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838B1 -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of ring back tone in routing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of ring back tone in routing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838B1
KR101064838B1 KR1020090071956A KR20090071956A KR101064838B1 KR 101064838 B1 KR101064838 B1 KR 101064838B1 KR 1020090071956 A KR1020090071956 A KR 1020090071956A KR 20090071956 A KR20090071956 A KR 20090071956A KR 101064838 B1 KR101064838 B1 KR 101064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terminal
forced
call
call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4346A (en
Inventor
김영환
주명훈
지중선
제건호
안홍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838B1/en
Publication of KR20110014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3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8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은 호 시도(Call Attempt)에 따라 착신 단말기로 발신하는 과정에서 통화가 연결되는 동안 강제 음원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설정한 선택 음원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발신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을 중계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강제 음원과 상기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를 포함함으로써, 중계망을 통하여 대기음 대체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outputs a forced sound source and a selected sound source set by the called terminal while the call is connected in the process of making a call to the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 call attempt. By including a relay network call source providing server for relay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ndby sound substitute through the relay network have.

중계망, 통화, 음원,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호 시도, 호 연결, 발신 단말기, 착신 단말기, 대기음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subscriber database, call attempt, call connection, originating terminal, called terminal, waiting sound

Description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OF RING BACK TONE IN ROUTING NETWORK}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OF RING BACK TONE IN ROUTING NETWORK}

본 발명은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강제 음원 및 선택 음원을 중계망에서 제공할 수 있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 server, and a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 serv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forced sound source and a selected sound source in a relay network.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자가 지정한 다양한 음을 상대방 발신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일반 전화기에서 통화 연결음으로 들리도록 하는 통화 연결음 서비스 또는 소위 컬러링 통화 연결음(CRBT: Coloring RBT)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Recently, a ring tone service or a so-called Coloring RBT (CRBT) service has been in the spotlight, so that various sounds designated by the called par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heard as a ring back tone by the caller's mobile terminal or a general telephone.

이러한 통화 연결음 서비스는 착신자가 지정한 벨소리를 발신자에게 제공한다는 서비스 개념으로, 기존의 발신시 발생하는 기계적인 통화 연결음, 예컨대, "따르릉 따르릉" 소리 대신 최신 가요나 팝송 등은 물론이고 새소리, 물소리 등을 비롯하여 사전에 녹음해 둔 자신의 목소리까지도 통화 연결음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서비스이다.The ring back tone service provides a caller with a ringtone specified by the called party. The ring back tone service is a mechanical ring back tone that is generated during an existing outgoing call. In addition, it is a service that enables you to use your own voice recorded in advance.

이러한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상대방은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통화 연결음을 청취하는 대신 착신자가 지정한 음원의 소리를 청취함으로써 청각적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As the ring back tone service is provided, the other party may feel auditory satisfaction by listening to the sound of a sound source designated by the called party, instead of listening to a uniform mechanical ring back tone.

한편, 이동 통신 단말 기술의 향상과 통신망의 고속화가 진전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비교적 큰 용량의 벨소리나 동영상 파일 등의 원활한 전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차별되게 자신을 나타낼 수 있는 서비스를 점점 더 요구하고 있는데, 앞에서 설명한 통화 대기음 서비스도 사람들간의 차별 욕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advanc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echnology and the high speed of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s as smooth transmission of ringtones or video files of relatively large capacity is possibl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ccordingly, people are increasingly demanding services that can express themselves differently from others. The call waiting service described above is also a product of the desire for discrimination between people.

본 발명은 강제 음원 및 선택 음원을 신뢰성있게 제공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 serv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forced sound source and a selected sound source reliabl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은 호 시도(Call Attempt)에 따라 착신 단말기로 발신하는 과정에서 통화가 연결되는 동안 강제 음원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설정한 선택 음원을 수신하여 출력하 는 발신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을 중계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강제 음원과 상기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forced sound source and a selected sound source set by the called terminal while the call is connected in the process of calling to the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 call attempt. And a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configured to relay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and to transmit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는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부, 상기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강제 음원 제공부,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상기 강제 음원이 전송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착신 상태 확인부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선택 음원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relay unit for relay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destination terminal that is the call attempt target of the calling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The compulsory sound source providing unit, the compulsory sound source is transmitted from the compulsory sound source providing unit, and the incoming state check unit for confirming whether the target of the call attempt and whether or not to provide the selected sound source and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rmal And when the called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the target of the selection sound source, it may include a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ing unit which cuts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ransmits a pre-selected selection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는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인 단말 접속 통신망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부, 상기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강제 음원 제공부,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상기 강제 음원이 전송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착신 상태 확인부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선택 음원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는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강제 음원을 전송하지 않고, 상기 착신 상태 확인부는 상기 강제 음원이 전송되었을 시점과 동시에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선택 음원 제공부는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단말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전송되는 강제 음원이 있으면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상기 선택 음원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relay unit for relay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destination terminal that is the call attempt target of the calling terminal, forced to the calling terminal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a sound source, the call state confirmation unit and the called terminal to check whether the forced sound source is transmitted from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and whether the target terminal is the target of the call attempt and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And a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ing unit which cuts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ransmits a pre-selected selection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receiver is normal and that the called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sion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The providing unit is a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forced sound source is provided, the call condition check unit checks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be the target of the call attempt at the same time when the forced sound source is transmitted, and selects the selected sound source.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may cut off the forced sound source and not transmit the selected sound source when there is a forced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when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is provided in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을 제공하는 중계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중계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는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ther to provide the selected sound source may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called terminal is subscribed to a relay network service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ubscriber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he called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relay network service may be determined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alled terminal stored in the subscriber database.

또한, 상기 강제 음원은 가상 링백톤 또는 광고 음성 중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ced sound source may be one of a virtual ringback tone or an advertising voice.

또한, 상기 선택 음원 제공부는, 각종 선택 음원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선택 음원을 상기 발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음원 제공부 및 상기 음원 제공부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할 선택 음원을 선택하게 하는 음원 제공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원 제공부 및 음원 제공 제어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sound source providing unit that stores various selection sound sources and provides the stored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and a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ler which allows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to select a selection sound source to be provided to the calling terminal. can do. Here,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발신 단말기 정보 확인부 및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경우 상기 강제 음원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강제 음원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calling terminal information checking unit confirming whether the calling terminal is a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and a pre-selected selec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forced sound source when the calling terminal is a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It may include a forced sound sourc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ound sour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은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을 중계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호 시도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lling terminal in which a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relays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calling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called terminal targeted for a call attempt of the calling terminal. Transmitting a forced sound source to the receiver; checking a state of a called terminal targeted for the call attempt and whether to provide a selected sound sour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ed terminal is normal and the called terminal is a target for providing a selected sound; And cu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ransmitting a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은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인 단말 접속 통신망을 중계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존재하면 강제 음원을 전송하지 않고,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단말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존재하면 선택 음원을 전송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for relaying the terminal 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destination terminal of the cal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Checking whether there is a terminal access network forced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terminal access network forced sound source exists, the forced sound source is not transmitted; when the terminal access network forced sound source does not exist, the forced sound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Transmitting, checking whether there is a terminal access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checking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o provide a selection sound source; selecting a sound source if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exists The terminal without transmitting And transmitting the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rmal and that the called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sion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if there is no existing access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have.

이때,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중이거나 통화 불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태음을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나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링백톤을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busy or unavailable, ringing tone is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t normal or to provide the selected sound sourc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o the calling terminal.

또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호 시도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hecking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he target sound source is provided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that performs the call attempt.

