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401B1 - 다중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화상 입력을 통한 기안용지의 온라인 계수 및 맞춤형 학습 서비스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화상 입력을 통한 기안용지의 온라인 계수 및 맞춤형 학습 서비스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401B1
KR101078401B1 KR1020090069273A KR20090069273A KR101078401B1 KR 101078401 B1 KR101078401 B1 KR 101078401B1 KR 1020090069273 A KR1020090069273 A KR 1020090069273A KR 20090069273 A KR20090069273 A KR 20090069273A KR 101078401 B1 KR101078401 B1 KR 101078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data
client
correction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284A (ko
Inventor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케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케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케이디
Publication of KR2010011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화상 입력을 통한 온라인 기안용지 계수 및 맞춤형 학습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화상입력 장비를 구비하거나 내장하고 유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춘 휴대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와 같은 단말기를 통해 수험자의 기안용지를 촬영하여 전송하고 이를 서버에서 계수하여 그 결과에 따라 맞춤형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클라이언트가 제 1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라면 저장된 좌표 데이터에 대해 제1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클라이언트가 제 2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라면 저장된 좌표 데이터에 대해 제2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보정 또는 제2보정을 수행한 좌표 데이터와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상기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학습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기안용지, 온라인 계수, 학습 서비스, 디지털 화상, 학습 콘텐츠, 평면형 계수, 입체형 계수

Description

다중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화상 입력을 통한 기안용지의 온라인 계수 및 맞춤형 학습 서비스의 제공 방법{On-line drafting paper marking and user-specific learning service system by digital image input based on multi-platform devices}
본 발명은 다중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화상 입력을 통한 온라인 기안용지 계수 및 맞춤형 학습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화상입력 장비를 구비하거나 내장하고 유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춘 휴대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와 같은 단말기를 통해 수험자의 기안용지를 촬영하여 전송하고 이를 서버에서 계수하여 그 결과에 따라 맞춤형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동화상, 이미지, 문자를 포함한 학습 콘텐츠를 다운받고 이를 학습하는 단 방향적 학습 방법이 대부분이었다. 최근 온라인상에서 PC화면에 출력된 문항의 답안을 클릭하고 이를 계수하는 양 방향적 학습 콘텐츠 제공 방식이 제안되었지만, 계수용지를 활용한 실전 연습이나, 학습 지, 문제지와 같은 오프라인 매체의 상호연동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대부분의 학습 콘텐츠가 PC 플랫폼에서 구현되어 있어 휴대폰이나, PMP, PDA 같은 휴대 단말기에서의 활용성은 떨어졌다.
한편, 오프라인 상에서 기안용지를 기반으로 한 자동 계수 방식은 OMR 판독기를 통한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스캐너를 이용한 계수 방식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는 학교, 학원, 관공서에서와 같이 한꺼번에 대규모의 기안용지 계수를 위한 것이며, OMR 계수기와 별다른 차이가 없고 고가의 전용 스캐너를 사용하므로 소수의 개인이 직접 기안용지를 계수하여 전산화하기에는 금전적, 시간적 부담이 크다. 또한 기존 기안용지의 계수 방식은 평면으로 제한되어 셀룰러폰이나 PDA에 내장되었거나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입체 환경에서 촬영한 디지털 화상을 계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문제지 채점을 통한 연동 학습 서비스와 같은 양방향적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한 계수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계수를 위한 휴대폰, PDA, PMP와 같은 다중 플랫폼 환경에 맞는 계수 프로그램을 제안함으로서 시스템 자원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클라이언트가 제 1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라면 저장된 좌표 데이터에 대해 제1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클라이언트가 제 2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라면 저장된 좌표 데이터에 대해 제2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보정 또는 제2보정을 수행한 좌표 데이터와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상기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학습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상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평면성 또는 입체성에 관한 정보 및 기준 좌표에 관한 정보, 식별자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부가하며, 상기 제1보정은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독출한 상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보정은 상기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독출한 상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벡터 연산하여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가하여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는 스캐너와 같이 평면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입체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좌표는 뒤틀림이나 기울기를 연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정자와 회전 및 보정 순서의 기준이 되는 기준자를 포함한다.
상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한 상기 영역에 대한 명도 및 채도의 증감 방향 또는 명도 및 채도를 수치 데이터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한 데이터의 수치가 같은 영역을 연결하여 등고선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등고선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다른 등고선의 명도 및 채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신한 기안용지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이미지의 평면성 또는 입체성, 크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해 명도 및 채도 보정을 수행하고, 기준 좌표와 고유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가 평면성을 가지면,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상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일치시키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입체성을 가지면, 상기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상기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일치시키는 단계; 기준 좌표를 일치시킨 상기 좌표 데이터와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수 방법을 제안한다.
