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561B1 - 화상표시시스템, 화상표시장치, 화상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시스템, 화상표시장치, 화상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561B1
KR101072561B1 KR1020067002623A KR20067002623A KR101072561B1 KR 101072561 B1 KR101072561 B1 KR 101072561B1 KR 1020067002623 A KR1020067002623 A KR 1020067002623A KR 20067002623 A KR20067002623 A KR 20067002623A KR 101072561 B1 KR101072561 B1 KR 101072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ject
biometric information
information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105A (ko
Inventor
야스시 미야지마
요이치로 사코
도시로 데라우치
마코토 이노우에
가츠야 시라이
모토유키 다카이
겐이치 마키노
아키코 이노우에
마사미치 아스카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2Computer assisted medical diagno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측정자의 상태를 시인 가능한 상태로 표시하는 화상표시시스템이며, 피측정자는, 휴대단말(10)을 휴대한다. 휴대단말은,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센서(11)와 피측정자의 주위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환경정보센서(12)를 갖추고, 측정한 정보를 네트워크(100)에서 접속된 화상표시장치(20)에 송신한다. 화상표시장치(20)의 CPU(29)는,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로부터 피측정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부(23)에 표시한다.

Description

화상표시시스템, 화상표시장치, 화상표시방법{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피측정자의 상태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표시장치에서 표시하는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방법과, 떨어진 장소에 있는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 2003년 8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2003-295482 및 2004년 4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2004-136918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들 출원은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긴장했을 때에 심박수가 상승하고, 안정되었을 때에 심박수가 안정한다. 심박수는, 심장의 수축리듬이며, 인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인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는, 심박수 외에도 호흡이나 뇌파등 복수 존재한다. 이들 데이터는, 생체데이터로 칭해지며, 인간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의료나 서비스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 환경정보는, 기온의 변화나 바람의 세기등, 인간을 둘러 싸는 주위환경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환경정보는, 생체정보와 동일하게 인간이 놓여져 있는 상태를 알기 위한 정보로서 활용되고 있다.
종래,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를 활용한 장치의 예로서, 특개 2002-282227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욕조 안에 있는 피측정자의 심전도를 계측하고, 이 심전도의 계측결과에 따라 화상을 생성한다고 하는 장치가 있다. 이 장치에서는, 생체정보로서 심전도를 계측하고, 환경정보로서 욕조의 온도를 계측하고 있다. 그리고, 계측동작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화상을 생체정보의 피측정자에 대하여 제시하고, 피측정자가 이 화상을 즐기고 있는 사이에 심전도를 측정한다.
상기 문헌에 개시되는 장치는, 심전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측정하는 생체정보의 종류 및 사용목적이 한정되어 있다. 또 이 장치는, 피측정자가 자신의 심전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피측정자 이외의 사람에게 피측정자의 상태를 통지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생체정보나 환경정보는, 사용자의 감정이나 몸의 상태, 주위환경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생체정보나 환경정보를 활용하면, 피측정자 이외의 사람에게 피측정자의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생체정보는, 수치정보이기 때문에, 그 수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경험과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 생생한 정보가 관측되는 것은, 보여지는 측에 있어서도 고통이다. 또, 피측정자의 몸의 일부나 방의 한 모퉁이에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고, 피측정자의 화상을 촬영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피측정자의 상태를 한눈에 알 수 있지만, 피측정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피측정자의 상태를 시인 가능한 형상으로 표시장치에서 표시하는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방법과, 떨어진 장소에 있는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를 시인 가능한 형상으로 표시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간의 상태나 환경정보를 막연하게 표출하는 화상표시장치, 화상표시시스템 및 화상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시스템은, 생체정보 측정장치와 화상표시장치를 다른 2지점에 배치하고,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측정한 생체정보를 화상표시장치에 송신한다. 화상표시장치는, 생체정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가 송신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이 생체정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방법은,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를 원격으로 송신하고, 이 생체정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나 환경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을 생성하고, 피측정자의 상태를 피측정자와는 다른 지점에 존재하는 화상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생성되는 화상은, 원격지의 피측정자의 상태를 실화상이 아닌, 생체정보나 환경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화상이기 때문에, 정밀한 의료용도와는 달리, 피측정자의 상태를 막연하게 표현할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생성된 화상을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측정자의 상태를 피측정자와는 다른 지점에서 표시할 수 있고, 원격지에서 피측정자의 상태를 아무일 없는 듯 파악할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는, 피측정자의 막연하게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피측정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형태에서 한층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시스템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상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동일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로부터 다른 화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시스템의 다른 예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위치관계를 화상에 반영시킨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데이터의 동기관계를 화상에 반영시킨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피측정자의 감정관계를 화상에 반영시킨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중화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자극제시 디바이스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시청자가 터치패널에 접촉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대응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시청자가 화면에 접촉하고 나서 영역을 특정하기까지의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자극제시 디바이스로의 촉각 제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시스템의 또한 다른 예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시스템의 또한 다른 예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시스템은,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갖춘다.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인물(이하, 피측정자라 한다.)의 생체정보 및 피측정자의 주위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원격지에 존재하는 화상표시장치에 출력한다. 화상표시장치는, 화상표시장치가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화상표시시스템 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생체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에 존재하는 사람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가능하며 생체정보의 측정기능을 갖춘 전자기기(10)와, 이 전자기기(10)에서 측정된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상표시장치(20)를 갖춘다. 전자기기(10)와 화상표시장치(20)는, 서로 네트워크(10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00)로서는, 이른바 인터넷이 이용된다. 전자기기(10)로서, 휴대형 전화기, 휴대형 개인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등, 상시 휴대하여 가지고 걷는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기에는, 이 기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위치에 생체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전자기기로서 휴대형 전화기(10)를 이용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생체센서에는, 휴대형 전화기(10)에 내장된 것과, 휴대형 전화기(10)로부터 분리한 것이 있다. 휴대형 전화기(10)와 분리한 생체센서에는, 의자나 침대, 다른 전자기기등과 인체의 접촉부분에 설치되는 전기 접촉형 센서(11a), 인체 각 부에 직접 장착하여 생체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인체접촉형 센서(11b)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는, 피측정자를 촬상하는 비디오 카메라(11c), 피측정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로폰도 생체센서에 포함된다.
