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495B1 - 천식환자용 투약기 - Google Patents

천식환자용 투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495B1
KR101030495B1 KR1020090083565A KR20090083565A KR101030495B1 KR 101030495 B1 KR101030495 B1 KR 101030495B1 KR 1020090083565 A KR1020090083565 A KR 1020090083565A KR 20090083565 A KR20090083565 A KR 20090083565A KR 101030495 B1 KR101030495 B1 KR 10103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medicine
exhalatio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5479A (ko
Inventor
박상현
김양희
장호종
강현민
윤영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8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4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5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7Devices for facilitating collection of breath or for directing breath into or through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식환자를 위한 투약기에 관한 것으로, 들어오는 날숨에 빛을 조사하여 날숨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파악된 상태에 따라 약을 투여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를 제공함으로써, 천식환자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체혈이나 무거운 의료기구 등을 하지 않고, 환자의 날숨을 빛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여 그에 맞는 약을 투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천식, 투약, 레이저

Description

천식환자용 투약기{MEDICATOR FOR ASTHMA PATIENTS}
본 발명은 천식환자를 위한 투약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아 천식환자들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는 투약기에 관한 것이다.
천식은 간헐적으로 숨이 가쁘고 헐떡이며 기침을 하는 증상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폐기관지의 근육이 위축되고 기관지 점막이 부풀어 올라서 생긴다. 이런 천식의 원인은 알레르기 반응(외인성천식) 때문에 생기기도 하고 기관지가 민감한 사람에게 세균이 침입(내인성천식)해 생기기도 하며, 자율신경계의 기능이 잘못되어 생기기도 한다. 천식은 흔히 가족성 경향이 있으며 어느 인종에게나 나타나며 남녀의 발병빈도가 비슷하다.
이러한 천식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일시적으로 기관지벽의 평활근이 수축하고 기관지의 관이 부풀어 오르며 기관지샘에서 점액이 과다하게 분비된다. 이때 나오는 점액 때문에 기관지가 막히는데, 이런 일시적 현상을 천식발작 증상이라고 한다.
더욱이 천식발작 증상은 천식환자가 피로나 영양실조로 인하여 약해지거나 산소 소비량이 아주 적어질 때, 그리고 기종이 생길 때에 천식발작이 지속되는데, 자주 이러한 천식발작 증세가 나타나면 아주 위험하다.
천식발작은 한번 증상이 나타나면 1시간 반에서 몇 시간 정도까지 지속되기 때문에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기관지를 넓히고 점액선의 분비를 억제하는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기체를 코나 호흡기로 들이마시게 하거나 주사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천식환자들은 이러한 에피네프린을 천식발작이 일어날 때마다 흡입하여야하기 때문에 에피네프린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기를 휴대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존에 나와 있는 천식 의료 용품들은 사용하고 가지고 다니기에 번거롭고, 특히 소아천식환자들이 가지고 다니기에는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의료기구들처럼 보이기 때문에 거부감을 준다는 단점이 있다.
