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202B1 -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mire ring light and focus light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mire ring light and focus light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202B1
KR101043202B1 KR1020080104729A KR20080104729A KR101043202B1 KR 101043202 B1 KR101043202 B1 KR 101043202B1 KR 1020080104729 A KR1020080104729 A KR 1020080104729A KR 20080104729 A KR20080104729 A KR 20080104729A KR 101043202 B1 KR101043202 B1 KR 101043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ye
focus
light image
optome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5676A (en
Inventor
김형욱
이원준
심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to KR102008010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202B1/en
Publication of KR2010004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6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2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마이어링 광과 포커스 광을 이용한 피검안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검안기가 개시된다. 상기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검안기는 피검안의 각막에 링 형태의 측정광을 조사하는 마이어링(mire ring) 광원; 상기 각막으로부터 반사되는 마이어링 광 이미지를 검출하는 제1 결상광학계; 및 상기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로부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피검안의 각막이 광학축에 정렬되도록, 상기 산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위치로부터 검안기 광학계의 상하 및 좌우방향 이동량을 산출하는 연산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안기는 상기 마이어링 광원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검안의 각막에 두 개의 점 형태의 측정광을 조사하는 포커스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각막으로부터 반사되는 포커스 광 이미지는 상기 제1 결상광학계에서 검출되며, 상기 연산제어장치는 상기 검출된 포커스 광 이미지로부터, 포커스 광 이미지의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피검안의 각막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크기 및 포커스 광 이미지의 크기로부터, 상기 검안기 광학계의 전후방향 이동량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isclosed are a method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n eye to be examined using a miring light and a focus light, and an optometry using the same. The position-adjustable optometry includes: a miring ring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ring-shaped measurement light to the cornea of the eye; A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for detecting a mirroring light image reflected from the cornea; And calculat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miring light image from the detected miring light image, an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optometry optics from the position of the calculated miring light image so that the cornea of the eye to be aligned with the optical axis. And an arithmetic and control device for calculating the movement amount. Here, the optometry includes a focus light sourc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irroring light source and irradiating the measurement light in the form of two dots to the cornea of the eye, and the focus light image reflected from the cornea is in the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And the arithmetic and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ize of the focus light image from the detected focus light image, and adjusts the size of the miring light image and the focus light image so that the cornea of the eye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amount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from the size.

검안기, 마이어링 광, 포커스 광, 포커스 간격, 각막 곡률 측정.  Optometry, measuring light, focus light, focus interval, corneal curvature measurement.

Description

마이어링 광 및 포커스 광을 이용한 검안기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검안기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mire ring light and focus light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optometrist using a miring light and a focus light and an optometry using the same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mire ring light and focus light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검안의 측정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검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어링 광과 포커스 광을 이용한 피검안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검안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hthalmoscop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ey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eye using a mirroring light and a focus light and an optometry using the same.

검안기의 피검안의 굴절력 및 각막 곡률과 같은 피검안의 상태를 측정하는 광학 장치로서, 특히 자동 검안기는 크게 광학부, 전자부 및 기계부로 이루어지는 광전자 계측시스템이다. 상기 광학부는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지는 조준광과 측정광을 모두 출사할 수 있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 출사 광학계, 출사된 광을 집속하여 피검자의 안구로 입사시키는 대물렌즈부, 안구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진로를 변경하는 미러와 광 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광검출 광학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검출 센서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 연산장치로 전송 하고, 상기 중앙처리 연산장치는 이를 처리하기 위한 계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피검안에 대한 정보를 구해낸다. 자동 검안기를 이용한 시력 측정은,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시력 도표를 이용한 자각식 시력 측정 방법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진다.As an optical device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eye, such as refractive power and corneal curvature of the eye of the optometrist, in particular, the automatic optometry is largely an optoelectronic measuring system comprising an optical part, an electronic part, and a mechanical part. The optical unit includes a light output optical system including a light source capable of emitting both aiming light and measuring light having different intensities, an objective lens unit focusing the emitted light and entering the eye of the subject, and a path of light reflected from the eye. It includes a photodetecting optical system including a mirror to change and a photo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an optical signal. The optical detection sensor converts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pplies a calculation algorithm for processing the same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eye to be examined. Vision measurement using an automatic optometry, through this process, is faster and more precisely incomparable to the subjective vision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visual acuity chart.

상기 광검출 광학계는, 피검안이 검안기 광학계의 광학 축 상에서 광학계의 초점 거리에 위치할 때, 피검안의 안구로부터 반사된 측정광이 가장 정확하게 결상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피검안이 상기 측정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검안자는 검안기의 화면상으로 출력되는 조준광의 신호와 조준 상태 표시를 주시하여, 검안기의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피검안의 측정 위치를 조정한다. 하지만 피검안자가 자동 검안기를 이용한 검안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피검안의 시선이 산만하게 움직이기 쉬우며, 검안자 역시 안구의 운동을 좇아, 검안기를 조작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측정 위치를 선택하기 쉬우며, 부정확한 측정 결과를 만드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The optical detection optical system is designed such that the measurement light reflected from the eye of the eye to be imaged most accurately when the eye is position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on the optical axis of the eye system.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ccurate measurement results, it is important for the eye to be positioned at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this purpose, the optometrist observes the signal of the aiming light and the indication of the aiming stat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optometrist, and manipulates the joystick of the eyepiece Adjust the measuring position. However, if the subject is unfamiliar with the optometry using the automatic optometry, the eye of the eye is easily distracted, and the optometrist also follows the movement of the eye, so it is not easy to operate the optometry, so the wrong measurement position is selected. It is easy to do and is the main cause of inaccurate measurement result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검안기 특히 검안기의 광학계가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피검안이 정확한 측정 거리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검안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오토 얼라인먼트(auto alignment) 기능을 탑재한 검안기 및 다수의 오토 얼라인먼트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오토 얼라인먼트 방법은, 피검안의 안구로 얼라인먼트 정보를 얻기 위한 특수한 신호광을 투영하고, 피검안의 안구에 서 반사된 얼라인먼트 신호광을 검출하고, 연산제어장치에서 산출한 신호광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검안기의 위치를 조정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오토 얼라인먼트 방법을 이용하는 검안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통상적인 오토 얼라인먼트 방법을 이용하는 검안기에 있어서, 얼라인먼트 신호광 및 지표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력 측정 광학계로서 광학계의 중심축 상에 반사 미러(70), 대물렌즈(75), 개구된 미러(73), 조리개(35), 투영 렌즈(33), 투영 조리개(32) 및 얼라인먼트 광원 및 공용하는 측정 광원(31)이 있으며, 개구된 미러(73)의 반사 방향으로 6분할 조리개 및 프리즘(63), 수광 렌즈(62), 2차원 광검출 소자(61)가 있다. 얼라인먼트 광학계로서, 외안 조명 광원을 겸하는 얼라인먼트 지표 광원(20a, 20b), 수광 렌즈(47), 프리즘 조리개(44), 결상 렌즈(42), 2차원 광검출 소자(41)가 있으며, 상기 프리즘 조리개(44) 상에는 원반상의 조리개 판에 수평으로 3개의 개구부가 있으며, 중앙의 개구부를 제외한 좌우의 개구부에는 얼라인먼트 광원의 파장만을 투과시키는 얼라인먼트용의 프리즘이 접착되어 있다. 상기 프리즘 조리개(44)를 통과하는 얼라인먼트 광원은, 2차원 광검출 소자(41) 상에서 중앙 개구부에서 굴절 없이 투과된 휘점(95b, 도 2 참조), 좌측의 개구부에서 위쪽 방향으로 굴절된 휘점(95a), 우측의 개구부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굴절된 휘점(95c)으로 투과되어, 결상렌즈(42)에 의해 광검출 소자(41)에 결상되며, 얼라인먼트 지표 광원은 프리즘 조리개(44)의 중심의 개구부만을 통과하여, 광검출 소자(41)에 결상된다. 도 2의 도면번호 91 및 92는 광검출 소자(41)에 결상된 얼라인먼트 지표광 이미지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응시투영 광학계로서, 전 반사 미러(54), 응시유도렌즈(53), 응시차트(52), 응시투영광원(51)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ptometrist and a large number of autos equipped with an auto alignment function, which allows the optical system of the optometrist, in particular, the optometrist to be driven, to automatical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optometrist so that the subject is positioned at the correct measurement distance. Alignment methods are known. The general auto alignment method projects a special signal light for obtaining alignment information into the eye of the eye, detects the alignment signal light reflected from the eye of the eye, and us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light calculated by the arithmetic and control device. Adjust the posi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optometry using a conventional auto alignment method,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lignment signal light and an indicator light in an optometry using a conventional auto alignment method. As shown in FIG. 1, the reflective mirror 70, the objective lens 75, the opened mirror 73, the aperture 35, the projection lens 33, and the projection aperture on the central axis of the optical system as the refractive power measuring optical system. And an alignment light source and a common measurement light source 31, which include a six-split aperture and prism 63, a light receiving lens 62, and a two-dimensional photodetection element 61 in the reflection direction of the opened mirror 73. There is. As the alignment optical system, there are alignment indicator light sources 20a and 20b serving as external illumination light sources, a light receiving lens 47, a prism aperture 44, an imaging lens 42, and a two-dimensional light detecting element 41, and the prism aperture On the 44, there are three openings horizontally on the disk-shaped diaphragm, and the alignment prism for transmitting only the wavelength of the alignment light source is adhered to the openings on the left and right except the central opening. The alignment light source passing through the prism stop 44 has a bright point 95b (see FIG. 2) transmitted without refraction at the central opening on the two-dimensional light detecting element 41, and a bright point 95a refracted upward in the left opening. ), Th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bright spot 95c refracted downward from the opening of the right side, and is imaged on the photodetector element 41 by the imaging lens 42. The alignment indicator light source is the opening of the center of the prism aperture 44 only. It passes and forms an image on the photodetecting element 41. Reference numerals 91 and 92 in FIG. 2 denote alignment surface light images formed on the photodetecting device 41. As a general gaze projection optical system, a total reflection mirror 54, a gaze induction lens 53, a gaze chart 52, and a gaze projection light source 51 are included.

