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209B1 -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효모 세포벽 - Google Patents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효모 세포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209B1
KR101076209B1 KR1020067002769A KR20067002769A KR101076209B1 KR 101076209 B1 KR101076209 B1 KR 101076209B1 KR 1020067002769 A KR1020067002769 A KR 1020067002769A KR 20067002769 A KR20067002769 A KR 20067002769A KR 101076209 B1 KR101076209 B1 KR 101076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st cell
cell wall
agent
hyperglycemia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432A (ko
Inventor
루시엔 르사프르
Original Assignee
르사프르 에 꽁빠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사프르 에 꽁빠니 filed Critical 르사프르 에 꽁빠니
Publication of KR2006003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4Saccharomycetales, e.g. baker's ye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6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e.g. locust bean gum,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모 세포벽에 기초한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및 제제, 및 상응하는 치료적 조성물 제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효모 세포벽{YEAST CELL WALL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HYPERGLYCEMIA OR FOR THE STABILIZATION OF GLYCEMIA}
본 발명은 고혈당증 치료 및 예방, 및 혈당 안정에 관한 것이다.
고혈당증 예방, 고혈당증 치료 및/또는 혈당 안정을 위한, 특히 당뇨병 분야에서 수많은 화합물이 이미 제안되었다.
특히 크롬이 풍부한 효모에서 추출된 크롬 기저의 글루코스 내성인자(GTF, glucose tolerance factor), 효모 추출물과 같이 효모에 기초한 생성물 및 또한 양조 효모(brewer's yeast)의 세포제제(cellular preparation)가 제안되었다.
따라서, JP-A-61-167622에서는 이 문서에서 소위 세포벽이라 불리는 양조 효모의 세포분획물(fraction)에 기초한 당뇨병 조절제를 제안하고, 이것은 50℃ 내지 70℃에서 최소한 2시간 동안 양조 효모를 가수분해하여 수용성 성분의 추출물로 얻어진다. 상기 양조 효모의 세포분획물은 특히 약 14.8%의 글루칸, 약 13.9%의 만난을 포함한다. 상기 세포분획물은 또한 약 24.9%의 글리코겐을 가진다. 글리코겐 또는 간 녹말(liver starch, 독일어로 'Leberstrke')은 근육 및 특히 간에 또한 존재하는 저장 다당질이다. 이러한 글리코겐은 또한 효모에서 저장 물질이며 생존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일본 출원에서 기재된 세포 분획물의 주 구성요소이나, 이것은 효모에서 세포벽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혈당증 예방 및 치료제로 유효하며 글리코겐 저함량을 가지는 효모 세포벽을 얻는 것 및 상기 효모 세포벽은 간단한 자기분해 (autolysis) 또는 효소 가수분해 (enzymatic hydrolysis)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효모 세포벽' 용어는, 총 효모 세포의 건조물 (dry matter) 함량의 최소한 50%, 및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60%를 용해시키며, 세포벽의 구조적 다당질, 즉 β-글루칸 및 만노프로테인 형태의 만난을 보존시키는, 자기 분해 또는 효소 가수분해, 특히 프로테아제에 의해 얻어지는 크롬이 풍부하지 않은 (non-chromium-enriched) 효모 세포의 불용성 분획물을 언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분해 또는 효소 가수분해는 글리코겐 및 트레하로스와 같은 효모 세포의 대부분 저장당(storage sugars)을 용해시키도록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18 시간 동안의 자기분해 또는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 용해된 분획물을 분리하여 효모 세포벽을 얻는다. 크림 효모 (cream yeast)의 바람직한 자기분해 공정은 참고 매뉴얼인 'Yeast Technology" (2판, 1991, Van Nostrand Reinhold 출판, 뉴욕, ISBN 0-442-31892-8) 370 내지 377 쪽에 기재된다. 얻어진 효모 세포벽은 분무-건조 또는 회전드럼 건조와 같은 전형적으로 종래 건조공정에 의해 건조된다.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은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속,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 종에 속하는 효모의 세포벽이다.
