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059B1 - 면진용 디스크 받침 - Google Patents

면진용 디스크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059B1
KR101051059B1 KR1020100067228A KR20100067228A KR101051059B1 KR 101051059 B1 KR101051059 B1 KR 101051059B1 KR 1020100067228 A KR1020100067228 A KR 1020100067228A KR 20100067228 A KR20100067228 A KR 20100067228A KR 101051059 B1 KR101051059 B1 KR 10105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termediate plate
disk
shea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희
정성찬
김선엽
박건록
오주
이완하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유니슨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이앤씨(주) filed Critical 유니슨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00067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개시된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하며 횡압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전단 변형이 가능한 제1 중간 플레이트,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중간 플레이트,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및 제2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디스크, 상기 탄성 디스크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 디스크에 수평 하중을 전달하는 제1 전단 부재,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한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중간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에 수평 하중을 전달하는 제2 전단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부 플레이트와 하부 구조물의 결합시에 콘크리트가 탄성 디스크 쪽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에 유리하다.

Description

면진용 디스크 받침{DISK BEARING FOR SEISMIC ISOLATION}
본 발명은 면진용 디스크 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구조물의 시공은 지진 등의 피해를 예방하고 구조물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내진 설계를 필요로 한다. 특히, 교량의 경우 구조적으로 지진 피해에 대한 우려가 높아 내진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와 내진 보강 작업이 필요하다. 내진 설계가 반영되지 아니한 교량은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지진력이 교량 받침에 집중되어 지진 발생 시 교량받침이 파괴되거나, 상판의 이탈, 붕괴 등이 초래될 수 있다.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교량의 상부 구조에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 구조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교량의 내구성, 안정성에 관련된 중요한 장치이다.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설계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의 변위 및 회전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우수한 상부 하중 지지능력을 가지고 있어 교량의 지진 격리시 마찰 감쇠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교량에 가해지는 하중 및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부품 교체 등의 적절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상부 플레이트, 중간 플레이트, 디스크, 하부 플레이트 및 디스크를 관통하는 전단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부품 교체를 위하여, 전단 부재의 높이 이상으로 중간 플레이트을 인상하여야한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 및 베드 콘크리트를 제거해야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보수보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유지관리 및 보수보강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지관리 및 보수보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하며 횡압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전단 변형이 가능한 제1 중간 플레이트,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중간 플레이트,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및 제2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디스크, 상기 탄성 디스크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 디스크에 수평 하중을 전달하는 제1 전단 부재,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한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중간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에 수평 하중을 전달하는 제2 전단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단 부재는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디스크의 관통공 내에 위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의 관통공 내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부보다 큰 폭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와 돌출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단 부재는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디스크의 관통공 내에 위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의 관통공 내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부보다 큰 폭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단 부재의 몸체부는 제1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는 제2 체결부에 의해 상기 몸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전단 부재의 수직 방향 두께는 상기 제1 전단 부재보다 작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단 부재는 핀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전단 부재는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상기 측면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의 전단 변형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측면지지 부재와 접촉하는 헤드, 상기 헤드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에 연결되는 가이드바, 상기 탄성체의 비가역 변형을 보상하기 위한 보조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체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헤드에는 복수의 가이드 바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는 평면상에서 팔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원 부재는 8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의 전단 변형이 가능한 상부 미끄러짐부 및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의 급격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끄러짐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미끄러짐 가이드를 수용하며, 상기 미끄러짐 가이드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잠금 장치 고정부, 상기 잠금 장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 커버, 상기 유체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잠금 장치 고정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유체 커버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 및 상기 유체 커버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체 커버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오리피스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유체 커버는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가지며,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제1 중간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2 중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함으로써, 하부 플레이트와 하부 구조물의 결합시에 콘크리트가 탄성 디스크 쪽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께가 작은 제2 전단 부재를 이용하여 제2 중간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함으로써,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수리, 부품 교환 시에 제2 중간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리프트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유리하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를 제거하지 않고 동종 또는 동급 이상의 다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 받침을 설치 할 수 있으며 베드 콘크리트를 깨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전단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전단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전단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지진격리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전단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전단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전단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상부 플레이트(110), 제1 중간 플레이트(120), 탄성 디스크(140), 제2 중간 플레이트(150) 및 하부 플레이트(16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 위에는 상부 구조물이 놓여지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세트 앵커, 스터드 볼트 등의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 사이에는 전단 변형부가 배치된다. 상기 전단 변형부는 서스(SUS) 플레이트(132)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134)를 포함한다.
