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195B1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195B1
KR101059195B1 KR1020100040206A KR20100040206A KR101059195B1 KR 101059195 B1 KR101059195 B1 KR 101059195B1 KR 1020100040206 A KR1020100040206 A KR 1020100040206A KR 20100040206 A KR20100040206 A KR 20100040206A KR 101059195 B1 KR101059195 B1 KR 10105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unit
information
processing data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택
김효상
Original Assignee
김효상
김봉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상, 김봉택 filed Critical 김효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40Handling position reports or trackside vehicl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열차 운행에 위험이 되는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위치정보와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매칭시켜 처리한 처리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 가능한 휴대단말기와,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처리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처리데이터를 근거로 열차 운행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을 신고 및 접수 처리하고 신고 및 접수된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및 열차 기관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통합 관리센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 운영 안전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A SAFE MANAGEMENT SYSTEM OF TRAIN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및 데이터전송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차는 일반 차량에 비하여 많은 승객을 운송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많은 화물을 실어 날을 수 있기 때문에, 교통 및 물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운송수단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물류량이 많아지고 고속열차가 등장함에 따라서 열차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열차는 전방의 동력차에 다수의 종동차를 연결하여 레일 위를 고속으로 운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시 많은 인명피해와 물적 피해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열차 운행에 있어서는 안전예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열차가 운행되는 레일은 수십에서 수천 km의 거리로 전국적으로, 또는 국가 간 및 대륙 간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관사는 장시간 동안 열차를 운행하면서 지속적으로 집중력을 유지하면서 전방을 주시하여 운전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레일 상에 또는 레일 주변에 장애물이 나타난 경우, 또는 기상악화나 천재지변으로 인한 철로의 파손 및 손실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열차 운행이 어려운 경우에는, 관리자가 현장에 나가서 현장 상황을 확인한 뒤, 확인된 사항을 운영 통제센터 등으로 접수한 뒤, 운영 통제센터에서 확인된 사항에 대한 정보를 해당 철로를 운행하고 있는 열차, 운행할 예정인 열차 및 현장 관리소 등으로 알려주게 됨으로써, 철로의 이상 여부에 대한 사실을 알려주는데 있어서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철로의 이상으로 인한 사고발생 또는 비정상적인 열차 운행신호가 운영 통제센터로 접수되며, 운영 통제센터에서는 해당 지역의 지역 관리센터로 해당 철로의 위치정보와 확인명령을 하달하고, 지역 관리센터에서는 해당 구역의 관리자에게 위치정보와 확인명령을 다시 순차적으로 하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해당 지역의 점검자가 이상이 발생된 철로 위치로 이동하여 철로상황 및 이상 여부 등에 대한 상태를 점검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역으로 보고하여 운영 통제센터로 보고하여 처리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전체 운영 통제센터에서 단계적으로 그 하위의 관리체계를 통해 이상 발생정보 및 확인명령에 대한 정보 등이 전달됨으로써, 실제 철로 이상이 발생한 지역을 운행하는 열차, 운행할 예정인 열차 및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에게 즉각적인 정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정보전달 시간이 늦어짐에 따라서, 철로의 안정적인 운영이 쉽지 않게 되고, 2차적인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현장의 상황을 촬영한 개인용 휴대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영상을 통해 철로 상에서의 위험요소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신속하면서도 자동으로 신고 접수 및 후속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은, 열차 운행에 위험이 되는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위치정보와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매칭시켜 처리한 처리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 가능한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처리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처리데이터를 근거로 열차 운행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을 신고 및 접수 처리하고, 신고 및 접수된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및 열차 기관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통합 관리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열차 운행에 위험이 되는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매칭시켜 처리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처리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합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는, 와이브로, 와이파이, 및 CDMA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무선통신 모듈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상기 GPS 수신부 및 자이로센서에서 획득된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매칭시켜 처리한 처리데이터를 표시하고, 표시된 처리데이터를 실행하기 위한 선택항목의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선택항목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응되는 실행신호를 판단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센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처리데이터를 보여주는 모니터와; 상기 처리데이터의 수신을 통해 위험상황 신고 및 접수 처리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관리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열차 운행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접수, 저장 및 처리하여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열차 철로 등에 장애물 등과 같이 열차 운행에 위험이 되는 상황이 발생된 경우, 이를 관리자뿐만이 아니라 이를 발견하는 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촬영하게 되면, 위험상황이 발생된 지점의 위치정보, 방향 정보 등을 포함하는 관련정보와 촬영 영상을 매칭시킨 처리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센터로 전송하여 자동으로 신고 및 접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처리데이터에는 위험상황이 발생한 지점이 구체적으로 상행선인지, 하행선인지에 대한 정보와, 위험상황의 종류 등을 구체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 