상기 효모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커 효모(baker's yeast)이다. 베이커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종에 속하는 효모이며, 상기된 언급된 참고 매뉴얼인 'Yeast Technology'에 기재된 주로 호기성 증식 또는 배양에 의해 주로 만들어지며, 자기분해 또는 효소 가수분해 전에 어떠한 목적으로도 기여하지 않는 것은, 예를 들면 양조 효모와는 다르며, 이것은 맥주 제조 부산물이며 따라서 자기분해 또는 효소 가수분해용으로 회수 전에 기여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러한 양조 효모는 주로 혐기성 조건들 (맥주 제조는 혐기성 공정임)하에서 증식된다.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최소한 약 34.0%의 총 세포벽 글루칸 및 만난 함량 (체계적으로 각각 글리코스 및 만노스의 상당 중량(equivalent mass)으로 표현됨 - 하기 측정방법 참조) 및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10.0% 이하의 글리코겐 함량 (체계적으로 글루코스의 상당 중량으로 표현됨 - 하기 측정방법 참조)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최소한 약 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최소한 45.0%의 총 글루칸 및 만난 함량을 가진다.
유용하게도,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17.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18.0 내지 26.0%의 N×6.25 프로테인을 가진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은 중량으로 최소한 90%, 바람직하게는 중량으로 최소한 94%,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량으로 최소한 96%의 건조물 함량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의 총 글루칸 및 만난 함량은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70% 또는 이하이다. 특히,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65% 또는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55% 또는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효모 세포벽에서 글리코겐을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얻어진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은 수성 서스펜션에 현탁되고, 최고 3시간 동안 70℃ 내지 100℃ 사이에서 알카리 매체에서 가열되고 이러한 처리에 의해 용해된 분획물을 제거하고, 나머지 불용성 분획물은 회수되고 일반적으로 건조된다. 예를 들면, 나트륨-함유 알카리 수성 매체에서 효모 세포벽 건조물 함량의 12%를 함유한 서스펜션은 2시간 동안 85℃에서 가열된다. 모든 글리코겐 및 또한 만노프로테인 상당량 또는 전부를 함유한 용해성 분획물은 원심분리 및 세척으로 제거된다.
이러한 처리를 통하여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5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60%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60% 내지 65%의 총 글루칸 및 만난 함량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처리를 통하여, 특히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0.1% 이하의 글리코겐을 함유한 효모 세포벽 조제가 가능하다. 이러한 효모 세포벽은 만난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고 함량의 총 글루칸 및 만난을 함유한 이들 효모 세포벽은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 또는 혈당 안정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약제(agent)의 일 실시예에 해당된다.
이것은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 또는 혈당 안정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제(preparation)에 적합하다. 이것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 또는 혈당 안정을 위한 치료적 조성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글리코겐 함량 측정 방법
중량으로 최소한 90% 함량의 건조물을 가진 건조 효모 세포벽 20mg 샘플에 0.25M Na2CO3 0.5ml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4시간 동안 95℃로 유지한다.
혼합물에 1M 아세트산 0.3ml 및 0.2M 아세트산 나트륨 1.2ml를 투여하고 성분들을 혼합하여 혼합물 pH를 5.2로 만든다. 증류수를 투여하여 총 부피를 2ml가 되도록 한다.
얻어진 서스펜션 0.5ml는, 로슈사 넘버 Cat. No. 102 857로 판매되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spergillus niger) 아밀로글루코시다제의 과잉 존재하에 55℃에서 15시간 동안 배양된다.
원심분리 후, 방출 글루코스를 효소측정법(enzymatic assay)으로 측정한다.
