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783B1 -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 Google Patents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783B1
KR101043783B1 KR1020110017548A KR20110017548A KR101043783B1 KR 101043783 B1 KR101043783 B1 KR 101043783B1 KR 1020110017548 A KR1020110017548 A KR 1020110017548A KR 20110017548 A KR20110017548 A KR 20110017548A KR 101043783 B1 KR101043783 B1 KR 101043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support plate
lifting ball
filt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기화
Original Assignee
(주)한동알앤씨
한국신기술산업(주)
에스씨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알앤씨, 한국신기술산업(주), 에스씨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주)한동알앤씨
Priority to KR102011001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3Temperature indic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는 끓인 물을 넣고 일정 온도가 되었을 때 차를 넣어 차를 우려내는 차 포트로서, 끓인 물과 차를 상부에서 넣을 수 있는 포트몸체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포트몸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열손실을 적게 하며 여닫을 수 있는 뚜껑과; 상기 포트몸체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찻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차는 상기 포트몸체 내부에 남게 하는 여과필터와; 찻잔 위에 놓일 수 있게 하부가 원형이며, 상기 포트몸체의 외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 포트가 바닥에 놓일 때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고, 찻잔 위에 놓을 때는 상기 포트몸체와 여과필터와 내용물의 무게에 의해 위로 들려져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이 상하로 움직일 때 같이 움직여 상부로 올라갈 때는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고 하부로 내려올 때는 찻물의 배출이 중지되게 하는 리프팅볼과, 상기 포트몸체의 중앙 하부에 안치되고 상기 리프팅볼의 시트 역할을 하여 상기 리프팅볼이 안착될 때 찻물이 새지 않게 하는 시트바디로 이루어진 리프팅체크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찻물의 온도를 알 수 있으므로 차의 종류에 따라 찻물의 적정온도에 차를 투입할 수 있고, 여과필터가 있어 차와 찻물이 완전 분리가 되며, 손쉽게 여러 번 우려낼 수 있고, 찻잔 위에 놓기만 하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어 뜨거운 찻물을 붓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시트바디에 밀폐력증강원형홈이 형성되어 리프팅체크의 성능을 향상시켜 하부로 따르지 않을 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Description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Infusion Tea Port Poured from Bottom}
본 발명은 차를 우려내는 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온도를 알 수 있어 적정한 온도에서 차를 넣을 수 있고, 찻물과 차의 완전한 분리가 되어 따를 때 찻물과 차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되며, 몇 번이고 우려낼 수 있고, 위로 따르지 않고 컵에 올려놓으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어 찻잔에 자동으로 따르는 포트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널리 음용되는 수 많은 음료들 중에서 뜨거운 물로서 우려낸 액을 마시는 대표적인 음료로는 커피와 차를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차는 건강에도 많은 이로움이 있다 하여 특히 오늘날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중국, 한국, 일본을 중심으로 옛부터 문화의 형태인 다도로서도 발전되어온 차는 차나무의 새로 돋은 가지에서 딴 어린잎으로 제된 차잎을 뜨거운 물로 우려낸 것으로, 차잎은 보통 5월, 7월, 8월의 3차례에 걸쳐 따게 되고, 5월에 딴 차잎이 가장 좋은 것이 된다.
상기와 같은 차잎은 차나무의 잎을 가공하는 과정에서의 발효 여부에 따라 녹차잎, 홍차잎, 우룽차잎 등으로 구분되는바, 수확 직후 곧 쪄서 효소를 죽이므로써 오래 두어도 선명한 녹색을 띠게 만든 것이 녹차잎이고, 채취된 차잎을 딴 상태에서 방치하여 차잎 속의 효소가 산화작용을 일으켜 검게 변화된 것이 홍차잎이며, 차잎을 수확한 다음 처음에 햇볕을 쬐어서 시들게 한 후 실내에서 수분을 제거하면서 약간의 발효를 시킨 다음 볶아서 효소작용을 멈추게 한 것이 우룽(오룡, 烏龍)차잎이다.
상기와 같은 차잎을 뜨거운 물로 우려낸 차는, 정신을 맑게 할 뿐 아니라 항암작용과 노화방지 등의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하며, 그에 따라 근래에 그 수요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찻물을 우려내는 방법은 차를 용기에 직접 넣은 후에 온수가 더해진지며 몇 분 후에 향기로운 찻물이 만들어진다.
찻잎과 찻물은 잘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차를 마시는 사람은 무심코 마시고 난 차를 마시게 된다. 특히, 찻물이 없을수록 차를 마시는 사람은 남아 있는 차를 더 많이 마시게 되며 더욱이 차의 향기는 급속히 없어지기 때문에 여러 번 우려낼 수 없다.
제조업자는 찻잎과 찻물을 적절하게 분리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차관을 개발하였으며 이들 구조는 외컵과 이 외컵 내에 있는 내컵을 포함하고, 내컵 바닥은 테이퍼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에는 회전하는 공으로 된 찻물 차단부가 위치하여 있다. 여과망은 그 위에 놓여 있다.