상술한 상기 결과 데이터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체크되어 있는 영역들 중 상 기 좌표 데이터의 체크되어 있는 영역과 동일한 영역을 체크하고 있는 개수를 의미하며, 상기 명도 및 채도 보정은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한 상기 영역에 대한 명도 및 채도의 증감 방향 또는 명도 및 채도를 수치 데이터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한 데이터의 수치가 같은 영역을 연결하여 등고선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등고선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다른 등고선의 명도 및 채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클라이언트가 제1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라면 저장된 좌표 데이터에 대해 제1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클라이언트가 제2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라면 저장된 좌표 데이터에 대해 제2보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1보정 또는 제2보정을 수행한 좌표 데이터와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학습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술한 상기 제1보정은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상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일치시키며, 상기 제2보정은, 상기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상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 터의 기준 좌표에 벡터 연산하여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고,
분할한 상기 영역에 대한 명도 및 채도의 증감 방향 또는 명도 및 채도를 수치 데이터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데이터의 수치가 같은 영역을 연결하여 등고선을 작성하고, 상기 등고선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다른 등고선의 명도 및 채도를 보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로부터 기안 용지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기안용지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이미지의 평면성 또는 입체성, 크기를 추출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해 명도 및 채도 보정을 수행하고, 기준 좌표와 고유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가 평면성을 가지면,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상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일치시키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입체성을 가지면, 상기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상기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일치시키며, 기준 좌표를 일치시킨 상기 좌표 데이터와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수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좌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좌표 데이터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보정을 수행한 좌표 데이터와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상기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학습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기기의 다양한 플랫폼 환경에서 입력된 디지털 화상을 자동으로 계수하고 신속하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해줌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제약없이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보재나 학습지와 같은 오프라인 학습 도구에 추가된 기안용지를 누구나 손쉽게 채점하고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게 함으로서 오프라인과 온라인 학습의 병행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존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상당수가 오프라인 교재를 기반으로 함에도 문제지 채점을 통한 연동 학습 서비스와 같은 양방향적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만한 방법이 미미하였다. 소수의 수험자가 기안용지로 연습하고 이를 실제로 계수하고 위해 고가의 전문 OMR 기기나 채점을 위한 고가의 스캐너를 구입하는 것이 경제적 부담이 크고 번거롭기 때문에 사실상 기안용지의 자동 계수를 통한 콘텐츠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PC 환경을 기반으로 하므로 플랫폼과 장소에 제한이 있 었다.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화상 입력장치인 가정용 간이 스캐너나 휴대폰이나 PDA, PMP 등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입력된 기안용지의 디지털 화상은 촬영 각도, 기울기, 외부 환경에 의해 정확한 계수를 수행할 수 없었다. 계수를 위한 휴대폰, PDA, PMP와 같은 다중 플랫폼 환경에 맞추어 계수프로그램을 내장할 경우 서로 다른 별도의 환경에 따라 별도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시스템 자원의 소모가 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화상을 이용한 계수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상을 이용한 계수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상을 이용한 계수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디지털 화상을 이용한 계수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계수 시스템은 기안용지(100), 클라이언트(200), 서버(400)를 포함하며, 클라이언트(200)는 디지털 카메라(202)와 스캐너(201)와 같은 디지털 화상 입력장치를 내장하거나 접속하고 있는 기기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전화(230), PDA(240), PMP, MID, 노트북 컴퓨터(220), 데스크탑 컴퓨터(210)와 같은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한다. 즉, 클라이언트(200)는 화상 입력장치를 내장하거가 접속하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연결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을 의미한다.
