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294B1 - Mobile multimedia terminal and method for configurating background screen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multimedia terminal and method for configurating background scree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294B1
KR101069294B1 KR1020090011171A KR20090011171A KR101069294B1 KR 101069294 B1 KR101069294 B1 KR 101069294B1 KR 1020090011171 A KR1020090011171 A KR 1020090011171A KR 20090011171 A KR20090011171 A KR 20090011171A KR 101069294 B1 KR101069294 B1 KR 10106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con
touch
function icon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1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1806A (en
Inventor
최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리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리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리버
Priority to KR102009001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294B1/en
Publication of KR2010009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8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2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가 바탕화면에 원하는 기능아이콘을 구성하고, 손쉽게 편집할 수 있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바탕화면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스템 운영체제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 그리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기능의 수행 명령의 입력을 위한 기능 메뉴(60)가 저장되는 저장부(20)와; 상기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바탕화면(80)과, 상기 기능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5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좌표에 입력되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부(40, 45); 그리고 상기 터치부(40, 45)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감지되면, 해당 좌표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기능메뉴(6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좌표로부터 상기 바탕화면(80)으로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바탕화면(80)에 해당 아이템의 기능아이콘(70)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명령 입력에 요구되는 입력 횟수를 줄여 단말기 조작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개성에 맞는 단말기 사용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the background screen, which a terminal user can configure a desired function icon on the desktop and can easily edi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20 for storing a system operating system,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nd a function menu 60 for inputting execution commands of various functions executed by the application programs; A background screen 80 basically provided by the operating system and a display unit 50 on which the function menu is displayed; A touch unit (40, 45)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input to th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When the touch unit 40 or 45 detects a user's touch operation, the controller 10 includes a controller 10 that perform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The controller 10 includes the function menu 60. When a touch and drag operation is input from th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included in the background screen 80, the function icon 70 of the item is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inputs required for command input, thus making it easy to operate a terminal and to configure a terminal use environment suitable for a user's personality.

멀티미디어, 터치입력, 바탕화면, 유저 인터페이스 Multimedia, Touch Input, Desktop, User Interface

Description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바탕화면 구성방법{MOBILE MULTIMEDIA TERMINAL AND METHOD FOR CONFIGURATING BACKGROUND SCREEN THEREOF}MOBILE MULTIMEDIA TERMINAL AND METHOD FOR CONFIGURATING BACKGROUND SCREEN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바탕화면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사용자가 바탕화면에 원하는 기능아이콘을 구성하고, 손쉽게 편집할 수 있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바탕화면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figuring a background screen of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the background screen that a terminal user can configure a desired function icon on the desktop and can easily edit.

최근에는 MP3 플레이어나,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EDIA PLAYER), 각종 게임기, 전자사전, 이동통신 단말기 등 각종 기기 고유의 기능은 물론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 멀티미디어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이 유행하고 있다. Recently, various portable multimedia terminals that provide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music or video playback functions as well as functions unique to various devices such as MP3 players, portable media players, various game machines, electronic dictionarie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popular. Doing.

이와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은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경향에 따라 각 단말기 고유의 기능뿐 아니라 다른 기기들에서 제공하는 기능들도 통합하여 제공하는 양상이 최근 두드러지고 있다.Such portable multimedia terminals have recently emerged to provide not only the functions of each terminal but also the functions provided by other devices according to the trend of digital convergence.

예를 들어,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음악 재생 기능, 사진 뷰어 기능, 라디오 기능, DMB 기능, 사전 기능, 인터넷 기능 등 본래 기능 외에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 공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기능, 카메라 기능, 음악 재생 기능, DMB 기능 등을 제공하는 등, 여러 기능이 하나의 단말기에 통합되어 제공되는 경향이 우세하다.For example, the video player provide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besides the original functions such as music playback, photo viewer function, radio function, DMB function, dictionary function, internet function, or internet function, camera function, and music playback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tendency that several functions are integrated into one terminal, such as providing functions, DMB functions, and the like.

이에 따라 각각의 단말기 제조사 측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쉽고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제공해야 한다는 숙제를 안게 되었다. Accordingly, each terminal manufacturer has been challenged to provide such various functions through an easy and convenient user interface (USER INTERFACE).

그에 따라 최근 대부분의 단말기들은 터치 입력 방식을 채용하고, 또 한편 트리(TREE) 구조를 갖는 메뉴를 채택하여, 사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다양한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ccordingly, recently, most terminals adopt a touch input method and adopt a menu having a tree structure, so that users can easily and conveniently execute various terminal functions.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더라도, 트리 구조 메뉴의 특성상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실행되기까지는 수회의 명령 입력이 필요하고, 특히 자주 사용하는 메뉴나 자주 액세스하는 컨텐츠 재생을 실현하기까지 수회의 반복된 동작을 거듭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with this method, the nature of the tree structure menu requires several command inputs before the user wants to execute the desired function. In particular, the repeated operation is performed several times until the frequently used menu or frequently accessed content is realized. There was a problem that must be repeated.

