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316B1 - Segment changer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 Google Patents

Segment changer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316B1
KR101060316B1 KR1020100013308A KR20100013308A KR101060316B1 KR 101060316 B1 KR101060316 B1 KR 101060316B1 KR 1020100013308 A KR1020100013308 A KR 1020100013308A KR 20100013308 A KR20100013308 A KR 20100013308A KR 101060316 B1 KR101060316 B1 KR 10106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egment
switches
power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3331A (en
Inventor
전성즙
조동호
임춘택
정구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1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316B1/en
Priority to PCT/KR2011/000881 priority patent/WO2011099781A2/en
Publication of KR2011009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3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4Balancing the load in a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9/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은, DC 입력전압의 포지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의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접점들 중 서로 다른 접점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 복수의 세그먼트 중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이 위치한 세그먼트 및 그에 인접한 세그먼트의 전력 변화를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 및 전력 검출부에 의해 전력 변화가 검출된 세그먼트 중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제1 스위치 및 각각의 상기 제2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are a segment switching device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witch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ositive terminal of a DC input voltage; A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negative terminal of the DC input voltage; A plurality of segments formed between different ones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formed b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each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of each second switch one-to-one; A power detector detecting a power change of a segment in which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and a segment adjacent to the segment; And each of the first switch and each of the second switches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decreases among the segments in which the power change is detected by the power detector, and to supply power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ncreas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n / off.

Description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Segment switching apparatus for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Segment switching apparatus for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위치에 따라 시간지연을 최소화하여 급전선 세그먼트를 절체할 수 있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gment switching device and an control method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gment switching device and an control method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that can switch feeder segments by minimizing time dela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세계 각국은 환경규제 강화와 석유자원 고갈, 석유의 가격인상 등으로 인해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대한 적극적 지원정책을 구사하고 있으며, 이런 정책적 방향에 부합하여 자동차 업체들은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경쟁적으로 투자를 하고 있다.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ctively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vehicles due to tighten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depletion of petroleum resources, and rising prices of oil.In line with this policy direction, automakers are making competitive investments in developing eco-friendly vehicles. .

이와 같은 상황에서 천연가스, 에탄올 등의 대체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개발이 대표적인 차세대 자동차 기술로 부상하고 있으나, 현재 개발중인 전기자동차는 주행거리, 무게, 가격, 충전 소요시간, 인프라 구축 등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using alternative energy such as natural gas and ethanol and electric energy is emerging as a representative next-generation automobile technology.However, the electric vehicle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re required for mileage, weight, price, charging time and infrastructure. There is a limit on the back.

이런 배경하에, 현재 개발중인 전기자동차의 한계를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주행 중에 집전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이 시도되고 있다.Against this background, there is an attempt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electric vehicle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nd ultimately enables to collect and charge while driving.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에서는 급전선을 여러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나누며, 각 세그먼트는 차량의 진행에 맞추어 온/오프 제어되어야 한다. 차량의 진행은 도로 주변에 설치된 검출장치와 차량 간의 통신으로 이루어지는데, 검출이나 통신에서 지연이 생기면 그만큼 에너지가 전달되는 데 있어서 시간적 갭(gap)이 발생할 수 있다. In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the feeder is divided into several segments, each of which must be controlled on and off as the vehicle progresses. The progress of the vehicle consist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detection device installed around the road and the vehicle, and if there is a delay in the detection or communication, a time gap may occur in transmitting energy.

특히,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급전선 세그먼트 제어를 위해서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위치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그먼트의 시작점과 종단점 도로에 자기 루프형 검출장치나 반사형 검출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자기 루프형 검출장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 자체가 자기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심한 잡음 환경을 갖게 되며, 반사형 검출장치는 차량의 외형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In particular, the positioning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very important for controlling the feeder segment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a magnetic loop type detector or a reflective type detector may be installed at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segment. However, the magnetic loop type detection device has a severe noise environment because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itself uses a magnetic field, and the reflection type detection device is affected by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잡음이 많은 환경이나 외부적인 영향하에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필터와 같은 부수적인 장치가 필요한데, 이들 부수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위치 검출신호를 처리한 후 세그먼트를 제어하게 되면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급전 시점과 세그먼트 제어시점 사이에 시간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세그먼트의 절체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detect a location under such a noisy environment or external influence, additional devices such as a filter are required. When the location control signal is processed using these additional devices, segment control is performed. Time delay occurs between the control point and the segment control time,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transfer of segments is delay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위치에 따라 시간지연을 최소화하여 급전선 세그먼트를 절체할 수 있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provides a segment switching device and an control method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that can switch the feeder segment by minimizing time dela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For the purpose of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는, DC(Direct Current) 입력전압의 포지티브(positive)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negative)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의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접점들 중 서로 다른 접점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 복수의 세그먼트 중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이 위치한 세그먼트 및 그에 인접한 세그먼트의 전력 변화를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 및 전력 검출부에 의해 전력 변화가 검출된 세그먼트 중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제1 스위치 및 각각의 제2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gment switching apparatus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switch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ositive terminal of a direct current (DC) input voltage; A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negative terminal of the DC input voltage; A plurality of segments formed between different ones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formed b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each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of each second switch one-to-one; A power detector detecting a power change of a segment in which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and a segment adjacent to the segment; And turning on each of the first switch and each second switch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among the segments in which the power change is detected by the power detector and to supply power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n / off.

여기서, 제어부는, 복수의 제1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턴온된 제1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제 2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controller turns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maintains the second switch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turned on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in an off state.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턴온된 제2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제1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first switch directly connected to the turned-on second switch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in an off state.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제1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온된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거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the controller turns on a second switch connected through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s increased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at a time before the first switch turned on a predetermined time. Or turn on at a later time.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제1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the controller may turn of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connected through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the controller may turn of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connected through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각각의 상기 세그먼트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레그들 중 이웃하는 레그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segments may be formed between neighboring legs of legs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one-to-one.

