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851B1 -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851B1
KR101075851B1 KR1020080112918A KR20080112918A KR101075851B1 KR 101075851 B1 KR101075851 B1 KR 101075851B1 KR 1020080112918 A KR1020080112918 A KR 1020080112918A KR 20080112918 A KR20080112918 A KR 20080112918A KR 101075851 B1 KR101075851 B1 KR 10107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lock
block body
hole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005A (ko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이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홍 filed Critical 이재홍
Priority to KR102008011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8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5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a general shape differing from that of a parallelepi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7Building elements with the appearance of several br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르타르의 개재 또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결합없이 적층 자체만으로도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를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은, 정육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그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그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의 하중에 의해 그 하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유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전체 높이의 1/2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은,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의 밀착유도홈에 접하여 제 1 측면관통공을 형성하는 관통공형성홈과,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1/2 높이에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며 인접하는 블럭본체의 제 1 측면관통공에 연통되는 제 2 측면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는, 건축용 적층블럭들이 상호 면접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된다.
적층블럭, 수직벽체, 블럭본체, 밀착유도홈, 관통공형성홈, 측면관통공

Description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BRICK FOR CONSTRUCTION AND WALL WITH THE BRICKS}
본 발명은 건축용 적층블럭들 사이를 일체로 접합하는 모르타르의 개재없이도 상호 적층을 통해 수직벽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적층블럭은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 등과 같은 수직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를 축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1열의 건축용 적층블럭을 깐 후 그 위에 시멘트와 모래에 물을 섞어 혼합한 모르타르를 흙손으로 바른 다음 1열의 건축용 적층블럭을 적층한 다음 그 위에 다시 모르타르를 흙손으로 바른 다음 1열의 건축용 적층블럭을 또 다시 적층하는 작업을 수회 반복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모르타르가 경화되면서 건축용 적층블럭들 사이가 일체로 접착됨으로써 수직벽체의 축조가 완성된다.
그러나 모르타르가 제대로 발라지지 않을 경우에는 건축용 적층블럭들 사이의 접착력에 문제가 생기게 되고 그 결과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가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적인 불안정성은 축조된 수직벽체 등의 붕괴를 초래하여 재산적인 손실 뿐만 아니라 인명적인 손실까지 초래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수직벽체를 폐기할 경우에 종래의 건축용 적층블럭들의 파손이 필수불가결한 바, 전량 폐기처분되어 전혀 재활용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최근에는 건축용 적층블럭의 일측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 그에 상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모르타르의 개재없이 인접하는 건축용 적층블럭의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결합에 의해 수직벽체를 형성하는 형태가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건축용 적층블럭은 조립시마다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결합해야 하는 바 실제 시공기간이 더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성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르타르의 개재 또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결합없이 적층 자체만으로도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를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내부로 보강재, 배관 또는 전기배선 등이 설치될 수 있어 그에 상응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육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그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그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의 하중에 의해 그 하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유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전체 높이의 1/2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이격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상단 가장 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의 밀착유도홈에 접하여 제 1 측면관통공을 형성하는 관통공형성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1/2 높이에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며 인접하는 블럭본체의 제 1 측면관통공에 연통되는 제 2 측면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럭본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기배선용 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럭본체의 정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통공에 연통되며 콘센트나 스위치가 설치되는 전기설비설치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팔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그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그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의 하중에 의해 그 하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유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전체 높이의 1/2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이격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의 밀착유도홈에 접하여 측면관통공을 형성하는 관통공형성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럭본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기배선용 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럭본체의 정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통공에 연통되며 콘센트나 스위치가 설치되는 전기설비설치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럭본체는 시멘트, 콘트리트, 황토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로 성형제조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전술한 건축용 적층블럭들이 상호 면접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축용 적층블럭들의 적층에 의해 서로 연통된 제 1 및 제 2 측면관통공 내에는 보강재, 배관 및 전기배선용 파이프 중 하나로 형성되는 내부삽입체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축용 적층블럭들의 적층시 단면적은 동일하나 그 길이가 서로 다른 2종류를 적절히 배열함에 따라 음각 또는 양각의 문자, 기호 또는 도형과 같은 문양이 표시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전술한 건축용 적층블럭들이 상하좌우로 면접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축용 적층블럭들의 적층에 의해 서로 일렬로 배열된 측면관통공 내에는 보강재, 배관 및 전기배선용 파이프 중 하나로 형성되는 내부삽입체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축용 적층블럭들의 적층시 단면적은 동일하나 그 길이가 서로 다른 2종류를 적절히 배열함에 따라 음각 또는 양각의 문자, 기호 또는 도형과 같은 문양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육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건축용 적층블럭에 의하면, 적층을 통해 수직벽체를 구축할 경우 구조적으로 안정한 허니컴 구조를 가지는 수직벽체의 형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블럭본체의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중앙부가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측단면에서 볼 때 건축용 적층블럭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그 상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면접되고, 건축용 적층블럭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는 그 하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면접됨에 따라, 모르타르의 개재 또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결합없이 적층 자체만으로도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를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는 탁월한 효 과가 있다.