한편 위와 같이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다 진보된 운영체제가 요구되었고, 그에 따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은 휴대용 컴퓨터에 필적하는 운영체제를 탑재하게 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a more advanced operating system has been required. Accordingly,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s have an operating system comparable to a portable computer.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휴대용 컴퓨터에 비하여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단말기 설정을 변경하거나, 자신의 단말기 사용 패턴에 맞는 환경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취약하였다.Nevertheless, compared to the portable computer,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has a weak function of allowing a user to change the terminal setting according to his / her preference or to set a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r's terminal usage pattern.

따라서 그동안에 사용자들은 천편일률적인 환경에서 단말기를 사용하여야 했 고, 자신의 개성 및 사용 패턴에 맞게 단말기의 사용 환경을 변경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the meantime, the users had to use the terminal in a uniform and uniform environment, an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s use environment could not be chang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and usage patter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아이콘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바탕화면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nd a desktop thereof so that the user can configure a function icon frequently used on the desktop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It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바탕화면에 구성된 기능아이콘을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바탕화면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the background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dit the function icon configured on the background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스템 운영체제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 그리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기능의 수행 명령의 입력을 위한 기능 메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바탕화면과, 상기 기능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좌표에 입력되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부; 그리고 상기 터치부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감지되면, 해당 좌표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메뉴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좌표로부터 상기 바탕화면으로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바탕화면에 해당 아이템의 기능아이콘을 생성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system operating system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nd a function menu for inputting a comman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ecut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Wow; A display unit which basically displays a background screen provided by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function menu; A touch unit configured to sense a touch operation input to a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coordinate when a touch oper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touch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items included in the function menu. When a touch and drag operation is input to the desktop, a function icon of the corresponding item is generated on the desktop.

이때 상기 터치부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터치입력부; 그리고 상기 터치입력부에 입력된 터치 동작의 좌표를 연산하는 터치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uch unit may include a touch input unit to which a user's touch operation is input; The touch sen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coordinates of the touch operation input to the touch input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탕화면에 생성된 상기 기능아이콘에 대응되는 좌표 상에 미리 설정된 터치 동작이 입력됨이 감지되면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isplay a function icon edit menu when a preset touch operation is detected on a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icon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터치 동작은, 설정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이 될 수 있다.The preset touch operation may be a touch operation longer than a preset time.

한편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정면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터치 동작이 입력된 상기 터치부의 좌표의 상측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e function icon editing menu may be displayed on an upper side of a coordinate of the touch unit in which a preset touch operation is input ba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는, 상기 바탕화면에 구성되는 상기 기능아이콘의 배경 색상 또는 이미지, 상기 기능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크기, 상기 기능아이콘에 포함된 텍스트의 색상 및 크기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집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 icon editing menu may set at least one of a background color or an image of the function icon configured on the desktop, a display position and size of the function icon, and a color and size and position of text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editing icon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에 포함된 상기 편집 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편집 아이콘에 대응되는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perform an edit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edit icon when a user's touch input is detected on any one of the edit icons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edit menu.

이때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에 포함되는 편집 아이콘은 각각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편집 아이콘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해당 편집 아이콘에 대응되는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dit icons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edit menu are configured in a fan shape; The controller may perform an edit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edit icon when a drag operation toward each edit icon is input.

한편 본 발명은 (A)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바탕화면 일측에 기능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B) 상기 기능 메뉴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좌표로부터 상기 바탕화면으로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B)단계에서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이 감지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기능아이콘이 바탕화면에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displaying a function menu on one side of the background screen provided by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B) detecting a touch and drag operation from th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included in the function menu to the desktop; And (C) generating a func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item on which the touch and drag operation is detected in step (B) on the background screen.

그리고 상기 바탕화면 구성 방법은, (D) 상기 바탕화면에 생성된 기능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미리 설정된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미리 설정된 터치 동작이 입력되면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The method for configuring the background screen may include: (D) inputting a preset touch operation to any one of the function icons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And (E) displaying a function icon editing menu when the preset touch operation is input.

또한 상기 바탕화면 구성 방법은, (F) 상기 (E)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에 포함된 아이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 동작이 감지되는 단계; 그리고 (G) 상기 (F)단계에서 터치 동작이 감지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기능아이콘 편집 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figuring the background screen may include: (F) detecting a touch operation on any one of the items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editing menu displayed in the step (E); And (G) performing a function icon edit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tem in which the touch operation is detected in step (F).