또는, 각각의 상기 세그먼트는 각각의 일단이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레그들 중 임의의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서로 다른 레그에 연결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each of the segments may be commonly connect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legs formed by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in a one-to-one connection, and each other end of the segment may be connected to a different le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는, DC 입력전압을 분압 충전하는 복수의 커패시터; DC 입력전압의 포지티브 단에 일단이 연결된 상단 스위치;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 단에 일단이 연결된 하단 스위치; 각각의 일단이 상단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각각의 일단이 하단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의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각각의 접점들과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의 접점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 하단 스위치의 타단에서 상단 스위치의 타단으로 순방향을 갖도록 복수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그 사이의 접점이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의 접점과 연결되는 복수의 다이오드; 복수의 세그먼트 중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이 위치한 세그먼트 및 그에 인접한 세그먼트의 전력 변화를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 및 전력 검출부에 의해 전력 변화가 검출된 세그먼트 중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제1 스위치, 각각의 제2 스위치, 상단 스위치 및 하단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gment switching device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for partial-charge charging a DC input voltage; An upper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ositive end of the DC input voltage; A lower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negative end of the DC input voltage; A plurality of first switch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witch; A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A plurality of segments formed between respective contacts formed b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each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of each second switch in a one-to-one connection and a plurality of capacitors; A plurality of diode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have a forward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witch; A power detector detecting a power change of a segment in which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and a segment adjacent to the segment; And a first switch, a respective second switch,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switch, each of the second switches, and the upper part of the power detection unit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and to supply power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 and the lower switch on / off.

여기서,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는, 양단이 상단 스위치의 타단과 하단 스위치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보조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gment switching device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apacito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pper switch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respectively.

여기서, 제어부는,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턴온된 제1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제 2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Here, when turning on the first switch connected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the controller maintains the second switch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turned 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in the off state Can be.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2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턴온된 제2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제1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s increased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is turned on, the controller maintains the first switch directly connected to the turned-on second switch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in an off state. Can be.

또한, 제어부는, 상단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하단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lower switch in the OFF state when the upper switch is turned on.

또한, 제어부는, 하단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단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upper switch in an off state.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단 스위치를 턴온된 제1스위치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거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urning on the first switch connected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the controller turns on the upper switch at a tim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or at a time after a predetermined time. can do.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2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하단 스위치를 턴온된 제2스위치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거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turn on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ncreases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at a time that is turned on at a time before a second time that is turned on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It can also be turned 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DC 입력전압의 포지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및 각각의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접점들 중 서로 다른 접점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의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세그먼트 중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이 위치한 세그먼트 및 그에 인접한 세그먼트의 전력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전력변화 검출단계에 의해 전력변화가 검출된 세그먼트 중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제1 스위치 및 각각의 제2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segment switching control method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first switch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DC input voltage, a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DC input voltage, and Segment changeover of a segment changer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segments formed between different ones of a plurality of contacts formed b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each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of each second switch in a one-to-one connection A control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power change of a segment in which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is located and a segment adjacent to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nd a first switch and a respective second switch to cut off power supply to segments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decreases among segments in which power change is detected by the power change detection step, and supply power to segments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ncreas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controlling the on / off.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2스위치를 턴온된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turning on a second switch connected through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ncreases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at a time behind a first switch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It may further comprise a step.

또한, 복수의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1스위치를 턴온된 제2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When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turning on a first switch connected through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s increase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at a time later than the turned on second switch. It may further include.

여기서, 복수의 제1스위치 및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는 턴오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it is preferable to turn of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connected through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절체방법은, DC 입력전압을 분압 충전하는 복수의 커패시터, DC 입력전압의 포지티브 단에 일단이 연결된 상단 스위치,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 단에 일단이 연결된 하단 스위치, 각각의 일단이 상단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각각의 일단이 하단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의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각각의 접점들과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의 접점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 및 하단 스위치의 타단에서 상단 스위치의 타단으로 순방향을 갖도록 복수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그 사이의 접점이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의 접점과 연결되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의 절체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세그먼트 중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이 위치한 세그먼트 및 그에 인접한 세그먼트의 전력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전력변화 검출단계에 의해 전력변화가 검출된 세그먼트 중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제1 스위치, 각각의 제2 스위치, 상단 스위치 및 하단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egment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capacitors for the partial voltage charge of the DC input voltage, the top switch is connected one end to the positive end of the DC input voltage, the negative end of the DC input voltage A plurality of first switch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witch, on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a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the other end of each first switch and each first 2 A plurality of segments are formed between each of the contacts formed by the other end of the switch is connected in a one-to-one and the contact between the plurality of capacitors, and a plurality is formed so that the forward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witch is connected betwee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iodes whose contacts are connected to the contacts between the plurality of capacitors The method comprising: in the switching control method for a switching device segment, detecting a plurality of segments in the line system, an electric vehicle of the segment and a power change of adjacent segments thereof; And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respectively,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among the segments in which the change in power is detected by the power change detection step and to supply power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 The on / off control of the upper switch and the lower switch.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단 스위치를 턴온된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urning on a first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s increase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urning on the upper switch at a time behind a first switch turned on. .

또한, 상단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턴온된 상단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switch is turned 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urning on a first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s increase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at a time later than the turned on upper switch.

또한,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2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하단 스위치를 턴온된 제2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urning on the second switch connected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urning on the lower switch at a time behind the second switch turned on a predetermined time.

