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32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location in mi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location in mi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326B1
KR101067326B1 KR1020090041938A KR20090041938A KR101067326B1 KR 101067326 B1 KR101067326 B1 KR 101067326B1 KR 1020090041938 A KR1020090041938 A KR 1020090041938A KR 20090041938 A KR20090041938 A KR 20090041938A KR 101067326 B1 KR101067326 B1 KR 10106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rminal
space
server
servi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9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2978A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이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석 filed Critical 이원석
Priority to KR102009004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326B1/en
Publication of KR2010012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9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3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될 시,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단말이 특정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할 시에 해당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n entry is made into a service spa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and when entering the service space, Includ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executing a program for receiving a service, the terminal may automatically provide a corresponding service when entering a specific service space, thereby providing a more convenient service to a user.

위치 기반 서비스, 공간 진입, 순번 서비스 Location based service, space entry, turn service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LOCATION IN MIBILE COMMUNICATION SYSTEM}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LOCATION IN MI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단말이 특정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할 시에 상기 진입한 공간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받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eiv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space when a user terminal enters a specific service space. .

높은 인터넷 보급률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환경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 구축이 가능해지고 개인용 모바일 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물리적인 네트워크 연결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서도 상기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Due to the high Internet penetration rate and the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build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in various environments, and as mobile devices are widely used, they can receive desired service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without performing a physical network connection procedure. It became.

한편, 은행, 관공서 및 병원과 같이 사용자가 많은 기관에서는 각 사용자에게 해당 기관을 방문한 순서대로 순번을 부여하여 상기 순번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순번을 부 여 받기 위하여 줄을 서거나 번호표를 뽑는 등의 별도의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며, 사용자별로 희망하는 서비스가 서로 다르더라도 정해진 순서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즉,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줄을 서거나 번호표를 뽑아 순번을 부여 받고, 순번대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식은 전체 서비스 효율을 극대화시키는데 한계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작업의 난이도가 높으면서 처리속도가 느린 서비스를 요청한 1번 사용자와 작업의 난이도가 낮으면서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요청한 2, 3번 사용자가 있을 경우, 1번 사용자보다 2, 3번 사용자를 먼저 처리하면 각 사용자의 서비스 완료 시간을 최소화시키면서 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부여 받은 순서에 따라 1번 사용자를 먼저 처리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서비스 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many institutions such as banks, government offices and hospitals provide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by granting each user the order in which they visited the institution. The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has to perform a separate procedure such as drawing a line or drawing a number in order to receive the sequence number, even if the desired services are different for each user. Has the disadvantage of providing the service accordingly. That is, as described above, a method in which a user is lined up or draws a numbered number and is given a turn number, and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provided in turn has a limitation in maximizing overall service efficiency. For example, if you have 1 user who requested a service that is slow and slow, and 2 and 3 user who requested a service that can be processed quickly with low difficulty, 2, 3 Although the first user can be processed while minimizing the service completion time of each user, the first user must be processed first in the order in which the user has been assigned. Therefore, the overall service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상기와 같이 단순히 순번만을 부여해주는 서비스는 무선 인터넷 환경으로 다양한 서비스에 점차 익숙해진 사용자들의 기호를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that provides only a sequence number as described above has a limitation in satisfying preferences of users who are gradually accustomed to various services in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특정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 service by detecting whether a user terminal enters a specific service spa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 종류와 특정 서비스 공간에 진입한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ervice by using a service type requested by a terminal and time information entered into a specific service spa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의 방법은,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될 시,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a terminal for receiv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entry into the service spa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ervice When entering the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automatically executing a program for receiving a service from the service space.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의 방법은, 서비스 공간 내에 존재하 는 단말로부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시각 정보와 단말의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 순번을 부여하는 과정과, 상기 순번에 따라 상기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the server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ime information entered in the service space from the terminal existing in the service space and the ID of the terminal And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ing a sequence number to the terminal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a service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quence numb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특정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특정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할 시에 해당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진행 중에 특정 상품 혹은 기관을 광고 혹은 홍보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 가능하며, 서비스 공간 내에 사용자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탐지하여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치안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a user terminal enters a specific service spa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utomatically provides a corresponding service when entering a specific service space, thereby providing a more convenient service to a user.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business models,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for advertising or promoting a specific product or institution, and it is effective to reinforce security in the service space by detecting a user's movement in a service space in real tim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특정 서비스 공간으 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특정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할 시에 해당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user terminal entering a specific service spa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utomatically providing a corresponding service when entering a specific service space will be described.

먼저,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살펴보기로 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서비스'는 어떠한 대가를 받거나 받지 않고, 무형 혹은 유형의 행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을 지칭한다. 'Service' refers to providing the user with intangible or tangible behavior with or without payment.

'서비스 공간'은 상기 서비스가 제공되는 특정 공간을 지칭한다. 'Service space' refers to a specific space where the service is provided.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 공간에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을 지칭한다. 'User' refers to a subject who is provided with the service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ervice space.

'서비스 프로세스'는 상기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는 일련의 순차적인 작업들을 지칭한다. 'Service process' refers to a series of sequential tasks that proceed to provide the service to the user.

'서비스 프로그램'은 상기 서비스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순차적인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이동통신 단말용 프로그램과 서비스 서버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The service program is a program for performing sequential tasks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process, and is composed of a progra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rogram for a service server.