또한 밀착유도홈의 형성을 통해 상호 적층시에 자체 탄성에 의한 미세변형을 유도하여 상하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들 사이에 상호간의 밀착이 더욱 확고히 발생되고,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자체 형상에 의해 건축용 적층블럭들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더욱 견고한 수직벽체의 형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벽체에 의하면, 전술한 건축용 적층블럭 자체의 효과 외에도, 밀착유도홈 및 관통공형성홈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측면관통공들과, 블럭본체의 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 2 측면관통공들이 서로 연통되거나 또는 밀착유도홈 및 관통공형성홈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관통공들이 서로 일렬로 배열됨에 따라 그 내부로 보강재, 배관 또는 배선 등과 같은 내부삽입체가 설치될 수 있어, 수직벽체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고, 난방배관이나 전기배선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용 적층블럭들의 적층시 단면적은 동일하나 그 길이가 서로 다른 2종류를 적절히 배열함에 따라 음각 또는 양각의 문자, 기호 또는 도양과 같은 문양이 표시될 수 있어, 수직벽체가 건물외벽을 형성할 경우 그 자체가 일종의 광고패널을 형성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부분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a 내지 도 3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되고,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부분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건축용 적층블럭의 적층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고, 도 6에는 문양이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은 모르타르의 개재 또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결합없이 적층 자체만으로도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100)를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육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그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그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1/2 높이만큼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럭본체(10)와, 블럭본체(10)의 중앙부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10)의 하중에 의해 그 하부에 적층되 는 블럭본체(10)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유도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블럭본체(10)는 수직벽체(100)의 적층시에 각각의 측면들이 인접하는 다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측면들에 서로 대응되게 면접되도록 형성되어 수직벽체(100)의 횡단면이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한 허니컴구조를 형성하도록 정육각형 횡단면을 가진다.
블럭본체(10)는 또한 그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그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1/2 높이만큼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단면에서 볼 때, 건축용 적층블럭(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그 상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면접되고,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는 그 하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면접됨에 따라, 모르타르의 개재 또는 인위적으로 부가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결합없이 적층 자체만으로도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한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럭본체(1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1)을 상호 적층하기만 하면 자연적으로 건축용 적층블럭(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그 상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면접되게 자리를 잡게 됨에 따라, 수직벽체(100)로의 적층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블럭본체(10)는 그 자체 형상에 상응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형틀 내에 시멘트, 콘트리트 또는 황토를 부어 굳혀 제조되거나, 그 자체 형상에 상응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형틀 내로 예를 들어 섬유강화 합성수지와 같은 고강도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럭본체(10)는 도 3a 내지 도 3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벽돌과 같은 작은 크기의 단면적을 가지는 것에서부터 예를 들어 축대용 블럭과 같이 큰 크기의 단면적을 가지는 것에 이르기까지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보다 작은 높이:길이의 비로 성형제조되거나, 또는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1의 높이:길이의 비로 성형제조되거나, 또는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보다 큰 높이:길이의 비로 성형제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중앙부에는 그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유도홈(20)이 수평으로 형성되는데, 이 밀착유도홈(20)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10)의 하중에 의해 눌려질 경우 그 하부면이 그 하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10)의 상부면에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블럭본체(10)가 미세변형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반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원형 또는 직사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유도홈(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을 서로 적층 하더라도 제조상의 공차나 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한 자체변형 등으로 인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접촉면이 완벽하게 밀착되기는 어렵다는 점,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이 시멘트, 콘트리트, 황토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로 성형된 강체라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자체형상으로 인해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점에 착안하여 적용된 것으로, 적층을 통해 그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각각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이 그 하부에 적층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중 및 자체 탄성에 의한 미세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중앙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관통공형성홈(30)이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는데, 이 관통공형성홈(30)은 그 상부에 적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밀착유도홈(20)에 접하여 제 1 측면관통공(A)을 형성함과 동시에 블럭본체(10)의 중앙부의 단면적을 줄임에 따라 적층으로 