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359B1 - 케이블 조립체 및 전자 배선 조립체 - Google Patents

케이블 조립체 및 전자 배선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359B1
KR101053359B1 KR1020097017924A KR20097017924A KR101053359B1 KR 101053359 B1 KR101053359 B1 KR 101053359B1 KR 1020097017924 A KR1020097017924 A KR 1020097017924A KR 20097017924 A KR20097017924 A KR 20097017924A KR 101053359 B1 KR101053359 B1 KR 101053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s
wire
terminal element
arra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7072A (ko
Inventor
이매드 솝
Original Assignee
더 루드로우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933,406 external-priority patent/US6602092B2/en
Application filed by 더 루드로우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더 루드로우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090107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01R12/598Each conductor being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e.g. multiple coaxial cables in fla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케이블은 다수의 동축 와이어를 포함한다. 각 와이어는 유전체 외피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전도체를 포함하며, 그 외피는 전도성 실드에 의해 둘러싸인다. 와이어들은 단자 요소가 연결되는 각 와이어 단부에서 일렬로 나란히 배열된다. 단자 요소들은 대향하는 주면을 가지며, 제1면 상에 제1 접촉부 어레이를, 그리고 대향하는 면 상에 제2 접촉부 어레이를 가지며, 제1 접촉부 각각은 대응하는 제2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와이어 요소의 중앙 전도체 각각은 대응하는 제1 접촉부 중 하나에 연결된다.
각 전자 장치들은 제2 접촉부와 압축식으로 접촉되도록 배열된 접촉부를 구비하는 회로 기판을 각 단부에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요소는, 압축을 유지하는 엘라스토머 스프링과, 접촉부들의 정합을 보장하는 단자 요소 및 기판 내의 핀 고정 구멍들에 의해, 클램프 및 기판 사이에서 유지된다.
케이블 조립체, 압축 커넥터, 동축 와이어 요소, 단자 요소, 전자 배선 조립체

Description

케이블 조립체 및 전자 배선 조립체{CABLE ASSEMBLY AND ELECTRONIC WIRING ASSEMBLY}
본 발명은 다중 와이어 케이블, 특히 작은 게이지의 동축 와이어링에 관한 것이다.
고속 데이터 및 신호 전송 속도는 전송에 사용되는 전도체의 특성에 의해 제한된다. 가요성 다중-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개별 부품들을 구비한 전자 시스템에서, 신호율(signal rate)은 케이블로 사용되는 가요성 와이어의 성질 뿐만 아니라 케이블과 각 부품 간의 연결 수단에 의해서도 제한된다.
고속 용도에서, 고성능 동축 와이어링, 꼬인(twisted) 쌍의 와이어, 또는 다른 구성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고속 케이블링을 이용할 수 있다. 임의의 선택된 케이블은 정해진 대역폭 또는 주파수 능력을 가지며, 다른 전자적 기능과의 전자기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스위칭 노이즈를 제한하기 위해 저전압 차동 신호(LVDS)를 이용할 수 있다. 케이블 대역폭이 이론적 최대치이더라도, 실제 사용에서는, 가용 대역폭을 제한하는 시스템 부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케이블과 회로 기판 또는 다른 부품들 간의 연결에 의해 대역폭이 상당히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상이 한 종류의 전도체들 간의 불연속적인 접합은 클럭 싸이클(clock cycle)을 위한 연장된 시간을 요구하는 반사 및 공명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라인들에서의 전송 시간의 차이는 스큐(skew)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또한 각 라인으로 보내진 신호들이 목적지에 도달하는 시간 범위를 포함하기 위해 연장 기간을 요구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과 부품들간의 연결은 케이블의 각 단부에서 커넥터 요소를 필요로 한다. 커넥터들은 회로 기판과 같은 부품들뿐만 아니라, 케이블에 연결되기 위한 설비를 갖는다. 