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196B1 - Gateway for controlling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 and thereof method - Google Patents

Gateway for controlling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 and thereof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196B1
KR101042196B1 KR1020100032165A KR20100032165A KR101042196B1 KR 101042196 B1 KR101042196 B1 KR 101042196B1 KR 1020100032165 A KR1020100032165 A KR 1020100032165A KR 20100032165 A KR20100032165 A KR 20100032165A KR 101042196 B1 KR101042196 B1 KR 101042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lna
gateway
server
gateway serv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Priority to KR1020100032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1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1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 gateway for controlling a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a DLNA device is provided to enable a DLNA gateway to transmit a display or content of each device. CONSTITUTION: A home network management module(21) manages the state and operation of a DLNA device. An outside network management module(23) control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gateway server and the DLNA device. A security/log module(24) monitors the security and performance of the DLNA gateway. The DLNA network management module transfers the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server to the DLNA device. The DLNA network management module stores an event messa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peration of the DLNA device and state.

Description

DLNA 디바이스로 구성된 DLNA 홈네트워크를 제어하는 DLNA 게이트웨이 및 제어방법 {Gateway for controlling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 and thereof method}Gateway for controlling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s and control method {Gateway for controlling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 and approximately method}

본 발명은 DLNA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DLNA 게이트웨이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DLNA 게이트웨이를 외부의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하여 외부에서 웹(Web)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DLNA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LNA gateway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DLN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at least one DLNA device through a web screen or an application by registering the DLNA gateway with an external gateway ser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LNA gateway and a control method for managing a DLNA network.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PC(Personal Computer)등의 정보기기, 전화 등의 통신 기기, TV 등의 방송 기기, DVD(Digital Video Disc)플레이어나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한 AV(Audio and Video)기기 등과 같은 각종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이 제안되어 현재 상용화되고 있다.Generally, at home, various devices such as information devices such as PCs (Personal Computer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lephones, broadcasting devices such as TVs, DVD (Digital Video Disc) players, and AV (Audio and Video) devices including digital cameras, etc. Home automation has been proposed and is now commercially availa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se devices.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은 초기에 전화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들을 별도로 제어하는 수준이었다. 즉, 초기의 홈-오토메이션은 각 가전기기들 간에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가전 기기들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두어 통합/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This home automation was initially at the level of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s separately using a telephone or infrared rays. In other words, the initial home automation was not connected between the home appliances. Recently,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 method of establishing a network between home appliances and hav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network has been used to integrate / manage.

이와 같이 가전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홈네트워크 시스템' 이라 한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게이트웨이(home gateway) 또는 홈서버(home server)와 같은 제어기에 각종 네트워크 가전기기(예컨대, TV, 세탁기,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오디오, 에어컨, 보일러 등), 조명, 가스 밸브 및 현관문 등을 연결하고 특정 단말기(예컨대, 리모콘)를 통해 상기 기기들을 제어한다.As such, a system that integrates and manages home appliances as a network is called a home network system. Home network systems include various home appliances (eg, TVs, washing machines, microwave ovens, gas ranges, audio, air conditioners, boilers, etc.), lighting, gas valves, and the like on a controller such as a home gateway or home server. And a front door and the like and control the devices through a specific terminal (eg, a remote controller).

또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나 통신방송 융합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디바이스간 데이터 공유를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기술들을 응용한 디바이스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In addition, various devices have been introduced that apply technologies for efficiently realizing data sharing between devices required for providing home network service or communication broadcasting convergence servic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홈네트워크 상용화를 위한 공식적 협력체로서 2003년 6월 출범한 DHWG(Digital Home Working Group) 명칭을 변경하여 새롭게 출범한 것이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is the official partnership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home networks, and was newly launched after changing the name of the Digital Home Working Group (DHWG), which was launched in June 2003.

DLNA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공개 업계 표준에 기반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업계 간 컨버젼스(Convergence)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DLNA는 가전제품, 개인용 컴퓨터(PC), 무선기기 등의 제조업체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기반으로 업체의 가이드라인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DLNA aims to build interoperable platforms based on open industry standards already in place and to achieve industry convergence. Such DLNA is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guidelines by companies based on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which is widely used by manufacturers of consumer electronics, personal computers (PCs), and wireless devices.

여기서, UPnP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보가전 기기 간에 복잡한 설정 절차 없이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로서, 한 기기가 가진 서비스를 다른 기기가 자동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Here, UPnP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information appliances connected to a network without complicated setting procedure, and enables other devices to automatically find a service of one device.

한편, DLNA에서 현재 도입된 가이드라인은 가전제품, PC, 무선기기 사이의 유무선 홈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다른 브랜드와 제품 간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설계 원칙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라인에 따라 설계된 제품들은 음악, 사진, 비디오 등의 미디어 컨텐츠(Media Contents)를 홈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guidelines currently introduced in DLNA provide design principles for sharing content between different brands and products through wired and wireless home networks between home appliances, PCs, and wireless devices. As a result, products design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will be able to share media content, such as music, photos and videos, over the home network.

이런 DLNA 기반의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댁내 디바이스간 컨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 홈네트워크 데이터공유시스템은 디바이스의 특성과 통신환경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어하고, 보다 나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망 상의 다양한 서버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sharing contents among home devices in such a DLNA-based home network environment, the home network data sharing system controls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device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provides various servers on a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better quality services. It can be linked with.

