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862B1 -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862B1
KR101065862B1 KR1020110000239A KR20110000239A KR101065862B1 KR 101065862 B1 KR101065862 B1 KR 101065862B1 KR 1020110000239 A KR1020110000239 A KR 1020110000239A KR 20110000239 A KR20110000239 A KR 20110000239A KR 101065862 B1 KR101065862 B1 KR 10106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array
photovoltaic
outpu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호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산전
김영일
조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산전, 김영일, 조선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산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0Measuring the maximum or the minimum value of current or voltage reached in a time interv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 어레이의 전압이 급변하면,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압(V)에 대한 상기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력(P)의 순간 변화량(
Figure 112011039675545-pat00051
)을 통하여 부분 음영을 판단하고, 부분 음영이 발생하면 최대전력점 추정을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에 따르면, 음영 부분의 PV모듈의 상태를 감시 진단하여 출력저하가 발생하는 시간과 그 원인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 음영 시에도 최대출력점에서 MPPT가 실행되게 함으로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효율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Solar Cell Generation System Tracking Maximum Power Point According to Determining Partial Shade of Solar Cell Array}
본 발명은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부분 음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 제어가 가능한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발전은 높은 발전단가에 비해 전력 생산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그러나, 화석 에너지의 감소와 무공해라는 환경적인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현재에는 태양광 발전 효율 개선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태양으로부터 받은 에너지를 태양전지를 통해 변환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의 비율은 전체 태양에너지의 약 15~20%에 불과하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일으키는 태양전지(solar cell)의 출력은 매우 작으므로 필요한 출력을 얻기 위해, 도 1과 같이 태양전지를 여러 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태양전지 모듈(PV Module, PhotoVoltanic Module)을 구성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다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태양전지 어레이(PV Array)를 구성한다.
태양전지 어레이의 전압 크기는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모듈 개수에 비례하며, 태양전지 어레이의 전류 크기는 병렬 연결된 선로의 개수에 비례한다.
도 2는 직·병렬 연결에 따른 태양 전지 어레이의 출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Figure 112011000192749-pat00001
Figure 112011000192749-pat00002
는 개별 태양전지 모듈의 단락(Short Circuit)전류와 개방(Open Circuit)전압이며,
Figure 112011000192749-pat00003
Figure 112011000192749-pat00004
는 직렬 또는 병렬 연결에 따른 태양전지 어레이의 출력이다. 태양 전지 어레이의 전류 출력 특성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회로로 동작하기 전까지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류 값이 유지된다. 한편,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어레이의 전력 출력이 최대가 되는 전류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05
)과 전압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06
)의 쌍을 최대 전력점(MPP, Maximum Power Point)이라고 한다.
한편, 태양광발전은 태양전지의 출력이 주변 환경에 따라 출력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여타의 발전 방식보다 안정적인 전기 공급이 어렵다. 도 3은 온도와 일사량에 따른 태양 전지 출력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시 말하면,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전지의 출력이 일사량, 온도, 구름 등의 주변 환경에 따라 전압과 전류가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의 낮은 효율 및 불안정한 전력공급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태양전지 자체의 성능을 높여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대책이지만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뚜렷한 개선이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태양광 발전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성능을 높여 효율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태양광발전의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최대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최대 출력을 생산하기 위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가 필수적이다.
MPPT 제어란 주위 환경에 의해 출력이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태양전지 시스템에서 최대전력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동작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로서 대표적인 제어 방법으로는 P&O(Perturbation and Observation) 방식과 IncCond(Incremental Conduction) 방식이 있다. 도 4는 MPPT 제어를 이용한 최대전력점을 추적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P&O 방식은 태양전지 어레이의 출력 전압을 주기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고, 이전 출력 전력과 현재 출력 전력을 비교하여 최대전력 동작점을 찾는 방법이고, IncCond 방식은 태양전지 출력의 컨덕턴스와 증분 컨덕턴스를 비교하여 최대 전력 동작점을 찾는 방법이다.
