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731B1 -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731B1
KR101053731B1 KR1020080103917A KR20080103917A KR101053731B1 KR 101053731 B1 KR101053731 B1 KR 101053731B1 KR 1020080103917 A KR1020080103917 A KR 1020080103917A KR 20080103917 A KR20080103917 A KR 20080103917A KR 101053731 B1 KR101053731 B1 KR 10105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ratio
coating
shellac
ent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057A (ko
Inventor
안정국
이문성
안원술
Original Assignee
이문성
안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성, 안정국 filed Critical 이문성
Priority to KR102008010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7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2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명칭]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구성]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의 비율이 중량비로 32.0g : 68.0g이 되도록 혼합한 분말 100g(Ⅰ)과,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40.0g : 60.0g ∼ 60.0g : 40.0g이 되도록 혼합한 물질(Ⅱ)과, 수용성의 바인더 물질 10.0g(Ⅲ),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등의 스테아레이트(Stearate)계 식용 윤활제 0.5∼2.0g(Ⅳ)을 각각 준비한 다음, 상기 (Ⅰ),(Ⅱ),(Ⅲ),(Ⅳ)의 물질을 교반기로 투입하여 상온에서 30분 이상 혼합함과 아울러 이어서 직경 2∼10mm 크기의 고형 환을 만든 후,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95.0g : 5.0g이 되도록 혼합한 베이스 수지를 고형물 농도 20∼40 중량%가 되도록 에탄올에 용해시켜 만든 코팅제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상기 고형 환에 피막 처리하고 건조시켜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코자 하는 과제]
종래의 장세척제와 달리 장세척제가 위장부터가 아닌 소장에서부터 용해되기 때문에 위장에서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구 투여가 용이함과 아울러 장세척제의 투여량을 줄일 수 있으며, 물에 완전히 용해되어 배출됨으로서 장의 벽에 잔존물이 없도록 하는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발명
장세척제, 용해시간, 인산일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쉘락, PG

Description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The Product Method for Intestines Detergent Material}
본 발명은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대장내시경을 위한 장세척에 사용되는 인산나트륨 조성물 및 이를 경구용으로 사용하기 쉽도록 환의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정 비율로 혼합된 인산일나트륨 (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 분말에 식용 가능한 천연물 접착제를 혼합하여 환 형태의 알갱이로 제조하여 경구용으로 투입이 쉽도록 하고, 은은한 약 향기에 의해 경구 투입 시 거부감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투입된 환은 위장이 아닌 소장에서부터 용해되도록 한 것이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환의 형태로 만든 후 후술하는 코팅물질 코팅시키거나 코팅물질을 캡슐로 만들고 캡슐 안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환으로 만들어서 삽입시킨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장세척제와는 달리 위장에서의 거부반응을 최소화하고, 또한 비교적 소량의 경구 투입량에 의하여 장부(소장, 대장)의 세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경구용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구용 장세척제 물질로서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솔린-액 오랄[(주)한국파마)]은 인산일나트륨 (NaH2PO4)과 인산이나트륨 (Na2HPO4)의 혼합물을 물에 녹인 용액에 미량의 향료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인데, 인산일나트륨은 물에 녹아 산성을 띠고 인산이나트륨은 물에 녹아 염기성을 띠게 되므로 이 두 약품의 조성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장에 부담이 없는 적정 산도의 액상으로 만들어 조성하게 된다. 인산염 용액은 장에서 삼투현상을 유발하여 많은 양의 물을 장으로부터 흡수하게 되므로 장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액상의 경구 투입용 세척제의 가장 큰 단점은 환자가 입안에서 느끼는 고약한 맛과 향취이다. 특히 비위가 약한 어린이나 여성의 경우 거의 투약이 불가능할 정도로 역겨움이나 구토를 느끼는 수가 많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대장내시경을 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또 다른 하나의 단점은, 액상제재는 투입 후 위(胃)에서 바로 약리작용이 시작되기 때문에 위장이 약한 사람들은 구토나 메스꺼움 증세 이외에도 복부의 팽만감이나 고통 등의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다.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근 미국 등지에서는 액상의 장세척제를 타블릿 형태로 만들어 상품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이를 병원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상기 서술한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의 혼합물에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 이하 MC로 표기함) 등의 결합물질(binder)과 기타 가공조제를 사용하여 개 당 무게가 약 1.7g 정도되 는 타블릿 형태로 제조한 것이다.