시스템이 케이블과 부품들의 탈거를 요구하는 경우, 케이블의 각 단부는 2개의 정합 커넥터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는 케이블 단부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회로기판에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들은 대역폭을 케이블의 이론적 능력 이하로 제한하는 몇몇 불연속성을 각각 발생시킨다. 이러한 불연속성은 회로 기판이 다른 커넥터 부분에 연결하는 곳에서, 커넥터 부분이 대응하는 다른 커넥터 부분과 정합하는 곳에서, 그리고 케이블과 연결되는 곳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불연속성이 누적되어 어떤 경우에는 약 절반까지 주파수 대역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성능에 미치는 영향 외에도, 종래의 커넥터들은 고속 케이블 시스템의 크기 및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커넥터들은 케이블 뿐만 아니라 부품 기판에도 설치되어야 하며, 이는 숙련공 노임이 요구된다. 케이블 와이어 및 회로 부품들이 여러 공급자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필수적으로 정합되는 커넥터의 부분들 각각의 호환성이 중요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 제조업자는 상이한 커넥터를 특정한 고객들을 가지고 있을 것이며, 상이한 부품들을 재고로 유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다수의 전도체를 갖는 케이블들은 각 전도체가 각 커넥터상의 적절한 접촉부에 확실하게 연결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주의 깊게 조립되어야 하는 점에서, 역시 제조 비용이 상당히 증가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전도체를 갖는 케이블들의 각각의 전도체가 각각의 커넥터 상의 접촉부와 신뢰성 있게 연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케이블의 대역폭을 감소시키는 불연속성을 최소화하고, 비교적 저렴한 작업 비용과 시간 효율성을 제공하며, 이와 동시에 조립이 용이한 케이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동축 와이어를 구비한 케이블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다. 각 와이어는 유전체 외피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전도체를 구비하며, 상기 외피는 전도성 실드(shield)에 의해 둘러싸인다. 와이어들은 단자 요소가 연결되는 각 와이어 단부에서 일렬로 나란히 배열된다. 단자 요소는 서로 대향하는 주면들을 포함하는데, 제1 면에는 제1 상부 접촉부의 어레이가, 그리고 대향하는 면에는 제1 하부 접촉부의 어레이가 위치하며, 각각의 제1 상부 접촉부는 대응하는 제1 하부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와이어 요소의 각각의 중앙 전도체는 대응하는 제1 상부 접촉부 중 하나와 연결된다. 전자 장치는 각각의 단부에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하부 접촉부와의 압축식 접촉을 위해 제1 기판 접촉부가 배열된다. 단자 요소는, 압축을 유지하는 엘라스토머(elastomeric) 스프링과, 접촉부들의 정합(registration)을 보장하는 단자 요소 및 기판 내의 핀 고정(pinned) 구멍들에 의해, 클램프 및 기판 사이에서 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케이블 조립체는 주파수의 대역폭을 감소시키는 불연속성을 최소화하여, 신뢰성이 높은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며, 동시에 조립에 필요한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이런 케이블 조립체는 특히 소형의 게이지 동축 케이블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제1 전자 장치(12), 제2 전자 장치(14), 및 케이블 조립체(16)를 갖는 전자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상기 장치들은 임의의 종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장치들은 각각 베이스 컴퓨터와 주변 장치이거나, 또는 의료 초음파 영상 장치와 변환기일 수도 있다. 그 장치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개별 하우징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공동 하우징 내의 개별 전자 부품들일 수도 있다. 각 장치는 회로 요소(20, 22)를 포함하며, 이 회로 요소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강성의 편평한 인쇄 회로 기판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회로, 집적 회로 칩, 세라믹 회로, 혼성 회로 요소, 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노출된 전도성 접촉부를 구비한 임의의 회로도 포함할 수 있다.
