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329B1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329B1
KR101038329B1 KR1020090024604A KR20090024604A KR101038329B1 KR 101038329 B1 KR101038329 B1 KR 101038329B1 KR 1020090024604 A KR1020090024604 A KR 1020090024604A KR 20090024604 A KR20090024604 A KR 20090024604A KR 101038329 B1 KR101038329 B1 KR 101038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glass
flexible display
display substrat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131A (ko
Inventor
김연수
유상현
한대만
백명기
김태진
송헌일
구자정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32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02F1/133723Polyimide, polyamide-im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66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 기판 및 상기 유리 기판 상면 및/또는 하면에 지지체가 라미네이트 되며, 상기 유리 기판의 두께가 10~400㎛인 규산염유리이며, 상기 유리 기판 및 지지체 사이의 중간 접착층은 자외선 경화형수지 조성물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접착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플렉시블 기판, 규산염유리, 광학필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접착물질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flexible display substrate}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판의 유리를 이용한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 기판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가 고도의 정보화 시대로 발전함에 따라서 각종의 장치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인간에게 전달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표시 장치에 대한 개발도 활발해지고 있다. 상기 표시장치로는 CRT(Cathod Ray Tube), 유기전계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EL),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자체가 빛을 내는 발광형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이 자체가 빛을 내지 못하는 비발광형의 표시장치로 나눌 수 있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표시장치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주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화, 경량화, 박형화, 고화질화, 고투명도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정의는 명확하지 않으나, 대체적으로 플렉시블 기판 위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통칭해서 말하며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고 유연하면서 질긴 특성을 바탕으로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라고 부르고 있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그 자체가 특정 표시소자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플렉시블한 특징이 구현 가능한 모든 구조의 표시소자를 지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표시소자로 제작할 수 있는데, 현재는 액정표시소자,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및 E-Paper 등에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소자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장치로서, 기존의 브라운관에 비해 작을 뿐만 아니라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최근에 평판 정보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는 자기발광형이기 때문에 LCD에 비해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좋으며 또한 백라이트가 필요 없기 때문에 경량화가 가능하며 소비전력 면에서도 TFT-LCD보다 유리하다. 또한 다른 디스플레이에 비해 감성화면 구현 및 응답속도가 빨라 동영상 표시가 용이하며 LCD와는 달리 고체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은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판은 가스 배리어 특성으로 대표되는 기판을 통한 산 소나 수분 등의 기체 투과성이 중요하다. 이는 표시소자를 구성하는 소재의 내구성이 투과된 산소나 수분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며, 특히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의 경우 발광층의 재료가 산소나 수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열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이들 침입에 의해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성능이 저하되고 수명이 단축되어 발광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표시소자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체의 침입을 막고, 미세크기의 표시소자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표면평탄성과 기계적 특성 그리고 투광성이 좋은 소재로 유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유리판의 두께를 줄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리의 깨짐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0.2mm 두께의 필름형태로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기판은 