더군다나 이런 천식환자들에게 투여하는 약 중 기도확장제의 경우에는 기도를 넓혀서 더 편안하게 호흡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약으로써, 흉부에 압박감이 있거나 기침을 하고, 혹은 쌕쌕거리는 소리가 날 때, 빠른 증상 호전을 일으키는 장점이 있으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남용을 하게 되면, 약물의 효과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천식 증세를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아 천식환자들에게 친근감 있게 다가갈 수 있으며, 환자의 특성과 상태에 맞도록 약을 투여할 수 있는 천식환자용 투약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천식환자용 투약기는 사용자의 날숨이 들어오는 인브래스(In-Breath)부; 상기 인브래스부를 통해 들어오는 날숨에 빛을 조사(照射)하는 조사부; 상기 조사부에 의해 날숨에 조사된 빛이 입력되고, 입력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인브래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약투여부; 및 상기 조사부, 분석부 및 약투여부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빛은 레이저(Las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상태를 서버 측으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버에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기준 투여량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측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투여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며, 상기 약투여부는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의 투여량 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기준 투여량이 저장된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투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약의 기준 투여량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약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석부는 입력되는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천식환자용 투약기는 사용자의 날숨이 들어오는 인브래스(In-Breath)부; 상기 인브래스부를 통해 들어오는 날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상태를 서버 측으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인브래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약투여부; 및 상기 분석부, 통신부 및 약투여부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기준 투여량이 저장된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투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약의 기준 투여량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약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상태에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기준 투여량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측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투여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며, 상기 약투여부는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의 투여량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사용자의 날숨이 나가는 아웃브래스(Out-Breath)부; 및 상기 아웃브래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날숨으로 불어지는 풍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투여부는 상기 풍선부에 불어진 상기 사용자의 날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천식환자용 투약기는 사용자의 날숨이 들어오는 인브래스부; 상기 사용자의 날숨이 나가는 아웃브래스부; 상기 아웃브래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날숨으로 불어지는 풍선부; 및 상기 풍선부에 불어진 상기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상기 인브래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약투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천식환자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체혈이나 무거운 의료기구 등을 하지 않고, 환자의 날숨을 빛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여 그에 맞는 약을 투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천식환자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서버에 저장된 환자의 상태를 의사가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풍선에 바람을 넣음으로 인하여 소아 환자가 투약기에 대한 친근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아 환자들이 치료를 놀이처럼 느끼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1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110)과 풍선(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캡슐(110)은 인브래스(In-Breath)부(111), 조사부(112), 분석부(113), 약투여부(114), 통신부(115), 저장부(116), 전원부(117) 및 아웃브래스(Out-Breath)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브래스부(111)는 천식환자가 입에 대고 투약기(100)에 날숨(B)을 불어넣는 곳으로, 천식환자의 날숨(B)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으며, 소아 환자의 입에 맞도록 작게 형성된다.
조사부(112)는 인브래스부(111)를 통해 들어오는 날숨(B)에 빛을 조사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사부(112)에서 조사하는 빛이 레이저(Laser)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레이저가 아닌 다른 빛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조사부(112)에서 날숨(B)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 지속적으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도 있으며, 천식환자의 날숨(B)이 인브래스부(111)를 통해 투약기(100)에 들어올 때만 조사할 수도 있다. 혹은 투약기(100)의 외부에 스위치 등을 형성하여 스위치를 이용하여 조사부(112)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천식환자가 인브래스부(111)를 통해 투약기(100)에 날숨(B)을 불어넣으면서 스위치를 눌러 조사부(112)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석부(113)에는 조사부(112)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인브래스부(111)를 통해 들어온 날숨(B)과 부딪힌 레이저가 입사된다. 이렇게 날숨(B)과 부딪힌 레이저는 처음 조사부(112)에서 조사된 레이저와 다른 파장을 가지게 되는데, 이때, 분석부(113)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파장의 길이가 일정하다는 것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분석한다. 즉, 분석부(113)에서는 분석부(113)로 입사되는 파장을 분석함으로써, 천식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날숨(B)에 있는 화학물질들로 인해서, 조사된 레이저에 날숨(B)을 불어넣으면, 레이저는 적외선에서 가시광선 영역 주파수대로 파동이 발상 되는데, 이 과정에서 레이저의 주파수가 변하고, 그로 인해서 레이저의 파동이 변하는데, 분석부(113)에서는 변하는 파동을 감지하고 분석하여 날숨(B)에 포함되어 있는 화학물질들이 어떤 것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렇게 날숨(B)에 포함된 화학물질들에 대해서 분석함으로써, 천식의 증세가 심해졌는지 아니면 호전이 되었는지, 혹은 어느 정도의 호전정도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분석이 가능하다.