또한, 상기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호 시도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강제 음원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to perform the call attempt by the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calling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the calling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If confirmed, the method may include transmitting a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forced sound sourc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은 중계망에서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을 제공함으로써, 발신자는 신뢰성 있는 대기음의 대체 음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 network call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forced sound source and a selected sound source from a relay network to a calling terminal, whereby the caller may be provided with an alternative source of reliable standby sound.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강제 음원은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링백톤 이전에 제공되는 음원으로서 가상 링백톤 또는 광고 음성 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선택 음원일 수도 있다. 선택 음원은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링백톤의 대체음으로 착신 단말기, 발신 단말기에서 선택한 음원이다. 컬러링 등이 이에 해당한다.The forced sound sour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virtual ringback tone or an advertisement voice as a sound source provided before the ringback tone transmitted from the exchange, and may be a selected sound source in some cases.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an alternative sound of the ringback tone transmitted from the exchange and is a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calle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Coloring and the like correspond to thi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 server, and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링백톤 서비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ingback ton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면 링백톤 서비스 장치는 홈위치 등록기(HLR)(10), 시그널링 트랜스퍼 프로토콜(Signalling Transfer Protocol: STP) 기반의 No.7 망(20)을 매개로 상기 홈위치 등록기(HLR)(10)와 통신하는 교환기(O_MSC/VLR, T_MSC/VLR)(31,32), 상기 No.7 망(20)에 연결되고 게이트웨이(CGS)(40)를 매개로 상기 교환기(31,32)와 통신하는 음원 제공 장치(Intelligent Peripheral : IP)(50), 인터넷망(60)을 매개로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와 데이터 통신하는 음원 제공 제어 서버(IP Server)(70), 상기 인터넷망(60)을 매개로 상기 홈위치 등록기(10)와 연결된 가입자 저장 데이터베이스(80), 게이트웨이(90)를 매개로 상기 인터넷망(60)에 연결되어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 및 상기 음원 제공 제어 서버(70)와 통신하는 웹 서버(Web Server)(100)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ringback tone service device is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10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10 through a signaling transfer protocol (STP) based No. 7 network 20. Switch (O_MSC / VLR, T_MSC / VLR) (31,32), which is connected to the No.7 network (20) and communicates with the exchange (31,32) via a gateway (CGS) 40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Intelligent Peripheral: IP) 50, a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IP Server) 70, the Internet network 60 to communicate data with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50 via the Internet network 60 Connected to the home storage register 10 and the subscriber storage database 80 and the gateway 90 via the Internet network 60 via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50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 70) and a web server (100)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상기 홈위치 등록기(10)는 기존의 망 구성요소로서의 기능을 모두 가지되, 링백톤 대체 유무(有無)에 대한 제 1 정보와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로 라우팅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착신 가입자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로 기설정하여 가지고 있는 기능이 추가되는데, 상기 정보는 착신 가입자 프로파일의 부가서비스 가입 정보로 서 설정 저장되어 있다.The home location register 10 has all of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network components, and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ringback tone replacement and the second information for routing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50. A function having a preset function is added as profile information for th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is set and stored as additional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 profile.

상기 교환기(31,32)는 기존의 망 구성요소로서의 기능을 모두 가지되, 착신 가입자의 위치 등록시 상기 홈위치 등록기(10)와 통신하여 상기 기설정된 상기 제 1 및 제 2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착신 가입자의 호접속 요청시 상기 저장된 제 1 및 제 2 정보에 근거한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와의 통신으로 링백톤을 대체하기 위한 음원을 수신하여 그 수신된 음원을 해당 발신자에게 링백톤 대체음으로 제공하며, 착신 가입자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도 가입된 가입자일 경우 그 착신 가입자의 상태 정보(즉, 통화중, 비통화중 및 통화 중 대기 호의 유무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및 제 2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원 제공 장치로 접속할 때 그 접속 요청 메시지에 실어 보내는 특징을 더 가진다.The exchanges 31 and 32 have all functions as existing network components, and communicate with the home location register 10 when registering a destination subscriber to receive and store the predetermined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Receiving a sound source for replacing a ringback tone by communicating with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50 based on the stored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when a call connection request of a called subscriber is received, and replacing the received sound source with a ringback tone to the caller. If the called subscriber is also a subscriber to the call waiting service, the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includ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alled subscriber (ie,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f busy, non-calling, and waiting call). When the connection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on the basis of the further has a feature to be carried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는 각종 음원을 저장 구비하고서, 상기 게이트웨이(40)를 매개로 상기 교환기(31,32)와 접속되어 통신하여 상기 저장된 음원을 그 교환기(31,32)측에 제공하는 특징을 가진다.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50 stores various sound sources and is connected to the exchanges 31 and 32 via the gateway 40 to communicate with the exchange sources 31 to provide the stored sound sources to the exchanges 31 and 32. Has characteristics.

상기 음원 제공 제어 서버(70)는 상기 인터넷망(60)을 매개로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와 통신하여,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가 상기 교환기(31,32)로 제공하여야 할 음원의 종류를 호접속 요청된 착신 가입자의 식별정보(즉, 착신 전화번호), 이에 대응하는 발신자의 식별정보(즉, 발신 전화 번호), 호접속 요청 시간대 정보, 및 착신 가입자의 상태 정보 등의 조합에 근거하여 특정(예컨대, 각종의 다양한 음원을 발신자별, 발신자 그룹별, 발신자 연령별, 성별, 직업별, 시간대별, 및 통화중 대기 등으로 각기 특정)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에 저장된 다양한 음원에 대해 각기 코드를 부여하고, 착신자가 가입시 또는 정보 변경시 발신자, 발신자 그룹, 발신 시간대 등을 특정하여 선택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원을 특정해 놓으면, 이에 대한 정보를 테이블 등으로 가지고 있다가 그 테이블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음원이 상기 교환기(32)측에 제공되도록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를 제어한다.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70 communicates with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50 via the Internet network 60, so that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50 provides the sound exchange to be provided to the switchboards 31 and 32. The type is combined with a combination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called number) of the called party requested to make a call conne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called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aller, call time zone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called subscriber. It has a function of specifying on the basis of (eg, various various sound sources by caller, caller group, caller age, gender, occupation, time zone, call waiting, etc.), for example, the sound source Codes are assigned to various sound sources stored in the providing device 50, and when the called party joins or changes information, the caller, caller group, time zone, etc. are specified and selected, and corresponding sound sources are specified. , Whereby the information of the table such as to have, based on the tabl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50, so that the sound source is provided to the heat exchanger 32 side.

상기 웹 서버(100)는 상기 인터넷망(60)을 매개로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 또는 상기 음원 제공 제어 서버(70)에 연결되어,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에 저장된 상기 음원을 추가하거나, 상기 음원 제공 제어 서버(70)의 상기 음원 특정을 위한 정보(특정 발신자, 발신자 그룹, 발신 시간대 등) 및 이에 대응하는 음원 코드를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가입자가 상기 웹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The web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50 or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70 via the Internet network 60 to add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50 or In order to change the information (specific caller, caller group, call time zone, etc.)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code for the sound source specification of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70, which is provided by the subscriber in the web server 100 This can be done via a web page.

도 1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FIG. 1 will be described.