처리데이터를 통합관리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자동으로 신고 및 접수처리가 될 수 있게 되어, 정확하고 신속한 위험상황 발생신고 및 접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최초 위험 상황을 발견한 자가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는 동작에 의해 위험상황 발생정보가 신고 및 접수처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통합관리센터에서는 신고된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근거로 하여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관련자나 기관사 등에게 알려줌으로써,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처리 및 대처할 수 있음은 물론, 위치 및 방향 오차 등으로 인한 2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 운영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를 나타내 보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의 통합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 운영 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기는 철도 관리자는 물론, 일반인이 휴대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팜탑 컴퓨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열차 운행을 관리하는 통합 관리센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형 장치가 해당 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은,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열차 운행에 위험이 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그 위험이 발생한 상황(현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신망(20)을 통해 원격지의 통합 관리센터(200)로 전송하여 철로의 이상상황 발생신고를 접수할 수 있고, 통합 관리센터(200)에서는 전송된 촬영 영상을 수신받아 곧바로 철로(10)의 이상상황을 접수와 동시에 처리하는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은, 휴대단말기(100) 및 통합관리센터(200)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및 기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100)는 A/V(Audio/Video) 입력부(110)와, GPS 수신부(120)와, 자이로센서(130)와, 제어부(140)와, 전원공급부(150)와, 무선통신부(160)와, 출력부(170) 및 저장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1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획득하며, 비디오 신호 즉,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111)와, 오디오 신호 즉 음향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112)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11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센서에 의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획득한다. 획득된 화상 프레임은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제어부(140)로 제공되어 처리된다. 이때, 카메라(111)에 의해 촬영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7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12)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 구성되며, 통화, 또는 녹음을 위해 마련된다. 마이크(112)는 외부의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제어부(140)로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13)는 숫자키, 메뉴키 및 기능키 등을 포함한다.
상기 GPS 수신부(120)는 GP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는 제어부(140)로 전달된다.
상기 자이로센서(130)는 휴대단말기(100)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즉, 디스플레이부(171)를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세 또는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자세에서의 방향정보(방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방향정보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카메라(111)를 통해 얻은 촬영 영상(비디오 신호)에 방향(방위각) 정보가 함께 매칭되도록 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111)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행 선로(11)와, 상행 선로(12)가 나란하게 설치된 철로(10)를 촬영하게 되면, 제어부(140)는 촬영되어 획득된 영상 프레임에 방향정보와 위치정보를 매칭시켜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하행 선로(11)에 장애물(13)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발견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장애물(13)을 포함한 철로(10)를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촬영하게 되면, 제어부(14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영상프레임(310)에 위치정보(320), 시간정보(330) 및 방향정보(340)가 매칭되도록 처리데이터(300)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처리데이터(300)는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71)에 표시되어 촬영자, 즉 휴대단말기(100)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휴대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며, 휴대성을 위해 충전 및 방전 가능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150)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압과,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전원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부(170)는 비디오 신호(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71)와, 오디어신호(음향)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모듈(172)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1)는 휴대단말기가 통화 모드일 때, 통화 모드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휴대단말기가 영상촬영 모드일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영상(310)과, 촬영된 영상(310)을 포함하는 처리데이터(30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드에서는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71)를 통해 처리데이터(300)를 편집 또는 처리하기 위한 터치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인터페이스 화면(400)으로 나타난다. 이 인터페이스 화면(400)은 터치입력이 가능한 것으로서, 처리데이터(300)를 포함하여, 별도의 선택메뉴(360)가 스크롤바(370)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선택메뉴(360)로는 처리데이터(300)에 대해서 별도의 필요한 항목별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항목 즉, 삭제(361), 전송(362), 저장(363), 편집(364) 등이 표시되며, 이러한 항목들 중 하나를 사용자가 터치하여 실행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항목은 사용자가 스크롤바(370)를 이용하여 숨겨진 항목을 노출시킬 수 있으며, 터치입력 또는 문자입력을 통해서 전체 항목들 중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1)를 통해 인터페이스 화면(400)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는 선택항목(선택메뉴)에 대한 이미지 및,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71)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실행대상을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음향출력 모듈(172)은 벨소리를 재생하거나, 음성을 재생한다.
