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747B1 - 도자기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747B1
KR101035747B1 KR1020100086804A KR20100086804A KR101035747B1 KR 101035747 B1 KR101035747 B1 KR 101035747B1 KR 1020100086804 A KR1020100086804 A KR 1020100086804A KR 20100086804 A KR20100086804 A KR 20100086804A KR 101035747 B1 KR101035747 B1 KR 101035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celain
disc
forming
ceramic
ceram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안
Original Assignee
이계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filed Critical 이계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도자기 형성 방법에 따르면, 우선 제1 원판의 상부에 흙을 놓는다. 제1 원판을 회전시키면서 상부가 폐쇄된 반타원 형태의 도자기를 형성한다. 상부가 폐쇄된 타원 형태의 도자기를 제1 원판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제2 원판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도자기의 타원 형태의 폐쇄된 상부가 수용되도록 도자기를 뒤집어서 놓는다. 도자기의 뒤집어진 평탄한 밑면에 구멍을 뚫고 제2 원판을 회전시키면서 도자기의 뒤집어진 밑면을 폐쇄된 타원 형태로 형성한다. 도자기의 측면에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개구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도자기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A CERAMIC}
본 발명은 도자기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흙을 빚어서 그릇 모양의 도자기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으로 도자기를 형성하는 장치의 하나인 물레는 회전하는 원판 위에 도자기의 재료인 흙을 놓고 회전시켜가면서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원형의 그릇이나 항아리 등의 형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물레의 원판은 상부면이 평탄한 구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상기 도자기도 밑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 물레로부터 형성된 도자기는 이후 초벌 구이를 진행할 때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일부가 개구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물레의 원판은 상부면이 평탄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기 물레에 의해 형성되는 도자기는 한편이 평탄한 형태를 가진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물레를 이용하여 상하부가 모두 폐쇄된 타원 형태를 갖는 도자기를 형성하기 어렵다.
또한, 상하부가 모두 폐쇄된 타원 형태를 갖는 도자기는 내외부가 서로 연통하지 못하므로, 초벌 구이 시 도자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 형상의 도자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물레를 사용하기 힘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가 폐쇄된 도자기를 물레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도자기 형성 방법은 제1 원판의 상부에 흙을 놓는 단계와, 상기 제1 원판을 회전시키면서 상부가 폐쇄된 반타원 형태의 도자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가 폐쇄된 타원 형태의 도자기를 상기 제1 원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와, 제2 원판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상기 도자기의 타원 형태의 폐쇄된 상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도자기를 뒤집어서 놓는 단계와, 상기 도자기의 뒤집어진 평탄한 밑면에 구멍을 뚫고 상기 제2 원판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도자기의 뒤집어진 밑면을 폐쇄된 타원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자기의 측면에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원판들은 회전 가능한 물레에 놓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도자기 형성 방법은 상기 도자기를 상기 제1 원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부가 폐쇄된 타원 형태의 도자기를 상기 제1 원판과 같이 상기 물레로부터 분리시켜 받침대에 놓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도자기 형성 방법은 상기 도자기의 측면에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개구가 형성된 도자기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도자기 형성 방법은 상기 도자기를 가마 내부로 옮겨 초벌 구이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초벌 구이를 진행한 도자기를 상기 개구를 통해 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면서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자기 형성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상부가 폐쇄된 타원 형태의 도자기를 일차적으로 물레에 놓여진 상부가 평탄한 제1 원판을 통해 상부를 형성한 다음, 이를 뒤집어서 도자기의 상부가 수용되는 홈을 상부에 갖는 제2 원판을 통해 그 뒤집어진 밑면을 개구를 갖도록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부가 폐쇄된 타원 형태의 도자기도 상기 물레를 이용하여 간단하면서 외관상 보기 좋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자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형성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형성 방법은 우선 물레(100)에 놓여진 제1 원판(110)의 상부에 도자기(10)의 재료인 흙을 놓는다.