특정 음원 송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착신 가입자가 자신이 속한 사업자에 신청하면, 사업자 가입자 데이터베이스(80)에 등록되고, 그 사업자 가입자 데이터베이스(80)에서 망내 요소인 홈위치 등록기(10)로 서비스 등록하고, 그 홈위치 등록기(10)는 자신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서비스를 설정하고, 그 홈위치 등록기(10)에서 현재 이동서비스중인 해당 교환기(Serving 교환기)(31 또는 32)로 위치등록절차 발생시 서비스 정보 및 음원 제공 장치(IP)(50)로 호 설정할 수 있는 라우팅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교환기(32)는 해당 가입자 서비스 데이터에 상기 전달받은 서비스 정보 및 라우팅 데이터를 설정한다. 따라서, 발신 가입자가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호 설정을 요청하면 착신 교환기(32)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특정 음원 송출 서비스가 설정되었음을 감지하고 상기 라우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로 호 접속과 동시에 착신 가입자에게 착신 호가 유입되었다는 것을 알린다(Paging). 이때,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는 상기 음원 제공 제어 서버(IP Server)(70)와 연동하여 해당 가입자가 어떠한 음원을 설정하였는지를 질의하고. 상기 음원 제공 제어 서버(70)는 가입자가 특정한 음원에 대한 코드를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로 반송한다.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는 해당 코드에 대한 음원을 기존의 링백톤을 대신하여 송출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기 전까지 음원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착신 가입자가 착신 호를 수신하면 상기 착신 교환기(32)는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로 설정되어 있던 호 경로를 절단하고 착신 가입자와 발신 가입자를 연결하여 전화소통 처리를 한다.When a called subscriber who wants to use a specific sound transmission service applies to a service provider to which he / she belongs, it is registered in the service provider subscriber database 80 and registered in the service provider subscriber database 80 as a home location register 10 which is an element in the network. , The home location register 10 sets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its subscriber database, and service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occurs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10 to the corresponding switching service (Serving switch) 31 or 32 currently being moved. And routing data that can be set to a call source providing device (IP) 50, and the switch 32 sets the received service information and routing data in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ervice data. Therefore, when the calling subscriber requests a call establishment from the called subscriber, the called exchange 32 detects that a specific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ice is set based on the set service information, and uses the routing data to transmit the call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50. At the same time as the call connection, the called subscriber is informed that the incoming call is introduced (Paging). In this case,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50 interoperates with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IP server) 70 and inquires about which sound source is set by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70 returns a code for a particular sound source, which the subscriber has,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50.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50 transmits the sound source for the corresponding code in place of the existing ringback tone to listen to the sound source until the called subscriber responds to the calling subscriber. When the called party receives the incoming call, the called exchange 32 disconnects the call route set by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50 and connects the called party and the calling party to perform a telephone communication process.

상기 링백톤 서비스 장치를 통하여 링백톤을 대체하는 음원을 제공받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receiving a sound source to replace the ringback tone through the ringback tone service device is as follows.

먼저, 임의의 발신자가 본 발명의 서비스 가입자(이후, 착신 가입자라 칭함)에게 전화하여 호 접속을 요청하면, 해당 발신 교환기(31)는 홈위치 등록기(10)에게 착신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Location Request).First, when an arbitrary caller calls a service subscri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lled subscr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quests a call connection, the calling exchange 31 requests the calle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10 (Location). Request).

상기 홈위치 등록기(1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착신 교환기(32)에게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Routing Request), 이에 따라 상기 착신 교환기(32)는 상기 홈위치 등록기(10)로 라우팅 정보(즉, TLDN: 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를 제공하여 응답한다.The home location register 10 requests routing information from the destination exchange 32 according to the request (Routing Request), whereby the destination exchange 32 sends routing information (ie,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10). Answer by providing a TLDN: 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

상기 홈위치 등록기(10)는 상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 교환기(31)에 전송하여 상기 단계 S501에 응답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발신 교환기(31)는 상기 라우팅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착신 교환기(32)에게 트렁크(trunk) 호 접속(또는 ISUP 호 접속이라 칭함)을 요청하여 상호 트렁크 통화로를 형성한다.The home location register 10 transmits the routing information to the originating exchange 31 and responds to the step S501, whereby the originating exchange 31 sends the called exchange 32 to the destination exchange 32 based on the routing information. A trunk call connection (or ISUP call connection) is requested to form a trunk trunk path.

이어 상기 착신 교환기(32)는 자신에게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자가 본 발명 서비스의 가입자이면서 서비스 활성화 상태임을 인지함과 아울러, 상기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었을 경우 그 착신 가입자의 현재 상태(즉, 통화중, 비통화중 및 통화 중 대기 호의 유무 등에 대한 상태)를 확인한 후, 라우팅 정보를 근거로 음원 제공 장치(50)에 ISUP 호접속을 요청하여 상호 통화로를 형성하는데, 상기 ISUP 호 접속 요청시 그 요청 메시지에 착신 전화번호, 발신 전화번호 및 상기 확인된 착신 가입자의 상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상기의 결과, 상기 발신 교환기(31), 상기 착신 교환기(32) 및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는 트렁크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이다.Subsequently, the called exchange 32 recognizes that the called party is a subscr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rvice is activated by using the service setting information stored therein, and when the called subscriber is subscribed to the call waiting service, After checking the current state (that is, the state of busy, non-calling, and waiting call, etc.), requesting ISUP call connection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50 based on the routing information to form a mutual call path, When the ISUP call access request, the request message is also provided with the called telephone number, the outgoing telephone number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called subscriber. As a result, the originating exchange 31, the terminating exchange 32,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50 are in a state where a trunk call path is formed.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는 상기 제공받은 착신전화번호, 발신전화번호 및 착신 가입자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원 제공 제어 서버(70)에게 해당 음원코드를 요청하고, 상기 음원 제공 제어 서버(7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공받은 착발신 전화번호 및 착신 가입자의 상태 정보에 연계하여 지정된 음원 코드를 탐색하고 그 탐색된 음원코드를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에 전달하여 음원코드 요청에 응답하고,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는 상기 전달받은 음원코드에 해당하는 대체음을 링백톤으로 하여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발신자에게 전송한다.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50 requests the sound source code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70 based on the received incoming call number, the outgoing call number,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alled subscriber,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70 ) Searches for a designated sound source code in association with the provided incoming / outgoing telephone number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alled subscriber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transmits the searched sound source code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50 to respond to the sound source code request.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50 transmits the ring tone to the caller through the formed call path as a substitute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source code.

이에 따르면, 통화중 대기 서비스(Call Waiting Service)에 관련된 링백톤 을 가입자가 선택한 특정 음원, 즉 선택 음원으로 대체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ringback tone associated with a call waiting service may be replaced with a specific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subscriber, that is, a selected sound source.

그러나, 발신 가입자가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호 설정을 요청하면 착신 교환기(32)가 상기 설정된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특정 음원 송출 서비스가 설정되었음을 감지하고 상기 라우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제공 장치(50)로 호 접속과 동시에 착신 가입자에게 착신 호가 유입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과정에서 강제 음원의 제공 또한 설정된 서비스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설정된 서비스 정보는 상기 홈위치 등록기를 통하여 얻는 정보이므로, 이는 곧 착신 단말기 상태 및 선택 음원의 제공 여부를 확인한 후에 강제 음원을 제공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발신자는 강제 음원, 링백톤 또는 선택 음원을 듣기 전까지 묵음을 듣게 되는데, 묵음 청취 동안 발신자는 통신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상의 링백톤 서비스 장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한 사업자 통신망으로 적용 범위가 제한된다. 따라서,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에서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발신 단말기의 대기음을 대체할 수단이 없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 유선 전화, 인터넷(VoIP) 전화 등에서 주로 나타난다.However, when the calling subscriber requests the call establishment from the called subscriber, the called exchange 32 detects that a specific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ice is set based on the set service information, and uses the routing data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50. Simultaneously with the call connection, the compulsory sound source is also provided based on the set service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informing the called subscriber that the incoming call has been introduced. Since the set servic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home location register, this means that the compulsory sound source is provided after confirming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Accordingly, the caller hears silence until he / she hears a forced source, ringback tone, or selected source. During the silence, the caller is not sure whether the communication system is operating normally.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ringback tone service apparatus is limited in coverage to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a called terminal is connected, more specifically to a 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alled terminal is subscribed. Therefore, there is no means to replace the waiting sound of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called terminal does not provide the forced sound and the selected sound in the connected communication network. This phenomenon is mainly found in landline phones and Internet (VoIP) phones.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은 호 시도(Call Attempt)에 따라 착신 단말기(120)로 발신하는 과정에서 통화가 연결되는 동안 강제 음원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설정한 선택 음원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발신 단말기(110) 및 상기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을 중계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강제 음원과 상기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130)를 포함하고 있다.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shown in FIG. 2 receives and outputs a forced sound source and a selected sound source set by the called terminal while the call is connected in the process of making a call to the called terminal 120 according to a call attempt. And a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130 for relay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110 and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