유리보다 더 유연하고, 깨짐성이 적으며, 밀도가 유리보다 작아서 가벼운 표시소자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리에 비해 산소, 수분의 투과성이 높아 유기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기판, 한층의 무기물로만 구성하거나 유기/무기, 무기/무기의 다층 구조의 적층 구조를 갖는 기판, 얇은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층을 포함하는 기판 등의 형태로 산소 및 수분의 투과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적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00425호는 PET, PEN, PES, PC 및 PAR 등의 폴리머 중 하나가 적용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 전면에 적층되며 솔벤트 배리어, 하드 코트, 오버 코트, 및 평활막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는 제 1보호층과, 상기 제 1보호층의 상부 전면에 적층되며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가스 배리어가 적용되는 제 1가스 배리어층으로 된 다층 구조로 복수의 가스 배리어층을 마련하여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플라스틱 기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층막 구조의 플라스틱 기판은 제조공정상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광 투과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71442호에 있어서, 유연한 기판은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을 포함하는데 이 경우 보호층으로 금속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시트 물질을 마련하여 플라스틱 기판에 추가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산소나 수분 등으로 인한 가스 유입을 차단하는 기체방어막 물질이 포함된 기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 층을 포함하는 기판은 금속층으로 인해 투과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의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휨 현상으로 인해 기존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양산 설비를 이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기판에 대한 전용 설비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양산 설비를 대폭 변경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디스플레이 제조 업체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플렉시블 기판을 취급하기 위한 전용 척(chuck)을 고안하여 기존의 양산 설비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용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투명도전막(Transparent Conducting Films)은, 가시광(파장 380~780 nm)에 투명하고, 또한 고도전성(체적비 저항 1×10-3Ω㎝ 이하)을 아울러 가지는 박막으로, 그 대표적인 인듐-틴 옥사이드(ITO)박막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태양전지, 터치패널 등의 평판디스플레이에서 전기 전도성 층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발광유기물과 ITO 전극 사이의 계면에 높은 쇼트키 장벽(schottky barrier)을 형성하여 원활한 홀 주입이 있다는 문제점과 브리틀(Brittle)하여 크랙킹(Cracking)의 문제점 및 높은 가격으로 단가를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표시소자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산소, 수분 등이 외부로부터 소자 내로의 투과를 최소화하는 배리어층을 형성하는데 광 투과성이 우수한 박형 유리판을 사용하고, 유리판과 필름형 플라스틱판의 접합 공정을 단순화하여, 기존의 플렉시블 플라스틱 기판보다 더 유리한 광 투과성, 배리어 특성과 함께 제조공정의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 및 제조비용에서 유리한, 박판 유리를 포함한 다층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안이 모색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경박, 경량,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형의 유리를 사용함으로서 제조과정을 단순하게 하면서, 공정시에 유리의 손상에서 야기되지 않는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 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층이 배리어(Barrier)로 작용을 하여 외부로 가스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기존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으로 사용되는 적층형 유,무기 복합구조에 비해 광투과성이 우수한 기판을 제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양산 설비를 사용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휨 방지에도 용이한 지지체로서 라미네이트 된 플렉시블 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에 있어서, 유리 기판 및 상기 유리 기판 상면 및/또는 하면에 지지체가 라미네이트 되며, 상기 유리 기판의 두께가 10~400㎛인 규산염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규산염유리가 규산유리 또는 칼륨석회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10~200㎛인 플라스틱 광학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필름이 폴리에틸렌나트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술폰(PES), 투명형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싸이클릭올레핀(PCO), 가교형 에폭시, 가교형 우레탄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 기판 및 지지체 사이의 중간 접착층이 자외선 경화형수지 조성물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접착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기판의 