피검자의 시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응시투영광원(51)에서 출사된 가시광선은 응시차트(52) 및 응시유도렌즈(53)를 통과하여, 응시차트(52)의 이미지를 피검안의 망막(2)에 결상한다. 피검안의 위치를 산출하여, 측정을 위한 적정 위치로 검안기 광학계의 위치 조정, 즉 얼라인먼트를 수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측정 광원(31)에서 투사한 측정광은, 피검안의 각막(3)에서 반사되어, 반사 미러(70), 수광 렌즈(47), 반사 미러(46)를 통과한 뒤, 프리즘 조리개(44)의 3개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2차원 광검출 소자(41)에서 3개의 휘점으로 결상된다. 상기 프리즘 조리개(44)를 통과하는 측정광은 프리즘 조리개(44)의 좌우의 개구부에 접착된 프리즘에 의해 굴절되어, 피검안이 검안기 광학계로부터 전후(Z) 방향으로 적정 위치에 있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속된 3개의 휘점으로 결상되며, 피검안이 적정 위치보다 뒤쪽에 있으면,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속된 3개의 휘점으로 결상된다. 피검안이 적정 위치보다 앞쪽에 있으면,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속된 3개의 휘점으로 결상된다. 따라서 3개의 휘점 사이의 X 좌표 관계로부터, 전후(Z) 방향으로의 얼라인먼트 상태를 산출할 수 있으며, 중앙의 휘점 (95b)의 X, Y 좌표로부터, 상하(Y), 좌우(X) 방향의 얼라인먼트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피검안이 상하(Y), 좌우(X) 방향으로 검안기 광학계의 광학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상기 3개의 휘점이 상기 광검출 소자(41)에서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 조명을 겸하는 얼라인먼트 지표광(91, 92)이 결상된 2개의 휘점의 중간 지점의 X, Y 좌표로부터, 상하(Y), 좌우(X) 방향으로의 얼라인먼트 상태를 산출하여, 대략적인 광학계의 위치 조정을 수행한 뒤, 프리즘 조리개(44)에 의한 3개의 휘점을 검출하여, 상세한 얼라인먼트를 수행한다. 검안기의 위치 조정이 종료되고, 피검안이 적정 위치에 있으면, 측정 광원(31)에서 투사한 측정광은 투영 조리개(32)에 의해 집광되고, 투영 렌즈(33)에 의해 대물렌즈(75)에서 1차 결상되며, 대물렌즈(75), 반사 미러(70)를 투과하여, 피검안의 안저(2)에서 결상되며, 반사광은 다시 대물렌즈(75)로 입사된다. 입사된 반사광은 반사 미러(73)를 거쳐, 6분할 조리개 및 프리즘(63)에서 6개의 광성분으로 분할되고, 2차원 광검출 소자(61)에서 수광되도록 굴절되며, 광검출 소자(61)에서 검출된 6점의 휘점상의 위치 관계로부터 피검안의 굴절력을 측정할 수 있다. In order to fix the subject's gaz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gaze projection light source 51 passes through the gaze chart 52 and the gaze induction lens 53, and the image of the gaze chart 52 is transferred to the retina 2 of the eye. To image.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eye to be examined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to the proper position for measurement, that is, performing the alignment is as follows. The measurement light projected by the measurement light source 31 is reflected by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passes through the reflection mirror 70, the light receiving lens 47, and the reflection mirror 46, and then the prism aperture 44 is removed. It passes through three openings and is formed into three bright spots in the two-dimensional photodetecting element 41. The measurement light passing through the prism stop 44 is refracted by a prism adhered to the left and right openings of the prism stop 44 so that the eye is in a proper position in the front-back (Z) direction from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and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is formed into three vertically continuous bright spots, and when the eye to be examined is behind the proper position, the image is inclined clockwise to form three consecutive bright spots. If the eye to be examined is ahead of the proper position, it is inclined counterclockwise to form three consecutive bright spots. Therefore, the alignment state in the front-back (Z) direction can be calculated from the X co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bright points, and from the X, Y coordinates of the central bright point 95b, the upper and lower (Y) and left and right (X) directions The alignment state can be calculated. In this case, when the eye to be examined is far from the optical axis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in the up-down (Y) and left-right (X) directions and the three bright spots are not detected by the light detecting element 41, an alignment index which also serves as external illumination. From the X, Y coordinates of the midpoints of the two bright spots in which the lights 91 and 92 are formed, the alignment state in the up-down (Y) and left-right (X) directions is calculated, and the position of the optical system is approximately adjusted. The three bright spots detected by the prism stop 44 are detected, and detailed alignment is performed. When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optometrist is finished and the eye to be examined is in the proper position, the measurement light projected by the measurement light source 31 is collected by the projection aperture 32 and 1 by the projection lens 33 to the objective lens 75. The image is gradually imaged, passes through the objective lens 75 and the reflection mirror 70, and forms an image in the fundus 2 of the eye to be examined, and the reflected light is incident again to the objective lens 75. The incident reflected light is divided into six light components in the six-split aperture and prism 63 via the reflecting mirror 73, and is refracted to be received by the two-dimensional photodetecting device 61, and in the photodetecting device 61. The refractive power of the eye to be examined can be measured from the detected positional relationship on the bright spots of six points.

상기 오토 얼라인먼트를 구현하는 통상적인 검안기는 피검안과 검안기 사이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신호 광원이나 신호광을 결상하기 위한 광학계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검안기의 경우, 얼라인먼트를 위한 신호 광원이 측정 광원을 겸하지만, 원거리에서 대략적인 위치 조정을 위하여 얼라인먼트 지표 광원(20a, 20b)을 사용하며, 각막으로부터 반사된 얼라인먼트 광이 Z축으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굴절시키기 위한 프리즘 조리개(44)와 프리즘 조리개(44)를 통과한 얼라인먼트 광을 검출하기 위한 결상광학계를 사용한다. 얼라인먼트를 위한 전용의 광학계를 사용하는 것은 검안기 광학계 구성을 복잡하게 할 뿐 아니라, 비교적 고가의 광학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생산 비용을 높이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인, 등록 특허 10-0722162호에는, 각막곡률 측정을 위한 마이어링을 이용하여 검안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눈물이나 눈꺼풀 걸림 Conventional optometry implementing the auto alignment includes a separate signal light source or an optical system for forming a signal light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between the eye and the eye. In the conventional optometry, the signal light source for alignment serves as the measurement light source, but the alignment indicator light sources 20a and 20b are used for coarse position adjustment at a long distance, and the alignment light reflected from the cornea is positioned on the Z axis. In order to include the information, an optical system for detecting the prism stop 44 for refracting and the alignment light passing through the prism stop 44 is used. Using a dedicated optical system for alignment not only complic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bu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by using a relatively expensive optical component. In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Patent No. 10-0722162 discloses a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optometry by using a miring for measuring corneal curvature, and tearing or eyelid jamming.