상기 단말기(110)는 발신 단말기로서 소정 착신 단말기를 목표로 통화를 시도하게 된다. 즉 호 시도(Call Attempt)를 수행하는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와 통화가 수행되기 전까지, 착신 단말기의 통화 불가 상태를 전송받을 때까지 또는 발신자가 호 시도를 중지할 때까지 링백톤을 전송받아 출력한다. 상기 링백톤은 '따르릉', '뚜우'와 같은 기계음이 일반적으로 제공되며, 도 1에서 살펴본 링백톤 서비스 장치를 통해 착신자가 선택한 선택 음원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링백톤을 자세히 살펴보면, 가상 링백톤과 일반 링백톤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일반 링백톤은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링백톤으로 교환기에서 착신 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상기 가상 링백톤은 상기 일반 링백톤이 제공되기 전까지 묵음이 제공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링백톤이다. 이에 따르면, 통화가 연결되는 출력되는 강제 음원은 가상 링백톤 동안 상기 가상 링백톤을 대신하여 제공되는 음원이고 선택 음원은 일반 링백톤 동안 상기 일반 링백톤을 대신하여 제공되는 음원이다.The terminal 110 attempts to make a call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terminal as the calling terminal. That is, until a call with a called terminal is performed to a terminal performing a call attempt, the ringback tone is received and output until the call termination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received or until the caller stops the call attempt. The ringback tone is generally provided with mechanical sounds such as 'Tungreung' and 'Two',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called party may be provided through the ringback tone service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Looking at the ringback tone in detail, it can be divided into a virtual ringback tone and a general ringback tone. The normal ringback tone is a ringback tone transmitted from the exchange, when a call connection is attempted from the exchange to the called terminal. The virtual ringback tone is a ringback tone provided to the calling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the silence from being provided until the general ringback tone is provided. According to this, the forced sound source to which the call is connected is a sound source provided in place of the virtual ringback tone during the virtual ringback ton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a sound source provided in place of the normal ringback tone during the normal ringback tone.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130)는 이동 통신망 등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요소이다. 또한,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발신측 통신망과 상 기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착신측 통신망을 중계한다. 따라서,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의 위치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사이에서 도 2와 같이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발신측 통신망과 발신 단말기 사이, 착신측 통신망과 착신 단말기 사이에도 배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는 상기 발신측 통신망과 착신측 통신망이 동일 통신망인 경우가 주 대상이 되며, 이때의 모습은 통신망과 각 단말기 사이에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배치하는 모습이 된다.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130 is an element for transmi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relays the calling party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party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may be located as shown in FIG. 2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rrange between the calling party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alling terminal, and between the called party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alled terminal. In such a case, the main target is the case where the sourc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estination communication network are the sam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is arranged between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each terminal.

참고로, 상기 발신측 통신망은 상기 발신 단말기가 가입한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통신망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상기 착신측 통신망은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한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통신망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For reference, the calling party communication network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operated by a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party communication network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operated by a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the called terminal.

이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은 착신 통신망 또는 발신 통신망에서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착신 통신망 및 발신 통신망인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대기음의 대체 음원인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는 착신 단말기의 통화 음원 제공 여부에 관계없이 강제 음원 및 선택 음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신뢰성 있는 통화 음원의 제공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가된다.Accordingly,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provide a forced sound source and a selected sound source in the terminating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outgoing communication network, but instead of the compulsory sound source which is an alternative sound source of the standby sound in the terminat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utgoing communication network. It will provide a sound source. Therefore, the calling terminal can be provided with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regardless of whether the called terminal provides the call sound sourc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liable call sound source, there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user.

한편,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는 도 1에 도시된 링백톤 서비스 장치와 다르게 상기 강제 음원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착신 단말기 상태 및 상기 선택 음원의 제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선택 음원의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단말기로 상기 선택 음원을 전송하며, 이를 위해서 상기 강제 음원은 절단된다.Meanwhile, unlike the ringback tone service apparatus of FIG. 1,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may transmit the forced sound source to the terminal and check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alled terminal is in a normal state and the provision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ossible,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the forced sound source is cut for this purpose.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이거나 전원 오프 등의 통화 불가 상태인 경우에는 통화중을 나타내는 음원이나 자동응답메시지를 제공한 후 호 시도를 절단하며, 상기 착신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통화 가능한 상태이나 선택 음원의 제공이 불가한 경우 일반 링백톤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는 현재 적용되는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called terminal is busy or in a call-off state such as power off, the call attempt is disconnected after providing a sound source or an auto-answer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is in progress, and the called terminal can normally call or provide the selected sound source. If not possible, a regular ringback tone is provided. In this case, since the currently applied technology can be applied as it i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는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가 있는 경우 별도의 확인 절차없이 상기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제공하며 이와 동시에 착신 단말기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도 1의 링백톤 서비스 장치가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여부를 확인한 후 강제 음원을 제공하는 것과 다르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로 신속하게 강제 음원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인 발신자는 호 시도시부터 통화 연결음으로서 음원을 제공받게 된다. 즉, 묵음이 제공되는 시간이 최소화된다.The relay network call source providing server provides a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without a separate checking procedure when there is a call attempt by the calling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checks the status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The ring back tone service device of FIG. 1 is different from providing a forced sound source after checking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or not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Accordingly, the forced sound source is promptly provided to the calling terminal so that the caller,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receives the sound source as the ring back tone from the call attempt. In other words, the time at which silence is provided is minimized.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개시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는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부(240), 상기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강제 음원 제공부(210),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상기 강제 음원이 전송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착신 상태 확인부(230)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선택 음원 제공부(250)를 포함하고 있다.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shown in FIG. 3 includes a communication relay unit 240 for relaying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calling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called terminal targeted for a call attempt of the calling terminal, and a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210 for transmitting, the call state confirmation unit 230 for confirming whether the forced sound source is transmitted from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and whether or not the target terminal and the target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ed to the call attempts at the same time And a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ing unit 250 which cuts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ransmits a pre-selected selection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rmal and that the called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 Is included.

