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950B1 -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 Google Patents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950B1
KR101035950B1 KR1020080112941A KR20080112941A KR101035950B1 KR 101035950 B1 KR101035950 B1 KR 101035950B1 KR 1020080112941 A KR1020080112941 A KR 1020080112941A KR 20080112941 A KR20080112941 A KR 20080112941A KR 101035950 B1 KR101035950 B1 KR 10103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exhaust
ventilation
hole
gril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023A (ko
Inventor
임동빈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임동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임동빈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102008011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9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은, 건물 벽에 실내 및 실외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에 연결되어 흡,배기가 각각 분리되어 이동하도록 외벽에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흡기용 그릴캡; 및 상기 흡기용 그릴캡에 인접하게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용 그릴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을 사용하면,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이 일체로 된 일체형 환기그릴을 사용하므로 건물의 벽면에 환기구를 한 개만 형성하여 환기구 천공 작업 시간을 줄여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배기용 그릴캡과 흡기용 그릴캡의 배치 간격을 줄여주므로 환기그릴을 소형화하는 장점을 갖는다.
Figure R1020080112941
일체형, 환기그릴, 케이스부재, 흡기공간부, 배기공간부, 덕트

Description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VENTILATOR OF ONE-BODY TYPE VENTILATION GRILL}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기영역와 배기영역이 일체로 만들어진 환기그릴을 건물 벽면에 형성된 환기구에 설치하도록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에 관한 것이다.
환기장치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실내 공간을 환기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환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과 종래 환기장치에서 그릴이 벽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장치는 건물 벽(W)을 기준으로 실내에 위치되고, 그 내부에 송풍기와 열교환 유닛 등이 장착되는 본체(2)를 구비한다.
본체(2)의 일측은 공기의 흡입, 배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에어덕트(2)의 일단과 연결되고, 에어덕트(4)의 타단은 건물 벽(W)의 환기구(6)를 관통하 도록 설치되어 실외 공간과 통한다.
이 때, 건물 벽(W)의 실외 측에는 그릴(8)이 설치되는데, 그릴(8)은 환기 시 실외의 이물질이나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그릴(8)은 스크류(10)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건물 벽(W)에 고정된다.
환기구(6)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기용 환기구와,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용 환기구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그릴(8)은 환기용 환기구와 배기용 환기구에 각각 끼워지도록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이 각각 분리 제작된다.
그런데, 종래의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을 건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건물의 벽면에 2개의 환기구를 뚫어야 하므로 환기구 천공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의 설치 간격이 너무 가까운 경우, 배기용 그릴에서 나온 실내 공기가 재차 흡기용 그릴로 유입되므로 환기의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환기용 그릴과 흡기용 그릴 사이의 간격이 1.5M 정도 유지하므로 그릴의 설치면적이 너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이 일체로 된 일체형 환기그릴을 사용 하므로 건물의 벽면에 환기구를 한 개만 형성하여 환기구 천공 작업 시간을 줄여주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케이스부재의 전면에 설치되는 배기용 그릴캡과 흡기용 그릴캡의 설치방향을 양측으로 벌려지게 배치하므로 환기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배기용 그릴캡과 흡기용 그릴캡의 배치 간격을 줄여주므로 환기그릴을 소형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일체형 환기그릴에 연결되는 덕트의 내부공간을 대략 반으로 나누어 흡기영역과 배기영역을 형성하는 일체형 덕트를 제공하는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은, 건물 벽에 실내 및 실외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에 연결되어 흡,배기가 각각 분리되어 이동하도록 외벽에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흡기용 그릴캡; 및 상기 흡기용 그릴캡에 인접하게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용 그릴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은, 건물 벽에 실내 및 실외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에 연결되어 흡,배기가 각각 분리되어 이동하도록 외벽에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흡기용 그릴캡; 상기 흡기용 그릴캡에 인접 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용 그릴캡; 및 상기 몸체부에서 각각 분리되어 안내되는 흡,배기가 실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에 일체의 관로에 분리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덕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환기구와 연결되는 이동공이 배면의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용 그릴캡과 배기용 그릴캡이 연결되는 흡기공과 배기공이 각각 전면에 형성된 케이스부재와; 상기 흡기용 그릴캡에서 유입된 흡기가 흡기 공간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 내부에 설치된 흡기용 격판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으로 배출되는 배기가 배기 공간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용 격판과; 상기 흡기용 격판과 배기용 격판에 의해 분리된 흡,배기 공간부가 상기 환기구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흡기용 격판과 배기용 격판에 연이어 형성된 분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에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제1,제2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제2경사면에 상기 흡기용 