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022B1 - 교량의 해체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의 해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022B1
KR101033022B1 KR1020100083875A KR20100083875A KR101033022B1 KR 101033022 B1 KR101033022 B1 KR 101033022B1 KR 1020100083875 A KR1020100083875 A KR 1020100083875A KR 20100083875 A KR20100083875 A KR 20100083875A KR 101033022 B1 KR101033022 B1 KR 10103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bridge
crane
delete delet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호건
전미선
Original Assignee
명보산공 주식회사
전미선
전호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보산공 주식회사, 전미선, 전호건 filed Critical 명보산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을 해체할 때 교통의 흐름에 최소한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량의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며, 가벤트를 설치하는 하역장 설치단계; 가벤트 사이에 크레인을 설치하는 크레인 설치단계; 상판 운반장치의 상부와 교량 상판의 하부를 고정하는 운반 준비단계; 상판 운반장치를 이동시키는 운반단계; 상판의 양측 단부가 가벤트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하역 준비단계; 상판이 상판 운반장치로부터 분리되면서 가벤트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상판 하역단계;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해체방법은 교통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의 해체방법{DISMANTLE METHOD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해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심지에 설치되는 고가차도 및 육교 등과 같은 교량을 해체할 때 교통의 흐름에 최소한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량의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심지에 설치되는 고가차도 및 육교 등을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은 일정 높이로 교각 또는 교대를 설치하고 이들 교각과 교대의 사이에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게 상판을 설치하고, 상판의 상부에 차도 및 인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교량을 완성하였다.
상판을 설치하는 벙법에는 교량의 길이에 따라 여러 가지의 공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교각이 수십 개 이상이 설치될 정도로 교량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교각과 교각 사이를 이동하면서 연속해서 상판을 타설할 수 있는 런칭거더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런칭거더시스템은 교량이 설치되고 있는 장소의 교통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교량의 상판을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교량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시공비의 문제로 런칭거더시스템을 사용하기에는 다소 곤란함이 있고,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 이동식 크레인을 설치한 뒤 크레인을 이용해 교량을 시공하고 있다.
크레인을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은 교각 또는 교대의 주변에 일정 하중을 들어 올릴 수 있는 크레인을 다수 설치시키고, 상판은 일정 크기로 나뉘어 제작된 뒤 트럭에 실려 교량을 시공하는 현장으로 운반된다.
이렇게 운반된 교량의 상판 구조물들은 현장에서 교각과 교각 사이에 올려질 수 있는 크기로 조립되고, 크레인에 의해 인상되어 교각 및 교대의 사이에 교축방향으로 설치된다. 교량 상판의 설치가 완료된 뒤에는 크레인을 철수시키고 교량 상판에 차도 또는 보도를 시공하여 교량의 시공을 마무리한다.
이때, 시공하는 교량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크레인을 한 번 설치한 위치에서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으나, 교량의 길이가 짧지 않은 경우에는 크레인을 옮겨 설치한 뒤 교량의 상판을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크레인의 경우 작업도중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가 설치되어야 하고, 이러한 이유로 다수의 크레인을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크레인들은 모두 일정 범위의 설치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교통이 복잡한 도심지에서 이와 같이 크레인을 다수 설치하고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 교량이 설치되는 지역은 크레인이 설치되면서 점유하는 공간으로 인해 극심한 교통체증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교량을 설치하는 지역이 교차로 지역인 경우에는 상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교차되는 차선의 전 차량의 통행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상판을 시공하기 전인 크레인을 설치하는 단계에서부터 상판의 주요 구성품을 모두 시공한 뒤 크레인을 철거하는 단계까지의 시간 동안 교차로의 교통이 마비되므로 상당시간 교통체증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도심지에서의 교량을 시공하는 작업 중 상판의 설치작업은 통상 야간에 이루어지고 있지만, 상판을 설치하는 작업이 야간에 모두 끝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금 크레인을 철수시켰다가 다음날 야간에 다시 설치한 뒤 작업을 계속해야만 했다.