글루코스 효소측정법은 특히 매뉴얼 'Method of Biochemical Analysis and Food Analysis - using Single Reagents" (Boehringer Mannheim GmbH Biochemica ⓒ 1989 출판, 50 내지 55 쪽)에 기재되어 있으며, 특히 로슈사 자회사 (Boehringer Mannheim GmbH/R-Biopharm Gmbh, Darmstadt, 독일) 의 Cat. No. 139 106 'Test-Combination D-Glucose/-Fructose'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렇게 측정된 글루코스 정량 (mg)은 글루코스 상당 중량으로 표기된 샘플에 존재하는 글리코겐 정량에 상당한다.
글루칸 및 만난 총 함량 측정방법
중량으로 최소한 90% 함량의 건조물을 가진 건조 효모 세포벽 20mg 샘플에 2N HCl 20ml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산 가수분해를 수행하고, 이 혼합물을 4시간 동안 103℃로 인큐베이터에 유지하면서 15분마다 교반한다.
다음, 얻어진 산용액을 중화시키고, 중화액에서의 글루코스 및 만노스 각각의 정량을 효소적 방법으로 측정한다.
글루코스 및 만노스 효소측정법은 상기 언급된 매뉴얼 50 내지 55 쪽에 기재되고, 바람직하게는 'Test-Combination" Cat. No. 139 106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 방법에 의해 측정된 글루코스 정량 (mg) 및 상기 글리코겐 측정 방법에 의해 효모 세포벽에서 측정된 클루코스 정량 (mg) 간의 차이를 계산한다.
측정된 두 글루코스 정량간의 차이 (mg)는 샘플에 존재하는 글루칸 총 정량에 상당하고, 이 정량은 글루코스 상당 중량으로 표현된다.
측정된 만노스 정량 (mg)은 샘플에 존재하는 만난 총 정량에 상당하고, 이 정량은 만노스 상당 중량으로 표현된다.
본 발명은, 우선, 상기 정의된, 즉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으로 구성된 고혈당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고혈당증 치료는 주로 혈당, 즉 혈 글루코스 레벨의 감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약제는 특히 하기 목록의 경우와 같이 다양한 고혈당증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a) 타입 2 당뇨병 경우에서의 고혈당증 치료 (타입 2 당뇨병은 이하 '상태 (a)'라 칭함);
(b) 임신성 또는 임신 당뇨병 경우에서의 고혈당증 치료 (임신성 또는 임신 당뇨병은 이하 '상태 (b)'라 칭함);
(c) 당뇨병전기(prediabetes)에서의 고혈당증 치료 (당뇨병전기는 이하 '상태 (c)'라 칭함);
(d) 식후(post-randial) 고혈당 치료 (식후 상태는 이하 '상태 (d)'라 칭함).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으로 구성된 고혈당증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고혈당증 예방은 주로 고혈당증 이하 레벨에서 혈당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약제(agent)는 특히 상기 정의된 상태들 (a), (b), (c) 또는 (d) 중 최소한 하나의 경우에서의 고혈당증 예방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으로 구성된 혈당 안정제에 관한 것이다. 혈당 안정은 주로 고혈당증 이하 및 이상 레벨에서 혈당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약제는 특히 상기 정의된 상태들 (a), (b), (c) 또는 (d) 중 최소한 하나의 경우에서의 고혈당증 안정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여러 형상 또는 형태로, 단독 또는 기타 성분, 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료적 활성 성분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형제와 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으로 구성된 고혈당증 치료 제제(preparation)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제는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약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제는 특히 상태들 (a), (b), (c) 또는 (d) 중 최소한 하나의 경우에서의 고혈당증 치료 제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으로 구성된 고혈당증 예방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제는 특히 상태들 (a), (b), (c) 또는 (d) 중 최소한 하나의 경우에서의 고혈당증 예방 제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으로 구성된 혈당 안정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제는 특히 상태들 (a), (b), (c) 또는 (d) 중 최소한 하나의 경우에서의 고혈당증 안정 제제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어느 하나에 의한 제제는 일반적으로 경구투여 제제이다.