현재 미국 등지에서는 Visicol™이나 Osmoprep™ 등의 이름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한 번 대장내시경을 하기 위해서는 검사 전날 20개를 투여하고, 검사 당일에 다시 12개를 일정한 시간 차이(예 : 30분 내지 1시간 간격)를 두고 나누어 복용해야 한다. 한편, 이렇게 만들어진 현재의 타블릿 타입 장세척제는 액상의 장세척제에 비하여 보관이나 투여하기가 쉬운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위장에서부터 녹아서 작용하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고, 한국인의 경우 체형적으로 경구 투여를 하기에는 타블릿의 모양이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또한, 바인더로 사용되는 상술한 MC는 결정성 물질로서 체내에서 단 시간 안에 완전히 용해되어 제거되지 않고 장의 벽에 잔존하여 검사 시 오진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US P 20050129781 참조).
따라서 상기의 여러 단점들을 극복함과 동시에 경구 투여가 용이하고 상술한 부작용이 최소화 되며 비교적 적은 량의 장세척제로서 효과적으로 장을 세척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장세척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장내시경을 위한 장세척을 위하여 경구 투여가 쉽고 소장에서부터 용해되기 때문에 위장에서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달리 장세척제의 투여량을 줄일 수 있으며, 물에 완전히 용해되어 배출됨으로서 장의 벽에 잔존물이 없도록 하여 대장 내시경 관찰 시의 오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함이 그 과제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 조성예]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의 비율이 중량비로 32.0g : 68.0g이 되도록 혼합한 분말 100g(Ⅰ)과,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40.0g : 60.0g ∼ 60.0g : 40.0g이 되도록 혼합한 물질(Ⅱ)과, 수용성의 바인더 물질 10.0g(Ⅲ), 스테아레이트(Stearate)계 식용 윤활제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0.5∼2.0g(Ⅳ)을 각각 준비한 다음, 상기 (Ⅰ),(Ⅱ),(Ⅲ),(Ⅳ)의 물질을 교반기로 투입하여 상온에서 30분 이상 혼합함과 아울러 이어서 직경 2∼10mm 크기의 고형 환을 만든 후,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95.0g : 5.0g이 되도록 혼합한 베이스 수지를 고형물 농도 20∼40 중량%가 되도록 에탄올에 용해시켜 만든 코팅제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상기 고형 환에 피막 처리하고 건조시켜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조성예]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의 비율이 중량비로 32.0g : 68.0g이 되도록 혼합한 분말 100g(Ⅰ)과,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40.0g : 60.0g ∼ 60.0g : 40.0g이 되도록 혼합한 물질(Ⅱ)과, 수용성의 바인더 물질 10.0g(Ⅲ), 스테아레이트(Stearate)계 식용 윤활제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0.5∼2.0g(Ⅳ)을 각각 준비한 다음, 상기 (Ⅰ),(Ⅱ),(Ⅲ),(Ⅳ)의 물질을 교반기로 투입하여 상온에서 30분 이상 혼합함과 아울러 이어서 직경 2mm 이하 크기의 고형 환을 만든 후,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95.0g : 5.0g이 되도록 혼합한 베이스 수지를 고형물 농도 20∼40 중량%가 되도록 에탄올에 용해시켜 만든 코팅제를 사용하여 통상의 크기로 만든 캡슐 안으로 상기 고형 환을 충진시켜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제1, 2조성예에 있어서, 코팅제의 베이스 수지에는, 비반응성 식용가소제 및 식용윤활제를 하나 또는 중복되게 첨가하되, 식용향신료로 사용되는 레몬향 또는 사과향을 상기 베이스 수지 100g에 대한 중량비로 0.01∼0.1g, 식용 윤활제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g에 대한 중량비로 1.0∼5.0g의 범위내로 투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제1 조성예에 있어서, 고형 환에 코팅되는 코팅제 농도를 서로 달리하여 코팅함으로서 코팅제 농도별로 용해시간이 서로 달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2 조성예에 있어서, 고형 환을 수용하는 캡슐의 재료인 상기 코팅제의 농도를 서로 달리하여 제조함으로서 캡슐별로 용해시간이 서로 달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재의 의약품 제조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개발되어 