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470B1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470B1
KR101045470B1 KR1020070116412A KR20070116412A KR101045470B1 KR 101045470 B1 KR101045470 B1 KR 101045470B1 KR 1020070116412 A KR1020070116412 A KR 1020070116412A KR 20070116412 A KR20070116412 A KR 20070116412A KR 101045470 B1 KR101045470 B1 KR 10104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outer member
piece
iron piec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6098A (ko
Inventor
카토 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1457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65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14576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480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6Enhanced legend space by smaller actuator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 케이스내의 기기 레이아웃을 개량하여 보다 얇고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회로 차단기를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에 세 개의 부하측 단자(4)를, 배면에 세 개의 전원측 단자(3)를 각각 상하로 배열한다. 차단기 케이스(2)의 내부에 세 개의 개폐접점(13)을 개폐하는 세퍼레이터(11)와 전기회로의 비정상 동작에 감응하는 복수의 액츄에이터(30)(31)(32)와 액츄에이터에 연동해 세퍼레이터(11)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외부재(29)를 설치한다. 세퍼레이터(11)와 인외부재(29)를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 개폐접점(13)을 세퍼레이터(11)의 길이 방향에 배열한다. 액츄에이터를 전원측 단자(3)와 인외부재(29) 사이에 상하로 배열하여 3개의 가요성 도선(22)을 차단기 케이스(2)와 인외부재(29) 사이의 배선공간을 통해 인외부재(29)를 전후로 횡단하도록 배선한다.
회로 차단기, 케이스, 소형, 박형, 레이아웃

Description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좌우 방향의 폭을 억제하여 두께가 얇은 형태로 구성한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회로 차단기를 얇게 하기 위해서 종래에 여러 가지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좌우 한 벌의 전원측 단자를 차단기 케이스의 상하로 현격한 차이로 배열한 회로 차단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세 개의 전원측 단자와 두 개의 부하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한 회로 차단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차단기 케이스를 상하로 분할하고, 이상 전류에 감응하는 액츄에이터를 아래 쪽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회로 차단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평 11-6705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개 2002-21661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개 2003-346637호 공보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단자수가 증가했을 경우, 예를 들면 단상 3선식 전기회로용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를 세 개씩 배열하는 경우에 세퍼레이터, 인외부재, 액츄에이터 등의 동작 공간이 부족하고, 내부 기기의 레이아웃이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전선이 접촉하거나 가동기기와 간섭하거나 할 가능성이 높아져 회로 차단기의 동작에 불안이 남는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단기 케이스내의 기기 레이아웃을 개량하여 보다 얇고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 부하측 단자를, 배면에 전원측 단자를 각각 상하로 복수개 배열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기회로상의 개폐접점을 개폐하는 세퍼레이터와 전기회로의 비정상 동작에 감응하는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에 연동하여 세퍼레이터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외부재를 갖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세퍼레이터와 인외부재가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접점이 세퍼레이터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고, 액츄에이터가 전원측 단자와 인외부재 사이에 상하로 복수개가 나란히 설치되며, 전원측 단자와 개폐접점 사이의 전기회 로를 형성하는 복수 라인의 전선이 인외부재를 전후로 횡단하도록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차단기 케이스에 취부된 스페이서에 인외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접촉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인외부재와 차단기 케이스 사이에 전선의 배선 공간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회로 차단기.
(3) 간격유지부에 한 개의 전선을 다른 전선으로부터 격리된 상태로 보관 유지하는 전선유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회로 차단기.
(4) 스페이서와 인외부재 사이에 인외부재를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길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회로 차단기.
(5)액츄에이터가 합선 전류에 감응하는 가동전자편을 포함하고, 가동전자편이 전원측 단자전극의 도체판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회로 차단기.
(6)가동전자편이 도체판에 고정되는 고정 철편과, 도체판을 사이에 두고 고정 철편에 대향하는 가동 철편 및 가동 철편을 고정 철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회로 차단기.