상기 저장부(1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및 롬(ROM)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A/V 입력부(110), 사용자 입력부(113), 무선통신부(160), 출력부(170) 및 저장부(18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카메라(111)에서 촬영되어 획득된 촬영 영상(310)을 GPS 수신부(120)에서 획득된 위치정보와, 자이로센서(130)에서 획득된 방향정보 및, 시간정보(330) 등을 포함하도록 매칭시켜서 처리데이터(300)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71)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71)에 인터페이스 화면(400) 상에 처리데이터(300)를 선택메뉴(360)와 함께 제공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여러 항목들 중에서 전송(362)을 선택하여 실행하게 되면, 미리 저장 또는 설정된 전화번호 또는 신고전화로 처리데이터(300)를 무선통신부(160)를 통해 전송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철로(10) 현장에서 철로(10) 상에 장애물(13)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장애물(13)이 위치한 현장을 촬영하고, 촬영되어 처리된 처리데이터(300)를 전송항목(362)을 선택하여 실행함으로써, 원격지의 통합관리센터(200)로 처리데이터(300)를 전송하여 위험발생 신고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망(160)은 안테나(161)를 통해 통신망(20)과 접속하여 기지국과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CDMA 모듈, DMB와 같은 방송수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와이브로 통신모듈, 와이파이 통신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에는 인증부(1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증부(141)는 휴대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위한 것으로서, 아이디/패스워드 기반의 인증방법,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인증방법, 통신망(20)을 통해 획득된 인증코드나 번호를 이용하는 인증방법 중 하나를 통해 사용자 즉, 위험상황을 발견하고 촬영하여 송신(신고)하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촬영하여 처리된 처리데이터(300)를 전송(신고, 접수)하고자 할 때, 인증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통합 관리센터(200)로 보내어 사용자(신고자)를 인정한다. 인증이 성공한 사용자(신고자)는 처리데이터(300)를 통합 관리센터(200)로 전송하여 신고(접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분별한 사고신고 및 허위신고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정말 중요한 위험상황들에 대해서만 신고처리를 하도록 하여 열차의 안전운행을 통제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접수, 출동, 확인 등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단말기(100)에서 획득되어 처리된 처리데이터(300) 즉, 열차의 안전운행에 위험이 되는 위험상황(정보)은 통신망(20)을 통해 원격의 통합관리센터(200)로 전송되어 신고 및 접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통합관리센터(200)는 무선통신부(210)와, 모니터(220)와, 입력부(230)와, 스피커(240) 및 통합 관리서버(250)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통신부(210)는 통신망(2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 가능하며, 그 통신망(20)을 통해 기지국과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CDMA 모듈, DMB와 같은 방송수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와이브로 통신모듈, 와이파이 통신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220)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전송되는 처리데이터(300) 즉, 신고 접수된 위험상황을 보여줌으로써, 관리센터의 관리자가 위험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모니터(220)를 통해, 위험상황을 촬영한 영상 프레임(310)과, 신고 및 접수시간, 촬영시간, 전송시간, 신고자 정보 등이 표시되며, 방향정보도 함께 표시된다. 따라서 관리센터(200)에서는 열차 운행 지역의 전 구간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신고 및 접수되는 위험상황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팝업창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이 좋다.