이렇게 분석부(113)를 통해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한 것을 이용하여 약투여부(114)에서는 환자의 상태에 맞도록 약(M)을 투여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천식환자들이 사용하던 네블라이저(Nebuliser)는 정해진 양만큼만 일정하게 분사하여 환자에게 약(M)을 투여하였으나,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100)에서는 분석부(113)를 통해 분석된 환자의 상태에 따라 투여되는 약(M)의 양이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약투여부(114)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M)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한데, 일예로, 0.1g씩 저장된 약 저장부가 10개가 마련된 경우, 분석부(113)에서 환자의 상태가 0.5g이 투여되는 것으로 파악되면, 0.1g씩 저장된 약저장부 10개 중 5개에서만 약(M)이 분사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예로, 1g이 저장된 약저장부에서 5g을 투여하는 경우라면, 약(M)을 분사하는 노즐을 조절하여 5g만이 분사될 수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약(M)의 투여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약투여부(114)에서는 정해진 시간이외에는 약(M)이 투여되는 것을 방 지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환자가 인브래스부(111)를 통해 날숨(B)을 불어 넣는다 하더라도 정해진 시간이 아닌 경우에는 약투여부(114)에서는 약(M)이 분사되지 않도록 하여 약(M)이 남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113)에서 날숨(B)에 대한 레이저의 분석으로 날숨(B)에 투여된 약(M)이 일정 이상 포함되는 것으로 파악이 되면, 약투여부(114)에서는 약(M)이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약투여부(114)에서 약(M)이 투여되는 것은 환자에게 적절한 양만큼의 약(M)이 투여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기능이 포함되는데, 투여되는 약(M)의 양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약(M)이 남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M)의 투여가 되지 않는 기능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약투여부(114)에서 약(M)이 투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되더라도 환자의 상태가 응급상황인 경우에 환자가 본 발명의 투약기(100)를 이용하여 약(M)을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환자가 위급한 상황에서 약(M)을 흡입하지 못함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투약기(100)는 환자의 날숨(B)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때문에 환자의 날숨(B)을 분석하여 약(M)이 날숨(B)에 일정 이상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날숨(B)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 환자의 상태가 위급한 상황인 경우에는 약(M)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날숨(B)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 이외에도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약(M)을 투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일예로, 본 발명의 투약기(100)에 비상 스위치(미도시) 등이 장착되어, 환자가 비상 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투약기(100)를 통해 흡입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와 무관하게 약(M)의 투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환자가 임의로 비상 스위치를 눌러 수시로 약(M)을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일정 시간 이상 비상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에만 약(M)의 투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통신부(115)는 분석부(113)에서 분석된 환자의 상태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서버(200)는 환자의 상태가 지속적으로 누적 기록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될 뿐만 아니라, 서버(200)를 통해 환자의 주치의가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천식환자가 본 발명의 투약기(100)를 사용할 때마다 환자의 상태는 실시간으로 통신부(115)를 통해서 서버(200)로 전송되기 때문에 주치의는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환자에 알맞은 처방을 내릴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5)에서 서버(200)로 환자의 상태를 전송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부(115)에서 직접 서버(200)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만 서버(200)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15)는 서버(200)로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휴대 전화기와는 데이터통신 케이블 등의 유선이나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유선이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휴대 전화기로 전달된 다음, 휴대 전화기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버(200) 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휴대 전화기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의 크기를 더욱 축소시킬 수 있으며, 통신을 위한 전력소모도 상당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장부(116)는 환자의 상태에 따른 약(M)의 기준 투여량이 저장되는데, 이는 분석부(113)에서 분석된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약투여부(114)에서 환자에게 약(M)을 투여하는 양이 얼마정도가 적당한 양인지를 정해놓은 기준 테이블이다. 이로써, 환자의 날숨(B)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약투여부(114)에서는 이를 저장부(116)에 저장된 기준 투여량과 비교하여 정해진 약(M)의 투여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이다.
