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317B1 - 홈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317B1
KR101038317B1 KR1020100128065A KR20100128065A KR101038317B1 KR 101038317 B1 KR101038317 B1 KR 101038317B1 KR 1020100128065 A KR1020100128065 A KR 1020100128065A KR 20100128065 A KR20100128065 A KR 20100128065A KR 101038317 B1 KR101038317 B1 KR 101038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network
control command
metadata
mai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헌
김철수
Original Assignee
창신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창신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00128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기 다른 장치들의 특성정보인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치와의 통신 및 제어를 수행하는 서브컨트롤러에 의해 다양한 통신방식, 처리능력을 가지는 홈네트워크 장치의 추가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메인컨트롤러를 통한 용이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거주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거주지의 거주 환경을 조절하거나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거주 환경의 조절 또는 상기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장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장치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받는 메인컨트롤러; 및 상기 메인컨트롤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인식 가능한 제어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달하는 서브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시스템{The Home-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기 다른 장치들의 특성정보인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치와의 통신 및 제어를 수행하는 서브컨트롤러에 의해 다양한 통신방식, 처리능력을 가지는 홈네트워크 장치의 추가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메인컨트롤러를 통한 용이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아파트, 주택, 사무실 등에 주거환경의 종합적인 통제를 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주거환경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과 이를 통제하는 컨트롤 장치로 구성되며, 컨트롤 장치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각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통제 의도를 장치에 전달함으로써 주거환경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확장성이 제한되거나,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설치 당시에 계획되어 구성에 포함된 장치 외에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여 시스템을 확장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여 사용하던 중에 새로운 장치들이 개발되는 경우 이를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제한적이며, 추가에 따른 운영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위해 보편적인 통신방식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호환성이 좋은 운영체제(OS)를 가지는 홈네트워크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역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장치의 추가 및 운용의 편리성을 위해 통신방식으로 블루투스, 지그비, RFID, TCP/IP를 이용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블루투스, 지그비, RFID와 같은 방식의 경우 홈네트워크 시스템 내부 데이터의 보안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고, 인근의 다른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환성이 좋은 운영체제를 탑재하는 경우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고성능화가 필연적이며, 이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현에 있어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기 다른 장치들의 특성정보인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치와의 통신 및 제어를 수행하는 서브컨트롤러에 의해 다양한 통신방식, 처리능력을 가지는 홈네트워크 장치의 추가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메인컨트롤러를 통한 용이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타데이터에 의해 장치에 적합한 보안방식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여 이종 장치를 통한 홈네트워크 구성시에도 보안성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거주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거주지의 거주 환경을 조절하거나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거주 환경의 조절 또는 상기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장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장치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받는 메인컨트롤러; 및 상기 메인컨트롤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인식 가능한 제어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달하는 서브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접속되고,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원격접속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브컨트롤러는 