내컵의 일측과 찻물을 우려내기 위한 바닥 사이에는 관통공의 정확히 하측에 연장된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원한다면, 이 연결부를 눌려 회전 공을 밀어내고 차가 여과망을 통해 걸러진 후에 외컵으로 흘러나온다.
이에 따라, 찻물이 얻어진다. 연결부를 방면시킨 후에, 온수를 연속적으로 더 할 수 있으므로 차를 여러번 우려낼 수 있다. 그러나, 어떻게 설계하든, 내컵을 외컵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 즉 내컵을 따로 사용하기 위해서 테이블 위에 놓으면 회전 공을 밀어내게 되어 차가 유출되기 때문에, 내컵을 테이블에 놓아 둘 수가 없다. 즉, 사용할 때, 외컵으로부터 차를 붓는 것이 가능하지 않음과 아울러, 내컵은 다음번에 사용하기 위해서 찻물을 우려내는데 사용한다. 더욱이, 내컵의 바닥 재료는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제조시 회전공의 크기와 모양을 다관과 완전하게 일치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회전 공과 관통공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어 찻물이 연속적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또한, 구조는 연결부 및 스프링과 다른 구성요소로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조작이 복잡해서 실수를 유발하기가 쉽다. 특히, 내컵과 외컵을 함께 사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외컵의 상측 반 공간을 내컵이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찻물을 수용하는 하측 반의 공간이 제한된다. 따라서, 다른 용기에는 사용될 수 없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출원인은 미국특허 제5,826,493호, '다관'으로 미국특허청에 출원된 특별한 다관을 고안하였다. 이러한 고안은 차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고안에서, 차관은 커버, 필터 조립체, 드립 컵, 및 유지판을 포함한다. 드립 컵은 바닥에 중앙 관통공을 갖고 있고, 필터 조립체도 중앙에 관통공을 갖고 있다. 드립 컵의 바닥 주변부는 밑으로 연장되어 연장된 벽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된 벽에는 이격된 긴 구멍과 다리부가 구비되어 있다. 유지판은 금속테, 금속테에 일체로 접속되어 있고 내부에 배치된 위치설정 리브 요소, 및 드립 컵의 다리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이격되어 있는 슬롯을 포함한다. 금속테는 연장된 벽으로 형성된 공간 내에서 드립 컵 밑에서 끼워맞추어진다. 차단부는 드립컵의 관통공을 통해 유지판의 위치설정 리브요소의 중앙에 있는 구멍에 삽입된다. 드립 컵이 평탄면상에 놓이게 되면, 금속테는 그 자신의 무게에 기인하여 긴 구멍을 따라 밑으로 미끌어진다. 드립 컵에 부어지는 커피와 같은 액체에 의해서 차단부는 드립 컵의 관통구멍 내에 밀폐되게 보유되어 누설을 피하게 된다. 드립 컵을 용기 내에 놓으면, 드립 컵의 금속테 혹은 유지판이 상방으로 밀려 차단부가 드립 컵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분리됨으로서 커피가 용기 밑으로 배출된다.
일반적인 사용에서, 이러한 신규한 구조는 효과적이다. 시험할 때는 상이한 직경의 다른 용기에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지부의 직경은 용기의 직경보다 커서 컵 몸체 밖으로 돌출하게 된다. 그러므로, 컵 몸체가 용기로부터 분리될 때, 사용자 혹은 다른 주변 물품이 쉽게 건드리게 된다. 그러므로 차단부를 관통구멍으로부터 밀어내게 되어 찻물이 누설될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도띠가 부착되어 일정 온도가 되었을 때 차를 넣을 수 있고, 여과필터가 장착되어 차와 찻물이 완전히 분리되어 여러 번 우려낼 수도 있으며, 찻잔 위에 올려놓기만 하면 찻물이 배출되고 찻잔에서 들거나 바닥에 놓으면 배출이 중지되는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는 끓인 물을 넣고 일정 온도가 되었을 때 차를 넣어 차를 우려내는 차 포트로서, 끓인 물과 차를 상부에서 넣을 수 있는 포트몸체와; 상기 포트몸체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포트몸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열손실을 적게 하며 여닫을 수 있는 뚜껑과; 상기 포트몸체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찻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차는 상기 포트몸체 내부에 남게 하는 여과필터와; 찻잔 위에 놓일 수 있게 하부가 원형이며, 상기 포트몸체의 외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 포트가 바닥에 놓일 때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고, 찻잔 위에 놓을 때는 상기 포트몸체와 여과필터와 내용물의 무게에 의해 위로 들려져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이 상하로 움직일 때 같이 움직여 상부로 올라갈 때는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고 하부로 내려올 때는 찻물의 배출이 중지되게 하는 리프팅볼과, 상기 포트몸체의 중앙 하부에 안치되고 상기 리프팅볼의 시트 역할을 하여 상기 리프팅볼이 안착될 때 찻물이 새지 않게 하는 시트바디로 이루어진 리프팅체크로 구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포트몸체에는 온도띠를 설치하여 물의 온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정온도에 차를 투입할 수 있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몸체의 내부 중앙 하부에는 상기 여과필터가 안치되는 필터 안치부와, 상기 시트바디의 외부가 안치되는 안치홈과, 상기 시트바디의 내부가 안치되고 하부로 관통되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는 시트바디안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포트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차 포트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는 상기 뚜껑을 결합할 수 있는 뚜껑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트몸체의 하단 외부에는 상기 받침판이 내부에 수용되는 받침판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 수용부는 상기 받침판의 외직경보다 크고 상기 받침판을 감싸는 원형의 외측벽과, 상기 받침판의 내직경보다 크고 상기 받침판이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가이드 역할을 하는 원형의 내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벽에는 찻물을 하부로 따르지 않을 때는 상기 받침판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와 상기 받침판의 결합된 리프팅볼이 상기 시트바디에 접합되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지 않게 일정 높이의 다수 개의 받침발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에는 상기 받침판이 내측벽을 따라 상하 이동을 할 수 있게 가이드 역할을 하는 4개소의 스리트홈이 90°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의 내부 상부에는 상기 저판이 더 이상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는 저판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스리트홈의 하부에는 상기 상하이동걸림돌기가 