이어, 상기 제1 원판(110)을 회전시켜 흙으로부터 상부(12)가 폐쇄된 타원 형태의 도자기(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원판(110)은 흙으로부터 상기 도자기(10)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상부가 평탄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자기(10)의 하부(14)는 상기 제1 원판(110)과 같이 평탄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도자기(10)는 상기 제1 원판(110)을 전통 방식에 따라 발로 회전시켜가면서 형성될 수 있고, 모터를 통한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원판(110)을 회전시키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자기(10)의 상부(12)는 타원 형태로 인해 실질적으로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물레(100)를 이용함으로써 그 외면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상부(12)가 폐쇄된 타원 형태의 도자기(10)를 상기 제1 원판(11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도자기(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자기(10)가 놓여진 제1 원판(110)을 그대로 받침대(미도시)에 거치시킨 다음, 특정 분리 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원판(110)으로부터 상기 받침대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자기(10)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원판(110)을 일정 시간 그늘진 곳에서 방치해 두어 소정의 경도를 갖도록 한 다음, 상기 제1 원판(1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이어 상기 도자기(10)를 뒤집어 하부(14)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도자기(10)를 상기 물레(100)에 놓여진 다른 제2 원판(120)의 상부에 얹혀 놓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원판(120)을 상기 받침대에서 상기 도자기(10) 옆에 거치시킨 다음, 상기 도자기(10)를 뒤집어서 상기 제2 원판(120)에 놓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도자기(10)는 상기 제1 원판(110)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원판(110)으로부터 직접 상기 제2 원판(120)으로 옮겨 놓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원판(120)의 상부에는 상기 도자기(10)의 상부(12)가 수용되는 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원판(120)에 놓여진 도자기(10)가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 원판(120)은 석고 등을 이용해 상기 홈(12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도자기(10)의 뒤집혀진 평탄한 하부(14)에 개구(미도시)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는 상기 제2 원판(120)을 회전시켜가면서 상기 도자기(10)를 평탄한 하부(14)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2 원판(120)을 회전시키면서 흙을 추가하여 상기 도자기(10)의 뒤집혀진 하부(14), 즉 상기 개구 부위를 폐쇄된 타원 형태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도자기(10)의 상부(12) 및 하부(14)가 모두 패쇄된 타원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도자기(10)는 중공의 타원구 형상을 갖는다.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도자기(1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구멍(16)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공기 구멍(16)은 특정 모양을 갖도록 하여 상기 도자기(10)를 외관상 더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구멍(16)을 형성하는 작업은 상기 도자기(10)가 상기 제2 원판(12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도자기(10)가 상기 받침대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공기 구멍(16)을 형성하는 이유는 이후 상기 도자기(10)를 가마(미도시)의 내부로 옮겨 초벌 구이를 진행한 다음, 건조시킬 때 상기 도자기(10)의 내부에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도자기(10)가 건조되는 도중 크랙 등과 같은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 구멍(16)이 형성된 도자기(10)에 고무 망치 등의 여러 기구로 상기 도자기(10)를 가압하여 상기 도자기(10)의 형상을 작업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시킨다.
이어, 상기 도자기(10)를 상기 가마의 내부로 옮겨 놓아 초벌 구이를 진행한다. 이어, 상기 초벌 구이를 진행한 도자기(10)를 건조한다. 이때,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도자기(10)의 내부에 수분을 함유한 공기는 상기 공기 구멍(16)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자기(10)는 그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원판(120)에 놓여진 상태 그대로 상기 가마의 내부에 놓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원판(120)의 상부와 동일하게 형성된 거치대(미도시)를 사전에 미리 상기 가마 내부에 배치시킨 다음, 상기 도자기(10)를 상기 제2 원판(120)으로부터 상기 거치대에 옮겨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자기 형성 방법에 따르면, 상부가 평탄한 제1 원판(110)을 통해 상부(12)가 폐쇄된 타원 형태의 도자기(10)를 일차적으로 형성한 다음, 이를 뒤집어서 상기 도자기(10)의 상부(12)가 수용되는 홈(122)을 갖는 제2 원판(120)을 통해 그 뒤집어진 하부(14)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14)를 폐쇄된 타원 형태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12)와 하부(14)가 모두 폐쇄된 타원 형태의 도자기(10)를 상기 물레(100)를 이용하여 간단하면서 외관상 보기 좋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자기(1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도자기 형성 방법에 따르면, 상부가 평탄한 제1 원판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가 폐쇄된 타원 형태의 도자기를 일차적으로 형성하고, 상부면에 홈을 갖는 제2 원판에 도자기를 뒤집에서 위치시킨 후 뒤집어진 하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를 폐쇄된 타원 형태로 형성하므로써 상하부가 폐쇄된 도자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가 폐쇄된 도자기의 측면에 다수의 공기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도자기의 내외부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초벌 구이 시 도자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해 상기 도자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도자기 12 : 상부
