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749B1 - 부양식 분수대 - Google Patents

부양식 분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749B1
KR101064749B1 KR1020110028826A KR20110028826A KR101064749B1 KR 101064749 B1 KR101064749 B1 KR 101064749B1 KR 1020110028826 A KR1020110028826 A KR 1020110028826A KR 20110028826 A KR20110028826 A KR 20110028826A KR 101064749 B1 KR101064749 B1 KR 101064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air
unit
water
fou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플러스파운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57362&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6474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플러스파운틴(주) filed Critical 김우진
Priority to KR102011002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49B1/ko
Priority to PCT/KR2012/000931 priority patent/WO201213405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양식 분수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거친 물살이나 파고에 따라 하중을 변화시키면서 부양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부양장치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수심이 깊고 수위변화가 심한 바다 또는 자연호수에서 분수대를 안정적으로 부양시킴은 물론 그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양식 분수대{Floating fountain}
본 발명은 수중에 부양된 상태로 설치되는 부양식 분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호수, 자연호수는 물론 바다나 강, 댐 등의 각종 해상에서 수심이나 물의 흐름에 영향받지 않고 분수대를 설치시, 설치되는 분수대의 부양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양식 분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수대는 수중에 분사노즐을 설치하고 수중의 물을 펌프로 강제 순환시켜 분사노즐을 통해 공중으로 분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일반적인 분수대는 수심이 극히 낮은 물속이나 또는 인위적으로 조성되는 인공수조내에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수심이 비교적 깊고 파고가 발생하는 곳에서는 설치가 어려웠다.
이에, 종래에는 수심이 깊고 수위변화가 심한 바다 또는 자연호수에 분수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분수대에 별도의 부양체를 설치한 등록특허 제 631079 호(발명의 명칭 : 부양식 분수대, 이하 선행기술 이라함)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상,하의 부양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선행기술은 그 효과에 있어 해상에서 수심이나 물의 흐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그 설치가 이루어짐은 물론, 안정성이 확보된 것이라 설명하고 있지만, 상하 부양체의 부양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지 못하므로 수심이나 물의 흐름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즉, 선행기술은 상,하 부양체를 각각 여러 구간으로 분할시킨 상태에서 결합시킨 후 각각의 구간에 에어를 독립적으로 충진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선행기술은 어느 하나의 구간이 파손되더라도 다른 구간에 충진된 에어를 통해 부양력을 유지하는 기술에 국한되어 있을 뿐, 수심이나 물의 흐름에 따라 심한 흔들림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따라 선행기술은 상당한 하중의 중량체를 여러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한편, 선행기술은 상,하 부양체의 부양 높이를 별도의 보조부양체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분수대의 수리 또는 교체 작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는데, 상기 보조 부양체 또한 공기의 주입량으로부터 부양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인 바, 전체적인 하중이 안정적이지 못해 수심이나 물의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심하게 흔들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부양력을 얻도록 하는 선행기술은 수심이나 물의 흐름이 큰 장소에 설치될 경우 하중이 안정적이지 못해 높은 파고나 거친 물살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부터 튕겨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심하게 흔들릴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심한 흔들림에 의해 부양체와, 부양체에 설치되는 분수대의 파손은 자주 발생하게 되면서 유지 보수의 비용이 많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에는 부력 탱크를 구획하여 독립적인 부력 공간을 갖도록 함으로써 어느 한 구간이 파손되더라도 부력을 해당 구간만 잃도록 하였으나, 독립적인 부력공간이 많아지므로서 각각의 부력공간에 에어 공급 및 배출용 홀과 물의 공급 및 배출용 홀 그리고 각각의 홀에 밸브 및 밸브 제어를 위한 통신수단들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공간 각각의 부력을 각각 제어하여야 하므로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거친 물살이나 파고에 따라 하중을 변화시키면서 부양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부양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수심이 깊고 수위변화가 심한 바다 또는 자연호수에서 분수대를 안정적으로 부양시킴은 물론 그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부양식 분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부양식 분수대는, 분수장치; 제 1 수평부력부와, 상기 제 1 수평부력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분수장치가 설치되는 고정대를 가지는 제 2 수평부력부 및,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대를 