'단말용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미리 적재된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프로그램 혹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동적으로 로딩되는 웹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The terminal program refers to a client-server based program preloa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web program dynamically loa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인증' 과정은 상기 서비스 공간에서 각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지칭한다.The authentication process refers to a process of identifying each user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to each user in the service space.

'인증 사용자'는 상기 인증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사용자를 지칭한다.'Authentication user' refers to a user who has successfully performed the authentication process.

'불특정 사용자'는 별도의 인증 과정 없이 상기 서비스 공간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을 지칭한다.'Unspecified user' refers to an object that receives a service in the service space without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ss.

'식별정보'는 서비스 공간에서 각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한 단말의 식별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공간에 진입한 시각과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 ID 혹은 MAC ID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예약 사용자인 경우에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시스템 ID, 사용자 눈의 홍채정보 등 바이오 정보등 개인 식별 기능을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이들 정보를 개인식별정보라 한다.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fers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for identifying each user in the service space, and may be expressed by a combination of a time when the user enters the service space and a terminal ID or MAC ID of the corresponding user. In addition, the reservation user may include information for personal identification functions such as name, social security number, service system ID, iris information of the user's eyes, etc., and this information is referred to a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 혹은 PC(Personal Computer)(102)로 인터넷(80)을 통해 자신이 방문하고자 하는 특정 기관의 웹 서버(120)에 접속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 내역을 미리 예약한다. Referring to FIG. 1, first, a user wants to access and provide a web server 120 of a specific institution to be visited through the Internet 80 through a user terminal 100 or a personal computer (PC) 102. Reserve the service details in advance.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특정 기관의 서비스 공간(130)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서비스 공간(130)에 진입하였을 시, 해당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시작하여 상기 특정 기관의 서비스를 제공 및 관리하는 서버, 즉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로 진입 시각 정보와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에 미리 적재된 것일 수도 있으며, 상기 인터넷(80)을 통한 예약 과정에서 상기 웹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 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서비스 공간(130)에 진입하였을 시에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로부터 동적으로 다운로드 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 공간(130)을 이탈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서비스 공간(130)을 이탈할 시, 해당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WLAN, HSDPA, Wi-Fi, Bluetooth, WiMAX, Wibro, Wibro Evolution, LTE(Long Term Evolu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며,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서비스 공간(130)의 AP(134)를 통해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와 통신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periodically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and checks whether or not the user enters the service space 130 of the specific institution, and automatically starts the corresponding service program when entering the service space 130. A service request is provided by transmitting entrance time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that provides and manages a service of the specific institution, that is, a server 132 of a service space. Here, the service program may be previously loaded in the terminal, may be downloaded from the web server 120 during the reservation process through the Internet 80, or when entering the service space 130 It may be dynamically downloaded from the server 132 of the service spac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periodically while receiving a service from the server 132 of the service space, checks whether the service space 130 leaves the service space 130, and leaves the service space 130. The service program is automatically terminated. Here, the user terminal 100 supports at least one of WLAN, HSDPA, Wi-Fi, Bluetooth, WiMAX, Wibro, Wibro Evolution, and Long Term Evolution (L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P 134 of the service space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132 of the service space.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는 상기 서비스 공간(130)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서비스 제공이 요청될 시,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특정 서비스 내역을 요청받거나 상기 웹 서버(12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예약한 서비스 내역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는 필요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서비스 공간(130) 밖으로 빠져나감을 인식하여 해당 서비스의 제공을 종료하고 이를 상기 웹 서버(120)에 알린다.When the server 132 of the service space is requested to provide a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100 entering the service space 130, the server 132 receives a specific service history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web server 120. Obtains the service history reserved by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00). Here, the server 132 of the service space may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user terminal 100 as necessary. When the server 132 of the service space does not receive any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terminal 100 recognizes that the user exits out of the service space 130 and provides a corresponding service. Ends and informs the web server 120 of this.

상기 웹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혹은 PC(102)로부터 예약이 요청된 서비스 내역을 등록하여 저장하고, 상기 특정 기관의 서비스를 제공 및 관리하는 서버, 즉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상기 사용자가 예약한 서비스 내역을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웹 서 버(120)는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서비스 종료를 알리는 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등록 및 저장된 서비스 내역을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web server 120 registers and stores the service history requested for reserv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PC 102, and provides and manages the service of the specific institution, that is, the server 132 of the service space. When a request is made from), the service history reserved by the user is provided to the server 132 of the service space. In addition, the web server 120 may delete the registered and stored service details when a signal indicating service termination for the user terminal 100 is received from the server 132 of the service space.

여기서는,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와 상기 웹 서버(120)가 서로 분리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132)와 상기 웹 서버(120)는 하나의 서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server 132 and the web server 120 in the service space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the server 132 and the web server 120 in the service space may be configured as one serv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2 illustrates a signal flow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210단계에서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 요청 내역을 특정 기간의 웹 서버(12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웹 서버(120)는 212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요청 내역을 등록 및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요청 내역을 웹 서버(120)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아닌 PC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210,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a service request history that the user wants to be provided to the web server 120 for a specific period, and the web server 120 receives the received web server 120 in step 212. Register and store the service request details. Here, the transmission of the service request history to the web server 120 may be performed in a PC, not the user terminal 200.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214단계에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기관의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될 시, 216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한다.In step 214, the user terminal 200 checks whether the user enters the service space of the specific institution through his or her location information. When entering the service space, the user terminal 200 proceeds to step 216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corresponding service program. Run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218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한 시각 정보와 단말 ID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는 22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 말(200)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요청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222단계에서 단말에 기 저장되거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I-PIN, OTP 방식의 비밀번호, MAC ID, IP 주소, 단말 ID, 바이오 정보, 기타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In operation 218,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ime information and terminal ID entered into the service space to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and receives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 In step 202, the user terminal 200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operation 222,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or input from the user to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meant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 ID and password, I-PIN, OTP password, MAC ID, IP address, terminal ID, bio information, other personal information.