(7)가동전자편이 가동 철편을 고정 철편에 대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추고, 지지부재와 도체판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회로 차단기.
(8)지지부재를 고정 철편의 후단에 축결합하고, 가동 철편의 전단에 인외부 재와 걸어맞추는 출력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 기재된 회로 차단기.
본 발명의 회로 차단기에 의하면, 세퍼레이터와 인외부재를 부하측 단자 및 전원측 단자의 배열 방향과 같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했으므로, 복수의 개폐접점을 세퍼레이터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인외부재와 전원측 단자 사이에 정연하게 배치할 수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를 얇은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회로 차단기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복수 라인의 전선이 인외부재를 전후로 횡단하도록 배선되어 있으므로, 전선끼리의 접촉이나 전선과 인외부재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회로 차단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단상 3선식 전기회로용의 회로 차단기에 구체화한 일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회로 차단기를 배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회로 차단기의 내부 기구를 차단 상태에서 본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내부 기구를 통전 상태에서 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내부 기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스페이서의 형상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1의 회로 차단기의 내부 배선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누전 차단기능을 갖추지 않는 회로 차단기의 내부 배선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전원측 단자의 주변 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내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9는 가동전자편을 위쪽에서 본 분 해사시도이다. 도 10은 가동전자편을 아래 쪽에서 본 본해사시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로 차단기의 전면을 도 1에 나타내는 차단기 케이스의 좌측의 도면으로 하고, 배면을 우측의 도면으로 하며, 상면을 위쪽의 도면으로 하며, 우측면을 전면으로 하며, 좌측면을 배면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1)는 두께 10 mm정도의 사각 상자형상의 차단기 케이스(2)를 갖추고 있다. 차단기 케이스(2)는 합성수지제의 좌우 한 벌의 케이스편(2a, 2b)을 조합하여 구성되며, 배면이 수직으로, 전면이 위쪽까지 후퇴하는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단기 케이스(2)의 배면과 전면에는 각각 세 개의 전원측 단자(3: 3a, 3b, 3c)와 부하측 단자(4: 4a, 4b, 4c)가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차단기 케이스(2)의 상면에는 전원측 단자(3)와 부하측 단자(4) 사이의 전기회로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조작 핸들(5)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개의 전원측 단자(3)는 차단기 케이스(2)의 배면과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위쪽의 단자(3a)가 중성극단자, 중앙의 단자(3b)와 아래 쪽의 단자(3c)가 전압극단자로서 사용된다. 각 단자(3a~3c)는 차단기 케이스(2)의 후단부 내측에 C자형의 전원측 단자전극(6)을 갖추어 분전반 내의 도체 바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는 플러그 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하측 단자(4)는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과 평행하게 기울어진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중앙의 단자(4b)가 중성극단자, 상하의 단자(4a, 4c)가 전압극단자로서 사용된다. 