상기 통신 중계부(240)는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을 중계한다. 단말 접속 통신망간의 중계가 의미하는 것은 각 단말기가 가입한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통신망외의 중계망(중계국, 교환국)을 거치는 것임을 앞에서 밝힌 바 있다.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 착신 상태 확인부 및 선택 음원 제공부에서 입출력되는 강제 음원 등의 각종 데이터는 통신 중계부를 거치게 된다.The communication relay unit 240 relays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which is the call attempt target of the calling terminal. As previously described, relaying between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s means that a relay network (relay station, switching station) other than a communication network operated by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o which each terminal is subscribed is used. Various data such as a forced sound source input and output from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the incoming call state checking unit,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pass through a communication relay unit.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210)는 호 시도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는 강제 음원으로서 가상 링백톤 또는 광고 음성을 저장하고 있어야 하며, 상기 저장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가 있는 경우, 상기 호 시도를 전송받은 교환기/중계기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가 있음을 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이루어지는 강제 음원은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논하지 않고 이루어진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는 빠른 시간 안에 강제 음원을 제공받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강제 음원으로서 선택 음원을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210 is an element for transmi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which performs the call attempt. To this end,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must store a virtual ringback tone or an advertisement voice as a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toring can be performed by a separate database. When there is a call attempt of the calling terminal, the exchange / relay receiving the call attempt informs that there is a call attempt of the calling terminal. Accordingly,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provides a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The forced sound source made by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is made without discussing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o provide the selected sound source. Therefore, the calling terminal is provided with the forced sound source in a short time. In some cases, a selected sound source may be provided as the forced sound sour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착신 상태 확인부(230)는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요소이다.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의 확인은 몇가지 요소를 필요로 한다.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요소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일 경우 제공할 선택 음원을 처리하는 선택 음원 제공부로 라우팅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 요소가 필요하며, 정보에 따라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교환기 등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의 경우에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선택 음원 제공부로 라우팅하기 위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홈위치 등록기(HLR), 상기 정보들을 받아 저장하고 착신 단말기의 호 접속 요청시 상기 정보들에 근거한 선택 음원 제공부와의 통신을 통해 링백톤을 대체하기 위한 선택 음원을 수신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교환기가 요구된다. 또한, 착신 단말기의 통화 중 여부, 전원 오프 여부 등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착신측 교환기와도 통신을 수행하는 요소도 필요한다. 따라서, 상기 착신 상태 확인부(230)는 적어도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을 생성하여 각 요소로 전송하고, 그 응답을 전송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청은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상기 강제 음원이 전송되는 것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동시에 수행된다는 것은 상기 강제 음원 전송이 상기 착신 상태 확인부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의 확인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전송받기 전에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The called state checking unit 230 is an element for checking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which is the target of the call attempt and whether to provide the selected sound source. Checking the status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he target sound source is provided requires several factors. An element storing information on whether a selection sound source is provided and an element storing information for routing to a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ing unit which processes a selection sound source to be provided when the selection sound source is to be provided, and an exchange setting a communication path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Etc. are requir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ubscriber database,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in which information on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and information for routing to 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is stored, and the receiving terminal is received and stored. When a call connection request is made, an exchange for receiving a selection sound source for replacing a ringback ton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ing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call to the calling terminal is required. In addition, an element for communicating with a destination exchange is also required to check a state of whether a called terminal is busy or powered off. Therefore, the called state checking unit 230 should be able to generate a request for checking at leas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transmit the request to each element, and receive the response. In this case, the request for confirming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forced sound source being transmitted from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In this case, the simultaneous sound transmission means that the forced sound source transmission is performed before the response from the reception state check unit receives a response according to a request for confirmation of the state of the destination terminal and whether to provide a selection sound source.

상기 선택 음원 제공부(250)는 선택 음원을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요소이다. 여기서, 상기 선택 음원은 상기 착신 단말기가 기선택해 놓은 링백톤 대체음을 의미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선택 음원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한다. 물론, 선택 음원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이미 제공되고 있는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선택 음원을 전송하게 된다.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을 제공하는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는지로 결정되며, 그 확인은 상기 착신 상태 확인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사업자는 선택 음원 제공 서비스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에 가입된 착신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ing unit 250 is an element for providing a selection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Here, the selected sound source means a ringback tone substitute sound previously selected by the called terminal, and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confirms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rmal and that the called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Only if it is. Of course, the forced sound source is already cut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transmitted so that the selection sound source is normally provided. Whether to provide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called terminal is subscribed to a provider that provides the selected sound source, and the confirmation is performed by the called state checking unit. The service provider is provided with a subscriber database (not shown) that stores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terminal subscribed to the service for the selective sound source providing servi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alled terminal corresponds to 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ing target using the subscriber database.

상기 선택 음원 제공부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불가 상태인 경우에는 선택 음원의 제공없이 통화 불가를 알리는 상태음이나 자동응답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착신 단말기가 정상 상태이나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발신 단말기로 일반 링백톤을 제공한다. 참고로 통화중에 대한 처리는 통화중임을 알리고 호 시도를 절단할 수도 있으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를 절단하지 않고 착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가 끝나길 기다리고, 통화 상태가 끊나면 바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로 처리하면 통화중은 통화 불가 상태로 처리되 며, 후자의 경우로 처리하면 통화중은 통화가 가능한 정상 상태로 처리된다.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transmits a state sound or an auto-respons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is impossible without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t available. If not, it provides a regular ringback tone to the calling terminal. For reference, the call processing may inform that the call is busy and disconnect the call attempt, waiting for the call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to end without cutting the call attempt of the calling terminal, and allowing the call to be disconnected immediately. In the former case, during a call is handled as incapable of communication. In the latter case, during a call is handled as in a normal state where a call is possible.

상기 선택 음원 제공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선택 음원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선택 음원을 교환기에 제공하는 음원 제공부(251) 및 상기 음원 제공부가 상기 교환기로 제공할 선택 음원을 선택하게 하는 음원 제공 제어부(253) 등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ing unit stores various selection sound sources and provides the stored selection sound source to the exchanger, and a sound source for allowing the sound source provider to select the selection sound source to be provided to the exchanger. A provision control unit 253 and the like.

상기 음원 제공부(251)은 선택 음원을 교환기에 제공하는 요소이다. 각종 음원을 저장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선택 음원도 해당된다. 따라서,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은 구체적으로 상기 음원 제공부에 저장된 복수의 음원 중 착신 단말기가 선택해 놓은 음원이 될 것이다.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251 is an element for providing a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exchange. Various sound sources can be stored, inclu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Accordingly, the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will be a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called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stored in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상기 음원 제공 제어부(253)는 상기 음원 제공부가 상기 교환기로 제공할 선택 음원을 선택하게 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은 상기 음원 제공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음원 제공부 내 선택 음원이 된다. 물론, 상기 음원 제공 제어부는 착신 단말기를 통해 착신자가 설정한 선택 음원이 선택될 수 있도록 동작하여야 한다.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unit 253 is an element for allowing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to select a selection sound source to be provided to the exchange. Accordingly, the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becomes the selected sound source in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selected by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unit. Of course,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unit should operate so that the selected sound source set by the called party can be selected through the called terminal.

상기 음원 제공부는 도 1의 음원 제공 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음원 제공 제어부는 도 1의 음원 제공 제어 서버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음원 제공 장치와 음원 제공 제어 서버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인터넷망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음원 제공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선택 음원을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택 음원 제공부는 상기 음원 제공부와 상기 음원 제공 제어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지 않아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may be configured as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of FIG. 1,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as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of FIG. 1. In FIG. 1,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In this case, when an error occurs in the internet network,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normally provides a selected sound source even if it is normally operated. You ca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integrally form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unit. Through this, the above problems can be prevented and resources can be saved because a separate means for communicating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is not needed.

참고로, 도 3의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는 이동 통신망 뿐만 아니라 유선 통신망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환기한다.For reference, the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of FIG. 3 is applicable to wired communication networks as well a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한편,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는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강제 음원인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강제 음원을 전송하지 않고, 상기 착신 상태 확인부는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강제 음원이 전송되었을 시점과 동시에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does not transmit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when the forced connection of the terminal access network is provided as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e same time as when the forced sound source is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atus of the called terminal which is the target of the call attempt and whether the target sound source is provided.