등 피검안의 특성에 의해 마이어링의 선명도가 영향을 받기 쉬워, 초점 상태에 대한 기준을 만들기 어렵고, 최초의 위치 조정 시 Z축 상에서 어긋나 있는 방향과 정확한 오차 거리를 알지 못하므로, 위치 조정을 위한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The sharpness of the miring is easi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ye, and it is difficult to make a reference for the focus state, and the time for adjusting the position is not known because the direction on the Z axis and the exact error distance are not known at the time of the initial adjustment.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unnecessarily long.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위치 조정 장치가 필요 없는, 기계적 구조가 간단한 피검안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검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eye with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which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an optomet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 조정 범위가 넓고, 위치 조정이 정확하고 신속한 피검안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검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eye, and an optometry using the same, having a wide range of position adjustment, accurate position adjustment, and rapi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검안의 각막에 링 형태의 측정광을 조사하는 마이어링(mire ring) 광원; 상기 각막으로부터 반사되는 마이어링 광 이미지를 검출하는 제1 결상광학계; 및 상기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로부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피검안의 각막이 광학축에 정렬되도록, 상기 산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위치로부터 검안기 광학계의 상하 및 좌우방향 이동량을 산출하는 연산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검안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검안기는 상기 마이어링 광원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검안의 각막에 두 개의 점 형태의 측정광을 조사하는 포커스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각막으로부터 반사되는 포커스 광 이미지는 상기 제1 결상광학계에서 검출되며, 상기 연산제어장치는 상기 검출된 포커스 광 이미지로부터, 포커스 광 이미지의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피검안의 각막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크기 및 포커스 광 이미지의 크기로부터, 상기 검안기 광학계의 전후방향 이동량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irror ring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the ring-shaped measurement light to the cornea of the eye; A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for detecting a mirroring light image reflected from the cornea; And calculat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miring light image from the detected miring light image, an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optometry optics from the position of the calculated miring light image so that the cornea of the eye to be aligned with the optical axis. An optometr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 position including a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calculating a movement amount is provided. Here, the optometry includes a focus light sourc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irroring light source and irradiating the measurement light in the form of two dots to the cornea of the eye, and the focus light image reflected from the cornea is in the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And the arithmetic and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ize of the focus light image from the detected focus light image, and adjusts the size of the miring light image and the focus light image so that the cornea of the eye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amount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from the size.

본 발명에 따른 피검안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검안기는, 검안기에 구비된 각막 곡률 측정에 사용되는 마이어링 광 및 포커스 광을 이용하여, 피검안의 위치를 조정하므로, 별도의 위치 조정 장치 및 수단이 필요 없어, 기계적 구조가 간단해지며,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피검안의 위치 조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피검안의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검안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검안기는, 결상되는 범위가 큰 마이어링 광을 이용하여, 피검안의 위치 조정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광범위한 위치 조정이 가능해지는 특징이 있다.The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ye to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tometry using the same, adjusts the position of the eye to be examined using a meering light and a focus light used for corneal curvature measurement provided in the optometrist. There is no need, the mechanical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cost is reduced.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eye to be adjusted is made quickly and accurately, thereby, there is a feature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state of the eye. In addition,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ye to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tometry using the sam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adjustment process of the eye is performed by using a myring light having a large image forming range, so that a wide range of position adjustment is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검안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에 있어서, 각막에 형성된 마이어링 광 및 포커스 광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djustment method and the optometry using the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miring light and a focus light image formed on the cornea in the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검안기는 피검안(1)에 마이어링 측정광을 조사하는 마이어링 광학계(120), 피검안에 굴절력을 측정하도록 측정광을 조사하는 굴절력 광원 광학계(150), 상기 마이어링 측정광이 결상되고 검출되는 제1 결상광학계(140), 상기 굴절력 측정광이 결상되고 검출되는 제2 결상광학계(160), 연산제어장치(180) 및 피검안(1)의 시선을 고정하기 위한 차트 이미지 생성부(130)를 포함하며, 다수의 반사 미러(171, 173, 175, 176) 및 편광 빔 스플리터(170, beam splitter)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이어링 광학계(120)는 상기 피검안(1)의 각막(3)에 두 개의 점 형태의 측정광을 조사하는 포커스 광원(127, 128)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positionable optometr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asuring light to measure refractive power in the eye, an optical system 120 for irradiating a measuring light to the eye 1, the eye to be measured. The optical power source optical system 150 for irradiating the light source 150, the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140 is formed by the mirroring measurement light is detected, the second imaging optical system 160 is formed by the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light is detected,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180 And a chart image generator 130 for fixing the eye of the eye to be examined 1,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ion mirrors 171, 173, 175, and 176 and a polarization beam splitter 170. . In addition, the mirroring optical system 120 includes focus light sources 127 and 128 that irradiate the measurement light in the form of two dots on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상기 마이어링 광학계(120)는 피검안(1)의 각막(3)에 검안기 광학계(10)의 위치 정보 취득 및 피검안(1)의 각막 곡률 측정을 위한 마이어링(mire ring) 측정광 및 포커스 측정광을 조사하는 수단으로, 마이어링 광을 발생시키는 마이어링 광 원(122a, 122b), 상기 마이어링 광원(122a, 122b)으로부터 출사된 마이어링 광이 피검안(1)의 각막(3)에 링 형상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마이어링(121)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마이어링 광원(122a, 122b) 중심부에 위치하며, 피검안(1)의 각막(3)에 좌우로 하나씩의 점 형태의 포커스 광을 형성시키는 포커스 광원(127, 128), 상기 포커스 광원(127, 128)으로부터 출사되고, 핀홀(124, 126)을 통과한 포커스 광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시준렌즈(123, 125, collimation lens)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어링 광원(122a, 122b)으로는 링 형상의 발광 소자(LED) 배열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포커스 광원(127, 128)으로는 동일한 발광 소자(LED)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어링 광원(122a, 122b)으로부터 조사된 마이어링 광은 피검안(1)의 각막(3)에 링 형태의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를 형성하고, 포커스 광원(127, 128)으로부터 조사된 포커스 광은 피검안(1)의 각막(3)에 점 형태의 두 개의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를 형성한다.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위치는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중심점(192)을 통하여 나타나며,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크기는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R)으로 나타난다. 또한,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의 크기는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의 간격(F)으로 나타난다.The miring optical system 120 acquir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ptical system 10 on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and a miring ring measurement light and focus for measuring the curvature of the cornea of the eye to be examined 1. As a means for irradiating the measurement light, the light sources 122a and 122b for generating the light, and the light beams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s 122a and 122b are applied to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In the ring-shaped to include a mirror ring (121), and also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ight source (122a, 122b), one point on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Focus light sources 127 and 128 for forming focus light, collimation lenses 123 and 125 which emit light from the focus light sources 127 and 128 and pass the pinholes 124 and 126 into parallel light. ). An array of ring-shaped light emitting devices (LEDs) may be used as the mirroring light sources 122a and 122b, and the same light emitting devices (LEDs) may be used as the focus light sources 127 and 128.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ligh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s 122a and 122b forms a ring shaped light image 191 on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Focus light irradiated from the focus light sources 127 and 128 forms two focus light images 195 and 196 in the form of spots on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The location of the lighting optical image 191 is shown through the center point 192 of the lighting optical image 191, the size of the lighting optical image 191 is the diameter (R) of the lighting optical image 191 appear. In addition, the sizes of the focus light images 195 and 196 are represented by the spacing F of the focus light images 195 and 196.