여기서, 사용자는 특정사용자(이름 및 응용 서비스 도메인 기반 아이디를 갖는 특정 사용자) 분만 아니라 불특정 사용자(오직 단말 ID와 시간만 아는 사용자)에게도 서비스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불특정 사용자에게는 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Here, the user can serve not only a specific user (a specific user having a name and application service domain-based ID) but also an unspecified user (a user who knows only the terminal ID and time), and in this case, the unspecified user may not be authenticated. .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격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자격이 있다고 판단될 시, 224단계 및 226단계에서 사용자 인증 성공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웹 서버(204)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는 상기 웹 서버(204)로 사용자 인증 성공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단말 ID를 함께 전송하여 상기 웹 서버(204)가 상기 사용자 단말(202)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격이 없다고 판단될 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 인증이 실패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Upon receiving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200 is entitled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service based on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eligible, 224. In step 226, a message indicating a successful user authent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web server 204. In this case, when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successful user authentication to the web server 204, the server 202 transmits a terminal ID of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web server 204. The terminal 202 can be distinguish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here, when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200 is not entitled to receive the service, the server 202 sends a message indicating that user authentication has failed. send.

이후, 상기 웹 서버(204)는 228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대해 등록 된 서비스 요청 내역을 검색하고, 230단계로 진행하여 검색된 서비스 요청 내역을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로 전송한다. In step 228, the web server 204 searches for the service request history registered with respect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proceeds to step 230 and transmits the retrieved service request details to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서비스가 요청될시, 232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 내역을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특정 서비스가 요청되지 않을 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232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service is requested from the user,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requested service details to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in step 232. In this case, when a specific service is not requested from the user, the user terminal 200 may omit step 232.

상기 서비스 요청 내역을 수신한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는 234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를 확인하고, 23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순번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서비스의 처리시간, 처리량 등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순번을 부여할 수도 있다.In step 234,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that has received the service request history checks the requested service, and proceeds to step 236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may assign a sequence number to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n addition,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may assign the order of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processing time, throughput, etc. of the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200)은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 공간을 이탈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서비스 공간을 이탈할 시, 24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서비스 프로그램을 종료한다.The user terminal 200 provided with the service from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service space is obtained by leaving location information, and when leaving the service space, proceeds to step 240 in step 240. Quit the program.

한편,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는 24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는지 감지한다. 즉,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상기 서비스 공간 밖으로 빠져나감으로써, 해당 서비스의 이용이 종료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202)는 상기 사용자 단 말(200)의 서비스 이용이 종료됨을 감지할 시, 24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웹 서버(204)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서비스 이용이 종료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웹 서버(204)는 246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대해 등록 및 저장된 서비스 내역을 삭제한다.In operation 242,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detects whether the service use of the user terminal 200 is terminated. That is, when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does not receive any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20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terminal 200 exits the service space, thereby ending use of the service. Can be detected. When the server 202 of the service space detects that the service use of the user terminal 200 is terminated, the server 202 proceeds to step 244 that the service use of the user terminal 200 is terminated by the web server 204. Send a notification message. Then, the web server 204 deletes the service history registered and stored for the user terminal 200 in step 246.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terminal receiving a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301단계에서 특정 기간의 웹 서버에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 요청 내역을 등록한다.Referring to FIG. 3, in step 301, the terminal registers a service request history that a user wants to be provided to a web server of a specific period.

이후, 상기 단말은 303단계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기관의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지 않았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305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Thereafter, the terminal periodically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step 303, and proceeds to step 307 to check whether the terminal enters the service space of the specific organization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If the terminal does not enter the service space, the terminal returns to step 305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gain.

반면,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였을 시, 상기 단말은 307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로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한 시각 정보와 단말 ID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the service space, the terminal automatically executes the service program in step 307 and proceeds to step 309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time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enters the service space and a terminal ID.

이후, 상기 단말은 311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요청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요청되지 않을 시 하기 319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요청될 시, 313단계에서 상기 단말에 기 저장되거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15단계에서 인증 성공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Thereafter, the terminal checks whether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in step 311, and proceeds to step 319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not requested. In step 313,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or input from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In step 315, the terminal checks whether a message indicating the successful authentication is received.