있는 몇 가지 기술적인 방법을 도입하여 경구 투여가 보다 용이한 환 형태의 고체 알갱이로 제조할 수 있도록 세척작용제와 바인더의 조성비를 조절하고 또한 투여된 세척제의 실질적인 작용이 위장이 아닌 소장 이후에서부터 일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바인더 물질도 완전히 물에 녹아 체적 팽창에 의한 장세척 작용을 보조하며 최종적으로는 장 내 잔류물 없이 완전히 배출되어 피시술자의 신체적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대장내시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고형 환 형태 또는 통상의 크기의 카블릿 형태의 새로운 장세척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인더 및 코팅제에 사용된 재료는 수용성의 유기물이지만 장의 소화작용에 의해 소화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음식물과 같이 소화에 의한 장에서의 가스 발생을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장세척제는 대장내시경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장세척에 사용되는 인산나트륨 조성물 및 이를 경구용으로 사용하기 쉽도록 고형 환 또는 타블릿의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정 비율로 혼합된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 분말을 식용 가능한 천연물 수지를 사용하여 캡슐화 하거나, 수용성 천연물 수지 바인더를 혼합하여 환 형태의 알갱이로 제조하여 경구용으로 투입이 쉽도록 하고, 투입된 조성물은 위장이 아닌 장부에서부터 용해되도록 코팅제의 농도를 각기 달리 하며, 첨가된 향신료에 의한 기분 좋은 향기에 의해 경구 투입 시 거부감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위장에서의 거부반응을 최소화하고, 또한 비교적 소량의 경구 투입량에 의하여 장부의 세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적정 비율로 혼합된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 분말에 식용 가능한 수용성 바인더 및 코팅제를 사용하여 한국인의 경구투여 습관이나 방식에 가장 알맞도록 크기와 모양 및 용해시간을 조절 가능하도록 캡슐이나 코팅된 고형 환 형태로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의 바인더로는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칠렌글리콜(PEG), Microcrystalline Cellulose(MC) 또는 천연물 접착제인 쉘락(shellac)을 프로필렌글리콜(PG) 가소제로 적절하게 가소화한 혼합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쉘락과 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 수지는 혼합 조성에 따라 분말의 바인더 또는 제조된 고형 환의 코팅제로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바인더를 사용하여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 분말을 원하는 크기와 모양의 형태로 캡슐 형태로 만들거나 고형 환 형태로 제조함으로서 거부감 없이 경구투입이 용이하고 또한 용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캡슐화 하거나 환의 외부를 코팅처리 함으로서, 경구 투여 이후에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부터 용해되어 세척제가 실제로 대장내시경에 필요한 소장 이후에서부터 세척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 것이다.
상술한 쉘락과 같은 식용 가능한 천연물 수지는 레몬향이나 사과 향과 같은 은은한 향기가 날 수 있도록 처리하여 경구 투여 시 거부감을 최소화 시키는 동시에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식용 가능한 가소제와는 전 농도 범위에 걸쳐 상용성이 있으므로 조성비를 조절함에 따라 바인더 및 코팅제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코팅하는 두께를 조절하면 일정한 시간 차이를 두고 투여하더라도 투여된 세척제가 위장이 아닌 장부에서부터 용해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용해된 수지는 물에 용해되는 과정에서 많은 량의 물을 흡수하여 용해되며 장의 소화작용에 무관하므로 가스 등의 부산물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증량효과에 의한 장세척 작용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 혼합분말의 조성]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은 물에 녹을 경우 각각 염기성과 산성의 용액이 되므로 이의 비율을 조절하여 인체 내에서 녹을 경우 중성의 용액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 혼합분말의 조성은 각각 인산일나트륨과 인산이나트륨 비율이 중량비로 32.0g : 68.0g이 되도록 혼합하여 물에 녹였을 때 중성용액이 될 수 있도록 만든다.