그리고 상기 (G)단계는, 상기 (F)단계에서 터치 동작이 감지된 아이템에 미리 설정된 기능에 따라, (G1) 상기 기능아이콘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배경의 색상 또는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G2) 상기 기능아이콘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G3) 상기 기능아이콘에 포함된 텍스트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G4) 상기 기능아이콘을 상기 바탕화면으로부터 삭제하는 단계 중 어느 하 나가 될 수 있다.The step (G) may include: (G1) determining a color or an image of a text or a background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according to a function preset to the item of which the touch operation is detected in the step (F); (G2)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unction icon; (G3)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text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And (G4) deleting the function icon from the desktop.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터치 동작은, 설정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et touch operation may be a touch operation longer than a preset time.

또한 상기 바탕화면 구성방법은, (H) 상기 바탕화면에 생성된 기능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D)단계의 상기 미리 설정된 터치 동작과 달리 설정된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단계; 그리고 (I) 해당 기능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The method for configuring the background screen may further include: (H) inputting a set touch operation different from the preset touch operation of step (D) to any one of the function icons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And (I)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ic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바탕화면 구성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nd the background screen co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사용자가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바탕화면에 자주 사용하는 기능아이콘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명령 입력에 요구되는 입력 횟수를 줄여 단말기 조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That is, the user can configure a function icon frequently used on the desktop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inputs required for command input, thereby making it easy to operate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바탕화면 구성 방법에 의하면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바탕화면에 구성된 기능아이콘을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각각의 개성에 맞는 단말기 사용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nd the method for configuring the desk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edit a function icon configured on the desktop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 to configure a terminal use environment suitable for each individual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바탕화면 구성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 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the background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100)는 우선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는 명령어의 해석, 처리, 연산 및 데이터 입출력 등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cludes a controller 10. The controller 10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by interpreting, processing, calculating, and inputting and outputting commands.

그리고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100)에는 제어부(10)가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는 저장부(2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includes a storage unit 20 that stores various data and software necessary for the control unit 10 to perform overall control of the system.

상기 저장부(20)에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100)의 운영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 명령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The storage unit 20 stores various data such as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a command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and the controller 10 accesses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do.

상기 저장부(20)에는 또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100)에 각종 명령을 입력하고, 각종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메뉴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메뉴는 트리(tree) 구조로 구성되어, 최상위메뉴에 해당하는 메인 메뉴와, 상기 메인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들, 그리고 다시 상기 하위 메뉴 각각에 대한 하위 메뉴들로 구성되어 각각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torage unit 20 also stores various menus for inputting various commands to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and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In this case, the menu has a tree structure, and includes a main menu corresponding to a top menu, sub menu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in menus, and sub menus for each of the sub menus. Allows you to enter.

그리고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100)에는 입력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30)는 후술할 터치입력부(40)와 더불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 기(100)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입력부(30)는 상기 터치입력부(40)와 더불어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메뉴를 선택하여 사용자 명령이 상기 제어부(10)에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30. The input unit 30 serves to receive various command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together with the touch input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The input unit 30 serves to transmit a user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0 by selecting various menu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and displayed by the control unit 10 together with the touch input unit 40. Do it.

또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100)에는 터치입력부(40)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입력부(40)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부(50)의 화면 위에 터치 패널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 아이콘이나 버튼 등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입력부(40)를 사용자가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접촉함으로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터치 입력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터치감지부(45)로 전달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touch input unit 40. The touch input unit 40 is configured as a touch panel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a user may input a command by touching the touch input unit 40 corresponding to an icon or a butt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with a hand or a stylus pen. The touch input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touch sensing unit 45.

상기 터치감지부(45)는 상기 터치입력부(40)에 터치 입력이 가하여지고, 상기 터치입력부(40)에서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터치감지부(45)에 전달하면, 터치 동작이 일어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입력부(40)의 좌표를 연산하여 연산 결과를 상기 제어부(10)로 제공한다. When the touch sensing unit 45 is applied with a touch input to the touch input unit 40, the touch input unit 40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touch sensing unit 45.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input unit 4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re calculated to provide the calcula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10.

상기 터치감지부(45)의 신호 처리에 의하여 상기 터치입력부(40)에서 접촉이 감지된 지점의 좌표가 연산되면 이는 상기 제어부(1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10)는 접촉이 감지된 지점의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coordinates of the point where the touch is detected by the touch input unit 40 are calculated by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touch sensing unit 45,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0, and the control unit 10 is the point where the touch is detected.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5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100)의 화상 출력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LCD(Liqid Crystal Display), CRT(Cathode-Ray Tube), 플라즈 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패널과 같은 장치로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10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 상에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100)의 데이터 처리 결과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50. The display unit 50 is a device such as an LCD (Liqid Crystal Display), a CRT (Cathode-Ray Tube), a plasma display panel as an image output means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I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The data processing result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1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or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is provided.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터치입력부(40)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좌표와 상기 터치입력부(40)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좌표가 서로 대응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입력부(40)에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display unit 5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ouch input unit 40, and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and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touch input is sensed on the touch input unit 40 correspond to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input a user command to the touch input unit 40 in response to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바탕화면에 기능아이콘을 구성하고 편집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figuring and editing a function icon on the desktop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using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바탕화면 구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기능아이콘을 바탕화면에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figuring a background screen of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method for configuring a function icon on a background screen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n.