상기 단말은 인증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313단계로 되돌아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재전송하고, 인증 성공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317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 내역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서비스 요청 내역이 입력되지 않을 시 하기 32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내역이 입력될 시, 319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서비스 요청 내역을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로 전송한다. When receiving a message indicating the authentication failure, the terminal returns to step 313 to retransmit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when a message indicating the authentication success is received, the terminal checks whether a service request is input from the user in step 317. When the service request details are not input,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321 below. When the service request details are input,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319 and transmits the input service request details to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이후, 상기 단말은 321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로부터 서비스 이용 순번을 부여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시 주의사항, 서비스 이용 위치,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준비물 및 서비스 이용 비용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step 321, the terminal uses a service provided from a server of the service space.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be given a service use sequence number from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and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using the service, for example, precautions when using the service, location of the service use, preparations for using the service and service use cost, etc. The sam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이후, 상기 단말은 323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서비스 공간을 이탈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서비스 공간을 이탈하지 않음이 검사될 시 상기 32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하고, 상기 서비스 공간을 이탈함이 검사될 시 3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종료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In step 323, th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service space leaves the service space. When it is checked that the terminal does not leave the service space, the terminal returns to step 321 to continuously use the service, and when it is checked that the terminal leaves the service space,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325 to automatically terminate the service program. Then,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공간의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4A and 4B illustrate an operation procedure of a server in a service space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401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식별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403단계에서 상기 단말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요청하고, 405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4A and 4B,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checks wh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step 401.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n step 403, and checks whether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step 405.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407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이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자격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단말이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자격이 없다고 판단될 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423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이 실패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checks whether the terminal is entitled to use the service based on the received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step 407.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not eligible to use the corresponding service,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that user authentication has failed in step 423 to the terminal and terminates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반면, 상기 단말이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자격이 있다고 판단될 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인증 성공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과 웹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상기 웹 서버가 상기 단말을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의 ID를 함께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entitled to use the corresponding service,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proceeds to step 409 and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the user authentication success to the terminal and the web server. At this time,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transmits the ID of the terminal together so that the web server can distinguish the terminal.

이후,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411단계에서 서비스 요청 내역이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요청 내역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으며,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In step 411,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checks whether a service request history is received. In this case, the service request history may be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or may be received from the terminal.

상기 서비스 요청 내역이 수신될 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41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청 내역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확인하고, 415단계로 진행 하여 상기 단말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순번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시 주의사항, 서비스 이용 위치,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준비물 및 서비스 이용 비용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service request details are received,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checks th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rvice request details in step 413, and proceeds to step 415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service to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may be assigned a sequence number for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 of the service, for example, service use notes, service use locatio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reparations for using the service and the cost of using the service may be provided.

이후,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419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는지 감지한다.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단말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의 서비스 이용이 종료됨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상기 단말의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지 않음이 감지될 시 상기 415단계로 되돌아가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하고, 상기 단말의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었음이 감지될 시, 4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웹 서버로 상기 단말의 서비스 이용이 종료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In operation 419,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detects whether service of the terminal is terminated. When n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may determine that the service of the terminal is terminated. When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detects that the service usage of the terminal is not termina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415 and continues to provide a service,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ervice usage of the terminal is termina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21. The web server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ervice of the terminal is terminated.

이후,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The server in the service space then terminates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5 illustrates an operation procedure of a web server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웹 서버는 501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 내역이 수신될 시, 503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 내역을 등록 및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service request details are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step 501, the web server registers and stores the service request details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step 503.

이후, 상기 웹 서버는 505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로부터 상기 단 말에 대한 인증 성공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에 대해 등록된 서비스 요청 내역을 검색한 후, 509단계에서 상기 검색된 서비스 요청 내역을 서비스 공간의 서버로 전송한다.In step 505, the web server receives an authentication success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terminal from a server in the service space. In step 507, the web server searches for a service request history registered for the terminal. The searched service request history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이후, 상기 웹 서버는 511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서비스 이용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In step 511, the web server checks whether a message indicating termination of service use of the terminal is received from a server in the service space.

상기 단말의 서비스 이용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웹 서버는 5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에 대해 등록 및 저장된 서비스 요청 내역을 삭제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When the message indicating the end of service use of the terminal is received, the web server proceeds to step 513 to delete the service request history registered and stored for the terminal, and terminates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구청에서 여권 발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서비스 공간의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생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6 illustrates a signal flow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ase where the user uses the passport issuance service at the ward off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case where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omitted from the server in the service spa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600)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610단계에서 인터넷을 통해 구청 서버(604)에 접속하여 여권 발급 서비스의 예약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구청 서버(604)는 상기 사용자 단말(600)이 여권 발급 서비스를 신청함을 등록 및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6, the user terminal 600 accesses the ward office server 604 through the Internet and requests a reservation of a passport issuing service under step 610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and receives the ward office server 604. Register and store the user terminal 600 applies for a passport issuance service.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600)은 614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구청의 민원실로 진입되는 것을 확인하고, 616단계로 진행하여 구청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한다.In step 614, the user terminal 600 confirms the entry into the civil office of the ward off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step 616, the user terminal 600 automatically executes the service program for receiving the ward service.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600)은 618단계에서 상기 민원실에 진입한 시각 정보와 단말의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민원실 서버(602)로 전송하고, 상기 민원실 서버(602)는 620단계에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구청 서버(604)로 전송한다.In step 618, the user terminal 6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ime information of entering the complaint room and the terminal ID to the complaint room server 602, and the complaint room server 602 identifies the identification in step 620.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ard office server 604.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구청 서버(604)는 622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 등록된 서비스 요청 내역을 검색함으로써, 상기 단말이 여권 발급 서비스를 요청하였음을 검색하고, 62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여권 발급 서비스가 요청됨을 상기 민원실 서버(602)로 전송한다.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ward office server 604 searches for the registered service request histor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step 622, thereby searching that the terminal has requested a passport issuance service, and in step 624. Proceeds to the request for the passport issuance service is transmitted to the complaint room server (602).