제제는 특히 정제, 캡슐, 알약, 파우더, 그래뉼 또는 서스펜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제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료적 활성 약제, 및 특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혈당강하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타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식이무기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제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제는 특히 소화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 건조물 함량 10g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g,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g에 상당하는 투여량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된 여러 실시예들의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의 치료적 조성물 또는 약물(medicament)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의 하나의 조성물 제조로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의 고혈당증 치료를 위한 치료적 조성물 제조에서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은 특히 상태들 (a), (b), (c) 또는 (d) 중 최소한 최소한 하나의 경우에 고혈당증 치료를 위한 치료적 조성물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의 고혈당증 예방을 위한 치료적 조성물 제조에서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은 특히 상태들 (a), (b), (c) 또는 (d) 중 최소한 최소한 하나의 경우에 고혈당증 예방을 위한 치료적 조성물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의 혈당 안정을 위한 치료적 조성물 제조에서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은 특히 상태들 (a), (b), (c) 또는 (d) 중 최소한 최소한 하나의 경우에 혈당 안정을 위한 치료적 조성물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용 조성물이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특히 정제, 캡슐, 알약, 파우더, 그래뉼 또는 서스펜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은 특히 하기 구성된 약제학적 조성물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료적 활성 약제, 특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혈당강하제, 및/또는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타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식이 무기무기질 등.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은 특히 소화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 건조물 함량 10g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g,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g에 상당하는 투여량 형태의 치료적 조성물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혈당증 치료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약제 또는 고혈당증 치료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제를 환자에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 환자의 고혈당증 치료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혈당증 치료방법은 특히 상태들 (a), (b), (c) 및 (d) 중 하나의 경우에 고혈당증 치료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의 고혈당증 치료, 고혈당증 예방 또는 혈당 안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약제 또는 제제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혈당증 예방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약제 또는 고혈당증 예방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제를 환자에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 환자의 고혈당증 예방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혈당증 예방방법은 특히 상태들 (a), (b), (c) 및 (d) 중 하나의 경우에 고혈당증 예방방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혈당 안정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약제 또는 혈당 안정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제를 환자에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 환자의 혈당 안정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당 안정방법은 특히 상태들 (a), (b), (c) 및 (d) 중 하나의 경우에 혈당 안정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약제 또는 제제가 환자에게 경구로 투여되는 이러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방법은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 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g,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g에 상당하는 매일 투여량의 약제 또는 제제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매일 투여량은 단일 투여 또는 단일 순간 투여, 예를 들면 조반시에 투여될 수 있고, 또는 택일적으로 여러 차례 부분 투여 즉 하루에 거쳐 여러 차례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또한 약제 또는 제제 투여 후, 환자 혈당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약제 또는 제제 투여 전 환자 혈당을 측정하는 단계 및 약제 또는 제제 투여 후 환자 혈당을 확인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A. 본 발명에 의한 효모 세포벽 제조방법
중량으로 12% 내지 18% 건조물을 가진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 수성 크림 (즉, 물에서의 효모 서스펜션)이 상기 효모 세포의 내인효소의 조력으로, 택일적으 로 예를 들면 파파인과 같은 외인성 프로테아제를 효모 세모에 추가하여 가수분해가 수행된다. 가수분해는 50℃에서 24시간 동안 수행되어, 효모 세포 건조물 함량의 중량으로 최소한 60% 용해되도록 한다.
실질적으로,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가분해 또는 효소 가수분해는 45℃ 내지 55℃ 에서 18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글루칸 또는 만노프로테인을 용해할 수 있는 어떠한 효소의 사용없이 수행된다.
용해된 분획물은 여러 연속적 원심분리 및 수세척 단계들에 의해 불용성 분획물과 분리된다.
불용성 분획물은 히팅 드럼에서 중량으로 95% 건조물 함량까지 건조된다. 형성된 응집물은 체에서 걸러진다.