인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전술한 밀착유도홈(20)에 의해 건축용 적층블럭(1) 사이의 밀착으로 위한 미세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밀착유도홈(20)에 접하여 제 1 측면관통공(A)이 전체적으로 타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밀착유도홈(20)에 상응하는 반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측면관통공(A)이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밀착유도홈(20)에 상응하는 반 원형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 1 측면관통공(A)이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밀착유도홈(20)에 상응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 등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블럭본체(10)의 중앙부의 1/2 높이에는 제 2 측면관통공(40)이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제 2 측면관통공(40)은 인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들로 형성되는 제 1 측면관통공(A)에 연통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내부삽입체(70)의 측면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 측면관통공(A)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블럭본체(10)에는 일측 또는 타측에는 전기배선용 관통공(5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 전기배선용 관통공(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적층을 통해 형성되는 수직벽체(100)에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센트 또는 스위치와 같은 전기설비(3)가 직접 설치될 수 있도록,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시 상호 연통되어 전기설비(3)에 연결되는 전기배선을 설치하기 위한 수직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정면 또는 배면에는 전기설비설치홈(60)이 형성되는데, 이 전기설비설치홈(60)은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전기설비(3)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기배선이 용이하도록 전술한 수직관통공(5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10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1)의 각각의 측면이 그에 인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1)의 측면에 면접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1)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에,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건축용 적층블럭(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그 상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면접되고,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는 그 하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면접됨에 따라, 모르타르의 개재 또는 인위적으로 부가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결합없이 적층 자체만으로도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한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1)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체(100)를 형성하는 건축용 적층블럭들(1)은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수직벽체(100)의 양측에 편평한 수직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적은 동일하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건축용 적층블럭들(1)이 교호적으로 적층됨에 따라 요철무늬가 형성되는 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적절한 배열을 통해 수직벽체(100)의 양측에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문자, 기호 또는 도형과 같은 문양이 표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특히 건축용 적층블럭들(1)의 재질을 달리 할 경우에는 문양의 시인성이 더욱 배가될 수 있다.
특히 건축용 적층블럭들(1)의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건축용 적층블럭(1)의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1/2 높이만큼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건축용 적층블럭(1)의 중앙부에는 그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유도홈(20)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관통공형성홈(30)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중앙부의 1/2 높이에는 제 2 측면관통공(40)이 수평으로 관통형성될 경우에는, 적층에 의해 건축용 적층블럭(1)의 밀착유도홈(20)과 그 하부에 적층되는 건축용 적층블럭(1)의 관통공형성홈(30)이 그 측면에 적층되는 건축용 적층블럭(1)의 제 2 측면관통공(40)에 연통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서로 연통된 제 1 및 제 2 측면관통공(A 및 40) 내로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삽입체(70)가 삽입될 수 있게 되는데, 이 내부삽입체(70)는 상호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들(1)을 관통연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100)의 전체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로도 형성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난방관과 같은 배관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배선용 파이프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부분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9a 내지 도 9c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되고, 도 10a 및 도 10b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부분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11에는 건축용 적층블럭의 적층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고, 도 12에는 문양이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은 모르타르의 개재 또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결합없이 적층 자체만으로도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100')를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팔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그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그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1/2 높이만큼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럭본체(10')와, 블럭본체(10')의 중앙부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10')의 하중에 의해 그 하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10')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유도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블럭본체(10')는 수직벽체(100')의 적층시에 상하좌우 측면들이 인접하는 다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측면들에 서로 대응되게 면접되도록 형성되어 수직벽체(100')의 횡단면이 구조적으로 가장 구조를 형성하도록 정팔각형 횡단면을 가진다.