이후, 상기 민원실 서버(602)는 626단계에서 상기 여권 발급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600)에 순번을 부여한 후, 62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600)로 상기 여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할 창구 정보 및 순번 정보를 전송한다.In operation 626, the complaint room server 602 checks the information on the passport issuance service and assigns the sequence number to the user terminal 600. In operation 628, the passport issuance service is performed to the user terminal 600. Send window information and sequence number information to be provided.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600)은 630단계에서 상기 민원실 서버(602)로부터 제공된 정보 즉, 창구 및 순번 정보를 바탕으로 여권 발급 서비스를 이용하고, 632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민원실 밖으로 이동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민원실 밖으로 이동될 시, 63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 종료한다.In step 630, the user terminal 600 uses a passport issuance service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mplaint room server 602, that is, a window and a sequence number information, and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600 moves out of the complaint room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in step 632. When moving out of the complaint room, proceed to step 634 to automatically terminate the service program.

한편, 상기 민원실 서버(602)는 636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600)의 여권 발급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는지 감지한다. 즉, 상기 민원실 서버(602)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사용자 단말(600)이 상기 서비스 공간 밖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여권 발급 서비스의 이용이 종료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민원실 서버(602)는 상기 사용자 단말(600)의 여권 발급 서비스 이용이 종료됨을 감지할 시, 638단계에서 상기 구청 서버(604)로 상기 사용자 단말(600)의 여권 발급 서비스 이용이 종료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구청 서버(604)는 64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600)에 대해 등록 및 저장된 여권 발급 서비스 내역을 삭제한다.Meanwhile, the civil complaint server 602 detects whether the user terminal 600 uses the passport issuing service in step 636. That is, when the civil service server 602 does not receive any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60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terminal 600 exits the service space, thereby ending use of the passport issuance service. Can be detected. Thereafter, when the complaint room server 602 detects that the use of the passport issuance service of the user terminal 600 is terminated, the use of the passport issuance service of the user terminal 600 is terminated by the ward office server 604 in step 638. In step 640, the ward office server 604 deletes the registered and stored passport issuing service details of the user terminal 60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병원에서 진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서비스 공간의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생략하며, 서비스 공간의 서버와 웹 서버가 통합되어 하나의 서버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7 illustrates a signal flow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ase where the user uses the medical service in the hospit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example,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omitted from the server in the service space, and the server and the web server of the service space are integrated to form a single server.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710단계에서 인터넷을 통해 병원 서버(702)에 접속하여 진료 서비스의 예약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병원 서버(702)는 상기 사용자 단말(700)이 진료 서비스를 신청함을 등록 및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7, the user terminal 700 accesses the hospital server 702 through the Internet and requests an appointment of a medical service under operation 710, and the hospital server 702 receives the request. The user terminal 700 registers and stores an application for a medical service.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700)은 714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병원에 진입되는 것을 확인하고, 7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병원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한다.In step 714, the user terminal 700 confirms that the hospital enters the hospital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 step 716, the user terminal 700 automatically executes a service program for receiving the hospital service.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700)은 718단계에서 상기 병원에 진입한 시각 정보와 단말의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병원 서버(702)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 서버(702)는 720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 등록된 서비스 요청 내역을 검색함으로써, 상기 단말이 진료 서비스를 요청하였음을 확인하고, 72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진료를 받을 진료과를 확인하고 순번을 부여한다. 이후, 상기 병원 서버(702)는 72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700)로 상기 진료과 안내 정보 및 순번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진료과 안내 정보는 진료과 위치, 진료 의사 정보, 진료과의 대기 환자 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operation 718, the user terminal 7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ime information of entering the hospital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hospital server 702, and the hospital server 702 transmits the terminal in step 720. By retrieving the pre-registered service request histor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confirms that the terminal has requested a medical service, and proceeds to step 722 based on the information previously inputted by the user. Check and give the sequence number. In operation 724, the hospital server 702 transmits the medical department guide information and the sequence number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700. Here, the medical department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a medical department location, medical doctor information, the number of waiting patients of the medical department, and the like.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700)의 사용자가 726단계에서 상기 병원 서버(702)로부터 제공된 진료과 정보와 순번 정보를 바탕으로 진료를 받으면, 상기 병원 서버(702)는 728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700)에 대한 진료 내역 및 진료비 수납 정보를 확인하고, 7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된 진료 내역 및 진료비 수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7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병원 서버(702)는 의사 혹은 간호사의 PC 혹은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700)에 대한 진료 내역 및 진료비 수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병원 서버(702)는 상기 진료비를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결재 방식(예: 현금 지급, 신용 카드, 선납금, 이동 단말 결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700 receives the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treatment department information and the ord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hospital server 702 in step 726, the hospital server 702 receives the user terminal 700 in step 728. In operation 730, the medical service history and the medical expenses storage information are checked, and the checked medical treatment history and medical expenses storag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700. Here, the hospital server 702 may be provided with the medical history and medical fee storage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700 from the PC or terminal of the doctor or nurse. In this case, the hospital server 702 may provide information on various payment methods (eg, cash payment, credit card, prepayment, mobile terminal payment) that can accommodate the medical expenses.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700)의 사용자가 732단계에서 상기 병원 서버(702)로부터 제공된 진료비 수납 정보에 따라 진료비를 수납하면, 상기 병원 서버(702)는 734단계에서 상기 진료비 수납이 완료됨을 감지하고, 736단계에서 제약 및 주사 정보를 확인한 후 73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된 제약 및 주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병원 서버(702)는 처방전을 사용자 단말(700)로 전 송하거나 주사실의 위치, 주사 종류 등과 같은 주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700)로 전송한다. Thereafter,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700 stores the medical expenses according to the medical expenses stor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hospital server 702 in step 732, the hospital server 702 detects that the medical expenses storage is completed in step 734. In step 736, the controller 100 confirms the constraint and the scan information, and then proceeds to step 738 and transmits the checked constraint and the scan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hospital server 702 transmits a prescription to the user terminal 700 or transmits injection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of the injection room, the type of injection, etc. to the user terminal 700.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700)의 사용자는 740단계에서 상기 병원 서버(702)로부터 제공된 제약 및 수사 서비스를 이용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700)은 742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병원 밖으로 이동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병원 밖으로 이동될 시, 74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 종료한다.Thereafte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700 uses the pharmaceutical and investigation services provided from the hospital server 702 in step 740, and the user terminal 700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700 moves out of the hospital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in step 742. When moving out of the hospita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744 and automatically terminates the service program.