포함하는 부력체 구조물;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평부력부는 에어출입구와 물 출입구가 마련되면서 결합플랜지를 통해 다단 결합되는 제 1 단위부력체들로 구성하고, 상기 제 2 수평부력부는 물 출입구와 에어출입구가 마련되면서 결합플랜지를 통해 다단 결합되는 제 2 단위부력체들로 구성하며, 상기 제 1 단위부력체들에 마련되는 에어출입구에는 에어펌프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에어출입구와 에어펌프 사이에는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를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 출입구에는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에 물의 유입 또는 배출을 제어하는 물 제어밸브를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에 마련되는 상기 물 제어밸브에는 제 1 단위부력체들의 상부로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조작부가 결합되고, 상기 조작부에 의해 개폐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을 결합시키는 결합플랜지와 결합플랜지 사이에는 충격 완화용의 실링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은 에어와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개통관으로 각각 연결 구성하며, 상기 개통관은 제 1 단위부력체의 물 출입구와, 상기 제 2 단위부력체의 에어출입구를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통관에는 에어와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개통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출입구에는 T자형 또는 Y자형으로 이루어지는 분기형 관체를 연결하고, 상기 분기형 관체에는 각각 에어출입구와, 에어 공급용의 에어펌프, 그리고 에어 배출용의 에어펌프를 연결하며, 상기 분기형 관체와 상기 에어 공급용의 에어펌프 및 에어 배출용의 에어펌프 사이에는 각각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를 각각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제어밸브는 수동형 밸브 또는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원격 제어되는 전자밸브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제어밸브는 수동형 밸브와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원격 제어되는 전자밸브를 동시에 배열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 제어밸브는 수동형 밸브 또는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원격 제어되는 전자밸브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통제어밸브는 수동형 밸브 또는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원격 제어되는 전자밸브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의 내부에는 부력부재를 충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수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상기 노즐로 토출될 수 있게 물을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상기 펌프에서 상기 노즐로 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류;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물을 제어하는 밸브;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등기구; 상기 노즐의 분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노즐구동장치;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거친 물살이나 파고에 따라 하중을 변화시키면서 부양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부양장치를 구성한 것으로, 이에따라 수심이 깊고 수위변화가 심한 바다 또는 자연호수에서 분수대를 안정적으로 부양시킴은 물론 그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부양식 분수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부양식 분수대를 이루는 단위부력체들의 결합관계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나의 에어출입구와 물 출입구가 적용되는 단위부력체들의 결합관계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위부력체의 에어출입구에 T자형의 분기형 관체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의 유입에 따른 물의 배출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물 유입에 따른 에어이 배출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부력부재가 각각 충진된 단위부력체의 결합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부양식 분수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부양식 분수대를 이루는 단위부력체들의 결합관계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나의 에어출입구와 물 출입구가 적용되는 단위부력체들의 결합관계를 보인 측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위부력체의 에어출입구에 T자형의 분기형 관체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의 유입에 따른 물의 배출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물 유입에 따른 에어이 배출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분수대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수제어프로그램을 가지는 제어부와 전원공급부 및 CAN통신부가 구성되는 제어패널은 물론, 상기 제어패널과 통신 연결되면서 동작이 이루어지는 분수장치(A), 그리고 기상센서 등을 포함하는 한편, 제 1,2 수평부력부(100)와 간격유지대(300)로 이루어지는 부력체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는 부력 조절이 가능한 제 1 단위부력체들(101)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단위부력체들(101)은 결합플랜지(101a)를 통해 원형 또는 각형의 구조물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결합플랜지(101a)를 통해 다단 결합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제 1 단위부력체들(101)에는 각각 에어출입구(11)와 물 출입구(11b)가 마련된다.
