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893B1 -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893B1
KR101067893B1 KR1020090071391A KR20090071391A KR101067893B1 KR 101067893 B1 KR101067893 B1 KR 101067893B1 KR 1020090071391 A KR1020090071391 A KR 1020090071391A KR 20090071391 A KR20090071391 A KR 20090071391A KR 101067893 B1 KR101067893 B1 KR 10106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closing
guide shaf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764A (ko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09007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8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02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or tract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에 관한 것으로 도어 틀과 도어에 각각 결합하는 플레이트(111a,11b)를 형성하여 도어를 고정시키는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플레이트(111a,111b)사이에 메인하우징(121)과 상·하부하우징(124a,124b)을 형성하여 플레이트(111a,111b)가 상호 회전되게 하는 회전하우징부(120)와; 상기 회전하우징부(120)의 내부에 비틀림 스프링(131)을 설치하여 각각의 플레이트(110)가 회전하우징부(120)를 기준으로 회전되게 탄력 설치하되 메인하우징(121)의 내부에 지지구(134)를 결합하여 메인하우징(121)과 지지구(134)가 연동하여 회전되게 하되, 지지구(134)의 하측으로는 가이드샤프트(135)를 형성한 메인탄성부(130)와; 상기 메인탄성부(130)의 하부 측에 설치하되 플레이트(111a,111b)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동작하는 상,하부캠(142, 143)을 가이드샤프트(135)에 결합하는 상하작동부(140); 및 상기 상하작동부(140)의 상,하부캠(142,143) 하측에 탄성부재(151)를 설치하여 하부캠(143)이 하강하면서 탄성부재(151)를 가압하는 보조탄성부(150)로 구성하므로, 열린 도어가 닫힐 때 사용자가 원하는 안전한 속도로 닫히도록 하되 최종적으로 닫히는 순간 스프링의 탄성을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하여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Free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식 자유 경첩으로 설치한 도어가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열릴 때 강한 힘을 필요로 하며 작동이 부드럽고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되 도어가 최종 순간 닫히는 힘이 적극적으로 작용하여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마무리되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경첩은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첩과 스프링이나 유압 또는 이들이 조합하여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자유 경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자유 경첩은 도어를 열고난 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닫히게 되고 이때 유압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서서히 도어가 닫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스프링식 자유 경첩은 도어를 열면 내장된 스프링이 감기게 되고, 닫힐 때에는 도어의 열림으로 감겨진 스프링이 원위치로 풀어지면서 도어가 닫히게 된다.
도어를 열고난 후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닫히게 되는데 이때 유압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서서히 도어가 닫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유 경첩은 유압장치의 설치로 코스트가 증가 되고 이로 인하여 스프링으로만 도어가 닫히게 하는 경우에 감긴 스프링의 탄성이 그대로 도어에 전달되어 급작스럽게 닫히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유압장치는 매우 정교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기밀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유압의 누기 등으로 훼손의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자유 경첩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자유 경첩의 코스트를 크게 높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자유 경첩은 도어가 거의 닫히기 직전에 문틀과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저항이 커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탄성과 유압은 조금씩 떨어지게 되므로 도어를 완전하게 닫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게 위하여 종래에는 유압과 탄성을 크게 하여 도어가 닫힐 때 보다 큰 힘으로 작동되도록 하므로 장기 사용으로 자유 경첩에 스트레스가 누적되고 이로 인하여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빠른 닫힘으로 원하는 안전한 닫힘 속도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스프링식 자유 경첩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심화될 뿐만 아니라 닫힘 속도의 증가로 노약자가 사용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안전사 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방화용 경첩에 있어서는 초기의 닫힌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화재 등으로 발생되는 열풍으로 인하여 닫힌 상태가 순간적으로 열릴 우려가 높고 이로 인하여 화재 확산을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화재 발생시 화재지역에서 탈출하는 대피자가 도어를 열고 통과한 다음 도어가 닫히기 시작하는 도어가 닫히기 직전에 화재의 열풍이나 문틀과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저항이 커지게 