서버(400)는 클라이언트의 플랫폼 특성, 접속 및 전송 방식에 따라 특화된 이메일 서버, FTP 서버, 웹 서버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구성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컴퓨터와 하나의 메인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세 개의 서브 컴퓨터(401 내지 403)와 하나의 메인 컴퓨터(410)를 도시하고 있다. 서브 컴퓨터(401 내지 403)는 클라이언트(200)의 플랫폼 형태, 화상 입력장치의 종류, 전송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할당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서브 컴퓨터(401)는 스캐너를 이용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며, 서브 컴퓨터(402)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와 서버(400)는 무선 네트워크(300) 또는 유선 네트워크(310)로 연결된다. 즉, 클라이언트(200)는 촬영한 화상 데이터는 무선 네트워크(300) 또는 유선 네트워크(310)를 이용하여 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결과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300) 또는 유선 네트워크(310)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20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어부, 표시부, 전송부, 수신부, 저장부, 입력부를 포함한다. 물론 클라이언트(200)는 제어부, 표시부, 전송부, 수신부, 저장부, 입력부 이외에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클라이언트(200)는 카메라부를 내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내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무선으로 카메라부와 연결되거나 스캐너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는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디지털 화상을 저장하거나,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한 디지털 화상을 저장한다. 저장부는 클라이언트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나 기타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 장부는 서버(400)로부터 전달받은 결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촬영한 디지털 화상이나 스캔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는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전송부는 전달받거나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유선 네트워크(310) 또는 무선 네트워크(300)를 이용하여 서버(400)로 전송한다. 물론 전송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는 유선 네트워크(310) 또는 무선 네트워크(300)를 이용하여 서버(400)로부터 결과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클라이언트(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카메라부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기안 용지(100)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며, 촬영된 기안 용지(100)를 저장하며,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처리한다. 입력부는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상을 이용한 계수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계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10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는 기안 용지(100)의 화상을 촬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는 내장된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기안 용지(100)를 촬영하거나,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로부터 기안 용지(100)를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200)는 연결되어 있는 스캐너로부터 스캔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200)는 별도로 연결되어 있는 스캐너 혹은 카메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내장된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촬영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S20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는 무선 네트워크(300) 또는 유선 네트워크(310)를 이용하여 서버(400)로 접속한다. S30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는 서버(400)에 인증을 요청한다. 서버(400)는 인증을 요청한 클라이언트(200)가 접속이 허락된 클라이언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서버(400)는 S40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에 대한 인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소정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서버(400)는 인증을 요청한 클라이언트(200)가 접속이 허락된 클라이언트이면 S60단계로 이동하고, 접속이 불허된 클라이언트라면 S50단계로 이동한다. 서버(400)는 S50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에 대해 재인증을 수행하거나 서버 접속이 가능하도록 가입을 요청한다.
S60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는 서버(400)에 대한 인증 과정이 종료되면,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전송한다. 클라이언트(200)는 전송하고자 하는 디지털 화상이 복수 개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클라이언트(200)는 첫 번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후 서버(400)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확인받은 후 두 번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200)는 설정된 복수 개의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후 서버(400)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확인받은 후 다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는 전송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 터를 한번의 전송 과정으로 모두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클라이언트(200)는 전송한 화상 데이터의 개수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서버(400)는 전송받아야 하는 화상 데이터의 개수와 실제 전송받은 화상 데이터의 개수를 비교한다. 서버(400)는 전송받아야 하는 화상 데이터의 개수와 실제 전송받은 화상 데이터의 개수가 동일하다면, 클라이언트(200)로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통보한다. 서버(400)는 전송받아야 하는 화상 데이터의 개수와 실제 전송받은 화상 데이터의 개수가 상이하다면, 비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클라이언트(200)로 통보한다. 클라이언트(200)는 비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통보받은 경우 모든 화상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전송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다.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만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서버(200)에서 클라이언트(400)로 전송오류가 발생한 화상 데이터에 대한 내역을 통보해야 한다. 전송 오류가 발생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통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예로 서버(400)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내역을 통보하면, 클라이언트(200)는 이를 이용하여 전송 오류가 발생한 화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S70단계에서 서버(400)는 이미지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분류한다. 즉, 디지털 화상을 전송받은 서버(400)는 클라이언트(200)의 플랫폼 형태, 화상 입력장치의 종류, 전송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저장한다.
S80단계에서 서버(400)는 온라인 계수 시스템에 계수를 요청한다.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화상 데이터의 보정 및 임시 저장, 계수 좌표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계수와 같은 연산 능력을 가진 구분단위로서 분산처리와 보안을 위해 서버로부터 별도로 분리된 독립 시스템이거나, 규모에 따라 서버 자체에 내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온라인 계수 시스템이 서버와 분리되어 있는 구성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S90단계에서는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보정과 계수 동작을 수행한다. 즉,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기안용지(100)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와 분류정보를 확인하고 적합한 보정을 통해 기안용지(100)를 식별하고, 계수좌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기안용지(100)의 디지털 화상과 비교한다.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보정과 계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S100단계에서 계수를 완료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계수 결과를 온라인 계수 시스템 내부에 저장한 후 서버로 통보한다. 계수 결과를 통보받은 서버(400)는 S110단계에서 결과를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S210단계에서 서버(400)는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크기, 전송 속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여부, 재생 포맷에 따라 계수 결과에 해당하는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구성한다. 이 때 학습 콘텐츠는 클라이언트(200)가 온라인으로 직접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는 콘텐츠 연결 주소나 클라이언트(200)가 다운받아 확인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가 될 수 있다.