이러한 이유로 실질적으로는 교량의 상판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비용의 상당 부분이 크레인을 사용하는 비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현실이었으며, 이에 더불어 크레인 사용에 따른 교통 혼잡으로 인해 해당지역에 장기간에 걸친 교통 혼잡을 유발한다는 문제가 해결해야할 더 큰 과제였다.
사용되던 교량을 철거하는 방법으로는 앞서 설명된 설치방법의 역순으로 고가차도 또는 육교의 상판에 설치되어 있던 도로 및 인도 포장재를 모두 제거한 뒤 상판을 교각과 교대로부터 해체하고 교각 또는 교대를 해체하게 된다.
상판을 해체하는 방법으로도 시공 시와 동일하게 런칭거더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역시 교량의 길이가 긴 경우에 한해서이고, 교차로에 설치되는 고가차도 및 육교 등과 같이 교량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크레인을 통해 상판을 철거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크레인을 통한 상판의 철거를 위해서는 교량의 주변에 상판을 하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을 설치시켜야 하고, 크레인을 통해 상판을 지면으로 하강시킨 뒤 지면에서 상판을 일정크기로 분리시킨 뒤 트럭으로 운반하는 것으로 교량 상판의 철거가 가능했다.
이와 같이 크레인으로 교량 상판을 해체할 때에도 각각의 크레인이 차지하는 작업공간으로 인해 교통의 혼잡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고, 설치 시와 동일하게 상판을 철거하기 위해 설치된 크레인 역시 상판을 철거하는데 사용되는 시간보다도 크레인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은 필요한 것이 현실이며, 이에 따라 교량 상판을 철거하는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 동안 교통체증이 유발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었다.
이와 같이 교량 중 교통이 혼잡한 도심지에 설치되는 고가차도 및 육교의 경우 설치 또는 해체 시 크레인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교량의 설치 및 해체 시 크레인이 차지하는 작업공간과 크레인의 설치 및 해체에 사용되는 시간으로 인해 주변의 교통 흐름을 장시간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었고, 이에 따른 시민들의 불편으로 인해 많은 민원이 접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이를 대체할 만한 공법이 없어 종래대로 크레인을 교통 혼잡지역에 설치해 작업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도심지에 설치된 고가차도와 육교 등을 해체할 때, 주변의 교통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교량의 해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교량의 해체 과정에서 크레인의 설치지점이 교통의 흐름에 최소한으로 영향을 미치는 곳으로 한정하고, 크레인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하여 교량의 해체 과정에서 크레인 사용에 따른 비용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해체방법은 교량에 인접하고 상기 상판 운반장치가 운행 가능한 지역에 교량의 교각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의 가벤트를 설치하는 하역장 설치단계; 상기 하역장의 가벤트 사이에 교량 상판을 인상시킬 크레인을 설치하는 크레인 설치단계; 상판 운반장치를 철거하고자 하는 상판이 설치된 교각들 사이에 위치시키고, 높이조절 실린더를 확장시켜 운반장치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켜 교각으로부터 교량 상판을 분리시킨 뒤 지지대의 상부와 교량 상판의 하부를 고정하는 운반 준비단계; 상판 운반장치를 교각의 측면으로 이동시키고, 확장된 높이조절 실린더를 확장되기 전의 길이로 축소시킨 뒤 하역장으로 상판 운반장치를 이동시키는 운반단계; 높이조절 실린더를 확장시켜 상판 운반장치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고, 교량운반장치를 가벤트들의 사이로 이동시켜 교량 상판의 양측 단부가 가벤트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하역 준비단계; 고정수단과 교량 상판을 분리시키고, 높이조절 실린더를 수축시켜 상판이 상판 운반장치로부터 분리되면서 가벤트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상판 하역단계;를 통해 실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해체방법은 도심지에 교량을 해체할 때 교통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어 교량 해체에 따른 교통 혼잡으로 낭비되는 사회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교량을 해체하면서 발생되는 민원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량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크레인의 설치지점을 교량과 떨어진 곳의 교통이 혼잡하지 않은 곳으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와 교량 상판의 위치에 따라 크레인의 설치위치를 변경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크레인의 작업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삭제