상기 입력부(230)는 관리센터(200)의 관리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입력부(230)를 통해서 지시명령이 하달될 수도 있고, 기타 필요한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입력부(230)는 키보드, 터치패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40)는 영상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음성데이터 또는 경고메시지 등을 오디오 신호 즉, 음성신호 또는 비상음 등으로 출력한다. 또한 스피커(240)를 통해 위험상황의 신고, 접수, 명령 하달 등에 대한 메시지가 음성신호로도 출력됨으로써, 관리센터(200)의 관리자가 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합 관리서버(250)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신고된 위험발생 정보를 접수하고, 이를 저장 및 처리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관리서버(250)는 경고신호 발생부(251), 접수/처리부(252), 데이터 저장부(253) 및 메인 제어부(254)를 구비한다.
상기 경고신호 발생부(251)는 무선통신부(210)로부터 위험상황 신고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경고신호를 발생시켜서 모니터(220) 및 스피커(240)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경고신호 발생부(251)는 통신망(20)을 통해 위험상황 발생장소를 경유할 열차 운전사, 위험장소 관리소, 관리자 등으로 보낼 경고메시지를 발생시킴으로써, 위험상황 신고 및 접수와 동시에 이에 대한 경고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수/처리부(252)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위험상황 신고정보를 전달받아 접수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접수/처리부(252)는 신고된 위험상황에 대한 처리데이터를 접수하고, 처리하여 메인 제어부(254)로 제공하고, 메인 제어부(254)에서는 접수 및 처리된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4)에 저장한다. 따라서, 신고되는 위험상황별로 접수 및 처리하여 신고된 위험상황이 누락되지 않도록 하고, 후속조치는 메인 제어부(254)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후속조치가 이루어졌는지 추후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개인의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획득되어 처리된 처리데이터(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상황이 발생한 지점을 촬영한 영상(310)을 포함하여 위치정보(320), 시간정보(330) 및 방향정보(340)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처리데이터(300)를 전송하여 통합 관리센터(200)에 신고, 접수되면, 통합 관리센터(200)에서는 처리데이터(300)를 통해서 위험상황이 발생한 지점 즉, 장애물(13)이 발견된 선로(11)가 하행선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위험상황은 일정 크기의 장애물(13)이 하행선 선로(11) 상에 떨어진 것임을 구체적이고도 명확하게 구분 및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휴대단말기(100)로 촬영되어 처리된 처리데이터(300)를 통신망(20)을 통해 통합 관리센터(2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간단한 동작에 의해 위험상황 발생신고 및 접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합 관리센터(200)에서는 신고 및 접수된 처리데이터(300)를 분석하여 위험상황 발생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신속하게 위험 상황에 대해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험상황이 발생한 지점이 하행선(11) 임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오차, 방향 오차 등으로 인하여 인접한 선로(12) 등이 위험상황 발생지점으로 잘못 인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2차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열차 운행 안전관리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0)를 소지한 일반 사용자, 또는 철도관련 관리자는 열차 운행과 관련된 시설물 예를 들어 철로(10) 주변에서 위험상황을 발견하고, 이를 휴대단말기(100)의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촬영하게 된다(S10).
그러면, 휴대단말기(100)에서는 카메라(111)를 통해 획득된 촬영 영상을 처리하여 도 3과 같은 처리데이터(300)를 생성한다(S11).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상(310)에 대하여 위치정보(320), 시간정보(330) 및 방향정보(340)가 매칭되도록 처리된 처리데이터(300)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휴대단말기(100) 사용자는 처리된 처리데이터(300)를 통신망(20)을 통해서 통합 관리센터(200)로 전송한다(S12). 즉,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전화연결 또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통합 관리센터(200)로 처리데이터(300)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통합 관리센터(200)에서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처리데이터(300)를 통해서 위험상황 발생신고를 신고 및 접수한다(S13). 즉, 통신망(20)을 통해 통합 관리센터(200)로 위험상황이 전달됨으로써, 자동으로 위험상황의 신고 및 접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통합 관리센터(200)의 통합 관리서버(250)에서는 신고/접수된 처리데이터(300)를 근거로 하여 위험상황을 판단하고, 위험상황이 발생된 지점에 관련된 관련자들에게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전송한다(S14). 즉, 상기 단계(S14)에서는 위험상황이 발생된 지점과 관련된 주요 관련자들 예를 들어, 해당 지역 관리자, 책임자, 열차 기관사 등의 관련자들에게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험상황 발생정보가 신고와 동시에 접수되고, 접수 후에 위험상황 정보가 판단 및 처리되어 신속하여 관련자들에게 전달됨으로써, 관련자들은 위험상황에 대한 정보를 즉시 인지하여 위험상황을 확인 및 후속조치를 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2차적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촬영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위험상황에 대한 데이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처리데이터(300)가 통신망(20)을 통해 통합 관리센터(200)에 신고됨과 동시에 접수 및 처리됨으로써, 위험상황 발생 신고 및 접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위험상황에 대한 신고 및 접수 및 처리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위험상황의 종류 및 정확한 위치(상행선, 하행선 구분한 위치 등)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위치 오차 등으로 인한 제2차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철로 20..통신망
100..휴대단말기 110..A/V 입력부
111..카메라 112..마이크
120..GPS 수신부 130..자이로센서
140..제어부 150..전원공급부
160..무선통신부 170..출력부