그러나 현재 홈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댁내 디바이스 사이에서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나, 외부의 컨텐츠를 댁내의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은 구현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고, 또한, 이러한 기능을 외부에서 제어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the current home network environment, content can be shared between indoor devices, but the function of displaying external content on the indoor device is difficult to implement,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such a function externally.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DLNA 기반의 홈네트워크의 기능을 확장하여 DLNA 홈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에 대한 관리와 다수의 컨텐츠 중 디바이스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in the technical field,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ology development for extending a function of a DLNA-based home network to manage various types of devices and to provide a content suitable for a device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on a DLNA home network.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외부의 사용자 웹 서버의 요청에 따라 DLNA 게이트웨이가 DLNA 디바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가능한 컨텐츠를 DLNA 디바이스 중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 DLNA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또는 각 DLNA 디바이스간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DLNA 게이트웨이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display of the serviceable content stored in the DLNA device DLNA device in response to a request of an external user web server or a specific DLNA device that the user designates each of the DLNA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LNA gateway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content between DLNA devic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사용자 웹 서버의 요청에 따라 DLNA 게이트웨이가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가능한 컨텐츠를 DLNA 디바이스 중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 DLNA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DLNA 게이트웨이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and control that allows a DLNA gateway to display serviceable content stored in a database through a gateway server to a specific DLNA device designated by a user among DLNA devices according to a request of an external user web serve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ethod.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웹 서버로 구성된 서버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서버와 접속하고, DLNA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DLNA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태 및 작동을 관리하는 DLNA 네트워크 관리모듈;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작동을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 관리모듈; 상기 DLNA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통신을 제어하는 외부 망 관리모듈; 및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보안 및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보안/로그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DLNA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to a gateway server managing a server network consisting of a database and a user web server and capable of DLNA communication is managed. The DLNA gateway includes: a DLNA network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the state and operation of the DLNA device; A DLNA gateway management module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DLNA gateway; An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DLNA device and the gateway server; A security / log module for monitoring security and performance of the DLNA gateway;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DLNA 네트워크 관리모듈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DLNA 디바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작동 및 상태변화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the DLNA network management module collect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activated or deactivated, and transmits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server to the DLNA device; And store an event mess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state change of the DLNA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DLNA 게이트웨이 관리모듈이, 상기 DLNA 게이트웨이 및 고객의 정보를 저장 및 수정하고,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하고,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상세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 및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LNA gateway managing the DLNA network, the DLNA gateway management module stores and modifies information of the DLNA gateway and the customer, and notifies the gateway server of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DLNA gateway. And registering and releas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gateway to the gateway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외부 망 관리모듈이,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처음 부팅시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하여 IP/Port/MAC address를 등록하고, 상기 DLNA 디바이스의 타입, 상기 DLNA 디바이스 내 컨텐츠를 보여주기 위한 Directory 구조와 컨텐츠 파일 리스트와 컨텐츠에 대한 상세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the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is connected to the gateway server at the first boot of the DLNA gateway to register the IP / Port / MAC address, the DLNA device Type, a directory structure for showing contents in the DLNA device, a contents file list,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s are transmitted to the gateway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외부 망 관리모듈이,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DLNA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DLNA 디바이스 내에 있는 컨텐츠를 다른 DLNA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DLNA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the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at the request of the gateway server, displays the content in any one of the DLNA device of the DLNA device at another DLNA device; Or displaying the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on the DLNA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외부 망 관리모듈이,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요청으로 상기 DLNA 디바이스간 컨텐츠를 이동하거나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로 컨텐츠 스트림 또는 업로드(Upload)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the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at the request of the gateway server to move the content between the DLNA devices or to upload or stream the content to the gateway server (Upload) It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외부 망 관리모듈이, 상기 DLNA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컨텐츠 전송을 수행하고 있는 사이,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부가적인 제어 요청을 받아 이를 상기 DLNA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the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while the DLNA device and the gateway server is performing the content transfer, the additional control request of the gateway server It receives and delivers it to the DLNA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보안/로그 모듈이,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를 통해 WEP(Wired Equivalent Privacy) 보안을 지원하고,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접근 보안 폴더를 규정하여 관리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DLNA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행한 내역 요청에 대해 로그파일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the security / log module, the WEP (Wired Equivalent Privacy) security through the ID (ID) and password (PW), the DLNA device Define and manage the access secure folder of the, characterized in that for monitoring the log file for the history request performed by the gateway server through the DLNA gatewa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활성화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 시 GAN(Gateway Active Notific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비활성화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 시 GIN(Gateway Inactive Notific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며, 상기 GAN 프로토콜은 MessageType, GWID, IP 및 Port를 포함하고, 상기 GIN 프로토콜은 MessageType 및 GW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managing a DLNA network calls a gateway active notification (GAN) protocol when notifying the gateway server of activation of the DLNA gateway, and deactivates the DLNA gateway. Calls to the Gateway Inactive Notification (GIN) protocol upon notification, wherein the GAN protocol includes MessageType, GWID, IP and Port, and the GIN protocol includes MessageType and GWI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활성화된 상기 DLNA 게이트웨이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하는 경우, GRG(Gateway Registr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하여 게이트웨이 고유 아이디인 GWID를 부여받고, 활성화된 상기 DLNA 게이트웨이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해제하는 경우, GUR(Gateway UnRegistr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등록된 상기 DLNA 게이트웨이를 해제하여 상기 DLNA 게이트웨이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차단하며, 상기 GRG 프로토콜은 MessageType, Model, IP, Port, G/W Name, SerialNumber, Version 및 Mac을 포함하고, 상기 GUR 프로토콜은 MessageType 및 GW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LNA gateway managing a DLNA network registers the activated DLNA gateway with the gateway server, a gateway unique ID is invoked by registering a gateway registration (GRG) protocol and registering with the gateway server. When a GWID is given and the activated DLNA gateway is released from the gateway server, a GUR (Gateway UnRegistration) protocol is called and the registered DLNA gateway is released to block user access to the DLNA gateway, and the GRG The protocol includes MessageType, Model, IP, Port, G / W Name, SerialNumber, Version, and Mac, and the GUR protocol includes MessageType and GWI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새로운 DLNA 디바이스가 활성화되면, DAI(Device Active Inform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활성화된 새로운 DLNA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하며, 상기 DAI 프로토콜은 MessageType, GWID, DeviceID, DeviceIP, DevicePort, DeviceType, ClassHType, ClassHName, ClassLType, ClassLName, UPnPVersion, UPnPDeviceType, FriendlylName, Manufacturer, ManufacturerURL, ModelDescription, ModelName, ModelNumber, ModelURL, ModelURL, SerialNumber, IconMimType, IconURL, IsPlay, IsStop, IsPause, IsVolume, IsSear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managing a DLNA network calls a device active information (DAI) protocol when a new DLNA device is activated, and notifies the gateway server of detailed information of the activated new DLNA device. The DAI protocol includes MessageType, GWID, DeviceID, DeviceIP, DevicePort, DeviceType, ClassHType, ClassHName, ClassLType, ClassLName, UPnPVersion, UPnPDeviceType, FriendlylName, Manufacturer, ManufacturerURL, ModelDescription, ModelName, ModelNumber, ModelURL, ModelURL, SerialNumber, IconMimType, IconURL , IsPlay, IsStop, IsPause, IsVolume, IsSearch.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DLNA 디바이스가 비활성화되면, DII(Device InActive Inform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상기 DII 프로토콜은 MessageType, GWID, DeviceID 및 DeviceI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managing a DLNA network, when the DLNA device is inactivated, calls the DII (Device InActive Information) protocol, and the DII protocol includes a MessageType, GWID, DeviceID and DeviceIP.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태가 변경되면, DSI(Device Status Inform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상기 DSI 프로토콜은 MessageType, GWID, DeviceID, TransportStatus, CurrentURL, Duration, Realtime, Title, ItemClass, Creator, Artist, Album, Date, ThumbnailURL 및 FileSiz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managing a DLNA network calls a device status information (DSI) protocol when the status of the DLNA device is changed, and the DSI protocol includes a MessageType, GWID, DeviceID, TransportSt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rent URL, Duration, Realtime, Title, ItemClass, Creator, Artist, Album, Date, ThumbnailURL and FileSiz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웹 서버로 구성된 서버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서버와 접속하고, DLNA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DLNA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은, 상기 DLNA 게이트웨이가 활성화되면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와의 DLNA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활성화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 활성화된 상기 DLNA 게이트웨이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DLNA 게이트웨이에 대해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DLNA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DLNA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비활성화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DLNA gateway connected to a gateway server managing a server network including a database and a user web server, and managing a DLNA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DLNA device capable of DLNA communication, Setting up a network environment for DLNA communication with the gateway server when the DLNA gateway is activated; Notifying the gateway server of activation of the DLNA gateway; Registering the activated DLNA gateway with the gateway server; The gateway server request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from the DLNA gateway, and the DLNA gateway transmitt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gateway serv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LNA device at the request of the gateway server; Transmit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LNA device to the gateway server; And notifying the gateway server of the deactivation of the DLNA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은, 상기 DLNA 디바이스의 동작제어가 상기 DLNA 디바이스의 플레이, 스톱, 음량 조절이거나, 상기 DLNA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DLNA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른 DLNA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또는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of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DLNA device is the play, stop, volume control of the DLNA device, or to any one of the DLNA device of the DLNA device; Control to display or transmit the stored content to another DLNA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은, 상기 DLNA 디바이스가 비활성화하면, 상기 DLNA 게이트웨이는 비활성화 상태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한 후 해당 DLNA 디바이스가 관리하는 모든 컨텐츠 리스트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includes, when the DLNA device is inactivated, the DLNA gateway notifies the gateway server of the deactivation state and then all contents managed by the corresponding DLNA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initializing the lis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환경의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상세 정보를 상기 DLNA 게이트웨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includes: before the setting up of the network environment, the DLNA gateway collect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And storing the received detailed information in the DLNA gatewa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NA 디바이스로 구성된 DLNA 홈네트워크를 제어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게이트웨이 서버의 요청에 따라 DLNA 게이트웨이가 DLNA 디바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가능한 컨텐츠를 DLNA 디바이스 중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 DLNA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컨텐츠를 다른 DLNA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controlling a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s may display serviceable contents stored in the DLNA device on a specific DLNA device designated by a user among the DLNA devices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gateway server. Or transfer the content to another DLNA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LNA 디바이스로 구성된 DLNA 홈네트워크를 제어하는 DLNA 게이트웨이는, 게이트웨이 서버의 요청에 따라 DLNA 게이트웨이가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가능한 컨텐츠를 DLNA 디바이스 중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 DLNA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LNA gateway controlling a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specify serviceable contents stored in a database through a gateway server by a user among DLNA devices according to a request of a gateway server. Can be displayed on a DLNA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NA 디바이스로 구성된 DLNA 네트워크(홈네트워크)를 제어하는 DLNA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DLNA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DLNA 게이트웨이와 게이트웨이 서버 사이의 네트워크 환경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Result-Code로 전송되어 오는 Message Code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게이트웨이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사용자 웹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사용자 웹 서버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NA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DLNA 디바이스(2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DLNA gateway for controlling a DLNA network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DLNA gateway of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network configuration between a DLNA gateway and a gateway server.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code value transmitted as a result-cod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gateway server of FIG. 1.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web server of FIG. 1.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executed in a user web server.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LNA device 200 using a DLNA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emed that the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y on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a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through the APC.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NA 디바이스로 구성된 DLNA 네트워크(홈네트워크)를 제어하는 DLNA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LNA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DLNA 디바이스의 제어시스템 및 방법은 IPTV(201), 유선단말(202), 무선단말(203) 등의 DLNA 디바이스(200) 및 DLNA 게이트웨이(100)를 포함하는 DLNA 네트워크(홈네트워크)(10)와 게이트웨이 서버(300), 사용자 웹 서버(400) 및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하는 서버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DLNA gateway for controlling a DLNA network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a DLNA device using a DLNA gateway includes a DLNA device 200 such as an IPTV 201, a wired terminal 202, a wireless terminal 203, and a DLNA gateway 100. It may be configured as a server network including a DLNA network (home network) 10, a gateway server 300, a user web server 400, and a database 500.