휨 방지에 용이한 지지체로 라미네이트 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기판의 허용 가능한 곡률반경이 30mm~70mm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성 층이 인듐-징크 옥사이드(IZO)로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은 경량, 경박, 플렉시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유리 층은 배리어(Barrier)로 작용을 하여 외부로 수분과 산소에 대한 확산 방지막의 기능을 수행하여 제품의 성능을 유지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은 종래에 사용되는 붕규산유리인 무알카리 유리 가격의 절반에도 미치치 않아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유리기판의 상 하면을 투명한 광학필름으로 지지함으로서 제조과정에서 유리 구성 요소인 규소의 알칼리 성분의 변형을 막을 수 있으며, 공정시 유리강도를 보존하며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수율이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은 적층형 유,무기 복합구조에 비해 광투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유,무기 복합구조에 비해 제조과정이 단순해짐으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은 기존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양산 설비를 사용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휨 방지에도 용이한 지지체로서 라미네이트 된 플렉시블 기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 제품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용도로 쓰려면, 경량이면서도 경박하고 유연한 것이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는 현재 나와 있는 기술로서 유리의 두께를 10㎛까지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초박판 유리를 이용하여 플렉시블한 기판에 활용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 기판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 쌍의 박막 광학필름(130) 사이에 박판 유리(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학필름(130) 및 박판 유리(110) 사이에 중간 접착층(120)으로서 자외선 경화형수지 조성물인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접착물질이 라미네이트된 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도 2는 박판 유리(110) 상면에 광학필름(130)이 형성되며, 상기 광학필름(130) 및 박판 유리(110) 사이에 중간 접착층(120)이 형성된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박판 유리(110)는 규산염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체 투과성에 있어서 물과 산소는 모든 종류의 유기 물질을 공격해서 디스플레이 내부의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여 수명을 단축시킨다. 그러나 유리는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공기와 습도에 대한 투과성이 매우 낮다. 이에 본 발명에서 사용한 규산염유리 구조는 매우 높은 밀도를 갖고, 산소, 물과 매우 강한 결합을 하기 때문에 낮은 투과율을 보인다. 유리판이 갖는 산소와 물에 대한 투과율 값은 매우 낮아서 측정하기도 힘들다. 따라서 산소와 물은 유리판을 통과하지 못한다고 여겨지며, 산소 및 수증기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배리어(Barrier)특성과 광투과성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규산염유리는 규사 형태로 천연으로 존재하는 무수규산(실리카)을 주체로 하는 유리로서, 상기 규산염유리 종류로는 비제한적인 예로 규산유리, 칼륨석회유리, 나트륨석회유리, 납유리, 바륨유리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박판 유리(110)는 규산유리, 칼륨석회유리가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규산유리는 석영유리라고도 하는데, 규산 SiO2를 99.5% 함유하고 있으며, 열팽창률이 매우 작고(선팽창계수가 약 0.5×10-6), 내열성과 내산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칼륨석회유리는 소다석회유리에 있는 나트륨의 일부를 칼륨으로 치환한 것으로 투명도가 높은 특징이 있다.
상기 규산염유리는 종래에 사용되는 붕규산유리인 무알카리 유리 가격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제조 원가 절감에 도움이 되는 특징이 있다. 규산염유리는 붕규산유리와 비교할 때 충격성이 약한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박판 유리(110)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투명한 광학필름(130)으로 지지함으로서 규산염유리가 외부충격을 받더라도 깨지지 않도록 보완하였다.
상기 박판 유리(110)의 두께는 10~400㎛인 규산염유리이며 기존의 유리와는 달리 플렉시블한 특징이 있어 종이처럼 휘거나 구부려도 깨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박판 유리(110)는 투명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배리어층(barrier)을 형성하여 산소나 수증기 등을 외부로 차단하여 성능이 저하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박판 유리(110)의 상면 및 하면이나 상면 또는 하면에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체 역할을 하는 광학필름(13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광학필름이 위치함으로써 공정시 유리의 90%이상이 모서리 부분에서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광학필름으로 표면까지 라미네이팅된 기판을 제조함으로써 유리강도를 보존하며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박막 광학필름(130)의 두께는 10 내지 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로 광학필름(130)을 제조할 경우 기판의 플렉시블한 성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광학필름(130)으로는 