상기 스리트홈에 삽입되기 쉽게 브이(V)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받침판은 상기 외측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찻잔의 상부에 안착되는 저판과, 상기 저판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의 내경보다 작아 상기 내측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중간기둥과, 상기 저판의 정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팅볼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판이 상하 운동을 할 때 상기 시트바디를 개폐하는 리프팅볼 삽입기둥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기둥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리트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리트홈 내에서 상기 받침판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90°간격으로 4개의 상하이동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필터는 차가 하부로 빠져나기지 못하게 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고정하고 상기 필터안치부에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프레임과, 상기 여과필터를 상기 필터안치부에 삽입하고 배출하기 좋게 하는 배출용손잡이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팅볼과 시트바디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라버로 제작되며, 상기 리프팅볼에는 상기 시트바디와 접촉했을 때 누설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구형의 시트접촉면과,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바디에는 찻물이 배출되는 원형의 관통홀과, 상기 리프팅볼이 안착되었을 때 시트접촉면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판의 자중에 의해 접착력이 증강시키는 밀폐력증강원형홈과, 상기 포트몸체의 안치홈에 삽입되는 외부수직돌기와, 상기 안치홈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부수직돌기와, 상기 내부수직돌기가 상기 안치홈에 삽입된 후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시트바디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수평돌기가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에는 상기 삽입구에서 빠지지 않도록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팅볼의 삽입구에는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요철부가 삽입되는 요철홈이 형성된다.
상술한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의해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는 찻물의 온도를 알 수 있으므로 차의 종류에 따라 찻물의 적정온도에 차를 투입할 수 있고, 여과필터가 있어 차와 찻물이 완전 분리가 되며, 손쉽게 여러 번 우려낼 수 있고, 찻잔 위에 놓기만 하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어 뜨거운 찻물을 붓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시트바디에 밀폐력증강원형홈이 형성되어 리프팅체크의 성능을 향상시켜 하부로 따르지 않을 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찻물를 배출할 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찻물을 배출하지 않을 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포트몸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포트몸체의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여과필터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여과필터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받침판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받침판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리프팅체크 개폐 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리프팅볼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시트바디 상세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는 상기 차 포트(A)는 끓인 물과 차를 상부에서 넣을 수 있는 포트몸체(1)와; 상기 포트몸체(1)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포트몸체(1)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열손실을 적게 하며 여닫을 수 있는 뚜껑(2)과; 상기 포트몸체(1)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찻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차는 상기 포트몸체(1) 내부에 남게 하는 여과필터(3)와; 찻잔(B) 위에 놓일 수 있게 하부가 원형이며, 상기 포트몸체(1)의 외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 포트(A)가 바닥에 놓일 때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찻잔(B) 위에 놓을 때는 상기 포트몸체(1)와 여과필터(3)와 찻물의 무게에 의해 위로 들려져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받침판(4)과; 상기 받침판(4)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4)이 상하로 움직일 때 같이 움직여 상부로 올라갈 때는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고 하부로 내려올 때는 찻물의 배출이 중지되게 하는 리프팅볼(51)과, 상기 포트몸체(1)의 중앙 하부에 안치되고 상기 리프팅볼(51)의 시트 역할을 하여 상기 리프팅볼(51)이 안착될 때 찻물이 새지 않게 하는 시트바디(52)로 이루어진 리프팅체크(5)로 구성되며, 상기 포트몸체(1)에는 온도띠(6)를 설치하여 물의 온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정온도에 차를 투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몸체(1)의 내부 중앙 하부에는 상기 여과필터(3)가 안치되는 필터 안치부(11)와, 상기 시트바디(52)의 외부가 안치되는 안치홈(12)과, 상기 시트바디(52)의 내부가 안치되고 하부로 관통되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는 시트바디안치홀(13)이 형성되고, 상기 포트몸체(1)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차 포트(A)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14)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4)의 상부에는 상기 뚜껑(2)을 결합할 수 있는 뚜껑결합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포트몸체(1)의 하단 외부에는 상기 받침판(4)이 내부에 수용되는 받침판 수용부(15)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 수용부(15)는 상기 받침판(4)의 외직경보다 