DLNA 게이트웨이(100)는 DLNA 네트워크(10)의 각종 DLNA 디바이스(200)(IPTV(201), 유선단말(202) 및 무선단말(203) 등)에 연결되어 해당 기기들을 제어한다.The DLNA gateway 100 is connected to various DLNA devices 200 (IPTV 201, wired terminal 202, wireless terminal 203, etc.) of the DLNA network 10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devices.

DLNA 게이트웨이(100)는 IP를 기반으로 DLNA 디바이스(200)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컨텐츠들에 대한 공유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들 들어, DLNA 게이트웨이(100)는 DLNA 디바이스(200) 중 특정 DLNA 디바이스(IPTV(201), 유선단말(202), 무선단말(203))의 개인 영역의 장치에 저장된 많은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들을 DLNA 네트워크(10)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공유하도록 한다.The DLNA gateway 100 enables sharing of all contents provided from the DLNA device 200 based on the IP. For example, the DLNA gateway 100 may store many digital media contents stored in a device of a personal area of a specific DLNA device (IPTV 201, wired terminal 202, or wireless terminal 203) of the DLNA device 200 in a DLNA network. Allow other devices in 10 to share.

이를 위해, DLNA 게이트웨이(100)는 DLNA 디바이스(200)의 상호 호환성을 위해 해결함에 큰 역점을 두고 있다. 즉, DLNA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기술을 근간으로 물리적인 미디어 네트워크 전송, 미디어 포맷, 스트리밍 프로토콜, DRM(Digital Right Management)등을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LNA gateway 100 has a great emphasis on solving for the mutual compatibility of the DLNA device 200. That is, DLNA can perform physical media network transmission, media format, streaming protocol, digital right management (DRM), etc. based on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technology.

DLNA 게이트웨이(100)는 다수의 DLNA 디바이스(200)에 의해 구비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호환한다. 즉, DLNA 게이트웨이(100)는 각 개별 DLNA 디바이스(200)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데, WiFi(802.11b) 인터페이스, 이더넷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할 수 있다.DLNA gateway 100 is compatible with various interfaces provided by multiple DLNA devices 200. That is, the DLNA gateway 100 inclu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o each individual DLNA device 200, and may include a WiFi (802.11b) interface, an Ethernet interface, and the like.

한편, DLNA 게이트웨이(100)는 다수의 DLNA 디바이스(200)와 동일한 IP그룹을 가지며, 효과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사설 IP할당 기능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DLNA gateway 100 has the same IP group as the plurality of DLNA devices 200 and includes a private IP allocation function for effective network configuration.

DLNA 게이트웨이(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다수의 DLNA 디바이스(200)에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수의 DLNA 디바이스(200)를 관리하기 위해 DLNA 네트워크(10) 내부에서 기기를 발견하고 제어하는 IP 주소 같은 네트워킹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하고, 네트워크상에 있는 다른 기기를 인식하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기존의 UPnP AV 아키텍처(Architecture) 및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에 기반을 두고 있다.The DLNA gateway 100 may transmit content to a plurality of DLNA devices 200 by wire or wirelessly, and an IP address for discovering and controlling devices in the DLNA network 10 to manage the plurality of DLNA devices 200. It automatically configures the same networking settings and manages to recognize other devices on the network, based on the existing UPnP AV architecture and UPnP device architecture.

DLNA 게이트웨이(100)는 IPTV(201), 유선단말(202) 및 무선단말(203) 등으로 구성된 DLNA 디바이스(200)의 상세정보, 예를 들면 등록 정보, 상태 정보 및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 검색 요청을 전송하고, IPTV(201), 유선단말(202) 및 무선단말(203)의 DLNA 디바이스(200)의 상세정보를 반환받고 이를 저장한다.The DLNA gateway 100 retrieve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200 including the IPTV 201, the wired terminal 202, the wireless terminal 203, and the like, for example, registr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 stored content list. The request is transmitted,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200 of the IPTV 201, the wired terminal 202, and the wireless terminal 203 is returned and stored.

IPTV(201)는 IP기반 네트워크의 통신망(xDSL, FTTH 등)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방송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및 데이터 컨텐츠)를 스크린(Screen)을 통하여 제공하는 장치로, 규정된 품질 이상의 QoS(Quality of Service)/QoE(Quality of Experience), 정보보호, 상호작용, 신뢰성 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IPTV(201)는 컨텐츠서버, 방송서버 등으로부터 셋탑박스를 이용해 방송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셋탑박스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IPTV(201) 등의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통신 기능을 갖고, 방송컨텐츠,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컨텐츠 선택메뉴데이터, 광고데이터, 양방향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일반적인 셋탑박스의 데이터 저장소(Data Storage)를 갖고 있다.The IPTV 201 is a device that provides various contents (broadcast contents, video contents, audio contents, text contents, and data contents) through a scree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xDSL, FTTH, etc.) of an IP-based network. Quality of Service (QoS) / Quality of Experience (QoE), information protection, interaction, and reliability may be satisfied. The IPTV 201 may receive broadcast content using a set top box from a content server, a broadcast server, or the like. The set-top box may be provided as an integrated type or a separate type,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required to use a two-way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such as the IPTV 201, and includes content selection menu data such as broadcast content,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advertisement data, Receive two-way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data and the like. In addition, it has a data storage (Data Storage) of the general set-top box for storing the above data.

IPTV(201)는 예를 들면,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igital Media Player, DMP) 및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igital Media Renderer, DMR)를 포함할 수 있고, DLNA 게이트웨이(10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등록 정보, 상태 정보 및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DLNA 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한다.The IPTV 201 may include, for example, a digital media player (DMP) and a digital media renderer (DMR), and may register its own registration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DLNA gateway 100.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stored content list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DLNA gateway 100.

유선단말(202)은 유선링크를 통하여 DLNA 게이트웨이(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터넷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와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d terminal 202 is a device that provides an Internet service including Internet data to the user through the DLNA gateway 100 through a wired link. The wired terminal 202 is a multimedia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nd a handheld computer. Phones, multimedia players, and the like.

유선단말(202)은 디지털 미디어 서버(Digital Media Server, DMS),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Digital Media Control, DMC),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igital Media Player, DMP) 및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igital Media Renderer, DMR)를 포함할 수 있고, DLNA 게이트웨이(10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등록 정보, 상태 정보 및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DLNA 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한다.The wired terminal 202 uses a digital media server (DMS), a digital media control (DMC), a digital media player (DMP), and a digital media renderer (DMR). It may include, and transmits its own registr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 stored content list information to the DLNA gateway 10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DLNA gateway 100.

무선단말(203)은 무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이는 포괄적인 개념의 휴대기기들이다. 즉,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일 수 있다.The wireless terminal 203 is a device that provides an Internet service including Internet data to a user through a wireless link, which is a comprehensive concept of portable devices. That i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global system for mobile (GSM) phone, a wideband CDMA (W-CDMA) phone, a CDMA-2000 phone, a mobile broadband and system (MBS) phon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Likewise, it may include a multimedia phone and a multimedia player. Here, the MBS phone may be a mobile phone to be used in the fourth generation system currently being discussed.

무선단말(203)은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igital Media Player, DMP) 및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igital Media Renderer, DMR)를 포함할 수 있고, DLNA 게이트웨이(10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등록 정보, 상태 정보 및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DLNA 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한다.The wireless terminal 203 may include a digital media player (DMP) and a digital media renderer (DMR), and may register its own registr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ke at the request of the DLNA gateway 100. The stored content li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LNA gateway 100.

무선단말(203)은 DLNA 게이트웨이(100)로부터 목적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IPTV(201), 유선단말(202) 및 자신(400) 중 목적 컨텐츠 정보에 매칭되는 랜더러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DLNA 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한다.The wireless terminal 203 receives the target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DLNA gateway 100, generates a renderer selection signal matching the target content information among the IPTV 201, the wired terminal 202, and itself 400, and then generates a DLNA gateway ( 100).