상기 메인컨트롤러와 상기 서브컨트롤러, 상기 서브컨트롤러와 상기 네트워크장치 간에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하드웨어 구성, 네트워크장치의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자원,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 상기 네트워크장치의 질의처리기능, 상기 네트워크장치의 보안기능 및 상기 네트워크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록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서브컨트롤러는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호스트연결부;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명령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및 제어를 위한 요청을 처리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질의처리부; 상기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메타데이터 관리부; 상기 질의처리부 및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며, 상기 호스트연결부로부터 발생되는 요청신호를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부 또는 상기 질의처리부로 전달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상기 질의처리부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네트워크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보안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관리부;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근 및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장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기 다른 장치들의 특성정보인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치와의 통신 및 제어를 수행하는 서브컨트롤러에 의해 다양한 통신방식, 처리능력을 가지는 홈네트워크 장치의 추가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메인컨트롤러를 통한 용이한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메타데이터에 의해 장치에 적합한 보안방식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여 이종 장치를 통한 홈네트워크 구성시에도 보안성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메타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양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에 있어서, 전후좌우, 상하, 종횡은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상대적인 주요성 또는 취지 또는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항은 당업자라면 이에 대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은 컨트롤러(120), 네트워크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원격접속장치(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용하여 제어명령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30)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120)는 제어명령을 수용하기 위한 수단과 네트워크장치(130)의 제어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120)는 메인컨트롤러(121)와 서브컨트롤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컨트롤러(121)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전달받은 제어명령을 서브컨트롤러(2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서브컨트롤러(200)에 전달한다. 또한, 메인컨트롤러(121)는 서브컨트롤러(2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장치(130)를 제어하고, 제어결과를 네트워크장치(130)로부터 전달받아 메인컨트롤러(12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메인컨트롤러(121)와 서브컨트롤러(200)는 서로 다른 외장재에 수납되어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되고, 상호 통신에 의해 제어명령, 제어신호과 같은 각종 데이터신호를 교환 할 수 있다. 또한, 메인컨트롤러(121)와 서브컨트롤러(200)는 하나의 케이스 안에 수납되어, 서로 독립적인 회로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적 특징은 본 발명이 새로이 구성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뿐만 아니라, 기존에 구축되어 이용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경우 기존에 설치된 홈네트워크의 컨트롤러를 메인컨트롤러(121)로 사용하여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메인컨트롤러(121)와 서브컨트롤러(200)가 도 1에서와 같이 구분된 형태를 예로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컨트롤러(121)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용하고, 수용된 제어명령을 서브컨트롤러(200)에서 처리 가능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한다. 또한, 메인컨트롤러(121)는 서브컨트롤러(200)로부터 제어명령의 전달에 따라 제공되는 결과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메인컨트롤러(121)는 키패드, 버튼, 다이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관 같이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직접입력수단, 원격접속장치(110)와의 통신을 통해 원격접속장치(110)로부터 제어명령을 전달받기 위한 간접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메인컨트롤러(121)는 결과정보를 직접출력하여 제공하기 위한 플랫디스플레이 패널, 엘이디(LED) 디스플레이패널과 같은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원격접속장치(110)로 결과정보를 전달하여 원격접속장치(110)가 결과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메인컨트롤러(121)는 원격접속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접속장치(110)는 휴대폰(110a), 컴퓨터(110b), 