도 2에 나타내는 휴대단말(10)은,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센서(11)와,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환경정보센서(12)와, 프로그램이나 설정정보 등을 기록하는 ROM(Read Only Memory)(13)과, 일시 기억영역으로서의 RAM(Random Access Memory)(14)과, ROM(13)에 기술된 프로그램에 따른 연산 및 휴대단말(10)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5)와,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인터페이스(16)와, 외부의 생체센서(11)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생체정보 수신부(17)를 갖추고, 이들 각 블록은 버스(18)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생체센서(11)는, 생체정보를 측정한다. 생체정보는, 혈압, 맥박, 뇌파등 인체를 구성하는 기관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정보이다. 생체센서(11)는, 휴대단말(10)의 표면이나 휴대단말(10)내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10)의 파지부분에는, 체온계, 맥박계, 발한계등이 설치된다. 휴대단말(10)의 내부에는, 가속도계, 진동계등이 설치된다. 또, 휴대단말(10)의 마이크로폰부분에는, 호흡계가 설치된다.
또, 생체센서(11)는, 사용자 몸의 일부, 가구, 방의 일부등 휴대단말(10)과 다른 위치에도 설치된다. 여러 가지 위치에 생체센서가 설치됨으로써, 또한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몸의 일부에 설치되는 생체센서(11b)에는, 혈류계, 뇌파계, 안구운동센서, 심전계, 진동자이로, 가속도센서, 피부온도센서, 몸움직임 가속도센서, 피부도전율센서, 맥박계, 혈압계, 호흡센서, 동공지름센서, 경사센서, 혈중 산소포화도센서 등이 있다. 혈류계는, 인체에 적외선을 방사하고, 그 적외광의 반사에 의해 뇌내 혈류량이나 혈중산소의 농도를 측정한다. 뇌파계는, 뇌내를 흐르는 전류를 기초로
Figure 112009043931373-pct00001
파나
Figure 112009043931373-pct00002
파등의 뇌파를 측정한다. 안구운동센서는, 두부(頭部)에 설치되어 두부전압을 기초로 안구의 진동주파수성분을 측정한다. 심전계는, 심근이 발신하는 전류를 기초로 심박수를 측정한다. 진동자이로는, 각(角)속도를 기초로 흉부운동이나 호흡수를 측정한다. 피부온도센서는, 체온을 계측한다. 피부도전율센서는, 피부전기저항을 기초로 발한량을 측정한다. 호흡센서는, 사용자의 복·흉부에 휘감아 그 호흡에 따른 압력변동을 검출한다. 경사센서는, 몸 각 부의 기울기를 기초로 체위를 측정한다.
또, 가구나 마루면에 설치하는 생체센서(11a)에는, 서모그래피, 체동계, 호흡계, 맥박계등이 있다. 소파나 침대등에 설치하는 생체센서(11)는, 소파나 침대의 탄성체를 거쳐서 전달되는 인체에 의한 압력변화의 패턴을 기초로 맥박, 호흡, 몸의 움직임을 추출한다. 서모그래피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인체의 온도분포를 측정한다. 피측정자의 영상이나 음성을 수집하는 생체센서(11c)에는, 비디오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이 있다. 비디오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동작, 표정의 변화, 안구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사람의 소리를 수집한다. 이들의 셍체센서(11)는, 적외선 혹은 무선을 거쳐서 측정한 생체정보를 휴대단말(10)에 송신한다.
환경정보센서(12)는, 측정자의 주위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환경정보센서(12)에는, 명도계, 가스센서, 온도계, 기압계, 고온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등이 있다. 명도계는 피측정자의 주위의 밝기를 측정하고, 가스센서는 냄새를 측정한다. GPS는, 위성에서의 전파를 기초로 피측정자가 존재하는 위치의 위도경도를 측정한다. 휴대단말(10)은, 네트워크(100)를 거쳐서 환경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100)를 거쳐서 취득하는 환경정보에는, 날씨, 연령, 적설량, 강우량, 대기오염도, 풍속등이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는, 생체센서(11)가 측정한 생체정보와, 환경정보센서(12)가 측정한 환경정보를 화상표시장치(20)에 송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6)의 송신처리는, CPU(15)가 제어하고 있다. CPU(15)는,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송신하는 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타이머의 값을 트리거로서, 통신인터페이스(16)에 지시신호를 출력한다.
화상표시장치(20)는, 휴대단말(10)로부터 수신한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한다. 화상표시장치(20)는, 비디오나 휴대전화, 퍼스널 컴퓨터등 표시화면과 정보처리부를 갖춘 장치여도 좋고, 전용장치여도 좋다.
도 3은 화상표시장치(2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다. 화상표시장치(20)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21),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2),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3), 프로그램이나 설정정보를 기록하는 ROM(24), CPU(29)의 작업영역으로서의 RAM(25),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는 디바이스 드라이버(26), 소정의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27)와,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기억부(28)를 갖추고, 이들 각 블록은 버스(20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CPU(29)는, 생체정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대범한 감정이나 동작을 추측하고,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한다. 생성한 화상은, 피측정자의 상태를 추상화 및 상징화한 것이다. 즉, 화상표시장치(20)가 생성하는 화상은, 피측정자의 대범한 감정이나 동작을 표현하지만, 리얼한 묘사는 하지 않는다. 이 발명에서는, 피측정자의 막연하게 한 화상을 생성하고, 아무렇지 않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생성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피측정자를 물고기로 표현한다. 화상기록부(28)에는,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프로그램과,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현하는 물고기의 화상이 복수 격납되어 있다. 물고기의 화상은, 예를 들면, 물고기가 먹이를 먹고 있는 화상, 물고기가 힘차게 수영하고 있는 화상, 수면중 물고기의 화상등이 있다. 또, 화상기억부(28)에는, 배경화상이 복수 격납되어 있다. 배경화상에는, 맑은 물, 탁한 물, 흐름이 심한 물, 밤의 수중등이 있다.
CPU(29)는, 생체정보나 환경정보로부터 피측정자의 상태를 추측하고, 이 상태를 표현하는 물고기의 화상을 선택한다. 상태의 추측방법을 설명한다. 피측정자의 상태에는 희노애락등의 감정, 상쾌 불쾌와 같은 감각, 식사, 이동, 수면등의 동작이 있다.