상기 제1 결상광학계(140)는, 피검안(1)의 각막(3)에서 반사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제4 릴레이 렌즈(142)와 제1 광검출기(141)를 포함하며, 연산제어장치(18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마이어링 광 원(122a, 122b)에서 조사된 마이어링 광 및 포커스 광원(127, 128)에서 조사된 포커스 광은 피검안(1)의 각막에서 반사되어, 제2 반사미러(171), 제3 반사미러(173) 및 제4 릴레이 렌즈(142)를 통하여, 제1 광검출기(141)에 결상되며, 상기 결상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는 상기 연산제어장치(180)에서 광학계(10)의 위치 정보로 산출된다.The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140 is a means for detecting a miring light image and a focus light image reflected from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and the fourth relay lens 142 and the first photodetector ( 141, a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180. The miring light irradiated from the miring light sources 122a and 122b and the focus light irradiated from the focus light sources 127 and 128 are reflected by the cornea of the eye to be examined 1, so that the second reflection mirror 171 may be formed. Through the three reflecting mirrors 173 and the fourth relay lens 142, an image is formed on the first photodetector 141, and the image forming mirroring optical image and the focus optical image are transferred to the optical control unit 180 in the optical control unit 180. 10).

상기 굴절력 광원 광학계(150)는 피검안(1)의 망막(2)에 굴절력 측정광의 광점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굴절력 측정광을 발생시키는 광원(151), 상기 광원(151)으로부터 출사된 측정광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시준렌즈(152)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제어장치(18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광원(151)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SLD(super luminescent diode)등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상광학계(160)는 망막(2)에서 반사된 신호광을 모으는 대물렌즈(164), 상기 신호광을 평행하게 만드는 결상렌즈(163), 상기 결상렌즈(163)를 통과한 신호광이 제2 광검출기(161)에서 초점이 맺도록 하는 미소렌즈어레이(162, micro lens array)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광검출기(141) 및 제2 광검출기(161)로는 통상적인 2차원 영상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트 이미지 생성부(130)는, 피검안(1)의 시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차트 이미지를 조사하는 수단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램프(131), 상기 램프(131)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선을 통과시키는 차트(132), 상기 차트(132)에서 형성된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제3 릴레이 렌즈(133)를 포함한다. The refractive power light source optical system 150 is a means for forming a light point of the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light in the retina 2 of the eye to be examined 1, the light source 151 for generating the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light, the measuremen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51 And a collimating lens 152 for converting light into parallel light,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180. As the light source 151,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aser diode (LD), a super luminescent diode (SLD), or the like may be widely used. The second imaging optical system 160 includes an objective lens 164 for collecting signal light reflected from the retina 2, an imaging lens 163 for parallelizing the signal light, and a signal light passing through the imaging lens 163. It includes a micro lens array (162, 162) to focus on the photodetector (161). As the first photodetector 141 and the second photodetector 161, a conventional two-dimensional image device may be used. The chart image generation unit 130 is a means for irradiating a chart image for fixing the eye of the eye to be examined 1, and a lamp 131 for irradiating visible light and a visible light irradiated from the lamp 131. It includes a chart 132 to pass through, a third relay lens 133 for transmitting the image formed in the chart 132.

상기 연산제어장치(180)는, 상기 제1 결상광학계(14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 결상광학계(140)에서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로부터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하고,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로부터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의 크기를 산출한다. 따라서, 상기 연산제어장치(180)는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위치로부터, 상기 피검안(1)의 각막(3)이 광학축에 정렬되도록 검안기 광학계(10)의 상하 및 좌우 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검안기 광학계(10)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크기 및 상기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의 크기로부터 상기 피검안(1)의 각막(3)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검안기 광학계(10)의 전후 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검안기 광학계(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아울러, 상기 연산제어장치(180)는 상기 산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위치 및 크기로부터 상기 피검안(1)의 각막(3)의 곡률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연산제어장치(180)는 상기 제2 결상광학계(16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2 결상광학계(160)에서 검출된 굴절력 측정광 이미지로부터 상기 굴절력 측정광 이미지 정보를 산출하여, 이를 기초하여, 피검안(1)의 굴절력을 측정한다.The operation control device 180 is connected to the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140,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miring optical image 191 from the miring optical image 191 detected by the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140. And the size, and calculates the sizes of the focus light images 195 and 196 from the focus light images 195 and 196. Accordingly, the arithmetic and control device 180 adjust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amounts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10 so that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is aligned with the optical axis from the position of the miring light image 191. It calculates and moves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10 to an up-down, left-right direction. Also. From the size of the miring light image 191 and the size of the focus light image 195, 196, the cornea 3 of the eye 1 is position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The amount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is calculated to move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180 measures the curvature of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from the calculated position and size of the lighted optical image 191.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18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maging optical system 160 to calculate the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light image information from the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light image detected by the second imaging optical system 160, Based on this, the refractive power of the eye to be examined 1 is measured.