블럭본체(10')는 또한 그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그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1/2 높이만큼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되 는 바와 같이 측단면에서 볼 때, 건축용 적층블럭(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그 상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면접되고,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는 그 하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면접됨에 따라, 모르타르의 개재 또는 인위적으로 부가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결합없이 적층 자체만으로도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한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럭본체(10')의 형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1')을 상호 적층하기만 하면 자연적으로 건축용 적층블럭(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그 상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면접되게 자리를 잡게 됨에 따라, 수직벽체(100')로의 적층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블럭본체(10')는 그 자체 형상에 상응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형틀 내에 시멘트, 콘트리트 또는 황토를 부어 굳혀 제조되거나, 그 자체 형상에 상응하는 캐비티가 형성된 형틀 내로 예를 들어 섬유강화 합성수지와 같은 고강도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럭본체(10')는 도 9a 내지 도 9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벽돌과 같은 작은 크기의 단면적을 가지는 것에서부터 예를 들어 축대용 블럭과 같이 큰 크기의 단면적을 가지는 것에 이르기까지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도 9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보다 작은 높이:길이의 비로 성형제조되거나, 또는 도 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1의 높이:길이의 비로 성형제조되거나, 또는 도 9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보다 큰 높이:길이의 비로 성형제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중앙부에는 그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유도홈(20')이 수평으로 형성되는데, 이 밀착유도홈(20')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10')의 하중에 의해 눌려질 경우 그 하부면이 그 하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10')의 상부면에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블럭본체(10')가 미세변형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반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원형 또는 직사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유도홈(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을 서로 적층 하더라도 제조상의 공차나 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한 자체변형 등으로 인해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접촉면이 완벽하게 밀착되기는 어렵다는 점,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이 시멘트, 콘트리트, 황토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로 성형된 강체라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자체형상으로 인해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점에 착안하여 적용된 것으로, 적층을 통해 그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각각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이 그 하부에 적층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중 및 자체 탄성에 의한 미세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중앙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관통공형성홈(30')이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는데, 이 관통공형성홈(30')은 그 상부에 적층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밀착유도홈(20')에 접하여 측면관통공(A')을 형성함과 동시에 블럭본체(10')의 중앙부의 단면적을 줄임에 따라 적층으로 인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전술한 밀착유도홈(20')에 의해 건축용 적층블럭(1') 사이의 밀착으로 위한 미세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밀착유도홈(20')에 접하여 측면관통공(A')이 전체적으로 타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밀착유도홈(20')에 상응하는 반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면관통공(A')이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밀착유도홈(20')에 상응하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로 형성될 수도 있고, 측면관통공(A')이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밀착유도홈(20')에 상응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그루브 등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블럭본체(10')에는 일측 또는 타측에는 전기배선용 관통공(5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 전기배선용 관통공(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적층을 통해 형성되는 수직벽체(100')에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센트 또는 스위치와 같은 전기설비(3)가 직접 설치될 수 있도록, 도 10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시 상호 연통되어 전기설비(3)에 연결되는 전기 배선을 설치하기 위한 수직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블럭본체(10')의 정면 또는 배면에는 전기설비설치홈(60')이 형성되는데, 이 전기설비설치홈(60')은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전기설비(3)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 10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기배선이 용이하도록 전술한 수직관통공(5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100')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1')의 상하좌우 측면이 그에 인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1)의 측면에 면접되도록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1')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에,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건축용 적층블럭(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그 상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면접되고, 건축용 적층블럭(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는 그 하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면접됨에 따라, 모르타르의 개재 또는 인위적으로 부가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결합없이 적층 자체만으로도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한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1')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벽체(100')를 형성하는 건축용 적층블럭 들(1')은 도 10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수직벽체(100')의 양측에 편평한 수직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적은 동일하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건축용 적층블럭들(1)이 교호적으로 적층됨에 따라 요철무늬가 형성되는 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적절한 배열을 통해 수직벽체(100')의 양측에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문자, 기호 또는 도형과 같은 문양이 표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특히 건축용 적층블럭들(1)의 재질을 달리 할 경우에는 문양의 시인성이 더욱 배가될 수 있다.