감정, 감각, 동작의 추측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피부저항을 기초로 놀람, 공포, 불안이라고 하는 감정을 추측할 수 있다. 또, 심박수와 체온이 상승하고, 심전도 주파수가 상승했을 때, 기쁨이라고 하는 감정을 추 측할 수 있다. 또한, 정신적, 심리적으로 안정한 상태에 있는 경우는, 말소 혈관이 확장하고, 동맥혈이 유입하기 때문에, 심박수나 맥박은 천천히 변화를 나타내고, 체온은 상승경향에 있다. 또 정신적, 심리적으로 높은 긴장상태에 있는 경우는, 말소 혈관이 수축하고, 동맥혈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심박이나 맥박은 빨라지고, 체온은 하강경향에 있다. 또한, 사람은 긴장하면 손에 땀을 흘리는 피부전기반사의 값, 심박수, 호흡사이클 흔들림의 폭등에 차가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 불쾌한 상황에서는, 손끝과 손바닥 혹은 코 머리부분과 이마의 온도차가 크게 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뇌파로부터 희노애락을 추정하는 방법도 이미 발표되어 있다. 이들 생리지표와 함께 표정에 있는 근전의 변화나 화상에 의한 표정인식, 가속도센서, 경사센서에 의한 자세인식, 음성인식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노여움이나 슬픔등의 감정을 평가할 수 있다.
이상, 감정, 감각, 동작의 추측방법의 일예를 설명했지만, 추측의 정밀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고, 복수의 생체정보로부터 이들 추측을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동작의 추측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람의 동작은,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을 기초로 추측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는, 피측정자의 두부(頭部)나 방의 한모퉁이에 설치된다. CPU(15)는, 비디오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을 기초로 피측정자의 주위에 존재하는 물체나 피측정자의 동작을 추측할 수 있다. 또, 피측정자의 동작은, 피측정자의 위치에서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사에 있을 때에는 일을 하고, 병원에 있을 때에는 컨디션이 나쁘며, 체 육관에 있을 때에는 운동하고, 레스토랑에 있을 때에는 식사를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피측정자의 위치정보에서만, 동작을 특정하는 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CPU(15)는,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나 환경정보와 복합한 정보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동작을 추측한다. 예를 들면 체온이 높은 피측정자가 병원에 있는 경우, 피측정자가 병이 있다고 추측하고, 체육관에 있는 피측정자의 체온이 서서히 상승하면 피측정자가 운동중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피측정자의 주위 음성에서 피측정자의 동작을 추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집한 소리의 음질이나 음정등으로부터 주위에 뭔가 존재하는가를 추측하거나, 사람의 소리를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하여 피측정자의 동작을 추측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CPU(29)는, 피측정자의 감정, 감각, 동작을 추측한다. 그리고, CPU(29)는, 피측정자의 상태에 따른 화상을 생성한다. 화상의 생성방법에는, 피측정자의 상태와 화상을 관련짓는 테이블을 ROM(24)에 격납하고, 이 테이블에 따라 화상기억부(28)에 격납된 화상을 선택하는 방법이나 감정, 감각, 동작등의 상태의 입력에 대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방법등이 있다. 어떠한 방법이더라도 생성된 화상은, 피측정자의 상태를 상기시키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피측정자가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하고 있을 때에는, 물고기가 먹이를 먹고 있는 화상을 생성하고, 기분이 좋아지지 않을 때에는 탁한 물의 배경화상과 물속 깊이 가라앉은 물고기의 화상을 생성한다. 또, 피측정자가 활발하고 원기 좋을 때에는, 맑은 물의 배경화상과 힘차게 수영하고 있는 물고기의 화상을 생성한다. 또, 맑은 날에는, 맑은 물속의 배경화상을 생성하고, 기온이 높은 날 에는 조금 올린 물고기의 화상을 생성한다.
CPU(29)는, 물고기의 움직임, 물의 움직임, 수중 거품의 수나 크기, 물의 탁한 상태등의 상세한 움직임을 제어한다. 이 움직임의 제어에는, 생체정보나 환경정보에 무상관인 요소가 들어 있어도 좋다. 또, CPU(29)는, 생체정보나 환경정보에 관계없이, 화상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것도 있다. 화상의 자동생성은, 피측정자가 생체정보의 측정을 거부하고 있을 때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없을 때나 전송로의 불편함에 의해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수신할 수 없을 때에 실행된다.
CPU(29)는, 화상을 표시부(23)에 표시시킨다. 표시부(23)에는,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화상이 표시되지만, 이것은, 리얼한 화상이 아니라, 피측정자의 상태를 애매하게 표현한 화상이다. 이 화상은, 추상적이기 때문에, 상시 표시하고 있어도 피측정자의 프라이버시에 깊이 들어가지 않고 장시간 관찰해도 불쾌하지 않게 된다. 이 화상에서 생물이나 풍경등으로 표현하면, 사진액자나 회화와 같이 거실벽이나 가구위에 설치할 수 있다. 또, 휴대단말(10)에 화상을 표시시키면, 피측정자의 상태를 상시 관찰할 수 있다.
표시부(23)에 표시되는 화상은, 물고기로 한정되지 않고, 개나 고양이등의 다른 생물, 컴퓨터 그래픽등이여도 좋고, 동시에 음성출력부(22)에 의해 샘플링된 음성, 합성된 음성등을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표시화상은, 선택할 수 있다. 화상기억부(28)에는, 여러 가지 화상이나 음성이 격납되어 있다. 화상표시장치(20)는, 표시화상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내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 에서는, 물고기를 표시한 화면(23a)과 고양이를 표시한 화면(23b)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화상은, 표시내용이 다르지만, 동일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기초로 생성된다. 표시화상은, 사진과 같이 리얼한 화상이여도 좋고, 애니메이션처럼 데포르메(deformer)한 것이여도 좋다. 어느것으로 해도, 피측정자의 상태를 상기하기 쉬운 화상이면 좋다.