폴리에틸렌나트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술폰(PES), 투명형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싸이클릭올레핀(PCO), 가교형 에폭시, 가교형 우레탄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판 유리(110)와 상기 광학필름(130)과의 사이에 접착층(adhesion layer)(120)을 형성하였는 데, 상기 접착층(120)으로 사용된 물질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접착물질로 표면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아크릴레이트계 접착 물질, 실리콘계 접 착 물질, 에폭시계 접착 물질 등이 있으나, 실리콘계 및 에폭시계 접착 물질은 완전경화에 이르는 데 까지 장시간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며, 박판 유리와 광학 필름간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계면을 통한 수분 침투가 용이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보다 가교밀도가 낮아 접착제의 수분 투과도 또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접착층으로 사용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접착물질은 우레탄 특유의 응집력과 강인성으로 인해 접착력이 우수하며, 고온 및 고습 조건 하에 있어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경화 후 접착제의 저수분 투과율의 물성도 갖추고 있으며, 또한 투명성이 우수하고 고굴절률을 가져 각종 광학 부재로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 등의 박층 피착체의 접착에 유효하고, 특히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이용하는 광학 필름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보다 안정적인 플렉시블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형수지 조성물인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접착물질은 무용제 타입으로서 기판의 열적 변형이나 아웃게싱(outgasing)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전하(dimensional charge)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20)은 박판 유리(110) 및/또는 광학필름(130)에 도포될 수 있으며, 박판 유리(110)와 광학필름(130)을 접합하는 데 있어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로 라미네이팅법을 이용하여 접합한다. 대표적인 라미네이터는 조정 가능한 압력을 가지며 고정속도 또는 조정가능 속도로 움직이는 한 쌍의 가열 가능한 롤러들을 구비하며, 접착제는 양 재료들 사이에서 도포될 수 있으며, 도포 후 라미네이터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라미네이팅법을 이용하면 고가의 장비 없이 간편하게 박판 유리(110)와 광학필름(130)을 적층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기판을 자외선 램프의 광량을 1.5J/㎠~2.0J/㎠으로 조사하여 제작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양산 설비를 사용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휨 방지에도 용이한 지지체로서 라미네이트 된 플렉시블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층으로는 저비용의 인듐-징크 옥사이드(IZO)를 사용하였는 데, 상기 인듐-징크 옥사이드(IZO)를 사용한 전기 전도성 층은 스위칭 특성이 우수하고, 동작속도가 빠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허용 가능한 곡률반경은 30mm~70mm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0mm 곡률반경에 해당하는 휨 변형에도 견디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 인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은 86% 이상의 광투과도(투명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은 유리기판을 투명한 광학필름으로 지지함으로서 제조과정에서 유리 구성 요소인 규소의 알칼리 성분의 변형을 막을 수 있으며, 공정시 유리 모서리에 손상이 야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양쪽 표 면이 광학필름으로 라미네이팅된 기판으로서 유리강도를 보존하면서도 쉽게 깨지는 않는 특징이 있어 생산 수율이 증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박판 유리인 규산염유리 중 규산유리를 100mm×100mm의 크기로 하며, 두께는 100㎛로 하였으며,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자외선 경화형수지 조성물인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접착물질로 도포하여, 박판 유리의 상하 양면을 광학필름을 라미네이팅법을 이용해 접합하였다. 제조된 기판을 자외선 램프의 광량을 1.5J/㎠~2.0J/㎠으로 조사하여 제작하였으며, 광투과도, 산소 투과도, 수증기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및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박판유리인 규산염유리의 두께를 각각 10㎛, 400㎛로 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나트탈레이트(PEN)의 광학필름을 사용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및 6
실시예 4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박판유리인 규산염유리의 두께를 각각 10㎛, 400㎛로 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두께 200㎛의 폴리카보네이트(PC)의 광학필름을 사용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및 9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박판유리인 규산염유리의 두께를 각각 10㎛, 400㎛로 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조하였다.
※ 분석방법
(1) 광투과도 : 투과도는 JASCO사의 측정기[모델 : V-7100 UV/VIS/NIR Spectrophotometer]로 측정.
(2) 산소 투과도의 측정 : 산소 투과도의 측정은 온도 23℃, 습도 90%RH의 조건으로 미국, 모콘(MOCON)사제의 측정기[모델 : OX-TRAN Model 2/21]로 측정.