DLNA 게이트웨이(100)는 IPTV(201), 유선단말(202) 및 무선단말(203)로 디바이스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검색을 전송하여 IPTV(201), 유선단말(202) 및 무선단말(203)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반환 받는다. DLNA 게이트웨이(100)는 IPTV(201), 유선단말(202) 및 무선단말(203)의 등록 정보, 상태 정보 및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300)로 전송한다.The DLNA gateway 100 transmits a search for activation / deactiv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to the IPTV 201, the wired terminal 202, and the wireless terminal 203, thereby transmitting the IPTV 201, the wired terminal 202, and the wireless terminal 203. Get activation / deactivation information. The DLNA gateway 100 transmits registr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 stored content list information of the IPTV 201, the wired terminal 202, and the wireless terminal 203 to the gateway server 300.

통신망(60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망일 수 있다. 통신망(600)은 DLNA 게이트웨이(100), 통신망(600)에 연결된 게이트웨이 서버(300), 사용자 웹 서버(400) 및 데이터베이스(50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600 is a high-speed network of a larg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and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 The communication network 600 transmits signals and data between the DLNA gateway 100, the gateway server 3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600, the user web server 400, and the database 500.

게이트웨이 서버(300)는 DLNA 게이트웨이(100)로부터 수신한 IPTV(201), 유선단말(202) 및 무선단말(203)의 디바이스 상세정보를 관리한다. 이후, 게이트웨이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500)로 DLNA 게이트웨이(100)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 상세정보를 전달한다.The gateway server 300 manages device details of the IPTV 201, the wired terminal 202, and the wireless terminal 203 received from the DLNA gateway 100. Thereafter, the gateway server 300 transmits the device detail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LNA gateway 100 to the database 500.

사용자 웹 서버(400)는 IPTV(201), 유선단말(202) 및 무선단말(203)의 등록 정보, 상태 정보 및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IPTV(201), 유선단말(202) 및 무선단말(203)의 DLNA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컨텐츠가 있는지 판단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컨텐츠를 DLNA 네트워크(10) 내의 DLNA 디바이스(200)에서 선택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선택한다.User web server 400 is based on IPTV 201, wired terminal 202 and wireless terminal 203 registr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 stored content list information based on IPTV 201, wired terminal 202 and wireless terminal. At least one of the DLNA devices 200 of 203 determines whether there is displayable content and selects one or more displayable contents from the DLNA device 200 in the DLNA network 10, or from the database 500. Choose.

데이터베이스(500)는 수신한 DLNA 디바이스 상세정보 및 DLNA 디바이스(200)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각기 다른 용량 및 포맷을 갖는 컨텐츠를 저장한다.
The database 500 stores the received DLNA device details and contents having different capacities and format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LNA device 200.

도 2는 DLNA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LNA gateway.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DLNA 게이트웨이(100)는 홈네트워크 관리모듈(21), 게이트웨이 관리모듈(22), 외부 망 관리모듈(23) 및 보안/로그 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1 to 2, the DLNA gateway 100 may include a home network management module 21, a gateway management module 22, an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23, and a security / log module 24. .

홈네트워크 관리모듈(21)은 DLNA 네트워크(10) 내에 있는 DLNA 디바이스(200)들의 활성화(Active)와 비활성화(Inactive)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고, 활성화된 DLNA 디바이스(200)에 대한 상세정보(Meta-Data, Action List, Event Type 등)를 수집한다. 또한, 외부 망으로부터 전달받은 액션을 DLNA 디바이스(200)에 액션을 전달하고, DLNA 디바이스(200)들의 액션에 따른 Event Message를 저장한다.The home network management module 21 performs management of activation and inactivation of the DLNA devices 200 in the DLNA network 10,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ctivated DLNA device 200 (Meta -Collect Data, Action List, Event Type, etc. In addition, the ac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network to deliver the action to the DLNA device 200, and stores the event message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DLNA device (200).

게이트웨이 관리모듈(22)은 DLNA 게이트웨이(100) 및 고객(사용자)의 정보(ID, Password, Serial Number, Gateway Name 등)를 저장하고, DLNA 게이트웨이(100)의 정보와 고객의 정보를 수정한다. 또, DLNA 게이트웨이(100)가 구동되면 게이트웨이 서버에 활성화됨을 알리고, DLNA 게이트웨이의 상세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등록시키고,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300)로부터 게이트웨이 등록 요청이 오면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DLNA 게이트웨이(100)를 등록한다.The gateway management module 22 stores the information (ID, Password, Serial Number, Gateway Name, etc.) of the DLNA gateway 100 and the customer (user), and modifies the information of the DLNA gateway 100 and the customer's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DLNA gateway 100 is driven, the gateway server is notified that it is activated,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gateway is registered in the gateway server 300, and when the gateway registr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gateway server 300, the gateway server 300 is received. The DLNA gateway 100 is registered in.

외부 망 관리모듈(23)은 DLNA 게이트웨이(100)의 처음 부팅시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접속하여 IP/Port/MAC address 등을 등록하고, DLNA 네트워크(10) 내의 DLNA 디바이스(200)들의 디바이스 타입을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등록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300)의 DLNA 디바이스(200)의 상태 요청에 대한 Device Discovery를 통한 값을 전달하고, 게이트웨이 서버(300)의 DLNA 디바이스(200)의 역할 요청에 대한 Device Description 파일을 변형하고 전달한다. 또, DLNA 네트워크(10)를 통해서 수신된 DLNA 디바이스(200)의 상세정보를 관리하고, DLNA 디바이스(200)의 상세정보(활성화된 DLNA Device List, DLNA Device IP, DLNA Device/Service Description 등)를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전송해준다. 또한, DLNA 디바이스(200) 내 컨텐츠를 보여주기 위한 Directory 구조와 컨텐츠 파일 리스트와 컨텐츠에 대한 상세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전달하고, 게이트웨이 서버(300)로부터 받은 Play, Stop, 음량 조절 등의 Action요청을 해당 DLNA 디바이스(200)에 전달한다. 또한, 외부 망 관리모듈(23)은 외무 망의 요청에 따라 DLNA 디바이스(200)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 내에 있는 컨텐츠를 다른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과 외부 망 요청에 의해 외부의 컨텐츠를 DLNA 디바이스(20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DLNA 디바이스(200)에서 보낸 Event Message를 통해 DLNA 디바이스(200)의 상태(state)를 관리하며, 게이트웨이 서버(300) 또는 외부 사용자의 요청으로 DLNA 디바이스(200) 간 컨텐츠를 이동하거나 게이트웨이 서버(300)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컨텐츠 스트림 또는 업로드(Upload)를 수행한다.The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23 accesses the gateway server 300 at the first boot of the DLNA gateway 100 and registers an IP / Port / MAC address, and the device type of the DLNA devices 200 in the DLNA network 10. Register with the gateway server 300. In addition, the device server transmits a value through Device Discovery for the status request of the DLNA device 200 of the gateway server 300, and transforms and delivers a device description file for the role request of the DLNA device 200 of the gateway server 300. do. In additio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200 received through the DLNA network 10 is managed,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200 (activated DLNA Device List, DLNA Device IP, DLNA Device / Service Description, etc.) is displayed. It transmits to the gateway server 300. In addition, the directory structure for displaying the contents in the DLNA device 200, the contents file list,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ntents are transmitted to the gateway server 300, and the play, stop, volume control, etc. received from the gateway server 300 are provided. The ac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LNA device 200. In addition, the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23 may display content in any one of the DLNA devices 200 in another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foreign network, and display the external content in response to the external network request by the external network request. ) And manages the state of the DLNA device 200 through an event message sent from the DLNA device 200, and the DLNA device 200 at the request of the gateway server 300 or an external user. Inter-content content is moved or the content stream or upload is performed to the gateway server 300 or an external device.

특히, 게이트웨이 서버(300) 또는 외부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가 DLNA 네트워크(10) 내 DLNA 디바이스(200)와 컨텐츠 전송을 수행하고 있는 사이, 게이트웨이 서버(300)의 부가적인 제어 요청을 받아 이를 DLNA 디바이스(200)에 전달한다.In particular, while the gateway server 300 or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is performing content transmission with the DLNA device 200 in the DLNA network 10, the gateway server 300 receives an additional control request and transmits the DLNA. Deliver to device 200.