상기 에어출입구(11)에는 에어에 의해 상기 제 1 단위부력체들(101)의 부력이 유지되도록 에어펌프(12)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에어출입구(11)와 상기 에어펌프(12)의 사이에는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V1)가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출입구(11)는 상기 제 1 단위부력체들(101)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물 출입구(11b)는 상기 제 1 단위부력체들(10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에어출입구(11)를 형성시, 상기 에어출입구(11)는 하나로서 상기 단위부력체들(101)의 중앙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위부력체들(101)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자세가 되더라도 완벽한 공기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단위부력체들(10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하나의 에어출입구(11) 또는 복수의 에어출입구(11 또는 11,11a)를 형성시, 상기 에어출입구(11,11a)에는 T자형 또는 Y자형의 분기형 관체(31)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분기형 관체(31)는 상기 에어출입구(11 또는 11,11a)에 연결된 상태에서, 에어 공급용 에어펌프(12) 또는 에어 배출용 에어펌프(12a)가 각각 연결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분기형 관체(31)와 에어 공급용 에어펌프(12) 또는 에어 배출용 에어펌프(12a)의 사이에는 각각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V1)를 연결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제어밸브(V1)의 경우 하나는 수동방식으로 개폐되는 밸브를 사용하고, 또 다른 하나는 제어부(500)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는 전자밸브를 사용하게 되며, 이는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1차적으로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에어제어밸브(V1)를 통해 제어하되,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에어제어밸브(V1)의 고장 발생시 관리자가 직접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2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수동제어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수동밸브와 전자밸브를 나란하게 동시에 구성하는 것은 전자밸브의 고장을 감안하여 관리자가 직접 수동밸브를 조작함으로써 오동작에 따른 에어의 유입과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작동불능 상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에어출입구(11,11a)를 복수로 구성시에는, 하나의 에어출입구를 에어 공급전용으로, 다른 하나의 에어출입구는 배기전용으로 사용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에어출입구를 세개 구성하여 하나는 공급전용으로, 다른 두개의 에어출입구는 모두 배기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는 분수장치(A)가 설치되는 고정대(200a)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간격유지대(300)를 통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이 또한 결합플랜지(201a)를 가지는 제 2 단위부력체들(201)을 결합시켜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에는 각각 부양식 분수대의 부양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물의 유입 또는 배출을 안내하는 물 출입구(21)는 물론, 에어출입구(21a)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출입구(21a)는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 출입구(21)는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의 하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분수장치(A)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외부의 기상상태를 감지하는 강우량계 및 풍속계 그리고 온도계는 물론, 적어도 하나의 분수노즐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수중등 및 분수펌프와 분수배관, 그리고 분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분수장치(A)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과, 상기 노즐로 토출될 수 있게 물을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상기 노즐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류와, 상기 노즐의 상류에 설치되어 노즐로 토출되는 물을 제어하는 밸브와,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등기구와, 상기 노즐의 분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노즐구동장치와,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그리고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수장치(A)가 상기 고정대(200a)에 설치시, 상기 분수장치(A)에 포함되는 분수노즐의 높이는 상기 제 1 단위부력체들(101)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까지 연장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에 물 출입구(21)를 형성시, 상기 물 출입구(21)는 하나로서 중앙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이 기울어지는 자세가 되더라도 완벽한 물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대(300)는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를 각각 위아래에서 연결하는 구조물로, 그 연결에 따른 고정은 용접으로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과 간격유지대(300)는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의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 출입구(21)에는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에 물의 유입 또는 배출을 제어하는 물 제어밸브(V2)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물 제어밸브(V2)에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에 물을 강제 유입 또는 배출시키는 수중펌프(22)를 연결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에 마련되는 상기 물 제어밸브(V2)에는 상기 제 1 단위부력체들(101)의 상부로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조작부(23)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물 제어밸브(V2)는 상기 조작부(23)에 의해 개폐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 제 2 수평부력부(200)가 수중으로 잠수시 물속에서 상기 물 제어밸브(V2)를 열고 닫는 작업의 불편함을 없애도록, 잠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제 1 수평부력부(100)의 위치에서 상기 물 제어밸브(V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의 결합을 위해 서로 맞대는 결합플랜지들(101a)(201a)의 사이에는,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이 수중에서 흔들리면서 발생하는 충격 소음을 방지하도록 충격 완화용의 실링재(40)가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분수대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 1 단위부력체들(101)을 결합플랜지(101a)를 통해 볼트 결합시켜 제 1 수평부력부(100)를 만든다.