180..저장부 200..통합관리센터
210..무선통신부 220..모니터
230..입력부 240..스피커
250..통합관리서버

Claims (6)

  1. 열차 운행에 위험이 되는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위치정보와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매칭시켜 처리한 처리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 가능한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처리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처리데이터를 근거로 열차 운행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을 신고 및 접수 처리하고, 신고 및 접수된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및 열차 기관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통합 관리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 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열차 운행에 위험이 되는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매칭시켜 처리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처리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합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 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와이브로, 와이파이, 및 CDMA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무선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 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 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상기 GPS 수신부 및 자이로센서에서 획득된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를 매칭시켜 처리한 처리데이터를 표시하고, 표시된 처리데이터를 실행하기 위한 선택항목의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선택항목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응되는 실행신호를 판단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 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센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처리데이터를 보여주는 모니터와;
    상기 처리데이터의 수신을 통해 위험상황 신고 및 접수 처리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관리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열차 운행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접수, 저장 및 처리하여 관리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 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00040206A 2010-03-19 2010-04-29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KR101059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35 2010-03-19
KR20100024835 2010-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195B1 true KR101059195B1 (ko) 2011-08-25

Family

ID=4493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206A KR101059195B1 (ko) 2010-03-19 2010-04-29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150B1 (ko) 2011-08-31 2013-09-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멀티미디어부를 이용한 철도차량 또는 선로에 대한 점검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점검방법
JP2020142745A (ja) * 2019-03-08 2020-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列車運転制御装置および列車運転制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17B1 (ko) 2007-08-06 2008-02-12 (주)한일에스티엠 차량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17B1 (ko) 2007-08-06 2008-02-12 (주)한일에스티엠 차량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150B1 (ko) 2011-08-31 2013-09-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멀티미디어부를 이용한 철도차량 또는 선로에 대한 점검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점검방법
JP2020142745A (ja) * 2019-03-08 2020-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列車運転制御装置および列車運転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133B1 (ko) 재난구조로봇을 이용한 재난구조시스템
JP6750998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108100791A (zh) 电梯***
US1039747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location information adding method
CN103632561B (zh) 智能公交车站牌
US10846954B2 (en)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nd monitoring apparatus
JP201711699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90090464A (ko) 차량용 블랙박스와 연동된 사고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30172B1 (ko) 교통사고처리 방법
CN103955968A (zh) 基于安卓平台的复合式安防考勤装置及***
KR101059195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US6983157B2 (en) Automatic report control system for reporting arrival at destination or passing point
KR101382220B1 (ko) 사고 및 위험 방지 시스템
JP2001076289A (ja) 移動者安全確認装置および携帯端末
KR101680746B1 (ko) 씨씨티브이 시스템
CN110543928A (zh) 检测无轨胶轮车载人人数的方法及装置
US11040699B2 (en) Security system
KR20160071024A (ko) 영상데이터 전송기능을 갖춘 차량용 블랙박스
KR101132205B1 (ko)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열차 검수 및 철도운영 안전관리 시스템
KR20120056631A (ko) 차량간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375724B1 (ko) 긴급구조 자동요청기능이 구비된 스마트장비 및 그 제어방법
CN207665223U (zh) 安卓智能手机触屏求救***
JP2000137835A (ja) 機器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無線機器
JP2016133963A (ja) 通信型ドライブレコーダ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3274050A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