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200B1 - Apparatus for Altering the Function of the Switch in the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ltering the Function of the Switch in the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200B1
KR101035200B1 KR1020090031170A KR20090031170A KR101035200B1 KR 101035200 B1 KR101035200 B1 KR 101035200B1 KR 1020090031170 A KR1020090031170 A KR 1020090031170A KR 20090031170 A KR20090031170 A KR 20090031170A KR 101035200 B1 KR101035200 B1 KR 101035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ehicle
switches
function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1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12735A (en
Inventor
전재욱
민승기
서석현
김진호
손창완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1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200B1/en
Publication of KR2010011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7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2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constructional aspects of navigation devices, e.g. housings, mountings,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 다수의 ECU와 각각 매핑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자동차 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ECU 간 매핑 상태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내비게이션,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경로인 네트워크 버스 및 자동차 내 존재하는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변경 및 저장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해당 ECU를 동작시켜 해당 기능을 수행토록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내 스위치의 기능을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변경 및 조합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hicle switch change system, which is mapped to a plurality of ECUs in a vehicle, and displays a plurality of switches, a plurality of switches, and a mapping state between the ECUs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 device in a vehicle to a driver. Change and save the mapping between the ECU and the switch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in the car and the network bus, which is a communication path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devices using navigation, vehicle network protocols When the switch is pressed, the vehicle provides a switch change system including a main controller that operates the ECU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driver by changing and combining the functions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driver's preference. can do.

자동차, 스위치 Car switch

Description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Apparatus for Altering the Function of the Switch in the Vehicle}Apparatus for Altering the Function of the Switch in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 스위치의 기능을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변경 및 조합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witch function chang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to a driver by changing and combining functions of a switch in a vehicle according to a driver's preference.

운전자들은 차량이나 차량 내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 개의 스위치를 조작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스위치들은 수행하는 기능이 정해져 있으며 이러한 스위치들의 기능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현재의 많은 자동차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습관이나 기호에 따라 불편함을 유발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Drivers operate several switches to control the vehicle or the devices in the vehicle. In general, these switches have a fixed function to perform and the functions of these switches are fixed. Such a system is used in many cars today, but has the potential to cause inconvenience depending on the user's habits or preferences.

종래의 스위치 기능 변경 장치는 이를 위한 별도의 스위치와 스위치를 부착할 수 있는 핸들이 필요하였다. 각 스위치마다 고유의 기능이 정해져 있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능만큼의 스위치가 필요하고 또한 기능을 변경할 때마다 각 스위치의 탈부착을 해야 하는 단점들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switch function change device requires a separate switch and a handle to which the switch can be attached. Each switch has its own unique function, so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it is necessary to switch as much as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each switch needs to be detached and attach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기능을 제어함에 있어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 내의 각 스위치의 고유 기능을 변경할 뿐 아니라 기능들의 조합을 통해 운전자의 기호에 맞는 기능을 만들어 스위치에 할당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rder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ehicle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not only to change the unique function of each switch in the vehicle, but also fit the driver's preference through a combination of functions The goal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create functions and assign them to switches.

이를 통해 각 스위치의 기능을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변경 및 조합하여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함은 물론 기능 구현을 위해 별도의 스위치와 핸들을 구비해야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한다.This provides an economical advantage that does not require having separate switches and handles to implement the function, as well as constructing an interface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driver by changing and combining the functions of each switch according to the driver's preference.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은 차량 내 다수의 ECU와 각각 매핑되어 사용자가 자동차 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 상기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ECU 간 매핑 상태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내비게이션;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경로인 네트워크 버스; 및 자동차 내 존재하는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변경 및 저장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해당 ECU를 동작시켜 해당 기능을 수행토록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를 포함한다.In-vehicle switch chang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witches each for mapping a plurality of ECU in the vehicle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n the vehicle; A navigation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mapping state between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the ECU to a driver; A network bus, which is a communication path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devices using a vehicle network protocol; And a main controller configured to change and store mappings of EC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existing in the vehicle and each switch, and to operate the ECU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when a user presses any switch.