또한, 하단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2스위치를 턴온된 하단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ower switch is turned 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urning on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s increased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at a time behind a turned-on lower switc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위치에 따라 전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따라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필터나 다른 부가장치에 의한 시간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increase or decrease of 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and to control the segment transfer switch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so that a filter or other additional device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ime delay caused b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이용되는 전력 검출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제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세그먼트를 통해 출력되는 펄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진행에 따른 세그먼트 절체장치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gment switching device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wer detector used in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 of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of FIG. 1.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ulse output through the segment of FIG. 1.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segm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gment switching device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gment switching device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풀 브릿지 인버터 형태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gment switching apparatus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n exampl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ull bridge inverter.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는, DC(Direct Current) 입력전압(VDC)의 포지티브(positive)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 DC 입력전압(VDC)의 네거티브(negative)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 각각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접점들(A1, A2, A3, A4 및 A5) 중 서로 다른 접점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110, 120, 130 및 140), 복수의 세그먼트(110, 120, 130 및 140) 중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세그먼트 및 그에 인접한 세그먼트의 전력변화를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200)(도 2 참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및 전력 검출부(200)에 의해 전력 변화가 검출된 세그먼트 중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 및 각각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The segment switching device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witches (Su1, Su2, Su3, Su4, Su5) and DC inputs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a positive terminal of a DC (Direct Current) input voltage (V DC ). A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Sd1, Sd2, Sd3, Sd4, and Sd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negative terminal of the voltage V DC , and the other of each of the first switches Su1, Su2, Su3, Su4, and Su5. A plurality of contacts formed between the different contacts among the plurality of contacts A1, A2, A3, A4, and A5 formed by connecting one end and one end of each of the second switches Sd1, Sd2, Sd3, Sd4, and Sd5 in one-to-one connection Segments 110, 120, 130 and 140, and a power detector 200 for detecting a power change of a segment in which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110, 120, 130 and 140 and a segment adjacent thereto (see FIG. 2,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decreases among the segments in which the power change is detected by the power detection unit 200. The first switch (Su1, Su2, Su3, Su4, Su5) and the respective second switch (Sd1, Sd2, Sd3, Sd4) and the power supply to the segment to cut off the power supply and to supply power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And a controller 150 for controlling on / off of Sd5.

여기서, 일대일로 연결된 제1 스위치(Su1) 및 제2 스위치(Sd1)를 레그 1이라고 명명하며, 제1 스위치(Su2) 및 제2 스위치(Sd2)를 레그 2라고 명명한다. 또한, 제1 스위치(Su3) 및 제2 스위치(Sd3)를 레그 3이라고 명명하며, 제1 스위치(Su4) 및 제2 스위치(Sd4)를 레그 4라고 명명하고, 제1 스위치(Su5) 및 제2 스위치(Sd5)를 레그 5라고 명명한다. 각각의 세그먼트(110, 120, 130, 140)는 이웃하는 레그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witch Su1 and the second switch Sd1 connected in a one-to-one manner are referred to as leg 1, and the first switch Su2 and the second switch Sd2 are referred to as leg 2. In addition, the first switch (Su3) and the second switch (Sd3) is named leg 3, the first switch (Su4) and the second switch (Sd4) is named leg 4, and the first switch (Su5) and the first 2 Switch Sd5 is named Leg 5. Each segment 110, 120, 130, 140 may be formed between neighboring legs.

제어부(150)는 복수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턴온된 제1 스위치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한 레그 내에 있는 제2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를 턴온하는 경우, 턴온된 제1 스위치(Su1)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한 레그 1 내에 있는 제2 스위치(Sd1)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ntroller 150 turns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Su1, Su2, Su3, Su4, and Su5, the controller 15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urned on first switch and is in the same leg. It is desirable to keep the off st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first switch Su1 of leg 1 is turned on, the second switch Sd1 connected to the turned on first switch Su1 and in the same leg 1 is turned on. It is desirable to keep it off.

마찬가지로, 제어부(150)는 복수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턴온된 제2 스위치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한 레그 내에 있는 제1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그 1의 제2 스위치(Sd1)를 턴온하는 경우, 턴온된 제2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한 레그 1 내에 있는 제1 스위치(Su1)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milarly,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second swit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Sd1, Sd2, Sd3, Sd4, and Sd5, the controller 15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urned on second switch and is in the same leg. It is desirable to keep the switch in the off st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second switch Sd1 of leg 1 is turned on, the first switch Su1 connected to the turned on second switch and in the same leg 1 is turned off. It is desirable to maintain.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세그먼트에 공급되는 전력을 정상가압이라 정의하고, 그 세그먼트에 인접한 세그먼트에 공급되는 전력을 예비가압이라고 정의하여 구분한다. The power supplied to the segment in which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is defined as normal pressure,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segment adjacent to the segment is defined as preliminary pressure.

먼저, 세그먼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부(150)가 수행하는 제어동작을 설명한다.First, a control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50 to supply power to a segment will be described.

세그먼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부(150)가 해당 세그먼트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해당 세그먼트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온된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거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해당 세그먼트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에는 해당 세그먼트의 타단에 연결된 제1 스위치를 턴온된 제2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거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세그먼트의 양쪽의 레그에 인가되는 파형은 위상차를 갖게 되는데, 정상가압에서는 각각의 파형의 위상차가 180도에 근접하도록 각각의 스위치를 제어하고, 예비가압에서는 각각의 파형의 위상차가 0도에 근접하도록 각각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세그먼트1(110)에 위치한 경우를 가정한다면, 레그 1 및 레그 2에 인가되는 각각의 파형은 위상차가 180도에 근접하도록 각각의 제1 스위치(Su1, Su2) 및 각각의 제2 스위치(Sd1, Sd2)를 제어하며, 세그먼트1에 인접한 세그먼트2에 대해서는 레그 2 및 레그 3에 각각 인가되는 파형의 위상차가 0도에 근접하도록 각각의 제1 스위치(Su2, Su3) 및 각각의 제2 스위치(Sd2, Sd3)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세그먼트2(120)에는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이 온라인 전기자동차로 전송되지 않는다. 즉, 둘 이상의 서로 인접한 세그먼트에 전력을 공급하면, 정상가압에서는 세그먼트를 통해 온라인 전기자동차에 전력이 전송되지만,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하지 않은 세그먼트에서는 전력이 전송되지 않는다.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segment, when the controller 150 turns on the first switch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gment, the second switch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gment turns on at a time before the first switch turned on, or It may turn on at a time behind a predetermined time. Similarly, when the second switch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gment is turned on, the first switch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gment may be turned on at a time before the second switch turned on or at a time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waveforms applied to both legs of the segment have a phase difference. In normal pressure, each switch is controlled so that the phase difference of each waveform approaches 180 degrees. In preliminary pressure, the phase difference of each waveform is 0. It is desirable to control each switch to approximate the figure. For example, assuming that an onlin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in segment 1 110, each waveform applied to leg 1 and leg 2 may have its respective first switches Su1 and Su2 so that the phase difference approaches 180 degrees. Each of the second switches Sd1 and Sd2 is controlled, and for each segment 2 adjacent to the segment 1, each of the first switches Su2 and Su3 such that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legs 2 and 3 is close to 0 degrees. And preferably control each of the second switches Sd2 and Sd3. In this case, since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not located in the segment 2 120, power is not transmitted to the online electric vehicle. That is, when power is supplied to two or more adjacent segments, power is transmitted to the onlin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segment at normal pressure, but power is not transmitted to the segment where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not located.