S130단계에서 결과를 저장하고 학습 콘텐츠를 구성한 서버(400)는 클라이언트(200)에게 계수 결과를 통보하며, 계수 결과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전송한다. S140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는 전송받은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재생한다.
즉, 본 발명은 계수 결과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학습 능력 및 상황에 있어 가장 적합한 상태의 학습 컨텐츠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 결과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학습 컨텐츠 및 기타 학습 관련 정보를 독출한다. 독출한 학습 컨텐츠 및 학습 관련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300) 및 유선 네트워크(310)를 통해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서버(400)는 학습자들 각각의 학습 능력 및 학습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내용의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또 다른 흐름도이다. 도 3은 클라이언트(200)와 서버(400)를 도시하고 있으며, 서버(400)는 계수 좌표 데이터베이스(D1)와 결과 데이터베이스(D2), 콘텐츠 데이터베이스(D3)를 포함한다. 도 3은 계수 좌표 데이터베이스(D1)와 결과 데이터베이스(D2), 콘텐츠 데이터베이스(D3)를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하나의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계수 좌표 데이터베이스(D1)와 결과 데이터베이스(D2), 콘텐츠 데이터베이스(D3)는 서버(400)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외부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S10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는 기안용지(100)를 화상 촬영하며, S20단계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S30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는 서버(400)에 접속하여 인증을 요청한다. S40단계에서 서버(400)는 접속을 요청한 클라이언트(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접속을 허락한 경우에는 S60단계로 이동하며, 접속을 허락하지 않은 경우에는 S50단계로 이동하여 재인증이나 가입을 요청한다.
S60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는 서버(400)로 이미지를 전송하며, S70단계에 서 서버(400)는 이미지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분류한다. S80단계에서 서버(400)는 채점을 요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점은 서버(400) 내에서 수행되거나, 서버(400)와 별도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S90단계에서 서버(400)는 수신한 이미지를 보정하고, 보정한 이미지의 계수 좌표와 계수 좌표 데이터베이스(D1)로부터 독출한 계수 좌표를 비교하여 계수를 수행한다. S100단계에서 서버(400)는 계수한 결과를 저장하며, 필요한 경우 결과를 전송한다. S110단계에서 서버(400)는 외부에 별도로 구성된 채점 서버로부터 결과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결과 데이터베이스(D2)에 전달받은 결과를 저장한다.
S120단계에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D3)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400)는 오답 콘텐츠를 구성하고, S130단계에서 구성한 오답 콘텐츠 및 결과를 전송한다. S140단계에서 클라이언트(200)는 전송받은 콘텐츠를 저장 및 재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계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자동 계수 알고리즘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온라인 계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서버로부터 별도로 분리된 독립 시스템이거나, 규모에 따라 서버 자체에 내장될 수 있다.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서버로부터 기안용지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와 분류 정보를 확인하고 적합한 보정을 통해 기안용지를 식별하고 계수좌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기안용지의 디지털 화상과 비교하여 계수한다.
S200단계에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서버로부터 계수 요청을 받은 후 요청 사항에 따라 저장된 기안용지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조회하고 그 유형을 확인한다. 유형을 분류하는 이유는 온라인 계수 시스템에서 유형에 적합한 계수 방식을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계수를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안용지와 계수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기안 용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b와 도 5c는 계수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서 기안 용지의 세 곳의 모서리에 위치한 표식 a, b, c는 뒤틀림과 기울기를 연산하기 위한 보정자이며, 좌측 하단 모서리에 위치한 표식 d는 다른 보정자와 별도의 표시를 하여 회전 및 보정 순서에 있어 기준이 되는 기준자이다. 또한 도면 5a의 보정자 a와 보정자 b 사이에 기재된 영역 고유코드e는 기안용지를 식별하기 위한 인식코드이다. 도 5a의 f는 계수하고자 하는 객관식의 계수 영역이다.
도 5b는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를 형상화한 것이며, 도 5c는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를 형상화한 것이다.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 및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S210단계에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한다. 즉,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기안용지의 디지털 화상에 대한 유형을 확인한 후 정확한 계수를 위해 노이즈 제거, 명도와 채도 변경과 같은 화상 필터를 적용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보정자를 명확하게 한다. 즉, 모바일 광학기기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는 초점을 중심으로 외각 방향으로 명도 및 채도의 왜곡이 발생한다. 일예로, 이미지 데이터의 중심으로 외각 방향으로 밝기가 어두워진다.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은 이미지 상태를 기준으로 데이터 영역을
Figure 112009046463354-pat00001
개(16/32/64/...)로 분할하고, 각 영역 데이터에 대한 명도/채도의 증감 방향 및 명도/채도 수치 데이터를 산출한다.