이렇게 얻어진 효모 세포벽은:
● 중량으로 95%의 건조물 함량을 가지고:
●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20.2% N×6.25 프로테인 함량을 가지고
● 건조물 기준으로 43% 총 글루칸 및 만난 함량을 가지고
● 건조물 기준으로 중량으로 8% 글리코겐 함량을 가진다.
B. 본 발명에 의한 제제에 의한 고혈당증 예방 및 치료방법
82세 신체장애 환자가 타입 2 당뇨병으로 진단되었다.
요구되는 물리적 운동에 참가할 수 없어, 초기 치료는 저 지방 함량 및 소화가능한 당의 식이요법으로 제한되었다.
이러한 식이요법으로 얻은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요구되는 혈 글루코스 함량은 4.0 내지 7.0 mmol/liter, 바람직하게는 4.2 내지 6.0 mmol/liter 임에도 불구하고, 특히 환자 혈당은 혈 클루코스 함량이 10.0 내지 12.0 mmol/liter로 관찰되었다.
차후에, 상기 언급된 식이요법은 상기 A에서 기재된 효모 세포벽 3 내지 4g을 추가하여 조반 시리얼에 보완되었다.
상기 효모 세포벽의 일차 섭취 후, 환자 혈당은 6mmol 혈 글루코스/리터로 감소되었다.
조반시 매일 3 내지 4g 효모 세포벽 섭취를 계속하여, 환자 혈당은 최소한 4 개월 동안 4.5 내지 6 mmol 혈 글루코스/리터로 유지되었다.
상기 4 개월 동안 초코렛 섭취와 같은 상기 식이요법을 불이행한 후에도 식후 고혈당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부정적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20)

  1. 건조물 기준으로 34.0중량% 또는 이상의 총 글루칸 및 만난, 및 건조물 기준으로 10.0중량% 또는 이하의 글리코겐을 가지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속의 효모 세포벽으로 구성된,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40.0중량% 또는 이상의 총 글루칸 및 만난을 가지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45.0중량% 또는 이상의 총 글루칸 및 만난을 가지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70중량% 또는 이하의 총 글루칸 및 만난을 가지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55중량% 내지 70중량%의 총 글루칸 및 만난을 가지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60중량% 내지 70중량%의 총 글루칸 및 만난을 가지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60중량% 내지 65중량%의 총 글루칸 및 만난을 가지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8중량% 또는 이하의 글리코겐을 가지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5중량% 또는 이하의 글리코겐을 가지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3중량% 또는 이하의 글리코겐을 가지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1.0중량% 또는 이하의 글리코겐 함량을 가지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건조물 기준으로 0.1중량% 또는 이하의 글리코겐 함량을 가지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90중량% 또는 이상의 건조물을 가지는,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94중량% 또는 이상의 건조물을 가지는,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세포벽은 96중량% 또는 이상의 건조물을 가지는,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약제.
  16. 타입 2 당뇨병인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 용도의 제1항의 약제.
  17. 타입 2 당뇨병인 혈당 안정 용도의 제1항의 약제.
  18. 제1항의 약제를 포함하는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제제.
  19. 타입 2 당뇨병인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 용도의 제18항의 제제.
  20. 타입 2 당뇨병인 혈당 안정 용도의 제18항의 제제.