상기 서스 플레이트(132)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134)는 각각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스 플레이트(132)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불소수지 플레이트(134)는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스 플레이트(132)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불소수지 플레이트(134)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등의 불소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스 플레이트(132)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134)는 원형, 다각형 등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단 변형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의 마찰을 방지하고, 외부에서의 횡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일어나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전단 변형이 일어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는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지지 부재(112)와 결합되며, 상기 측면지지 부재(112)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 사이에는 복원 부재(170)가 배치된다.
상기 복원 부재(170)는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의 네 변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상기 복원 부재는 네 변이 아닌 두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원 부재는 제1 중간 플레이트(120)의 서로 평행한 두변에 대응하여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원 부재(170)는 헤드(174), 가이드 바(179) 및 탄성체(172)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 변형부의 전단 변형이 일어날 때, 즉,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가 수평 이동할 때, 상기 복원 부재(170)에는 수축력이 가해지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복원 부재(170)는 수축하며,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전단 변형을 복원할 수 있다.
상기 헤드(174)는 상기 측면 지지 부재(112)와 접촉한다. 상기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전단 변형에 따라, 상기 측면지지 부재(112)와 상기 복원 부재(170) 사이에 전단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전단 변형(미끄러짐)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지지 부재(112)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14)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174)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14)와의 마찰에 의한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174)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등의 불소수지로 코팅되거나,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미끄러짐 부재(1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179)는 상기 헤드(174)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체(172)의 관통공을 관통한다. 상기 가이드 바(178)의 일부는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의 가이드 홈(122)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체(172)가 수축하면, 측면 가이드 홈(122)을 따라 제1 중간 플레이트(120)의 내부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체(172)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등의 고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헤드(174)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바(179)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 부재(170)는 보조 탄성체(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에 의해 수축된 탄성체(174)는 복원력에 의해 대부분 복원하게 되나, 실제적으로는 비가역적 변형에 의해 완전히 복원되지는 않는다. 상기 보조 탄성체(176)는 상기 가이드 바(179)에 연결되어, 가이드 홈(122)에 삽입된다. 상기 보조 탄성체(176)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디스크(140)는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와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15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 디스크(14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의 하면과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150)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탄성 디스크(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디스크(140)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디스크(140)의 측면에는 수평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탄성 디스크(14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홈은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측면 홈은 15 내지 60도의 아크(arc)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 디스크(140)는 고무, 폴리우레탄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디스크(140)는 유니슨이엔씨(주)와 강남화성(주)이 2007년 08월 24일자로 출원하여, 2008년 03월 24일자로 등록된 등록번호 제0817817호의 "고내구성 및 고강도를 갖는 탄성체제조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용 폴리우레탄 지지부재의 제조방법"에 개시된 고내구성 및 고강도를 갖는 탄성체제조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프리폴리머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약 5 내지 약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폴리머는 폴리올 약 50 내지 약 70 중량부, 가교제 또는 사슬 연장제 약 2 내지 약 15 중량부 및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약 20 내지 약 40 중량부를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은 메틸기를 갖는 제1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경직도가 큰 제2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경화제는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디스크(140)는 하나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 디스크(140)에 함입되어 상기 탄성 디스크(140)의 강도 및 탄성을 보강한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로는 스틸 등의 금속 재질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탄성 디스크(140)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탄성 디스크(140)의 두께는 약 10 내지 약 200mm일 수 있으며, 원하는 강도 및 탄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와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150) 사이에는 상기 탄성 디스크(140)를 관통하는 제1 전단 부재(18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전단 부재(18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pin)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단 부재(180)는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 상기 탄성 디스크(140) 및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150)에 수평 하중을 전달한다.