상기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LIN, CAN, FlexRay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ular network protocol is at least one of LIN, CAN and FlexRay.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차량 내의 다수의 ECU들과 스위치 별 고유한 식별자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ler stores a plurality of unique identifiers for each ECU and switches in the vehicle.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스위치에 기능을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인 메인제어모듈; 네트워크 버스를 통해 스위치들과 ECU들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차량 내에 존재하는 ECU와 스위치들 각각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며, 각 스위치 별 설정된 기능과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ECU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장치정보 DB를 포함한다.The main controller includes a main control module which is a microcontroller which performs an operation of assigning a function to a switch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witches and the ECUs via a network bus; And device information DB for storing identifier information of each ECU and switches existing in the vehicle, and mapping and storing the function set for each switch and the ECU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set function.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사용자 별로 스위치 설정 환경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해당 스위치 설정 환경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호출된 스위치 설정 환경에 따라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ler stores the switch setting environment for each user, and when the user calls the corresponding switch setting environment, changes the mapping between the ECU and each switch according to the called switch setting environment.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switch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 currently set function.

이 경우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다수의 스위치로 하여금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controller may control a plurality of switches to output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set function to the display module. The plurality of switches may be configured through a touch scree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내의 스위치의 기능을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함에 있어 자주 사용하는 차량 제어 기능을 자신에게 인접한 스위치에 매핑하거나 복수개의 기능을 조합하여 하나의 스위치에 매핑하는 등 자신의 기호에 따라 스위치의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ehicle switch function 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function of the switch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er's preferences so that the vehicle control function frequently used by the driver to control the vehicle is provided to the switch adjacent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ehicle more conveniently by setting the function of the switch according to its own preference, such as mapping or combining a plurality of functions to one switch.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switch function 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switch function chan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100)은 메인컨트롤러(110), 다수의 스위치(121~125), 내비게이션(130), 네트워크버스(140), 다수의 ECU(151~15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switch function change system 100 includes a main controller 110, a plurality of switches 121 to 125, a navigation 130, a network bus 140, and a plurality of ECUs 151 to 155. And the like.

다수의 ECU들(151~155)은 자동차 내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다수의 스위치(121~125)는 각각 다른 ECU(151~155)들과 매핑되어 있다. 사용자가 임의의 스위치(121)를 동작하는 경우, 그와 매핑되어 있는 ECU(151)는 해당하는 자동차 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ECUs 151 to 155 correspond to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in the vehicle. The plurality of switches 121 to 125 are mapped to other ECUs 151 to 155, respective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arbitrary switch 121, the ECU 151 mapped thereto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hicle device.

내비게이션(130)은 각 스위치의 설정 상태 및 설정 과정을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네트워크 버스(140)는 LIN, CAN, FlexRay 등과 같은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경로이다. The navigation 130 corresponds to a component that displays the setting state and setting process of each switch to the driver. The network bus 140 is a communication path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devices using a vehicle network protocol such as LIN, CAN, FlexRay, and the like.

메인컨트롤러(110)는 자동차 내 스위치(121~125)를 통한 장치의 동작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컨트롤러(110)는 각 장치의 동작을 위한 ECU들(151~155)과 각 스위치(121~125)를 매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ler 110 performs overall control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hrough the switches 121 to 125 in the vehicle. In particular, the main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function for mapping the ECUs (151 to 155) and each switch (121 to 125) for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또한, 메인컨트롤러(110)는 내비게이션(130)에 차량 내 스위치 기능의 매핑 상태를 전송하고, 내비게이션(130)으로 하여금 스위치 기능의 매핑 상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운전자가 내비게이션(130) 상의 화면을 통해 현재 설정된 스위치 매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mapping state of the switch function in the vehicle to the navigation 130, and controls the navigation 130 to output the mapping state of the switch function so that the driver can display the mapping state of the switch function through the screen on the navigation 130. Allows you to check the current switch mapping state.

한편, 메인컨트롤러(110)는 운전자가 내비게이션(130)을 통하여 스위치(121~125)와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ECU(151~155) 간의 매핑을 설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운전자는 내비게이션(130)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스위치(121~125)를 하나 또는 복수개 선택하고, 선택된 스위치(121~125)를 동작시킬 때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 또는 해당 장치의 동작을 선택함으로써 운전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차량 내의 스위치(121~125)들과 해당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ECU(151~155)를 매핑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ler 110 includes a function for the driver to set the mapping between the switches 121 to 125 and the ECUs 151 to 155 for controlling each device through the navigation 130. The driver selects one or more switches 121 to 125 provided through the screen of the navigation 130 and selects a device to be controlled or an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when operating the selected switches 121 to 125. According to one's own preference, the operation of mapping the switches 121 to 125 in the vehicle and the ECUs 151 to 155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s may be performed.

메인컨트롤러(110)는 각각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고 있는 차량 내의 ECU(151~155)들과 스위치(121~125)를 운전자의 설정대로 매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The main controller 110 maps the ECUs 151 to 155 and the switches 121 to 125 in the vehicle, each having a unique identifier, according to the driver's setting, and stores them in a database.