또한, 상기 선택 음원 제공부는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단말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전송되는 강제 음원이 있으면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상기 선택 음원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는 것은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선택 음원인 단말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단말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 없이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만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으로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을 절단할 것으로 요청한 후 선택 음원을 전송하게 된다.Further, when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is provided from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may cut the forced sound source and not transmit the selected sound source if there is a forced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The cutting of the forced sound source is for allowing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which is the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ed in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to be normally provided. If only the terminal access network forced sound source is provided in the terminal access network without the terminal access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requests to cut the terminal access network forced sound source and transmits the selection sound source.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중계망에서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을 제공하게 되므로 착신 단말기의 통신망에서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 도 발신 단말기는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강제 음원을 최대한 빠르게 발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선택 음원의 제공은 기존과 차이없이 수행되므로 발신 단말기가 호 시도시 묵음이 제공되는 경우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제 음원의 제공이 선택 음원의 제공보다 먼저 수행되도록 보장함으로써,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이 동시에 제공될 경우 예상되는 각 자원의 충돌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since the relay network provides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even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called terminal does not provide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the calling terminal may receive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In addition, the forced sound source is provided to the calling terminal as quickly as possible, and the provision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erformed without any difference, thus preventing the case where the calling terminal is provided with silence when a call is attempted. In addition, by ensuring that the provision of the forced sound source is performed before the provision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collision of each resource expected when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are simultaneously provided.

한편, 이상에서는 강제 음원이 가상 링백톤 또는 광고 음성과 같이 획일적인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만약 상기 강제 음원 또한 선택 음원과 같이 처리한다면 발신자의 호 포기 가능성을 보다 줄일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assumed above that the forced sound source is uniform, such as a virtual ringback tone or an advertisement voice. If the forced sound source is also processed together with the selected sound source,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caller giving up.

이를 위해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발신 단말기 정보 확인부(211) 및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경우 상기 강제 음원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강제 음원 전송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210 checks whether the calling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as shown in FIG. 5, and the calling terminal provides the selected sound source. If the target may include a forced sound source transmission unit 213 for transmitting a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forced sound source.

상기 발신 단말기 정보 확인부(211)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를 확인한다.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으로서 선택 음원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선택 음원을 강제적으로 제공하면 발신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제 음원으로서 제공되는 선택 음원은 발신자가 선택 음원을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발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 발신 단말기를 저장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앞에서 살펴본 착신 단말기 정보를 저장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서 제공되는 선택 음원은 발신 단말기가 선택한 선택 음원이므로 착신 단말기가 선택한 선택 음원과 별도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신 단말기 정보 확인부(211)는 앞에서 살펴본 착신 상태 확인부와 유사하게 발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적어도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전송받을 수 있어야 한다.The calling terminal information checking unit 211 checks whether the calling terminal is the target sound source. When providing a selection sound source as a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may provide a discomfort to the caller by forcibly providing the selection sound source. Therefore, the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ed as the forced sound source is preferably performed when the caller wishes to receive the selection sound source. As a result, it is made by checking whether the calling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and for this purpose, a subscriber database storing the calling terminal of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can be used. The subscriber databas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bscriber database storing the terminal information described above, or may be formed separately. That is, since 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ed in FIG. 5 is the selected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calling terminal, the selected sound source can be separated from the selected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called terminal. The calling terminal information confirming unit 211 generates a message inquiring whether the calling terminal is at least a selected sound source to be identified whether to provide the selected sound source, similarly to the call state checking unit described above, and responds thereto. You should be able to receive it.

상기 강제 음원 전송부(213)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경우 상기 강제 음원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요소이다. 상기 기선택된 선택 음원은 발신 단말기에서 미리 선택해 놓은 선택 음원으로, 음원 제공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강제 음원 전송부는 발신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강제 음원으로서 제공되는 선택 음원을 통화 연결시까지 전송할 수 있으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이 제공될 때까지 전송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이 제공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할 것이다.The forced sound source transmitting unit 213 is an element for transmitting a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forced sound source when the calling terminal is a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The previously selected selection sound source is a selection sound source previously selected by the calling terminal, and may be stored in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The forced sound source transmitting unit may transmit 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ed as the forced sound source by the request of the calling terminal until the call connection, and may transmit until the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is provided. In the former case, it is necessary to block the preselected selection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이에 따르면,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는 선택 음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강제 음원으로서도 발신 단말기에서 선택한 선택 음원을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may not only provide a selection sound source but also provide a selection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calling terminal as a forced sound source.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 낸 블럭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LR(310), 이동 통신 교환국(320), 음원 제공 장치/음원 제공 제어 서버(350), 가입자 데이터베이스(380), 게이트웨이(390), 웹서버(400)를 포함하고 있다. 살펴보면, 음원 제공 제어 서버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음원 제공 장치와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음원 제공 장치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또한 인터넷망을 거치지 않고 직접 음원 제공 장치/음원 제공 제어 서버와 연결된다. 상기 음원 제공 장치/음원 제공 제어 서버는 중계국, 교환국 등의 중계망에 배치된다.An HLR 310,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320, a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350, a subscriber database 380, a gateway 390, and a web server 400 are included. Looking at,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is not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bu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nd the subscriber database is also directly connected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without going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do.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is disposed in a relay network such as a relay station or an exchange station.

이에 따르면 도 1의 링백톤 서비스 장치와 달리 인터넷망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에도 통화 음원 제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음원 제공 제어 서버가 직접 선택 음원을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신속하게 강제 음원 및 선택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unlike the ringback tone service apparatus of FIG. 1, eve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Internet network, the provision of a call sound source is not affected.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can directly manage the selected sound source, so that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can be provided quickly.

물론,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시 상기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함과 동시에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하여야 할 것이다.Of course, when the calling terminal attempts to call, the forced sound source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status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o provide the selected sound source should be checked.

상기 HLR, 음원 제공 장치, 음원 제공 제어 서버,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게이트웨이, 웹서버 각각에 대한 설명은 도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은 도 1의 교환기와 동일하다.The description of each of the HLR,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the subscriber database, the gateway, and the web server is the same as that of FIG.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is the same as the switch of FIG.

도 6에서는 착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이와 달리 착신 단말기가 유선 단말기인 경우를 도 7에 나타내었다.In FIG. 6, it is assumed that the called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contrast, FIG. 7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called terminal is a wired terminal.

HLR(410), 이동 통신 교환국(420), 유선 통신 교환/중계국(430), 음원 제공 장치/음원 제공 제어 서버(450),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80), 게이트웨이(490), 웹서버(5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유선 통신 교환/중계국(430) 등의 중계망을 통해 착신 단말기가 유선인 경우에도 강제 음원 및 선택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그외 요소에 대한 설명은 앞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The HLR 410,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420, the wired communication switching / relay station 430,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server 450, the subscriber database 480, the gateway 490, the web server 500 It is included. A forced sound source and a selected sound source may be provided even when the called terminal is wired through a relay network such as the wired communication exchange / relay station 430.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elements is the same as the above, so they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은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호 시도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method for providing a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transmitting a forced sound source to a calling terminal performing a call attempt by a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checking a state of a called terminal which is the target of the call attempt and whether to provide a selected sound source And transmitting the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rmal and that the called terminal provides the selected sound source.

이와 같은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은 앞에서 설명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의 동작으로서 함께 기술될 수 있으며, 이하 도 8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method may be described together as an operation of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described abov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발신 단말기에서 호 시도가 있는 경우(S 510), 이동 통신인 경우 이동 통신 기지국, 유선 통신인 경우 교환국을 통하여 신호가 송출된다(S 520).If there is a call attempt at the originating terminal (S 510), th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st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in the case of wired communic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 520).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을 중계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제공하고,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정보를 확인하여 통화 가능 여부와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 530). 이때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는 상기 교환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호 시도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which relays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targeted by the calling terminal provides a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call attempt of the calling terminal is detected. In operation S 530, the receiver determines whether the call is available and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by checking the state and information of the called terminal that is the target of the call attempt. At this time, the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may be arranged in the switching center. The checking of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he target sound source is provided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that performs the call attempt.