되어 도어를 완전하게 닫지 못하여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초기의 닫힌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화재 등으로 발생하는 열풍이 크게 발생하더라도 닫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화재의 확산을 억제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 화재지역에서 탈출하는 대피자가 도어를 열고 통과한 다음 도어가 자동으로 완전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여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유압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기구적 구성을 통해 열린 도어가 동작할 때 안전하고 부드럽게 닫히도록 하되 자유 경첩의 코스트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린 도어가 닫힐 때 사용자가 원하는 안전한 속도로 닫히도록 하되 최종적으로 닫히는 순간 스프링의 탄성을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하여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대한 신뢰도를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은 도어 틀과 도어에 각각 결합하는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도어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플레이트 사이에 메인하우징과 상·하부하우징을 형성하여 플레이트가 상호 회전되게 하는 회전하우징부와; 상기 회전하우징부의 내부에 비틀림 스프링을 설치하여 각각의 플레이트가 회전하우징부를 기준으로 회전되게 탄력 설치하되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지지구의 고정하여 메인하우징과 지지구가 연동하여 회전되게 하되, 지지구의 하측으로 가이드샤프트를 형성한 메인탄성부와; 상기 메인탄성부의 하부 측에 설치하되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동작하는 상,하부캠을 가이드샤프트에 결합하는 상하작동부; 및 상기 상하작동부의 상,하부캠 하측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하부캠이 하강하면서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보조탄성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은 도어가 회전하면, 비틀림스프링이 감김과 동시에 가이드샤프트에 나사결합된 상부캠이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고, 하부캠은 상부캠의 회전으로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탄성부재를 하향으로 가압 하게 되며, 조절구는 가이드샤프트의 하부나사에 결합된 조절구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부캠과 하부캠의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서서히 흡수하여 부드럽게 탄성부재를 가압하도록 유도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열릴 수 있도록 한다.
도어가 열린 후 자유상태가 되면 감겨진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도어가 닫히게 되고, 이때 가압된 탄성부재가 가압상태에서 해제되어 서서히 부풀어 올라 도어가 유압 효과와 같이 부드럽게 닫히게 되며, 도어가 닫히기 직전 상,하부캠이 상호 맞물리면서 탄성부재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므로 도어가 신속하고 완전하게 닫히게 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가 열린 때 고무 등으로 된 탄성부재를 크게 가압하면서 서서히 작게 가압상태를 해제하므로 도어가 부드럽게 열리도록 하고, 도어가 닫힐 때에는 탄성부재의 가압상태를 크게 해제하면서 서서히 작게 가압상태를 유지하므로 유압작용과 같은 부드러운 도어의 개폐를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도어의 초기에 상,하부캠이 맞물려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어가 열린 후 자유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완전하게 닫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화생방생시 열풍 등으로 도어가 열릴 우려가 없고 열린 후 자동으로 견고하게 닫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나타낸 닫힌 상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나타낸 열린 상태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나타낸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100)은 도어 틀과 도어에 각각 결합하는 플레이트(111a,11b)를 형성하여 도어를 고정시키는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플레이트(111a,111b)의 사이에 메인하우징(121)과 상·하부하우징(124a,124b)을 형성하여 플레이트(111a,111b)가 상호 회전되게 하는 회전하우징부(120)와; 상기 회전하우징부(120)의 내부에 비틀림스프링(131)을 설치하여 각각의 플레이트(110)가 회전하우징부(120)를 기준으로 회전되게 탄력 설치하는 메인탄성부(130)와; 상기 메인탄성부(130)의 하부 측에 설치하되 플레이트(111a,111b)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동작하는 상,하부캠(142, 143)을 설치하는 상하작동부(140); 및 상기 상하작동부(140)의 상,하부캠(142,143) 하측에 탄성부재(151)를 설치하여 하부캠(143)이 하강하면서 탄성부재(151)를 가압하는 보조탄성부(150)로 구성한다.
상기 결합부(110)는 좌우에 플레이트(111a,111b)를 각각 형성하되 다수개의 고정구멍(112a,112b)을 천공하여 도어와 도어 틀에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하우징부(120)는 좌측 플레이트(111a)의 일 측에 메인하우징(121)을 형성하고 우측 플레이트(111b)의 일 측에 메인하우징(121)의 상하에 위치하는 상·하부하우징(124a,124b)을 각각 형성하되, 메인하우징(121)의 외주연에는 세팅 핀(123)을 결합하는 핀공(122)을 형성하고, 상·하부하우징(124a,124b)의 외주연에는 세팅핀(126a,126b)을 결합하는 핀공(125a,125b)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메인탄성부(130)는 메인하우징(121)의 내부에 지지구(134)의 몸체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34a)에 세팅핀(123)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므로 메인하우징(121)과 지지구(134)가 연동하여 회전되게 한다.