상기 연산제어장치(180)가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 및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로부터 검안기 광학계(1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검안기의 광학계(10)의 이동량을 산출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에 있어서, 측정 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안기 광학계(10)의 광학축은 검출된 제1 결상광학계(140)의 이미지(145)의 중심점에 위치하도록 정렬되어 있고, 각막에서 형성된 마이어링 광(191)의 중심점(192) 위치는 피검안(1)의 각막(3)의 정점 또는 동공의 중심점 위치에 근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145) 상에서 상기 중심점(192) 위치의 좌표 관계로부터, 연산제어장치(80)가 검안기 광학계(10)를 X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좌우방향 위치 오차(ΔX)와 Y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상하방향 위치 오차(ΔY)를 산출한다. 따라서, 이를 기초하여, 연산제어장치(180)는 검안기의 광학계(10)를 우측으로 'ΔX'만큼 이동시키고, 아랫방향으로 'ΔY'만큼 이동시킨다. 따라서, 이를 기초하여, 연산제어장치(180)는 X축 방향에서'ΔX'가 음(-)의 값을 가지면 검안기 광학계(10)를 우측으로 '|ΔX|'만큼 이동시키고, 양(+)의 값을 가지면 좌측으로 '|ΔX|'만큼 이동시키며, Y축 방향에서'ΔY' 가 음(-)의 값을 가지면 아랫방향으로 '|ΔY|' 만큼 이동시키고, 양(+)의 값을 가지면 윗방향으로 |ΔY| 만큼 이동시킨다. 특히, 상기 마이어링 광은 피검안(1)이 광학축과 근접하지 않더라도, 연산제어장치(180)에서 충분히 식별이 가능한 신호광으로써 기능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검안기는, 정점의 형상으로 투사되는 일반적인 신호광을 이용하는 통상적인 검안기보다 더 넓은 영역에서 광학계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The operation controller 180 calculat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ptometrist optical system 10 from the miring optical image 191 and the focus optical images 195 and 196 and calculates the movement amount of the optical system 10 of the optometrist. Is the same as 5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miring light image during measurement, in the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optical axis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10 is align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point of the image 145 of the detected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140, and the center point of the myring light 191 formed in the cornea. The position 192 may be approximated to the position of the apex or the center of the pupil of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Therefore, from the coordinate relationship of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192 on the image 145, the left and right position error (ΔX) and Y-axis direction for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80 to move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10 in the X-axis direction. The vertical position error ΔY for moving to is calculated. Therefore, based on this,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180 moves the optical system 10 of the optometrist by 'ΔX' to the right, and by 'ΔY'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refore, based on this, the operation controller 180 moves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10 to the right by '| ΔX |' when the 'ΔX' has a negative value in the X-axis direction, and positive (+). If you have a value of '| ΔX |', move it to the left by '| ΔX |', and if 'ΔY' has a negative value in the Y-axis direction, move to '| ΔY |' Move by, and a positive value increases | ΔY | Move by. In particular, since the miring light functions as a signal light that can be sufficiently identified by the arithmetic and control device 180 even if the eye 1 is not close to the optical axis, the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ddition, the optical system can be positioned in a wider area than a conventional optometrist using a general signal light projected in the shape of a vertex.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에 있어서, 피검안이 측정광의 초 점 거리 안쪽에 위치하는 경우(A), 피검안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B) 및 피검안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C),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는 피검안(1)이 검안기 광학계(10)의 초점 거리에 위치할 때, 상기 피검안의 각막(3) 위에서 가장 선명한 마이어링 광을 형성하며, 마이어링 광 주변으로 번짐 현상(Blurring)도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안(1)이 광학계(10)의 초점 거리에 위치할 때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b)을 기준으로 하면, 상기 피검안(1)의 위치가 초점 거리보다 안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Ra)은 더 커지고(도 6, (A) 참조), 초점 거리의 바깥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Rc)은 더 작아진다(도 6, (C) 참조). 즉, 피검안(1)이 광학계(10)의 초점 거리와의 관계에서, 'Ra > Rb > Rc'의 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시준렌즈(123, 125)에 의해, 평행광으로 바뀐 포커스 광은 피검안(1)의 측정 위치에 관계없이 각막 상에서 일정한 지점에 포커스 광점(195, 196)을 형성하고, 각각의 포커스 광점 사이의 거리(Fa, Fb, Fc)는 거의 동일하다. 또한, 피검안(1)의 검안기로부터의 측정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면,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R)과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 사이의 거리(F)는 각막곡률에 비례하여 커지고, 이로부터 R 과 F 의 차이인 포커스 간격 'D=R-F'도 커진다.6 illustrates an eye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ye is positioned inside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A), the eye is position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B), and the eye is the focus of the measurement light. When located outside the distance (C), it is a figure which shows a mirroring light image and a focus light image. The miring light image 191 forms the sharpest miring light on the cornea 3 of the eye when the eye 1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optometrist optical system 10, and surrounds the miring light. No blurring occurs. As shown in FIG. 6, when the eye 1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10, when the diameter Rb of the miring optical image is referenced, the position of the eye 1 is determined by the focal length. The farther inward direction, the larger the diameter Ra of the miring light image 191 (see FIG. 6, (A)), and the farther away the focal length, the miring light image 191 ) Diameter Rc becomes smaller (see Fig. 6, (C)).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relationship of Ra> Rb> Rc is establish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ye to be examined 1 and the foc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10. On the other hand, by the collimating lenses 123 and 125, the focus light changed into parallel light forms the focus light points 195 and 196 at a certain point on the cornea irrespective of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eye to be examined 1, and the respective focus light points. The distances Fa, Fb, and Fc between them are almost the same. Also, if the measurement position from the optometrist of the eye to be examined 1 does not change, the distance F between the diameter R of the mirroring light image 191 and the focus light images 195 and 196 is proportional to the curvature of the cornea. This increases the focus interval 'D = R-F',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R and F.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에 있어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 및 포커스 간격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은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R)을 나타내며, X축은 포커스 간격(D)을 나타낸다. 직선 'L'은 피검안(1)이 광학계(10)의 초점 거리에 위치할 때, 각막 곡률의 변화에 따른,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R) 및 포커스 간격(D)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직선 'Mk'은 각막 곡률 'k'인 피검안(1)이 광학계(10)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지 않을 때, 즉, 상기 피검안(1)의 측정 위치가 달라질 때,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R) 및 포커스 간격(D)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두 직선의 교점(197)은 측정 거리에 의한 포커스 오차가 없는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k) 및 포커스 간격(Dk)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막곡률이 'k'인 피검안(1)의 측정 시, 검출된 마이어링의 직경(R')과 포커스 간격(D')에 대하여, 직선 L 로부터 구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과의 차이(ΔR=R'-R")는 측정 거리에 의한 포커스 상태의 판단 기준이 된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iameter and a focus interval of a miring light image in an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Y axis represents the diameter R of the miring light image 191, and the X axis represents the focus interval D. FIG. The straight line 'L' indicates the diameter (R) and the focusing interval (D) of the mirroring optical image 191 according to the change in corneal curvature when the eye 1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10. The relationship is shown. The straight line 'Mk' is the mirroring optical image when the eye 1 having corneal curvature 'k' is not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10, ie, when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eye 1 is ch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R of the 191 and the focus interval D is shown. The intersection point 197 of the two straight lines represents the diameter Rk and the focus interval Dk of the miring light image without focus error due to the measurement distance. Therefore, when measuring the eye 1 having the corneal curvature of 'k', the diameter R of the miering optical image obtained from the straight line L with respect to the diameter R 'and the focus interval D' of the detected miring (R "). ) And the difference (ΔR = R'-R ")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focus state based on the measurement distance.

상술한 피검안(1)의 측정 위치와 각막곡률에 대한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 및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로부터, 상기 검안기의 광학계(10)가 Z축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위치 오차(ΔZ)를 산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8a 및 8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에 있어서, 피검안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 안쪽에 위치하는 경우 및 피검안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 검안기 광학계의 전후 방향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막곡률이 k인 피검안(1)이 광학계(10)의 초점 거리 바깥쪽에 위 치할 때, 측정 오차가 없는 경우의 직선 'L' 및 측정 오차가 있는 경우의 직선 'Mk'를 나타낸다. 즉, 상기 직선 'L'은 각막곡률의 측정 가능 범위 내에서, 일정한 곡률(kj)을 갖는 모형안(Model Eye)들이 정확한 초점 거리 상에 위치할 때, 각각의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 Rj 과 포커스 간격 Dj의 관계로부터 직접 산출되며, 직선 'Mk'는 피검안(1)이 임의의 측정 거리상에 위치할 때, 검출되는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과 포커스 간격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직선 'L'로부터 포커스 간격 D1 에 해당하는, 측정 거리가 정확할 경우의 이상적인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 R1'을 구하면, R1 과 R1'의 차이가 Z축 방향의 위치 오차(ΔZ=R1-R1')가 되고, 상기 ΔZ가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 이내이면, Z축 상에서 초점 거리에 위치한다고 판단한다. 상기 ΔZ가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ΔZ의 부호는 Z축 상에서 광학계의 이동 방향, 상기 ΔZ의 크기(|ΔZ|)는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 위치에서 위치오차 'ΔZ' 만큼 Z축으로의 위치오차가 보상된 위치로 검안기 광학계를 이동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오차 ΔZ가 양(+)의 값을 가지면, 피검안(1)이 초점 거리의 바깥쪽에 위치하므로, 검안기 광학계(10)를 피검안(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오차 ΔZ가 음(-)의 값을 가지면, 피검안(1)이 광학계(10)의 초점 거리의 안쪽에 위치하므로, 검안기 광학계(10)를 피검안(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ΔZ의 크기(|ΔZ|)만큼 이동한다. From the above-mentioned mirroring light image 191 and focus light images 195 and 196 for the measurement position and corneal curvature of the eye 1, the optical system 10 of the optometrist is in the Z-axis direction, that is, the front-rear direction.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error ΔZ for moving is as follows. 8A and 8B illustrate the forward and rearward movement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when the eye is located inside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and when the eye is located outside the focal distance of the measurement light, respectively, in the optomet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following. As shown in FIG. 8A, when the eye to be examined 1 having a corneal curvature k is positioned outside the foc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10, a straight line 'L' when there is no measurement error and a straight line when there is a measurement error Represents 'Mk'. That is, the straight line 'L' is within the measurable range of corneal curvature, when each model eye having a constant curvature k j is located on the correct focal length, each of the miring light images 191 Calculated directly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R j and the focus interval D j , the straight line 'M k '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and the focus interval of the miring light image detected when the eye 1 is positioned at an arbitrary measurement distance. It is shown. If the diameter R1 'of an ideal miring light image 191 corresponding to the focus distance D1 is accurate from the straight line' L ', the difference between R1 and R1'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error in the Z-axis direction (ΔZ = R1). -R1 '), and when (DELTA) Z is in an allowable error range, it is determined that it is located in a focal length on a Z axis. When the ΔZ is out of the tolerance range, the sign of the ΔZ indicat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tical system on the Z axis, and the magnitude of the ΔZ (| ΔZ |) indicates the moving distance, and the Z axis by the position error 'ΔZ' from the current position. Move the optometry optics to the position where the position error is compensated for. As shown in FIG. 8A, when the position error ΔZ has a positive value, since the eye 1 is located outside the focal leng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10 approaches the eye 1 8B, when the position error ΔZ has a negative value, since the eye to be examined 1 is located inside the foc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10, the eyepiece optical system 10 is to be examin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1), it moves by the magnitude of ΔZ (| ΔZ |).