이와 같은 인산일나트륨과 인산이나트륨 혼합 재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대장내시경을 위한 장세척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인산일나트륨과 인산이나트륨의 혼합 비율은 물에 녹아 PH 7.0 부근의 중성 수용액이 되도록 중량비로 조절하고 또한 고형 환으로 만들기 위하여 분말 형태로 혼합되어 사용된다.
[바인딩 재료]
이는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 혼합분말을 환 형태의 고형물 알갱이로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인더 화합물이다. 바인더 재료로서 본 발명에 필요한 물리적·화학적으로 가져야 되는 특성으로는 인체에 무해하며 물에 완전히 용해될 수 있는 수용성이어야 하고, 장(위장, 소장, 대장)에서 소화 또는 인체에 흡수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장에서 가스 등의 부산물을 발생시키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특성을 갖는 수용성 화합물은 폴리비닐알콜(PVA),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 폴리에칠렌글리콜(PEG)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대표적이며, 이들 중에서 상술한 Visicol® 등에 바인더로 사용된 MC는 시중에 분말 형태로 정제되어 판매되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 인산일나트륨과 인산이나트륨의 혼합분말 100g당 중량비로 14.0∼16.0g이 사용되고 여기에 가공조제로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0.16∼2.0g 및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e Dioxide) 현탁액이 0.5∼0.7g 첨가되어 사용된다. 상기 첨가되는 가공조제는 고형 환 제조 시의 작업성을 위한 점도 조절, 윤활 및 분산제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MC는 물리적으로 미소한 형태의 결정성 물질이므로 장을 통과하는 동안 소화용액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장 내에 잔류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정확한 대장내시경을 하기 위하여서는 장 내의 MC 잔류물을 제거해야하는 추가작업을 해야 하고 이로 인한 검사시간의 지연과 환자의 불편함을 증가시키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게 되었다.
그리고 PEG도 물에 매우 용이하게 녹는 수용성의 바인더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데 분자량이 약 1,000 이상이 되면 상온에서 고체 형태이므로 상기의 인산일나트륨과 인산이나트륨의 혼합분말의 바인더로 사용하여 고체 형상의 타블릿 형태로 만들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특허출원 제 2005-0129781호에도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PEG의 본래적인 물성으로 인하여 만들어진 타블릿의 외 형이 밀랍같이 왁시(waxy)한 모양이며, 또한 경구 투여 즉시 입안이나 위장에서부터 녹기 시작하므로 경구 투여가 용이한 특성 이외에는 역한 맛 등으로 인한 경구투여에 대한 거부감이나 경구 투여 후부터 위장에서의 부작용에 의한 환자의 불편현상은 제거되지 않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쉘락(shellac) 천연고분자 화합물은 천연의 Lac곤충의 분비물로부터 추출하여 정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인체에 전혀 무해하고 미국 FDA에서도 승인한 식품 코팅용 천연의 접착 바인더 재료이다(CAS 9000-59-3).