또한, 교량의 해체 시 교량 상판을 운반장치로 크레인 설치지점까지 이동시키고, 크레인이 상판을 트럭으로 옮겨 싣는 사이에 운반장치는 다른 상판을 크레인 방향으로 운반하는 식으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종래 크레인만을 사용해 교량을 해체하던 것에 비해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판 운반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상판 운반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상판 운반장치의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조절수단인 유압받침과 샌드베어링을 상세히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해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4는 도 13의 교량의 해체방법 중 운반 준비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5와 도 16은 도 13의 교량의 해체방법 중 운반 준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7은 도 13의 하역 준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8은 도 13의 상판 하역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해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해체방법은 본 발명을 위해 전용으로 제작된 상판 운반장치(100)와 기존의 크레인(300)을 함께 사용하여 진행되는 것으로서, 상판 운반장치(100)는 몸체(110), 휠(120), 높이조절 실린더(130), 지지대(140) 및 고정수단(150) 등의 구성품이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 운반장치(100)의 몸체(110)는 교량(10)의 교각(11) 사이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전방에는 운전석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몸체(110)의 하부에는 다수의 휠(120)이 구비되며, 상기 휠(120)은 몸체(110)의 저면을 균일한 압력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조밀하게 설치된다. 또한, 휠(120)은 상기 몸체(110)를 기준으로 특정한 방향으로만 진행되게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몸체(11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에서 360도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높이조절 실린더(130)는 상기 몸체(110)와 휠(1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일종의 유압장치이며, 몸체(110)와 휠(120)의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즉, 높이조절 실린더(130)가 확장되면 몸체(110)는 휠(120)을 중심으로 지면으로부터 높이조절 실린더(130)가 확장된 만큼 상승하게 되고, 높이조절 실린더(130)가 수축되면 다시금 하강하게 된다.
몸체(11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대(140)는 교량(10)의 상판(12)을 지탱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보유한 철 구조물로서, 몸체(110)의 양측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설치되는 지지대(140)는 해당 교량(10)의 교각(11) 높이를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높이조절 실린더(130)가 확장되었을 때 상단의 높이가 교각(11)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140)의 상부에는 수평조절수단(160)과 고정수단(150)이 구비되며, 수평조절수단(160)은 유압받침(169) 또는 샌드베어링(161)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평조절수단(160)으로 사용되는 유압받침(169)은 지지대(14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장치이며, 종래 교량(10)에 사용되던 교량(10)받침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상기 샌드베어링(161)은 상기 유압받침(169)과 동일하게 지지대(14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대(140)의 상부에 고정되는 사각형 형상의 실린더(162)와 상기 실린더(162)의 내부로 삽입되는 피스톤(163) 및 상기 실린더(162)와 피스톤(163) 내부에 채워지는 모래(164)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162)의 양측에는 물주입구와 모래(164)배출구가 구비된다.
이러한 샌드베어링(161)은 피스톤(163) 상부에 올려지는 고중량물의 수평을 잡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물주입구를 통해 물을 주입하고 모래(164)배출구를 개방하면, 모래(164)배출구로 모래(164)가 배출되면서 피스톤(163) 상부가 수평을 이루게 되는 원리이다.
이러한 수평조절수단(160)의 상부에는 교량(10)의 상판(12)과 결합되는 고정수단(15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150)은 교량(10)의 상판(12) 저면과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판 운반장치(100)를 이용해 시공되는 본 발명인 교량의 설치 및 해체방법은 작업 시 교통이 복잡한 교차로 등을 피해 주변의 한적한 공간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교통의 흐름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면서 교량을 설치 또는 해체하는 방법이다.