산출한 수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치 데이터가 같은 영역을 연결한 등고선 지도를 작성하고, 각 영역의 등고선 데이터를 연결하여 이미지 데이터 전체의 등고선 지도를 작성한다. 작성한 등고선 지도를 바탕으로 이미지 데이터 전체의 명도/채도 왜곡 지도를 작성한 후, 등고선 지도의 최고점을 초점으로 상정하여 등고선 지도를 따라 이미지 전체에 대한 명도/채도를 보정한다. 즉, 등고선 지도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다른 등고선 데이터도 동일한 명도/채도를 갖도록 보정한다.
S220단계에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디지털 화상 시스템에서 3개의 보정자와 1개의 기준자를 찾고 그 좌표를 기억한다. S230단계에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기준자와 보정자의 좌표를 기준으로 특정 영역에서 고유코드를 독출하여 식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a에 의하면 고유코드 보정자 a와 보정자 b 사이에 위치한다.
S240단계에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보정한 화상 데이터가 평면형인지, 입체형인지 구분한다.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보정한 화상 데이터가 평면형이면 S250단계로 이동하고, 입체형이면 S280단계로 이동한다. 이후 각각의 유형별 계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평면형은 스캐너와 같은 평판 형태의 입력기기에서 입력받은 화상 데이터를 지칭하는 것으로 2차원 형태를 가진다. 보정자와 기준자는 정확한 직각을 이루지만 스캐너의 기종과 용지의 위치에 따라 회전, 가로 세로 비율의 변화를 가지게 된다.
입체형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3차원 공간상에서 입력받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지칭하는 것으로 촬영시의 기울기와 광원의 위치에 따라 명암과 각도의 변화를 가진다. 즉,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의 방향과 기안 용지의 방향이 정확히 수직이 아니라면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3차원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6은 입력기기의 유형에 따른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원본 기안용지(6-1)를 평판 스캐너(6-2)로 입력받게 되면, 평판에서 기안용지의 위치와 스캐너 제조사별 기술적 특성에 따라 6-4와 같이 좌우 회전, 상하 뒤바뀜, 크기와 가로 세로의 비율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원본 기안용지(6-1)를 클라이언트에 내장되거나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6-3)로 입력받게 되면, 입체환경 입력으로 인해 6-5와 같이 회전, 일부 확대 축소, 비율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도 6에 의하면, 평면형은 기안용지의 상단과 하단의 크기가 동일하나, 입체형은 기안용지의 상단과 하단의 크기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먼저, 평면형의 경우, S250단계에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계수 좌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불러온다.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는 보정자와 기준자로 이루어진 영역 안에 대상이 되는 계수 영역의 좌표의 집합으로서 좌표와 집합의 형태이며, 이진 코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하기 표 1은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문항번호 영역번호 인식색상범위 위치 크기
1 1 R: 0, 10
G: 0, 10
B: 0, 10
X: 145
Y: 220
Width: 20
Height: 25
2 R: 0, 10
G: 0, 10
B: 0, 10
X: 290
Y: 200
Width: 20
Height: 25
3 R: 0, 10
G: 0, 10
B: 0, 10
X: 145
Y: 260
Width: 20
Height: 25
4 R: 0, 10
G: 0, 10
B: 0, 10
X: 290
Y: 260
Width: 20
Height: 25
...
7 1 R: 0, 10
G: 0, 10
B: 0, 10
X: 145
Y: 970
Width: 20
Height: 25
2 R: 0, 10
G: 0, 10
B: 0, 10
X: 290
Y: 970
Width: 20
Height: 25
3 R: 0, 10
G: 0, 10
B: 0, 10
X: 145
Y: 1100
Width: 20
Height: 25
4 R: 0, 10
G: 0, 10
B: 0, 10
X: 290
Y: 1100
Width: 20
Height: 25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는 계수해야 하는 영역을 X축과 Y축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표 1은 문항의 번호, 문항에 해당하는 계수 영역의 번호, 인식해야할 색상범위, 시작점의 위치 및 영역의 크기를 포함한다. 이는 평면좌표를 나타내는 보편적인 방법의 한 예로서 좌표표시 방식, 계수 영역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표 1에 의하면 문항번호 1은 영역번호 1 내지 영역번호 4를 포함하며, 영역번호1의 인식색상범위는 R:0, 10, G:0, 10, B:0, 10으로서 흑색이며, 시작점은 X:145이며, Y:220이며, 영역의 크기는 폭은 20이며, 높이는 25를 나타낸다. 문항번호 7은 영역번호 1 내지 영역번호 4를 포함하며, 영역번호4의 인식색상범위는 R:0, 10, G:0, 10, B:0, 10으로서 흑색이며, 시작점은 X:290이며, Y:1100이며, 영역의 크기는 폭은 20이며, 높이는 25를 나타낸다. 도 5b는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를 형상화한 것이다.