만약,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가능, 즉 정상적으로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확인되면(S 540),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확인하고(S 560),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이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제공한다(S 570).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선택 음원의 제공은 상기 착신 단말기 응답이 있기 전까지 지속된다(S 590). 만약 착신 단말기 응답이 설정된 시간동안 없는 경우, 즉 착신자가 일정 시간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발신 단말기에 전송하고(S 550) 호 시도를 종료한다. 이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는 호 시도 종료를 알리는 음원이 될 것이다.If the called terminal is possible to receive a call, that is, normal call is confirmed (S 540), the receiving terminal checks whether or not to provide the selected sound source (S 560), and if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to the destination to the calling terminal A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terminal is provided (S570). Provision of the selection sound source thus made continues until the called terminal response (S590). If the called terminal response does not exist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if the called party does not answer the call for a certain time, the status of the called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S550) and the call attempt is terminated. In this case,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will be a sound source indicating the end of the call attempt.

만약,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S 540)이나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S 560)에는 상기 선택 음원을 제공하는 대신 일반 링백톤을 제공하게 된다(S 58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t normal (S540) or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S560), instead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the general ringback tone is provided (S580).

만약 착신 단말기가 착신 불가로 확인된 경우(S 540)에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 상태를 전송하게 된다(S 55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ed terminal is impossible to receive (S540), the called terminal transmits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S550).

즉,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중이거나 통화 불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교환기에서 상태음을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교환기에서 제공되는 상태음 또한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에서 상기 교환 기로 제공한 것일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busy or unavailable, the exchange transmits a status sound to the calling terminal. Of course, at this time, the state sound provided by the switch may also be provided by the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to the switch.

한편, 상기 강제 음원은 발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일 수 있는데, 이 경우를 고려하면,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호 시도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고,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 530)는 도 9에서와 같이 다음의 세부적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rced sound source may be a pre-selected selection source of the calling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is case, the relay network call sour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to perform a call attempt,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he called terminal Confirming step (S 530) may include the following detailed steps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 531).First, it is checked whether the calling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S 531).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강제 음원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한다(S 532).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ing terminal is the target sound source, the predetermined sound source of the calling terminal is transmitted as the forced sound source (S532).

만약,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강제 음원으로서 가상 링백톤 또는 광고 음성을 제공한다(S 533).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ing terminal is not the target sound source, the virtual terminal provides a virtual ringback tone or an advertisement voice as the forced sound source (S 533).

그 후, 착신 단말기 상태 및 정보를 확인한다(S 534).Thereafter, the state and information of the called terminal are checked (S534).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for a relay network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발신 단말기에서 호 시도가 있는 경우(S 610), 이동 통신인 경우 이동 통신 기지국, 유선 통신인 경우 교환국을 통하여 신호가 송출된다(S 620).If there is a call attempt at the originating terminal (S610), in the case of mobile communication, th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station in the case of wired communication (S620).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인 단말 접속 통신망을 중계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 630).Is there a terminal 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forced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terminal 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relays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targeted for the call attempt? Check (S 630).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존재하면 강제 음원을 전송하지 않고(S 650),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강제 음원을 전송한다(S 640).If the terminal access network forced sound source is present (S 650), and if the terminal access network forced sound source does not exist, and transmits the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S 640).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단말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 650).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terminal access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terminal access network (S650).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강제 음원 제공 단계(S 640)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 63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he target sound source is provided, which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step (S 640), and confirming whether a terminal 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forced sound source exists (S 630). It may be.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존재하면 선택 음원을 전송하지 않고(S 660), 상기 단말기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한다(S 670). 물론 이 경우 기존에 제공되고 있던 강제 음원을 절단하거나 또는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을 절단할 것을 요청함으로써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이 합성되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If the terminal 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is present (S 660), and if the terminal 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does not exist, it is confirm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rmal and the destination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sion of the selection sound source In case of transmitt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S670). In this case, of course,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forced sound source that have been previously provided are cut off or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must be prevented from being synthesized and output.

선택 음원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강제 음원이 있는 경우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함으로써 단말기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정상적으로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Even if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not transmitted, if there is a forced sound source provided through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the forced sound source should be cut so that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is normally provided.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에서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을 제공하는 과정은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2는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가 상태인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forced sound source and a selected sound source in a method for providing a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process when the called terminal is in a call-free state.

도 11을 살펴보면, 발신 단말기의 정보 및 착신 단말기의 정보(단말기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아닌 호 연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 IAM(Initial Address Message,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이 중계국을 거쳐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 및 교환기에 도달하면,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 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ACM(Address Complete Message,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과 함께 1차 음원으로서 강제 음원을 제공한다. 상기 강제 음원의 제공과 동시에 착신 단말기의 상태와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IAM을 착신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ACM이 생성되면 착신 단말기가 정상 상태임을 의미하므로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2차 음원으로서 선택 음원을 제공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착신측에서 선택 음원이 제공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착신측으로부터 선택 음원의 선택 정보 등을 전송받는 것까지 포함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11, an initial address message (IAM) including information of a calling terminal and information of a called terminal (information for call connection, not information indicating terminal status and whether a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passes through a relay station. When the relay network call source providing server and the switch arrive, the compulsory sound source is provided as a primary sound source together with an address complete message (ACM) indicating that all information required for call setup with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received. Simultaneously with the provision of the forced sound source, an IAM including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sound source is provided is transmitted to the called terminal, and when the ACM is generated in response thereto, it means that the called terminal is in a normal state. And provide a selection sound source as a secondary sound source. At this time, it is shown in the drawing that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at the called party, but this shows that the receiving party receives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and the like.

상기 선택 음원은 착신 단말기의 무응답을 알리는 CPG(Call Progress) 메시지가 지속되는 동안 유지되며, 호 연결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인 ANM(Answer Message)이 생성되면 선택 음원을 절단하고 통화가 개시된다.The selected sound source is maintained while a call progress (CPG) message indicating a non-response of the called terminal is maintained. When an ANM (Answer Message), which is a response message indicating a call connection, is generated,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cut and a call is started.

만약,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불가 상태인 경우 도 12에서와 같이 링백톤의 해제를 요청하는 해제 메시지인 REL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강제 음원의 제공이 절단되고 자동응답메시지와 같은 안내 방송이 제공된다.If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t available, as shown in FIG. 12, a release message REL is generated to request release of a ringback tone, and thus, the provision of a forced sound source is cut off and a guide broadcast such as an automatic response message is provided. do.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 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통화 연결음을 대체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provide a replacement ring tone.

또한, 유선 전화망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근래 등장한 VoIP 전화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 wired telephone network, and can be applied to a recent VoIP telephon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링백톤 서비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ringback ton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를 나타낸 블럭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에서 선택 음원 제공부를 나타낸 블럭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ing unit in the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에서 강제 음원 제공부를 나타낸 블럭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in the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럭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for a relay network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에서 강제 음원 제공과 착신 단말기 상태 및 정보 확인 단계의 세부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detailed steps of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and the receiving terminal status and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of a call network in the relay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for a relay network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에서 강제 음원과 선택 음원을 제공하는 과정은 나타낸 흐름도.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forced sound source and a selected sound source in a method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for a call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가 상태인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 도.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ss when a called terminal is in a call-free stat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단말기 120...착신 단말기110 terminal 120 terminating terminal

130...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 240...통신 중계부130 ... relay network call source server 240 ... communication relay

210...강제 음원 제공부 230...착신 상태 확인부210 ... Forced sound provider 230 ... Incoming call confirmation

250...선택 음원 제공부 251...음원 제공부250 Sound source providing unit 251 Sound source providing unit

253...음원 제공 제어부 211...발신 단말기 정보 확인부253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unit 211 ...