각 단자(4a~4c)는 차단기 케이스(2)의 전 단부 안쪽에 부하측 단자전극(7)을 갖추어 부하 배선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는 속결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 개의 부하측 단자(4) 중 사용하지 않는 단자의 오결선 또는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슬라이드식의 단자 커버(8)(도 4 참조)에 의해서 덮여 있다. 차단기 케이스(2)의 전단 상부에는 부하측 단자전극(7)에 의한 부하 배선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9)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측 단자전극(7)의 뒤쪽 근방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세퍼레이터(11)가 경사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코일스프링(12)에 의해 윗쪽으로 부세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1)는 합성수지 재질로 부하측 단자전극(7)의 배열 방향으로 긴 통형으로 형성되어 세퍼레이터(11) 내부의 길이 방향에 세 개의 개폐접점(13)이 배열되어 있다. 개폐접점(13)은 부하측 단자전극(7)의 도체판(17)에 고정부착된 고정접점(14)과 전원측 단자전극(6)의 도체판(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동접점(1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15)이 세퍼레이터(11)에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세퍼레이터(11)가 개폐접점(13)을 여는 개방위치(도 2에 나타내는 상승 위치)와 개폐접점(13)을 닫는 폐쇄위치(도 3에 나타내는 하강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1)의 뒤쪽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2)의 상부에는 프린트 기판(18)이 배치되고, 차단기 케이스(2)의 하부에는 영상변류기(19)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18)상에는 누전검출회로가 설치되어 복수 라인의 리드 선(20)(도 6 참조)에 의해 영상변류기(19)에 접속되어 있다. 영상변류기(19)에는 3 개의 1차 도체(21)가 장착되어 각 1차 도체(21)의 일단이 가요성 도선(22)에 의해 전원측 단자전극(6)의 도체판(16)에 접속되며, 타단이 가요성 도선(23)에 의해 개폐접점(13)의 가동접점(1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1차 도체(21) 및 가요성 도선(22)(23)이 전원측 단자(3)와 개폐접점(13) 사이의 전기회로를 형성하여, 전기회로에서 발생한 누전을 누전검출회로가 영상변류기(19)의 출력에 근거해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1)의 상단부에는 세퍼레이터(11)를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개폐 기구부(25)가 내장되어 있다. 개폐 기구부(25)는 세퍼레이터(11)를 조작 핸들(5)에 연결하는 링크(26)와 전후 두 개의 래치(27)(28)를 갖추어 후측의 래치(28)의 첨단부 아래 쪽에 인외부재(29)가 설치되어 있다. 인외부재(29)와 전원측 단자(3) 사이의 프린트 기판(18) 아래 쪽에는 누전 발생시에 동작하는 하나의 전자 인외장치(30)와 합선 전류에 감응하는 두 개의 가동전자편(31)과 과전류에 감응하는 두 개의 바이메탈편(32)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회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인외부재(29)가 전자 인외장치(30), 가동전자편(31), 바이메탈편(32) 중 어느 하나의 액츄에이터에 연동해 상승하여 래치(27)(28)를 벗어나서 세퍼레이터(11)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외부재(29)는 중간부가 굴곡한 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단기 케이스(2)에 설치된 스페이서(34)와 안내편(35)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접촉 동작 가능하게 지지를 받으며 코일스프링(37)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인외부재(29)의 하부에는 안내편(35)이 끼워 맞춰지는 종방향의 긴 홈(38)과, 바이메탈편(32)의 전단 출력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하 두 개의 걸어맞춤부(39)와, 가동전자편(31)의 전단 출력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하 두 개의 걸어맞춤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인외부재(29)의 상부에는 전자 인외장치(30)의 출력부(30a)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41)와 개폐 기구부(25)의 래치(28)를 아래 쪽으로부터 밀어 올리는 압압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이서(34)는 합성수지 재질로 입체형으로 성형되어 차단기 케이스(2)의 우측 케이스편(2b)에 장착되는 지지부(34a)와, 지지부(34a)로부터 좌측 케이스편(2a)을 향해 돌출하는 간격유지부(34b)를 갖추고 있다. 