블럭본체(10')의 적층시 밀착유도홈(20')과 관통공형성홈(30')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관통공(A')은 서로 연통가능하게 일렬로 배열됨에 따라, 서로 연통된 측면관통공(A') 내로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삽입체(70')가 삽입될 수 있게 되는데, 이 내부삽입체(70')는 상호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들(1)을 관통연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100')의 전체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로도 형성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난방관과 같은 배관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배선용 파이프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의 적층을 통해 형성되는 수빅벽체(100')의 경우에는 건축용 적층블럭(1')의 사이사이에 마름모골의 빈공간이 형성되는데, 실제 적층시에는 이러한 빈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마름모꼴 횡단면을 가지며 그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그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1/2 높이만큼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 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럭들(도시되지 않음)을 건축용 적층블럭(1')의 사이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 1')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100, 100')의 전체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육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은 적층을 통해 수직벽체(100)를 구축할 경우 구조적으로 안정한 허니컴 구조를 가지는 벽체의 형성이 가능하고, 정팔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은 상하좌우로의 적층을 통해 구조적으로 안정한 수직벽체(100')의 형성이 가능해 진다.
또한 블럭본체(10, 10')의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중앙부가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측단면에서 볼 때 건축용 적층블럭(1, 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그 상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 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면접되고, 건축용 적층블럭(1, 1')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된 오목부는 그 하부에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1, 1')의 상부면 전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면접됨에 따라, 모르타르의 개재 또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결합없이 적층 자체만으로도 건축물의 내벽, 외벽 및 담장과 축대와 같은 수직벽체(1, 1')를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밀착유도홈(20, 20')의 형성을 통해 상호 적층시에 자체 탄성에 의한 미세변형을 유도하여 상하 적층된 건축용 적층블럭들(1, 1') 사이에 상호간의 밀착이 더욱 확고히 발생되고,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자체 형상에 의해 건축용 적층블럭들(1, 1')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더욱 견고한 수직벽체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1, 1')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벽체(100, 100')의 경우에는, 밀착유도홈(20) 및 관통공형성홈(30)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측면관통공들(A)과 블럭본체(10)의 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 2 측면관통공들(40)이 서로 연통되거나, 또는 밀착유도홈(20') 및 관통공형성홈(30')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관통공들(A')이 연통가능하게 일렬로 배열됨에 따라, 그 내부로 보강재, 배관 또는 전기배선용 파이프 등과 같은 내부삽입체(70, 70')이 설치될 수 있어, 수직벽체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고, 난방배관이나 전기배선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건축용 적층블럭들(1, 1')의 적층시 단면적은 동일하나 그 길이가 서로 다른 2종류를 적절히 배열함에 따라 음각 또는 양각의 문자, 기호 또는 도양과 같은 문양이 표시될 수 있어, 수직벽체(100, 100')가 건물외벽을 형성할 경우 그 자체가 일종의 광고패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부분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의 단면구조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에 있어서, 건축용 적층블럭의 적층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문양이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부분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의 단면구조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부분단면도.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에 있어서, 건축용 적층블럭의 적층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문양이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
10, 10' : 블럭본체
20, 20' : 밀착유도홈
30, 30' : 관통공형성홈
A : 제 1 측면관통공
A' : 측면관통공
40 : 제 2 측면관통공
50, 50' : 전기배선용관통공
60, 60' : 전기설비설치홈
70, 70' : 내부삽입체
100, 100' :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Claims (20)

  1. 정육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그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그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럭본체; 및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의 하중에 의해 그 하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유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적층블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전체 높이의 1/2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의 밀착유도홈에 접하여 제 1 측면관통공을 형성하는 관통공형성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적층블럭.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1/2 높이에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며 인접하는 블럭본체의 제 1 측면관통공에 연통되는 제 2 측면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기배선용 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정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통공에 연통되며 콘센트나 스위치가 설치되는 전기설비설치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