한편, 상기 병원 서버(702)는 746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700)의 진료 서비스 이용이 종료되는지 감지한다. 즉, 상기 병원 서버(702)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700)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사용자 단말(700)이 상기 병원의 서비스 공간 밖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진료 서비스의 이용이 종료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병원 서버(702)는 상기 사용자 단말(700)에 대해 등록 및 저장된 진료 서비스 요청 내역을 삭제한다.In operation 746, the hospital server 702 detects whether the use of the medical service of the user terminal 700 is terminated. That is, when the hospital server 702 does not receive any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70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terminal 700 exits the service space of the hospital, the use of the medical service is You can detect that it is finished. At this time, the hospital server 702 deletes the registered medical service request history stored for the user terminal 70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8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800), 제어부(810), 위치 확인부(820), 저장부(830), 표시부(840) 및 입력부(8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제어부(810)는 본 발명에 따라 공간 서비스 제어부(8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8, the terminal includes a transceiver 800, a controller 810, a positioning unit 820, a storage unit 830, a display unit 840, and an input unit 85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810 includes a space service control unit 8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송수신부(800)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 행한다. 즉, 상기 송수신부(800)는 상기 제어부(8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810)로 제공한다. 특히, 상기 송수신부(800)는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공간의 서버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The transceiver 800 performs a role of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n antenna. That is, the transceiver 800 up-converts the baseband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810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antenna, and down-converts the high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into a baseband signal. Provided to the controller 810. In particular, the transceiver 800 processes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 server in a servic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81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공간 서비스 제어부(812)를 포함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 공간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공간 서비스 제어부(812)는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공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서비스 공간에 위치할 시 해당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또한, 상기 공간 서비스 제어부(812)는 주기적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이 이전에 진입한 특정 서비스 공간에서 이탈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서비스 공간에서 이탈할 시 동작중인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종료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The control unit 810 controls and process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includes the space service control unit 8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 for receiving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spa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To perform. That is, the space service controller 812 periodically checks location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in a service space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and automatically executes a corresponding service program when located in the service space. To control and process a function for receiving a service from the service space. In addition, the space service control unit 812 periodically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terminal leaves the specific service space previously entered and automatically exits the service program in operation when leaving the service space. Control and handle the function to terminate.

상기 위치 확인부(820)는 소정 주기마다 혹은 상기 제어부(810)의 요청에 의해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810)로 제공한다. 상기 위치 확인부(820)는 GPS 위성에서 송출된 전파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확인부(820)는 상기 GPS를 통해 숫자 형태로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문자 형태의 위치 정보 예를 들어, 지역 명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각 지역에 대한 숫자 형태의 위치 정보와 문자 형태의 지역 명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한다. The location checking unit 820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every predetermined period or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 unit 810,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810. The location determiner 820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y receiving a radio wave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Here, the location checking unit 820 may convert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in the form of numbers through the GPS into location information in a text form, for example, a region name. It uses a mapping table tha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eric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the name of the region in the form of a character.

상기 저장부(83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마이크로 코드 등을 저장하고, 각 서비스 공간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에 미리 적재될 수도 있으며, 웹 서버를 통해 미리 다운로드 될 수도 있고, 상기 단말이 진입한 특정 서비스 공간에서 동적으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830 stores a program for various operations of the terminal, various microcodes, and the like, and stores a service program necessary to receive a service from each service space. The service program may be loaded in advance in the terminal, may be downloaded in advance through a web server, or may be dynamically downloaded in a specific service space entered by the terminal.

상기 표시부(840)는 상기 제어부(8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840)는 상기 공간 서비스 제어부(8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한다.The display unit 840 displays stat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limited numbers and characters, a large amount of moving images, and still imag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10.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840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erver of the service space under the control of the space service controller 812.