우선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현재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실행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First, various display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func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in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는 바탕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상기 바탕화면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동작시키고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화면으로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부팅이 완료된 후 처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다.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50 displays a desktop screen, which is basically a screen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for operating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nd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The booting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is completed. This is the first screen displayed.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탕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각종 기능 메뉴(60)가 디스플레이된다(S100). 도 3에서는 디스플레이부(50)에 바탕화면(8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화면 우측에 기능메뉴(70)가 표시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2 and 3, in the state where the background screen is displayed, various function menus 60 are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S100). In FIG. 3, the function menu 70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while the background screen 8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이때 상기 기능메뉴(7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표시 및 전환되거나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메뉴(70)에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 예를 들어 사진 뷰어 기능,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라디오 기능 등을 실행하도록 하는 복수의 아이템들이 포함된다.In this case, the function menu 70 may be displayed, switched or disappeared by a user's command. The function menu 70 includes a plurality of items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for example, a picture viewer function, a music or video playback function, a radio function,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기능메뉴(7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 입력하면, 해당 아이템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된다. When a user touche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included in the function menu 70,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tem is executed.

한편,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동작과 같이, 상기 기능메뉴(7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에 터치 및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이 입력되면(S200), 해당 아이템에 대한 기능아이콘(70)이 상기 바탕화면(80)에 생성된다(S300).Meanwhile,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3, when a touch and drag operation is input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included in the function menu 70 (S200), the function for the corresponding item is included. An icon 70 is cre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80 (S300).

예를 들어 상기 기능메뉴(60)에 포함된 음악 재생 아이콘(Music)을 터치 및 드래그하면, 음악 재생 기능아이콘이 상기 바탕화면(80)에 생성된다.For example, when the music play icon (Music) included in the function menu 60 is touched and dragged, a music play function icon is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80.

이때 사용자는 터치 및 드래그 동작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기능아이콘(70)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adjust the position by a touch and drag operation so that the function icon 70 may be disposed at a desired position.

이와 같이 바탕화면으로 옮겨진 기능아이콘들은 둘 이상이 될 수 있다. 도 3에는 비디오 재생 기능아이콘(Video), 만화 뷰어 기능아이콘(Comic Viewer), 라디오 기능아이콘(Radio) 등이 바탕화면에 구성되어 있다.Likewise, more than one function icon can be moved to the desktop. In FIG. 3, a video playback function icon (Video), a comic viewer function icon (Comic Viewer), a radio function icon (Radio), and the like are configured on the desktop.

한편 위와 같이 상기 바탕화면(80)에 생성할 수 있는 기능아이콘(70)의 종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메뉴(70)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메인 메뉴에 포함된 아이템들뿐 아니라 메인 메뉴에 포함된 각각의 아이템들에 대한 하위 메뉴에 포함된 아이템들도 상기 바탕화면(80)에 기능아이콘(70)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ype of the function icon 70 that can be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80 is not limited to the items included in the function menu 70 as shown in FIG. 3. That is, not only the items included in the main menu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but also the items included in the submenus for the respective items included in the main menu may be configured as the function icon 70 on the desktop 80. can do.

예를 들어, 음악 재생 기능 선택 후 디스플레이되는 음악 파일 선택 화면에서 특정 음악 파일을 선택하여 상기 바탕화면(80)에 기능아이콘(70)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동영상 파일이나, 특정 라디오 채널 등을 선택하여 상기 바탕화면(80)에 그에 대응되는 기능아이콘(70)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액세스하는 기능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가 바탕화면에서 바로 실행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unction icon 70 may be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80 by selecting a specific music file on the music file selection screen displayed after the music playback function is selected. Alternatively, by selecting a specific video file or a specific radio channel, a function icon 70 corresponding to the desktop 80 is generated so that a function frequently accessed by a user or user's preferred content is executed directly on the desktop. You can make it possible.

즉, 트리 구조의 메뉴를 가진 단말기에서는 특정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트리 구조의 최상위 메뉴로부터 원하는 명령이 포함된 하위 메뉴까지 수회에 걸친 명령 입력이 필요한 경우가 빈번하나, 이와 같은 메뉴들 중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명령을 바탕화면에 구성함으로써 1회의 입력만으로 원하는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at is, in a terminal having a tree structured menu, a number of command inputs are frequently required from a top menu of a tree structure to a lower menu including a desired command in order to execute a specific command. Frequently used commands can be configured on the desktop so that the desired function can be implemented with only one input.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바탕화면(80)에 생성된 기능아이콘(70)들을 사용하기 편리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편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conveniently use the function icons 70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80 and edit them to suit the user's taste.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바탕화면에 구성된 기능아이콘의 편집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바탕화면에 구성된 기능아이콘의 편집 메뉴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바탕화면에 구성된 기능아이콘의 편집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기능아이콘의 색상 및 이미지 편집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기능아이콘의 크기 및 위치 편집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기능아이콘의 텍스트 크기 및 위치 편집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diting a function icon configured on a background screen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ackground diagram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an edit menu of a configured functional icon, and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displaying an edit menu of a functional icon configured on a background screen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nction icon editing menu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lor and image editing screen of the function icon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ize and position editing screen of the function icon in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the text size of the function icon in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ample of a position editing screen.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바탕화면에 생성된 기능아이콘을 편집하는 방법은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탕화면(80)에 복사된 기능아이콘(70)들 중 어느 하나에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단계(S400)로부터 시작된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editing a function icon created on a background screen is first touched on any one of the function icons 70 copied to the background screen 80, as shown in FIG. The input starts from the step (S400) is detected.