P&O 방식은 MPP의 판단을 측정된 전압(V)과 전류(I)로부터 계산된 전력(P=VI)의 변화량을 이용하고, InCond 방식은 컨덕턴스(G=I/V)를 이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한편, MPPT 제어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동작점으로 최대 전력점(MPP)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MPPT 제어는 태양전지에 부분 음영이 발생하는 경우 정확한 최대 전력점을 추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태양전지 어레이는 여러 개의 모듈이 직렬 또는 병렬 연결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 어레이에 부분 음영이 발생할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부적 최대전력점(Local MPP)이 발생하므로 MPPT제어가 국부적 최대 전력점 근처에서 동작하여 실제의 최대전력점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데, 아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레이의 A-1 라인의 M-1 모듈에 음영이 발생하면 해당 직렬 라인에 전체적으로 전류가 감소하여 전체적인 출력이 감소되어 음영이 발생한 태양전지 모듈에 열이 발생되는 Hot spot 현상이 발생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현상방지를 위해 바이패스(bypass)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해당 모듈을 바이패스 시킨다. 이런 경우 해당 모듈이 단락되므로 이렇게 바이패스된 모듈이 존재하는 A-1 라인의 개방 전압 값은 다른 어레이의 개방 전압에 비해 감소하게 되고, 상기 A-1 라인의 개방 전압 값이 일정 값 이하로 떨어지면 A-1 라인은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1개 이상의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전체적인 P-V곡선 상에서 국부적인(Local) MPP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태양전지 어레이에 부분 음영이 발생하여 국부적인 MPP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최대 전력점에서 MPP를 추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압(V)에 대한 상기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력(P)의 순간 변화량(
Figure 112011039675545-pat00007
)을 통하여 부분 음영을 판단하고, 부분 음영이 발생하면 최대전력점 추정을 재수행함으로써 태양전지 어레이에 부분 음영이 발생한 경우라도 항상 최대 전력점에서 최대전력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는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PPT 기울기를 이용한 태양전지 어레이 부분 음영 검출방법은,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력(
Figure 112011000192749-pat00008
)과 이전 출력 전력(
Figure 112011000192749-pat00009
)의 비(
Figure 112011000192749-pat00010
)가 기 설정된 상수 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출력 전력의 비가 기 설정된 상수 값인
Figure 112011000192749-pat00011
이상이면, 상기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압(V)에 대한 상기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력(P)의 순간 변화량(
Figure 112011000192749-pat00012
)이 양의 값인지 판단하여 상기 태양광 어레이에 음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제2단계, 태양광 어레이에 음영이 발생하였으면 상기 순간 변화량(
Figure 112011000192749-pat00013
)의 제곱이 기 설정된 상수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14
이내인지 판단하여 상기 태양광 어레이에 부분 음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어레이의 최대전력 추정방법은,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태양광 어레이에 부분 음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기존에 수행중이던 태양전지 어레이의 최대전력 추정을 중지하며, 태양광 어레이의 전 범위 출력 전압 값에 대하여 전력을 재산출하고 상기 재산출된 전력 값 중 최대 전력 값에 대응되는 전압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15
)을 산출하여 상기 전압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16
)에 대하여 다시 태양전지 어레이의 최대전력 추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에 따르면, 음영 부분의 PV모듈의 상태를 감시 진단하여 출력저하가 발생하는 시간과 그 원인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 음영 시에도 최대출력점에서 MPPT가 실행되게 함으로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효율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분 음영 판단을 위해 별도의 센서나 추가적인 회로 없이 기존회로를 보완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는 통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통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의 전류-전압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통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의 전력-전압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통상적인 어레이의 최대출력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온도 일사량 따른 통상적인 태양 전지 출력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MPPT 제어를 이용한 최대전력점 추정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부분 음영 발생시 태양전지 어레이의 P-V 출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bypass된 모듈이 연결된 어레이에 부분 음영이 발생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사량 급변시 순간적인
Figure 112011000192749-pat00017
의 전압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부분 음영 발생시
Figure 112011000192749-pat00018
의 전압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블록선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부분 음영이 발생했지만 출력변화가 작은 경우에 있어서 MPPT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출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태양전지 어레이 전체에 일사량이 줄어드는 경우 또는 태양전지 어레이에 국부적으로 음영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태양전지 어레이에 전체적으로 일사량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일사량이 급변하더라도 국부적인 MPP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추가적인 MPPT제어를 행하지 않아도 최대전력으로 발전이 가능하다.