리모콘(110c)과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때문에 메인컨트롤러(121)에 구성되는 통신수단은 유/무선 전화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모듈,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IrDA,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통신방식의 장치 또는 리모콘(110c)과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브컨트롤러(200)는 메인컨트롤러(121)와 네트워크장치(130)를 매개하여, 메인컨트롤러(121)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네트워크장치(1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에 따른 결과정보를 메인컨트롤러(121)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서브컨트롤러(200)는 메인컨트롤러(121)에서 전달되는 제어명령의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장치(130)를 파악하고, 네트워크장치(130)에 따라 제어명령을 그대로 제어신호로 변변환하여 전달하거나, 제어명령을 네트워크장치(130)에서 처리가능한 형태의 제어신호로 변환 및 전달하여 네트워크장치(130)를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서브컨트롤러(200)에는 제어명령의 처리 및 네트워크장치(130)로부터의 결과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미들웨어가 탑재된다. 서브컨트롤러(200)는 이러한 기능을 위한 미들웨어가 탑재되며, 이 미들웨어의 구동에 의해 메인컨트롤러(121)와 네트워크장치(130) 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서브컨트롤러(200)는 네트워크장치(130) 별 제어신호의 생성에 있어서, 네트워크장치(130) 각각의 특성정보가 기록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다. 이 메타데이터는 메인컨트롤러(121)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장치(130)의 장치 식별자, 네트워크 상의 위치, 기능, 명령 처리 능력과 같은 장치 자체 정보 및 네트워크 구성 장치로써의 정보가 기록된다. 여기서, 메타데이터의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서브컨트롤러(200)는 네트워크장치(130)의 추가 또는 삭제시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메타데이터에 의해 제어명령의 변환 필요여부, 제어명령의 변환시 변환 수준 판단, 통신프로토콜 선택, 통신 방식 선택과 같은 다양한 조건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제어명령을 제어신호로 변환 및 재생성하여 전달하게 된다. 일례로, 서브컨트롤러(200)는 메인컨트롤러(121)로부터 제어명령이 전달되면, 제어명령의 대상 네트워크장치(130)가 어떤 장치인지를 판단하여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서브컨트롤러(200)는 선택된 네트워크장치(130)의 메타데이터를 검색하고, 메타데이터에 기록된 장치의 특성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서브컨트롤러(200)는 메타데이터를 통해 선택된 네트워크장치(130)의 질의처리능력, 사용프로토콜, 데이터 전송 크기, 데이터 구조, 네트워크상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제어명령을 그대로 전달할지 네트워크장치(130)에 맞게 재생성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처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장치의 질의처리능력을 고려하는 경우 질의처리능력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장치(130)들이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실내온도를 30분 동안 측정하여 평균값을 전달하라는 제어명령이 전달되는 경우,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의 질의처리능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컨트롤러(200)는 메타데이터에 기록된 온도측정장치들의 질의처리능력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결과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질의처리능력이 제어명령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온도측정장치에는 제어명령의 조건인 '30분 동안 온도 측정값의 평균 산출' 명령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에 질의처리능력이 낮은 온도측정장치에 대해서는 서브컨트롤러(200)가 30분 동안 온도측정값을 요구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온도측정값을 결과신호로써 제공받고, 이를 통해 평균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평균값을 결과정보로써 메인컨트롤러(121)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브컨트롤러(200)는 메인컨트롤러(121)와 네트워크장치(130) 사이에서 상호간의 명령전달, 처리 및 결과값의 획득을 위한 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장치가 추가되어 운영될 수 있게 한다.
네트워크장치(130)는 홈네트워크시스템(100)에 포함되어 구성되며, 제어명령에 따라 주거환경의 각종 조건 조절, 상태 파악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들이다. 이러한 네트워크장치(130)들은 온도센서, 가스센스, 출입문 감지센서, 보안센서와 같은 센서류 장치들, 텔레비전, 냉장고, 가스레인지, 전자레인지와 같은 주방가전, 보일러, 에어콘과 같은 온도조절 장치, 등기구 장치와 같은 다양한 장치들이 포함된다. 특히, 네트워크장치(130)는 하나의 목적을 위한 장치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장치(130)에서 실내온도를 상승시키는 장치로 보일러와 전기 전열기구가 함께 구성되거나, 2대 또는 2종 이상의 보일러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장치(130)의 개별 동작/중지 시점과 같은 사항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메타데이터에도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네트워크장치(130)의 개별 동작/중지 시점에 대한 기록은 향후 홈네트워크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해 특정장치가 언제 동작을 시작했는지, 정지했는지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에 기록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장치(130)는 서브컨트롤러(2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동작결과에 대한 정보를 결과신호로써 서브컨트롤러(200)에 전달하게 된다.