KR1020067002769A 2003-08-11 2004-08-10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효모 세포벽 KR101076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18222 2003-08-11
EP03018222.4 2003-08-11
EP03020253.5 2003-09-08
EP03020253 2003-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432A KR20060037432A (ko) 2006-05-03
KR101076209B1 true KR101076209B1 (ko) 2011-10-24

Family

ID=3427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769A KR101076209B1 (ko) 2003-08-11 2004-08-10 고혈당증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혈당 안정용 효모 세포벽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7459159B2 (ko)
EP (1) EP1663266B1 (ko)
JP (2) JP4808619B2 (ko)
KR (1) KR101076209B1 (ko)
AU (1) AU2004267928B2 (ko)
BR (1) BRPI0413481A (ko)
CA (1) CA2534791C (ko)
DK (1) DK1663266T3 (ko)
EA (1) EA009677B1 (ko)
ES (1) ES2405934T3 (ko)
MA (1) MA28072A1 (ko)
MX (1) MXPA06001741A (ko)
NO (1) NO20061138L (ko)
NZ (1) NZ545594A (ko)
PL (1) PL1663266T3 (ko)
PT (1) PT1663266E (ko)
WO (1) WO2005021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7566A (ja) * 2004-10-20 2006-05-11 Asahi Breweries Ltd 糖代謝改善剤
JP2007195444A (ja) * 2006-01-26 2007-08-09 Asahi Food & Healthcare Ltd ダイエット飲食品
EP2062588A4 (en) * 2006-08-24 2011-06-08 Kirin Holdings Kk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JP5238166B2 (ja) * 2007-02-02 2013-07-17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インターロイキン12産生抑制剤
FR2919187B1 (fr) * 2007-07-25 2009-11-27 Lesaffre & Cie Utilisation d'ecorces de levure pour le traitement et/ou la prevention de l'hyperinsulinemie.
FR2949064B1 (fr) 2009-08-14 2011-10-07 Lesaffre & Cie Nouvelles compositions destinees a la prevention et/ou au traitement du diabete
FR2978967B1 (fr) * 2011-08-09 2020-03-20 Lesaffre Et Compagnie Ecorces de levure enrichies en vitamine d2, compositions les contenan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leurs utilisations et dispositif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MD4216C1 (ro) * 2012-08-15 2013-11-30 Институт Микробиологии И Биотехнологии Академии Наук Молдовы Tulpină de drojdii Saccharomyces cerevisiae - producătoare de manani
JP6932689B2 (ja) * 2016-04-14 2021-09-08 テーブルマーク株式会社 血糖値低下用又はgi値低減用の食品組成物又は組み合わせ
US20190307823A1 (en) * 2016-05-17 2019-10-10 KOHJIN Life Sciences Co., Ltd. Yeast extract having diabetes prevention effect
IT201600069379A1 (it) * 2016-07-04 2018-01-04 Prosol S P A Composizione sostanzialmente costituita da pareti cellulari di lievito e procedimento per la sua preparazione
EP3685681A1 (en) 2019-01-23 2020-07-29 Lesaffre et Compagnie A yeast product,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it, for use as a prebiotic ag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5767A1 (de) * 1998-08-07 2000-02-17 Kulicke Werner Michael Verfahren zur Gewinnung hochmolekularer biologisch aktiver immunmodulierender Polysaccharide aus Hefe Saccharomyces Cerevisiae
EP1094117A1 (fr) * 1999-10-22 2001-04-25 LESAFFRE et Cie Poudre de mannoprotéines soluble
FR2825004A1 (fr) * 2001-05-22 2002-11-29 Bio Springer Produit dietetique satia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4072A (en) * 1980-10-29 1982-05-10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Granule of dietary fiber and its preparation
US4992540A (en) * 1984-11-28 1991-02-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Gluca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S61167622A (ja) * 1985-01-22 1986-07-29 Asahi Breweries Ltd 糖尿病コントロ−ル剤