크고 상기 받침판(4)을 감싸는 원형의 외측벽(151)과, 상기 받침판(4)의 내직경보다 크고 상기 받침판(4)이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가이드 역할을 하는 원형의 내측벽(152)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벽(151)에는 찻물을 하부로 따르지 않을 때는 상기 받침판(4)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와 상기 받침판(4)에 결합된 리프팅볼(51)이 상기 시트바디(52)에 접합되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지 않게 일정 높이의 다수 개의 받침발(1511)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152)에는 상기 받침판(4)이 내측벽(152)을 따라 상하 이동을 할 수 있게 가이드 역할을 하는 4개소의 스리트홈(1521)이 90°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151)의 내부 상부에는 상기 저판(41)이 더 이상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는 저판걸림턱(1512)이 형성되고, 상기 스리트홈(1521)의 하부에는 상기 상하이동걸림돌기(421)가 상기 스리트홈(1521)에 삽입되기 쉽게 브이(V)홈(1522)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받침판(4)은 상기 외측벽(15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찻잔의 상부에 안착되는 저판(41)과, 상기 저판(41)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152)의 내경보다 작아 상기 내측벽(15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중간기둥(42)과, 상기 저판(41)의 정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팅볼(51)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판(4)이 상하 운동을 할 때 상기 시트바디(52)를 개폐하는 리프팅볼 삽입기둥(43)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기둥(42)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리트홈(1521)에 삽입되어 상기 스리트홈(1521) 내에서 상기 받침판(4)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90°간격으로 4개의 상하이동걸림돌기(421)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필터(3)는 차가 하부로 빠져나기지 못하게 하는 필터(31)와, 상기 필터(31)를 고정하고 상기 필터 안치부(11)에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프레임(32)과, 상기 여과필터(3)를 상기 필터 안치부(11)에 삽입하고 배출하기 좋게 하는 배출용손잡이(33)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팅볼(51)과 시트바디(52)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라버로 제작되며, 상기 리프팅볼(51)에는 상기 시트바디(52)와 접촉했을 때 누설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구형의 시트접촉면(511)과,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43)이 삽입되는 삽입구(512)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바디(52)에는 찻물이 배출되는 원형의 관통홀(521)과, 상기 리프팅볼(51)이 안착되었을 때 시트접촉면(511)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판(4)의 자중에 의해 접착력이 증강시키는 밀폐력증강원형홈(522)과, 상기 포트몸체(1)의 안치홈(12)에 삽입되는 외부수직돌기(523)와, 상기 안치홈(12)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부수직돌기(524)와, 상기 내부수직돌기(524)가 상기 안치홈(12)에 삽입된 후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시트바디(5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수평돌기(525)가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43)에는 상기 삽입구(512)에서 빠지지 않도록 요철부(431)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팅볼(51)의 삽입구(512)에는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43)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요철부(431)가 삽입되는 요철홈(5121)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찻물를 배출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찻물을 배출하지 않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포트몸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포트몸체의 A'-A"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여과필터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여과필터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받침판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받침판 상세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리프팅체크 개폐 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리프팅볼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에 따른 시트바디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차 포트(A)는 끓인 물과 차를 상부에서 넣을 수 있는 포트몸체(1)와; 상기 포트몸체(1)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포트몸체(1)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열손실을 적게 하며 여닫을 수 있는 뚜껑(2)과; 상기 포트몸체(1)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찻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차는 상기 포트몸체(1) 내부에 남게 하는 여과필터(3)와; 찻잔(B) 위에 놓일 수 있게 하부가 원형이며, 상기 포트몸체(1)의 외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 포트(A)가 바닥에 놓일 때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찻잔(B) 위에 놓을 때는 상기 포트몸체(1)와 여과필터(3)와 찻물의 무게에 의해 위로 들려져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받침판(4)과; 상기 받침판(4)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4)이 상하로 움직일 때 같이 움직여 상부로 올라갈 때는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고 하부로 내려올 때는 찻물의 배출이 중지되게 하는 리프팅볼(51)과, 상기 포트몸체(1)의 중앙 하부에 안치되고 상기 리프팅볼(51)의 시트 역할을 하여 상기 리프팅볼(51)이 안착될 때 찻물이 새지 않게 하는 시트바디(52)로 이루어진 리프팅체크(5)로 구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포트몸체(1)에는 온도띠(6)를 설치하여 물의 