부분 음영이 발생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국부적인 MPP에서 MPPT가 동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출력이 급변하는 경우 부분 음영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출력이 급변하는 경우 IncCond MPPT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부분 음영 발생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설계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부분 음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cCond MPPT 방식은 태양전지의 V-P 출력곡선의 기울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그 특성이 안정적이고, 구현방법이 간단하여 P&O 방식과 함께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IncCond MPPT는 최대 전력점에서 V-P 특성곡선의 기울기가 0(Zero)라는 것을 이용하여 최대 전력점을 찾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출력이 급변하는 경우 IncCond MPPT의 기울기
Figure 112011000192749-pat00019
를 비교하여 부분 음영 발생여부를 판단하였다. 여기서
Figure 112011000192749-pat00020
는 태양광 어레이에서 전력의 변화량을 의미하며,
Figure 112011000192749-pat00021
는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압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MPPT 제어 시, 태양전지 어레이에 전체적 음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Figure 112011000192749-pat00022
의 값이 순간적으로 크게 변화하며, 부분 음영으로 인하여 태양전지 어레이의 출력전력이 급변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Figure 112011000192749-pat00023
의 값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태양전지 어레이의 출력전력 값이 급변하나 IncCond MPPT의
Figure 112011000192749-pat00024
값이 일정 범위 내의 값인 경우 부분 음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모든 영역에서 전력을 계산한 후 실제 최대전력점에 해당하는 전압을 구하여 MPPT를 실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IncCond MPPT의 기울기에 따라 부분 음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MPPT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킨 후, 시스템의 단순화와 계산 시간 단축을 위해 모의실험 또는 경험에 따른 미리 설정된 전압에 대하여 전력을 구하여 그 중에서 최대값에 해당하는 전력의 전압에 대하여 MPPT가 재실행 되도록 하였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에 대한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첫번째 단계는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이다(S100).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전력은 일정 단위 시간에 측정된 태양광 어레이의 전압과 전류 값을 곱하여 산출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11000192749-pat00025
은 각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현재 출력 전력과 현재 출력으로부터 단위시간 이전의 출력 전력 값을 의미한다.
두번째 단계는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전력 감시단계이다(S200). 태양광 어레이의 음영여부 판단은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력 급변 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력 급변 여부는 일사량의 상태에 따라 상대적으로 판단하며,
Figure 112011000192749-pat00026
값이 기 설정된 상수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27
)을 비교하여 판단한다. 상기에서 기 설정된 상수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28
)은 출력 전력 급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임계값이며, 반복적인 실험이나 경험에서 취득될 수 있다. 만약
Figure 112011000192749-pat00029
값이 기 설정된 상수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30
)보다 크면 태양광 어레이에 음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세번째 단계로 진행한다.
세번째 단계는 태양광 어레이의 음영 발생여부 판단단계이다(S300). 태양광 어레이의 음영발생여부는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압에 대한 출력 전력의 순간 변화량(
Figure 112011000192749-pat00031
)을 측정하여 판단한다. 상기 순간 변화량(
Figure 112011000192749-pat00032
)이 양의 값을 갖는 경우 태양광 어레이에 음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네번째 단계는 태양광 어레이의 부분 음영 발생여부 판단단계이다(S400). 태양광 어레이의 부분 음영 발생여부 판단은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압에 대한 출력 전력의 순간 변화량(
Figure 112011000192749-pat00033
)의 제곱과 기 설정된 상수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34
)을 비교하여 판단한다. 상기에서 기 설정된 상수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35
)은 부분 음영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전력의 순간 변화량의 임계값이며 반복적인 실험이나 경험에서 취득될 수 있다. 상기 순간 변화량(
Figure 112011000192749-pat00036
)의 제곱이 기 설정된 상수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37
)보다 작으면 부분 음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다섯번째 단계는 부분 음영 발생 시 수행 중이던 MPPT를 중지하고 태양광 어레이의 전 범위 출력 전압 값에 대하여 전력을 구하고 그 중에서 최대가 되는 전력을 가지는 전압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38
)을 산출하여 상기 전압 값(
Figure 112011000192749-pat00039
)에 대하여 MPPT가 재실행 되도록 하는 단계이다(S500).