다음으로,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 2 단위부력체들(201)을 결합플랜지(201a)를 통해 볼트 결합시켜 제 2 수평부력부(200)를 만든다.
이때,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에 마련되는 결합플랜지들(101a)(201a)의 사이에는 각각 충격 완화용의 실링재(40)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를 이루는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를 위,아래에서 간격유지대(300)를 통해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후,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과 간격유지대(300)의 결합부위를 용접 고정하면, 부양식 분수대를 구성하기 위한 부력체 구조물이 완성된다.
이후,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제 2 수평부력부(200)에 고정대(200a)를 설치한 후, 상기 고정대(200a)에 분수장치(A)를 설치한 상태 또는 미설치한 상태에서,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와 간격유지대(300)로 이루어진 부력체 구조물을 물속으로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200a)에 분수장치(A)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속으로 부력체 구조물이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부력체 구조물은 상기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면서 에어가 공급되어 있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에 있어,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일부만 물속으로 잠기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에 있어,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일부만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고정대(200a)에 분수장치(A)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분수장치(A)의 설치가 완료되면, 운전을 위해 부력체 구조물로부터 에어를 배기시켜 상기 부력체 구조물이 수중에 가라앉게 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대(200a)에 설치된 분수장치(A)의 하중으로 인해 부력체 구조물인 제 2 수평부력부(200)는 물속으로 완전하게 잠기고, 상기 분수장치(A)의 노즐이 일부 노출될 수 있는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는 일부만이 물속으로 잠기게 되는 것이다.
한편, 추가 작업 및 유지보수를 위해 부력으로 부력체 구조물을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의 일부가 물속으로 잠긴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를 이루는 제 1 단위부력체들(101)에 각각 형성되는 에어출입구(11)에서 에어개폐밸브(V1)를 관리자가 수동으로 개방시키거나, 또는 원격지에서 제어부(500)를 이용하여 개방 제어시킨 후, 상기 에어출입구(11)에 에어펌프(12)를 이용하여 에어를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를 이루는 제 1 단위부력체들(102)에 유입되는 에어량에 따라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는 부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와 간격유지대(300)로 이루어진 부력체 구조물의 부양 높이는 관리자가 원하는 부양 높이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력체 구조물의 부양 높이는 상기 에어출입구(11)를 통해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를 이루는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에 각각 공급되는 에어 및 물 유입량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부양 높이를 높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에 더 많은 양의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부양높이를 낮게 하고자 하는 경우는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101)(201)로부터 에어를 배출하여 그 유입량을 줄임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수심이 깊은 곳에서 파고가 높거나 물살이 거칠 경우에는 상기 부력체 구조물의 부양높이를 낮춰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파고가 낮고 물살이 잔잔할 경우에는 상기 부력체 구조물의 부양높이를 높여 상기 부력체 구조물에 설치되는 분수장치(A)의 분수 효과를 보다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단위부력체들(101)로 이루어진 제 1 수평부력부(100)는 물론, 제 2 단위부력체들(201)로 이루어진 제 2 수평부력부(200)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각각 에어와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를 이루는 제 1 단위부력체들(101)과 제 2 단위부력체들(201)을 각각 또는 선택적으로 위아래 방향에서 개통제어밸브(V3)를 가지는 개통관(400)으로 연결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 1 단위부력체들(101)의 물 출입구(11b)와,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201)의 에어출입구(21a)를 상기 개통관(400)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에 에어를 채울 경우 부력체 구조물이 부력체로서 활용되고, 물을 채울 경우에는 중량체로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개통관(400)으로부터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102)(201)에는 각각 에어 또는 물 유입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의 부양높이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를 구성하는 제 1 단위부력체들(101)에서 에어를 모두 배출시키거나 또는 복수의 단위부력체들에서만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게 되면, 상기 에어가 배출되는 제 1 단위부력체들(101)들에 대응하여 제 2 수평부력부(200)를 이루는 제 2 단위부력체들(201)에서는 물 출입구(21)를 통해 물의 유입량이 많아지고, 이렇게 많아진 물은 개통관(400)을 통해 에어가 배출되는 제 1 단위부력체들(101)로 유입될 수 있는 바,