S260단계에서 계수 산출 시스템은 확인된 보정자와 기준자의 좌표에 따라 기울기와 크기 비율 변화를 확인한다. S270단계에서 계수 산출 시스템은 기울기와 크기 비율 변화에 따라 계수 좌표 데이터를 변환한다.
도 7은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변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1은 도 6-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캐너를 이용하여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2는 스캐너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계수좌표의 가로 세로 비율을 확대하거나 혹은 축소한다. 이후 도 7-3과 같이 회전이 필요한 경우 회전하여 스캐너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와 일치시킨다. 도 7-4는 디지털 화상의 보정자와 기준자의 좌표에 일치된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계수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이처럼 기안 용지를 촬영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직접 회전시키거나 확대/축소하지 않고, 계수 좌표 데이터를 회전, 확대/축소함으로서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의 수정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고 계수 처리에 따른 시스템 자원을 절약하고 처리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기안 용지를 촬영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직접 회전시키거나 확대/축소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입체형 화상 데이터를 계수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S280단계에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계수 좌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한다.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는 보정자와 기준자로 이루어진 영역 안에 대상이 되는 계수 영역이 좌표가 아닌 벡터값으로 표현한 것으로, 정점을 기준으로 방향과 거리로 표현된 수치의 집합이며 이진 코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하기 표 2는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문항번호 영역번호 인식색상
범위
Left-Top Right-Top Left-Bottom Right-Bottom
1 1 R: 0, 10
G: 0, 10
B: 0, 10
원점: 0, 0
거리: 22.3
평면각도: 62.1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24.7
평면각도: 59.4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24.6
평면각도: 64.3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26.1
평면각도: 63.8
수직각도: 0
2 R: 0, 10
G: 0, 10
B: 0, 10
원점: 0, 0
거리: 45.8
평면각도: 40.1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50.4
평면각도: 36.2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50.2
평면각도: 44.9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53.7
평면각도: 42.3
수직각도: 0
3 R: 0, 10
G: 0, 10
B: 0, 10
원점: 0, 0
거리: 24.1
평면각도: 65.4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27.2
평면각도: 62.1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26.9
평면각도: 66.9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30.1
평면각도: 64.2
수직각도: 0
4 R: 0, 10
G: 0, 10
B: 0, 10
원점: 0, 0
거리: 49.3
평면각도: 43.4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54.9
평면각도: 39.9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55.1
평면각도: 48.0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57.6
평면각도: 45.5
수직각도: 0
...
7 1 R: 0, 10
G: 0, 10
B: 0, 10
원점: 0, 0
거리: 66.4
평면각도: 83.2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69.1
평면각도: 79.3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69.3
평면각도: 86.8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72.3
평면각도: 85.1
수직각도: 0
2 R: 0, 10
G: 0, 10
B: 0, 10
원점: 0, 0
거리: 80.7
평면각도: 64.8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83.3
평면각도: 60.1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83.6
평면각도: 68.3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87.0
평면각도: 66.4
수직각도: 0
3 R: 0, 10
G: 0, 10
B: 0, 10
원점: 0, 0
거리: 69.5
평면각도: 85.7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72.4
평면각도: 82.9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72.2
평면각도: 89.6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76.1
평면각도: 88.7
수직각도: 0
4 R: 0, 10
G: 0, 10
B: 0, 10
원점: 0, 0
거리: 84.1
평면각도: 67.1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86.8
평면각도: 64.4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86.5
평면각도: 69.9
수직각도: 0
원점: 0, 0
거리: 89.3
평면각도: 68.5
수직각도: 0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는 계수할 영역을 원점, 원점과의 거리, 각도로 표시되는 상대적인 벡터로 표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보정자와 기준자의 위치변형에 대응하는 계수영역의 위치도 상대적으로 바뀌게 된다. 표 2는 문항번호, 계수 영역 번호, 벡터로 표현된 계수영역의 각 점의 좌표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벡터좌표를 표현하고 있는 한 예로서 표현방식, 계수영역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표 2에 의하면 문항번호1은 영역번호1 내지 영역번호4를 포함하며, 영역번호 1의 인식범위 색상은 R:0, 10, G:0, 10, B:0, 10으로서 흑색이며, 원점의 좌표가 (0:0)인 경우, 왼쪽상단은 원점과의 거리가 22.3이며, 평면각도는 62.1, 수직각도는 0이다. 또한 오른쪽 상단은 원점과의 거리가 24.7이며, 평면각도는 59.4, 수직각도는 0이며, 왼쪽 하단은 원점과의 거리가 24.6이며, 평면각도는 64.3, 수직각도는 0이다. 오른쪽 하단은 원점과의 거리가 26.1이며, 평면각도는 63.8, 수직각도는 0이다.