도 4(a)를 정상가압 상태에 있는 세그먼트1(110)에서의 레그 1에 인가되는 파형이라고 하고, 도 4(b)를 레그 2에 인가되는 파형이라고 하면 세그먼트1(110)를 통해 온라인 전기자동차로 전송되는 파형은 도 4(c)와 같다. 즉,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 및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의 턴온상태에서 온라인 전기자동차로 전송되던 출력 파형은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를 턴오프하고 레그 2의 제1 스위치(Su1)를 턴온하면 0 상태로 떨어지며,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를 턴오프하고 제2 스위치(Sd1)를 턴온하면 온라인 전기자동차에는 역경로의 출력 파형이 걸리게 된다. 또한, 레그 2의 제1 스위치(Su2)를 턴오프하고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를 턴온하면 다시 0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스위칭 제어에 의해 세그먼트1(110)에는 도 4(c)와 같은 파형이 반복적으로 출력된다.Referring to FIG. 4A, a waveform applied to leg 1 in segment 1 110 under normal pressure, and FIG. 4B is a waveform applied to leg 2, an on-line electricity is transmitted through segment 1 110. The waveform transmitted to the vehicle is shown in FIG. 4 (c). That is, the output waveform transmitted to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n the turn-on state of the first switch Su1 of leg 1 and the second switch Sd2 of leg 2 turns off the second switch Sd2 of leg 2 and turns off the second switch Sd2 of leg 2. When the first switch Su1 is turned on, the state falls to zero. When the first switch Su1 of the leg 1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Sud1 is turned on, the output waveform of the reverse path is applied to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first switch Su2 of the leg 2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Sd2 of the leg 2 is turned on, the state becomes zero again. By such switching control, the waveform as shown in FIG. 4C is repeatedly output to the segment 1 110.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하나의 세그먼트에서 이웃하는 다른 세그먼트로 이동하는 경우, 이전의 정상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에서의 전력은 감소하며, 예비가압 상태에 있던 이웃하는 세그먼트에서의 전력은 증가하게 된다. 전력 검출부(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에서의 전력변화와 예비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에서의 전력변화에 따라, 다음의 이웃하는 세그먼트와 정상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의 각각의 스위치들에 대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구성된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에서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세그먼트1(110) -> 세그먼트2(120) -> 세그먼트3(130) -> 세그먼트4(140)의 순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정상가압으로 인버팅 동작하는 세그먼트의 순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때, 전력 검출부(200)를 이용하여 각각의 세그먼트(110, 120, 130 및 140)에서의 전력의 변화를 검출하면,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세그먼트1(110)에서 세그먼트2(120)로 이동함에 따라 정상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1(110)의 전력은 감소하게 되며, 예비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2(120)의 전력은 증가하게 된다. When an on-line electric vehicle moves from one segment to another neighboring segment, the power in the segment previously in the normal pressurization state decreases, and the power in the neighboring segment in the prepressurization state increases. As shown in FIG. 2, the power detec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power change in the segment in the normal pressurized state and the power change in the segment in the prepressurized state, the next neighboring segment and the segment in the normal pressurized state. Controls the switching behavior for each of the switches. For example, in the segment switching apparatus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in the order of Segment 1 (110)-> Segment 2 (120)-> Segment 3 (130)-> Segment 4 (140). Assume that the movement of the segment, the sequence of the inverting operation in the normal pressure is shown in FIG. In this case, when the power detection unit 200 detects a change in power in each of the segments 110, 120, 130, and 140, the online electric vehicle moves from segment 1 110 to segment 2 120. The power of the segment 1 (110) in the normal pressure state is reduced, the power of the segment 2 (120) in the pre-pressure state is increased.

이때, 예비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2(120)에 연결된 레그 2의 제1 스위치(Su2)를 턴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1(110)을 통해 연결된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 및 제2 스위치(Sd1)를 턴오프시켜 세그먼트1(110)으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2(120)를 통해 연결된 레그 3의 제2 스위치(Sd3)를 턴온된 레그 2의 제1 스위치(Su2)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이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when turning on the first switch Su2 of the leg 2 connected to the segment 2 120 in the pre-pressing state, the controller 150 of the leg 1 connected through the segment 1 110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The first switch Su1 and the second switch Sd1 may be turned off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egment 11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turn the second switch Sd3 of the leg 3 connected through the segment 2 120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in advance of the predetermined time or the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first switch Su2 of the leg 2 turned on. It is desirable to turn on at a later time.

마찬가지로, 예비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2(120)에 연결된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를 턴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1(110)을 통해 연결된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 및 제2 스위치(Sd1)를 턴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2(120)를 통해 연결된 레그 3의 제1 스위치(Su3)를 턴온된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이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세그먼트2(120)에 위치하게 되면, 세그먼트2(120)는 정상가압 상태가 되며 세그먼트3(130)는 예비가압 상태가 된다. Similarly, when turning on the second switch Sd2 of the leg 2 connected to the segment 2 120 which is in the pre-pressing stat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legs 1 of the leg 1 connected through the segment 1 110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It is preferable to turn off the first switch Su1 and the second switch Sd1.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turn the first switch Su3 of the leg 3 connected through the segment 2 1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s increased 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second switch Sd2 of the leg 2 turned on. It is desirable to turn on at a later time. After that, when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in the segment 2 120, the segment 2 120 is in a normal pressure state and the segment 3 130 is in a preliminary pressure state.