온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정온도에 차를 투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띠(6)은 온도 반응잉크를 도포한 라벨을 사용하며 무색 또는 지정된 색상으로 있다가 온도변화에 따라 색상이 나타나거나 사라지게 하는 것을 사용하거나 온도변화에 따라 칼라가 변하는 액정으로 구성된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부분의 차를 우려내는 온도인 70°C에서 인지가 잘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온도띠(6)를 보면 찻물의 온도를 알 수 있으므로 차의 종류에 따라 찻물의 적정온도에 차를 투입할 수 있고, 상기 여과필터(3)가 있어 차와 찻물이 완전 분리가 되며, 손쉽게 여러 번 우려낼 수 있고, 상기 찻잔(B) 위에 놓기만 하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어 뜨거운 찻물을 붓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시트바디(52)에 밀폐력증강원형홈(522)이 형성되어 상기 리프팅체크(5)의 성능을 향상시켜 하부로 따르지 않을 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차 포트(A)를 상기 찻잔(B) 위에 올려 놓았을 때, 즉 상기 찻잔(B)을 상기 받침판(4) 위에 올려 놓으면 상기 받침판(4)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받침판(4)이 내려와 있는 상태가 찻물과 상기 포트몸체(1)와 상기 여과필터(3)의 자중에 의해 상기 포트몸체(1)가 상기 스리트홈(1521) 내에서 상하이동걸림돌기(421)을 타고 내려와 상기 포트몸체(1)의 저판걸림턱(1512)에 걸려 정지하며, 상기 포트몸체(1)이 내려오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받침판(4)의 리프팅볼 삽입기둥(43)에 삽입된 상기 리프팅볼(51)은 올라간 것이 되므로, 상기 시트바디(52)와 상기 리프팅볼(51)이 밀착하여 찻물이 하부로 배출하는 것을 막고 있다가 상기 시트바디(52)와 상기 리프팅볼(51)과의 간격이 생겨서 상기 시트바디(52)의 관통홀(521)을 타고 찻물이 하부에 있는 찻잔(B)으로 배출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차 포트(A)를 바닥이나 테이블 위에 놓을 때는 받침발(1511)이 찻물과 상기 포트몸체(1)와 상기 여과필터(3)의 자중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받침판(4)과 리프팅볼(51)은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며 상기 받침판(4)의 리프팅볼 삽입기둥(43)에 삽입된 상기 리프팅볼(51)은 상기 시트바디(52)에 내려앉아 상기 관통홀(521)을 밀폐시키며, 상기 시트바디(52)에 형성된 밀폐력증강원형홈(522)에 의해 상기 시트바디(52)와 리프팅볼(51)의 밀폐력을 증진시켜 찻물의 누설을 방지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끓인 물과 차를 상부에서 넣을 수 있는 상기 포트몸체(1)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내부 찻물과 차의 상태와 찻물의 수위를 인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며, 상기 포트몸체(1)에는 온도띠(6)를 설치하여 물의 온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정온도에 차를 투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몸체(1)의 내부 중앙 하부에는 상기 여과필터(3)가 안치되는 필터 안치부(11)와, 상기 시트바디(52)의 외부가 안치되는 안치홈(12)과, 상기 시트바디(52)의 내부가 안치되고 하부로 관통되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는 시트바디안치홀(13)이 형성된다.
상기 포트몸체(1)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차 포트(A)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14)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4)의 상부에는 상기 뚜껑(2)을 결합할 수 있는 뚜껑결합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포트몸체(1)의 하단 외부에는 상기 받침판(4)이 내부에 수용되는 받침판 수용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 수용부(15)는 상기 받침판(4)의 외직경보다 크고 상기 받침판(4)을 감싸는 원형의 외측벽(151)과, 상기 받침판(4)의 내직경보다 크고 상기 받침판(4)이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가이드 역할을 하는 원형의 내측벽(152)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벽(151)에는 찻물을 하부로 따르지 않을 때는 상기 받침판(4)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와 상기 받침판(4)에 결합된 리프팅볼(51)이 상기 시트바디(52)에 접합되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지 않게 일정 높이의 다수 개의 받침발(1511)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152)에는 상기 받침판(4)이 내측벽(152)을 따라 상하 이동을 할 수 있게 가이드 역할을 하는 4개소의 스리트홈(1521)이 90°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벽(151)의 내부 상부에는 상기 저판(41)이 더 이상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는 저판걸림턱(1512)이 형성된다.
상기 스리트홈(1521)의 하부에는 상기 상하이동걸림돌기(421)가 상기 스리트홈(1521)에 삽입되기 쉽게 브이(V)홈(1522)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브이(V)홈(1522)은 상기 받침판(4)을 상기 받침판 수용부(15)에 끼울 때 상기 스리트홈(1521)에 상기 받침판(4)의 상하이동걸림돌기(421)가 끼워져야 하므로 상기 받침판(4)의 상하이동걸림돌기(421)가 상기 스리트홈(1521)에 잘들어가게 하기 위함이며, 상기 브이(V)홈(1522)은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게 되어 상기 상하이동걸림돌기(421)가 끼워진 후 잘 빠지지 않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포트몸체(1)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찻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차는 상기 포트몸체(1) 내부에 남게 하는 여과필터(3)는 차가 하부로 빠져나기지 못하게 하는 필터(31)와, 상기 필터(31)를 고정하고 상기 필터 안치부(11)에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프레임(32)과, 상기 여과필터(3)를 상기 필터 안치부(11)에 삽입하고 배출하기 좋게 하는 배출용손잡이(33)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2)은 상기 필터 안치부(11)에 타이트하게 들어가 상기 여과필터(3)를 통하지 않고 찻물이 하부로 빠지지 않게 하는 원통형의 수직프레임(321)과, 상기 필터(31)와 배출용손잡이을 잡아주는 수평프레임(322)과, 상기 필터(31)를 보강해주는 3개소의 보강프레임(3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322)의 하부에는 상기 리프팅볼(51)이 수용되는 리프팅볼 상부 인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31)은 60~80 메쉬 체(체눈의 크기 0.246~0.175mm)를 가진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조밀한 필터는 찻물이 빠지지 않고 너무 조악한 필터는 차가 빠지므로 60~80 메쉬가 바람직하다.