보안/로그 모듈(24)은 ID/PW를 통해 WEP(Wired Equivalent Privacy) 보안을 지원하고, DLNA 디바이스(200) 마다의 접근 보안 폴더를 규정하여 관리하며,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300)에서 DLNA 게이트웨이(100)를 통해 수행한 내역 요청에 대해 로그파일을 제공하고 성능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를 관리한다.
The security / log module 24 supports Wired Equivalent Privacy (WEP) security through ID / PW, defines and manages an access security folder for each DLNA device 200, and also provides a DLNA gateway ( Provide log files for the history requests performed through 100) and manage data for performance monitoring.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LNA 게이트웨이(100)가 활성화되면, 게이트웨이 서버(300)와 통신 방식에 대해서 Connection을 유지해야 하는지, 유지를 할 필요가 없는지에 대한 테스트를 하는 것으로, DLNA 게이트웨이(100)의 네트워크 환경설정(Gateway Network Configuration-GNC)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 서버(300)로부터 Connection을 유지해야 한다는 결과를 받으면 DLNA 게이트웨이(100)는 이후에 접속하는 Connection은 끊지 않고 유지를 해야 하며, 이후에 접속이 끊어진다면 다시 연결을 시도한다. Connection 유지를 해야 한다면 해당 프로토콜에 사용했던 Connection은 종료하고, 이후에 GAN(Gateway Active Notification) 프로토콜로부터 Connection을 유지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DLNA gateway 100 is activated, the DLNA gateway 100 is tested to test whether the connection with the gateway server 300 should be maintained or not. Perform the Network Network Configuration (GNC). When receiving the result that the connection should be maintained from the gateway server 300, the DLNA gateway 100 must maintain the connection to be connected thereafter without disconnection, and if the connection is subsequently disconnected, the DLNA gateway 100 tries to connect again. If the connection needs to be maintained, the connection used for the protocol is terminated, and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from the GAN (Gateway Active Notification) protocol.

GNC 프로토콜의 연동 규격은 다음 표 1 및 2와 같다.The interworking standards of the GNC protocol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1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1

<Request Format><Request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2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2

<Response Format>
<Response Format>

DLNA 게이트웨이(100)가 구동되면, DLNA 게이트웨이(100)는 G/W 활성화 알림(Gateway Active Notification - GAN)을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통지한다. 게이트웨이 서버(300)는 이 시점에서 해당 DLNA 게이트웨이(100)가 사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라고 인식을 하며, 이후 사용자가 접근 가능상태로 유지한다.When the DLNA gateway 100 is driven, the DLNA gateway 100 notifies the gateway server 300 of the G / W activation notification (GAN). The gateway server 300 recognizes that the gateway can be used by the DLNA gateway 100 at this point, and then keeps the user accessible.

GAN 프로토콜의 연동 규격 및 프로토콜 규격의 정의는 다음 표와 같다.The interworking standards and protocol specifications of the GAN protocol are defined in the following table.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3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3

<Request Format><Request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4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4

<Response Format><Response Format>

ConnType : TCP(서버에서 해당 Response 후 Connection을 유지한다.)ConnType: TCP (Maintains connection after response from server)

HTTP(서버에서 해당 Response 후 Connection을 종료한다.)           HTTP (Connection is terminated after response from server)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5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5

연동 규격에서 M은 Mandatory, O는 Optional, C는 Conditional을 의미하고, [CR/LF]는 Carriage Return/Line Feed를 의미하며, TBD는 To Be Declared를 의미하고 Character set은 UTF-8을 이용한다.
In the interlocking standard, M means Mandatory, O means Optional, C means Conditional, [CR / LF] means Carriage Return / Line Feed, TBD means To Be Declared, and Character set uses UTF-8.

DLNA 게이트웨이(100)가 처음 구동되면, DLNA 게이트웨이(100)는 게이트웨이 서버(300)로부터 발급받은 GWID가 없다. 이는 DLNA 게이트웨이(100)가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등록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DLNA 게이트웨이가 처음 구동되면 무조건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등록하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DLNA 게이트웨이(100)가 GWID 없이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Request를 하면 게이트웨이 서버(300)에서는 4001 ResultCode를 리턴하고, DLNA 게이트웨이(100)는 게이트웨이 등록 모드로 변경된다. 이후, DLNA 게이트웨이(100)가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등록되면 일반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접근할 수 있다.When the DLNA gateway 100 is first started, the DLNA gateway 100 does not have a GWID issued from the gateway server 300. This means that the DLNA gateway 100 is not registered in the gateway server 300. When the DLNA gateway is started for the first time, it must go through a task of registering with the gateway server 300 unconditionally. When the DLNA gateway 100 makes a request to the gateway server 300 without the GWID, the gateway server 300 returns a 4001 ResultCode, and the DLNA gateway 100 changes to the gateway registration mode. Thereafter, when the DLNA gateway 100 is registered with the gateway server 300, the DLNA gateway 100 may be exposed to the general user and accessed by the user.

게이트웨이 등록(Gateway Registration - GRG) 프로토콜의 연동 규격 및 프로토콜 규격은 다음 표와 같다.Interworking standards and protocol specifications of Gateway Registration (GRG) protocol are as follows.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6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6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7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7

<Request Format><Request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8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8

<Response Format><Response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9
Figure 112010022353561-pat00009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등록되어 있는 DLNA 게이트웨이(100)를 해제하면, 이후에는 사용자는 더 이상 해당 DLNA 게이트웨이(100)에 접근할 수 없다.When the DLNA gateway 100 registered in the gateway server 300 is released, the user can no longer access the DLNA gateway 100.

게이트웨이 등록 해제(Gateway UnRegistration - GUR) 프로토콜의 연동 규격 및 프로토콜 규격은 다음 표와 같다.Interworking standards and protocol specifications of the Gateway UnRegistration (GUR) protocol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0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0

<Request Format><Request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1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1

<Response Format><Response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2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2

DLNA 게이트웨이(100)는, 새로운 DLNA 디바이스(200)가 활성화되어 검색이 되면, 이를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알린다. DLNA 디바이스(200)는 Type별로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알리게 되며, 이때는 해당 DLNA 디바이스(200)에 대한 모든 상세정보까지 전달한다. DLNA 게이트웨이(100)는 선택적으로 해당 DLNA 디바이스(200)가 DMS 기능이 있으며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면, 1Depth Contents List를 같이 전송할 수 있다.The DLNA gateway 100 notifies the gateway server 300 when a new DLNA device 200 is activated and searched. The DLNA device 200 informs the gateway server 300 for each type, and in this case, transmits all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DLNA device 200. The DLNA gateway 100 may optionally transmit a 1Depth Contents List if the DLNA device 200 has a DMS function and has contents.

디바이스 활성화 알림(Device Active Information - DAI) 프로토콜의 연동 규격 및 프로토콜 규격은 다음 표와 같다.Interworking standards and protocol specifications of the Device Active Information (DAI) protocol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3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3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4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4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5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5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6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6

<Request Format><Request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7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7

<Response Format><Response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8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8

DLNA 게이트웨이(100)는 기존에 검색되었던 DLNA 디바이스(200)가 비활성화(OffLine)가 되면 이를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알린다. 게이트웨이 서버(300)는 이와 동시의 접근을 제한한다.The DLNA gateway 100 notifies the gateway server 300 when the previously discovered DLNA device 200 becomes inactive (OffLine). Gateway server 300 restricts simultaneous access.

디바이스 비활성화 알림(Device InActive Information - DII) 프로토콜의 연동 규격 및 프로토콜 규격은 다음 표와 같다.Interworking standards and protocol specifications of the Device InActive Information (DII) protocol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9
Figure 112010022353561-pat00019

<Request Format><Request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0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0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1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1

<Response Format><Response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2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2

또한, DLNA 게이트웨이(100)는 기존에 검색되었던 DLNA 디바이스(200)의 각종 상태가 변경이 되면 이를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알린다. 해당 프로토콜은 많은 빈도로 호출이 되기 때문에 Xml 파싱로드를 줄이기 위해서 모든 필드를 특별히 헤더로 전달을 한다.In addition, the DLNA gateway 100 notifies the gateway server 300 when various states of the existing DLNA device 200 are changed. The protocol is called frequently, so all fields are passed as headers specifically to reduce the Xml parsing load.