지지부(34a)는 인외부재(29)의 굴곡부(36)(도 1 참조)에 전방 및 하부로부터 마주 닿는 맞닿음부(44)와 우측 케이스편(2b)의 돌기(도시 생략)에 압입되는 복수의 취부홈(45)을 갖추어 인외부재(29)를 우측 케이스편(2b)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유지하여 상하방향으로 접촉 동작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지지부(34a)의 상단에는 스프링걸이(46)가 설치되어 스프링걸이(46)와 굴곡부(36) 사이에 인외부재(29)를 하부로 복귀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37)이 길게 설치되어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34b)에는 전선유지홈(47)과 리드선유지요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전선유지홈(47)에는 중성극단자인 전원측 단자(3a)의 도체판(16)에 접속된 한 개의 가요성 도선(22)이 다른 가요성 도선(22)로부터 격리된 상태로 보관 유지되어 있다. 리드선유지요홈(48)에는 프린트 기판(18)과 영상변류기(19) 사이에 접속된 복수 라인의 리드 선(20)이 묶여서 보관 유지되고 있다. 간격유지부(34b)는 인외부재(29)와 좌측 케이스편(2a) 사이에 측부 배선 공간을 형성하여, 지지부(34a)의 맞닿음부(44)가 하강 위치의 인외부재(29)와 차단기 케이스(2)의 저면과의 사이에 저부 배선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선공간에 전원측 단자(3)와 영상변류기(19) 사이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3 개의 가요성 도선(22)이 인외부재(29)를 전후로 횡단하도록 배선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6은 동일한 회로 차단기(1)의 내부 배선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도 3에서는 스페이서(34)를 명시하기 위해서 리드 선이 생략되어 있다. 도 7은 누전 차단기능을 갖추지 않는 회로 차단기(노우 휴즈 브레이커)(100)의 내부 배선을 나타낸다. 본 회로 차단기(100)에서는 액츄에이터로서의 전자 인외장치, 프린트 기판, 영상변류기 및 리드 선이 각각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전원측의 3 개의 가요성 도선(22)은 도 6과 같이 스페이서(34)가 형성된 배선공간에 인외부재(29)를 전후로 횡단하도록 배선되어 일단이 전원측 단자전극(6)의 도체판(16)에 접속되고 타단이 세퍼레이터(11)의 개폐접점(13)에 접속되어 있다.
도 8(a)는 전압극단자로서 사용되는 두 개의 전원측 단자(3b, 3c)의 주변 부분을 나타내며, 도 8(b)는 같은 부분을 단면(해칭 생략)으로 나타낸 것이다. 두 개의 전원측 단자전극(6)에는 도체판(16)이 구부려져 형성되고, 도체판(16)의 중간 수평부(16a)에 가동전자편(31)이 장착되며, 첨단 수직하부(16b)에 바이메탈편(32)이 장착되어 있다. 바이메탈편(32)은 전원측 단자전극(6)과 인외부재(29) 사이를 전후방향으로 신장되어 후단부(32a)가 수직하부(16b)에 용접되어 있다. 바이메탈편(32)의 전단 출력부(32b)는 윗쪽에서 구부러져 그 아래쪽 면에 가요성 도선(22)이 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회로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에는 바이메탈 편(32)이 윗쪽으로 열변형하여 출력부(32b)가 인외부재(29)의 걸어맞춤부(39)에 아래 쪽으로부터 걸어맞춰서 인외부재(29)를 상승시킨다.