그릴캡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이 각각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용 그릴캡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 사이의 설치각도는 흡기용 그릴캡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 각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벌려지는 방향으로 30°~ 60°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경사면이 만나는 지점에는 분리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라인은 제1,제2경사면의 좌우가 대칭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공과 배기공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철망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부 모서리에 체결부재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된 체결부재가 배면부 커버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공으로 끼워져 외벽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 작업 후, 상기 케이스부재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고정캡을 각각 끼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공 주위에는, 상기 환기구로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된 연결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용 그릴캡은, 전면 상부 면에 경사지게 다단으로 천공된 절개공과;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절개공의 하부 저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된 흡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용 그릴캡은, 전면 상부 면에 경사지게 다단으로 천공된 절개공과;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절개공의 하부 저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된 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덕트는, 하나의 관로로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된 격판에 의해 흡기영역과 배기영역으로 각각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을 사용하면,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이 일체로 된 일체형 환기그릴을 사용하므로 건물의 벽면에 환기구를 한 개만 형성하여 환기구 천공 작업 시간을 줄여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케이스부재의 전면에 설치되는 배기용 그릴캡과 흡기용 그릴캡의 설치방향을 양측으로 벌려지게 일체형으로 배치하여 환기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배기용 그릴캡과 흡기용 그릴캡의 배치 간격을 줄여주므로 환기그릴을 소형화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일체형 환기그릴에 연결되는 덕트의 내부공간을 대략 반으로 나누어 흡기영역과 배기영역을 형성하는 일체형 덕트를 제공하므로 사용되는 덕트의 개수를 줄여주므로 설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을 구비한 환기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환기그릴을 구비한 환기장치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환기그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체형 환기그릴의 일부 조립하여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환기그릴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환기그릴을 건물 벽에 설치하는 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로서 상부에서 본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로서 하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건물벽(50)을 기준으로 실내측에 설치되는 환기장치 본체(2)를 구비한다. 본체(2)의 내부에는 실내외 공기가 열교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21)와, 실외 공기의 흡입 또는 배출을 위한 흡,배기용 송풍기(700)(800)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A)은, 건물 벽(50)에 실내 및 실외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환기구(60); 환기구(60)에 연결되어 흡,배기가 각각 분리되어 이동하도록 외벽(52)에 설치되는 몸체부(100); 몸체부(100)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흡기용 그릴캡(20); 및 흡기용 그릴캡(20)에 인접하게 몸체부(100)에 형성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용 그릴캡(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몸체부(100)에서 각각 분리되어 안내되는 흡,배기가 실내에 설치된 열교환기(600)에 분리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덕트(500)를 더 구비된다.
몸체부(100)는, 환기구(60)와 연결되는 이동공(126)이 배면의 커버(111)에 형성되고, 흡기용 그릴캡(200)과 배기용 그릴캡(300)이 연결되는 흡기공(112)과 배기공(116)이 각각 전면에 형성된 케이스부재(110)와; 흡기용 그릴캡(200)에서 유입된 흡기가 흡기 공간부(142)로 이동하도록 케이스부재(110) 내부에 설치된 흡기용 격판(140)과; 배기용 그릴캡(300)으로 배출되는 배기가 배기 공간부(142)로 이동하도록 케이스부재(110)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용 격판(150)과; 흡기용 격판(140)과 배기용 격판(150)에 의해 분리된 흡,배기 공간부(142)(152)가 환기구(60)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흡기용 격판(140)과 배기용 격판(150)에 연이어 형성된 분리판(1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스부재(110)의 전면에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제1,제2경사면(120)(122)이 각각 형성된다.
제1,제2경사면(120)(122)에 흡기용 그릴캡(200)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300)이 각각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기용 그릴캡(200)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300) 사이의 설치각도는 흡기용 그릴캡(200)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300) 각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벌려지는 방향으로 30°~ 60°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5°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제2경사면(120)(122)이 만나는 지점에는 분리라인(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라인(124)은 제1,제2경사면(120)(122)의 좌우가 대칭되도록 케이스부재(110)의 전면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기공(112)과 배기공(116)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철망(114)(11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분리판(160)은 케이스부재(110)의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상,하 또는 좌,우로 나누어 주는 것이 바람직 하다.