추후 스위치가 눌려지게 되면 메인컨트롤러(110)는 눌려진 스위치(121~125)와 매핑되어 있는 ECU(151~155)로 해당 동작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메인컨트롤러(110)로부터 동작 명령을 수신한 ECU들(151~155)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witch is pressed later, the main controller 110 transmits a corresponding operation command to the ECUs 151 to 155 mapped with the pressed switches 121 to 125. The ECUs 151 to 155 that receive the operation command from the main controller 110 may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컨트롤러(110)는 하나의 스위치에 복수개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의의 스위치를 한 번 누름으로써 여러 개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시나리오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a plurality of functions in one switch. This provides scenario functionality so that multiple functions can be performed by pressing any switch once.

예를 들어, 비가 오는 날에 주행을 하는 경우를 위하여 운전자는 스위치 A를 누르는 경우 차량의 와이퍼를 동작시키는 명령과 함께 차량 뒷 유리의 열선을 활성화시키는 명령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컨트롤러(110)는 스위치 A와 차량의 와이퍼를 제어하는 ECU, 차량 뒷 유리의 열선을 제어하는 ECU를 동시에 매핑하여 둔다. 사용자가 스위치 A를 누르는 경우 이들 명령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한다.For example, in order to drive on a rainy day, the driver may simultaneously set a command for activating the wiper of the vehicle when the switch A is pressed, and a command for activating a hot wire of the rear glass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ler 110 simultaneously maps the switch A, the ECU controlling the wiper of the vehicle, and the ECU controlling the heating wire of the rear glass of the vehicle. When the user presses switch A, these commands can be executed simultaneously.

보다 바람직하게 차량에 새로운 주변장치를 장착할 경우에는 네트워크 버스(140)에 주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ECU를 연결하여 메인컨트롤러(110)에 신규 장치의 식별자를 등록할 수 있다. 메인컨트롤러(110)는 스위치(121~125)와 ECU(151~155) 간의 매핑 설정 과정을 통하여 새롭게 등록된 ECU와 차량 내 임의의 스위치 간 매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More preferably, when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new peripheral device, an ECU capable of controlling the peripheral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bus 140 to register an identifier of the new device with the main controller 110. The main controller 110 performs mapping between the newly registered ECU and any switch in the vehicle through a mapping setting process between the switches 121 to 125 and the ECUs 151 to 155.

또한, 차량 내 장착되어 있는 스위치(121~125)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임의의 운전자가 스위치(121~125)와 ECU(151~155) 간의 매핑을 수정한 경우, 다른 운전자는 그 매핑을 알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하여 차량 내 각 스위치는 소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컨트롤러(110)는 각각의 스위치(121~125)에 매핑되어 있는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해당 스위치(121~125)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여 주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witches 121 to 125 mounted in the vehicle more preferably include a display module. If any driver has modified the mapping between switches 121-125 and ECUs 151-155, it is difficult for other drivers to know the mapp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ach switch in the vehicle may include a small display module. The main controller 110 displays an ic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mapped to each switch 121 to 125 on the display module of the corresponding switch 121 to 125.

도 2는 차량 내 스위치의 (A)는 비상등의 점멸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될 수 있으며, 스위치 (B)는 외부와의 공기 통풍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2 shows that an icon representing a flashing function of an emergency light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module, and a switch B may display an icon representing an air ventilation function with the outside. Indicates.

차량 내 스위치들(121~125)은 도 2와 같이 현재 매핑되어 있는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하여 줌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원하는 기능을 손쉽게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In-vehicle switches 121 to 125 output an ic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currently mapped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execute a desired function.

더욱 바람직하게 차량 내 스위치(121~125)는 소형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것이 좋다.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현재 매핑되어 있는 기능을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More preferably, the switches 121 to 125 in the vehicle may be implemented as a small touch screen. This is because the currently mapped function can be guided to the driver through the display module of the touch screen, and the user can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인컨트롤러(110)는 다수의 사용자가 스위치 별 매핑을 상이하게 설정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프리셋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메인컨트롤러(110)는 사용자 별로 스위치 설정 환경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해당 스위치 설정 환경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호출된 스위치 설정 환경에 따라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변경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preset function in case a plurality of users differently set the mapping for each switch. That is, the main controller 110 stores the switch setting environment for each user, and when the user calls the switch setting environment, the main controller 110 changes the mapping of the ECU and each switch according to the called switch setting environment.