DLNA 디바이스(200) 상태 변경 알림(Device Status Information - DSI) 프로토콜의 연동 규격 및 프로토콜 규격은 다음 표와 같다.The DLNA device 200 status change notification (Device Status Information-DSI) protocol interworking standards and protocol specifications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3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3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4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4

<Request Format><Request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5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5

<Response Format><Response Format>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6
Figure 112010022353561-pat00026

상기의 연동 규격에서 Result-Code로 전송되어 오는 Code값은 도 4의 Message Code 표를 참조한다.
Refer to the Message Code Table of FIG. 4 for the code value transmitted as the Result-Code in the above interworking standard.

도 5는 도 1의 게이트웨이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 서버(300)는 송수신부(31), DLNA 게이트웨이 제어부(32), DLNA 디바이스 제어부(33), 컨텐츠 관리부(34) 및 서버 코어(3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31)는 통신망(600)을 통해 DLNA 게이트웨이(100), 사용자 웹 서버(400) 및 데이터베이스(500)와의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gateway server 300 of FIG. 1. 1 to 3, the gateway server 300 may include a transceiver 31, a DLNA gateway controller 32, a DLNA device controller 33, a content manager 34, and a server core 35. have. The transceiver 31 perform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data session connection with the DLNA gateway 100, the user web server 400, and the database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600.

DLNA 게이트웨이 제어부(32)는, DLNA 게이트웨이(100)가 구동되면 활성화된 DLNA 게이트웨이를 제어 가능하도록 게이트웨이 서버(300)를 설정하고,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등록되지 않은 DLNA 게이트웨이가 활성화 알림을 통지하면 미등록 게이트웨이라는 사항을 통지하고, DLNA 게이트웨이가 서버 등록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통지한다. DLNA 게이트웨이 제어부(32)는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게이트웨이의 리스트를 관리하며, 여기에는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등록은 되어 있지만 사용자와의 맵핑이 안된 게이트웨이도 포함된다.The DLNA gateway controller 32 sets the gateway server 300 to control the activated DLNA gateway when the DLNA gateway 100 is driven, and when a DLNA gateway not registered in the gateway server 300 notifies the activation notification. Notify that it is an unregistered gateway, and notify the DLNA gateway to switch to the server registration mode. The DLNA gateway controller 32 manages a list of all gateways registered in the gateway server 300, and includes gateways registered in the gateway server 300 but not mapped with the user.

DLNA 디바이스 제어부(33)는 게이트웨이 서버(300)와 연결된 특정 DLNA 게이트웨이(100)에 사용 가능한 DLNA 디바이스(200)(IPTV(201), 유선단말(202) 및 무선단말(203))의 목록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다.The DLNA device controller 33 requests a list of DLNA devices 200 (IPTV 201, wired terminal 202, and wireless terminal 203) available to a specific DLNA gateway 100 connected to the gateway server 300. And receive it.

또한 DLNA 디바이스 제어부(33)는 현재 사용 가능한 DLNA 디바이스(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액션(예를 들면, 플레이, 스톱, 음량 조절 등)을 요청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LNA device controller 33 may request an action (eg, play, stop, volume control, etc.) of a service provided by the currently available DLNA device 200.

컨텐츠 관리부(34)는 DLNA 네트워크(10) 내의 DLNA 디바이스(200)에서 보유하고 현재 사용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요청하고, DLNA 디바이스(200) 제어부(33)와 같이 현재 사용 가능한 DLNA 디바이스(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액션을 요청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r 34 requests a list of contents currently held and available in the DLNA device 200 in the DLNA network 10, and in the currently available DLNA device 200 such as the control unit 33 of the DLNA device 200. You can request the action of the service provided.

서버 코어(35)는 사용자 웹 서버(400)를 통한 사용자가 DLNA 게이트웨이(100)를 제어하고, DLNA 게이트웨이(100)의 암호화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The server core 35 includes a function of controlling a DLNA gateway 100 by a user through the user web server 400 and performing encrypted communication with the DLNA gateway 100.

도 6은 도 1의 사용자 웹 서버(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웹 서버(400)는 송수신부(41), 고객관리부(42), DLNA 게이트웨이 제어부(43), 외부망 제어부(44) 및 컨텐츠 관리부(45)를 포함할 수 있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user web server 400 of FIG. 1. 1 to 4, the user web server 400 may include a transceiver 41, a customer manager 42, a DLNA gateway controller 43, an external network controller 44, and a content manager 45. Can be.

송수신부(41)는 서버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500)와의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The transceiver 41 perform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data session connection with the gateway server 300 and the database 500 in the server network.

고객관리부(42)는, 모바일 검증 등을 통해 고객, 즉 사용자의 각종 인증 및 확인 작업을 수행하고, 가입된 사용자의 해지 및 기본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The customer management unit 42 may perform various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operations of the customer, that is, the user, through mobile verification, and may revoke the cancellation and basic information of the subscribed user.

DLNA 게이트웨이 제어부(43)에는 DLNA 게이트웨이(100)의 정보, 예를 들면 IP 디바이스 시리얼 넘버 및 디바이스 모델 등 기본정보가 등록되어, 사용자는 다수의 DLNA 게이트웨이를 관리할 수 있다. DLNA 게이트웨이 제어부(43)에서는 기 등록된 DLNA 게이트웨이의 삭제 및 기본정보를 수정하고, 등록된 DLNA 게이트웨이의 리스트 조회 및 DLNA 게이트웨이의 활성화 상태 등을 관리한다.The DLNA gateway controller 43 registers basic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f the DLNA gateway 100, for example, an IP device serial number and a device model, so that a user can manage a plurality of DLNA gateways. The DLNA gateway controller 43 corrects the deletion and basic information of the pre-registered DLNA gateway, and manages the list inquiry of the registered DLNA gateway and the activation state of the DLNA gateway.

외부망 제어부(44)에서는 하나의 DLNA 게이트웨이에서 관리되는 DLNA 디바이스(200)의 리스트 조회 및 각 DLNA 디바이스(200)의 정보(예를 들면, Model, Private IP, 지원 가능한 컨텐츠 포맷 등)를 관리한다. 또한, DLNA 디바이스(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리스트를 바탕으로 DLNA 디바이스(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V에서는 채널변경 및 음량조절, 오디오에서는 플레이 및 스톱 등의 제어와 각종 컨텐츠의 플레이도 포함될 수 있다.The external network controller 44 manages a list query of the DLNA device 200 managed by one DLNA gateway and manages information (eg, Model, Private IP, supportable content format, etc.) of each DLNA device 200. . In addition, the DLNA device 200 may be controlled based on a service list provided by the DLNA device 200. For example, the TV may include channel change and volume control, audio control such as play and stop, and play of various contents.

컨텐츠 관리부(45)는 해당 DLNA 디바이스(200)에서 제공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컨텐츠 명, 포맷, 사이즈, 코덱 정보 등)를 조회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영상을 포함한 컨텐츠를 사용자 웹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ntent manager 45 inquires a list of contents (content name, format, size, codec information, etc.) that can be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DLNA device 200, and as shown in FIG. 7, checks the contents including the video on the user web screen. Function to help.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DLNA 게이트웨이(100)는 IPTV(201), 유선단말(202) 및 무선단말(203) 등의 DLNA 디바이스(200)로 디바이스 검색 및 등록 정보, 상태 정보 및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 등의 정보 요청을 전송한다(S1). DLNA 디바이스(200)는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DLNA 게이트웨이(100)로 각각 전송하고(S2), DLNA 게이트웨이(100)는 각 DLNA 디바이스(200)의 정보를 저장한다(S3).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LNA gateway managing a DLN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LNA gateway 100 transmits a request for information such as device search and registr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and stored content list to the DLNA device 200 such as the IPTV 201, the wired terminal 202, and the wireless terminal 203 ( S1). The DLNA device 200 transmits its own device information to the DLNA gateway 100 (S2), and the DLNA gateway 100 stores the information of each DLNA device 200 (S3).