이와 같이,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전력변화를 검출하여,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지나간 세그먼트에는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진행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정상가압으로 변경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이동에 따라 각각의 세그먼트들은 빠른 속도로 절체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way, by detecting a change in power for each segment,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egment passed by the online electric vehicle and by supplying power by changing the normal pressure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line electric vehicle proceeds, The movement of each segment makes it possible to transfer power at high spe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풀 브릿지 인버터 형태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다.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gment switching apparatus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ull bridge inverter.

도 1의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와 달리 도 6의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는, 각각의 세그먼트(610, 620, 630 및 640)가 다양한 레그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각각의 세그먼트(610, 620, 630 및 640)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레그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세그먼트(610, 620, 630 및 640)의 타단은 나머지 레그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세그먼트들의 연결 구성은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각의 세그먼트의 위치, 제어부에 의한 제어의 용이성, 설비상의 비용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 경우,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이동에 따른 제어부(650)의 스위칭 제어동작은 도 1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Unlike the segment changer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of FIG. 1, the segment changer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of FIG. 6 shows that each segment 610, 620, 630, and 640 can be formed between various legs. . That is, one end of each segment 610, 620, 630, and 640 may be commonly connected to one leg, and the other end of each segment 610, 620, 630, and 640 may be connected to the remaining legs, respectively. . However,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segments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each segment, the ease of control by the controller, the cost on the facility, and the like. In this case, since the switching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65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similar to that of FIG. 1,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3-레벨 인버터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gment switching apparatus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는, DC 입력전압(VDC)을 분압 충전하는 복수의 커패시터(Cd1, Cd2), DC 입력전압(VDC)의 포지티브 단에 일단이 연결된 상단 스위치(So2), DC 입력전압(VDC)의 네거티브 단에 일단이 연결된 하단 스위치(So1), 각각의 일단이 상단 스위치(So2)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각각의 일단이 하단 스위치(So1)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각각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각각의 접점들(A1, A2, A3, A4)과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의 접점(B)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710, 720, 730, 740), 하단 스위치(So1)의 타단에서 상단 스위치(So2)의 타단으로 순방향을 갖도록 복수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그 사이의 접점이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의 접점(B)과 연결되는 복수의 다이오드(D1, D2), 복수의 세그먼트(710, 720, 730, 740) 중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이 위치한 세그먼트 및 그에 인접한 세그먼트의 전력 변화를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200)(도 2참조), 및 전력 검출부(200)에 의해 전력 변화가 검출된 세그먼트 중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각각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상단 스위치(So2) 및 하단 스위치(So1)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7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는, 양단이 상단 스위치(So2)의 타단과 하단 스위치(So1)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보조 커패시터(Cf)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a segment switching device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has one e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pacitors Cd1 and Cd2 and a DC input voltage V DC that divide the DC input voltage V DC by a partial voltage charge. Connected upper switch So2, lower switch So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negative end of the DC input voltage V DC , and a plurality of first switches Su1, Su2,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witch So2, Su3, Su4), a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Sd1, Sd2, Sd3, and Sd4, each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So1,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switches Su1, Su2, Su3, and Su4. A plurality of contacts formed between the contacts A1, A2, A3, A4 and the plurality of capacitors formed by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second switches Sd1, Sd2, Sd3, and Sd4 in one-to-one connection Segment 710, 720, 730, 740, a plurality of the connection is formed to have a forward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So1)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witch (So2) And a segment in which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diodes D1 and D2 and the plurality of segments 710, 720, 730, and 740, in which a contact therebetween is connected to a contact B between a plurality of capacitors. The power supply unit 200 (refer to FIG. 2) and the segment in which the power change is detected by the power detector 200 to detect the change in the power of the adjacent segment, and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decreases, the power is increased. Each of the first switch (Su1, Su2, Su3, Su4), each of the second switch (Sd1, Sd2, Sd3, Sd4), the upper switch (So2) and the lower switch (So1) to supply power to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The control unit 750 to control the on / off. Preferably, the segment switching device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capacitor Cf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witch So2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So1, respectively.

여기서, 일대일로 연결된 제1 스위치(Su1) 및 제2 스위치(Sd1)를 레그 1이라고 명명하며, 제1 스위치(Su2) 및 제2 스위치(Sd2)를 레그 2라고 명명한다. 또한, 제1 스위치(Su3) 및 제2 스위치(Sd3)를 레그 3이라고 명명하며, 제1 스위치(Su4) 및 제2 스위치(Sd4)를 레그 4라고 명명하고, 제1 스위치(Su5) 및 제2 스위치(Sd5)를 레그 5라고 명명한다.Here, the first switch Su1 and the second switch Sd1 connected in a one-to-one manner are referred to as leg 1, and the first switch Su2 and the second switch Sd2 are referred to as leg 2. In addition, the first switch (Su3) and the second switch (Sd3) is named leg 3, the first switch (Su4) and the second switch (Sd4) is named leg 4, and the first switch (Su5) and the first 2 Switch Sd5 is named Leg 5.

도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부(750)는 복수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턴온된 제1 스위치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한 레그 내에 있는 제2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50)는 복수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턴온된 제2 스위치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한 레그 내에 있는 제1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in FIG. 1, when the controller 750 turns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Su1, Su2, Su3, Su4, and Su5, the controller 75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urned on first switch. It is desirable to keep the second switch in the same leg off. Similarly,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second swit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Sd1, Sd2, Sd3, Sd4, and Sd5, the controller 15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urned on second switch and is in the same leg. It is desirable to keep the switch in the off state.