도 8,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전자편(31)은 고정 철편(51)과 가동 철편(52), 탄성부재로서의 판스프링(53) 및 지지부재(54)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철편(51)은 사각형 철판(자성판)의 후단부를 하방으로 구부려 형성되고, 네 귀퉁이의 돌기(55)를 도체판(16)의 절결(56)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수평부(16a)의 위쪽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철편(52)은 사각형 철판(자성판)의 좌우 양측부를 윗쪽으로 구부려 형성되며, 도체판(16)에 끼워서 고정 철편(51)에 아래 쪽으로부터 대향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판스프링(53)은 강판제의 지지부재(54)의 일부를 위에서 뒤집어 접어서 형성되며, 가동 철편(52)이 판스프링(53)과 지지부재(54) 사이에 삽입되어 핀(57)과 구멍(58)의 코킹에 의해 지지부재(54)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재(54)는 가동 철편(52) 및 판스프링(53)과 일체로 수평부(16a)의 아래 쪽에 배치되고 고정 철편(51)이 단독으로 수평부(16a)의 위쪽에 배치된다. 고정 철편(51)은 후단에 좌우 한 벌의 축부(59)를 갖추고 있으며, 지지부재(54) 좌우의 기립편(60)의 상단구멍(61)에 축부(59)가 축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54)가 가동 철편(52)을 고정 철편(51)에 대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판스프링(53)이 지지부재(54)와 수평부(16a) 사이에 개재되어 가동 철편(52)이 고정 철편(5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가동 철편(52)은 일측의 절곡부의 앞단에 출력부(62)를 구비하여 도체판(16)에 합선 전류가 흘렀을 때에 수평부(16a)의 주위에 발생한 자력에 의해 가동 철편(52)이 판스프링(53)의 부세력에 저항해 고정 철편(51) 측으로 흡인되어 출력부(62)가 걸어맞춤부(40)에 아래 쪽으로부터 걸어맞춰져서(도 8b참조) 인외부재(29)를 윗쪽으로 구동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 차단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기회로가 통전 상태에 있을 때는(도 3 참조), 세퍼레이터(11)가 폐쇄위치로 하강하여 개폐접점(13)이 닫혀지고 조작 핸들(5)이 차단기 케이스(2)의 상면과 접합하는 수평 위치로 넘어져 있다. 그리고 개폐 기구부(25)의 래치(27)(28)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조작핸들(5)과 세퍼레이터(11) 사이의 링크(26)를 잠그어 세퍼레이터(11)가 코일스프링(12)을 압축한 상태로 폐쇄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통전상태에서 전기회로에 누전이 발생하면, 영상변류기(19)의 출력이 상승하여 프린트 기판(18)상의 누전검출회로가 누전을 검출함으로써 전자 인외장치(30)가 트립 동작한다. 그리고 전자 인외장치(30)의 출력부(30a)가 인외부재(29)를 상승시켜 인외부재(29)의 상단 압압부(42)가 래치(27)(28)를 벗어나서 개폐 기구부(25)가 링크(26)를 자유롭게 한다. 이에 따라, 세퍼레이터(11)가 코일스프링(12)의 부세력에 의해 개방위치로 상승하여 개폐접점(13)이 열림으로써 조작 핸들(5)이 차단기 케이스(2)의 상면으로부터 기립한다(도 2 참조).
한편, 전기회로에 합선 전류 또는 과전류가 흘렀을 때에는 가동전자편(31) 또는 바이메탈편(32)이 작동하여 전자 인외장치(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외부재(29)가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상승하여 세퍼레이터(11)가 개방위치로 상승하며, 이에 개폐접점(13)이 열려 조작 핸들(5)이 기립한다. 이러한 차단상태에서 전기회로를 통전상태로 되돌릴 때에는 조작핸들(5)을 기립위치에서 수평위치로 넘어뜨려 세퍼레이터(11)를 폐쇄위치로 하강시켜 개폐접점(13)을 닫는다.
본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세퍼레이터(11)를 부하측 단자(4)의 배열방향과 같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하여 형성했으므로, 세 개의 개폐접점(13)을 세퍼레이터(1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내장하여 회로 차단기(1)의 앞쪽 부분에 있어서의 내부 기기의 레이아웃을 간소화할 수 있다.
(b)인외부재(29)를 전원측 단자(3)의 배열방향과 같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늘어뜨린 상태로 형성했으므로, 전자 인외장치(30), 가동전자편(31), 바이메탈편(32)로 이루어지는 다섯 개의 액츄에이터를 전원측 단자(3)와 인외부재(29) 사이에 정연하게 배치할 수 있어서 회로 차단기(1)의 뒤쪽 부분에 있어서의 내부 기기의 레이아웃을 간소화할 수 있다.
(c)전원측 단자(3)와 개폐접점(13) 사이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3 개의 가요성 도선(22)이 인외부재(29)를 전후로 횡단하도록 배선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도선(22)끼리의 접촉을 회피하고, 얇은 상자형의 차단기 케이스(2)의 내부에 전선을 정연하게 배선할 수 있다.