상기 입력부(850)는 다수의 숫자키와 문자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어부(810)로 제공한다. The input unit 85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character keys, and function keys to provide the control unit 810 with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공간의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9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in a service spa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는 송수신부(900), 제어부(910), 서비스 요청 내역 저장부(920)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제어부(910)는 서비스 제공 제어부(9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server of the service space includes a transceiver 900, a controller 910, and a service request history storage unit 92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910 is a service provision controller 91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송수신부(900)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 행한다. 즉, 상기 송수신부(900)는 상기 제어부(9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920)로 제공한다. 특히, 상기 송수신부(900)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단말들 및 웹서버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The transceiver 900 performs a role of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n antenna. That is, the transceiver 900 up-converts the baseband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910 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antenna, and down-converts the high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into a baseband signal.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920. In particular, the transceiver 900 processe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web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910)는 상기 서비스 공간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공간 내의 단말들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부(912)를 포함함으로써 다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말들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확인하고, 각 단말들에 순번을 부여하여 상기 확인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순번 정보를 각 단말들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 정보는 각 단말이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한 시각 정보와 단말의 ID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부(912)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각 단말들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The control unit 910 controls and processes an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ice space server, for example, an oper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to terminals in the service space, and includes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912 to provide a plurality of terminals. Controls and processes a function for identifying a service requested from each terminal by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assigning a sequence number to each terminal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service and sequence number information to each terminal. do.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time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entering the service space and an ID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control unit 912 controls and processes a function for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each terminal as necessary.

상기 서비스 요청 내역 저장부(92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부(912)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단말들에 대한 식별 정보와 요청된 서비스 내역 정보를 저장한다.The service request history storage unit 92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requested service history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ice provision control unit 912.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웹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web ser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 서버는 송수신부(1000), 제어 부(1010), 서비스 요청 내역 저장부(1020)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제어부(1010)는 서비스 요청 내역 관리부(10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10, the web server includes a transceiver 1000, a controller 1010, and a service request history storage unit 102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010 may include a service request history manager 101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송수신부(1000)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송수신부(900)는 상기 제어부(9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920)로 제공한다. 특히, 상기 송수신부(900)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단말들 및 서비스 공간의 서버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The transceiver 1000 processes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n antenna. That is, the transceiver 900 up-converts the baseband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910 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antenna, and down-converts the high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into a baseband signal.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920. In particular, the transceiver 900 processe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in a service space.

상기 제어부(1010)는 상기 웹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10)는 상기 서비스 요청 내역 관리부(1012)를 포함함으로써, 해당하는 서비스 공간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다수의 단말 혹은 PC로부터 서비스 예약을 요청받아 등록 및 저장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하고, 상기 서비스 공간의 서버로부터 특정 단말의 ID가 수신될 시, 기 등록된 서비스 요청 내역 중 대응되는 서비스 요청 내역을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공간 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010)는 상기 서비스 요청 내역 관리부(1012)를 통해 각 단말의 서비스 이용 종료를 감지하고, 상기 기 등록된 서비스 요청 내역 중에서 상기 단말의 서비스 요청 내역을 삭제한다.The controller 1010 performs control and processing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eb server.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010 includes the service request history management unit 1012 to provide information on a service provided by a server of a corresponding service space, and to receive and register a service reservation request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or PCs. A function for controlling and processing a function for storing and retrieving a corresponding service request detail among previously registered service request details when an ID of a specific terminal is received from a server of the service space. Control and handling. The control unit 1010 detects the end of service use of each terminal through the service request history management unit 1012 and deletes the service request details of the terminal from the previously registered service request details.