또한, 제어부(750)는 상단 스위치(So2)를 턴온하는 경우, 하단 스위치(So1)는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어부(750)는 하단 스위치(So1)를 턴온하는 경우, 상단 스위치(So2)는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750 turns on the upper switch So2, the lower switch So1 may be kept in an off state. Similarly, when the control unit 750 turns on the lower switch So1,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upper switch So2 in the off state.

복수의 세그먼트(710, 720, 730, 740) 중 둘 이상의 이웃하는 세그먼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부(750)가 해당 세그먼트(여기서는 세그먼트1(710)을 예로서 설명한다)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스위치(Su1)를 턴온하는 경우, 제1 스위치(Su1)에 연결된 상단 스위치(So2)를 턴온된 제1 스위치(Su1)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거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그먼트1(710)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Sd1)를 턴온하는 경우, 제2 스위치(Sd1)에 연결된 하단 스위치(So1)를 턴온된 제2 스위치(Sd1)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거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위치(Su1), 제2 스위치(Sd1), 상단 스위치(So2) 및 하단 스위치(So1)의 스위칭 제어에 의해 세그먼트1(710)의 양단에 인가되는 파형은 위상차를 갖게 되는데, 이 위상차가 정상가압에서는 180도에 근접하도록 각각의 스위치를 제어하고, 예비가압에서는 0도에 근접하도록 각각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세그먼트1(710)에 위치한 경우, 세그먼트1(71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인가되는 파형과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인가되는 파형은 위상차가 180도에 근접하도록 제1 스위치(Su1), 제2 스위치(Sd1), 상단 스위치(So2) 및 하단 스위치(So1)를 제어하며, 세그먼트1에 인접한 세그먼트2에 대해서는 세그먼트2(72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인가되는 파형과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인가되는 파형은 위상차가 0도에 근접하도록 제1 스위치(Su2), 제2 스위치(Sd2), 상단 스위치(So2) 및 하단 스위치(So1)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세그먼트2(720)에는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이 온라인 전기자동차로 전송되지 않는다. 즉, 둘 이상의 서로 인접한 세그먼트에 전력을 공급하면, 정상가압에서는 세그먼트를 통해 온라인 전기자동차에 전력이 전송되지만,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하지 않은 세그먼트에서는 전력이 전송되지 않는다. 세그먼트에 대해 상단에서 하단으로 인가되는 파형과 하단에서 상단으로 인가되는 파형 및 그에 대한 출력 파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In order to supply power to two or more neighboring segments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710, 720, 730, and 740, the controller 7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rresponding segment (segmented here as segment 1 710). When the first switch Su1 is turned on, the upper switch So2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Su1 may be turned on at a time before the turned-on first switch Su1 or at a time lat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Similarly, when the second switch Sd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gment 1 710 is turned on, the lower switch So1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 Sd1 is turned on at a time before the turned on second switch Sd1. It may turn on or turn on at a time later. In this case, the waveform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segment 1 710 by the switching control of the first switch Su1, the second switch Sd1, the upper switch So2, and the lower switch So1 have a phase differenc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each switch so that this phase difference approaches 180 degree | times at normal pressure, and to control each switch so that it may approach 0 degree | time at preliminary pressure. For example, when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in the segment 1 710, the waveform appli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egment 1 710 and the waveform appli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segment 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hase difference approaches 180 degrees. The switch Su1, the second switch Sd1, the upper switch So2, and the lower switch So1 are controlled. For the segment 2 adjacent to the segment 1, a waveform appli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segment 2 720 and The waveform appli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direction preferably controls the first switch Su2, the second switch Sd2, the top switch So2, and the bottom switch So1 such that the phase difference approaches 0 degrees. At this time, since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not located in the segment 2 720, power is not transmitted to the online electric vehicle. That is, when power is supplied to two or more adjacent segments, power is transmitted to the onlin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segment at normal pressure, but power is not transmitted to the segment where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not located. The waveform appli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egment, the waveform appli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output waveform thereof are as shown in FIG. 4.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하나의 세그먼트에서 이웃하는 다른 세그먼트로 이동하는 경우, 이전의 정상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에서의 전력은 감소하며, 예비가압 상태에 있던 이웃하는 세그먼트에서의 전력은 증가하게 된다. 전력 검출부(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에서의 전력변화와 예비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에서의 전력변화에 따라, 다음의 이웃하는 세그먼트와 정상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의 각각의 스위치들에 대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구성된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에서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세그먼트1(710)에서 세그먼트2(720)로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이동함에 따라 정상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1(710)의 전력은 감소하게 되며, 예비가압 상태에 있던 세그먼트2(720)의 전력은 증가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750)는 상단 스위치(So2)를 턴온하는 경우,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1(710)에 연결된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 및 제2 스위치(Sd1)를 턴오프시키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2(720)에 연결된 레그 2의 제1 스위치(Su2)를 소정시간 앞선 시간이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시킨다. 마찬가지로, 제어부(750)가 하단 스위치(So1)를 턴온하는 경우,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1(710)에 연결된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 및 제2 스위치(Sd1)를 턴오프시키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2(720)에 연결된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를 소정시간 앞선 시간이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시킨다. 이후에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세그먼트2(720)에 위치하게 되면, 세그먼트2(720)는 정상가압 상태가 되며 세그먼트3(730)는 예비가압 상태가 된다. When an on-line electric vehicle moves from one segment to another neighboring segment, the power in the segment previously in the normal pressurization state decreases, and the power in the neighboring segment in the prepressurization state increases. As shown in FIG. 2, the power detec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power change in the segment in the normal pressurized state and the power change in the segment in the prepressurized state, the next neighboring segment and the segment in the normal pressurized state. Controls the switching behavior for each of the switche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on-line electric vehicle moves from segment 1 710 to segment 2 720 in the segment switching device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onfigured as shown in FIG. 7, the on-line electric vehicle moves to a normal pressure state. The power of segment 1 710, which was present, decreases, and the power of segment 2 720, which was in the pre-pressurization state, increases. At this time, when the upper switch So2 is turned on, the controller 750 turns off the first switch Su1 and the second switch Sd1 of the leg 1 connected to the segment 1 710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The first switch Su2 of the leg 2 connected to the segment 2 720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is turned on at a time before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Likewise, when the controller 750 turns on the lower switch So1, the first switch Su1 and the second switch Sd1 of the leg 1 connected to the segment 1 710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are turned off. The second switch Sd2 of the leg 2 connected to the segment 2 720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is turned on at a time before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on-lin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in the segment 2 720, the segment 2 720 is in a normal pressurization state and the segment 3 730 is in a preliminary pressurization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independent hardware, each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a.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and the lik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610, 710: 세그먼트1
120, 620, 720: 세그먼트2
130, 630, 730: 세그먼트3
140, 640, 740: 세그먼트4
150, 650, 750: 제어부
200: 전력 검출부
110, 610, 710: segment 1
120, 620, 720: Segment 2
130, 630, 730: segment 3
140, 640, 740: segment 4
150, 650, 750: control unit
200: power detector