아울러, 지지구(134)의 상측으로 결합홈(134c)이 형성된 돌출샤프트(134b)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가이드샤프트(135)를 형성한다.
여기서 가이드샤프트(135)의 상하부에는 외주연에 나사(135a,135b)를 각각 형성하고, 상측 나사(135a)의 하부 외주연에는 육각부(134c)를 형성하되, 상부 나사(135a) 보다 하부 나사(135b)의 피치가 더 크게 형성되게 한다.
한편 돌출샤프트(134b)의 결합홈(134c)에는 비틀림스프링(131)의 하단을 끼워 결합하고, 비틀림스프링(131)의 상측에는 내부클러치(132)를 하향으로 돌출샤프트(132b)가 형성된 하부클러치(132)를 위치시켜 비틀림스프링(131)의 상단을 결합홈(132c)에 끼워 고정시키되, 내부클러치(132)의 상부가 메인하우징(121)의 상측과 상부하우징(124a)의 하측에 부분에 겹쳐 위치되게 한다.
나아가, 내부클러치(132)의 상측에는 외부클러치(133)를 위치시켜 상부하우징(124a)에 고정시키되 상부하우징(124a)에 형성된 핀공(125a)을 통해 세팅핀(126a)으로 외부클러치(133)의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33b)에 결합하여 상부하우징(124a)에 고정시키므로 상부하우징(124)과 외부클러치(133)가 연동하여 회전되게 한다.
또한, 비틀림스프링(131)은 내부에 보조스프링(131a)을 삽입하여 이중으로 형성하여 스프링의 탄성이 부드럽게 작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비틀림스프링(131)의 중앙부분에 피치를 크게 형성하여 수직으로 가압이 용이하도록 하여 비틀림스프링(131)의 탄성조절이 용이하도록 할 수 도 있다.
상기 상하작동부(140)는 파이프형상의 가이드하우징(141)을 구비하되 상단의 내주연에 육각공(141a)을 형성하되, 가이드하우징(141)의 하부측 외주연에는 세팅핀(141c)이 구비된 핀공(141b)을 형성하고, 하부하우징(124b)의 핀공(125b)에 대응되는 고정홈(141d)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부하우징(124b)의 핀공(125b)에 세팅핀(123)을 결합하여 가이드하우징(141)을 고정시키므로 하부하우징(124b)과 가이드하우징(141)이 연동하여 회전되게 한다.
특히 지지구(134)에 형성된 가이드샤프트(135)의 상측 나사(135a)에는 상부캠(142)을 나사결합 하되 상부캠(142)의 상부 외주연을 육각으로 형성하여 가이드하우징(141)의 육각공(141a)에 끼워져 가이드하우징(141)의 회전할 때 상부캠(142)이 회전하면서 수직으로 이동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지지구(134)에 형성된 가이드샤프트(135)의 육각부(135c)에는 육각부(135c)에 끼워져 회전이 자제되는 육각공(143a)이 형성된 하부캠(143)을 끼워 결합하므로 상부캠(142)이 회전하면 하부캠(143)이 수직 운동하도록 한다.
나아가, 지지구(134)에 형성된 가이드샤프트(135)의 하측 나사(135b)에는 나사공(144a)이 형성된 조절구(144)를 나사 결합하되 조절구(144)의 외주연 상측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플랜지의 하부측 외주연을 육각형상으로 형성한다.
특히 가이드샤프트(135)의 상부나사(135a)와 하부나사(135b)는 하부나사(135b)의 피치가 상부나사(135a)의 피치보다 크게 형성하여 가이드샤프트(135)의 회전으로 수직 운동할 때, 하부나사(135b)에 결합된 조절구(144)의 상하 이동을 길게 형성한다.
그러나 하부나사(135b)의 피치는 상,하부캠(142,143)의 상하 이동보다는 작게 하여야한다.