도 8과 도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받침판(4)는 찻잔(B) 위에 놓일 수 있게 하부가 원형이며, 상기 포트몸체(1)의 외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 포트(A)가 바닥에 놓일 때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찻잔(B) 위에 놓을 때는 상기 포트몸체(1)와 여과필터(3)와 찻물의 무게에 의해 위로 들려져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받침판(4)은 상기 외측벽(15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찻잔의 상부에 안착되는 저판(41)과, 상기 저판(41)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152)의 내경보다 작아 상기 내측벽(15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중간기둥(42)과, 상기 저판(41)의 정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팅볼(51)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판(4)이 상하 운동을 할 때 상기 시트바디(52)를 개폐하는 리프팅볼 삽입기둥(43)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43)에는 상기 삽입구(512)에서 빠지지 않도록 요철부(431)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기둥(42)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리트홈(1521)에 삽입되어 상기 스리트홈(1521) 내에서 상기 받침판(4)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90°간격으로 4개의 상하이동걸림돌기(421)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기둥(42)와 리프팅볼 삽입기둥(43) 사이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기둥(44)가 형성되고 상기 저판(41)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지름에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45)가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받침판(4)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상기 리프팅볼(51)과 상기 시트바디안치홀(13)에 안치된 상기 시트바디(52)에 대한 도면이며, 리프팅체크(5)는 상기 받침판(4)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4)이 상하로 움직일 때 같이 움직여 상부로 올라갈 때는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고 하부로 내려올 때는 찻물의 배출이 중지되게 하는 리프팅볼(51)과, 상기 포트몸체(1)의 중앙 하부에 안치되고 상기 리프팅볼(51)의 시트 역할을 하여 상기 리프팅볼(51)이 안착될 때 찻물이 새지 않게 하는 시트바디(52)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도 10-1은 찻물이 하부로 배출될 때의 상기 리프팅볼(51)과 상기 시트바디(52)가 분리된 상태이고, 도 10-2은 찻물이 하부로 배출지 않을 때의 상기 리프팅볼(51)과 상기 시트바디(52)가 밀착된 상태이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리프팅볼(51)은 상기 받침판(4)의 리프팅볼 삽입기둥(43)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4)이 상하로 움직일 때 같이 움직여 상부로 올라갈 때는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고 하부로 내려올 때는 찻물의 배출이 중지되게 하는 것이며, 하부는 상기 시트바디(52)에 안착이 잘되게 구형이고 상부는 상기 리프팅볼 상부인입부(34)가 닫지 않고 수용될 수 있도록 원추기둥 형상이다.
상기 리프팅볼(51)에는 상기 시트바디(52)와 접촉했을 때 누설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구형의 시트접촉면(511)과,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43)이 삽입되는 삽입구(512)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팅볼(51)의 삽입구(512)에는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43)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요철부(431)가 삽입되는 요철홈(5121)이 형성된다.
상기 리프팅볼(51)은 탄성이 있는 실리콘 라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시트바디(52)는 상기 포트몸체(1)의 안치홈(12) 안치되고 상기 리프팅볼(51)의 시트 역할을 하여 상기 리프팅볼(51)이 안착될 때 찻물이 새지 않게 한다.