즉, 본 발명의 주요 내용은 교량을 설치 또는 해체 시 교차로와 같이 교통이 복잡한 곳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설명된 상판 운반장치(100)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판 운반장치(100)와 크레인(300)을 함께 사용하여 교량을 해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 운반장치(100)와 크레인(300)을 통해 이루어지는 본원 발명에 따른 교량의 해체방법은 교각(11)의 상부에서 상판(12)을 철거하는 방법이 주요 내용이고 교각(11)을 해체하는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며, 하역장 설치단계(S210), 크레인 설치단계(S220), 운반 준비단계(S230), 운반단계(S240), 하역 준비단계(S250) 및 상판 하역단계(S260)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하역장 설치단계(S210)는 해체하고자 하는 교량(10)이 설치된 지역의 주변 중 상판 운반장치(100)가 운행 가능하면서도 주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통량이 적은 지역을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지역에 교각(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와 넓이를 가진 가벤트(21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하역장(200)의 위치는 상판 운반장치(100)가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교통량이 적은 이면도로나 교차로의 경우 상대적으로 교통량이 적은 일측의 도로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중량물인 교량(10)의 상판(12)을 운반하는 상판 운반장치(100)가 고속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것을 감안하여 가급적 교량(10)과 근접한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벤트(210)의 경우는 교량(10)의 상판(12)을 지탱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진 철 구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벤트(210)의 높이는 교각(1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제작해야만 한다.
즉, 가벤트(210)의 높이가 교각(11)의 높이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에는 상판 운반장치(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판(12)과 상판 운반장치(100)의 고정수단(150)을 분리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가벤트(210)의 높이가 교각(11)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경우에는 상판 운반장치(100)가 이동할 때 지지대(140) 상부에 고정된 상판(12)이 가벤트(210)의 측면에 걸려 가벤트(210) 상부로 이동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벤트(210)의 높이는 해체할 교량(10)의 교각(11)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하역장(200)에 설치되는 가벤트(210)는 교각(11)의 높이 및 폭과 유사한 것으로 제작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반드시 가벤트(210)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교통이 혼잡하지 않은 지역에 있는 교각(11)을 가벤트(210)로 지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하역장 설치단계(S210)는 상판 운반장치(100)가 운행 가능한 지역에 설치되고 상부의 상판(12)이 철거된 교각(11) 중 교통량이 적은 지역에 위치하는 교각(11)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교각(11)을 가벤트(210)로 지정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해체하고자 하는 교량(10)이 다수의 교각(11)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교차로와 같이 교통량이 많은 곳이 아닌 일측 방향으로 통행되는 길과 같이 일부 차선을 폐쇄해도 교통의 흐름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 곳에 위치된 교각(11)을 임시 가벤트(210)로 설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가벤트(210)로 지정된 교각(11)의 주변을 통제하고 그 지역을 하역장(200)으로 정하면 된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가벤트(210)는 별도의 철 구조물로 제작되는 것과 철거할 교각(11) 중 가벤트(210)로 지정되어 사용되는 교각(11)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하역장 설치단계(S210)를 통해 하역장(200)과 가벤트(210)의 설치가 끝난 뒤에는 크레인(300)을 설치하는 크레인 설치단계(S220)를 실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크레인 설치단계(S220)는 하역장(200) 내부의 가벤트(210) 주변에 크레인(300)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운반된 상판(12)을 가벤트(210)의 상부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면서도 상판 운반장치(100)가 이동하는 데는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적정 수량의 크레인(30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하역장 설치단계(S210)와 크레인 설치단계(S220)를 통해 상판(12)을 해체할 기본적인 준비가 완료된 뒤에는 본격적으로 상판(12)을 해체하는 단계를 진행하게 되며 그 시작으로 운반 준비단계(S230) 실시한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운반 준비단계(S230)는 교각(11)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12)을 운반하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판 운반장치(100)를 교각(11)들의 사이로 이동시킨 뒤 상판(12)과 상판 운반장치(10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상판 운반장치(100)는 교각(11) 사이로 이동된 뒤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확장시켜 상판(12)이 교각(11)들의 상부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지지대(140) 상부에 구비된 고정수단(150)과 상판(12)의 하부를 고정한다. 이때, 고정수단(150)과 상판(12)의 결합은 다수의 볼트 및 너트로 가능하다.