예를 들어, 운전자 X가 설정한 환경, 운전자 Y가 설정한 환경 등을 각각의 프리셋으로 미리 저장하여 둔다. 그 후 운전자가 해당 프리셋을 선택하는 경우 메 인컨트롤러(110)는 선택된 프리셋에 설정되어 있는 스위치와 기능 간 매핑 정보를 로딩할 수 있게 한다. For example, the environment set by the driver X and the environment set by the driver Y are stored in advance as respective presets. Then, when the driver selects the preset, the main controller 110 may load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switch and the function set in the selected preset.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컨트롤러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the main controller shown in FIG.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컨트롤러(110)는 통신모듈(101), 메인제어모듈(112), 장치정도 DB(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ain controller 1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01, a main control module 112, and a device degree DB 113.

메인제어모듈(112)은 통신모듈(111)을 이용하여 스위치(121~125)에 기능을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메인제어모듈(112)은 스위치(121~125) 별 할당된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 정보를 스위치(121~125)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The main control module 112 corresponds to a microcontroller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assigning a function to the switches 121 to 125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module 112 transmits the ic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allocated to the switches 121 to 125 to the switches 121 to 125 to be displayed.

통신모듈(111)은 네트워크 버스(140)를 통해 차량 내 스위치들(121~125) 또는 다수의 ECU(151~155)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1 corresponds to a component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witches 121 to 125 or the plurality of ECUs 151 to 155 in the vehicle through the network bus 140.

장치정보 DB(113)는 차량 내에 존재하는 스위치들(121~125)과 ECU들(151~155)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장치정보 DB(113)는 각 스위치(121~125)와 각 스위치(121~125)에 설정된 기능,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ECU 정보(151~155)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다. 장치정보 DB(113)는 추가적으로 각 스위치(121~125)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할 아이콘 정보 또한 저장하고 있다.The device information DB 113 stores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switches 121 to 125 and the ECUs 151 to 155 existing in the vehicle. In addition, the device information DB 113 maps and stores each switch 121 to 125 and the functions set in the switches 121 to 125 and ECU information 151 to 155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s. The device information DB 113 additionally stores icon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display module of each switch 121 to 125.

메인제어모듈(112)은 운전자가 설정한 스위치(121~125)와 ECU(151~155) 및 해당 기능 간 매핑 정보를 내비게이션(130)으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분석한다. 그 후 메인제어모듈(112)은 장치정보 DB(113)에 운전자가 기능을 설정하고자 하는 스 위치(121~125)에 운전자가 원하는 기능 및 그 제어를 수행하는 ECU(151~155)의 식별자를 매핑하는 작업을 수행한다.The main control module 112 receives the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switches 121 to 125 and the ECUs 151 to 155 and corresponding functions set by the driver from the navigation 130 and analyzes the mapping information. After that, the main control module 112 inputs the identifiers of the ECUs 151 to 155 which perform the control and the functions desired by the driver to the switches 121 to 125 where the driver wants to set the functions in the device information DB 113. Perform the mapping.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switch function chan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스위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스위치에 할당된 기능 아이콘이 출력된 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function icon assigned to a switch is output to a display module included in a switch;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컨트롤러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the main controller shown in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 스위치 기능 변경 시스템 110 : 메인컨트롤러100: switch function change system 110: main controller

111 : 통신모듈 112 : 메인제어모듈111: communication module 112: main control module

113 : 장치정보 DB 121~125 : 스위치113: device information DB 121 ~ 125: switch

130 : 내비게이션 140 : 네트워크버스130: navigation 140: network bus

151~155 : ECU151 ~ 155: ECU

Claims (8)