상기 검안기 광학계(10)의 이동이 종료한 위치에서, 상기 피검안(1)으로부터의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R2)과 포커스 간격(D2)은 여전히 포커스 오차 그래프인 직선 Mk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과정을 반복하며, 이에 따라, 피검안(1)이 초점 거리에 위치할 때의 'RK'과 포커스 간격 'DK'에 가까워지고, 피검안(1)을 초점 거리의 허용 오차 범위 내로 위치시킬 수 있다. 실제로 직선 'L'과 직선 'Mk' 의 변화율의 차이는 충분히 크며, 적당한 측정 거리의 오차 허용 범위를 고려할 때, 상술한 위치 보정 과정을 1 내지 2회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피검안(1)을 초점 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검안기 광학계(10)의 이동이 종료되지 않았더라도, 이동 중의 측정 위치에서 결상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 및 포커스 간격으로부터 Z축으로의 위치 오차(ΔZ)를 연속적으로 갱신함으로써, 위치 조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위치 조정 중의 피검안의 위치 변화에 대해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At the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the optometrist optical system 10 is finished, the diameter R2 and the focus interval D2 of the miring light image 191 from the eyepiece 1 are still on the straight line M k, which is a focus error graph. If the position is to be repeated,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and thus, the eye 1 becomes closer to the 'R K ' and the focus distance 'D K ' when the eye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and the eye 1 is focused on the focal length. It can be located within the tolerance range of. In fa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the straight line 'L' and the straight line 'M k' is sufficiently large, and considering the error tolerance of the suitable measuring distance, the above-described position correc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or twice. ) Can be positioned at the focal length. If necessary, even if the movement of the optometrist optical system 10 is not finished, by continuously updating the positioning optical image 191 and the position error ΔZ from the focus interval to the Z-axis formed in the measurement position during the movemen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and to react quickly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eye under examination during the adjust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의 위치 조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의 위치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의 위치 조정 방법은,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S 10); 마이어링 광 이미지로부터 검안기 광학계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검안기의 상하 및 좌우위치 조정 단계 및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로부터 검안기 광학계를 전후방향 으로 이동하는 검안기의 전후위치 조정단계를 포함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djustment method of the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optometrist may include detecting a miring light image and a focus light image (S 10); Adjusting the up, down,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optometrist that moves the optometry optics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miring light image; .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S 10)는, 피검안(1, 도 3 참조)의 각막(3)에 마이어링 광원(122a, 122b) 및 포커스 광원(127, 128)을 통하여, 링 형태의 마이어링 광 및 두 개의 점 형태의 측정광을 조사하고, 제1 결상광학계(140, 도 3 참조)에 결상된 상기 각막으로부터 반사되는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 도 5 참조) 및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5)를 검출하는 단계이다.In the detecting of the miring light image and the focus light image (S 10), the light sources 122a and 122b and the focus light sources 127 and 128 are applied to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see FIG. 3). Through the irradiation, the ring-shaped meiring light and the two point-shaped measurement light are irradiated, and the reflected light image 191, FIG. 5 reflected from the cornea formed in the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140 (see FIG. 3). ) And the focus light images 195 and 195.

상기 검안기의 상하 및 좌우위치 조정단계는, 피검안(1)의 각막(3)이 광학축에 정렬되도록 검안기의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 도 5 참조)로부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중심점(192)을 구하는 단계(S 20);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중심점(192)이 허용 범위인지 판단하는 단계(S 22); 및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중심점(192)이 허용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검안기 광학계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 24)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중심점을 구하는 단계(S 20)는, 제1 결상광학계(140)에서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로부터, 연산제어장치(180, 도 3 참조)를 통하여,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위치, 즉,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중심점(192)의 위치를 구하고, 또한, 상기 제1 결상 광학계(140)의 이미지(145, 도 5 참조)의 중심(198)을 기준으로,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중심점(192)의 위치와 상기 중심(198)과의 거리인, 상기 위치 오차(ΔX, ΔY)를 구 한다. 상기 허용 범위인지 판단하는 단계(S 22)는, 상기 피검안(1)의 각막(3)이 광학축이 정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중심점(192)의 위치가 허용 범위 이내인지 여부로 판단한다. 상기 허용 범위는, 검안기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0.13 내지 0.26 mm 이다. 상기 검안기 광학계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 24)는,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중심점(192)의 위치가 허용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검안기 광학계(10, 도 3 참조)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상기 위치 오차(ΔX, ΔY)만큼 각각 이동한다. 또한,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중심점(192)의 위치가 허용 범위인 경우, 상기 검안기 광학계의 이동하지 않으며, 상기 검안기의 전후위치 조정단계가 진행된다. 또한, 상기 검안기 광학계(10)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검안기를 이동한 후, 상기 검출단계(S 10) 및 검안기의 상하 및 좌우위치 조정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중심점(192)이 허용 범위인지 여부, 즉, 피검안(1)의 각막(3)이 광학축에 정렬되어 있는지 재확인한 후, 상기 검안기의 전후위치 조정단계를 진행한다.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and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optometry is to adjust the upper and lower and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optometrist so that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aligned with the optical axis, as shown in FIG. Obtaining a center point 192 of the miring light image (S20) from the miring light image 191 (see FIG. 5); Determining whether a center point 192 of the miring light image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S 22); And moving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center point 192 of the mirroring optical image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S 24). In operation S 20, the center point of the mirroring optical image may be obtained from the mirroring optical image 191 detected by the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140 through a calculation control device 180 (see FIG. 3). The position of the optical image 191, that is,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192 of the miring optical image is obtained, and also referred to the center 198 of the image 145 of the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140 (see FIG. 5). As a result, the position errors ΔX and ΔY, which are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192 and the center 198 of the mirroring optical image, are obtained. Determining whether the allowable range (S 22),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optical axis is aligned, the location of the center point 192 of the miring light image Judgment is made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allowable r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optometry properties, and is typically 0.13 to 0.26 mm. Moving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S 24), when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192 of the mirroring optical image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see Fig. 3) up and down Each of the position errors ΔX and ΔY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192 of the mirroring optical image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does not move, and the front-back position adjustment step of the optometry is performed. In addition, when moving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10 in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after moving the optometry, performing the detection step (S 10) and the adjustment of the upper and lower and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optometry, the miring light image After reconfirming whether the center point 192 of the eyepiece is within the permissible range, that is, the cornea 3 of the eyepiece 1 is aligned with the optical axis, the step of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eyepiece is performed.

상기 검안기의 전후위치 조정단계는, 상기 피검안(1)의 각막(3)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도록 검안기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1) 및 포커스 간격(D1=R1-F1)을 산출하는 단계(S 30); 기준 시,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 및 포커스 간격(D'=R'-F')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S 31); 전후방향 위치오차(ΔZ=R1-R')를 구 하는 단계(S 32);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허용 범위인지 판단하는 단계(S 33); 및 상기 검안기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S 35, S 36, S 37)를 포함한다. The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ment of the optometry is a step of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optometrist so that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as shown in FIG. Calculating a diameter R1 and a focusing interval D1 = R1-F1 of the evening light image (S30); Calcul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iameter R 'and a focus interval D' = R'-F 'of the miring light image at reference (S31); Obtaining a front-rear position error (ΔZ = R1-R ') (S 32); Determining whether the front-rear position error ΔZ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S 33); And moving the optometr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 35, S 36, and S 37).