도 3과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운반 준비단계(S230)를 더욱 세밀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분리단계(S231), 수평조절단계(S232), 상판 고정단계(S233)로 단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들은 상판 운반장치(100)를 교량(10)의 교각(11)들 사이로 이동시킨 뒤 행해지는 것으로서, 분리단계(S231)는 상판 운반장치(100)의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확장시키면 상판 운반장치(100)의 몸체(110)는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130)의 확장되는 정도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상승하게 되고, 몸체(11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된 지지대(140)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수단(150)이 운반하고자 하는 상판(12)의 저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고정수단(150)의 상부가 상판(12)의 저면에 접하게 된 뒤에도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계속 확장시키면 상판(12)은 교각(11)과 분리된다.
상판 분리단계(S231)가 마무리된 뒤에는 수평 조절단계(S232)를 진행하게 된다. 수평 조절단계(S232)는 지지대(140)와 고정수단(150)의 사이에 구비되는 수평조절수단(160)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수평조절수단(160)은 상기 상판 운반장치(100)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는 데에서 설명된 유압받침(169) 및 샌드베어링(161)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유압받침(169)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지대(140) 상부 양측에 구비된 유압받침(169)의 높이를 유압으로 조절하여 해당 지지대(140)의 상부에 올려진 상판(12)이 상판 운반장치(100)의 폭 방향에서 수평을 이루게 한다.
수평조절수단(160)으로 샌드베어링(161)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실린더(162)의 모래 배출구(166)를 개방하고 물주입구를 통해 물을 주입시키게 되면, 모래 배출구(166)에서 모래(164)와 물이 동시에 배출이 되고, 피스톤(163)의 상부는 모래(164)에 지지되면서 점차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162)와 피스톤(163) 사이에서 모래(164)가 빠져나가면서 피스톤(163)이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수평이 유지되면 물 주입구(165)를 차단하여 주입되는 물을 차단시키고 모래 배출구(166)를 폐쇄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수평조절수단(160)으로 상판 운반장치(100)의 지지대(140) 상부에 놓여진 상판(12)의 수평이 유지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상판(12)이 교각(1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 수평이 이루어 지면 상판(12) 상판 고정단계(S233)를 진행한다.
상판 고정단계(S233)는 상판 운반장치(100)와 상판(12)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판 운반장치(100)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수단(150)과 상판(12)의 저면을 고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수의 볼트 및 너트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가능하다.
이러한 분리단계(S231), 수평 조절단계(S232), 상판(12) 상판 고정단계(S233)를 진행한 뒤에는 상판(12)을 운반하는 운반단계(S240)를 실시한다.
운반단계(S240)는 상판 운반장치(100)의 상부에 고정된 상판(12)을 하역장(200)으로 이동시킨 뒤 하역장(200)에 설치된 가벤트(210)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먼저 상판 운반장치(100)는 상기 교각(11)의 측면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상기에서 상판 운반장치(100)가 교각(11)의 측면으로 이동된 뒤에는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수축시켜 상판 운반장치(100)가 지면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판 운반장치(100)는 몸체(110)가 휠(120)에 최대한 인접하게 되어 주행 안전성이 확보되고, 저속으로 하역장(200)으로 이동하여 가벤트(21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에는 상판(12)을 가벤트(210)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한 하역 준비단계(S250)를 실시하며, 하역 준비단계(S250)는 상판 운반장치(100)의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시작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확장시키면, 상판 운반장치(100)의 몸체(110)는 지면으로부터 다시금 부상하게 되고, 상판 운반장치(100)의 상부에 고정된 상판(12)은 가벤트(210)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판 운반장치(100)는 휠(120)의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이동하여 가벤트(21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판 운반장치(100) 상부에 고정된 상판(12)은 양측 단부가 가벤트(2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하역 준비단계(S250)가 마무리된 뒤에는 상판 하역단계(S260)를 실시하며, 상판 하역단계(S260)는 상판 운반장치(100)의 고정수단(150)과 상판(12)의 사이에 체결된 볼트 및 너트를 분리시킨 뒤 상판 운반장치(100)의 확장된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수축시키는 것으로 가능하다.