DLNA 게이트웨이(100)가 구동 즉, 활성화 되면 DLNA 게이트웨이(100)는 게이트웨이 서버(300)와 통신 방식에 대해서 Connection을 유지해야 하는지, 유지를 할 필요가 없는지에 대한 테스트를 하는 것으로, DLNA 게이트웨이(100)의 네트워크 환경설정(GNC)을 수행한다(S4). 게이트웨이 서버(300)로부터 Connection을 유지해야 한다는 결과를 받으면 DLNA 게이트웨이(100)는 이후에 접속하는 Connection은 끊지 않고 유지를 해야 하며, 이후에 접속이 끊어진다면 다시 연결을 시도한다. Connection 유지를 해야 한다면 해당 프로토콜에 사용했던 Connection은 종료하고, 이후에 GAN(Gateway Active Notification) 프로토콜로부터 Connection을 유지한다. 이후, DLNA 게이트웨이(100)가 활성화되었음을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통지하면(S5). 게이트웨이 서버(300)는 해당 DLNA 게이트웨이(100)를 제어 가능한 활성화 상태로 관리하고, 해당 DLNA 게이트웨이(100)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6), 만일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미등록 게이트웨이라는 사실을 통지하여 등록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통지한다(S7).When the DLNA gateway 100 is driven, that is, activated, the DLNA gateway 100 tests whether the connection with the gateway server 300 should be maintained or not. In step S4, network environment setting (GNC) is performed. When receiving the result that the connection should be maintained from the gateway server 300, the DLNA gateway 100 must maintain the connection to be connected thereafter without disconnection, and if the connection is subsequently disconnected, the DLNA gateway 100 tries to connect again. If the connection needs to be maintained, the connection used for the protocol is terminated, and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from the GAN (Gateway Active Notification) protocol. Thereafter, when notifying the gateway server 300 that the DLNA gateway 100 is activated (S5). The gateway server 300 manages the DLNA gateway 100 in a controllable activation state, and determines whether the DLNA gateway 100 is registered (S6). If the gateway server 300 is not registered, the gateway server 300 is not registered. In step S7, the controller 200 notifies that it is an unregistered gateway so that it can switch to the registration mode.

다음에, 게이트웨이 서버(300)는 DLNA 게이트웨이(100)에 사용 가능한 DLNA 디바이스(200) 리스트 및 상세정보를 요청한 후, 이에 해당하는 리스트 및 상세정보를 DLNA 게이트웨이(100)로부터 전송 받는다(S8).Next, the gateway server 300 requests the list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200 available to the DLNA gateway 100, and receives the corresponding list and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DLNA gateway 100 (S8).

게이트웨이 서버(300)는 사용자 웹 서버(400)의 요청에 따라 DLNA 게이트웨이(100)를 통해 각 DLNA 디바이스(200)에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컨텐츠가 있는지 판단하여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컨텐츠를 DLNA 네트워크(10) 내의 DLNA 디바이스(200)에서 선택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선택하여, 선택된 컨텐츠가 사용자가 지정하는 DLNA 디바이스(200)에서 디스플레이 또는 특정 DNLA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작동(예를 들면, Play, Stop, 음량 조절 등)을 제어하거나 각 DLNA 디바이스(200) 간 컨텐츠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9). 또한, DLNA 디바이스(200)의 상태 즉, 활성화된 DLNA 디바이스(200)가 비활성화되면 DLNA 게이트웨이(100)에서는 이를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통지하고(S10), 또 DLNA 게이트웨이(100)가 새로운 DLNA 디바이스(200)를 검색하면, 검색사항을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통지하고, DLNA 게이트웨이(100)에 의해 검색된 DLNA 디바이스(200)가 비활성화하면, 비활성화 사항을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통지한 후 해당 DLNA 디바이스(200)가 관리하는 모든 컨텐츠 리스트를 초기화하고, 사용자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이후, 게이트웨이 서버(300)에 등록되어 있는 DLNA 게이트웨이(100)가 해제(비활성화)하면(S11), 사용자는 더 이상 해당 DLNA 게이트웨이(100)에 접근할 수 없다.
The gateway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content that can be displayed on each DLNA device 200 through the DLNA gateway 100 at the request of the user web server 400, and displays the content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LNA network 10 in the DLNA network 10. Selected from the device 200 or selected from the database 500,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in the user-specified DLNA device 200 or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provided by a particular DNLA device (for example, Play, Stop, volume Control, etc.) or control to perform content transmission between the DLNA devices 200 (S9). In addition, when the status of the DLNA device 200, that is, the activated DLNA device 200 is deactivated, the DLNA gateway 100 notifies the gateway server 300 (S10), and the DLNA gateway 100 is a new DLNA device. (200), notifies the gateway server 300 of the search items, and if the DLNA device 200 found by the DLNA gateway 100 is inactivated, notifies the gateway server 300 of the deactivation items, and then the corresponding DLNA. The content list managed by the device 200 may be initialized and the access of the user may be restricted. Thereafter, when the DLNA gateway 100 registered in the gateway server 300 is released (deactivated) (S11), the user can no longer access the DLNA gateway 10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사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injected onto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aliz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DLNA 게이트웨이 200 : DLNA 디바이스
300 : 게이트웨이 서버 400 : 사용자 웹 서버
500 : 데이터베이스 600 : 통신망
201 : IPTV 202 : 유선단말
203 : 무선단말 10 : DLNA 네트워크
21 : 홈네트워크 관리모듈 22 : G/W 관리모듈
23 : 외부 망 관리모듈 24 : 보안/로그 모듈
31 : 송수신부 32 : G/W 제어부
33 : 디바이스 제어부 34 : 컨텐츠 관리부
35 : 서버코어 41 : 고객 관리부
42 : 송수신부 43 : G/W 제어부
44 : 외부 망 제어부 45 : 컨텐츠 관리부
100: DLNA gateway 200: DLNA device
300: gateway server 400: user web server
500: database 600: communication network
201: IPTV 202: wired terminal
203: wireless terminal 10: DLNA network
21: home network management module 22: G / W management module
23: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24: security / log module
31: transceiver 32: G / W controller
33: device control unit 34: content management unit
35: server core 41: customer management
42: transceiver 43: G / W controller
44: external network control unit 45: content management unit