213...강제 음원 전송부213.Forced sound transmitter

Claims (14)

호 시도(Call Attempt)에 따라 착신 단말기로 발신하는 과정에서 통화가 연결되는 동안 강제 음원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설정한 선택 음원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발신 단말기; 및A calling terminal that receives and outputs a forced sound source and a selected sound source set by the called terminal while the call is connected in the process of calling to the called terminal according to a call attempt; And 상기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을 중계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강제 음원과 상기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A relay network call source providing server for relaying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를 포함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Relay network call sour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부;A communication relay unit for relaying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calling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called terminal targeted for a call attempt of the calling terminal; 상기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강제 음원 제공부;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a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상기 강제 음원이 전송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착신 상태 확인부; 및A reception state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whether the forced sound source is transmitted from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and whether the target sound source is the target terminal and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And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선택 음원 제공부;A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ing unit which cuts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ransmits a pre-selected selection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rmal and the destination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를 포함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comprising a.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인 단말 접속 통신망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부;A communication relay unit for relaying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a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called terminal which is the call attempt target of the calling terminal; 상기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강제 음원 제공부;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a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상기 강제 음원이 전송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착신 상태 확인부; 및A reception state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whether the forced sound source is transmitted from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and whether the target sound source is the target terminal and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And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선택 음원 제공부를 포함하고,And a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ing unit which cuts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ransmits a preselected selection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rmal and that the called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는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 강제 음원을 전송하지 않고, 상기 착신 상태 확인부는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 강제 음원이 전송되었을 시점과 동시에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does not transmit the compulsory sound source providing unit compulsory sound source when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compulsory sound source is provided from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eception state check unit is the same as the time when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compulsory sound source is transmitted. Check the status of the called terminal which is the target of the call attempt and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상기 선택 음원 제공부는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단말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에서 전송되는 강제 음원이 있으면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상기 선택 음원 제공부 선택 음원을 전송하지 않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cuts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forced sound source and transmits the select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selection sound source when there is a forced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when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is provided in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Do not provide the network call sourc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을 제공하는 중계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로 결정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Whether to provide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is determined whether the destination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relay network service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착신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subscriber database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called terminal,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중계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는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착신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A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 called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relay network service using information of the called terminal stored in the subscriber databas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강제 음원은 가상 링백톤 또는 광고 음성 중 하나인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The forced sound source is one of a virtual ringback tone or an advertising voice relay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선택 음원 제공부는,The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ing unit, 각종 선택 음원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선택 음원을 상기 발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음원 제공부; 및A sound source providing unit for storing various selection sound sources and providing the stored selection sound sources to the calling terminal; And 상기 음원 제공부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할 선택 음원을 선택하게 하는 음원 제공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And a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unit for allowing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to select a selection sound source to be provided to the calling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음원 제공부 및 음원 제공 제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control unit is integrally formed call network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강제 음원 제공부는,The forced sound source providing unit,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발신 단말기 정보 확인부; 및A calling terminal information confirming unit confirming whether the calling terminal is the target sound source providing target; And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경우 상기 강제 음원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강제 음원 전송부를 포함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And a forced sound sourc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forced sound source when the calling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d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을 중계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호 시도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a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which relays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calling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called terminal targeted by the calling terminal, to a calling terminal performing a call attempt; 상기 호 시도의 대상인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Checking a state of a called terminal which is the target of the call attempt and whether to provide a selected sound source;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강제 음원을 절단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Cu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and transmitting the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rmal and that the called terminal is the object of provision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를 포함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Relay network call sour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발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호 시도 대상이 되는 착신 단말기가 접속한 통신망인 단말 접속 통신망을 중계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Is there a terminal 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forced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terminal 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relays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targeted for the call attempt? Confirming;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존재하면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강제 음원을 전송하지 않고,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 강제 음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 When the terminal access network forced sound source exists,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does not transmit the forced sound source, and when the terminal access network forced sound source does not exist,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단말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Checking whether there is a terminal access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terminal access network;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Checking a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o provide a selected sound source; 상기 단말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존재하면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선택 음원을 전송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 접속 통신망 선택 음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선택 음원의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 If the terminal 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exists,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does not transmit the selection sound source, and if the terminal 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sound source does not exis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rmal and the destination terminal is the target of provision of the selection sound source. Transmitting, by the relay network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a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e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is received; 를 포함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 Relay network call sour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중이거나 통화 불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통화중 또는 통화 불가 상태음을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When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busy or unavailable, transmitting the busy or unavailable state sound to the calling terminal;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이나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링백톤을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And transmitting a ringback tone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is not normal or a target for providing a selected sound source.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 및 선택 음원 제공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호 시도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The determining of the state of the called terminal and whether the selected sound source is provided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step of transmitting a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that performs the call attempt.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상기 통화 음원 제공 서버가 호 시도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기로 강제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는,The step of transmitting the forced sound source to the calling terminal that the call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performs a call attempt,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Checking whether the calling terminal is the target sound source;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음원 제공 대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강제 음원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기선택된 선택 음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방법.And transmitting the preselected selected sound source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forced sound sour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ing terminal is the target sound source.
KR1020090071956A 2009-08-05 2009-08-05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of ring back tone in routing network KR1010648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956A KR101064838B1 (en) 2009-08-05 2009-08-05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of ring back tone in routing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956A KR101064838B1 (en) 2009-08-05 2009-08-05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of ring back tone in routing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346A KR20110014346A (en) 2011-02-11
KR101064838B1 true KR101064838B1 (en) 2011-09-14

Family

ID=4377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956A KR101064838B1 (en) 2009-08-05 2009-08-05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of ring back tone in routing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83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466A (en) * 2001-09-18 2003-03-26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erminationer selected substitute of ring back tone in wire/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30089369A (en) * 2002-05-17 2003-11-21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unds for substituting ringback tones
KR20050043043A (en) * 2003-11-04 2005-05-11 와이더댄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ringback tone substitute multimedia
KR20060020834A (en) * 2004-09-01 2006-03-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based ring-back-tone ser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466A (en) * 2001-09-18 2003-03-26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erminationer selected substitute of ring back tone in wire/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30089369A (en) * 2002-05-17 2003-11-21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unds for substituting ringback tones
KR20050043043A (en) * 2003-11-04 2005-05-11 와이더댄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ringback tone substitute multimedia
KR20060020834A (en) * 2004-09-01 2006-03-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based ring-back-tone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346A (en) 201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471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network call processing
EP0943214B1 (en) Method for associating one directory number with two mobile stations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20071296A (en) Method for forwarding short messag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57971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a remote unit of a feature-originated call
JPH1188934A (en) Calling route assignment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JPH08502870A (en) System for installing an additional telephone in a cellular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394976B1 (en)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based Ring-Back-Tone Service during Call-Waiting
US7103155B2 (en) Notification of the presence of messages deposited in a voicemail server
KR100378891B1 (en)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based Ring-Back-Tone Service and Flexible Paging service simultaneously
KR20040100927A (en) Notification of calling party when mobile called party becomes available
WO1999056478A1 (en) An announcing system and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hold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EP1566927B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effectuating a data service designated by a service delivery mode
KR20010046675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advertising file
KR101064838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source of ring back tone in routing network
KR200300244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erminationer selected substitute of ring back tone in wire/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706899B1 (en) Method for Subscriber-based Plural Ring-Back-Tone Service
KR100378088B1 (en) Method for confirming RBT Source in Subscriber-based Ring-Back-Tone Service
KR100965091B1 (en) Method for providing Sender information of uncompleted wire telephone call
KR10082712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all forward service
KR100645111B1 (en) Method for blocking reception of call,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EP12999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routing a call
KR20060033304A (en) Control service method for terminating call&#39;s bearer in condition of the terminating member on communication system
KR100822855B1 (en) Method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of international roaming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KR1008745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KR200900127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error of color ring back ton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