도2는 케이블 조립체(16)의 일단부와 기판(22)의 일부 사이의 연결을 전개하여 도시한다. 그 기판은 한 쌍의 이격된 관통 구멍(26)을 갖는 인터페이스 영역(24)을 포함한다. 그 관통 구멍들 사이에는 제1 기판 접촉부(30)의 어레이(28) 가 위치한다. 각각의 상기 제1 기판 접촉부는 다른 접촉부들과 전기적으로 독립되고, 트레이스(trace : 도시 안함)에 의해 기판(22) 상의 다른 회로에 연결된다. 제1 기판 접촉부의 어레이는 일축상에서 구멍(26)들과 라인을 이뤄 정렬되며, 제1 기판 접촉부들은 그 라인을 따라 균일하게 정렬된다. 각각의 제1 기판 접촉부는 제1 기판 접촉부의 어레이의 라인에 대해서는 수직이고 다른 접촉부에 대해서는 평행하게 배향되는 기다란 바아(bar)이다. 필요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0개의 제1 기판 접촉부가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내의 와이어 갯수를 기초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긴 장치 수명 이상에 걸쳐서 낮은 저항 접촉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기판 접촉부들은 금이나 다른 내마모성 금속으로 도금된다. 제1 기판 접촉부들은 중심-대-중심 간격이 0.635 mm(0.025 인치)가 되도록 양호하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간격은 필요에 따라 0.381 내지 2.540 mm(0.015 내지 0.100 인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2 기판 접촉부(32)는 제1 기판 접촉부(30)의 어레이(28)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제2 기판 접촉부(32)는 제1 기판 접촉부(30)의 어레이(28)만큼 긴 기다란 바아이고, 상기 어레이(28)에 평행하다. 제2 기판 접촉부(32) 역시 다른 기판 회로(도시 안함)에 연결된다.
케이블 조립체는 리본 형태로 나란히 배열된 미세한 동축 와이어(36)의 다발(34)을 포함한다. 각 와이어는 유전체층(42)으로 둘러싸인 중앙 전도체(40)를 포함한다. 유전체층은 절연 재료의 외부 자켓(46)으로 둘러싸인 실드층(44)에 의해 둘러싸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켓은 하나의 유닛으로서 형성되어, 인접 와이어들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서로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어들은 그 단부에서 리본 형태로 결합되고, 중간 부분에서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원형 케이블 외형을 제공하도록 추가적인 외부 외피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조립 전에, 케이블의 한 부분이 도시한 바와 같이 벗겨지며, 그 벗겨진 곳에서 각 중앙 전도체의 일부가 외피 바깥으로 연장된다. 비록 설명을 위해 실드층이 외피의 단부 전에 종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실드층이 외피의 단부까지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켓은 각 와이어상의 실드의 일부를 노출시키기에 충분한 정도까지 벗겨진다. 유사하게, 각 단부에서 그러한 연결을 필요로하는 실시예에서는 다발의 각 단부가 벗겨지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단부만이 벗겨지고 타단부는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앙 전도체는 38 와이어 게이지의 단일 스트랜드 (strand) 구리 와이어이지만, 이 와이어 게이지는 필요에 따라 44 내지 36의 범위일 수도 있다. 유전체층은 FEP로 형성되고, 0.114 mm(0.0045 인치)의 벽두께를 가지며, 외경은 0.330 mm(0.013 인치)이나, 그 외경은 필요에 따라 0.1651 내지 1.651 내지 (0.0065 내지 0.065 인치)의 범위를 가질 수도 있다. 실드는 44 게이지 구리 와이어의 17 스트랜드 랩핑(wrapping)에 의해 형성된다. 자켓은 PVC 로 형성되고, 약 0.635 mm(0.025 인치)의 전체 리본 두께를 제공하며, 그 두께는 필요에 따라 0.381 내지 2.540 mm(0.015 내지 0.100 인치) 범위를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와이어들의 중심-대-중심 간격은 0.635 mm(0.025 인치)이며, 그 간격은 필요에 따라 0.381 내지 2.540 mm(0.015 내지 0.100 인치)일 수도 있다.