차량 내 다수의 ECU와 각각 매핑되어 사용자가 자동차 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A plurality of switches, each mapped with a plurality of ECUs in the vehicle,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n the vehicle; 상기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ECU 간 매핑 상태 또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의 설정 과정을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내비게이션;A navigation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mapping state between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the ECU or a setting process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to a driver;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경로인 네트워크 버스; 및A network bus, which is a communication path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devices using a vehicle network protocol; And 사용자가 상기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 존재하는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설정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해당 ECU를 동작시켜 해당 기능을 수행토록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를 포함하되,The user uses the navigation to set the mapping of the ECU and the respective switches that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in the vehicle, and when the user presses any switch, the main to control the ECU to perform the function by operating the corresponding switch Include controllers,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각각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The plurality of switch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each function as an icon,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The main controller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스위치에 기능을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인 메인제어모듈,A main control module which is a microcontroller which performs an operation of assigning a function to a switch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네트워크 버스를 통해 스위치들과 ECU들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switches and ECUs via a network bus, and 차량 내에 존재하는 ECU와 스위치들 각각의 식별자 정보, 각 스위치 별 설정된 기능과 상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ECU 정보를 매핑한 정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할 아이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장치정보 DB를 포함하고,A device information DB storing at least one of identifier information of each ECU and switches existing in the vehicle, information mapped to a function set for each switch and ECU information performing the set function, or icon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display module; Including,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내비게이션에 차량 내 상기 다수의 스위치 기능의 매핑 상태를 전송하여, 상기 내비게이션에서 상기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ECU 간 매핑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main controller transmits a mapp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switch functions in the vehicle to the navigation, and the mapping state between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the ECU is displayed in the navigation.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사용자 별로 스위치 설정 환경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해당 스위치 설정 환경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호출된 스위치 설정 환경에 따라 ECU와 각 스위치의 매핑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 The main controller stores a switch setting environment for each user, and when the user calls the switch setting environment, the switch change system in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mapping of the ECU and each switch according to the called switch setting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The vehicle network protocol LIN, CAN, FlexRay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In-vehicle switch chan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LIN, CAN, FlexRa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차량 내의 다수의 ECU들과 스위치 별 고유한 식별자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The main controller is a switch change system in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a plurality of unique identifiers for each switch and the ECU in the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And said plurality of switches comprise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 function which is currently se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다수의 스위치로 하여금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And the main controller controls a plurality of switches to output an icon corresponding to a currently set function to the display modul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스위치 변경 시스템.The plurality of switches in-vehicle switch chan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via the touch screen.
KR1020090031170A 2009-04-10 2009-04-10 Apparatus for Altering the Function of the Switch in the Vehicle KR101035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170A KR101035200B1 (en) 2009-04-10 2009-04-10 Apparatus for Altering the Function of the Switch in th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170A KR101035200B1 (en) 2009-04-10 2009-04-10 Apparatus for Altering the Function of the Switch in the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735A KR20100112735A (en) 2010-10-20
KR101035200B1 true KR101035200B1 (en) 2011-05-17

Family

ID=4313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170A KR101035200B1 (en) 2009-04-10 2009-04-10 Apparatus for Altering the Function of the Switch in the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2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318B1 (en) 2019-02-27 2020-06-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Car audio device having smart switch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024B1 (en) * 2013-10-30 2015-07-24 (주)큐디스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roid based vehicle multimedia system
KR101560224B1 (en) 2014-10-27 2015-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interface in center fasci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1236A (en) * 1995-01-22 1996-08-09 Yazaki Corp Apparatus for diagnosing switch in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KR100692762B1 (en) * 2005-08-23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mbination switch for automobile and its control method
KR20080082392A (en) * 2007-03-08 200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ing button with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1236A (en) * 1995-01-22 1996-08-09 Yazaki Corp Apparatus for diagnosing switch in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KR100692762B1 (en) * 2005-08-23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mbination switch for automobile and its control method
KR20080082392A (en) * 2007-03-08 200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ing button with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318B1 (en) 2019-02-27 2020-06-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Car audio device having smart switch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735A (en)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25591B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atmosphere lamps
US63961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controls
US9352687B1 (en) Methods and system for vehicle setting control
US115855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and an air-conditioning unit
CN102923066B (en) A kind of display control program towards car-mounted electronic device
CN110936792A (en) Automobile fragrance control system
CN110203147B (en) Control method of vehicl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035200B1 (en) Apparatus for Altering the Function of the Switch in the Vehicle
US9409534B2 (en) User configurable vehicle steering column stalks
CN113841111A (en) Method for programming an operating module of a vehicle and corresponding operating module
EP2835945B1 (en) Automo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n automotive input device and a mobile device
US20170336931A1 (en) Information-entertainment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JP2010108861A (en) Switch device and method of allocating function for the same
CN102708836A (en) Vehicular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475075A (en) Vehicle-mounted screen control method,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6483875B (en) Automobile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used in automobile controller
CN205176571U (en) Novel automobile body controller
EP2338720A1 (en) Management system of on-board vehicle instruments, especially for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s
US9880731B1 (en) Flexible modular screen apparatus for mounting to, and transporting user profiles between, participating vehicles
CN111959276B (en) Automobile display system interface linkage circuit and method and automobile
EP3053765B1 (en)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with different user-selectable operating profiles
US20170355383A1 (en) Operating uni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ing unit of a motor vehicle
CN108800445B (en) Control system of weighted air conditioner
KR20180072023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hvac of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20170324815A1 (en) Control of an online service by mean of a motor vehicle operator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