원격접속장치(11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메인컨트롤러(121)로 전달하고, 메인컨트롤러(121)로부터의 결과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원격접속장치(110)는 메인컨트롤러(121)가 지원하는 통신방식에 의해 메인컨트롤러(12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용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대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접속장치(110)는 휴대폰(110a), 컴퓨터(110b) 및 리모콘(110c)와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메타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시스템의 자원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인 메인컨트롤러(121), 서브컨트롤러(200) 및 네트워크장치(130)와 서브컨트롤러(200)에 탑재되는 미들웨어 그리고,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응용서비스, 노드, 하드웨어 구성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홈네트워크시스템의 노드는 네트워크 장치(130)의 실행장치(또는 트랜스듀서), 프로세서, 통신소자, 전지에 의해 구성되는 네트워크장치(130) 단위 시스템으로써, 각종 이벤트(일련의 제어 과정 전반)를 통신에 의해 서브컨트롤러(2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메타데이터(410)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자원에 대한 스펙과 부가 정보 예를들어,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현황,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능력, 모니터링, 네트워크 장치(130)의 질의처리능력, 보안적용 방식, 네트워크장치(130)의 상태 정보, 네트워크 장치(130)의 노드 위치 정보, 네트워크가 제공 가능한 기능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메타데이터(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네트워크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자원 및 이들과 연계된 각종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례로 메타데이터(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데이터(410), 노드데이터(420), 장치데이터(430), 노드하드웨어스펙 데이터(440)와 같은 자원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원정보는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에 따라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각 자원에 대한 자원정보는 세부항목을 가지며, 도 2에서 일례로 네트워크데이터(410) 및 노드데이터(420)에 관한 세부항목이 도시되어 있다.
네트워크데이터(410)는 네트워크아이디(NI ID), 네트워크로케이션(NT Location), 네트워크 펑션(NT Functio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T Interface)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노드데이터(420)의 경우도 노드아이디(ND ID), 노드펑션(ND Function), 노드활성화(ND Act), 사용자정의(User Defined)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타데이터는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하게 기록하며, 기록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할 수 있는 영역이 할당되며, 미리 정해진 기록 영역에 기록하지 못한 사항은 이 사용자 정의 영역을 통해 기록하여 운영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특정 시스템에서 정의하지 못한 특성을 지닌 장치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추가된 장치에 대해 상세한 부분까지 지정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의해 종래보다 더욱 세밀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브컨트롤러(200)는 호스트연결부(211), 서비스인터페이스(212), 질의처리부(213), 메타데이터 관리부(214), 프로토콜 처리부(215), 보안관리부(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7) 및 유/무선 연결부(2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스트연결부(211)는 메인컨트롤러(121)의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메인컨트롤러(121)와 서브컨트롤러(200) 사이의 제어명령, 결과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교환한다.
서비스 인터페이스(212)는 질의처리부(213)와 메타데이터 관리부(214)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호스트연결부(211)로부터 받은 요청을 분석하여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요청은 질의처리부(213)에,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요청은 메타데이터 관리부(214)에 전달하고, 이들로부터 요청 처리 결과를 다시 호스트 연결부(211)에 전달한다.
질의처리부(213)는 홈네트워크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메인컨트롤러(121) 및 네트워크장치(130)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들의 동작 및 제어를 위한 요청을 처리한다. 여기서, 질의처리부(213)는 홈네트워크시스템(100)의 메인컨트롤러(121), 네트워크장치(130)의 장치 종류 및 통신방법에 무관하게 이들로부터 동작 또는 제어를 위한 일관된 형태의 요청을 받아서 처리한다. 이를 위해 질의처리부는 네트워크장치(130)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달할 명령들의 집합을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메타데이터관리부(214)는 네트워크장치(130)뿐만 아니라, 메인컨트롤러(121)에 대한 구성 및 상태정보인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이를 요청하는 구성에 대해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프로토콜 처리부(215)는 질의처리부(213)가 네트워크장치(130)로 보내는 요청을 이들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프로토콜 처리부(215)는 메타데이터를 통해 제공되는 네트워크장치(130)에 대한 자원, 기능, 프로토콜, 명령 처리 능력, 자료구조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각 장치에 적합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메시지를 전달한다.