케이블 조립체는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단자 요소(50)를 포함한다. 단자 요소는 FR4로 형성된 0.060 두께의 편평한 부재이다. 단자 요소는 본질적으로 강성이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약간의 가요성이 허용된다. 단자 요소는 직사각형이고, 단자 요소가 부착되는 케이블 다발의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된다. 단자 요소(50)는 상부면(52) 및 하부면(54)을 구비한다. 상부면에는, 전도성을 갖는 제1 상부 접촉부(60)의 어레이(56)가 단자 요소의 주축을 따라 배향되고, 케이블 리본의 와이어들의 중앙 전도체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제2 상부 접촉부(61)는 제1 상부 접촉부(60)의 어레이(5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된다. 단자 요소의 하부면이 기판상의 패턴의 거울 상(mirror image)인 접촉부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하부측 접촉부들이 기판의 인터페이스 영역의 접촉부들과 겹쳐지고, 각 접촉부와 다른 부품상의 대응 접촉부 간의 일-대-일 접촉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및 제2 상부 접촉부와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 하부 접촉부 간에는 전도성 통로들이 있다. 단자 요소는 기판(22)상의 대응 구멍(26)들과 동일하게 크기가 설정되고 위치가 설정되는 개구(64)를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연장 이어부(ear)(62)를 포함한다.
클램프 또는 덮개 부재(66)는 전체 단자 요소를 덮도록 크기가 결정되며, 단자 요소 및 기판의 개구와 맞추기 위한 한 쌍의 유사 개구(70)를 형성한다. 덮개의 하부면은 와이어 단부 및 단자 요소를 수용하도록 외형이 형성되며, 덮개의 상부면은 스프링 와셔(74)를 수용하기 위해 각 개구(70) 주위에 동심적인 리세스(72)를 형성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덮개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강성의 열소성 물 질로 형성된다. 한 쌍의 핀(76)은 덮개, 단자 요소 및 기판의 개구 내에 밀접하게 끼워지는 크기를 가지는 생크(shank)(80)를 구비한다. 핀 헤드(82) 및 스프리트 테이퍼 노우즈(sprit tapered nose)(84)는, 설치되었을 때 와셔를 압축하기 위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대향 쇼울더(shoulder) 면(86)들을 각각 구비한다.
도3은 조립되고 연결된 케이블 단자를 도시한다. 케이블 조립체는 단자 요소와 정렬하여 리본 단부를 배치시킴으로써 조립되어서, 중앙 전도체 각각은 하나의 대응하는 제1 상부 접촉부(60) 상에 놓이고, 모든 실드(44)는 제2 상부 접촉부(61)상에 놓이고, 실드는 어떤 제1 상부 접촉부(60)와도 접촉하지 않는다. 그 후에, 리플로(reflow) 공정에 의해 와이어들이 정위치에 납땜된다.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그렇게 납땜되어서, 케이블 조립체는 완성되고, 저장되거나, 재고 저장되고, 추후에 설치되거나, 또는 다른 곳에서 설치되기 위해 선적될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요소(50)는 전술한 제1 상부 접촉부의 어레이 및 제1 하부 접촉부의 어레이를 양측에 각각 포함한다. 하부측은 제1 기판 접촉부(30)를 덮도록 성형되고 배치된 제1 하부 접촉부(90)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제2 하부 접촉부(92)는 기판상의 제2 기판 접촉부(32)를 덮는다. 단자 요소(50) 양측의 접촉부 간의 소통을 제공하기 위해, 통로(94)가 단자 요소에 형성되고, 완전히 도금되어, 각각의 제1 상부 접촉부(60)를 대응하는 제1 하부 접촉부(90)와 연결한다. 유사하게, 몇 개의 통로(96)들이 완전히 도금되어 제2 상부 접촉부(61)와 제2 하부 접촉부(92) 사이의 연결을 제공한다.
설치됨에 따라, 단자 요소의 제1 하부 접촉부(90)는 수용된 스프링 와셔(74) 의 힘에 의해 제1 기판 접촉부(30)에 대하여 가압된다. 예정대로, 각 와셔가 접촉 영역에 걸쳐 분포되는 스프링력을 제공하여, 모든 접촉부에의 저항 접촉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한다. 핀의 축(100)이 제1 기판 접촉부(30) 및 제2 상부 접촉부(90)의 중심과 정렬되어, 균일하게 분포된 힘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 가능한 엘라스토머 부재(102)가 덮개와 케이블 단자 요소 사이에 제공되어, 스프링 와셔 대신에 또는 그 스프링 와셔에 추가하여, 계속적인 스프링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미세하게 이격된 접촉부들은 표준화 및 편리성을 위해 '골드 도트(Gold Dot)' 패턴을 이용하여 배열된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표준 또는 통상 패턴의 전도성 접촉부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 양호한 실시예 및 대체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와이어는 (기판 정밀도가 제한된 곳에서와 같이) 기판 접촉부를 간격을 두고 배치하기 위해, 실제보다 좀더 밀접하게 이격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각 어레이의 간격을 보다 넓히면서도 적절한 수의 접촉부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접촉 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대신에, 하부측 접촉부들이 상부측 접촉부들보다 넓게 분배될 수 있도록, 단자 요소는 상부측 접촉부를 하부측 접촉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장된 트레이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케이블 조립체는 주파수의 대역폭을 감소시키는 불연속성을 최소화하여, 신뢰성이 높은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며, 동시에 조립에 필요 한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이런 케이블 조립체는 특히 소형의 게이지 동축 케이블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 시스템 내의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 단자의 전개도이다.