이때 상기 바탕화면에는 복수의 기능아이콘(7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아이콘(7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능메뉴(60)로부터 터치 및 드래그 되어 상기 바탕화면(80)에 생성된 것이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function icons 70 may be configured on the desktop, and the function icons 70 may be touched and dragged from the function menu 6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s generated in.

상기 제400단계(S400)에서 상기 바탕화면(80)에 구성된 기능아이콘(70)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터치입력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0). 이때 상기 설정시간은 미리 선택되어 저장된다. When a touch input is detected on any one of the function icons 70 configured on the background screen 80 in step S400,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input time is longer than a set time (S500). ). At this time, the set time is selected and stored in advance.

그리고 상기 제500단계(S500)에서 터치 입력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능아이콘에 대한 편집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S600).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0 that the touch input time is longer than the set time, an edit menu for a function icon is displayed (S600).

그리고 상기 제600단계(S600)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에 포함된 각종 아이템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기능아이콘(70)이 편집된다(S700).In addition, the function icon 70 is edited by the user selecting one of the various items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editing menu displayed in operation 600 (S700).

그러나 상기 제500단계에서 터치 입력 시간이 설정시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터치된 기능아이콘(70)에 대응되는 명령이 실행된다(S800). 예를 들어 터치 입력된 기능아이콘(70)이 음악 재생 아이콘인 경우에는 음악 파일 재생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음악 파일이 재생되도록 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0 that the touch input time is less than the set time,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function icon 70 is executed (S800). For example, when the touch input function icon 70 is a music play icon, an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playing a music file is executed to play the music file.

이때 상기 설정시간은 제1설정시간과 제2설정시간 두 개로 나뉘어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0)는 터치 입력 시간을 이와 같은 두 개의 설정시간과 비교하여 명령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설정시간이 상기 제2설정시간 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우선 터치 시간을 상기 제1설정시간과 비교하여 터치 입력 시간이 상기 제1설정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case, the set time is divided into two sets of the first set time and the second set time, and the controller 10 may execute the command by comparing the touch input time with the two set times. That is, when the first set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set time, the controller 10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inpu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set time by comparing the touch time with the first set time. .

터치 입력 시간이 상기 제1설정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10)는 터치 입력된 기능아이콘(70)에 대응하는 기능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800단계(S800)가 수행되도록 한다.If the touch input time is less than the first set time, the controller 10 allow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function icon 70 to be executed in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That is, step 800 is performed.

반면에 터치 입력 시간이 상기 제1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표시기(72)가 표시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ouch inpu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0 causes the progress indicator 72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5.

여기서 상기 진행표시기(7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표시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원이 다른 색상으로 채워지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rogress indicator 72 may be displayed in a circular manner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circle may be filled with a different color as time passes, or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general progressive bar. It may be.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는 터치 입력 시간이 상기 제1설정시간 이상이 되는 순간부터 상기 제2설정시간이 될 때까지 상기 진행표시기(72)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진행표시기(72)가 모두 채워지면 즉, 터치 입력 시간이 상기 제2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진행표시기(72)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로부터 사라지도록 한 후 대신에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가 표시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터치 입력 시간이 상기 제2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600단계(S600) 및 제700단계(S700)가 수행되도록 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progress indicator 72 from the moment when the touch input time becomes longer than the first set time until the second set time. . When the progress indicator 72 is completely filled, that is, when the touch input time reaches the second preset time, the progress indicator 72 disappears from the display unit 50, and instead, the function icon edit menu is used. (74) is displayed. In other words, when the touch input time reaches the second set time, the step S600 and the step S700 are performed.

그러나 상기 진행표시기(72)가 채워지고 있는 상태에서, 즉 터치 입력 시간이 상기 제1설정시간 이상이되, 상기 제2설정시간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중단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진행표시기(72)가 사라지도록 하고, 아무런 명령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600단계, 제800단계 중 어느 것도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However, if the user's touch is stopped while the progress indicator 72 is being filled, that is, when the touch inpu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set time and the second set time is not reached, the controller 10 Causes the progress indicator 72 to disappear and does not perform any command. That is, none of steps 600 and 800 may be performed.