표시화상은, 미리 화상기억부(28)에 기록하고 있어도 좋고, 네트워크(100)나 기록매체를 거쳐서 외부로부터 취득해도 좋다. 화상기억부(28)에 격납되어 있지 않는 표시화상을 외부로부터 취득하도록 하면, 표시할 수 있는 화상의 바리에이션(variation)이 다양화하고, 화상을 판매하는 비지니스를 전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표시시스템(1)에서는, 피측정자의 상태를 원격지에 존재하는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피측정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은, 막연하게 한 화상이며, 보는 측에서도 보여지는 측에서도 불쾌감을 주지않고 피측정자의 대범한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 화상표시시스템(1)은, 원격지에 사는 노인이나 멀리 외출한 아이의 감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이 화상표시시스템(1)에서는, 인간의 상태의 변화를 실화상이 아닌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
이 화상표시시스템은, 피측정자의 상황을 화상으로 표현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지만, 이 화상은 관상용 화상으로 되며 엔터테인먼트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수의 피측정자의 화상을 하나의 화상표시장치(20)에 표시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휴대단말(10) 에서 서버(30)에 대하여 피측정자의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집적된다. 서버(30)는, 휴대단말(10)에서 전송된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다중화하여 화상표시장치(20)에 전송한다. 또한, 하나의 화상표시장치(20)에 피측정자의 정보를 집적하는 경우, 서버(30)는, 불필요하다.
화상표시장치(20)는, 피측정자의 관계를 화상에 반영시킨다. 피측정자의 관계에서는, 위치관계, 데이터의 동기관계, 피측정자의 환경관계, 피측정자의 감정관계등이 있다. 위치정보는 GPS가 측정한다. 도 6은, 좌측에 피측정자끼리의 지도상의 위치관계를 묘화하고, 우측에 위치관계를 반영한 화상을 묘화하고 있다. 화상표시장치(20)에는, 소정의 룰에 따라 위치관계를 화상변화에 반영한다. 이 룰은, 프로그램이라는 형으로 화상표시장치(20)의 ROM(24)이나 RAM(25)에 격납되어 있다. CPU(29)는, 프로그램을 이해하여 화상을 변화시킨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피측정자를 어느 오브젝트, 예를 들면, 여기서는 해파리등을 대응짓는다. 그리고,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피측정자의 오브젝트를 근접하여 표시시킨다. 또, 이 프로그램에서는, 피측정자와 화상표시장치(20)와의 거리에서 오브젝트의 사이즈를 결정한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화상표시장치(20)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피측정자의 오브젝트를 크게, 먼 위치에 존재하는 피측정자의 오브젝트를 작게 표시시킨다.
도 6의 예에서는 피측정자(A, B)에 대응하는 해파리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며, 피측정자(C)에 대응하는 해파리가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또, 피측정자(A, B)는 화상표시장치(20)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므로, 피측정자(A, B)에 대응하는 해파리를 크게 표시하고, 피측정자(C)에 대응하는 해파리를 작게 표시하고 있다.
화상표시장치(20)는, 피측정자의 위치정보를 간단한 룰에 적용하여 피측정자끼리의 관계나 피측정자와 화상표시장치(20)의 관계를 화상에 반영시킨다. 피측정자의 자발적인 이동은, 독립한 사상(事象)이지만, 룰을 적용함으로써 관계성이 태어난다.
화상표시장치(20)는, 데이터의 동기관계를 화상생성에 반영한다. 여기서, 참조되는 데이터는, 호흡, 심박, 보행리듬, 동작등 소정의 주기로 발생 또는 변화하는 데이터이다. 화상표시장치(20)는, 이와 같은 데이터가 우연히 동기했을 때, 동기한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생성한다. 도 7의 좌측 도면은 피측정자(D, E)의 심빅수가 동기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도 7의 우측 도면은 피측정자(D, E)에 대응하는 해파리가 협조하여 춤을 추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도 심박수를 입력하고, 춤을 추는 화상을 생성한다고 하는 룰이 적용하고 있다.
환경관계란, 환경정보의 차이등이다. 명도, 온도, 기압, 고온, 날씨등의 환경정보는, 환경정보센서(12)에서 측정할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20)는, 피측정자의 주위 온도차가 심한 만큼 표시하는 해파리의 행동이 심하거나, 피측정자가 있는 장소의 날씨가 나쁘면, 물결이 큰 파도의 화상을 표시하거나, 흐린 물을 표시하거나 한다.
화상표시장치(20)는,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나 환경정보로부터 피측정자의 감정이나 기분을 추측하고, 피측정자의 감정관계를 화상에 반영시킨다. 감정 추측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도 8은, 상쾌 불쾌라는 기분을 화상에 반영시킨 모식 도이다. 화상표시장치(20)는, 피측정자의 기분이 상쾌한지 불쾌한지에 따라 그룹을 나눈다. 상쾌그룹에 속하는 피측정자에 대응하는 해파리를 협조하여 움직이게 하거나, 근접하게 한다. 한편, 불쾌그룹에 속하는 피측정자에 대응하는 해파리를 적대시키거나, 서로 떨어지게 하거나, 공격적으로 하게 하거나 한다.
이상과 같이 화상표시장치(20)는, 복수의 피측정자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들 피측정자의 관계에서 화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나 환경정보이다. 화상표시장치(20)는,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피측정자의 관계를 구하고, 이 관계를 화상에 반영시키는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다. 입력되는 데이터나 관계, 화상으로의 반영방법등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데이터로부터 관계를 구하고, 이 관계를 화상에 반영시킨다고 하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피측정자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30)는, 휴대단말(1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다중화한다. 다중화 된 정보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패킷(40)으로부터 구성된다. 각 패킷(40)은, 통신헤더(41)와 데이터부(42)로 이루어진다. 통신헤더(41)에는, 통신처와 송신원의 어드레스와 같은 통신제어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데이터부(42)는, 데이터헤더(43)와, 데이터 격납부(44)로 구성된다. 데이터헤더(43)는, 피측정자의 ID(45), 시간적 동기(同期)를 취하기 때문에 타임스탬프(46), 정보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정보카테고리(47),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종코드(48)로 구성된다. 정보카테고리코드(47)란, 데이터 격납부(44)에 격납되는 데이터가 생체정보, 환경 정보의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장래 새로운 정보카테고리가 측정되도록 된 경우에는 이 코드를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보종코드(48)는, 데이터 격납부(44)에 격납된 정보가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예를 들면, 「심박수」「근전」「호흡」을 「H23」「H24」「H25」, 「기온」「습도」「날씨」를 「K11」「K12」「K13」이라는 코드로 나타낸다.
데이터 격납부(44)에는, 정보종코드(48)에서 나타낸 항목의 실제값이 들어간다. 예를 들면, 정보종코드(48)가 「맥박」이면 「72」등의 수치가 들어가고, 정보종코드(48)가 「날씨」이면 「맑음」을 나타내는 수치 혹은 문자열이 들어간다. 이 필드는 가변장이며, 데이터 격납부(44)의 선두에는 데이터 격납부 자신의 길이를 나타내는 수치가 들어간다.