상기 물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의 하중은 증가하게 되고, 이에따라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는 수중으로 잠수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는 물론, 분수장치(A)의 분수노즐만이 수중표면에 노출되는 부양높이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높은 파고나 거친 물살이 발생하더라도 부력체 구조물은 심한 유동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를 구성하는 제 1 단위부력체들(101) 모두 또는 선택적인 개수에 더 많은양의 에어를 유입시키는 경우, 상기 에어가 주입되는 제 1 단위부력체들(101)과 개통관(400)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단위부력체들(201)에는 상기 에어가 공급되고, 이에따라 상기 에어가 주입되는 제 2 단위부력체들(201)내의 물 주입량은 줄어들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의 부양 높이는 물 위로 더 많이 부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가 각각 다단 구조물인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의 결합 구조물인 것인 바, 다단 구조물인 부력관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손상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로 할 때, 상기 다단 구조물인 단위부력체들(101)(201)의 체결수단인 볼트의 분리로부터 단위부력체의 교체 또는 추가 구성이 지상 또는 수중에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설치환경에 따라서는 부양식 분수대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2 수평부력부(200)를 구성하는 제 2 단위부력체들(201)에 각각 형성되는 물 출입구(21)에는 물 유입과 배출을 강제 제어할 수 있는 물 제어밸브(V2)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물 제어밸브(V2)는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와 간격유지대(300)를 통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단에 설치되는 제 1 수평부력부(100)에서 그 열고 닫음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를 구성하는 제 2 단위부력체들(201)에 상기 물 제어밸브(V2)가 마련되는 바, 상기 물 제어밸브(V2)에는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를 구성하는 제 1 단위부력체들(101)의 상부로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조작부(23)가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단위부력체들(101)의 위에서 관리자가 상기 조작부(23)를 통해 상기 물 제어밸브(V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는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가 수중으로 잠수된 상태이므로 물속에서 상기 물 제어밸브(V2)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함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제 1,2 수평부력부(100) (200)를 구성하는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의 내부에 스폰지 또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부력부재(700)를 각각 충진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를 구성하는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101)(201)내에 각각 충진된 부력부재(700)에서 제공하는 부력으로부터 부력체 구조물이 기울어지거나 가라앉는 문제를 방지하여,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고정대(200a)에 설치되는 분수장치(A)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1,11a,21a; 에어출입구 12,12a; 제 1,2,3 에어펌프
11b, 21; 물 출입구 22; 수중펌프
23; 조작부 40; 실링재
100; 제 1 수평부력부 101; 제 1 단위부력체
200; 제 2 수평부력부 200a; 고정대
201; 제 2 단위부력체 300; 간격유지대
400; 개통관 500; 제어부
700; 부력부재 A ; 분수장치
V1 ; 에어제어밸브 V2 ; 물 제어밸브
V3 ; 개통제어밸브

Claims (9)

  1. 분수장치; 제 1 수평부력부와, 상기 제 1 수평부력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분수장치가 설치되는 고정대를 가지는 제 2 수평부력부 및,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대를 포함하는 부력체 구조물;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평부력부는 에어출입구와 물 출입구가 마련되면서 결합플랜지를 통해 다단 결합되는 제 1 단위부력체들로 구성하고,
    상기 제 2 수평부력부는 물 출입구와 에어출입구가 마련되면서 결합플랜지를 통해 다단 결합되는 제 2 단위부력체들로 구성하며,
    상기 제 1 단위부력체들에 마련되는 에어출입구에는 에어펌프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에어출입구와 에어펌프 사이에는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은 에어와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개통관으로 각각 연결 구성하며, 상기 개통관은 제 1 단위부력체의 물 출입구와, 상기 제 2 단위부력체의 에어출입구를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출입구에는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에 물의 유입 또는 배출을 제어하는 물 제어밸브를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부력체들에 마련되는 상기 물 제어밸브에는 제 1 단위부력체들의 상부로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조작부가 결합되고, 상기 조작부에 의해 개폐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을 결합시키는 결합플랜지와 결합플랜지 사이에는 충격 완화용의 실링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통관에는 