상기 시트바디(52)에는 찻물이 배출되는 원형의 관통홀(521)과, 상기 리프팅볼(51)이 안착되었을 때 시트접촉면(511)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판(4)의 자중에 의해 접착력이 증강시키는 밀폐력증강원형홈(522)과, 상기 포트몸체(1)의 안치홈(12)에 삽입되는 외부수직돌기(523)와, 상기 안치홈(12)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부수직돌기(524)와, 상기 내부수직돌기(524)가 상기 안치홈(12)에 삽입된 후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시트바디(5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수평돌기(525)가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시트바디(52)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라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팅볼(51)이 상기 시트바디(52)의 관통홀에 안착되면 리프팅볼 접촉링(526)이 상기 밀폐력증강원형홈(522) 쪽으로 찌그러지는 공간이 상기 밀폐력증강원형홈(522)에 의해 생기므로 밀폐력이 향상되어 찻물의 누설이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는 찻물의 온도를 알 수 있으므로 차의 종류에 따라 찻물의 적정온도에 차를 투입할 수 있고, 여과필터(3)가 있어 차와 찻물이 완전 분리가 되며, 손쉽게 여러 번 우려낼 수 있고, 찻잔 위에 놓기만 하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어 뜨거운 찻물을 붓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으며, 시트바디(52)에 밀폐력증강원형홈(522)이 형성되어 리프팅체크(5)의 성능을 향상시켜 하부로 따르지 않을 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촉: 차 포트 B : 찻잔
1 : 포트몸체 11 : 필터 안치부
12 : 안치홈 13 : 시트바디안치홀
14 : 손잡이 141 : 뚜껑결합부
15 : 받침판수용부 151 : 외측벽
1511 : 받침발 1512 : 저판걸림턱
152 : 내측벽 1521 : 스리트홈
1522 : 브이홈 2 : 뚜껑
3 : 여과필터 31 : 필터
32 : 프레임 321 : 수직프레임
322 : 수평프레임 323 : 보강프레임
33 : 배출용손잡이 34 : 리프팅볼 상부인입부
4 : 받침판 41 : 저판
42 : 중간기둥 421 : 상하이동걸림돌기
43 : 리프팅볼 삽입기둥 431 : 요철부
44 : 보강기동 45 : 보강리브
5 : 리프팅체크 51 : 리프팅볼
511 : 시트접촉면 512 : 삽입구
5121 : 요철홈 52 : 시트바디
521 : 관통홀 522 : 밀폐력증강원형홈
523 : 외부수직돌기 524 : 내부수직돌기
525 : 내부수평돌기 6 : 온도띠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끓인 물을 넣고 일정 온도가 되었을 때 차를 넣어 차를 우려내는 차 포트(A)에 있어서,
    상기 차 포트(A)는 끓인 물과 차를 상부에서 넣을 수 있는 포트몸체(1)와;
    상기 포트몸체(1)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포트몸체(1)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열손실을 적게 하며 여닫을 수 있는 뚜껑(2)과;
    상기 포트몸체(1)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찻물은 하부로 배출되고 차는 상기 포트몸체(1) 내부에 남게 하는 여과필터(3)와;
    찻잔(B) 위에 놓일 수 있게 하부가 원형이며, 상기 포트몸체(1)의 외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 포트(A)가 바닥에 놓일 때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찻잔(B) 위에 놓을 때는 상기 포트몸체(1)와 여과필터(3)와 찻물의 무게에 의해 위로 들려져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받침판(4)과;
    상기 받침판(4)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4)이 상하로 움직일 때 같이 움직여 상부로 올라갈 때는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고 하부로 내려올 때는 찻물의 배출이 중지되게 하는 리프팅볼(51)과, 상기 포트몸체(1)의 중앙 하부에 안치되고 상기 리프팅볼(51)의 시트 역할을 하여 상기 리프팅볼(51)이 안착될 때 찻물이 새지 않게 하는 시트바디(52)로 이루어진 리프팅체크(5)로 구성되고,
    상기 포트몸체(1)의 내부 중앙 하부에는 상기 여과필터(3)가 안치되는 필터 안치부(11)와, 상기 시트바디(52)의 외부가 안치되는 안치홈(12)과, 상기 시트바디(52)의 내부가 안치되고 하부로 관통되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는 시트바디안치홀(13)이 형성되고,
    상기 포트몸체(1)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차 포트(A)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14)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4)의 상부에는 상기 뚜껑(2)을 결합할 수 있는 뚜껑결합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포트몸체(1)의 하단 외부에는 상기 받침판(4)이 내부에 수용되는 받침판 수용부(15)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 수용부(15)는 상기 받침판(4)의 외직경보다 크고 상기 받침판(4)을 감싸는 원형의 외측벽(151)과, 상기 받침판(4)의 내직경보다 크고 상기 받침판(4)이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가이드 역할을 하는 원형의 내측벽(152)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벽(151)에는 찻물을 하부로 따르지 않을 때는 상기 받침판(4)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와 상기 받침판(4)에 결합된 리프팅볼(51)이 상기 시트바디(52)에 접합되어 찻물이 하부로 배출되지 않게 일정 높이의 다수 개의 받침발(1511)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152)에는 상기 받침판(4)이 내측벽(152)을 따라 상하 이동을 할 수 있게 가이드 역할을 하는 4개소의 스리트홈(1521)이 90°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4)은 상기 외측벽(15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찻잔의 상부에 안착되는 저판(41)과, 상기 저판(41)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152)의 내경보다 작아 상기 내측벽(15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중간기둥(42)과, 상기 저판(41)의 정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팅볼(51)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판(4)이 상하 운동을 할 때 상기 시트바디(52)를 개폐하는 리프팅볼 삽입기둥(43)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기둥(42)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리트홈(1521)에 삽입되어 상기 스리트홈(1521) 내에서 상기 받침판(4)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90°간격으로 4개의 상하이동걸림돌기(421)가 형성되며,