보안관리부(216)는 메타데이터관리부(214)에서 메타데이터로 관리하고 있는 네트워크장치(130)의 보안정책 및 기법을 토대로 프로토콜 처리부(215)의 요청에 따라 보안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보안관리부(216)는 네트워크장치(13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네트워크장치(1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확인하고, 해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수신 데이터를 복호화하게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7)는 네트워크장치(130)들과의 접근 및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유/무선 연결부(218)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7)에서 제공된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양한 장치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유/무선연결부(218)는 각기 다른 종류의 통신방식을 갖는 네트워크장치(130)의 각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해 이용된다. 때문에 유/무선 연결부(218)는 각 통신방식에 적합한 통신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필요할 경우 새로운 통신모듈을 추가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홈네트워크 시스템 110 : 원격접속장치
120 : 컨트롤러 130 : 네트워크장치
200 : 서브컨트롤러 211 : 호스트 연결부
212 : 서비스 인터페이스 213 : 질의처리부
214 : 메타데이터 관리부 215 : 프로토콜 처리부
216 : 보안관리부 217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18 : 유/무선 연결부

Claims (4)

  1. 사용자의 거주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거주지의 거주 환경을 조절하거나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거주 환경의 조절 또는 상기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장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장치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받는 메인컨트롤러; 및
    상기 메인컨트롤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네트워크장치가 인식 가능한 제어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달하는 서브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브컨트롤러는
    상기 메인컨트롤러와 상기 서브컨트롤러, 상기 서브컨트롤러와 상기 네트워크장치 간에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하드웨어 구성, 네트워크장치의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자원,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 상기 네트워크장치의 질의처리기능, 상기 네트워크장치의 보안기능 및 상기 네트워크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록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접속되고,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원격접속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컨트롤러는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호스트연결부;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명령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및 제어를 위한 요청을 처리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질의처리부;
    상기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메타데이터 관리부;
    상기 질의처리부 및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며, 상기 호스트연결부로부터 발생되는 요청신호를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부 또는 상기 질의처리부로 전달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상기 질의처리부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네트워크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보안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관리부;
    상기 네트워크로의 접근 및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장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00128065A 2010-12-15 2010-12-15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1038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65A KR101038317B1 (ko) 2010-12-15 2010-12-15 홈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65A KR101038317B1 (ko) 2010-12-15 2010-12-15 홈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317B1 true KR101038317B1 (ko) 2011-05-31

Family

ID=4436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065A KR101038317B1 (ko) 2010-12-15 2010-12-15 홈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3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935B1 (ko) * 2015-02-27 2016-07-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병렬 배치형 온수생성모듈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406B1 (ko) * 2000-05-23 2005-05-03 (주) 엘지텔레콤 가정용 기기 제어시스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406B1 (ko) * 2000-05-23 2005-05-03 (주) 엘지텔레콤 가정용 기기 제어시스템 및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935B1 (ko) * 2015-02-27 2016-07-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병렬 배치형 온수생성모듈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1803B2 (en) Smart home communications architecture
US10314088B2 (en) Associating devices and users with a local area network using network identifiers
CN108415385B (zh) 基于蓝牙通信的智能家居控制***
KR100660695B1 (ko)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
US20160165651A1 (en) Associating devices and users with a local area network using network identifiers
KR100701383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복수의 관리기기간의 관리정보를동기화시키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6907129B2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のハードウェア要素のワイヤレスプロビジョニング及び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
TWI488463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US8484323B2 (en) Network system connected with multiple master devic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30182412A1 (en) Home appliance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76276B1 (ko)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직접 연동 가능한 독립형 IoT 게이트웨이
US200601741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detection and multi-mode security in a control network
US20040139210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TW201419797A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US20040111496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and/or deleting home appliances
KR100978141B1 (ko) 유선 및 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KR101194567B1 (ko)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KR101038317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
KR20220025432A (ko) 전자기기의 네트워크 연동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54157A (ko) 신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단말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355048B1 (ko) 전기기기 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20120027687A (ko) WⅰBro 망을 통해 시리얼 통신 에뮬레이션을 지원하는 M2M 모듈 및 그 동작 방법
FI124091B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 control of control devices
KR100962410B1 (ko) 사용자 친화적 주거환경의 협업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네트워킹 방법
KR102335420B1 (ko)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