현재에는 일반적인 초콜릿이나 사탕, 자일리톨 껌 등의 식용식품의 코팅피막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약용으로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는 알콜류에 용액형으로 만든 쉘락 바니쉬의 천연물 수지 형태로서 락카(lacquer) 등의 대용으로 도막형성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제약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코팅 두께를 조절하여 약용성분의 인체 흡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쉘락 자체는 녹는 온도가 약 75℃이므로 상온에서는 물에 용이하게 녹지 않는 천연고분자 수지이지만 80℃ 정도의 온도에서는 물100g 당 중량비로 10.0g 정도의 탄소수소나트륨(NaHCO3)과 중량비로 30.0∼40.0g 정도의 쉘락을 녹이면 사용하기에 매우 용이한 바인더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쉘락은 프로필렌글리콜(PG, CH3CHOHCH2OH)과 같은 수용성의 알코올과는 전 농도 범위에 걸쳐 상용성이 있으므로 쉘락과 PG의 혼합물로 만든 바인더 재료에서 조성비를 조절함에 따라서 물이 필요없는 바인더 재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물을 사용하는 바인더 재료의 경우 상기의 인산일나트륨과 인산이나트륨의 혼합분말 자체가 수용성이기 때문에 고형 환 제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쉘락과 PG의 혼합물에 의한 무수 바인더 재료를 예로서 제안한다. 즉, 95℃ 정도의 온도에서 PG 100g 당 중량비로 쉘락 100.0∼200.0g을 혼합하여 녹인 후에 상온에서 냉각시키면 사용하기에 용이한 바인더 재료를 만들 수 있다.
[코팅 재료]
상기의 MC나 PEG 등의 바인더 재료를 사용하여 타블릿식으로 만들어지는 Visicol® 등의 장세척제는 경구투여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지만 여전히 불유쾌한 냄새와 맛, 동양인의 환 복용관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타블릿의 치수, 입안에서부터 녹기 시작함으로 인한 환자의 부작용에 대한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형 환으로 만들거나 캡슐화 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팅용 피막재료로서 필요한 특징으로는 약제가 경구 투여된 이후에 위장에서 소장으로 이동되는 정도의 일정시간이 지날 때까지는 물(구체적으로 위장의 소화액을 구성하는 장내 액체)에 녹지 않아야 하며, 소장으로 이동한 이후에 녹아서 그 때부터 약제의 세척작용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하는 지연된 용해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는 당연히 인체에 무해해야 하며 또한 인체 소화액에 의해 소화 흡수가 일어나거나 가스를 발생시키는 부작용이 있어서도 안 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지연성 용해 특징을 가지는 캡슐화 재료 또는 코팅재료를 사용하는 의약품으로서는 감기약으로 시판되고 있는 콘택 600 등에서 찾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듯이 캡슐화 된 장세척제 또는 쉘락과 PG의 혼합물과 같은 수용성의 수지에 의한 기능성 코팅 피막재료를 사용하여 코팅처리 된 대장내시경용 장세척제는 찾아볼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코팅용 피막재료의 예로서는 상기의 인산일나트륨과 인산이나트륨의 혼합분말의 고형 환 제조 시 바인더 및 코팅 재료로 사용되는 쉘락&PG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쉘락&PG의 혼합물과 같은 수지재료의 가장 큰 장점은 PG의 조성비에 따라 점도나 물에 용해되는 시간을 원하는 데로 조절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또 다른 장점으로서, 코팅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피막의 두께를 조절함에 따라서 물에 녹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수분이 없이 완전히 건조된 쉘락 피막은 매우 깨지기 쉬운 성질(brittle)을 나타내지만 PG와 같은 가소제가 혼입되거나 수분이 약간 있는 경우 말랑말랑한 연질 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코팅처리 된 알약들을 운반 등의 처리과정에서 피막이 깨어져 불량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쉘락&PG의 혼합물은 그 조성비에 따라 인산일나트륨과 인산이나트륨의 혼합분말의 용해시간 조절형 고형 환 제조에 필요한 바인더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환 알갱이의 코팅피막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바인더 재료와 코팅재료의 원료를 따로 선정하여 구입하고 시험해야하는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이나 시험에 대한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상기의 쉘락&PG 혼합물에 식용 레몬 등과 같은 향신료는 쉘락&PG 혼합물 100g당 중량비로 약 0.1g 정도로 미리 혼합하여 사용하면 기분 좋은 향으로 인한 상쾌한 느낌으로 경구 투여에 대한 거부감을 크게 경감할 수 있다.