(d)스페이서(34)의 간격유지부(34b)가 차단기 케이스(2)와 인외부재(29) 사이에서 가요성 도선(22)의 배선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가동기기인 인외부재(29)와 가요성 도선(22)의 접촉을 방지하여 회로 차단기(1)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e)스페이서(34)의 지지부(34a)가 인외부재(29)를 길이방향으로 접촉동작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스페이서(34)에 배선 부품으로서의 기능과 지지 부품으로서의 기능을 겸비시켜 차단기 케이스(2)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f)스페이서(34)의 전선유지홈(47)이 한 개의 가요성 도선(22)을 다른 가요성 도선(22)로부터 격리된 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전선끼리의 접촉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g)스페이서(34)에 리드선유지요홈(48)을 설치하였으므로, 여러 개의 리드 선(20)을 인외부재(29)의 근처에서 묶어 배선공간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늘려 프린트 기판(18)과 영상변류기(19) 사이에 정연하게 배선할 수 있다.
(h)스페이서(34)에 스프링걸이(46)를 설치하였으므로, 코일스프링(37)을 스페이서(34)와 인외부재(29) 사이에 길게 설치하여 이들 세 개의 부품을 미리 일체화한 상태로 차단기 케이스(2)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i)가동전자편(31)을 전원측 단자전극(6)의 도체판(16)상에 직접 취부하였으므로, 별도의 취부용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서 전원측 단자(3) 주변의 기기 레이아웃을 보다 간략화 할 수 있다.
(j) 바이메탈편(32)을 가동전자편(31)과 공통의 도체판(16)상에 취부하였으므로, 전원측 단자(3)와 인외부재(29) 사이의 한정된 공간에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집중 배치할 수 있다.
(k)고정 철편(51)과 가동 철편(52)이 도체판(16)을 상하로부터 끼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원측 단자전극(6)의 치수나 조립 위치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서도 두 개의 철편(51)(52)을 정확한 위치에서 마주 상대하게 할 수 있어 가동전자 편(31)의 동작이 안정된다.
(l)판스프링(53)이 도체판(16)과 지지부재(54) 사이에 개재하고 있으므로, 나사등의 부착부품을 사용하는 일 없이 판스프링(53)의 탄성을 이용해 가동전자편(31)을 간단하게 취부할 수 있다.
(m)가동 철편(52)이 지지되어 있는 지지부재(54)를 고정 철편(51)의 후단에 축결합하고 가동 철편(52)의 전단에 출력부(62)를 설치하였으므로, 도체판(16)에 발생한 비교적 작은 자력에서도 가동전자편(31)을 확실히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부의 형상이나 구성을 적당하게 변경해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세퍼레이터(11)와 인외부재(29)를 서로 평행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뜨려 형성하는 것.
(2)상기 실시예와는 반대로, 세퍼레이터(11)의 하강에 의해 개폐접점(13)을 열고, 전기회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
(3)가동전자편(31)의 판스프링(53)을 도체판(16) 측에 설치하는 것.
(4)본 발명을 바이메탈편이 설치되지 않은 회로 차단기에 적용하는 것.
(5)본 발명을 단상 2 선식 전기회로나 3상 전기회로용의 회로 차단기에 적용하는 것.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회로 차단기의 내부 기구를 차단 상태에서 본 우측면도,
도 3은 내부 기구를 통전 상태에서 본 좌측면도,
도 4는 내부 기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스페이서의 형상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6은 도 1의 회로 차단기의 내부 배선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7은 누전 차단기능을 갖추지 않는 회로 차단기의 내부 배선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8은 전원측 단자의 주변 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내 보이는 확대도,
도 9는 가동전자편을 위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10은 가동전자편을 아래 쪽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로차단기, 2 -- 차단기 케이스,
3 -- 전원측 단자, 4 -- 부하측 단자,
6 -- 전원측 단자전극, 11 -- 세퍼레이터,
13 -- 개폐접점, 16 -- 도체판,
20 -- 리드 선, 22 -- 가요성 도선,
29 -- 인외부재, 30 -- 전자 인외장치.