Claims (25)

DC(Direct Current) 입력전압의 포지티브(positive)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상기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negative)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의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상기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접점들 중 서로 다른 접점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중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세그먼트 및 그에 인접한 세그먼트의 전력 변화를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 및
상기 전력 검출부에 의해 전력 변화가 검출된 세그먼트 중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상기 제1 스위치 및 각각의 상기 제2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A plurality of first switch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ositive terminal of a direct current (DC) input voltage;
A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negative terminal of the DC input voltage;
A plurality of segments formed between different contacts among a plurality of contacts formed b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switches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econd switches in a one-to-one connection;
A power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power change of a segment in which an on-lin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and a segment adjacent thereto; And
Each of the first switch and each of the second switches to cut off power supply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s reduced among the segments in which a power change is detected by the power detector and to supply power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s increased. Control to control the on / off
Segment switching device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턴온된 상기 제1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제 2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the segment switch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holding the second switch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turned 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in the off stat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턴온된 상기 제2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제1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is turned on, the segment switch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witch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 turned on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is kept off. Devic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온된 상기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거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is turned on, the second switch connected through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ncreases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is turned on at a time before the first switch turned on a predetermined time or Segment switching device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urned on at a time lat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turning of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connected through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turning of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connected through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레그들 중 이웃하는 레그들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segment is formed between neighboring legs of legs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in a one-to-one connection.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세그먼트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레그들 중 임의의 하나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서로 다른 레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seg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end is commonly connect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legs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one-to-one, and each other end is connected to a different leg Segment changer of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DC 입력전압을 분압 충전하는 복수의 커패시터;
상기 DC 입력전압의 포지티브 단에 일단이 연결된 상단 스위치;
상기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 단에 일단이 연결된 하단 스위치;
각각의 일단이 상기 상단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각각의 일단이 상기 하단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의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상기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각각의 접점들과,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의 접점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
상기 하단 스위치의 타단에서 상기 상단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되 하단 측에서 상단 측으로 순방향을 갖도록 복수가 직렬 연결되어 형성되며, 그 사이의 접점이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의 접점과 연결되는 복수의 다이오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중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세그먼트 및 그에 인접한 세그먼트의 전력 변화를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 및
상기 전력 검출부에 의해 전력 변화가 검출된 세그먼트 중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상기 제1 스위치, 각각의 상기 제2 스위치, 상기 상단 스위치 및 상기 하단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A plurality of capacitors for voltage-charging the DC input voltage;
An upper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ositive end of the DC input voltage;
A lower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negative end of the DC input voltage;
A plurality of first switches, each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witch;
A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each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A plurality of segments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contacts formed b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switches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econd switches in a one-to-one connection and a contact between the plurality of capacitors;
A plurality of diode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witch 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the plurality of diodes being connected in series so as to have a for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a contact therebetween connected to the contacts between the plurality of capacitors;
A power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power change of a segment in which an on-lin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and a segment adjacent thereto; And
Each of the first switch and each second switch to cut off power supply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s reduced among the segments in which a power change is detected by the power detector and to supply power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s increase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upper switch and the lower switch
Segment switching device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omprising a.
제 9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상단 스위치의 타단과 상기 하단 스위치의 타단에 각각 연결된 보조 커패시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uxiliary capacitors connected at opposite ends of the upper switch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respectively.
Segment switching device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턴온된 상기 제1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제 2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urning on a first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ncreas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the second switch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turned on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is maintained in an off state. Segment changer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2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턴온된 상기 제2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제1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urning on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ncreases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the first switch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 turned on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is maintained in an off state. Segment changer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단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하단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upper switch is turned on, the segment switching device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maintain the lower switch off.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단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상단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lower switch is turned on, maintaining the upper switch in an off state.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상단 스위치를 턴온된 상기 제1스위치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거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urning on a first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the upper switch turns on at a tim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or at a time l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Segment changer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2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하단 스위치를 턴온된 상기 제2스위치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거나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urning on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power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the lower switch turns on at a time before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turned on second switch. Segment changer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C 입력전압의 포지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상기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및 각각의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상기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접점들 중 서로 다른 접점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의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중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세그먼트 및 그에 인접한 세그먼트의 전력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변화 검출단계에 의해 전력변화가 검출된 세그먼트 중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상기 제1 스위치 및 각각의 상기 제2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
A plurality of first switches connected at one end to a positive terminal of the DC input voltage, a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connected at one end to a negative terminal of the DC input voltage, and a second end of each of the first switches and each of the second switches In the segment switching control method of the segment switching apparatus of the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segments formed between the different contacts among the plurality of contacts formed by connecting the other end in one-to-one,
Detecting a power change of a segment in which an on-lin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and a segment adjacent thereto; And
Each of the first switch and each of the first switches to block power supply to segments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decreases among segments in which power change is detected by the power change detection step, and to supply power to segments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ncreases. 2 Steps to control the switch on / off
Segment switching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2스위치를 턴온된 상기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is turned on, turning on a second switch connected through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ncreases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at a time later than the turned on first switch step
Segment switchin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1스위치를 턴온된 상기 제2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is turned on, turning on a first switch connected through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ncreas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at a time later than the turned on second switch step
Segment switchin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를 통해 연결된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segment switching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for turning of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connected through th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ower Way.
DC 입력전압을 분압 충전하는 복수의 커패시터, 상기 DC 입력전압의 포지티브 단에 일단이 연결된 상단 스위치, 상기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 단에 일단이 연결된 하단 스위치, 각각의 일단이 상기 상단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각각의 일단이 상기 하단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의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상기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어 형성된 각각의 접점들과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의 접점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 및 상기 하단 스위치의 타단에서 상기 상단 스위치의 타단으로 순방향을 갖도록 복수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그 사이의 접점이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의 접점과 연결되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의 세그먼트 절체장치의 절체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중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세그먼트 및 그에 인접한 세그먼트의 전력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변화 검출단계에 의해 전력변화가 검출된 세그먼트 중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상기 제1 스위치, 각각의 상기 제2 스위치, 상기 상단 스위치 및 상기 하단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
A plurality of capacitors for voltage-charging the DC input voltage, an upper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ositive end of the DC input voltage, a lower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negative end of the DC input voltage, and each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witch A plurality of first switches, a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and respective contacts formed by one-to-one connection of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switches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econd switches And a plurality of segments formed between the contacts between the capacitors and the plurality of capacitors, and a plurality of segments are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lower switch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witch, and the contact therebetween is connected to the contacts between the plurality of capacitors. Switching of a segment switching device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odes connected In the control method,
Detecting a power change of a segment in which an on-lin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and a segment adjacent thereto; And
Each of the first switch and each of the first switches to block power supply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decreases among the segments in which a power change is detected by the power change detection step, and to supply power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power increases. Controlling on / off a second switch, the upper switch and the lower switch
Segment switching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상단 스위치를 턴온된 상기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Turning on a first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connected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ncreases, turning on the upper switch at a time later than the first switch turned on
Segment switchin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1스위치를 턴온된 상기 상단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When the upper switch is turned on, turning on a first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s increased at a time later than the turned on upper switch;
Segment switchin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2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하단 스위치를 턴온된 상기 제2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Turning on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ncreases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turning on the lower switch at a time later than the turned on second switch;
Segment switchin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스위치를 턴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스위치 중 상기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의 세그먼트에 연결된 제2스위치를 턴온된 상기 하단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 절체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When the lower switch is turned on, turning on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a segment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is increased at a time later than the turned on lower switch;
Segment switchin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KR1020100013308A 2010-02-12 2010-02-12 Segment changer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KR101060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308A KR101060316B1 (en) 2010-02-12 2010-02-12 Segment changer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PCT/KR2011/000881 WO2011099781A2 (en) 2010-02-12 2011-02-10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segment switch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308A KR101060316B1 (en) 2010-02-12 2010-02-12 Segment changer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331A KR20110093331A (en) 2011-08-18
KR101060316B1 true KR101060316B1 (en) 2011-08-29