상기 측정 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1) 및 포커스 간격(D1=R1-F1)을 산출하는 단계(S 30)는, 상기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 도 5 참조) 및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로부터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R1) 및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의 거리(F1)를 산출하고, 상기 직경(R1) 및 거리(F1)로부터 포커스 간격(D1=R1-F1)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이는, 피검안(1)의 각막(3)과 측정광의 초점 거리의 위치 관계에 따라,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의 직경(R1)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기준 시,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 및 포커스 간격(D'=R'-F')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S 31)는, 상기 피검안(1)의 각막(3)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과 포커스 광 이미지의 거리(F')를 산출하고,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과 포커스 광 이미지의 거리(F')로부터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 및 포커스 간격(D'=R'-F')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R1-R')를 구하는 단계(S 32)는, 상기 포커스 간격(D1)에 해당하는 측정 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1)과 기준 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으로부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R1-R')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허용 범위인지 판단하는 단계(S 33)는, 피검안(1)의 각막(3)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허용 범위는 검안기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0.54 내지 0.72 mm 이다. 상기 검안기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피검안(1)의 각막(3)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도록, 검안기 광학계(10, 도 3 참조)를 이동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허용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양수(+) 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S 35),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양수(+)이면, 상기 검안기 광학계(10)를 피검안(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ΔZ|'만큼 이동하고(S 37),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음수(-)이면, 상기 검안기 광학계(10)를 상기 피검안(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ΔZ|'만큼 이동한다(S 36). 또한,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허용 범위 이내인 경우, 진행이 종료된다. 아울러, 검안기의 위치 조정 방법은, 상기 검안기 광학계(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검안기의 이동 후, 피검안(1)의 각막(3)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를 검출하고(S 39), 상기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191) 및 포커스 광 이미지(195, 196)를 기초하여, 상기 검안기의 전후위치 조정단계를 수행한다.In the measuring, the calculating of the diameter R1 and the focusing interval D1 = R1-F1 of the miring light image (S30) may be performed by using the miring light image 191 detected in the detecting step (see FIG. 5). And calculating the diameter R1 of the miring light image 191 and the distance F1 of the focus light images 195 and 196 from the focus light images 195 and 196, and the diameter R1 and the distance F1. It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focus interval D1 = R1-F1 from the above. This means that the diameter R1 of the miring light image 191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and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When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R ') and the focusing interval (D' = R'-F ') of the miring light image at the reference (S 31), the cornea (3) of the eye 1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the diameter R 'of the miring light image and the distance F' of the focus light image are calculated, and the diameter R 'of the miring light image and the focus light image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R 'and the focusing interval D' = R'-F 'of the miring light image from the distance F'. The step S32 of obtaining the front-rear position error ΔZ = R1-R 'may be performed by measuring the diameter R1 of the mirroring optical image R1 and the reference mirroring optic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ocus interval D1. From the diameter R, it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front-back position error ((DELTA) Z = R1-R '). The step S33 of determining whether the front-rear position error ΔZ is within the permissible range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rnea 3 of the eye 1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and the permissible range i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it is typically 0.54 to 0.72 mm. The step of moving the optometry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a step of moving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10 (see FIG. 3) so that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When (ΔZ)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front and rear position error (ΔZ) is positive (+) (S 35), and if the front and rear position error (ΔZ) is positive (+), the optometry If the optical system 10 moves in the direction closer to the eye to be examined 1 by '| Z' (S 37), and the front-rear position error ΔZ is negative (-), the optometrist optical system 10 is mo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eye to be examined 1, it moves by '| Z |' (S 36). Further, when the front-rear position error ΔZ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process ends. In addition, the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optometrist is to check whether the cornea 3 of the eye to be examined 1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after moving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Detects a miring light image and a focus light image (S 39), and performs a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ment step of the optometry based on the detected miring light image 191 and the focus light images 195 and 196. .

상기 검안기 광학계(10)의 위치 조정 단계가 종료된 후, 피검안(1)의 굴절력 측정 및 각막 곡률 측정 작업이 진행된다. 상기 피검안(1)의 굴절력 측정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굴절력 측정 광원(151)에서 출사된 측정광은 시준 렌즈(152), 제1 반사 미러(176) 및 빔 스플리터(170)를 통과하여, 피검안(1)의 망 막(2)으로 투영되고, 상기 망막(2)에서 반사되고 다시 입사된 측정광은 빔 스플리터(170)를 통과하고, 대물렌즈(164)와 결상 렌즈(163)를 거쳐, 미소렌즈어레이(162)에서 다수의 광성분으로 분할되어, 제2 광검출기(161) 상으로 결상되며, 검출된 광점들의 위치 관계로부터 피검안(1)의 굴절력을 측정한다. 상기 피검안(1)의 각막곡률 측정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어링 광원(122a, 122b)에서 출사된 측정광이 마이어링(121)을 통과하며, 링 형상의 마이어링 광으로 각막(3)으로 투영되고, 포커스 광원(127, 128)에서 출사된 측정광이 핀홀(124, 126)과 시준렌즈(123, 125)에 의해, 평행광으로 바뀐 광점 형상의 포커스 광으로 투영되어, 각막(3)에서 반사된 마이어링 광과 포커스 광이 제2 반사 미러(171)와 릴레이 렌즈(72), 제3 반사 미러(73)를 거쳐, 제4 릴레이 렌즈(142)를 통과하여, 제1 광검출기(141)에 결상되어, 제1 결상광학계(140)에서 검출된다. 상기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의 위치 관계로부터 피검안의 각막곡률을 측정한다.After the position adjustment step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10 is finished, the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and corneal curvature measurement work of the eye to be examined 1 is performed. The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operation of the eye to be examined 1 is as follows. The measurement light emitted from the refractive power measuring light source 151 passes through the collimating lens 152, the first reflection mirror 176 and the beam splitter 170, and is projected onto the retina 2 of the eye to be examined 1. The measurement light reflected from the retina 2 and then incident again passes through the beam splitter 170, passes through the objective lens 164 and the imaging lens 163, and is formed into a plurality of light components in the microlens array 162. The image is divided and formed on the second photodetector 161, and the refractive power of the eye 1 to be measured is measured from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detected light points. The corneal curvature measurement operation of the eye to be examined 1 is as follows. The measuremen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s 122a and 122b passes through the light ring 121, is projected to the cornea 3 by a ring-shaped mirror light,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focus light sources 127 and 128. The pinholes 124 and 126 and the collimating lenses 123 and 125 project the light spot-shaped focus light turned into parallel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and the focu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cornea 3 are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on mirror ( 171, a relay lens 72, a third reflection mirror 73, a fourth relay lens 142, and an image formed on the first photodetector 141 to be detected by the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140. do. The corneal curvature of the eye to be measured is measured from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cted miring light image and the focus light image.

도 1은 통상적인 오토 얼라인먼트 방법을 이용하는 검안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optometry using a conventional auto alignment method.