  7. 정팔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그 정면과 배면은 일직선 상에 대응되고 그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럭본체; 및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의 하중에 의해 그 하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유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적층블럭.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는 그 정면과 배면에 비해 수직상방으로 전체 높이의 1/2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중앙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럭본체의 밀착유도홈에 접하여 측면관통공을 형성하는 관통공형성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적층블럭.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기배선용 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정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통공에 연통되며 콘센트나 스위치가 설치되는 전기설비설치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는 시멘트, 콘트리트, 황토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로 성형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이 상호 면접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14. 청구항 4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이 상호 면접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건축용 적층블럭들의 적층에 의해 서로 연통된 제 1 및 제 2 측면관통공 내에는 보강재, 배관 및 전기배선용 파이프 중 하나로 형성되는 내부삽입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적층블럭의 일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전기배선용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배선용 관통공이 형성된 건축용 적층블럭의 일부의 정면 또는 배면에는 상기 수직관통공에 연통되며 콘센트나 스위치가 설치되는 전기설비설치홈이 형성되어, 콘센트나 스위치의 설치 및 전기배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적층블럭들의 적층시 단면적은 동일하나 그 길이가 서로 다른 2종류를 적절히 배열함에 따라 음각 또는 양각의 문자, 기호 또는 도형과 같은 문양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17.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이 상하좌우로 면접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18. 청구항 9에 따른 건축용 적층블럭들이 상하좌우로 면접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건축용 적층블럭들의 적층에 의해 서로 일렬로 배열된 측면관통공들에는 보강재, 배관 및 전기배선용 파이프 중 하나로 형성되는 내부삽입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적층블럭의 일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전기배선용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배선용 관통공이 형성된 건축용 적층블럭의 일부의 정면 또는 배면에는 상기 수직관통공에 연통되며 콘센트나 스위치가 설치되는 전기설비설치홈이 형성되어, 콘센트나 스위치의 설치 및 전기배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20.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적층블럭들의 적층시 단면적은 동일하나 그 길이가 서로 다른 2종류를 적절히 배열함에 따라 음각 또는 양각의 문자, 기호 또는 도형과 같은 문양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적층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KR1020080112918A 2008-11-13 2008-11-13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KR101075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18A KR101075851B1 (ko) 2008-11-13 2008-11-13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18A KR101075851B1 (ko) 2008-11-13 2008-11-13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005A KR20100054005A (ko) 2010-05-24
KR101075851B1 true KR101075851B1 (ko) 2011-10-25

Family

ID=4227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918A KR101075851B1 (ko) 2008-11-13 2008-11-13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74B1 (ko) * 2017-10-26 2018-06-19 민남기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4053A1 (fr) 1992-08-07 1994-02-23 Interblocs Sprl Mur assemblé et procéde de construction du mur
EP1380700A1 (en) 2002-07-11 2004-01-14 Marius Maranda Antislip brick particularly suitable for antiseismic constructions
KR200344596Y1 (ko) 2003-12-08 2004-03-18 김성규 건축용 목재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4053A1 (fr) 1992-08-07 1994-02-23 Interblocs Sprl Mur assemblé et procéde de construction du mur
EP1380700A1 (en) 2002-07-11 2004-01-14 Marius Maranda Antislip brick particularly suitable for antiseismic constructions
KR200344596Y1 (ko) 2003-12-08 2004-03-18 김성규 건축용 목재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005A (ko)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070B2 (en) Interlocking mortarless structural concrete block building system
US6363683B1 (en) Insulated concrete form
US20140223848A1 (en) Building block for use in constructing a building
CN110409738B (zh) 一种装配式瓷砖墙面
CN107097331B (zh) 用于浇筑预制墙体的组合式模具、浇筑方法和预制墙体结构
KR101985676B1 (ko) 3차원 프린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0776774B1 (ko)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
KR101075851B1 (ko)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JP2008509302A (ja) 石造建築用ブロック
KR101550183B1 (ko) 건축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속력을 가지는 건축물 벽체 시공 방법
KR20150135659A (ko)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CN210622474U (zh) 一种可循环使用的装配式预制临时围墙
KR100895323B1 (ko) 시멘트블록 및 이 시멘트블록의 조적시공방법
KR100769971B1 (ko)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CN212498240U (zh) 一种用于生产预制构件粗糙面的多功能模块化模板
KR200482818Y1 (ko) 옹벽용 블록 조립체
KR102035495B1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JP3144183U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塀基礎立ち上がり部用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459623Y1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US20150091207A1 (en) Center insulated concrete form
CN107511914B (zh) 用于浇筑预制叠合墙体的组合式模具、浇筑预制叠合墙体结构的方法
KR200223802Y1 (ko) 건축용 무기질 경량패널
KR200192035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옹벽 및 이에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
JP3199083U (ja) 土木建築用組みブロックの中間ユニットブロック体
KR20110101746A (ko) 건축용 벽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