[고형 환 제조 및 코팅]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고형 환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의약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들이 그대로 준용될 수 있다. 고체 알갱이 형태의 환으로 만드는 제조공정은 시판되는 정로환을 만드는 공법을 그대로 준용할 수 있고 캡슐화 하는 공정이나 코팅 피막 처리는 콘택 600의 캡슐화 제조 공정과 피막처리 공정을 그대로 준용할 수 있으며, 캡슐의 크기도 통상의 크기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고형 환 제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 비율이 중량비로 32.0g : 68.0g이 되도록 혼합한 분말 100g에 대하여,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60.0g : 40.0g이 되도록 혼합한 바인더 물질 10.0g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1.0g을 혼합하여, 일반적인 고체 알갱이 형태의 의약품 제조에서 사용되는 제조공정에 따라 경구투여가 용이한 직경 2∼10mm(바람직하게는 약 5mm 크기) 크기의 장세척제 고형물 알갱이를 만든 다음,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95.0g : 5.0g이 되도록 혼합한 베이스 수지를 고형물 농도 20중량%가 되도록 에탄올(Ethanol, C2H5OH)에 용해시킨 코팅제(후술하는 코팅제-01)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피막처리 하여 건조시킨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고형 환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환 알갱이를 36℃의 미지근한 물에 넣고 천천히 교반하면서 알갱이가 물에 녹아 분산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표 1에는 중량%로 나타낸 세척제 전해질의 혼합비, 쉘락과 PG의 혼합 바인더 물질, 코팅제의 혼합비와 이들의 전체 혼합물에서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표 2에는 표 1에서의 조성비로 만들어지는 고형 환의 코팅 처리를 위한 수용성 쉘락&PG의 혼합 코팅제에 대한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표 1. 고형 환 알갱이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 및 조성비 예
Figure 112010504014650-pat00008
표 2. 표 1에서의 전체 조성비를 가진 고형 환의 코팅 처리를 위한 조성물 및 조성비 예
Figure 112010504014650-pat00009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된 장세척제 고형물 알갱이를 만든 다음에 상기 방법으로 미리 준비된 쉘락&PG의 농도가 30중량%가 되도록 제조한 상기 코팅제-02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피막처리 하여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고형 환을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물에 녹기 시작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된 장세척제 고형물 알갱이를 만든 다음에 상기 방법으로 미리 준비된 쉘락&PG의 농도가 40중량%가 되도록 제조한 상기 코팅제-03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피막처리 하여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고형 환을 제조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물에 녹기 시작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미국 등지에서 시판되고 있는 타블릿 형태의 장세척제를 구입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에서 물에 녹기 시작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3과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실험 결과치를 살펴보면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다.
[표 1] 코팅처리 된 용해시간 조절형 고형 환 장세척제의 수용성 비교
Figure 112010504014650-pat000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코팅처리가 되지 않은 타블릿은 물에 접촉하기 시작하면서 곧바로 녹기 시작하여 30분 정도 경과하면 거의 반 이상이 녹게 되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한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고형 환)는 코팅처리 방법에 따라 물에 녹는 시간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즉, 물에 녹는 시간은 코팅제의 농도를 조절하거나 코팅횟수를 조절하면 가능한데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제-01의 경우 1회 코팅 시에 약 10 ㎛의 코팅 두께가 생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참고로 제시한 아래의 실험사진 1(실험사진 2, 실험사진 3도 동일하게 참고용으로 제시됨)에서는 코팅 전후의 타블릿 형상을 보여준다.