(3) 수증기 투과도의 측정 : 수증기 투과도의 측정은 온도 40℃, 습도 90%RH의 조건으로 미국, 모콘(MOCON)사제의 측정기[ AQUATRAN W Model 1]로 측정.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구 분 투명성(%) 산소투과도
(cc/㎡/day)
수증기투과도
(g/㎡/day)
실시예 1 91.1 0.005 0.0005
실시예 2 92.8 0.007 0.0006
실시예 3 90.7 0.004 0.0004
실시예 4 86.7 0.005 0.0005
실시예 5 90.5 0.006 0.0008
실시예 6 88.9 0.005 0.0004
실시예 7 90.0 0.005 0.0005
실시예 8 90.4 0.005 0.0007
실시예 9 89.5 0.003 0.0004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8)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에 있어서,
    유리 기판 및 상기 유리 기판 상면 및/또는 하면에 지지체가 라미네이트 되며, 상기 유리 기판의 두께가 10~400㎛인 규산염유리이며, 상기 유리 기판 및 지지체 사이의 중간 접착층은 자외선 경화형수지 조성물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접착물질인 것을 특징인 디스플레이 기판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광투과도가 86 내지 93%, 산소 투과도가 3×10-3 내지 7×10-3 cc/㎡/day, 수증기 투과도가 4×10-4 내지 8×10-4 g/㎡/d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산염유리는 규산유리 또는 칼륨석회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두께가 10~200㎛인 광학필름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폴리에틸렌나트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술폰(PES), 투명형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싸이클릭올레핀(PCO), 가교형 에폭시, 가교형 우레탄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 판.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의 휨 방지에 용이한 지지체로 라미네이트 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의 허용 가능한 곡률반경은 30mm~70mm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8. 삭제
KR1020090024604A 2009-03-23 2009-03-2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KR101038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604A KR101038329B1 (ko) 2009-03-23 2009-03-2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604A KR101038329B1 (ko) 2009-03-23 2009-03-2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131A KR20100106131A (ko) 2010-10-01
KR101038329B1 true KR101038329B1 (ko) 2011-06-01

Family

ID=4312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604A KR101038329B1 (ko) 2009-03-23 2009-03-2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3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632B1 (ko) * 2012-05-09 2012-07-11 한동희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용 보호시트
CN104204920A (zh) * 2011-11-08 2014-12-10 康宁股份有限公司 光电前平面基板
US9280176B2 (en) 2014-01-07 2016-03-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683B1 (ko) * 2018-12-14 2022-03-0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긴장력 감쇄를 위한 버퍼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하이브리드 기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935A (ko) * 2004-06-23 2005-12-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반송용 플렉시블 기판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820170B1 (ko) 2006-08-30 2008-04-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렉시블 기판의 적층 방법
KR20080069962A (ko) * 2006-10-25 2008-07-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8242154A (ja) 2007-03-28 2008-10-09 Kyoto Univ フレキシブル基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935A (ko) * 2004-06-23 2005-12-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반송용 플렉시블 기판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820170B1 (ko) 2006-08-30 2008-04-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렉시블 기판의 적층 방법
KR20080069962A (ko) * 2006-10-25 2008-07-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8242154A (ja) 2007-03-28 2008-10-09 Kyoto Univ フレキシブル基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04920A (zh) * 2011-11-08 2014-12-10 康宁股份有限公司 光电前平面基板
KR101164632B1 (ko) * 2012-05-09 2012-07-11 한동희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용 보호시트
US9280176B2 (en) 2014-01-07 2016-03-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131A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214B1 (ko) 화학강화유리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JP6254164B2 (ja) 強化された薄型ガラス−ポリマー積層体
KR10112723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US6355125B1 (en) Method for making an electric or electronic module comprising a glass laminate
KR101484381B1 (ko) 가요성 기판
KR101156191B1 (ko) 화학강화유리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TW201702641A (zh) 撓性濾色器及其製造方法
TWI624941B (zh) 製造有機發光顯示裝置之方法
EP3700743A1 (en) Flexible cover lens films
JP2003327718A (ja) 基材フィルム、並びに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JP2003337549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ー用基板、表示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および液晶表示素子
US20180246603A1 (en) Film touch sensor
KR101038329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JP2014071484A (ja)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101966336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11128462A (ja) 表示パネルユニット
JP2011121347A (ja) ガスバリアフィルム
KR101124557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활용한 유기전계 발광장치
KR20170026055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JP200719421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88441B1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24558B1 (ko) 광추출효율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기판
JP4819211B2 (ja) ガラス積層物を含む電気的または電子的モジュールの製造法
KR101177064B1 (ko) 광추출 효율이 개선된 유기전계 발광장치
Nishijima et al. 31‐3: Gas‐Barrier Adhesive Sheet as a Face‐sealing Encapsulation for Flexible OL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