    상기 여과필터(3)는 차가 하부로 빠져나기지 못하게 하는 필터(31)와, 상기 필터(31)를 고정하고 상기 필터 안치부(11)에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프레임(32)과, 상기 여과필터(3)를 상기 필터 안치부(11)에 삽입하고 배출하기 좋게 하는 배출용손잡이(33)로 구성되고,
    상기 리프팅볼(51)과 시트바디(52)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라버로 제작되며,
    상기 리프팅볼(51)에는 상기 시트바디(52)와 접촉했을 때 누설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구형의 시트접촉면(511)과,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43)이 삽입되는 삽입구(512)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바디(52)에는 찻물이 배출되는 원형의 관통홀(521)과, 상기 리프팅볼(51)이 안착되었을 때 시트접촉면(511)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판(4)의 자중에 의해 접착력이 증강시키는 밀폐력증강원형홈(522)과, 상기 포트몸체(1)의 안치홈(12)에 삽입되는 외부수직돌기(523)와, 상기 안치홈(12)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부수직돌기(524)와, 상기 내부수직돌기(524)가 상기 안치홈(12)에 삽입된 후 누설을 방지하고 상기 시트바디(5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수평돌기(525)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43)에는 상기 삽입구(512)에서 빠지지 않도록 요철부(431)가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볼(51)의 삽입구(512)에는 상기 리프팅볼 삽입기둥(43)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요철부(431)가 삽입되는 요철홈(5121)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151)의 내부 상부에는 상기 저판(41)이 더 이상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는 저판걸림턱(1512)이 형성되고,
    상기 스리트홈(1521)의 하부에는 상기 상하이동걸림돌기(421)가 상기 스리트홈(1521)에 삽입되기 쉽게 브이(V)홈(1522)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KR1020110017548A 2011-02-28 2011-02-28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KR101043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48A KR101043783B1 (ko) 2011-02-28 2011-02-28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48A KR101043783B1 (ko) 2011-02-28 2011-02-28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783B1 true KR101043783B1 (ko) 2011-06-22

Family

ID=4440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548A KR101043783B1 (ko) 2011-02-28 2011-02-28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1586A (zh) * 2017-09-08 2017-11-21 王宝生 一种莲花茶壶
CN110840256A (zh) * 2019-12-18 2020-02-28 天津市远大工贸有限公司 一种茶壶过滤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8827A (en) 1999-06-02 2000-05-09 Lin Tien; Yu-Mei Structure of a tea flushing device
KR200190910Y1 (ko) * 2000-02-22 2000-08-01 유-메이 린 티엔 다관
KR20010090910A (ko) * 2000-04-08 2001-10-22 이기열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6327965B1 (en) 2000-07-03 2001-12-11 Yu-Mei Lin Tien Safety and drain-preventing infusing tea maker
KR20090114304A (ko) * 2008-04-29 2009-11-03 아뱅코인터내셔널주식회사 차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8827A (en) 1999-06-02 2000-05-09 Lin Tien; Yu-Mei Structure of a tea flushing device
KR200190910Y1 (ko) * 2000-02-22 2000-08-01 유-메이 린 티엔 다관
KR20010090910A (ko) * 2000-04-08 2001-10-22 이기열 증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6327965B1 (en) 2000-07-03 2001-12-11 Yu-Mei Lin Tien Safety and drain-preventing infusing tea maker
KR20090114304A (ko) * 2008-04-29 2009-11-03 아뱅코인터내셔널주식회사 차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1586A (zh) * 2017-09-08 2017-11-21 王宝生 一种莲花茶壶
CN107361586B (zh) * 2017-09-08 2018-08-28 王宝生 一种莲花茶壶
CN110840256A (zh) * 2019-12-18 2020-02-28 天津市远大工贸有限公司 一种茶壶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653B2 (en) Coffee maker brew basket
US8516949B2 (en) Tea pot with check valve
AU2014234493B2 (en) Method, device and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US20060180030A1 (en) Hot beverage maker brew basket adaptor
US20120216682A1 (en) Tea-maker having a closable pouring spout
US8671826B2 (en) Brew through lid, assembly of a thermal carafe and a brew through lid as well as a coffee maker including such an assembly
US20090272276A1 (en) Infusion maker
CN112601478A (zh) 用于从悬浮物分离提取物的***和方法
CN201767626U (zh) 自动止逆型泡茶壶
KR101043783B1 (ko) 찻물을 하부로 따르는 차 우려내는 포트
CN201029774Y (zh) 一种自动出液壶
CN205923625U (zh) 一种冲泡器具
CN102342711A (zh) 自动止逆型泡茶壶
JP2011235078A (ja) 飲料用ポット
KR101606524B1 (ko) 콜드브류 커피 또는 차 추출장치
ES2928102T3 (es) Aparato de remojo y métodos para preparar una bebida
CN207803972U (zh) 一种卡接式可茶水分离的密封保温茶杯
US202003835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CN209983933U (zh) 一种能够自动沥水的陶瓷茶具
CN213405638U (zh) 一种抬升式虹吸自动茶具
CN209136088U (zh) 水罐
CN202016675U (zh) 一种便携冲泡杯
CN204032964U (zh) 一种水果泡杯
CN218551998U (zh) 一种平衡茶漏结构及双底茶壶
US20230380621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