코팅된 타블릿은 광택이 나는 매끄러운 외양을 가진다. 또한 사진 2에서는 코팅제-01을 사용하여 0회, 1회, 2회, 3회, 4회 코팅된 타블릿을 사용하여 36℃의 물속에서 30분이 경과 된 후의 변형된 타블릿 형상을 보여 준다. 이를 살피면 코팅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물에 녹는 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을 뚜렷이 관찰할 수 있다. 사진 3에서는 코팅제-01을 3회 코팅한 것과 코팅하지 않은 것이 거의 같은 정도로 녹는데 걸리는 시간을 보여 주고 있다. 즉, 코팅한 한 경우에는 거의 2시간이 경과해야 코팅하지 않은 것과 같은 정도로 녹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코팅제의 농도 또는 코팅 횟수에 의하여 녹는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는 종래의 액상 장세척제나 타블릿 형태의 장세척제에 비하여 경구투여 방법 및 효과 면에서 상대적으로 보다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분 좋은 향을 가진 작은 환 형태의 고체 알갱이로서 경구 투여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거부감이 적으므로 투여하기가 매우 용이하고 또한 피막처리에 의하여 물에 녹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서 세척제가 위장을 경과한 이후에서만 용해되어 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위장에서의 거부감을 최소화하여 메스꺼움, 구토, 개스 발생 등의 환자들이 가지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8505270696-pat00007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장세척제 조성물은, 대장내시경을 위한 장세척을 위하여 경구 투여가 쉽고 소장에서부터 용해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장세척제의 투여량을 줄일 수 있을 있을 뿐만 아니라 부작용 또한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물에 완전히 용해되어 배출됨으로서 장의 벽에 잔존물이 없도록 하여 대장 내시경 관찰 시의 오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함께 향기로운 향기에 의해 환자 들의 경구 투여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특히 인체에 무해한 천연수지를 사용하여 고형 환에 피막처리(코팅)를 행하여 용해시간을 조절함으로서 장세척제가 위장 이후에서만 용해되면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거부감이나 부작용이 없이 보다 효과적인 세척작용 및 환자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통한 안전하고 정확한 내시경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의 비율이 중량비로 32.0g : 68.0g이 되도록 혼합한 분말 100g(Ⅰ)과,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40.0g : 60.0g ∼ 60.0g : 40.0g이 되도록 혼합한 물질(Ⅱ)과, 수용성의 바인더 물질 10.0g(Ⅲ), 스테아레이트(Stearate)계 식용 윤활제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0.5∼2.0g(Ⅳ)을 각각 준비한 다음, 상기 (Ⅰ),(Ⅱ),(Ⅲ),(Ⅳ)의 물질을 교반기로 투입하여 상온에서 30분 이상 혼합함과 아울러 이어서 직경 2∼10mm 크기의 고형 환을 만든 후,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95.0g : 5.0g이 되도록 혼합한 베이스 수지를 고형물 농도 20∼40 중량%가 되도록 에탄올에 용해시켜 만든 코팅제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상기 고형 환에 피막 처리하고 건조시켜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인산일나트륨(NaH2PO4)과 인산이나트륨(Na2HPO4)의 비율이 중량비로 32.0g : 68.0g이 되도록 혼합한 분말 100g(Ⅰ)과,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40.0g : 60.0g ∼ 60.0g : 40.0g이 되도록 혼합한 물질(Ⅱ)과, 수용성의 바인더 물질 10.0g(Ⅲ), 스테아레이트(Stearate)계 식용 윤활제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0.5∼2.0g(Ⅳ)을 각각 준비한 다음, 상기 (Ⅰ),(Ⅱ),(Ⅲ),(Ⅳ)의 물질을 교반기로 투입하여 상온에서 30분 이상 혼합함과 아울러 이어서 직경 2mm 이하 크기의 고형 환을 만든 후, 쉘락과 PG의 비율이 중량비로 95.0g : 5.0g이 되도록 혼합한 베이스 수지를 고형물 농도 20∼40 중량%가 되도록 에탄올에 용해시켜 만든 코팅제를 사용하여 통상의 크기로 만든 캡슐 안으로 상기 고형 환을 충진시켜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코팅제의 베이스 수지에는, 비반응성 식용가소제 및 식용윤활제를 하나 또는 중복되게 첨가하되, 식용향신료로 사용되는 레몬향 또는 사과향을 상기 베이스 수지 100g에 대한 중량비로 0.01∼0.1g, 식용 윤활제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g에 대한 중량비로 1.0∼5.0g의 범위내로 투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고형 환에 코팅되는 코팅제 농도를 서로 달리하여 코팅함으로서 코팅제 농도별로 용해시간이 서로 달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고형 환을 수용하는 캡슐의 재료인 상기 코팅제의 농도를 서로 달리하여 제조함으로서 캡슐별로 용해시간이 서로 달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80103917A 2008-10-21 2008-10-21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5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17A KR101053731B1 (ko) 2008-10-21 2008-10-21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17A KR101053731B1 (ko) 2008-10-21 2008-10-21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57A KR20100044057A (ko) 2010-04-29