흡기용 격판(140) 및 배기용 격판(150)이 절곡되어 분리판(16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흡기용 격판(140)과 배기용 격판(150)은 케이스부재(110)의 양측 모서리부분에서 케이스부재(110)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분리라인(124)의 내측면으로 연결되므로 흡기 공간부(142)와 배기 공간부(152)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흡기용 격판(140), 배기용 격판(150), 분리판(160)이 케이스부재(110) 내부에서 어떠한 위치, 나사, 리벳, 용접등의 어떠한 결합방식, 어떠한 형상으로 설치 되더라도 흡기 공간부(142)와 배기 공간부(152)를 각각 분리 형성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케이스부재(110)의 전면부 모서리에 체결부재(310)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130)이 형성된다. 관통공(130)으로 삽입된 체결부재(310)가 배면부 커버(111)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공(132)으로 끼워져 외벽(52)에 체결 고정된다.
커버(111)는 케이스부재(110)의 본체부에 리벳, 나사, 볼트, 용접등으로 고 정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재(310)의 체결 작업 후, 케이스부재(1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통공(130)에 고정캡(320)을 각각 끼워주도록 한다.
고정탭(320)은 연질의 고무재 또는 프라스틱 재로서, 작업자가 쉽게 뺄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다.
고정캡(320)의 끝단부에는 관통공(130)의 내측턱 부분에 걸려지도록 후크가형성될 수 있다.
이동공(126)에는, 환기구(60)로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된 연결관(40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00)은 테두리 부분이 케이스부재(110)의 이동공(126)이 주위에 리벳, 볼트 나사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흡기용 그릴캡(200)은, 전면 상부 면에 경사지게 다단으로 천공된 절개공(204)과, 케이스부재(100)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206)와; 절개공(204)의 하부 저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된 흡입공(202)을 포함한다.
배기용 그릴캡(300)은, 전면 상부 면에 경사지게 다단으로 천공된 절개공(304)과, 케이스부재(100)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306)와; 절개공(304)의 하부 저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된 배출공(302)을 포함한다.
이 때, 흡기용 그릴캡(200)가 배기용 그릴캡(300)에서, 사용 상에 지장이 없으므로 절개공(204)(304)을 삭제할 수도 있다.
흡기용 그릴캡(200)가 배기용 그릴캡(300)은, 고정부(206)(306)를 외측으로 벌려지게 형성하여 케이스부재(110)에 접촉시킨 후 리벳, 볼트 또는 나사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하도록 한다.
흡기용 그릴캡(200)과 배기용 그릴캡(300)은, 다른 실시예로서 케이스부재(110)의 전면에 반구형상의 한 쌍의 그릴캡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것은 외관으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브레지어 형상처럼 보이게 된다.
이때, 흡기용 그릴캡과 배기용 그릴캡은, 전면 방향으로 반구형상의 돌출된 부분이 위치하고, 절개공(204)(304)이 삭제되며, 저면에 흡입공(202)과 배출공(302)만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그 이외에도 흡기용 그릴캡과 배기용 그릴캡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어져 케이스부재(1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덕트(50)는, 하나의 관로로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된 격판(502)에 의해 흡기영역(504)과 배기영역(504)으로 각각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0), 흡기용그릴캡(200) 및 배기용 그릴캡(300)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은 결합되는 부분에 스펀지, 고무재 또는 수지재 등의 시일링부재에 의해 소음이 차단되도록 결합된 후, 리벳, 볼트 또는 나사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특히,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500)의 격판(502)과 케이스부재(110) 내의 분리판(160)이 접촉되는 부위, 케이스부재(110), 흡기용 격판(140) 및 배기용 격판(150)이 서로 접촉되는 부위 등에, 흡기와 배기가 서로 누 설되어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펀지, 고무재 또는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시일링부재(900)를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체형 환기장치(A)를 건물 외벽(52)에 설치한 후, 케이스부재(110)의 커버(111) 배면과 외벽(52) 사이의 틈새부분과 환기구(60)와 덕트(500) 사이의 틈새부분에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또는 접착제등의 접착물질(910)을 주입하여 시일링하도록 한다.
일체형 환기장치(A)는, 아파트등의 다세대주택, 학교, 업무용건물 등과 같이 다양한 건물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일체형 환기장치(A)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물벽(50)에 실외와 실내로 연통되는 환기구(60)를 드릴등의 천공기구를 사용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환기구(60)가 형성된 건물의 외벽(52)에 일체형 환기장치(A)의 케이스부재(110)의 이동공(126) 배면으로 돌출된 연결관(400)을 삽입하여 끼운다.