상기 제1 전단 부재(180)는 제1 중간 플레이트(1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단 부재(180)는 제1 중간 플레이트(120)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182)를 갖는다. 상기 제1 체결부(182)는 나사 결합에 의해 제1 중간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전단 부재(180)와 상기 탄성 디스크(140)의 관통홀의 측면은 이격되어 빈 공간을 형성한다. 이는 탄성 디스크(140)의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1 전단 부재(180)의 허용 회전각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디스크(140)의 회전 또는 변형에 의해, 상기 제1 전단 부재(180)의 수직 축은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150)의 상면에 대하여 약 0.02 R 까지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단 부재(180)는 탄성 디스크(140)의 관통공 내에 위치하는 몸체부(184)와 제2 중간 플레이트(150)의 관통공에 위치하는 돌출부(18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186)는 몸체부보다 폭이 크다. 상기 돌출부(186)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 될 수 있고, 고정 부재 또는 몸체부와 돌출부의 압출나사 형태를 통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와 몸체부의 결합은 제1 전단 부재(180)에서 상기 돌출부(186)에 마모와 응력이 집중되므로 손상 가능성이 높음을 고려하여,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150)의 관통공을 통하여 돌출부(186)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행하기 위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단 부재(80)의 돌출부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제2 중간 플레이트(150) 역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관통공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탄성 디스크(140)의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1 전단 부재(80)의 허용 회전각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반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제1 체결부는 나사 결합에 의해 제1 중간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돌출부는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의 나사 결합에 의해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15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160) 사이에는 제2 전단 부재(162)가 배치된다. 상기 제2 전단 부재(162)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150)의 하면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160)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제2 전단 부재(162)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단 부재(162)의 설치 위치 및 수량은 다양하게 조절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단 부재(162)는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15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160)에 수평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전단 부재(162)는 강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전단 부재(180)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전단 부재(163)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전단 부재가(162)가 하나인 경우에는 제1 전단 부재(182)와 동일한 평면상 위치, 즉 탄성 디스크(140)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복수개의 제2 전단 부재(163)가 배치되는 경우, 제1 전단 부재(182)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작업 용이성과 설계를 고려하여 모서리가 절개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60)은 하부 플레이트 결합 부재(164)에 의해 하부 구조물과 연결 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 결합 부재(164)는 세트 앵커및 스터드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결합 부재(164)를 혼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면진용 디스크 받침에 따르면, 제1 중간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2 중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함으로써, 하부 플레이트와 하부 구조물의 결합시에 콘크리트가 제1 전단 부재(180)가 관통하는 하부 플레이트(160)의 관통 홈을 통하여 탄성 디스크 쪽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께가 작은 제2 전단 부재를 이용하여 제2 중간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함으로써,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수리, 부품 교환 시에 제2 중간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리프트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유리하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160)를 제거하지 않고 동종 또는 동급 이상의 다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설치 할 수 있으며 베드 콘크리트를 깨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상부 플레이트(210), 제1 중간 플레이트(220), 탄성 디스크(240), 제2 중간 플레이트(230) 및 하부 플레이트(2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디스크를 관통하는 제1 전단 부재(280) 및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23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60) 사이에 배치된 제2 전단 부재(26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220) 사이에는 전단 변형부가 배치된다. 상기 전단 변형부는 서스(SUS) 플레이트(232)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23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는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지지 부재(212)와 결합되며, 상기 측면지지 부재(212)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220) 사이에는 복원 부재(27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220)는 기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다르게, 사각형 형상이 아닌 팔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측면지지 부재(212) 역시 팔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복원 부재(270)는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120) 전단 변형에 대응하여 8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교량 상판이 사방향으로 거동한 후에 회전력이 가해질 경우, 복원 부재(270)의 신축 팽창에 대한 거동이 어려워, 파손의 위험이 크다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구조는 전 방향으로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다.