한편 제600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기능아이콘(70) 위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기 터치입력부(40)상의 좌표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디스플레 이부(50)의 좌표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된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 icon editing menu displayed in step 600 is located on the coordinates on the touch input unit 40 on which the user's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function icon 70 on which a touch input for a preset time or more is detected as shown in FIG. 6. It is display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display unit 5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여기서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아이콘의 색상 및 이미지 편집 아이콘(74a)과, 기능아이콘의 크기 및 위치 편집 아이콘(74b)과, 기능아이콘에 포함된 텍스트의 크기 및 위치 편집 아이콘(74c)과, 기능아이콘 삭제 아이콘(74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unction icon editing menu 74, the color and image editing icon 74a of the function icon, the size and position editing icon 74b of the function icon, and the function icon as shown in FIG. The size and position editing icon 74c of the included text, the function icon deleting icon 74d,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이와 같은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에 포함된 아이콘의 종류 및 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설정될 수 있고,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The type and number of icons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editing menu may be set differently from those shown in FIG. 7, and the description of the icons with reference to FIG. 7 is just one embodiment.

그리고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의 형상 또한 다양한 형상에 의할 수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는 사용자의 설정시간 이상의 터치입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의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과 같은 도구에 의하여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일부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의 전면을 중심으로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는 하방에만 아이콘이 배열되지 않은 부채꼴 형태가 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function icon edit menu 74 may also be based on various shapes, but may be formed in a fan shape as shown in FIG. 7. Here, the function icon edit menu 74 is displayed by a touch input of a user's set time or more, and thus, icons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edit menu 74 by a user's hand or a tool such as a stylus pen. In order to prevent a part of the screen from being hidden, the function icon editing menu 74 around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50 may have a fan shape in which icons are not arranged only below.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에 포함된 복수의 편집 아이콘들(74a 내지 74d)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에 포함된 편집 아이콘들(74a 내지 74d) 중 하나에 터치 입력을 가함으로써 하나의 편집 기능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의 드래그 동작으로 각각의 편집 아이콘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의 중심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가 디스플레이되므로, 터치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편집 아이콘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0)가 해당 편집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when the function icon edit menu 74 is displayed, the user selects any one of a plurality of edit icons 74a to 74d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edit menu 74. In selecting, one editing function may be selected by applying a touch input to one of the editing icons 74a to 74d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editing menu 74, as shown in FIG. 7. Each editing icon may be selected by dragg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at is, since the function icon edit menu 74 is displayed while the user touches the center of the function icon edit menu 74, if the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edit icon to be selected while maintaining the touch state The controller 10 may perform a corresponding editing function.

우선 사용자가 상기 색상 및 이미지 편집 아이콘(74a)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바탕화면(80)의 일측에 색상/이미지 편집 툴(76)을 표시한다. First, when a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olor and image editing icon 74a,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unit 10 may have a color / image editing tool 76 on one side of the background screen 80. Is displayed.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색상/이미지 편집 툴(76) 상에서 제공되는 색상 리스트나 이미지 썸네일(thumb nail) 등으로부터 상기 기능아이콘(70)의 배경 색상 또는 배경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상기 기능아이콘(70)에 포함된 텍스트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색상 또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상기 기능아이콘(70)의 배경이나 텍스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selects a background color or background image of the function icon 70 from the color list or image thumbnail provided on the color / image editing tool 76, or the user selects the background icon of the function icon 70. You can choose the color of the included text. As such, when the user selects a color or an image, the background or text of the function icon 70 chang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또한 사용자가 상기 기능아이콘의 크기 및 위치 편집 아이콘(74b)을 선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아이콘(7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크기 조절 아이콘(78)이 화살표 형태로 상기 기능아이콘(70)의 우측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size and position editing icon 74b of the function icon, as shown in FIG. 9, the size adjustment icon 78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unction icon 70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n arrow. It may be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of the function icon 70.

사용자가 상기 크기 조절 아이콘(78)을 터치 및 드래그 하면, 상기 기능아이콘(70)의 우측 하단이 사용자가 터치 및 드래그 하는 좌표에 대응하여 조절된다. When the user touches and drags the size adjusting icon 78, the lower right side of the function icon 70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coordinates that the user touches and drags.

또한 상기 기능아이콘의 크기 및 위치 편집 아이콘(74b)을 선택한 후 사용자 가 상기 크기 조절 아이콘(78)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기능아이콘(70)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터치 및 드래그하면 상기 기능아이콘(70)의 위치가 그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 selects the size and position editing icon 74b of the function icon and then touches and drags the area where the function icon 70 is displayed except for the area where the size adjustment icon 78 is displayed, the function icon ( The position of 70 may be changed correspondingly.