31 -- 가동전자편, 32 -- 바이메탈편,
34 -- 스페이서, 34a -- 지지부,
34b -- 간격유지부, 47 -- 전선유지홈,
51 -- 고정 철편, 52 -- 가동 철편,
53 -- 판스프링, 54 -- 지지부재,
62 -- 출력부.

Claims (8)

  1.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 부하측 단자를, 배면에 전원측 단자를 각각 상하로 복수개 배열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기회로상의 개폐접점을 개폐하는 세퍼레이터와 전기회로의 비정상 동작에 감응하는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에 연동해 세퍼레이터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외부재를 갖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와 인외부재가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접점이 세퍼레이터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전원측 단자와 인외부재 사이에서 상하로 복수개가 나란히 설치되며, 전원측 단자와 개폐접점 사이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복수 라인의 전선이 인외부재를 전후로 횡단하도록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케이스에 취부된 스페이서에 인외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접촉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인외부재와 차단기 케이스 사이에 전선의 배선 공간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에 한 개의 전선을 다른 전선으로부터 격리된 상태로 보관 유지하는 전선유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인외부재 사이에 인외부재를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길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합선 전류에 감응하는 가동전자편을 포함하고, 가동전자편이 전원측 단자전극의 도체판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전자편이 도체판에 고정되는 고정 철편과, 도체판을 사이에 두고 고정 철편에 대향하는 가동 철편 및 가동 철편을 고정 철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전자편이 가동 철편을 고정 철편에 대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갖추고, 지지부재와 도체판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 철편의 후단에 축결합하고, 가동 철편의 전단에 인외부재와 걸어맞추는 출력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1020070116412A 2006-11-21 2007-11-15 회로 차단기 KR101045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4574A JP4856522B2 (ja) 2006-11-21 2006-11-21 回路遮断器
JPJP-P-2006-00314574 2006-11-21
JP2006314576A JP4994804B2 (ja) 2006-11-21 2006-11-21 回路遮断器
JPJP-P-2006-00314576 2006-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098A KR20080046098A (ko) 2008-05-26
KR101045470B1 true KR101045470B1 (ko) 2011-06-30

Family

ID=3966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412A KR101045470B1 (ko) 2006-11-21 2007-11-15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4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624A (ja) 2001-01-26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の引外し装置
JP2003317600A (ja) 2002-04-23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
JP2006032319A (ja) 2004-06-16 2006-02-02 Kawamura Electric Inc 回路遮断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624A (ja) 2001-01-26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の引外し装置
JP2003317600A (ja) 2002-04-23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
JP2006032319A (ja) 2004-06-16 2006-02-02 Kawamura Electric Inc 回路遮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098A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4723B2 (ja) スタータおよび接触器アセンブリ
US8115129B2 (en) Switching device
US9012801B2 (en) Flexible shunt for vacuum circuit breaker
US6333845B1 (en) Power-supply breaker apparatus
JP2003045312A (ja) 漏電遮断器
KR101045470B1 (ko) 회로 차단기
CN213752600U (zh) 模块化电力切换设备
JP4856518B2 (ja) 回路遮断器
US8035467B2 (en) Add-on trip module for multi-pole circuit breaker
KR101102691B1 (ko) 회로 차단기
JP4856522B2 (ja) 回路遮断器
AU2020100774A4 (en) Modular electrical switching device
JP2727738B2 (ja) 配線用遮断器
EP0482197A1 (en) Circuit breaker
CN111883393B (zh) 一种开关装置的附件组件
KR101045465B1 (ko) 회로차단기
KR101045414B1 (ko) 회로 차단기
KR101045406B1 (ko) 회로 차단기
KR980005137A (ko) 회로차단기
US7336146B2 (en) Moving contact carrier arrangement for a circuit breaker mechanism
JP4921930B2 (ja) 回路遮断器
JP4440872B2 (ja) 回路遮断器の可動接触装置
JP4994804B2 (ja) 回路遮断器
JP4921934B2 (ja) 回路遮断器
KR101026579B1 (ko) 회로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