상기 보조탄성부(150)는 가이드샤프트(135)에 파이프 형상의 탄성부재(151)를 결합하되 하부캠(143)과 조절구(144) 사이에 위치되게 결합하여 하부캠(143)의 수직 운동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탄성부재(151)는 탄성고무, 폴리에스틸, 불연고무 및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앙이 관통된 삽입공(152a)을 형성한 내부클러치(152)를 구비하되 내부클러치(152)의 외주연에 가이드하우징(141)의 핀공(141b)에 대응되는 고정홈(152)을 형성하여 세팅핀(141c)에 결합하여 가이드하우징(141)에 연동되게 한다.
여기서 내부클러치(152)의 삽입공(152a)을 가이드샤프트(135)의 하부에 결합된 조절구(144)는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되게 하되 내부클러치(152)와 조절구(144)는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약간의 간격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내부클러치(152)의 하부에 대응되는 외부클러치(153)를 형성하되 외부클러치(153)에 수직으로 육각공(153a)을 형성하여 육각공(153a)에 조절구(144)를 끼워 내부클러치(152)와 조절구(144)가 상호 연동되게 한다.
여기서 내,외부클러치(152,153)는 상호 톱니로 맞물리도록 하여 좌우로 회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내부클러치(152)가 회전하면 가이드샤프트(141)에 나사결합된 조절구(144)는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151)를 가압 또는 해제한다.
나아가 외부클러치(153)의 외주연에는 걸림턱(153b)을 형성하고 걸림턱(153b)에 상단이 걸려 외부클러치(153)를 가압하는 스프링(153c)을 삽입하고 스프링(153c)을 고정하는 스냅링이나 구멍이 천공된 볼트 등의 마감수단(153d)을 결합하여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이드하우징(141)의 내부에 내부클러치(152)를 일체로형성하여 부품수 및 작업공수를 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가 회전하면, 지지구(134)와 가이드샤프트(135)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비틀림스프링(131)이 감기게 되면서 도어가 열린다.
이와 동시에 가이드샤프트(135)에 결합된 나사결합된 상부캠(142)과 조절구(144)가 하측으로 수직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가이드샤프트(135)의 육각부(135c)에 결합된 하부캠(143)이 하부로 수직 이동하여 하부캠(143)과 조절구(144)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151)를 가압하면서 도어가 열리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캠(142)이 가이드샤프트(135)에 나사 결합되고 가이드하우징(141)의 육각공(141a)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고, 하부캠(143)은 가이드샤프트(135)의 육각부(135c)에 결합되어 상부캠(132)의 회전으로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탄성부재(151)를 하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조절구(144)는 외부클러치(153)의 육각공(153a)에 결합되어 가이드샤프트(135)의 하부나사(135b)에 결합된 조절구(144)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부캠(132)과 하부캠(133)의 탄성부재(151)의 가압력을 서서히 흡수하여 부드럽게 탄성부재(151)를 가압하도록 유도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열릴 수 있도록 한다.
도어가 열린 후 자유상태가 되면 감겨진 비틀림스프링(131)에 의해 도어가 닫히게 되고, 이때 가압된 탄성부재(151)가 가압상태에서 해제되어 서서히 부풀어 올라 도어가 유압 효과와 같이 부드럽게 닫히게 되며, 도어가 닫히기 직전 상,하부캠(132,133)이 상호 맞물리면서 도어에 탄성부재(151)의 모든 힘이 가해져 신속하고 완전하게 닫히게 된다.