KR101053731B1 true KR101053731B1 (ko) 2011-08-02

Family

ID=4221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917A KR101053731B1 (ko) 2008-10-21 2008-10-21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7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8425A (en) 1995-03-17 1996-03-12 Block Drug Company, Inc. Phosphosoda buffered saline laxative
US5997906A (en) 1996-11-13 1999-12-07 C.B. Fleet Company, Inc. Coated sodium phosphate bowel cleanser
KR20010075395A (ko) * 1998-09-28 2001-08-09 로즈 암스트롱, 크리스틴 에이. 트러트웨인 Hpmc 캡슐을 이용한 장 및 결장에의 전달방법
KR20060114342A (ko) * 2003-11-19 2006-11-06 샐릭스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용해성 결합제를 포함하는 대장 하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8425A (en) 1995-03-17 1996-03-12 Block Drug Company, Inc. Phosphosoda buffered saline laxative
US5997906A (en) 1996-11-13 1999-12-07 C.B. Fleet Company, Inc. Coated sodium phosphate bowel cleanser
KR20010075395A (ko) * 1998-09-28 2001-08-09 로즈 암스트롱, 크리스틴 에이. 트러트웨인 Hpmc 캡슐을 이용한 장 및 결장에의 전달방법
KR20060114342A (ko) * 2003-11-19 2006-11-06 샐릭스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용해성 결합제를 포함하는 대장 하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57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563B1 (ko) 대장 붕괴성 경질 캡슐
KR0164863B1 (ko) 약제학적 제형
HU230771B1 (hu) Késleltetett leadású vitaminkészítmény
WO2006127044A2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useful for inhibiting acid secretion
JP2024517401A (ja) 担持されたニコチン組成物
JP2018515520A (ja) ボルチオキセチンピログルタミン酸塩
TW202308599A (zh) 軟膠囊
EP2968174B1 (en) Dual use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tablets of sulfate salt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0441179B1 (ko) 디클로페낙계제약학적조성물
JP3261331B2 (ja) 咀嚼用ソフトカプセル剤
JPS5982311A (ja) セフアレキシン持効性製剤
KR101053731B1 (ko) 용해시간 조절형 장세척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0241760A (ja) 不快な味の軽減された口腔内速崩壊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138767A1 (en) Hydroxycitric acid compounds and capsule liquid delivery
JP6262490B2 (ja) 口腔内速崩壊性錠剤用組成物
KR101383430B1 (ko) 새로운 조합의 구강내 속붕해 필름형성 조성물 및 pde5 저해제가 함유된 구강내 속붕해 필름제제
US5064857A (en) Liquid bismuth containing medicinal product,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its use
JP5455203B2 (ja) フィルム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91572A (ko) 경구투여용 대장하제조성물
WO2008080809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syllium and senna
JP2007015966A (ja) 口腔内崩壊錠
JP6438547B2 (ja) 口腔内速崩壊性錠剤用組成物
US20050175686A1 (en) Drug delivery system using a solubilized gelatin shell composition and unit dose drug delivery using a special shape soft gelatin capsule
Neama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of captopril
JPS63185995A (ja) 新規物質NF−861及びNF−862並びにNF−861及びNF−862を有効成分とするα−アミラ−ゼ阻害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