그리고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에서 상기 텍스트 크기 및 위치 편집 아이콘(74c)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아이콘(70)에 포함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텍스트 크기 조절 바(79)가 상기 바탕화면(80)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텍스트의 크기 조절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능아이콘의 크기 조절 아이콘(78)과 같이 아이콘 형태의 텍스트 크기 조절 도구가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상기 기능아이콘에 포함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text size and position edit icon 74c is selected in the function icon edit menu, as illustrated in FIG. 10, a text size adjustment bar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text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70 ( 79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background screen 80. Alternatively, the text size control tool in the form of an icon may be displayed as the size ico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text. In addition, the user may adjust the size of the text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by using the same.

또한 상기 기능아이콘의 텍스트 크기 및 위치 편집 아이콘(74c)을 선택한 후 사용자가 상기 기능아이콘(70)에 포함된 텍스트(70')를 터치 및 드래그 함으로써 텍스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fter selecting the text size and position edit icon 74c of the function icon, the user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text by touching and dragging the text 70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70.

그리고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4) 중 상기 삭제 아이콘(74d)을 선택하면 상기 바탕화면(80)에 생성된 기능아이콘 중 선택된 것을 상기 바탕화면(80)으로부터 삭제할 수도 있다. If the delete icon 74d is selected from the function icon edit menu 74, the selected one of the function icons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80 may be deleted from the background screen 80.

이와 같이 단순한 조작에 의해 바탕화면에 기능아이콘을 구성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사용자가 원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말기 사용자 각각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단말기 환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By configuring and editing the function icons on the desktop by simple operation, the user can easily provide the Graphic User Interface that the user wants. It can be configured.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는 반드시 상기 기능아이콘(70) 상에 설정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이 감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설정시간 내에 2회의 터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등 미리 설정된 터치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function icon edit menu may not necessarily be set to be displayed when a touch operation longer than a preset time is detected on the function icon 70, but when two touch motions are detected within the preset time. The function icon editing menu may be displayed when a preset touch operation is detected.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바탕화면 구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figuring a background screen of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기능아이콘을 바탕화면에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for configuring a function icon on the desktop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바탕화면에 구성된 기능아이콘의 편집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by-step method of editing a function icon configured on a background screen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바탕화면에 구성된 기능아이콘의 편집 메뉴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n edit menu of a function icon configured on a background screen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바탕화면에 구성된 기능아이콘의 편집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ing an editing menu of a function icon configured on a background screen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nction icon editing menu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기능아이콘의 색상 및 이미지 편집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lor and an image editing screen of a function icon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기능아이콘의 크기 및 위치 편집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ize and position edit screen of a function icon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기능아이콘의 텍스트 크기 및 위치 편집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ext size and position editing screen of a function icon in a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제어부 20:저장부10: control unit 20: storage unit