화상표시장치(20)는, 피측정자의 ID를 기초로 데이터를 이중화 분리한다. 그리고, 타임스탬프를 기초로 정보를 시계열로 정열한다. 화상표시장치(20)는, 피측정자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화상의 생성방법은,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명의 피측정자가 각각 휴대단말(10a, 10b, 10c)을 휴대하고, 3개의 휴대단말(10a, 10b, 10c)이 서버(30)에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서버(30)는 수신한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다중화하고, 화상표시장치(20)에 송신한다. 화상표시장치(20)는, 3명의 피측정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하나의 표시부(23)에 표시시키고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데이터 전송의 중계장치로서 서버(30)를 배치했지만, 서버(30)를 배치하지 않고, 휴대단말(10)과 화상표시장치(20)가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서버(30)가 생성하는 패킷의 구성이나 데이터 식별자의 코드 등도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각 피측정자를 의사생물로 표현했지만, 실제로는, 각 피측정자의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기초로 하나의 생체 또는 생물을 표현해도 좋다. 예를 들면, 1대 비행기의 엔진, 비행기의 꼬리날개, 비행기의 주날개의 움직임을 각각 다른 피측정자에게 할당되고, 1대 비행기의 비행을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현방법도 가능하다. 또, 혹은, 볼의 색, 크기, 탄력 등 운동상태로 표현하는 것도 고려된다.
다음으로, 화상의 시청자와, 피측정자가 서로 작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시청자가 피측정자의 피부감각(특히, 촉각)에 자극을 준다.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는, 자극에 의해 변화하고, 이 변화에 의해 피측정자를 나타내는 화상도 변화한다. 실시예 3에서는, 피측정자와 시청자와의 사이의 피드백 루프가 형성된다.
피측정자에게는, 피부에 자극을 주는 자극제시 디바이스(90)가 설치된다. 도 10은, 자극제시 디바이스(90)의 설치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자극제시 디바이스(90)는, 피측정자의 몸의 한개 이상의 개소에 설치된다. 자극제시 디바이스(90)는, 원격지에서 입력한 촉각신호를 물리적인 자극으로 변환한다. 촉각신호는, 휴대단말(10)에서 입력한다. 휴대단말(10)과 자극제시 디바이스(90)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자극제시 디바이스(90)는, 촉각자극을 제시하기 때문에, 엑추에이터나 모터에 의한 진동, 저주파치료기에 이용되는 바와 같은 전기자극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에게 자극을 준다. 또한, 자극제시 디바이스(90)를 특별히 설치하지 않아도, 휴대단말(10)의 바이브레이션기능에 의해 자극을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제시장치(20)의 표시부(23)에는, 터치패널(91)이 설치되어 있다. 터치패널(91)은 저항값이나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입력을 감지하는 것, PVDF(폴리플루오르화비니리덴) 등의 압전소자를 이용해도 좋다. 저항값이나 압전소자를 사용한 터치패널의 경우, 촉각의 세기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피측정자는, 어느 오브젝트(여기서는, 해파리)와 대응지어지고 있다. 표시부(23)에는, 피측정자와 같은 수의 해파리가 표시된다. 각 해파리는 각각 한장의 레이어상에 묘화되어 있다. 레이어를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해파리가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패널(91)에 접촉하면, 화상표시장치(20)는, 접촉한 부분의 좌표(P)를 얻는다. 화상표시장치(20)는, 오브젝트의 좌표와 점(P)을 비교하고, 점(P)이 오브젝트에 포함되는지 판별한다. 이 판별은, 가장 구석의 레이어에 순서로 행해진다. 가장 앞의 레이어까지 비교하면, 화상표시장치(20)는, 최후에 점(P)을 포함하는 오브젝트로 판별된 오브젝트를 접촉한 오브젝트라고 판정한다.
접촉한 오브젝트가 회전하고 있을 때, 화상표시장치(20)는, 오브젝트의 정규화를 행한다. 화상표시장치(20)는, 오브젝트로 판정하면, 사용자가 오브젝트의 어느 부위에 접촉했는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을 행하기 위해서, 오브젝트를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대응표(92)에는, 영역의 좌표와, 촉각자극을 주는 대응부위의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도 13은, 시청자가 화면에 접촉하고 나서, 영역을 특정하기까지의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영역(a)은 해파리의 두부에 대응하고, 영역(b)은 해파리의 흉부에 대응하고, 영역(c)은 해파리의 복부에 대응하고, 영역(d)은 해파리의 발 윗부분에 대응하고, 영역(e)은 해파리의 발 아랫부분에 대응한다. 이 예에서는, 시청자가 접촉한 점(P)은 영역(d), 즉 발 윗부분에 포함된다.
또한, 이 대응표(92)는, 터치패널(91)을 장비한 화상표시장치(20)상에서 표시하는 화상데이터와 함께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데이터를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예를 들면 고양이 화상으로 했을 경우에는, 동시에 대응표도 다운로드된다. 촉각자극을 주는 부위는, 각 위치마다 한결같은 코드가 부여되어 있고, 표시화상이 해파리이어도 고양이이어도 대응부위의 코드는 변하지 않는다. 이 예에서는, 두부는 0×01, 흉부는 0×02등으로 정해져 있다. 대응부위의 코드는 2의 n승으로 되어 있고, 동시에 복수의 촉각자극 디바이스에 대응시킬 수 있다. 대응부위는, 이 예에서는 5종류밖에 없지만, 코드가 겹쳐지지 않으면 얼마든지 늘려도 좋다. 단, 이 번호는 한결같기 때문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코드와 중복해서는 안 된다.
화상표시장치(20)는, 대응부위를 구하면, 접촉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피측정자에 대하여, 대응부위의 코드 및 자극의 세기, 자극타입등을 정리한 촉각신호를 원격지에 있는 휴대단말(10)에 송신한다. 휴대단말(10)은, 촉각신호를 수신하면 자극제시 디바이스(90)를 구동하고, 피측정자에게 물리적인 피부자극을 제시한다. 도 14는, 화상표시장치(20)에서 자극제시 디바이스(90)로 촉각 전달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자극타입은, 엑추에이터의 진동패턴이나 전기자극 등의 자극종류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이 파라미터에 의해 엑추에이터의 진동주파수를 바꾸거나, 진동리듬, 전기자극의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고, 단일이 아닌 자극패턴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표시 시스템(3)은, 특정 피측정자의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불특정다수의 화상표시장치(20)에 분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때, 화상생성 시스템(3)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측정자의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50)와,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다수의 화상표시장치(20)에 송신하는 서버(60)와,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기초로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표시장치(20)로 이루어진다.