한편, 전술한 S400단계와 S500단계에서 부분 음영이 발생한 경우에도
Figure 112011000192749-pat00040
가 크게 변화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변화가 일정 범위 안에서 일어나는 경우에 해단된다. 즉, 국부적인 MPP는 발생하지만 MPPT 제어가 실제 MPP를 변함없이 추정하므로 실제 MPP를 찾기 위한 S500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하면, S400단계와 S500단계에서 부분 음영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태양광 발전의 출력이 일정 범위이상 변화는 경우에만 최대 전력점 전압 계산을 재실행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MPPT의 기울기
Figure 112011000192749-pat00041
비교를 통해 부분 음영 여부를 판단하고, 부분 음영 발생 시 실제 최대전력점에서 MPPT가 실행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영 부분의 PV모듈의 상태를 감시 진단하여 출력저하가 발생하는 시간과 그 원인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 음영 시에도 최대출력점에서 MPPT가 실행되게 함으로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효율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의 태양광발전 시스템보다 안정된 최대 출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는 부분 음영 발생 시 최대 출력점을 찾지 못하고 국부적인 MPP에서 MPPT를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음영발생 시에도 실제 최대출력점에서 MPPT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부분 음영 판단을 위해 별도의 센서나 추가적인 회로 없이 기존회로를 보완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태양광 발전 시스템

Claims (2)

  1.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력(
    Figure 112011039675545-pat00042
    )과 이전 출력 전력(
    Figure 112011039675545-pat00043
    )의 비(
    Figure 112011039675545-pat00044
    )가 기 설정된 상수 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출력 전력의 비가 기 설정된 상수 값인
    Figure 112011039675545-pat00045
    이상이면, 상기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압(V)에 대한 상기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 전력(P)의 순간 변화량(
    Figure 112011039675545-pat00046
    )이 양의 값인지 판단하여 상기 태양광 어레이에 음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제2단계;
    태양광 어레이에 음영이 발생하였으면 상기 순간 변화량(
    Figure 112011039675545-pat00047
    )의 제곱이 기 설정된 상수 값
    Figure 112011039675545-pat00048
    이내인지 판단하여 상기 태양광 어레이에 부분 음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태양광 어레이에 부분 음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기존에 수행중이던 태양전지 어레이의 최대전력 추정을 중지하며, 태양광 어레이의 전 범위 출력 전압 값에 대응되는 출력 전력을 재산출하고 상기 재산출된 출력 전력 값 중 최대 출력 전력 값에 대응되는 전압 값(
    Figure 112011039675545-pat00049
    )을 산출하여 상기 전압 값(
    Figure 112011039675545-pat00050
    )에 대하여 다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을 수행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
KR1020110000239A 2010-12-08 2011-01-03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 KR101065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038 2010-12-08
KR20100125038 2010-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862B1 true KR101065862B1 (ko) 2011-09-20

Family

ID=4495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239A KR101065862B1 (ko) 2010-12-08 2011-01-03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86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6646A (zh) * 2012-01-13 2012-07-11 冶金自动化研究设计院 一种光伏***局部遮荫条件下的最大功率点跟踪方法
KR101452776B1 (ko) 2013-07-10 2014-1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시스템
KR101508334B1 (ko) 2014-12-09 2015-04-08 에디슨솔라이텍(주)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점 추적방법
KR101639940B1 (ko) * 2015-02-24 2016-07-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pv 패널 감시 장치 및 방법
CN106200752A (zh) * 2015-05-06 2016-12-07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局部阴影下光伏阵列最大功率跟踪滑模控制***
KR20200006826A (ko) 2018-07-11 2020-01-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Hot Spot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3949102A (zh) * 2021-11-22 2022-01-18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全局最大功率点跟踪方法、功率优化器和光伏逆变器
CN114301091A (zh) * 2021-12-23 2022-04-08 新奥数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阵列输出功率控制方法和装置
CN116126085A (zh) * 2023-01-26 2023-05-16 广西大学 一种基于Grover算法的量子启发式光伏最大功率点跟踪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560B1 (ko) * 1993-11-16 1999-03-20 미따라이 하지메 전력 발생 장치
JP2005252172A (ja) 2004-03-08 2005-09-15 Tokyo Univ Of Science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電力見積方法、設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93594A (ja) 2009-02-17 2010-09-0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最大発電量推定方法、配電系統の制御方法、及び配電系統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560B1 (ko) * 1993-11-16 1999-03-20 미따라이 하지메 전력 발생 장치