30:입력부 40:터치입력부30: input unit 40: touch input unit

45:터치감지부 50:디스플레이부45: touch detection part 50: display part

60:기능메뉴 70:기능아이콘60: Function menu 70: Function icon

72:진행표시기 74:기능아이콘 편집 메뉴72: Progress Indicator 74: Function Icon Edit Menu

76:색상/이미지 편집 툴 78:크기 조절 아이콘76: Color / Image Editing Tool 78: Resize Icon

79:텍스트 크기 조절 바 70':기능아이콘 텍스트79: Text Resizing Bar 70 ': Function Icon Text

80:바탕화면 80: Wallpaper

Claims (14)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기능메뉴 및 바탕화면에 상기 기능메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기능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function icon for at least one of the function menus on a function menu including a plurality of items and a background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터치부; 그리고 A touch unit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operation on the display unit; And 상기 기능메뉴에 표시된 아이템이 상기 바탕화면으로 이동하면 상기 바탕화면에 대항 아이템의 기능아이콘을 생성하며, 상기 기능아이콘에 터치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기능아이콘을 편집하는 기능아이콘 편집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When the item displayed on the function menu moves to the background screen, a function icon of the item against the background screen is generated. Including a control unit,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메뉴는, 상기 기능아이콘의 배경색상 또는 이미지 변경, 상기 기능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크기 조절, 상기 기능아이콘에 포함된 텍스트의 색상, 크기 및 위치 조절, 상기 기능아이콘을 삭제하기 위한 각각의 편집 아이콘을 포함하며, The function icon edit menu may include changing a background color or an image of the function icon, adjusting a display position and size of the function icon, adjusting a color, size and position of text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and deleting the function icon. Includes an edit icon f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편집 툴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The controller may further display an editing tool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editing icon is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터치부는,The touch unit,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터치입력부; 그리고 A touch input unit to which a user's touch operation is input; And 상기 터치입력부에 입력된 터치 동작의 좌표를 연산하는 터치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And a touch sens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coordinates of a touch operation input to the touch input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터치 동작은,The touch operation, 설정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operation more than a set ti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는,The function icon edit menu,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정면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터치 동작이 입력된 상기 터치부의 좌표의 상측에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And a preset touch operation bas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above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기능아이콘 편집 메뉴에 포함되는 편집 아이콘은 각각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고; The editing icons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editing menu are configured in a sector shape;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각각의 편집 아이콘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면 해당 편집 아이콘에 대응되는 편집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And a drag operation directed to each edit icon direction performs an edi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edit icon.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Multimedia terminal, 디스플레이부에 바탕화면 및 기능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Displaying a background screen and a function menu on the display unit; 상기 기능메뉴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이 바탕화면으로 이동하면, 상기 바탕화면에 이동된 아이템에 대한 기능 아이콘을 생성 표시하는 단계; Generating and displaying a function icon for the moved item on the desktop when any one of a plurality of items included in the function menu moves to a desktop;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한 제 1 터치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기능아이콘을 편집하는 편집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Displaying a editing menu for editing the function icon when a first touch operation on the function icon is detected; And 상기 표시된 편집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기능 아이콘의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Performing an editing function of the function icon by using the displayed editing menu, 상기 편집 기능은, 상기 기능아이콘의 배경색상 또는 이미지 변경, 상기 기능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크기 조절, 상기 기능아이콘에 포함된 텍스트의 색상, 크기 및 위치 조절, 상기 기능아이콘 삭제를 위한 각각의 편집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편집 아이콘이 선택되어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편집 툴이 표시된 후 상기 편집 툴이 조작됨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바탕화면 구성방법. The editing function may include changing a background color or an image of the function icon, adjusting the display position and size of the function icon, adjusting the color, size and position of the text included in the function icon, and deleting each of the function icons. In the displayed state, the editing icon is selected, an editing tool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is displayed, and then the editing tool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sktop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multimedia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기능 아이콘에 상기 제 1 터치 동작과 다르게 설정된 터치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바탕화면 구성 방법.If a touch action set differently from the first touch action is input to the function icon,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icon is executed.
KR1020090011171A 2009-02-11 2009-02-11 Mobile multimedia terminal and method for configurating background screen thereof KR101069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71A KR101069294B1 (en) 2009-02-11 2009-02-11 Mobile multimedia terminal and method for configurating background scree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71A KR101069294B1 (en) 2009-02-11 2009-02-11 Mobile multimedia terminal and method for configurating background scree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806A KR20100091806A (en) 2010-08-19
KR101069294B1 true KR101069294B1 (en) 2011-10-05

Family

ID=4275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171A KR101069294B1 (en) 2009-02-11 2009-02-11 Mobile multimedia terminal and method for configurating background scree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2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981A (en) * 2013-01-08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486A1 (en) * 2010-11-02 2012-05-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A2763316C (en) * 2012-01-06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Enabling performant cascading operations
CN103399688B (en) * 2013-07-26 2017-03-0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The exchange method of a kind of dynamic wallpaper and desktop icons and device
KR101667452B1 (en) * 2014-08-14 2016-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666977B1 (en) * 2015-05-29 2016-10-17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CN112099680B (en) * 2020-09-01 2022-02-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User interface adjus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9615A (en) 2004-11-12 2006-06-01 Access Co Ltd Display device, menu display program, and tab display program
US20070038934A1 (en) 2005-08-12 2007-02-15 Barry Fellman Service for generation of customizable display widgets
KR100801650B1 (en) * 2007-02-13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in idle screen of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9615A (en) 2004-11-12 2006-06-01 Access Co Ltd Display device, menu display program, and tab display program
US20070038934A1 (en) 2005-08-12 2007-02-15 Barry Fellman Service for generation of customizable display widgets
KR100801650B1 (en) * 2007-02-13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in idle screen of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981A (en) * 2013-01-08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984925B1 (en) 2013-01-08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806A (en)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294B1 (en) Mobile multimedia terminal and method for configurating background screen thereof
US10866724B2 (en)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0509549B2 (en) Interface scanning for disabled users
KR101224588B1 (en) Method for providing UI to detect a multi-point stroke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JP413400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82179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 based user interface interaction
KR100801089B1 (en) Mobi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control available for using touch and drag
KR101720849B1 (en) Touch screen hover input handling
US200802974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esture information based on touchscreen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having the apparatus
EP1868071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user interface method
CN107533424A (en) Subscriber terminal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EP221417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of multimedia item
WO2016183912A1 (en) Menu layout arran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1210298B1 (en) User interface method for using touch input and terminal
JP2017140342A (en) User interface program, game program including the program, and control method
US102682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1371417B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list by touch on touch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KR20070113017A (en) Touch screen apparatus and selecting method of file
KR200701056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menu using pointing device
JP6863918B2 (en) Control programs, control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KR20150098366A (en) Control method of virtual touchpadand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JP7105574B2 (en) Program and game device
KR200900461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ing progress bar
JP2003122474A (en) Computer device, image display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W201635127A (en) Smart icon selecting method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