생체정보 측정장치(50)는, 상술한 휴대단말(10)과 대략 같은 구성이다. 화상표시시스템(3)에서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인 정보를 다수의 사람들에게 분배하기 위해, 휴대단말과 같이 상시 휴대하지 않고, 어느 정도 공진성이 높은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개인의 승낙을 얻으려면, 개인적인 생체정보를 분배해도 좋다.
이 시스템은, 불특정다수의 사람이 바라는 생체정보, 예를 들면 콘서트중 뮤지션이나 시합중 스포츠선수의 생체정보나 환경정보의 분배에 이용된다. 뮤지션 이나 스포츠선수의 생체정보나 환경정보를 분배함으로써, 일하는 곳에서 실제 스포츠를 관전할 수 없는 상황이라도, 시합의 대강의 흐름을 파악하거나, 비디오 화상에서는 보이지 않는 스포츠선수의 감정변화등을 관찰 할 수 있다.
계속하여, 측정한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리얼타임으로 재생하지 않고, 과거에 측정된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기초로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표시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미 측정된 생체정보나 환경정보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100)상의 생체정보 격납서버(70) 혹은 CD-ROM이나 반도체 메모리모듈 등의 기록매체(80)에 기록되어 있다. 화상표시장치(20)는, 이들 생체정보나 환경정보를 기초로 화상을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몇 번이라도 같은 영상을 즐길 수 있다. 또, 생체정보나 환경정보만을 미리 예측해 두고, 시간의 여유가 있을 때에 표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인의 생체정보를 생전에 기록해 두고, 생전의 모습을 상징적인 화상에 의해 적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의 청구범위 및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치환 또는 그 동등의 것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밝혀진 것이다.

Claims (24)

  1.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 측정수단과,
    상기 생체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춘 생체정보 측정장치와,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복수의 피측정자의 생체정보의 관계성을 기본으로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생성수단과,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춘 화상표시장치를 갖추고,
    상기 생체정보 측정수단과 화상표시장치는 다른 지점에 존재하고,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생성수단은, 상기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상기 피측정자의 주위 환경을 정량적(定量的)으로 측정하는 환경정보 측정수단을 갖추고,
    상기 화상생성수단은, 상기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상태 및 주위 환경을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각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의사생물을 생성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복수의 의사(擬似)생물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생성수단은, 복수의 피측정자의 환경정보의 관계성을 화상의 변화에 반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표시수단에 대한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검출수단과, 상기 접촉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접촉신호를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접촉신호 송신수단을 갖추고,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상기 접촉신호를 수신하면 피측정자의 피부감각에 자극을 주는 피부자극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자극수단은, 진동, 전기자극, 마찰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피부자극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내는 독출수단을 갖추고,
    상기 화상생성수단은, 상기 독출수단이 읽어 낸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상태 및 피측정자의 주위 환경을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음성을 생성하는 음성생성수단과 상기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시스템.
  11.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는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로부터 송신된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생체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생체정보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복수의 피측정자의 생체정보의 관계성을 기본으로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생성수단과,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상기 피측정자의 주위 환경을 정량적(定量的)으로 측정하는 환경정보 측정수단을 갖추고,
    상기 화상생성수단은, 상기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상태 및 피측정자의 주위 환경을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또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내는 독출수단을 갖추고,
    상기 화상생성수단은, 기록매체에 미리 기록된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상태 및 피측정자의 주위 환경을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생체정보 측정장치로부터 다른 복수의 피측정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화상생성수단은, 각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각 피측정자의 상태를 표출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5. 삭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생성수단은, 복수의 피측정자의 환경정보의 관계성을 화상의 변화에 반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표시수단에 대한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검출수단과, 상기 접촉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접촉신호를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접촉신호 송신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내는 독출수단을 갖추고,
    상기 화상생성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에 미리 기록된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상태 및 피측정자의 주위 환경을 표출하는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67002623A 2003-08-19 2004-08-13 화상표시시스템, 화상표시장치, 화상표시방법 KR101072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95482 2003-08-19
JP2003295482 2003-08-19
JPJP-P-2004-00136918 2004-04-30
JP2004136918A JP3931889B2 (ja) 2003-08-19 2004-04-30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105A KR20060058105A (ko) 2006-05-29
KR101072561B1 true KR101072561B1 (ko) 2011-10-11

Family

ID=3419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623A KR101072561B1 (ko) 2003-08-19 2004-08-13 화상표시시스템, 화상표시장치, 화상표시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31656B2 (ko)
EP (3) EP1656880A4 (ko)
JP (1) JP3931889B2 (ko)
KR (1) KR101072561B1 (ko)
AU (1) AU2004264761A1 (ko)
HK (1) HK1095506A1 (ko)
SG (1) SG142298A1 (ko)
WO (1) WO2005016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4078A (ja) * 2005-04-06 2006-11-16 Sony Corp 撮像装置、音声記録装置および音声記録方法
US8083589B1 (en) * 2005-04-15 2011-12-27 Reference, LLC Capture and utilization of real-world data for use in gaming systems such as video games
US20060277466A1 (en) * 2005-05-13 2006-12-07 Anderson Thomas G Bimodal user interaction with a simulated object
JP4640953B2 (ja) * 2005-05-30 2011-03-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心理状態分析装置
JP3762966B1 (ja) * 2005-07-20 2006-04-05 クオリティ株式会社 体調管理用携帯端末装置および体調管理プログラム
US8033996B2 (en) * 2005-07-26 2011-10-11 Adidas Ag Computer interfaces including physiologically guided avatars
JP5065275B2 (ja) 2005-09-02 2012-10-31 エムセンス コーポレイション 組織内の電気的活動を検知する装置及び方法
CN102908130B (zh) * 2005-11-29 2015-04-22 风险获利有限公司 用于监测人体健康状态的设备
KR100759806B1 (ko) * 2005-12-08 2007-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열 스트레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 스트레스 관리 방법
JP4615474B2 (ja) * 2006-04-07 2011-01-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端末、ユーザデータ移動システム及びユーザデータ移動方法
JP5092357B2 (ja) 2006-11-07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表示装置、撮像表示方法