도3은 도1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 시스템
16 : 케이블 조립체
22 : 기판
26 : 구멍
28 : 어레이
36 : 와이어
44 : 실드층
46 : 자켓
50 : 단자 요소

Claims (17)

  1. 복수개의 동축 와이어 요소와,
    상기 와이어 요소에 연결되는 단자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요소의 각각은 유전체 외피로 둘러싸인 중앙 전도체를 가지고, 상기 외피는 전도성 실드로 둘러싸이며,
    상기 와이어 요소는 각 와이어 요소의 제1 단부에서 일렬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단자 요소는 대향하는 주면들을 가지며, 제1면 상에 제1 접촉부 어레이를 갖고, 대향하는 면 상에 제2 접촉부 어레이를 가지며, 제1 접촉부 각각은 대응하는 제2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요소의 중앙 전도체 각각은 제1 접촉부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저항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요소는 각 와이어 요소의 실드에 연결된 제3 접촉부를 갖는 케이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요소는 편평한 리본 형태로 배열되는 케이블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요소의 대향 단부에서 대응하는 제2 단자 요소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요소는 정합 부재를 형성하는 케이블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는 적어도 한 쌍의 구멍을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
  7. 회로 요소와,
    대향 단부들을 갖고, 일단부가 회로 요소에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중앙 전도체 및 외주의 실드를 각각 갖는 복수개의 동축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적어도 일단부에 단자 요소를 갖고, 각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단자 요소는 대향하는 주면들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의 중앙 전도체가 각각 연결되는 제1면 상에 제1 접촉부 어레이를 갖고, 대향하는 면 상에 제2 접촉부 어레이를 가지며, 제1 접촉부 각각은 대응하는 제2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접촉부의 각각은 회로 요소 상의 전도성 접촉부 어레이내의 대응 접촉부와 겹쳐지고 압축식으로 접촉되는 전자 배선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요소는 회로 기판인 전자 배선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요소를 사이에 유지한 상태로, 회로 요소와 연결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전자 배선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요소에 대하여 단자 요소를 편의시키는 압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배선 조립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요소는 제1 개구 세트를 한정하며, 상기 단자 요소는 제1 개구 세트와 정합되는 대응하는 제2 개구 세트를 한정하는 전자 배선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개구 세트 각각 내에 밀접하게 수용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핀은 제2 개구 내에 밀접하게 수용되는 전자 배선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핀은 단자 요소를 회로 요소에 대하여 압축식으로 보유하는 체결부인 전자 배선 조립체.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들은 직선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들은 단부에서 리본 형태로 조밀하게 배열되는 전자 배선 조립체.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요소는 가요성 시트인 전자 배선 조립체.
  16. 한 쌍의 회로 기판과,
    대향 단부들을 갖고, 각 단부가 회로 기판들 중 각각의 기판에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와,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중앙 전도체 및 외주의 실드를 각각 갖는 복수개의 동축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조립체는 각 단부에 단자 요소를 갖고, 각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단자 요소의 각각은 대향하는 주면들을 갖는 가요성 시트이며, 상기 와이어의 중앙 전도체가 각각 연결되는 제1면 상에 제1 접촉부 어레이를 갖고, 대향하는 면 상에 제2 접촉부 어레이를 가지며, 제1 접촉부 각각은 대응하는 제2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접촉부의 각각은 대응 회로 기판 상의 전도성 접촉부 어레이 내의 대응 접촉부와 겹쳐지고 압축식으로 접촉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단자 요소를 사이에 유지한 상태로 회로 기판과 연결되며, 탄성 압축 부재가 상기 클램프와 회로 기판 사이에 압축 수용되어 제2 접촉부를 회로 기판의 전도성 접촉부에 대하여 편의시키는 전자 배선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요소는 제1면 상에 기다란 접촉부를 포함하며, 각 와이어의 외주의 실드는 상기 기다란 접촉부에 연결되는 전자 배선 조립체.
