using the same
EP2040822A1 (en) Oxygen separation membrane
TWI449808B (en) Method for modifying porous substrate and modified porous substrate
KR101079174B1 (en) An hydrocarbon gas production system by dehydration using bilayer membranes
KR101471616B1 (en) Apparatus of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KR101905500B1 (en) Method for Oxidative Coupling of Methane Using Oxygen ion Conductive Membrane
Chen et al. Perspectives on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oxygen transport dual‐functional membrane reactors
CHANG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formance of symmetric and asymmetric mixed-conducting membranes
Wang et al. Mixed oxygen ionic and electronic conducting membrane reactors for pure chemicals production
Smart et al. Perovskite membrane reactor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for oxygen production, syngas production and hydrogen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