특히 도어가 닫힐 때에는 조절구(144)가 탄성부재(151)의 하부를 부드럽게 가압하므로 도어의 닫힘이 원활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탄성부재(151)의 탄성을 조절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외부클러치(153)에 육각공(153a)에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조절하되, 이때 내부클러치(152)와 외부클러치(153)가 톱니로 맞물려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외부클러치(153)의 걸림턱(153b)과 마감수단(153d) 사이에는 스프링(153c)이 삽입되어 외부클러치(153)를 탄력 설치하므로 탄성부재(151)의 탄성 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나타낸 닫힌 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나타낸 열린 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을 나타낸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의 다른 닫힌 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자유경첩 110 : 결합부
111a, 111b : 플레이트 112a, 112b : 고정구멍
120 : 회전하우징부 121 : 메인하우징
122 : 핀공 123, : 세팅핀
124a, 124b : 상·하부하우징 125a, 125b : 핀공
126a, 126b : 세팅핀 130 : 메인탄성부
131 : 비틀림스프링 132 : 내부클러치
132a : 키홈 132b : 돌출샤프트
132c : 결합홈 133 : 외부클러치
133a : 삽입공 133b : 고정홈
134 : 지지구 134a : 고정홈
134b : 돌출샤프트 134c : 결합홈
135 : 가이드샤프트 135a,135b : 나사
135c : 육각부 140 : 상하작동부
141 : 가이드하우징 141a : 육각공
141b : 핀공 141c :세팅핀
141d : 고정홈 142 : 상부캠
142a : 나사공 143 : 하부캠
143a : 육각홈 144 : 조절구
144a : 나사공
150 : 보조탄성부 151 : 탄성부재
152 : 내부클러치 152a : 삽입공
152b : 고정홈 153 : 외부클러치
153a : 육각공 153b : 걸림턱
153c : 스프링 153d : 마감수단

Claims (6)

  1. 도어 틀과 도어에 각각 결합하는 플레이트(111a,11b)를 형성하여 도어를 고정시키는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플레이트(111a,111b) 사이에 메인하우징(121)과 상·하부하우징(124a,124b)을 형성하여 플레이트(111a,111b)가 상호 회전되게 하는 회전하우징부(120)와;
    상기 회전하우징부(120)의 내부에 비틀림스프링(131)을 설치하여 각각의 플레이트(110)가 회전하우징부(120)를 기준으로 회전되게 탄력 설치하되 메인하우징(121)의 내부에 지지구(134)를 결합하여 메인하우징(121)과 지지구(134)가 연동하여 회전되게 하되, 지지구(134)의 하측으로 가이드샤프트(135)를 형성한 메인탄성부(130)와;
    상기 메인탄성부(130)의 하부측에 설치하되 플레이트(111a,111b)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동작하는 상,하부캠(142, 143)과 조절구(144)를 가이드샤프트(135)의 상하에 결합하는 상하작동부(140); 및
    상기 상하작동부(140)의 상,하부캠(142,143) 하측에 탄성부재(151)를 설치하여 하부캠(143)이 하강하면서 탄성부재(151)를 가압하는 보조탄성부(15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탄성부(130)의 가이드샤프트(135) 상하부 외주연에는 나사(135a,135b)를 각각 형성하고, 상측 나사(135a)의 하부 외주연에는 육각부(134c)를 형성하되 상부 나사(135a) 보다 하부 나사(135b)의 피치가 더 크게 형성하고, 하부나사(135b)의 피치는 상,하부캠(142,143)의 상하 이동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스프링(131)은 내부에 보조스프링(131a)을 삽입하여 이중으로 형성하거나 비틀림스프링(131)의 중앙부분 피치를 크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부(140)는 하부하우징(124b)에 연동되는 파이프형상의 가이드하우징(141)을 구비하되 가이드하우징(141)의 상단 내주연에 육각공(141a)을 형성하고, 지지구(134)에 형성된 가이드샤프트(135)의 상측 나사(135a)에는 상부캠(142)을 나사결합 하되 상부캠(142)의 상부 외주연을 육각으로 형성하여 가이드하우징(141)의 육각공(141a)에 끼워 결합하고, 가이드샤프트(135)의 육각부(135c)에는 육각공(143a)이 형성된 하부캠(143)을 결합하여 회전이 자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부(140)는 지지구(134)에 형성된 가이드샤프트(135)의 하측 나사(135b)에 나사공(144a)이 형성된 조절구(144)를 나사 결합하되 조절구(144)의 외주연 상측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플랜지의 하부측 외주연을 육각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탄성부(150)는 중앙이 관통된 삽입공(152a)을 형성한 내부클러치(152)를 구비하여 내부클러치(152)의 삽입공(152a)에 조절구(144)를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되게 하고, 내부클러치(152)의 하부에는 대응되는 외부클러치(153)를 형성하되 외부클러치(153)의 수직으로 육각공(153a)을 형성하여 내부클러치(152)를 관통한 조절구(144)를 끼워 내부클러치(152)와 조절구(144)가 상호 연동되게 하며, 내,외부클러치(152,153)는 상호 톱니로 맞물리도록 하여 좌우로 회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되 외부클러치(153)의 외주연에 걸림턱(153b)을 형성하고 걸림턱(153b)에 상단이 걸려 외부클러치(153)를 가압하는 스프링(153c)을 삽입하고 스프링(153c)을 고정하는 마감수단(153d)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KR1020090071391A 2009-08-03 2009-08-03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KR10106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391A KR101067893B1 (ko) 2009-08-03 2009-08-03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391A KR101067893B1 (ko) 2009-08-03 2009-08-03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764A KR20110013764A (ko) 2011-02-10
KR101067893B1 true KR101067893B1 (ko) 2011-09-28

Family