도 2는 통상적인 오토 얼라인먼트 방법을 이용하는 검안기에 있어서, 얼라인먼트 신호광 및 지표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lignment signal light and ground light in an optometry using a conventional auto alignment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에 있어서, 각막에 형성된 마이어링 광 및 포커스 광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miring light and a focus light image formed on the cornea in the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에 있어서, 측정 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miered light image during the measurement in the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에 있어서, 피검안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 안쪽에 위치하는 경우, 피검안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및 피검안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6 illustrates an eye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ye is positioned inside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when the eye is position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and when the eye is outside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A diagram representing a miring light image and a focus light imag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에 있어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 및 포커스 간격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7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iameter and a focus interval of a miring light image in an optomet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8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에 있어서, 피검안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 안쪽에 위치하는 경우 및 피검안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 검안기 광학계의 전후 방향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8A and 8B illustrate the forward and rearward movement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when the eye is located inside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and when the eye is located outside the focal distance of the measurement light, respectively, in the optomet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fo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의 위치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optometr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피검안의 각막에 링 형태의 측정광을 조사하는 마이어링(mire ring) 광원;A mirror ring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ring-shaped measurement light to the cornea of the eye to be examined; 상기 각막으로부터 반사되는 마이어링 광 이미지를 검출하는 제1 결상광학계;A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for detecting a mirroring light image reflected from the cornea; 상기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로부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피검안의 각막이 광학축에 정렬되도록, 상기 산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위치로부터 검안기 광학계의 상하 및 좌우방향 이동량을 산출하는 연산제어장치; 및 From the detected miring light image,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miring light image are calculated,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amounts of the optometry optics from the calculated position of the miring light image so that the cornea of the eye to be aligned with the optical axis. Arithmetic and control device for calculating a; And 상기 마이어링 광원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검안의 각막에 두 개의 점 형태의 측정광을 조사하는 포커스 광원을 포함하며,A focus light source positioned at a center of the lighting light source and irradiating measurement light in the form of two dots to the cornea of the eye; 상기 각막으로부터 반사되는 포커스 광 이미지는 상기 제1 결상광학계에서 검출되며, 상기 연산제어장치는 검출된 포커스 광 이미지로부터, 포커스 광 이미지의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피검안의 각막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크기 및 포커스 광 이미지의 크기로부터, 상기 검안기 광학계의 전후방향 이동량을 산출하며,The focus light image reflected from the cornea is detected by the first imaging optical system, and the arithmetic and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ize of the focus light image from the detected focus light image, and the cornea of the eye to be examined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Calculating an amount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from the size of the miring light image and the size of the focus light image, 여기서, 상기 검안기 광학계의 전후방향 이동량 산출은,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로부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1), 포커스 광 이미지의 거리(F1) 및 포커스 간격(D1=R1-F1)을 산출하고; 상기 피검안의 각막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 포커스 광 이미지의 거리(F') 및 포커스 간격(D'=R'-F')을 산출하며; 상기 포커스 간격(D1)에 해당하는 측정 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1)과 기준 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으로부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 R1-R')를 구하며;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허용 범위인지 판단하고;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허용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양수(+)이면, 상기 검안기 광학계를 피검안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ΔZ|'만큼 이동하고,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음수(-)이면, 상기 검안기 광학계를 상기 피검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ΔZ|'만큼 이동하도록 산출되는 것인,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검안기.Here, the calculation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mount of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includes the diameter R1 of the mirroring light image, the distance F1 of the focus light image, and the focus interval D1 = R1- from the detected mirroring light image and the focus light image. Calculate F1); When the cornea of the eye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the diameter R 'of the miring light image, the distance F' of the focus light image, and the focus interval D '= R'-F' are calculated. ; A forward / backward position error (ΔZ = R1-R ') is obtained from the diameter R1 of the measuring mirrored optical image and the diameter R' of the reference mirroring optic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ocus interval D1; Determining whether the front-rear position error ΔZ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When the front and rear position error ΔZ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and the front and rear position error ΔZ is positive,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is moved by 'ΔZ |' in the direction closer to the eye. If the front-rear position error (ΔZ) is negative (-), it is calculated to move the optometrist optical system by '| ΔZ |'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ye to be examined, the optometrist capable of position adjustm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로부터 상기 피검안의 각막 곡률을 측정하는 것인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검안기. The optomet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neal curvature of the eye is measured from the detected miring light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안의 굴절력을 측정하도록, 측정광을 조사하는 굴절력 광원 광학계를 포함하는 것인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검안기.The optometry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fractive power light source optical system for irradiating the measurement light to measure the refractive power of the eye to be examined. 피검안의 각막에 마이어링 측정광 및 포커스 측정광을 조사하고, 상기 각막으로부터 반사되는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를 검출하는 검출단계;A detection step of irradiating the corneal measurement light and the focus measurement light to the cornea of the eye, and detecting a miring light image and a focus light image reflected from the cornea; 상기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로부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피검안의 각막이 광학축에 정렬되도록, 검안기 광학계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검안기의 상하 및 좌우위치 조정단계; 및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miring optical image from the detected miring optical image, and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and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optometrist for moving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that the cornea of the eye is aligned with the optical axis; And 상기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로부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크기 및 포커스 광 이미지의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피검안의 각막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검안기 광학계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검안기의 전후위치 조정단계를 포함하며, Calculating the size of the miring light image and the size of the focus light image from the detected miring light image and the focus light image, and moving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cornea of the eye is position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It includes the step of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optometry, 상기 검안기의 전후위치 조정단계는, 검출된 마이어링 광 이미지 및 포커스 광 이미지로부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1), 포커스 광 이미지의 거리(F1) 및 포커스 간격(D1=R1-F1)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피검안의 각막이 측정광의 초점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 포커스 광 이미지의 거리(F') 및 포커스 간격(D'=R'-F')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포커스 간격(D1)에 해당하는 측정 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1)과 기준 시 마이어링 광 이미지의 직경(R')으로부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 R1-R')를 구하는 단계;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허용 범위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허용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양수(+)이면, 상기 검안기 광학계를 피검안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ΔZ|'만큼 이동하고, 상기 전후방향 위치오차(ΔZ)가 음수(-)이면, 상기 검안기 광학계를 상기 피검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ΔZ|'만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검안기의 위치 조정 방법.In the step of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optometry, the diameter R1 of the mirroring light image, the distance F1 of the focus light image, and the focus interval D1 = R1-F1 are determined from the detected mirroring light image and the focus light image. Calculating; When the cornea of the eye is loca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R ') of the miring light image, the distance (F') of the focus light image and the focus interval (D '= R'-F') Calculating; Obtaining a front-rear position error (ΔZ = R1-R ') from the diameter R1 of the meering optical image and the diameter R' of the meering optical image at the reference corresponding to the focus interval D1. ; Determining whether the front-rear position error ΔZ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And when the forward / backward position error ΔZ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and the forward / backward position error ΔZ is positive,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moves by 'ΔZ |'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eye. And moving the optometry optical system by '| Z'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ye to be examined if the front and rear position error (ΔZ) is negativ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104729A 2008-10-24 2008-10-24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mire ring light and focus light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0432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729A KR101043202B1 (en) 2008-10-24 2008-10-24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mire ring light and focus light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729A KR101043202B1 (en) 2008-10-24 2008-10-24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mire ring light and focus light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676A KR20100045676A (en) 2010-05-04
KR101043202B1 true KR101043202B1 (en) 2011-06-21

Family

ID=4227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729A KR101043202B1 (en) 2008-10-24 2008-10-24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mire ring light and focus light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20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972B1 (en) 2016-02-24 2017-05-04 유니코스주식회사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of ophthalmometer and methdo thereof
WO2022107922A1 (en)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에덴룩스 Vision measurement device and vision measurement system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994B1 (en) * 2011-04-11 2012-01-31 뷰라이트 주식회사 Model eye assembly and ophthalmomet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setting ophthalmometer
KR101723989B1 (en) 2016-02-24 2017-04-06 유니코스(주) Automatic tracking apparatus of ophthalmometer and methdo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670B1 (en) * 1999-05-14 2002-01-17 김현수 Device for measuring the corneal curvature
KR100684302B1 (en) 2004-06-14 2007-02-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Ophthalmologic apparatus
KR100722162B1 (en) * 2006-02-28 2007-05-28 주식회사 휴비츠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xamined eye using mire ring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43101B1 (en) 2007-01-04 2008-07-02 주식회사 휴비츠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670B1 (en) * 1999-05-14 2002-01-17 김현수 Device for measuring the corneal curvature
KR100684302B1 (en) 2004-06-14 2007-02-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Ophthalmologic apparatus
KR100722162B1 (en) * 2006-02-28 2007-05-28 주식회사 휴비츠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xamined eye using mire ring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43101B1 (en) 2007-01-04 2008-07-02 주식회사 휴비츠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972B1 (en) 2016-02-24 2017-05-04 유니코스주식회사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of ophthalmometer and methdo thereof
WO2022107922A1 (en)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에덴룩스 Vision measurement device and vision measurement system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676A (en) 201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7211B2 (en) Eye characteristic measuring device
US98612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eye position
JPH0366355A (en) Topography-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3703310B2 (en) Hand-held ophthalmic device
JP2012075647A (en) Ophthalmologic measuring apparatus
KR101056960B1 (en) Corneal curvature measuring method to compensate for measurement position error and optometry using the same
KR10104320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mire ring light and focus light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695450B2 (en) Ophthalmic characteristics measuring apparatus
KR10072216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xamined eye using mire ring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00214534A1 (en) Ophthalmic surgery system
US20050134798A1 (en) Device for measuring optical charateristic of eye
US7249852B2 (en) Eye characteristic measuring apparatus
JPH10276985A (en) Inspection instrument for optical data of eyeball
US11185220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JP4618593B2 (en) Eye characteristics measuring device
JP5924219B2 (en) Non-contact tonometer
KR100467103B1 (en) Topographer for mapping of corneal surface and method for mapping of corneal surface with refractometer function
JP5397893B2 (en) Eye refractive power measuring device
JP2016202506A (en) Eye refractivity measurement device
KR10084310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eye examining apparatus and eye exami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6077777B2 (en) Ophthalmic apparatus and alignment method of ophthalmic apparatus
JP2004216147A (en) Refractometer for ophthalmology
JP2008229095A (en) Ophthalmologic device
KR20070098256A (en) Ey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ye testing
JP2016154910A (en) Ophthalm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