즉, 고정수단(150)과 분리된 상판(12)은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수축시키면 상판 운반장치(100)의 몸체(110)가 하강하면, 상판(12)은 상판 운반장치(100)와 분리되고 가벤트(210)의 상부에 지지 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이루어지는 교량의 해체방법은 상판 운반장치(100)를 활용하므로 인해 교통이 복잡한 구간에 설치되어 있던 교량(10)을 해체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서, 상판 운반장치(100)를 통해 철거하는 교량(10)의 상판(12)을 교통이 상대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곳으로 1차적으로 운반한 뒤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을 2차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교통이 복잡한 구간에 크레인(300)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상판 운반장치(100)가 상판(12)을 운반하는 시간만 교통을 통제하면 되기 때문에 교통의 흐름에 최소한으로 영향을 주면서 교량(10)을 철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특정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판 운반장치 110: 몸체
120: 휠 130: 높이조절 실린더
140: 지지대 150: 고정수단
160: 수평조절수단 200: 하역장
210: 가벤트 300: 크레인
S210: 하역장 설치단계 S220: 크레인 설치단계
S230: 운반 준비단계 S231: 분리단계
S232: 수평 조절단계 S233: 상판 고정단계
S240: 운반단계 S250: 하역 준비단계
S260: 상판 하역단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교량(10)의 상판(12)을 지탱할 정도의 넓이를 가진 몸체(110)와, 몸체(110)의 저면에 설치되어 몸체(110)를 기준으로 360도 회전되는 다수 개의 휠(120)과, 몸체(110)와 휠(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를 휠(120)로부터 상승시키는 높이조절 실린더(130)와, 몸체(11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부에는 수평조절수단(160)과 고정수단(150)이 구비된 지지대(140)를 포함한 상판 운반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상판 운반장치(100)가 진입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되어 있던 교량(10)을 해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량(10)에 인접하고 상기 상판 운반장치(100)가 운행 가능한 지역에 교량(10)의 교각(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의 가벤트(210)를 설치하여 하역장(200)을 설치하는 하역장 설치 단계(S210);
    상기 하역장(200)의 가벤트(210) 사이에 교량(10)의 상판(12)을 인상시킬 크레인(300)을 설치하는 크레인 설치단계(S220);
    상판 운반장치(100)를 철거하고자 하는 상판(12)이 설치된 교각(11)들 사이에 위치시키고,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확장시켜 교량(10)의 상판(12)을 교각(1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단계(S231)와, 상기 수평조절수단(160)을 이용해 상판(12)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조절단계(S232)와, 상판(12)의 하부를 고정수단(150)의 상부에 고정하는 상판 고정단계(S233)로 이루어진 운반 준비단계(S230);
    상판 운반장치(100)를 교각(11)의 측면으로 이동시키고, 확장된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확장되기 전의 길이로 축소시킨 뒤 하역장(200)으로 상판 운반장치(100)를 이동시키는 운반단계(S240);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확장시켜 상판 운반장치(100)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고, 상판 운반장치(100)를 가벤트(210)들의 사이로 이동시켜 상판(12)의 양측 단부가 가벤트(210)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하역 준비단계(S250);
    고정수단(150)과 교량(10)의 상판(12)을 분리시키고, 높이조절 실린더(130)를 수축시켜 상판(12)이 상판 운반장치(100)로부터 분리되면서 가벤트(210)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상판 하역단계(S260);를 포함하는 교량의 해체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00083875A 2010-08-30 2010-08-30 교량의 해체방법 KR10103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875A KR101033022B1 (ko) 2010-08-30 2010-08-30 교량의 해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875A KR101033022B1 (ko) 2010-08-30 2010-08-30 교량의 해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022B1 true KR101033022B1 (ko) 2011-05-09

Family

ID=4436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875A KR101033022B1 (ko) 2010-08-30 2010-08-30 교량의 해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329A (zh) * 2018-12-18 2019-04-12 李建鑫 一种桥梁拱肋施工用一体化吊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295A (ko) * 2002-08-02 2004-02-11 김정현 가벤트를 이용하여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치환하여 유도상화하는 공법 및 그 장치
KR100556219B1 (ko) * 2004-05-14 2006-03-03 코벡주식회사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상화방법.