US4962094A (en) * 1988-10-28 1990-10-09 Alpha Beta Technology, Inc. Glucan dietary additives
WO1996031128A1 (en) * 1993-12-28 1996-10-10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ereal food product high in soluble fiber
DE4413023A1 (de) * 1994-04-18 1995-10-19 Hoechst Ag Verfahren zur Gewinnung eines Faktors mit insulinartiger Wirkung aus Hefeextrakt
AUPN166195A0 (en) * 1995-03-13 1995-04-06 Norvet Research Pty Limited Process for glucan extraction
AUPN398295A0 (en) * 1995-07-05 1995-07-27 Carlton And United Breweries Limited Chemical compound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US5773426A (en) * 1996-06-07 1998-06-30 Masaki Shirota Proteoglucan and antidiabetic drug thereof
DK0928196T3 (da) * 1996-09-25 2004-04-26 Gracelinc Ltd Ekstraktionsprocesser for beta-glucan fra cerealier samt beta-glucanprodukter
AU2001282708B2 (en) * 2000-07-03 2007-01-04 Granate Seed Limited Cold water soluble beta-glucan produc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EP1389466B1 (en) * 2001-04-27 2007-02-21 Ajinomoto Co., Inc. A dispersion on the basis of beta-glucan containing superfine particles, a corresponding process of manufacturing and the use of said dispersion
JP4561098B2 (ja) * 2001-06-01 2010-10-13 味の素株式会社 糖尿病用薬剤
US20030118989A1 (en) * 2001-12-21 2003-06-26 Carsten Rosenow Differential isolation of cellular content for biological assay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5767A1 (de) * 1998-08-07 2000-02-17 Kulicke Werner Michael Verfahren zur Gewinnung hochmolekularer biologisch aktiver immunmodulierender Polysaccharide aus Hefe Saccharomyces Cerevisiae
EP1094117A1 (fr) * 1999-10-22 2001-04-25 LESAFFRE et Cie Poudre de mannoprotéines soluble
FR2825004A1 (fr) * 2001-05-22 2002-11-29 Bio Springer Produit dietetique sati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28072A1 (fr) 2006-08-01
US20060257422A1 (en) 2006-11-16
WO2005021015A1 (fr) 2005-03-10
JP4808619B2 (ja) 2011-11-02
NZ545594A (en) 2009-09-25
EP1663266A1 (fr) 2006-06-07
KR20060037432A (ko) 2006-05-03
DK1663266T3 (da) 2013-05-13
JP2007501829A (ja) 2007-02-01
PT1663266E (pt) 2013-04-30
CA2534791C (fr) 2014-10-28
AU2004267928A1 (en) 2005-03-10
EP1663266B1 (fr) 2013-02-20
PL1663266T3 (pl) 2013-07-31
US20090022758A1 (en) 2009-01-22
MXPA06001741A (es) 2006-05-12
JP2011178794A (ja) 2011-09-15
NO20061138L (no) 2006-05-10
US7459159B2 (en) 2008-12-02
EA009677B1 (ru) 2008-02-28
EA200600402A1 (ru) 2006-08-25
AU2004267928B2 (en) 2010-10-21
ES2405934T3 (es) 2013-06-04
CA2534791A1 (fr) 2005-03-10
BRPI0413481A (pt) 200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2758A1 (en) Yeast cell wall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hyperglycemia or for the stabilization of glycemia
JP5530354B2 (ja) 高インスリン血症の治療および/または予防のための酵母細胞壁の使用
DK2266582T3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DYSBIOSIS IN CONNECTION WITH ENTERAL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CN110787197A (zh) 藜麦麸皮提取物及其提取方法和用途
TW200831114A (en) Activity enhancer for detoxifying enzyme
JP4305785B1 (ja) プリン体吸収抑制剤及び血中尿酸値低減剤
US5773426A (en) Proteoglucan and antidiabetic drug thereof
AU2005242204B2 (en) Remedies for diabetes mellitus
CN100377719C (zh) 用于治疗或预防高血糖症或用于稳定血糖的酵母细胞壁
CN114796308B (zh) 黄杞叶提取物作为α-葡萄糖苷酶抑制剂的应用
JP2006213607A (ja) 尿酸値低下剤
EP4308138A1 (fr) Inhibiteurs glycosidiques de levure
JP2004107281A (ja) 酵母細胞壁を有効成分とする消化管免疫賦活剤および飲食品
TWI487529B (zh) 用於降低胰島素抗性之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