에어와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개통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출입구에는 T자형 또는 Y자형으로 이루어지는 분기형 관체를 연결하고, 상기 분기형 관체에는 각각 에어출입구와, 에어 공급용의 에어펌프, 그리고 에어 배출용의 에어펌프를 연결하며, 상기 분기형 관체와 상기 에어 공급용의 에어펌프 및 에어 배출용의 에어펌프 사이에는 각각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를 각각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단위부력체들의 내부에는 부력부재를 충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상기 노즐로 토출될 수 있게 물을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상기 펌프에서 상기 노즐로 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류;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물을 제어하는 밸브;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등기구;
    상기 노즐의 분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노즐구동장치;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KR1020110028826A 2011-03-30 2011-03-30 부양식 분수대 KR101064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826A KR101064749B1 (ko) 2011-03-30 2011-03-30 부양식 분수대
PCT/KR2012/000931 WO2012134053A2 (ko) 2011-03-30 2012-02-08 부양식 분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826A KR101064749B1 (ko) 2011-03-30 2011-03-30 부양식 분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749B1 true KR101064749B1 (ko) 2011-09-15

Family

ID=4495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826A KR101064749B1 (ko) 2011-03-30 2011-03-30 부양식 분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4749B1 (ko)
WO (1) WO201213405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01B1 (ko) 2018-10-02 2019-02-20 플러스파운틴(주) 드론을 이용한 공중 부양 분수장치
KR102356458B1 (ko) * 2021-09-13 2022-02-09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부력형 분수대의 잠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634A (ko) * 2005-03-21 2006-09-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양식 분수대
KR100814505B1 (ko) 2007-11-28 2008-03-18 (주) 케이오더블유 이동식 분수대
KR20100107550A (ko) * 2009-03-26 2010-10-06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138B1 (ko) * 2004-09-18 2006-11-27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장식용 종을 이용한 분수 시스템
KR200407331Y1 (ko) * 2005-11-19 2006-01-26 거성에이티엘(주) 부력 분수
KR100962708B1 (ko) * 2009-11-30 2010-06-11 (주)대기산업 해양부상 분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634A (ko) * 2005-03-21 2006-09-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양식 분수대
KR100631079B1 (ko) 2005-03-21 2006-10-0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양식 분수대
KR100814505B1 (ko) 2007-11-28 2008-03-18 (주) 케이오더블유 이동식 분수대
KR20100107550A (ko) * 2009-03-26 2010-10-06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01B1 (ko) 2018-10-02 2019-02-20 플러스파운틴(주) 드론을 이용한 공중 부양 분수장치
KR102356458B1 (ko) * 2021-09-13 2022-02-09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부력형 분수대의 잠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4053A3 (ko) 2012-11-22
WO2012134053A2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395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ubmersible intake equipment
KR100631079B1 (ko) 부양식 분수대
ZA200701502B (en) Improved submersible farm
CN111559469A (zh) 浮动结构及其安装方法
JP5132435B2 (ja) 止水箱の設置方法および止水箱
CA2514065A1 (en) Underwater sediment management
KR101794207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CN103385185B (zh) 一种组装式深海网箱
AU2008294758B2 (en) A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KR101064749B1 (ko) 부양식 분수대
US20120138164A1 (en) Submersible intake equipment with air filled bladders
KR101064748B1 (ko) 부양식 분수대
KR20160037693A (ko) 부유이송 해상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397114B (zh) 一种用于江河取水的可调节多层取水头及安装方法
CN219430892U (zh) 取水***
KR20070104066A (ko) 소형 선박용 부선대
KR101018303B1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CN105480386A (zh) 水上作业平台
KR200385803Y1 (ko) 부양식 분수대
CN113863234A (zh) 一种自动冲洗***
KR101900389B1 (ko) 파력에너지를 활용한 에어버블 발생장치
CN204551222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新型斜拉索桥梁结构
CN216546632U (zh) 一种浮船坞
JP2013141909A (ja) 浮体の保護用自沈装置
CN115233613B (zh) 一种江中取土排架及取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