그리고,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10)의 전면 네모서리에 형성된 관통공(130)으로 체결부재(310)을 삽입하여 케이스부재(110)의 배면 네모서리에 형성된 끼움공(132)으로 삽입하여 나사 또는 볼트인 체결부재(310)를 외벽(520)의 나사공에 체결하므로 일체형 환기장치(A)를 외벽(52)에 고정시킨다.
이 때, 케이스부재(130)의 관통공(13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하여 연질재인 고정캡(320)을 끼워 고정하도록 한다.
한편, 실내에서는 일체형 덕트(500)의 일단을 내벽(54) 측에서 환기구(60)로 삽입하여 연결관(400)으로 삽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덕트(500)가 연결관(400)을 끼워워져 조립되면, 덕트(500)의 격판(502)이 케이스부재(110)의 내부에 설치된 분리판(160)가 접촉된다.
그러므로, 상부의 흡기영역(504)이 케이스부재(110) 내의 흡기 공간부(142)와 연통되어지고, 하부의 배기영역(506)이 케이스부재(110) 내의 배기 공간부(152)와 연통되어진다.
흡기영역(504)과 흡기 공간부(142)으로 이루어진 흡기공간은, 배기영역(506)와 배기 공간부(152)으로 이루어진 배기공간과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덕트(500)의 격판(502)과 케이스부재(110) 내의 분리판(160)이 접촉되는 부위, 케이스부재(110), 흡기용격판(140) 및 배기용 격판(150)이 서로 접촉되는 부위 등에, 흡기와 배기가 서로 누설되어 호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펀지, 고무재 또는 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시일링부재(900)를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내에서 덕트(500)의 타단은 환기장치 본체(2)의 흡기영역과 배기 영역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연결하므로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케이스부재(110)의 커버(111) 배면과 외벽(52) 사이의 틈새부분과 환기구(60)와 덕트(500) 사이의 틈새부분에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또는 접착제등의 접착물질(910)을 주입하여 시일링하므로 일체형 환기장 치(A)를 건물 외벽(52)에 설치 완료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환기장치의 일체형 그릴을 사용하여 흡기 및 배기 상태를 살펴본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상태를 살펴보면, 흡기용 그릴캡(200)의 흡입공(202)과 절개공(204)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철망(114), 흡기공(112)을 통하여 이송되고, 흡기용 격판(140)에 의해 형성된 흡기 공간부(142)를 거쳐 분리판(160)의 상측부분을 거쳐 덕트(500)의 흡기영역(504)를 거쳐 이동되고, 본체(2)의 흡기용 송풍기(700)에 의해 열교환기(600)를 거쳐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를 환기시킨다.
한편, 배기 상태를 살펴보면, 실내에서 배출된 공기를 배기용 송풍기(800)으로 이송하여 열교환기(600)를 거쳐 덕트(500)의 배기영역(506)으로 이동하고, 분리판(160)의 하측부분을 거쳐 배기용 격판(150)에 의해 형성된 배기용 공간부(152)를 거쳐 배기공(116), 철망(118)을 통하여 배기용 그릴캡(300)의 배출공(302)과 절개공(304)으로 배출되어진다.
이 때, 흡기용 그릴캡(200)과 배기용 그릴캡(300)은 케이스부재(110)의 전면부 경사면(120)(122)에 각각 30°~ 60°각도의 범위로 설치되어져 흡입 또는 배출방향이 서로 달라 흡기와 배기가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흡기용 그릴과 배기용 그릴을 구비한 환기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환기그릴을 구비한 환기장치를 보인 도면.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환기그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체형 환기그릴의 일부 조립하여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환기그릴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환기그릴을 건물 벽에 설치하는 상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로서 상부에서 본 도면.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로서 하부에서 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일체형 환기그릴 50 : 건물벽
60 : 환기구 100 : 몸체부
110 : 케이스부재 112 : 흡기공
116 : 배기공 120,122 : 경사면
130 : 관통공 132 : 끼움공
140 : 흡기용 격판 150 : 배기용 격판
160 : 분리판 200 : 흡기용 그릴캡
202 : 흡입공 300 : 배기용 그릴캡
302 : 배출공 310 : 체결부재
320 : 고정캡 400 : 연결관
500 : 덕트 502 : 격판
600 : 열교환기 700, 800 : 송풍기

Claims (13)

  1. 건물 벽에 실내 및 실외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에 연결되어 흡,배기가 각각 분리되어 이동하도록 외벽에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흡기용 그릴캡; 및 상기 흡기용 그릴캡에 인접하게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용 그릴캡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환기구와 연결되는 이동공이 배면의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용 그릴캡과 배기용 그릴캡이 연결되는 흡기공과 배기공이 각각 전면에 형성된 케이스부재와;
    상기 흡기용 그릴캡에서 유입된 흡기가 흡기 공간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 내부에 설치된 흡기용 격판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으로 배출되는 배기가 배기 공간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용 격판과;
    상기 흡기용 격판과 배기용 격판에 의해 분리된 흡,배기 공간부가 상기 환기구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흡기용 격판과 배기용 격판에 연이어 형성된 분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2. 건물 벽에 실내 및 실외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에 연결되어 흡,배기가 각각 분리되어 이동하도록 외벽에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흡기용 그릴캡; 상기 흡기용 그릴캡에 인접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용 그릴캡; 및 상기 몸체부에서 각각 분리되어 안내되는 흡,배기가 실내에 설치된 열교환기에 일체의 관로에 분리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환기구와 연결되는 이동공이 배면의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용 그릴캡과 배기용 그릴캡이 연결되는 흡기공과 배기공이 각각 전면에 형성된 케이스부재와;