ID=4377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391A KR101067893B1 (ko) 2009-08-03 2009-08-03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89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856A (ko) * 2017-08-16 2018-05-09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80046858A (ko) * 2017-08-16 2018-05-09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4B1 (ko) * 2017-08-02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5B1 (ko) * 2017-08-16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3B1 (ko) * 2017-08-02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3772B1 (ko) * 2017-10-25 2018-08-02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90019585A (ko) * 2017-08-18 2019-02-27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90022182A (ko) * 2017-08-25 2019-03-06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262B1 (ko) * 2014-12-09 2015-01-27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방충망 손잡이 구조
KR101694616B1 (ko) * 2015-05-08 2017-01-09 공종수 노크핀 방식의 스프링힌지
CN107965228B (zh) * 2017-11-17 2019-08-06 广东坚朗五金制品股份有限公司 关门器
KR102161595B1 (ko) * 2020-05-25 2020-10-05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솥 덮개의 회전 부하 조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762A (ja) * 1991-02-11 1993-04-09 General Electric Co <Ge> 配線用遮断器の現場取り付け可能型アクセサリ
JP2001503237A (ja) 1997-04-26 2001-03-06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リップ型携帯電話のマイクロフォン接続装置
JP2004316092A (ja) 2003-04-11 2004-11-11 Himu Electro Kk ヒンジ
JP2005002782A (ja) 2003-06-10 2005-01-06 Q Inotekku Co Ltd 自動復帰機能を有する多用途ヒンジ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762A (ja) * 1991-02-11 1993-04-09 General Electric Co <Ge> 配線用遮断器の現場取り付け可能型アクセサリ
JP2001503237A (ja) 1997-04-26 2001-03-06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リップ型携帯電話のマイクロフォン接続装置
JP2004316092A (ja) 2003-04-11 2004-11-11 Himu Electro Kk ヒンジ
JP2005002782A (ja) 2003-06-10 2005-01-06 Q Inotekku Co Ltd 自動復帰機能を有する多用途ヒンジ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254B1 (ko) * 2017-08-02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3B1 (ko) * 2017-08-02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80046856A (ko) * 2017-08-16 2018-05-09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80046858A (ko) * 2017-08-16 2018-05-09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5B1 (ko) * 2017-08-16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962742B1 (ko) * 2017-08-16 2019-03-27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962741B1 (ko) * 2017-08-16 2019-03-27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90019585A (ko) * 2017-08-18 2019-02-27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027510B1 (ko) * 2017-08-18 2019-10-01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90022182A (ko) * 2017-08-25 2019-03-06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027511B1 (ko) * 2017-08-25 2019-10-01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3772B1 (ko) * 2017-10-25 2018-08-02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764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893B1 (ko)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KR100777202B1 (ko)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DK2601367T3 (en) HANGING WITH ADJUSTABLE TORQUE
KR100740809B1 (ko)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KR100938132B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10187377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091998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00024786A (ko)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KR101874254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200215984Y1 (ko) 오토힌지의 텐션조절장치
KR101179525B1 (ko) 임의 위치로의 클로저 기능을 갖는 힌지 장치
KR100938129B1 (ko) 기계식 도어클로저
KR100627889B1 (ko)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KR10196274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962741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094100B1 (ko) 도어 클로저 일체형 도어스톱퍼
KR20110002241U (ko) 비상 자동문 잠금장치
KR101874253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95118B1 (ko) 여닫이문용 경첩
KR20170137390A (ko) 도어 개폐용 경첩
JPH0520845Y2 (ko)
KR20080091555A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장치
KR101901401B1 (ko) 방화문용 자동 폐쇄장치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20030072759A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