JP5023663B2 (ja) 2006-11-07 2012-09-12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
KR100948050B1 (ko) * 2006-11-23 2010-03-19 주식회사 메디슨 휴대용 초음파 시스템
JP4961984B2 (ja) * 2006-12-07 2012-06-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表示方法
US8157730B2 (en) 2006-12-19 2012-04-17 Valencell, Inc.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8652040B2 (en) 2006-12-19 2014-02-18 Valencell, Inc. Telemetric apparatus for health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US9215996B2 (en) 2007-03-02 2015-12-22 The Nielsen Company (U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objectively determining human response to media
US8230457B2 (en) 2007-03-07 2012-07-24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coherence of biological responses as a measure of performance of a media
US8473044B2 (en) 2007-03-07 2013-06-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nd ranking a positive or negative response to audiovisual or interactive media, products or activities using physiological signals
US8782681B2 (en) 2007-03-08 2014-07-1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rating media and events in media based on physiological data
US8764652B2 (en) * 2007-03-08 2014-07-01 The Nielso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nd ranking an “engagement” response to audiovisual or interactive media, products, or activities using physiological signals
US8926432B2 (en) * 2007-03-12 2015-01-06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Feedback controller
US20090233710A1 (en) * 2007-03-12 2009-09-17 Roberts Thomas J Feedback gaming peripheral
JP4367663B2 (ja) 2007-04-10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506795B2 (ja) 2007-08-0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生体運動情報表示処理装置、生体運動情報処理システム
US8221290B2 (en) 2007-08-17 2012-07-17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with electronic gaming features, and applications thereof
US8251903B2 (en) 2007-10-25 2012-08-28 Valencell, Inc. Noninvasive physiological analysis using excitation-sensor module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8072432B2 (en) * 2008-01-15 2011-12-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mage sense tags for digital images
US9727139B2 (en) 2008-12-12 2017-08-08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haptic monitoring system using multiple sensors
US20100152620A1 (en) * 2008-12-12 2010-06-17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Haptic Monitoring System Using Multiple Sensors
US8700111B2 (en) 2009-02-25 2014-04-15 Valencell, Inc. Light-guiding devices and monitoring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8788002B2 (en) 2009-02-25 2014-07-22 Valencell, Inc. Light-guiding devices and monitoring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9750462B2 (en) 2009-02-25 2017-09-05 Valencell, Inc.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and/or environmental conditions
JP5493456B2 (ja) * 2009-05-01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493455B2 (ja) * 2009-05-01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WO2010136913A1 (en) 2009-05-28 2010-1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s for arranging media items in a physical space based on personal profiles
US20110045736A1 (en) * 2009-08-20 2011-02-24 Charles Randy Wooten Effect Generating Device in Response to User Actions
WO2011047184A1 (en) * 2009-10-14 2011-04-21 Energy Focus, Inc.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energy usage feedback
ES2466366T3 (es) * 2009-12-21 2014-06-10 Fundación Tecnalia Research & Innovation Sistema y procedimiento de supervisión del bienestar afectivo
HUP1000229A2 (en) * 2010-04-27 2012-11-28 Christian Berger Equipment for registering the excitement level as well as determining and recording the excitement condition of human beings
JP5714411B2 (ja) * 2010-05-17 2015-05-07 株式会社光吉研究所 行動分析方法および行動分析装置
GB201009379D0 (en) * 2010-06-04 2010-07-21 Univ Edinburgh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system for measuring oscillatory motion
KR101890717B1 (ko) * 2010-07-20 2018-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활용한 가상 세계 조작 장치 및 방법
US8958955B2 (en) 2010-10-07 2015-02-1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System, methodologies, and components acquiring, analyzing, and using occupant body specifications for improved seating structures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US8888701B2 (en) 2011-01-27 2014-11-18 Valencel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data during environmental interference
JP5747645B2 (ja) * 2011-05-09 2015-07-15 株式会社ニコン 電子装置、信号振り分け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3016007A2 (en) 2011-07-25 2013-01-31 Valencel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ime-state physiological parameters
US9801552B2 (en) 2011-08-02 2017-10-31 Valencel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ariable filter adjustment by heart rate metric feedback
WO2013068936A1 (en) * 2011-11-09 2013-05-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ing biosensors for sharing emotions via a data network service
US9292858B2 (en) 2012-02-27 2016-03-22 The Nielsen Company (Us), Llc Data collection system for aggregating biologically based measures in asynchronous geographically distributed public environments
US9451303B2 (en) 2012-02-27 2016-09-20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and computing an audience's neurologically-based reactions in a distributed framework involving remote storage and computing
US8989835B2 (en) 2012-08-17 2015-03-24 The Nielsen Company (Us), Llc Systems and methods to gather and analyze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JP6041613B2 (ja) * 2012-10-11 2016-12-14 株式会社Nttドコモ コンテクスト情報記憶装置、コンテクスト情報記憶方法、及びコンテクスト情報記憶プログラム
CN110013240A (zh) 2013-01-28 2019-07-16 瓦伦赛尔公司 具有与身体运动脱开的感测元件的生理监测装置
CN103152385B (zh) * 2013-01-29 2019-01-04 王玉娇 关联应用的触发、实现和执行方法及相关设备
US9320450B2 (en) 2013-03-14 2016-04-26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gather and analyze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KR101499858B1 (ko) * 2013-12-20 2015-03-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US9622702B2 (en) 2014-04-03 2017-04-1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gather and analyze electroencephalographic data
US9538921B2 (en) 2014-07-30 2017-01-10 Valencell, Inc.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s with adjustable signal analysis and interrogation power and monitoring methods using same