    상기 흡기용 그릴캡에서 유입된 흡기가 흡기 공간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 내부에 설치된 흡기용 격판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으로 배출되는 배기가 배기 공간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용 격판과;
    상기 흡기용 격판과 배기용 격판에 의해 분리된 흡,배기 공간부가 상기 환기구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흡기용 격판과 배기용 격판에 연이어 형성된 분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에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제1,제2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제2경사면에 상기 흡기용 그릴캡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이 각각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용 그릴캡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 사이의 설치각도는 흡기용 그릴캡과 상기 배기용 그릴캡 각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벌려지는 방향으로 30°~ 60°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경사면이 만나는 지점에는 분리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라인은 제1,제2경사면의 좌우가 대칭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공과 배기공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철망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부 모서리에 체결부재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된 체결부재가 배면부 커버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공으로 끼워져 외벽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 작업 후, 상기 케이스부재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고정캡을 각각 끼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 주위에는, 상기 환기구로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된 연결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용 그릴캡은, 전면 상부 면에 경사지게 다단으로 천공된 절개공과;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절개공의 하부 저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된 흡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용 그릴캡은, 전면 상부 면에 경사지게 다단으로 천공된 절개공과;
    상기 케이스부재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절개공의 하부 저면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된 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하나의 관로로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된 격판에 의해 흡기영역과 배기영역으로 각각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KR1020080112941A 2008-11-13 2008-11-13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KR10103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41A KR101035950B1 (ko) 2008-11-13 2008-11-13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41A KR101035950B1 (ko) 2008-11-13 2008-11-13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023A KR20100054023A (ko) 2010-05-24
KR101035950B1 true KR101035950B1 (ko) 2011-05-23

Family

ID=4227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941A KR101035950B1 (ko) 2008-11-13 2008-11-13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116B1 (ko) * 2013-10-10 2014-11-03 주식회사 누리 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2074453B1 (ko) * 2014-09-24 2020-02-07 강태욱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고 원활하게 순환되는 환기챔버
CN111156677A (zh) * 2018-11-07 2020-05-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外罩组件、接管结构和空调室内机
CN117654895B (zh) * 2024-02-01 2024-04-26 晋江哈创投资有限公司 一种粉料分级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094B1 (ko) 2005-06-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094B1 (ko) 2005-06-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023A (ko)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122B1 (ko)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KR101578528B1 (ko) 바이패스 유로를 별도로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
KR101253230B1 (ko) 환기그릴
WO2019184506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1035950B1 (ko)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KR200446716Y1 (ko) 환기장치용 통풍연결구조
KR102588279B1 (ko) 방향성이 개선된 환기용 후드캡
KR100998224B1 (ko) 공동주택 환기용 후드캡
KR101625954B1 (ko) 환기구 역풍 방지장치
KR20220135517A (ko) 창문형 환기 공기청정기
JP6210690B2 (ja) 換気装置
KR200446715Y1 (ko) 환기장치용 외부통풍구
KR102623849B1 (ko)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KR102650685B1 (ko) 벽부형 환기장치
CN219063596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160006968A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WO2022219812A1 (ja) 換気扇
CN219735585U (zh) 一种双进风口防雨帽、穿墙管及空调新风管道***
CN215765581U (zh) 一种道路交通噪声户内降噪通风结构
CN218915129U (zh) 新风模块及新风空调
CN216011129U (zh) 一种通风设备的壳体和软管连接结构
CN219264444U (zh) 一种防雨帽及空调器
JP2018128196A (ja) 換気装置
JP4202236B2 (ja) 空気調和機の吸気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03021358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