Family

ID=4436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308A KR101060316B1 (en) 2010-02-12 2010-02-12 Segment changer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0316B1 (en)
WO (1) WO2011099781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608B1 (en) * 2011-08-26 2013-02-06 한국과학기술원 Power supply apparatus for segmentization of power supply line with minimal power supply line usage
KR101307805B1 (en) * 2011-08-26 2013-09-12 한국과학기술원 Power Supply Apparatus for Feeding Power with Large Capac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304A (en) 1991-12-03 1993-05-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ductive energ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US5821728A (en) 1996-07-22 1998-10-13 Schwind; John P. Armature induction charging of moving electric vehicle batteries
US20090045773A1 (en) 2007-08-13 2009-02-19 Pandya Ravi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206A (en) * 1993-08-26 1995-03-10 Sumitomo Electric Ind Ltd Noncontact intermittent power supply for mobile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304A (en) 1991-12-03 1993-05-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ductive energ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US5821728A (en) 1996-07-22 1998-10-13 Schwind; John P. Armature induction charging of moving electric vehicle batteries
US20090045773A1 (en) 2007-08-13 2009-02-19 Pandya Ravi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9781A3 (en) 2011-11-10
KR20110093331A (en) 2011-08-18
WO2011099781A2 (en)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9799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ith an automatic transfer switch
KR102556747B1 (en) Fault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in an electric propulsion system
EP2940844B1 (en) Bypass apparatus for converter
Airabella et al. Semi‐conductors faults analysis in dual active bridge DC–DC converter
CN105765836B (en) Fibre optics ring for the bypath system in multi-cell electric power
CN105553086A (en) Protection methods and switches i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s
US10074494B2 (en) Method for point on wave switching and a controller therefor
KR101060316B1 (en) Segment changer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CN108702001B (en) Multi-source power distribution system
US11764602B2 (en) Redundant power transfer apparatus
Zhu et al. Segmental switching strategy with zero output pulsation for dynamic EV wireless charging system
US9287704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 polarity reversal on a low voltage side of a DC voltage transformer in a dual-voltage vehicle electrical system
JP2007028837A (en) Parallel power feeding system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CN103580553A (en) Movement and control system
KR102167158B1 (en) Anti-islandin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50105862A (en) Source transfer switching apparatus
JP6261530B2 (en) Power converter
JP5894214B2 (en) Electric charging device and failure determination method thereof
JP7177610B2 (en) RAIL VEHICLE DRIVING SYSTEM, ACTIVE FILTER DEVICE IN SAME SYSTEM, AND RAIL VEHICLE DRIVING METHOD
US10855084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for power system interconnection
CN112683151A (en) Power supply system,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by using power supply network
US87664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witch elements
JP2010004645A (e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CN112440747A (en) Drive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rail vehic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2366701B (en) Parallel connection method of static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