나머지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기 설명된 면진용 디스크 받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상부 플레이트(310), 제1 중간 플레이트(320), 탄성 디스크(340), 제2 중간 플레이트(350) 및 하부 플레이트(3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디스크를 관통하는 제1 전단 부재(380) 및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35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60) 사이에 배치된 제2 전단 부재(36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 위에 안착되는 상부 미끄러짐부(39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는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지지 부재(312)를 가지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320) 사이에는 제1 전단 변형부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전단 변형부는 서스(SUS) 플레이트(332)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33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와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 사이에는 제2 전단 변형부가 배치된다. 상기 제2 전단 변형부는 서스(SUS) 플레이트(316)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318)를 포함한다.
상기 서스 플레이트(316)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318)는 각각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와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스 플레이트(316)는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불소수지 플레이트(318)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스 플레이트(316)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불소수지 플레이트(318)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등의 불소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스 플레이트(316)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318)는 각각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의 하면에는 미끄러짐 가이드(392)가 형성되어 상기 이격된 서스 플레이트(316)들 사이로 돌출된다. 상기 미끄러짐 가이드(39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불소수지 플레이트(318) 역시 상기 미끄러짐 가이드(39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미끄러짐 가이드(392)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의 상면에는 가이드홈(319)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미끄러짐 가이드(392)와 상기 가이드 홈(319) 사이에도 불소수지와 서스 플레이트 등의 전단 변형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단 변형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와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의 마찰을 방지하고, 상기 미끄러짐 가이드(392)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횡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와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일어나 면진용 디스크 받침과 상부 구조물 사이의 전단 변위가 발생한다.
상기 제1 전단 변형부에서 미끄러짐은 지면에 평행한 다양한 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으나, 상기 제2 전단 변형부의 미끄러짐은 상기 가이드와 가이드 홈에 의해 일 방향으로만 일어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단 병형부의 이동 방향은 교축에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거동과 복원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단 변형부 및 제2 전단 변형부의 불소수지 플레이트의 마찰 계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의 이동을 제한하고,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 장치(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잠금 장치(30)는 각각 잠금 장치 고정부(32)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310)에 고정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잠금 장치(30)는 상기 측면지지 부재(312)에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양 경우 모두 잠금 장치 고정부(32)는 상부 플레이트(310)의 이동에 따르게 된다. 상기 잠금 장치 고정부(32)는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잠금 장치 고정부(32) 사이에는 유체 커버(34) 및 상기 유체 커버(34)를 관통하여, 상기 잠금 장치 고정부에 연결되는 연결부(38)가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38) 역시 상기 잠금 장치 고정부(32)에 대응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38)는 가압부(3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가압부(35)는 유체 커버(34) 내부에 배치되어 유체(37)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유체(37)는 유체 커버(3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즉, 상기 연결부(38)는 상기 유체 커버(34)에 삽입된다. 상기 유체(37)는 기존의 유압 피스톤에 사용되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37)는 실리콘 퍼티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35)는 상기 유체 커버(34)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유체(37)가 이동할 수 있는 오리피스(39)를 형성한다.
상기 유체 커버(34)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의 전단 홈(394)과 얼라인되는 가이드 돌기(36)를 갖는다. 상기 전단 홈(394)과 상기 가이드 돌기(36)의 전단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 하중이 상기 잠금 장치(3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 하중은 상기 잠금 장치 고정부(32), 상기 연결부(38) 및 상기 가압부(35)를 통해 상기 유체(37)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37)는 상기 가압부(35)와 상기 유체 커버(34) 사이에 형성된 오리피스(39)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의 통상적인 이동을 수용한다. 그러나,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390)가 급격하게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잠금 장치(30)에 의해 반작용이 작용하고 잠금 장치(30)의 이동이 잠기게 되어, 상부 미끄러짐부(390)의 급격한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부 미끄러짐부(390)의 급격한 이동이 제한되면 제1 전단 변형부가 전방향으로 거동하여 지진에 의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교량 구조물 및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파손을 방지하며, 지진이 종료된 후에는 감쇄부재(30)의 잠기는 힘이 완화되어 상부 미끄러짐부(390)가 교량 구조물의 온도 등에 의한 신축량을 수용하며 이동한다.