KR100924306B1 (ko) * 2009-05-11 2009-11-02 석정건설(주) 이동형 가로보를 갖는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KR20100021874A (ko) * 2008-08-18 2010-02-26 조영철 교량의 상부구조물 제거방법, 설치방법, 교체방법과 이를 위한 상부구조물 승강장치와 이송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295A (ko) * 2002-08-02 2004-02-11 김정현 가벤트를 이용하여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치환하여 유도상화하는 공법 및 그 장치
KR100556219B1 (ko) * 2004-05-14 2006-03-03 코벡주식회사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상화방법.
KR20100021874A (ko) * 2008-08-18 2010-02-26 조영철 교량의 상부구조물 제거방법, 설치방법, 교체방법과 이를 위한 상부구조물 승강장치와 이송차량
KR100924306B1 (ko) * 2009-05-11 2009-11-02 석정건설(주) 이동형 가로보를 갖는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329A (zh) * 2018-12-18 2019-04-12 李建鑫 一种桥梁拱肋施工用一体化吊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592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leveling a concrete panel
JP5047680B2 (ja) 連続高架橋の施工方法
JP5015048B2 (ja) 河川橋梁の桁下空間拡大工法
US5960502A (en) Method and mechanism for erection of prefabricated modular deck of viaducts, motorway flyovers and the like
US8499395B2 (en) Damage resistant bridge construction
KR100949601B1 (ko) 가도없이 기존교량을 확폭하는 공법
JP4671912B2 (ja) 橋梁の架け替え工法
KR101400302B1 (ko) 교량 가설용 높이 가변형 트랜스포터
KR20050108867A (ko)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상화방법.
KR101033022B1 (ko) 교량의 해체방법
CN103061268A (zh) 一种高速公路(双跨)跨线桥梁架设方法
CN107245960A (zh) 一种用于城市高架桥更新的分段式施工***及方法
CN113668399B (zh) 一种中承式系杆钢箱拱桥施工方法
CN109112978B (zh) 一种扩建高架桥的施工设备及方法
JP2003313824A (ja) 立体交差施工方法、立体交差および移動架台
KR101016152B1 (ko) 케이블 인양장치와 가설인양대와 수평이동부재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급속교체시공방법 및 급속교체시공장치
KR100556629B1 (ko) 교량 승상과 동시에 접속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설치 및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접속가교 및 이의 설치방법
JP2003055912A (ja) 平面交差部の立体交差化方法および高架橋
KR101024804B1 (ko) 직선 및 회전 런칭을 이용한 교량상판 거치공법 및 교량상판 거치장치
CN107237251B (zh) 一种引桥平推法架设临时钢桥的施工方法
JP3940587B2 (ja) 分割橋体式交通路の構築方法
KR102595013B1 (ko) 교통통제를 최소화하는 지하차도 시공방법
CN110804916A (zh) 一种通车状态下新建道路下穿既有道路的施工方法
JP4098581B2 (ja) 跨道橋の架替工法
RU8912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ведения тоннеля мелкого заложения под участком дорог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