14 : 하부 16 : 공기 구멍
100 : 물레 110 : 제1 원판
120 : 제2 원판 122 : 홈

Claims (5)

  1. 제1 원판의 상부에 흙을 놓는 단계;
    상기 제1 원판을 회전시키면서 밑면이 평탄하고 상부가 폐쇄된 중공의 반타원구 형태의 도자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타원구 형태의 도자기를 상기 제1 원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제2 원판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상기 반타원구 형태의 도자기 상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도자기를 뒤집어서 놓는 단계;
    상기 도자기의 뒤집어진 평탄한 밑면에 구멍을 뚫고 상기 제2 원판을 회전시키면서 흙을 추가하여 상기 반타원구 형태의 도자기를 중공의 타원구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공의 타원구 형태를 갖는 도자기의 측면에 내부의 공기 배출을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자기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원판들은 회전 가능한 물레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형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타원구 형태의 도자기를 상기 제1 원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반타원구 형태의 도자기를 상기 제1 원판과 같이 상기 물레로부터 분리시켜 받침대에 놓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형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타원구 형태를 갖는 도자기의 측면에 내부 공기의 배출을 위해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개구가 형성된 도자기를 가압하여 상기 도자기 외형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형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를 가마 내부로 옮겨 초벌 구이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초벌 구이를 진행한 도자기를 상기 개구를 통해 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면서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형성 방법.
KR1020100086804A 2010-04-23 2010-09-06 도자기 형성 방법 KR101035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75 2010-04-23
KR20100038175 2010-04-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747B1 true KR101035747B1 (ko) 2011-05-20

Family

ID=4436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804A KR101035747B1 (ko) 2010-04-23 2010-09-06 도자기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7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4405A (ja) * 1987-08-31 1989-07-11 Toshio Tsuga 大気圧加工品脱着式陶芸ろくろ
JPH1086112A (ja) 1996-09-11 1998-04-07 Takeshi Watanabe ろくろの上置き固定台
KR20040025618A (ko) * 2002-09-19 2004-03-24 조현권 타원형상을 갖는 물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4405A (ja) * 1987-08-31 1989-07-11 Toshio Tsuga 大気圧加工品脱着式陶芸ろくろ
JPH1086112A (ja) 1996-09-11 1998-04-07 Takeshi Watanabe ろくろの上置き固定台
KR20040025618A (ko) * 2002-09-19 2004-03-24 조현권 타원형상을 갖는 물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624185A (en) Self-cleaning centrifugal pellet dryer and method thereof
JP2018507006A5 (ko)
KR101035747B1 (ko) 도자기 형성 방법
CN209682520U (zh) 一种陶瓷加工用内外仿形修坯机
ES2223264B1 (es) Procedimiento de obtencion de piezas ceramicas con perforaciones y dispositivo correspondiente.
US9321186B2 (en) Method of creating vessels with a noise chamber
KR101019881B1 (ko) 유약 도포 장치
DK180353B1 (en) Brick punching system
KR101783630B1 (ko) 도자기 성형을 위한 물레용 받침유닛
DK2070670T3 (da) 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perforerede nystøbte sten af ler
JP5313097B2 (ja) 陶器製便器
CN109016084A (zh) 一种建筑施工用水泥块快速定型装置
KR102431053B1 (ko) 원판 도자기 성형기
JP3220049U (ja) 乾燥具
CN211362824U (zh) 一种用于硅砂透水砖的一体成型装置
CN207495732U (zh) 一种用于陶瓷型芯成型的模具
US742019A (en) Device for making artificial stone blocks.
WO2007009467A3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bricks with holes
US1084309A (en) Molding-box.
US1101578A (en) Apparatus for making artificial stone.
JP4528030B2 (ja) 窯業系プレス装置の吸引離型装置
RU2018108362A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масс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кирпича
KR101928142B1 (ko) 플라스크 건조 장치
US1716341A (en) Portable kiln platting
JP4143937B1 (ja) 陶磁器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