상술한 설명에서는, 구청과 병원을 예로 들어 상기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본 발명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건물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데에 적용할 수도 있고, 음식점에서 손님을 안내하고 주문을 받는데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유료 광고 혹은 특정 기관을 홍보하는데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의 사용자가 건물에 진입할 시, 상기 건물의 서버에서 감시카메라를 작동시켜 상기 건물의 입구에서부터 상기 단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이 금지된 구역으로 진입할 시 이를 단말로 통보하거나 내부 경보를 울릴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의 사용자가 음식점에 진입할 시, 상기 음식점의 서버에서 상기 단말로 자리 안내 정보를 전송하고, 음식 메뉴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서 음식을 주문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서 각 단말들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간에 유료 광고나 해당 서비스 기관의 홍보 자료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a specific service is provid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ward office and a hospital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a building, can be used to guide a customer at a restaurant and take an order, or can be applied to a paid advertisement or to promote a specific agency. That is,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enters the building, the surveillance camera may be operated by the server of the building to track the movement path of the terminal from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when the terminal enters the prohibited area, It may notify the terminal or sound an internal alarm. In addition,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enters the restaurant, the sea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of the restaurant to the terminal, and the food menu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llow the user to order food from the terminal. In addition, a paid advertisement or promotional material of a corresponding service organization may be transmitted and displayed on the terminal while providing information on a service to each terminal in the service space.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단말 혹은 PC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 예약을 요청함으로써 서비스 공간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았으나, 상기 서비스 예약을 요청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한 후 서비스를 요청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user accesses a web server through a terminal or a PC to request a service reservation, and receives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e service space, but after entering the service space without performing the process of requesting the service reservation, You will be able to request services and be provided with them.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terminal receiving a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공간의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4A and 4B illustrate an operation procedure of a server in a service space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web server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8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공간의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9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in a service spa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웹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0 is a block diagram of a web ser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과, 서비스 공간을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for receiving a location-based service, and a server managing a service space,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terminal enters the service spa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될 시,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과정과,When the terminal enters the service space, automatically executing a program for receiving a service from the service space; 일정시간 내에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하는 단말이 다수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공간을 관리하는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프로그램들의 처리시간을 비교하는 과정과,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erminals entering the service spa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server managing the service space comparing the processing time of programs to be provided with the service by the terminal; 상기 서버가, 상기 프로그램들 중 빨리 처리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먼저 처리하여 전체적인 처리량을 극대화하고 해당 사용자의 응답 시간을 줄이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processing, by the server, a program that can be processed quickly among the programs first to maximize the overall throughput and reduce a response time of the corresponding us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automatically executing a program for receiving a service from the service space by the terminal,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공간을 관리하는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server managing the service space after executing the program; 상기 서비스 공간을 관리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receiving a service from the server managing the service space.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한 시각 정보와 상기 단말의 ID 정보와 개인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im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entering the service space, ID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은,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service, 상기 서비스 공간을 관리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순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service to be provided from the server managing the service space and order information to be provided with the servic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 이용시 주의사항, 서비스 이용 위치,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준비물 및 서비스 이용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information on the ser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otice on using a service, a location of using a service, preparations for using the service, and a service using cos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비스 공간 진입 이전 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 공간을 관리하는 상기 서버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step before entering the service space, the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questing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to the server that manages the service space through the Interne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에 미리 적재되거나 상기 서비스 공간을 관리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공간 진입 이전에 상기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다운로드되거나 상기 서비스 공간 진입 시에 동적으로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program for receiving the specific service is downloaded in the process of requesting the provision of the specific service before entering the service space from the server which is loaded in the terminal or manages the service space, or dynamically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ervice space. How to download to.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 진입될 시,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공간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과정 다음에,After entering the service space, the terminal automatically executes a program for receiving a service from the service space,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공간을 이탈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o leave the service space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기 서비스 공간을 이탈할 시, 상기 실행 중인 서비스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 running service program when leaving the service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의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the server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서비스 공간 내에 존재하는 단말로부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시각 정보와 단말의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ime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service space and an ID of the terminal from a terminal existing in the service space;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 순번을 부여하는 과정과, Assigning a sequence number to the terminal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순번에 따라 상기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providing a service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quence number.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받아 저장하는 과정과,Storing and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from the terminal before the terminal enters the service space;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서비스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identifying a specific service requested by the terminal user before the terminal enters the service space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1020090041938A 2009-05-14 2009-05-1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location in mi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0673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38A KR101067326B1 (en) 2009-05-14 2009-05-1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location in mi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38A KR101067326B1 (en) 2009-05-14 2009-05-1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location in mibil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978A KR20100122978A (en) 2010-11-24
KR101067326B1 true KR101067326B1 (en) 2011-09-23

Family

ID=4340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938A KR101067326B1 (en) 2009-05-14 2009-05-1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location in mi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3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606B1 (en) 2011-10-14 2018-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US20130191215A1 (en) * 2012-01-20 2013-07-25 Yahoo! Inc. Location-based application pop up
KR101350692B1 (en) * 2012-04-25 2014-01-10 손용석 Mobile terminal and direct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979401B1 (en) 2012-06-22 2019-05-16 구글 엘엘씨 Ranking nearby destinations based on visit likelihoods and predicting future visits to places from location history
EP2875655B1 (en) * 2012-06-22 2021-04-28 Google LLC Inferring user interests
KR20140057083A (en) * 2012-11-02 201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wireless terminal thereof
KR102399440B1 (en) 2015-03-02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ent providing method of content providing syetem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537151B1 (en) * 2021-03-12 2023-05-3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256A (en) * 2003-08-11 2005-02-22 (주) 기산텔레콤 Visitors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reof
KR20060012390A (en) * 2004-08-03 2006-0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satation with function of operating application on lacation based and method thereof
KR20070041858A (en) * 2005-10-17 2007-04-20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zone-based personalized information providing
KR20070060937A (en)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in hospital using rfi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256A (en) * 2003-08-11 2005-02-22 (주) 기산텔레콤 Visitors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reof
KR20060012390A (en) * 2004-08-03 2006-0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satation with function of operating application on lacation based and method thereof
KR20070041858A (en) * 2005-10-17 2007-04-20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zone-based personalized information providing
KR20070060937A (en)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in hospital using rf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978A (en)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3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location in mi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10398034A1 (en) Check-in systems and methods
US11106818B2 (en) Patient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80103341A1 (en) System for location based authentication
US20140006451A1 (en) Remote-Controllable Kiosk
CN107077671B (en) Pay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ecurity module
KR20180013524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biometric information
US101486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11756046B2 (en) Computerized optimization of customer service queue based on customer device detection
US10931665B1 (en) Cross-device user identification and content access control using cookie stitchers
US20160048640A1 (en) Patient management service method, treat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node and server applied thereto
CA3056522A1 (en) Determining attribution for an electric credit application
JP2016164770A (en) Network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6278149B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server
KR20170001503A (en) Service method for ticketing online ticket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program using the same
KR101923602B1 (en) Method for receiving registran for medical treatment and system thereof
JP2019032803A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server
KR20110128492A (en) Medical treatment associ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186915B1 (en) Hospital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Based on User Position
JP2023535908A (en) TOUCHPOINT DEVICE, TOUCHPOINT SYSTEM, TOUCHPOINT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5103091A1 (en) Check-in systems and methods
KR101725434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provider terminal with customer order information and system thereof
AU2015101271A4 (en) A hotel management system adapted for interfacing with authoris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6826146B2 (en) Order management system, order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09230625A (en) Terminal authent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