문항번호4는 영역번호1 내지 영역번호4를 포함하며, 영역번호 4의 인식범위 색상은 R:0, 10, G:0, 10, B:0, 10으로서 흑색이며, 원점의 좌표가 (0:0)인 경우, 왼쪽상단은 원점과의 거리가 84.1이며, 평면각도는 67.1, 수직각도는 0이다. 또한 오른쪽 상단은 원점과의 거리가 86.8이며, 평면각도는 64.4, 수직각도는 0이며, 왼쪽 하단은 원점과의 거리가 86.5이며, 평면각도는 69.9, 수직각도는 0이다. 오른쪽 하단은 원점과의 거리가 89.3이며, 평면각도는 68.5, 수직각도는 0이다. 도 5c는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S290단계에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보정자와 기준자의 좌표에 맞추어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의 보정자 및 기준자의 좌표를 일치시킨다.
도 8은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의 변환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8-1은 도 6-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3은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계수좌표의 기준점을 일치시키고, 회전이 필요한 경우 회전하여 회전시킨다. 도 8-4는 디지털 화상의 보정자와 기준자의 좌표에 일치된 화상 계수 좌표 데이터의 계수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S300단계에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화상의 보정자와 기준자 좌표를 기준으로 화상 계수 좌표 데이터를 일치시킨다. S310단계에서 온라인 계수 시스템은 계수 영역과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비교 판단할 수 있도록 변경된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를 평면 좌표계에 투영한다. 도 8-4는 투영된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입체 환경에서 입력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경우, 이미지를 3D 보정 처리하여 평면형태로 보정할 경우, 그 과정에서 시스템 자원이 낭비됨은 물론 부분 확대 축소에 의한 손실로 인해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입체 계수 좌표계를 변형하고 평면 좌표계에 투영시킴으로서 본 발명은 시스템의 자원 낭비 및 손실을 최소화하고 계수 정확도와 속도를 향상시킨다. 입체형에 적용된 입체계수 좌표계 변형을 통해 좌표를 일치시킨 후 계수하는 방법은 평면형 화상 데이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벡터 연산과 다시 평면좌표계에 투영하게 되는 과정이 추가되므로 평면형 계수 방법보다 더 많은 시스템 자원이 낭비되고 처리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면형과 입체형으로 나누어 각각 연산함으로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평면형과 입체형으로 나누어 각각 투영된 디지털 화상 이미지와 계수 좌표 데이터는 계수 영역을 비교하여 계수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화상을 이용한 계수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상을 이용한 계수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상을 이용한 계수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다른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의 자동 계수 알고리즘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안용지와 계수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클라이언트 디지털 화상 입력기기에 따른 화상 이미지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자동 계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에 대한 자동 계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기안용지, 200: 클라이언트,
400: 서버 201: 스캐너
202: 디지털 카메라 210: 데스크탑 컴퓨터
220: 노트북 컴퓨터 230: 휴대 단말
240: PDA

Claims (16)

  1.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구성된 계수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에서 맞춤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한 상기 영역에 대한 명도 또는 채도에 대응하는 수치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한 상기 수치 데이터가 동일한 지점을 연결한 등고선을 작성하는 단계;
    작성한 상기 등고선의 최고점이 갖는 명도 또는 채도와 동일하도록 다른 등고선의 명도 또는 채도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클라이언트가 제 1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라면 저장된 좌표 데이터에 대해 제1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클라이언트가 제 2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라면 저장된 좌표 데이터에 대해 제2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보정 또는 제2보정을 수행한 좌표 데이터와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상기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학습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평면성 또는 입체성에 관한 정보, 기준 좌표에 관한 정보 및 식별자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정은,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독출한 상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정은,
    상기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독출한 상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벡터 연산하여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는 스캐너와 같이 평면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입체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좌표는,
    뒤틀림이나 기울기를 연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정자와 회전 및 보정 순서의 기준이 되는 기준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구성된 계수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에서 자동으로 계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한 기안용지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이미지의 평면성 또는 입체성, 크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해 명도 및 채도 보정을 수행하고, 기준 좌표와 고유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가 평면성을 가지면,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상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일치시키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입체성을 가지면, 상기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상기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일치시키는 단계;
    기준 좌표를 일치시킨 상기 좌표 데이터와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명도 또는 채도 보정은,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한 상기 영역에 대한 명도 또는 채도에 대응하는 수치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한 상기 수치 데이터가 동일한 지점을 연결한 등고선을 작성하는 단계;
    작성한 상기 등고선의 최고점이 갖는 명도 또는 채도와 동일하도록 다른 등고선의 명도 또는 채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수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체크되어 있는 영역들 중 상기 좌표 데이터의 체크되어 있는 영역과 동일한 영역을 체크하고 있는 개수를 의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 계수 방법.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좌표는,
    뒤틀림이나 기울기를 연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정자와 회전 및 보정 순서의 기준이 되는 기준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계수 방법.