나머지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기 설명된 면진용 디스크 받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종래의 면진용 디스크 받침에 따르면, 제2 전단 변형부가 하부 플레이트 아래에 형성된다. 일반적인 교량 설계 시에, 제2 전단 변형부를 갖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과, 갖지 않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모두 채용하는데, 제2 전단 변형부를 하부 플레이트 아래에 형성하는 경우, 전단 변형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2 전단 변형부를 갖지 않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과 비교하여 하부 플레이트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상기의 하부 플레이트가 커지게 되면 우수 및 먼지, 조류의 배설물 등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성능저하와 유지관리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며,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설치 단면적도 커지게 되어 교각에 대한 시공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에 설계 및 시공 효율상의 난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전단 변형부가 상부 플레이트 위에 형성되어, 하부 플레이트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기존 기술의 난점을 극복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미끄러짐 플레이트와 잠금 장치를 채용한 면진용 디스크 받침 역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면진용 디스크 받침과 유사하게 팔각형 형상의 측면지지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 장치 고정 부재는 측면지지 부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용 디스크 받침은 상부 플레이트(410), 제1 중간 플레이트(420), 탄성 디스크(440), 제2 중간 플레이트(450) 및 하부 플레이트(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디스크를 관통하는 제1 전단 부재(480) 및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45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460) 사이에 배치된 제2 전단 부재(46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410)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420) 사이에는 전단 변형부가 배치된다. 상기 전단 변형부는 서스(SUS) 플레이트(432)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43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410)는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지지 부재(412)와 결합되며, 상기 측면지지 부재(412)의 외측면에는 복원 부재(470)가 배치된다.
상기 복원 부재(470)는 상기 측면지지 부재(412)의 네 변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상기 복원 부재는 네 변이 아닌 두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원 부재(470)는 가이드 바(479) 및 탄성체(472)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의 양면에는 제1 커버(471) 및 제2 커버(473)가 부착된다. 상기 제1 커버(471) 및 제2 커버(473)는 상기 탄성체(472)를 관통하는 결합 핀(47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전단 변형부의 전단 변형이 일어날 때, 즉,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420)에 대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410)가 수평 이동할 때, 상기 복원 부재(470)에는 수축력이 가해지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복원 부재(470)는 수축하며,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전단 변형을 복원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479)는 측면지지 부재(412)를 지나 접촉 플레이트(425)에 연결된다. 상기 접촉 플레이트(425)는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420)의 측면에 접촉한다. 상기 면진용 디스크 받침의 전단 변형에 따라,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420)와 상기 복원 부재(470) 사이에 전단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전단 변형(미끄러짐)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 플레이트(425)에 접하는 제1 중간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측면 서스 플레이트(423)가 부착될 수 있으며, 마찰에 의한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 플레이트(425)의 접촉면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등의 불소수지로 코팅되거나,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미끄러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 부재(470)는 기능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복원 부재(170)와 기능적으로 유사하다. 다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게, 복원 부재(470)가 측면지지 부재(412)이 외측면 상에 위치하므로, 상부 플레이트(410)의 크기를 감소시켜, 설계 및 설치상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면진용 디스크 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토목, 건축 등의 분야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가진다.

Claims (19)

  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하며 횡압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전단 변형이 가능한 제1 중간 플레이트;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중간 플레이트;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및 제2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디스크;
    상기 탄성 디스크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 디스크에 수평 하중을 전달하는 제1 전단 부재;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한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중간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에 수평 하중을 전달하도록 디스크 형상을 갖는 제2 전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단 부재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제2 전단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전단 부재의 수직 방향 두께는 상기 제1 전단 부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는 모서리가 절개된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단 부재는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단 부재는 상기 탄성 디스크의 관통공 내에 위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의 관통공 내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부보다 큰 폭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단 부재는 상기 탄성 디스크의 관통공 내에 위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2 중간 플레이트의 관통공 내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부보다 큰 폭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단 부재의 몸체부는 제1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는 제2 체결부에 의해 상기 몸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단 부재는 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의 전단 변형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측면지지 부재와 접촉하는 헤드;
    상기 헤드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에 연결되는 가이드바;
    상기 탄성체의 비가역 변형을 보상하기 위한 보조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부재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헤드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바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부재는 제1 중간 플레이트의 서로 평행한 두변에 대응하여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는 평면상에서 팔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원 부재는 8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의 전단 변형이 가능한 상부 미끄러짐부 및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의 급격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끄러짐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미끄러짐 가이드를 수용하며, 상기 미끄러짐 가이드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잠금 장치 고정부;
    상기 잠금 장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 커버;
    상기 유체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잠금 장치 고정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유체 커버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 및
    상기 유체 커버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체 커버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커버는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가지며, 상기 상부 미끄러짐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중간 플레이트의 전단 변형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결합 부재는 세트 앵커, 스터드 볼트 또는 세트 앵커 및 스터드 볼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용 디스크 받침.