DE102014215211A1 (de) * 2014-08-01 2016-02-04 Art + Com Ag Automatisches Erzeugen von visuellen Stimuli
EP4098178B1 (en) 2014-08-06 2024-04-10 Yukka Magic LLC Optical physiological sensor modules with reduced signal noise
CN104320536B (zh) * 2014-09-26 2016-06-15 来安县新元机电设备设计有限公司 一种隐私保护的方法及***
US9794653B2 (en) 2014-09-27 2017-10-17 Valencel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ignal quality in wearable biometric monitoring devices
US10186014B2 (en) 2015-01-06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10945618B2 (en) 2015-10-23 2021-03-16 Valencell, Inc.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for noise reduction in physiological signals based on subject activity type
US10610158B2 (en) 2015-10-23 2020-04-07 Valencell, Inc.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that identify subject activity type
CN105468144B (zh) * 2015-11-17 2019-02-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设备控制方法及装置
JP2017181593A (ja) * 2016-03-28 2017-10-05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JP6781979B2 (ja) * 2016-05-20 2020-11-11 美貴子 隈元 心理状態評価用プログラム及び心理状態評価装置
WO2018009736A1 (en) 2016-07-08 2018-01-11 Valencell, Inc. Motion-dependent averaging for physiological metric estimating systems and methods
JP6409028B2 (ja) * 2016-07-13 2018-10-17 デザミス株式会社 牛の活動状態管理システム
JP6952257B2 (ja) * 2016-07-15 2021-10-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示のため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7320114B (zh) * 2017-06-29 2020-1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脑电波检测的拍摄处理方法、***及其设备
JP2019053460A (ja) * 2017-09-14 2019-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色変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132568B2 (ja) * 2018-05-17 2022-09-07 Cyberdyne株式会社 生体情報計測装置及び生体情報計測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4715A (ja) * 2001-04-18 2002-10-25 Noboru Akasaka 緊急対応方法及び緊急対応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6484A (en) * 1995-12-13 1999-09-2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rce feedback over a computer network
JPH10234030A (ja) 1997-02-19 1998-09-02 Anima Denshi Kk 監視モニタシステム
US5907291A (en) 1997-06-05 1999-05-25 Vsm Technology Inc. Multi-patient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JPH114820A (ja) 1997-06-18 1999-01-12 Ee D K:Kk 健康管理装置
US6755783B2 (en) * 1999-04-16 2004-06-29 Cardiocom Apparatus and method for two-way communication in a device for monitoring and communicating wellness parameters of ambulatory patients
WO2001028495A2 (en) * 1999-10-08 2001-04-26 Healthetech, Inc. Indirect calorimeter for weight control
US6513532B2 (en) 2000-01-19 2003-02-04 Healthetech, Inc. Diet and activity-monitoring device
JP3824848B2 (ja) 2000-07-24 2006-09-20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7171331B2 (en) * 2001-12-17 2007-01-30 Phatrat Technology, Llc Shoes employing monitoring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JP4395687B2 (ja) * 2000-12-20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TW510789B (en) * 2001-03-01 2002-11-21 Sanyo Electric Co Massage machine and physiolog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used in the same
JP2002282227A (ja) 2001-03-23 2002-10-02 Osaka Gas Co Ltd 生体情報計測装置
DE10129662A1 (de) * 2001-06-20 2003-01-09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Kommunikationssystem mit Systemkomponenten zur Feststellung der Urheberschaft eines Kommunikationsbeitrages
CN1420466A (zh) 2001-11-20 2003-05-28 罗一峰 可视音乐脑电生物反馈法
JP2003295482A (ja) 2002-04-01 2003-10-15 Seiko Epson Corp 像担持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02513B1 (en) * 2002-04-02 2005-06-07 Mcclure Daniel R. Interactive fitness equipment
AU2003273605A1 (en) * 2002-06-11 2003-12-22 Matos, Jeffrey A System for cardiac resuscitation
US6817979B2 (en) * 2002-06-28 2004-11-16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user's virtual physiological model via a mobile terminal
JP2004049309A (ja) 2002-07-16 2004-02-19 National Trust:Kk 被看護・被介護者の監視システム
JP2004136918A (ja) 2002-10-17 2004-05-13 Toppan Printing Co Ltd ストロー突刺し性を有する蓋材
US20040179039A1 (en) * 2003-03-03 2004-09-16 Blattner Patrick D. Using avatars to communic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4715A (ja) * 2001-04-18 2002-10-25 Noboru Akasaka 緊急対応方法及び緊急対応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31889B2 (ja) 2007-06-20
AU2004264761A1 (en) 2005-02-24
WO2005016137A1 (ja) 2005-02-24
EP2298157A1 (en) 2011-03-23
EP1656880A4 (en) 2009-05-06
HK1095506A1 (en) 2007-05-11
KR20060058105A (ko) 2006-05-29
EP2298156A1 (en) 2011-03-23
US7731656B2 (en) 2010-06-08
SG142298A1 (en) 2008-05-28
EP2298157B1 (en) 2014-04-09
JP2005095570A (ja) 2005-04-14
US20060217598A1 (en) 2006-09-28
EP1656880A1 (en)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561B1 (ko) 화상표시시스템, 화상표시장치, 화상표시방법
JP6268193B2 (ja) 脈波測定装置、携帯機器、医療機器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US114819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reinforcing target behavior
CN101198277B (zh) 用于生理学和心理生理学监控的***
US20170042439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s for brainwave-based technologies
CA2616849C (en) Computer interfaces including physiologically guided avatars
KR101970077B1 (ko) 데이터 태깅
CN102056535B (zh) 在对象中获得预期状态的方法
US20130245396A1 (en) Mental state analysis using wearable-camera devices
CN109620185A (zh) 基于多模态信息的自闭症辅助诊断***、设备及介质
KR20160029375A (ko)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40085101A1 (en) Devices and methods to facilitate affective feedback using wearable computing devices
WO2015190042A1 (ja) 活動評価装置、評価処理装置、プログラム
US11699524B2 (en) System for continuous detection and monitoring of symptoms of Parkinson's disease
CN100482149C (zh) 图像显示***、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方法
US11741851B2 (en) Cognitive aid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US20190274630A1 (en) Output control device, output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864460B2 (ja) 疾病予測装置
JP7279577B2 (ja) リハビリ支援システム、リハビリ支援方法、およびリハビリ支援プログラム
WO2016144284A1 (ru) Способ распознавания движения и психоэмо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челове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существления
Chickella et al. 1.2. PERVASIVE AND PERSUASIVE TECHNOLOGIES IN MOTIVATING PEOPLE TO PHYSICAL ACTIVITIES OUTDOOR IN FITNESS PARKS
Móteiro Clinical reports for longitudinal monitoring of Parkinson's Disease
Yumak et al. Survey of sensor-based wellness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