  12.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클라이언트가 제1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라면 저장된 좌표 데이터에 대해 제1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클라이언트가 제2그룹에 포함된 클라이언트라면 저장된 좌표 데이터에 대해 제2보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1보정 또는 제2보정을 수행한 좌표 데이터와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학습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고,
    분할한 상기 영역에 대한 명도 또는 채도에 대응하는 수치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수치 데이터가 동일한 지점을 연결한 등고선을 작성하고,
    작성한 상기 등고선의 최고점이 갖는 명도 또는 채도와 동일하도록 다른 등고선의 명도 또는 채도를 보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정은,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상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일치시키며,
    상기 제2보정은, 상기 계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입체 계수 좌표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상기 평면 계수 좌표 데이터의 기준 좌표를 수신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준 좌표에 벡터 연산하여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90069273A 2009-04-17 2009-07-29 다중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화상 입력을 통한 기안용지의 온라인 계수 및 맞춤형 학습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1078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3869 2009-04-17
KR1020090033869 2009-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284A KR20100115284A (ko) 2010-10-27
KR101078401B1 true KR101078401B1 (ko) 2011-10-31

Family

ID=4313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273A KR101078401B1 (ko) 2009-04-17 2009-07-29 다중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화상 입력을 통한 기안용지의 온라인 계수 및 맞춤형 학습 서비스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4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98B1 (en) * 2002-09-03 2003-09-02 Daolsoft Inc Method for automatically typesetting customized learning material of each level
KR100809349B1 (ko) 2006-09-25 200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의 밝기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98B1 (en) * 2002-09-03 2003-09-02 Daolsoft Inc Method for automatically typesetting customized learning material of each level
KR100809349B1 (ko) 2006-09-25 200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의 밝기 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284A (ko)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73535A1 (en) Device, Method And Server For Retrieving Information Using A Machine Readable image
US1098423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that obtain text data for an image
JP4529837B2 (ja) 撮像装置、画像補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214365A1 (zh) 图像校正方法、装置、设备、***及摄像设备和显示设备
JP6446766B2 (ja) 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記録媒体及び表示制御システム
CN110895822A (zh) 深度数据处理***的操作方法
WO2018045592A1 (zh) 拍摄图像方法、装置和终端
CN105678736B (zh) 具有孔径改变深度估计的图像处理***及其操作方法
CN112085775A (zh) 图像处理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3994662B (zh) 信息处理设备及对应方法、***、介质和投影设备
US8983227B2 (en) Perspective correction using a reflection
KR101078401B1 (ko) 다중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화상 입력을 통한 기안용지의 온라인 계수 및 맞춤형 학습 서비스의 제공 방법
CN108780572B (zh) 图像校正的方法及装置
CN116524022B (zh) 偏移数据计算方法、图像融合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5631850B (zh) 对齐多视图扫描
Huang et al. Using homography relationship for auto-calibration in mobile smart-project device system
CN115187989A (zh) 图像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扫描笔和存储介质
JP202209346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7078762A (zh) 一种虚拟现实设备、相机标定装置及方法
JP2007011529A (ja) Ocr処理における文字認識位置の決定方法
JP5061656B2 (ja) 画像情報送信装置および画像情報転送システム
JP2005063141A (ja) 画像変換システム及び画像変換方法
CN112291445A (zh) 图像处理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080181464A1 (en) Method for the viewing of visual inform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JP5804430B2 (ja) 書籍情報処理装置、書籍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