Claims (17)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웹 서버로 구성된 서버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서버와 접속하고, DLNA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DLNA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태 및 작동을 관리하는 DLNA 네트워크 관리모듈;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작동을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 관리모듈;
상기 DLNA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통신을 제어하는 외부 망 관리모듈; 및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보안 및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보안/로그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DLNA device capable of DLNA communication with a gateway server for managing a server network including a database and a user web server,
A DLNA network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the status and operation of the DLNA device;
A DLNA gateway management module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DLNA gateway;
An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DLNA device and the gateway server; And
A security / log module for monitoring security and performance of the DLNA gateway; DLNA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LNA 네트워크 관리모듈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DLNA 디바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작동 및 상태변화에 따른 이벤트 메시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LNA network management module,
Collect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that is activated or deactivated, transferring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server to the DLNA device, and storing an event mess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status change of the DLNA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LNA 게이트웨이 관리모듈은,
상기 DLNA 게이트웨이 및 고객의 정보를 저장 및 수정하고,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하고,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상세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 및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LNA gateway management module,
Storing and modifying the information of the DLNA gateway and the customer, notifying a gateway server of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DLNA gateway, and registering and releas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gateway to the gateway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망 관리모듈은,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처음 부팅시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하여 IP/Port/MAC address를 등록하고, 상기 DLNA 디바이스의 타입, 상기 DLNA 디바이스 내 컨텐츠를 보여주기 위한 Directory 구조와 컨텐츠 파일 리스트와 컨텐츠에 대한 상세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The first time the DLNA gateway is booted, it accesses the gateway server and registers an IP / Port / MAC address, and the directory structure for showing the type of the DLNA device, the contents in the DLNA device, the contents file list,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ntents. DLNA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warding to the gateway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망 관리모듈은,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DLNA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DLNA 디바이스 내에 있는 컨텐츠를 다른 DLNA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DLNA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And a content stored in one of the DLNA devices in another DLNA device, and displaying the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DLNA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gateway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망 관리모듈은,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요청으로 상기 DLNA 디바이스간 컨텐츠를 이동하거나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로 컨텐츠 스트림 또는 업로드(Upload)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DLNA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he content between the DLNA device or the content stream or upload (Upload) to the gateway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gateway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망 관리모듈은,
상기 DLNA 디바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컨텐츠 전송을 수행하고 있는 사이,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부가적인 제어 요청을 받아 이를 상기 DLNA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network management module,
And receiving the additional control request from the gateway server while delivering the content between the DLNA device and the gateway serve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request to the DLNA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로그 모듈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를 통해 WEP(Wired Equivalent Privacy) 보안을 지원하고,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접근 보안 폴더를 규정하여 관리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DLNA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행한 내역 요청에 대해 로그파일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urity / log module,
Support WEP (Wired Equivalent Privacy) security through ID (ID) and password (PW), define and manage the access security folder of the DLNA device, and for the history request performed by the gateway server through the DLNA gateway DLNA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for monitoring the log fil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활성화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 시 GAN(Gateway Active Notific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비활성화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 시 GIN(Gateway Inactive Notific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며, 상기 GAN 프로토콜은 MessageType, GWID, IP 및 Port를 포함하고, 상기 GIN 프로토콜은 MessageType 및 GW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ateway Active Notification (GAN) protocol is called when the DLNA gateway is notified of the activation of the DLNA gateway, and the Gateway Inactive Notification (GIN) protocol is called when the gateway server is notified of the deactivation of the DLNA gateway. DLNA gateway comprising a MessageType, GWID, IP and Port, wherein the GIN protocol includes a MessageType and GWID.
제 3 항에 있어서,
활성화된 상기 DLNA 게이트웨이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하는 경우, GRG(Gateway Registr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하여 게이트웨이 고유 아이디인 GWID를 부여받고,
활성화된 상기 DLNA 게이트웨이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해제하는 경우, GUR(Gateway UnRegistr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등록된 상기 DLNA 게이트웨이를 해제하여 상기 DLNA 게이트웨이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차단하며,
상기 GRG 프로토콜은 MessageType, Model, IP, Port, G/W Name, SerialNumber, Version 및 Mac을 포함하고, 상기 GUR 프로토콜은 MessageType 및 GW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activated DLNA gateway is registered with the gateway server, a gateway registration (GRG) protocol is called and registered with the gateway server to receive a GWID, which is a gateway unique ID,
When releasing the activated DLNA gateway from the gateway server, calling a Gateway UnRegistration (GUR) protocol and releasing the registered DLNA gateway to block user access to the DLNA gateway,
The GRG protocol includes MessageType, Model, IP, Port, G / W Name, SerialNumber, Version and Mac, and the GUR protocol includes MessageType and GWID.
제 2 항에 있어서,
새로운 DLNA 디바이스가 활성화되면, DAI(Device Active Inform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활성화된 새로운 DLNA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하며,
상기 DAI 프로토콜은 MessageType, GWID, DeviceID, DeviceIP, DevicePort, DeviceType, ClassHType, ClassHName, ClassLType, ClassLName, UPnPVersion, UPnPDeviceType, FriendlylName, Manufacturer, ManufacturerURL, ModelDescription, ModelName, ModelNumber, ModelURL, ModelURL, SerialNumber, IconMimType, IconURL, IsPlay, IsStop, IsPause, IsVolume, IsSear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The method of claim 2,
When a new DLNA device is activated, it calls the device active information (DAI) protocol and notifies the gateway server of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activated new DLNA device,
The DAI protocol includes MessageType, GWID, DeviceID, DeviceIP, DevicePort, DeviceType, ClassHType, ClassHName, ClassLType, ClassLName, UPnPVersion, UPnPDeviceType, FriendlylName, Manufacturer, ManufacturerURL, ModelDescription, ModelName, ModelNumber, ModelURL, ModelURL, SerialNumber, IconMimType, IconURL, DLNA gateway comprising IsPlay, IsStop, IsPause, IsVolume, IsSearch.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LNA 디바이스가 비활성화되면, DII(Device InActive Inform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상기 DII 프로토콜은 MessageType, GWID, DeviceID 및 DeviceI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The method of claim 2,
And when the DLNA device is inactivated, calls the Device InActive Information (DII) protocol, wherein the DII protocol includes a MessageType, a GWID, a DeviceID, and a DeviceI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태가 변경되면, DSI(Device Status Information) 프로토콜을 호출하고, 상기 DSI 프로토콜은 MessageType, GWID, DeviceID, TransportStatus, CurrentURL, Duration, Realtime, Title, ItemClass, Creator, Artist, Album, Date, ThumbnailURL 및 FileSiz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게이트웨이.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status of the DLNA device is changed,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DSI) protocol is called, and the DSI protocol is a MessageType, GWID, DeviceID, TransportStatus, CurrentURL, Duration, Realtime, Title, ItemClass, Creator, Artist, Album, Date, DLNA gateway comprising ThumbnailURL and FileSize.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웹 서버로 구성된 서버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서버와 접속하고, DLNA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DLNA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DLNA 게이트웨이가 활성화되면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와의 DLNA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활성화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
활성화된 상기 DLNA 게이트웨이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DLNA 게이트웨이에 대해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DLNA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DLNA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DLNA 게이트웨이의 비활성화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of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DLNA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to a gateway server for managing a server network consisting of a database and a user web server,
Setting up a network environment for DLNA communication with the gateway server when the DLNA gateway is activated;
Notifying the gateway server of activation of the DLNA gateway;
Registering the activated DLNA gateway with the gateway server;
The gateway server request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from the DLNA gateway, and the DLNA gateway transmitt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gateway serv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LNA device at the request of the gateway server;
Transmit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LNA device to the gateway server; And
Notifying the gateway server of the deactivation of the DLNA gateway; Control method of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comprising 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LNA 디바이스의 동작제어는 상기 DLNA 디바이스의 플레이, 스톱, 음량 조절이거나, 상기 DLNA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DLNA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른 DLNA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또는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DLNA device is a play, stop, volume control of the DLNA device, or manages the DLN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display or transmission of the content stored in any one of the DLNA device of the DLNA device to another DLNA device; DLNA gateway control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LNA 디바이스가 비활성화하면, 상기 DLNA 게이트웨이는 비활성화 상태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에 통지한 후 해당 DLNA 디바이스가 관리하는 모든 컨텐츠 리스트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And when the DLNA device is deactivated, the DLNA gateway notifies the gateway server of the deactivation state and initializes a list of all contents managed by the corresponding DLNA devi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환경의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DLNA 게이트웨이는 상기 DLNA 디바이스의 상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상세 정보를 상기 DLNA 게이트웨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DLNA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before the network environment setting step:
The DLNA gateway collect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LNA device;
Storing the received detailed information in the DLNA gateway; control method of a DLNA gateway for managing a DLN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100032165A 2010-04-08 2010-04-08 Gateway for controlling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 and thereof method KR101042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165A KR101042196B1 (en) 2010-04-08 2010-04-08 Gateway for controlling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 and thereof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165A KR101042196B1 (en) 2010-04-08 2010-04-08 Gateway for controlling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 and thereof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196B1 true KR101042196B1 (en) 2011-06-16

Family

ID=4440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165A KR101042196B1 (en) 2010-04-08 2010-04-08 Gateway for controlling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 and thereof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1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66A1 (en) * 2015-10-22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480A (en) * 2004-02-06 2005-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Upnp based on rg system for home network service
KR20070043486A (en) * 2005-10-21 2007-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Gateway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faciliti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80111037A (en) * 2006-03-07 2008-12-2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00018897A (en) * 2008-08-07 2010-0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me cont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480A (en) * 2004-02-06 2005-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Upnp based on rg system for home network service
KR20070043486A (en) * 2005-10-21 2007-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Gateway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faciliti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80111037A (en) * 2006-03-07 2008-12-2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00018897A (en) * 2008-08-07 2010-0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me conte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66A1 (en) * 2015-10-22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46993A (en) * 2015-10-22 201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Communic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439894B2 (en) 2015-10-22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95529B1 (en) 2015-10-22 2022-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Communic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95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bookmark with other users in a home network
US80561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contents over DLNA network
KR100754431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conten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dmr in dlna system
KR10180954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device using universal web application and apparatus thereof
US81600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using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network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US98832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nection betwe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another device connected by network
US201501330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content using nfc
KR20090075391A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network in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network
EP2490404B1 (en) Method and digital media player for mounting a network attached storage device
US2011014541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on control method
CN102577245B (en) Controlling external network-media on a local network-UE using an external network-connected UE
US20140173108A1 (en) Method for device discovery and method for downloading content
US20070033288A1 (en) Method of using pause time information on media content in UPnP environment
US201002056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between control point and at least one device in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system
KR1007444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ng rss in devices of dms based dlna network
KR101042196B1 (en) Gateway for controlling dlna home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 and thereof method
KR101038999B1 (en) Gateway server for controlling dlna network composed of dlna device and dlna gateway and thereof control method
KR20120072100A (en) Web medi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eb content service and home networking
KR1010538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lna device using dlna gateway
KR101039000B1 (en) Dlna gateway for controlling dlna device by connecting to external device
Kim et al. Provision of the multimedia service framework in the ubiquitous home network
KR1010593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rol screen between DMS device and DMC / DPM device in DLAN
KR20110015117A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ly transmitting contents on dlna home network
KR20110005449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of content based dlna system
KR1010645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of DLNA home network using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