JP2005252172A (ja) 2004-03-08 2005-09-15 Tokyo Univ Of Science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電力見積方法、設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93594A (ja) 2009-02-17 2010-09-0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最大発電量推定方法、配電系統の制御方法、及び配電系統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UMMADI VEERACHARY et al., "Voltage-Based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of PV System", IEEE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S, January 2002, VOL. 38, NO. 1, pp.262-270.*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6646A (zh) * 2012-01-13 2012-07-11 冶金自动化研究设计院 一种光伏***局部遮荫条件下的最大功率点跟踪方法
KR101452776B1 (ko) 2013-07-10 2014-1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시스템
US9583645B2 (en) 2013-07-10 2017-02-28 Lsis Co., Ltd. Photovoltaic system
KR101508334B1 (ko) 2014-12-09 2015-04-08 에디슨솔라이텍(주)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점 추적방법
KR101639940B1 (ko) * 2015-02-24 2016-07-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pv 패널 감시 장치 및 방법
CN106200752A (zh) * 2015-05-06 2016-12-07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局部阴影下光伏阵列最大功率跟踪滑模控制***
KR20200006826A (ko) 2018-07-11 2020-01-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Hot Spot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3949102A (zh) * 2021-11-22 2022-01-18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全局最大功率点跟踪方法、功率优化器和光伏逆变器
CN113949102B (zh) * 2021-11-22 2024-04-12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全局最大功率点跟踪方法、功率优化器和光伏逆变器
CN114301091A (zh) * 2021-12-23 2022-04-08 新奥数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阵列输出功率控制方法和装置
CN116126085A (zh) * 2023-01-26 2023-05-16 广西大学 一种基于Grover算法的量子启发式光伏最大功率点跟踪方法
CN116126085B (zh) * 2023-01-26 2024-05-07 广西大学 一种基于Grover算法的量子启发式光伏最大功率点跟踪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862B1 (ko) 태양전지 어레이의 부분 음영 판단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전력 추정방법
Mutoh et al. Prediction-data-based maximum-power-point-tracking metho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s
Coelho et al. A MPPT approach based on temperature measurements applied in PV systems
Gokmen et al. Simple diagnostic approach for determining of faulted PV modules in string based PV arrays
Li et al. An improved perturbation and observation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algorithm based on a PV module four-parameter model for higher efficiency
Theristis et al. Energy yield in photovoltaic systems
TWI461882B (zh) 太陽能模組系統之多點直接預測最大功率點追蹤方法及太陽能模組陣列之控制裝置
Kumar et al. Simulation of variable incremental conductance method with direct control method using boost converter
KR100989441B1 (ko) 적응형 퍼지모델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최대전력 추정방법
Huang A rapid maximum power measurement system for high-concentration photovoltaic modules using the fractional open-circuit voltage technique and controllable electronic load
Alqarni et al.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for photovoltaic system: modified perturb and observe algorithm
TWI595744B (zh) 太陽能板發電異常測試方法及其系統
TWI553440B (zh) 太陽光伏發電之最大功率追蹤方法
Cristaldi et al. MPPT definition and validation: a new model-based approach
Mahmoud et al. Computational time quantification of the single diode PV models
Zielińska et al. Modelling of photovoltaic cells in variable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intensity of solar insolation as a method of mapping the operation of the installation in real conditions
Wirateruna et al. Design of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Photovoltaic System Based on Incremental Conductance Algorithm using Arduino Uno and Boost Converter
KR101987253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05159388B (zh) 一种用于光伏微网***中的最大功率点跟踪的方法
Schuss et al. Impact of solar radiation on the output power of moving photovoltaic (PV) installations
Abdulmajeed et al. Photovoltaic maximum tracking power point system: review and research challenges
KR102581386B1 (ko) 태양광 패널의 최대 전력을 추정하는 mpp 추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waraj et al. Combining PV MPPT algorithm based on temperature measurement with a PV cooling system
Seba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BOOST CONVERTER TOPOLOGIES FOR PHOTOVOLTAIC SYSTEMS USING MPPT (PO) AND BETA METHODS UNDER PARTIAL SHADING
TW201939194A (zh) 一種最大功率追蹤演算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