KR1020097017924A 2001-08-20 2002-02-06 케이블 조립체 및 전자 배선 조립체 KR101053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33,406 2001-08-20
US09/933,406 US6602092B2 (en) 2001-08-20 2001-08-20 Cable assembly module with compressive connector
PCT/US2002/004076 WO2003017432A1 (en) 2001-08-20 2002-02-06 Cable assembly module with compressive connec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405A Division KR101009179B1 (ko) 2001-08-20 2002-02-06 케이블 조립체 및 전자 배선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072A KR20090107072A (ko) 2009-10-12
KR101053359B1 true KR101053359B1 (ko) 2011-08-01

Family

ID=3077151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569A KR20030016153A (ko) 2001-08-20 2002-01-22 케이블 조립체 및 그 케이블 조립체를 구비한 전기와이어링 조립체
KR1020047002405A KR101009179B1 (ko) 2001-08-20 2002-02-06 케이블 조립체 및 전자 배선 조립체
KR1020097017924A KR101053359B1 (ko) 2001-08-20 2002-02-06 케이블 조립체 및 전자 배선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569A KR20030016153A (ko) 2001-08-20 2002-01-22 케이블 조립체 및 그 케이블 조립체를 구비한 전기와이어링 조립체
KR1020047002405A KR101009179B1 (ko) 2001-08-20 2002-02-06 케이블 조립체 및 전자 배선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419558A1 (ko)
JP (1) JP2005500661A (ko)
KR (3) KR20030016153A (ko)
CN (1) CN1545751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5509A (en) * 1971-03-02 1973-07-10 Bunker Ramo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45751A (zh) 2004-11-10
KR20090107072A (ko) 2009-10-12
KR101009179B1 (ko) 2011-01-18
EP1419558A1 (en) 2004-05-19
KR20030016153A (ko) 2003-02-26
KR20040048398A (ko) 2004-06-09
JP2005500661A (ja)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762B2 (en) Cable assembly module with compressive connector
US5509827A (en) High density, high bandwidth, coaxial cable, flexible circuit and circuit board connection assembly
US6837741B2 (en) Connector and cable positioning member of connector
US6602092B2 (en) Cable assembly module with compressive connector
KR20020061122A (ko) 차동 및 단종단 전송장치용 고속, 고밀도 인터커넥트 시스템
WO2008072322A1 (ja) 同軸ケーブルユニット、及び試験装置
JPH0676894A (ja) コネクタ
US6176743B1 (en) Electrical adapter
US7241173B2 (en) Electrical connector insert and apparatus and associated fabrication method
US5421741A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JP2014038772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9780459B1 (en) Linking cable connector
KR101053359B1 (ko) 케이블 조립체 및 전자 배선 조립체
JP2001357941A (ja) ケーブルコネクタと当該コネクタの組み立て用キット
EP1887659A1 (en) Electrical connection for coaxial cables
US4706381A (en) Multi contact connector having ground terminal block connected with tape wires and method of connecting tape wires to multi contact connector
JP2006049211A (ja) 同軸ケーブル接地構造並びに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EP0782817B1 (en) Planar cable array
JP2007042633A (ja) 同軸ケーブル接地構造並びに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US6340314B1 (en) Electrical adapter
US6053778A (en) Rigidizing cover plate for a printed wiring board mounted terminal block
US11095075B2 (en) Electrical device with a plug connector having a flexible section
JPH07153532A (ja) フレキケーブル接続装置
JPH04351870A (ja) 表面実装コネクタ
JP200134513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