KR1020100067228A 2010-07-13 2010-07-13 면진용 디스크 받침 KR10105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228A KR101051059B1 (ko) 2010-07-13 2010-07-13 면진용 디스크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228A KR101051059B1 (ko) 2010-07-13 2010-07-13 면진용 디스크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1059B1 true KR101051059B1 (ko) 2011-07-21

Family

ID=4492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228A KR101051059B1 (ko) 2010-07-13 2010-07-13 면진용 디스크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0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315B1 (ko) 2013-07-05 2014-04-10 (주)디에스엘 충격흡수용 면진장치
KR200472482Y1 (ko) * 2012-06-26 2014-04-30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지진 격리 장치
KR101402681B1 (ko) * 2013-05-30 2014-06-03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
KR101483071B1 (ko) * 2013-03-26 2015-01-16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850A (ko) * 2001-10-29 2003-05-09 조영철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교좌장치
KR100687452B1 (ko) * 2006-08-04 2007-02-27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교좌장치
KR20100003404A (ko) * 2008-07-01 2010-01-11 조영철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850A (ko) * 2001-10-29 2003-05-09 조영철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교좌장치
KR100687452B1 (ko) * 2006-08-04 2007-02-27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교좌장치
KR20100003404A (ko) * 2008-07-01 2010-01-11 조영철 완충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82Y1 (ko) * 2012-06-26 2014-04-30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지진 격리 장치
KR101483071B1 (ko) * 2013-03-26 2015-01-16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KR101402681B1 (ko) * 2013-05-30 2014-06-03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
KR101383315B1 (ko) 2013-07-05 2014-04-10 (주)디에스엘 충격흡수용 면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956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기구
US3349418A (en) Low friction structural bearing
KR20130043856A (ko) 강재 스프링을 이용한 교량용 디스크받침
EP2198099B1 (en) Sliding pendulum seismic isolator
KR200398506Y1 (ko)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101051059B1 (ko) 면진용 디스크 받침
KR200473182Y1 (ko)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KR101803421B1 (ko) 중앙부 설치형 부반력키를 구비한 교량용 스페리컬 받침
KR102152742B1 (ko) 마찰형 납 지진격리받침
KR100402870B1 (ko) 조합형 지진격리장치
KR101117297B1 (ko) 자체복원능력을 갖는 지진격리장치
JP4331184B2 (ja) 変位調整機能付き落橋防止装置
KR100365698B1 (ko) 판스프링형 이동제한장치가 부착된 탄성받침
KR101483071B1 (ko)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KR101803898B1 (ko) 부유 궤도 장치, 부유 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쐐기를 이용한 진동 저감장치
KR100722220B1 (ko) 교량 포트받침용 내진 보강장치
KR200262491Y1 (ko)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KR20130043857A (ko) 탄성중합체 스프링을 이용한 교량용 디스크받침
KR101386048B1 (ko) 스페리칼 받침
KR20150004621U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74621Y1 (ko) 지진 격리 장치
KR100834847B1 (ko) 내진형 교좌장치
KR101409400B1 (ko) 모자형 강재댐퍼를 구비한 고무탄성받침
CA2483130C (en) Bearing and expansion joint system including same
KR20160109284A (ko) 교량용 탄성 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