또한, 저장부(116)에는 분석부(113)에서 분석된 환자의 상태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통신부(115)가 실시간으로 서버(200)에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한 때에 환자의 상태를 일괄적으로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통신부(115)에서는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를 서버(200)로 전송하지 않고, 저장부(116)에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저장된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통신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저장부(116)가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으나, 저장부(116)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하다. 즉, 서버(200)에 환자의 상태에 따른 약(M)의 기준 투여량이 저장되고, 통신부(115)는 분석부(113)에서 분석된 환자의 상태를 서버(200)로 전송한 다음, 서버(200)로부터 환자에게 투여하여야 할 약(M)의 투여량을 수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서버(200)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환자의 상태가 누적된 데이터와 함께 환자의 상태에 따른 약(M)의 투여에 대한 기준 투여량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서버(200)로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에게 투여되어야 할 약(M)의 양을 설정하여 이를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 측으로 다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원부(117)는 조사부(112), 분석부(113), 약투여부(114), 통신부(115) 저장부(116)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나 일회용 배터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유선전원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100)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유선전원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나 일회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브래스부는 인브래스부(111)를 통해 들어온 날숨(B)이 나가는 곳으로, 아웃브래스부에는 풍선(120)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풍선(120)은 문구점 등에서 판매되는 일반적인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100)의 아웃브래스부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풍선(120)이 아웃브래스부에 결합되면, 아웃브래스부를 통해 나오는 환자의 날숨(B)이 풍선(120)을 부풀게 한다. 즉, 어린이 등과 같은 소아 환자들은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100)와 풍선(120)을 결합하여 보통의 풍선을 불듯이 날숨(B)을 불어넣음으로써, 의약용품을 다룬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재미있는 놀이를 접하여 의약용품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풍선(120)이 아웃브래스부에서 결합된 상태에서 환자가 더 이상 날숨(B)을 불어넣지 않으면, 풍선(120)에 찬 날숨(B)이 역으로 아웃브래스부와 인브래스부(111)를 차례로 통과하여 환자의 기도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풍선(120)에 있던 날숨(B)이 약투여부(114)를 거치면서 약투여부(114)에서 분사되는 약(M)을 환자에게 투여하게 된다.
물론, 풍선(120)에 있던 날숨(B)으로 인하여 약투여부(114)에서는 약(M)이 분사되는데, 풍선(120)의 날숨(B)이 계속적으로 풍선(120)에서 빠져나오더라도, 약투여부(114)에는 해당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당량의 약(M)이 투여될 수 있도록 조절하기 때문에 약(M)이 과다하게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100)는 캡 슐(110)과 풍선(120)이 결합하여 이용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천식이 있는 환자는 평소에 가지고 다니는 캡슐(110)을 꺼내어 문구점에서 구입한 풍선(120)을 캡슐(110)의 아웃브래스부에 결합하고, 캡슐(110)의 인브래스부(111)를 통해 날숨(B)을 불어넣는다. 그러면 조사부(112)에서는 레이저가 조사되고, 날숨(B)에 포함된 화학물질들에 의해서 바뀐 레이저의 파장을 분석부(113)에서 분석되어 환자의 상태를 파악되며, 날숨(B)은 아웃브래스부를 통해 풍선(120)에 날숨(B)을 불어넣게 된다.
분석부(113)에서 파악된 환자의 상태는 통신부(115)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되고, 서버(200)로 전송된 환자의 상태를 주치의가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분석부(113)에서 분석된 환자의 상태와 저장부(116)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약(M) 투여량을 비교하여 약투여부(114)는 분사될 약(M)의 양이 정해진다.
환자는 인브래스부(111)를 입에 댄 상태에서 풍선(120)에 불어진 날숨(B)을 다시 들여 마시는데, 이때, 풍선(120)에 불어진 날숨(B)이 아웃브래스부를 통해 약투여부(114)를 거치면서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양만큼의 약(M)이 인브래스부(111)를 통해 환자의 호흡기로 투여된다.
이렇게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천식환자에게 환자 상태에 맞는 약(M)이 적절하게 투여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 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의 (a)는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의 캡슐에 날숨이 들어가 레이저 분석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의 (b)는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의 캡슐을 통해 약이 투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캡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천식환자용 투약기의 투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천식환자용 투약기
110: 캡슐
111: 인브래스부 112: 조사부
113: 분석부 114: 약투여부
115: 통신부 116: 저장부
117: 전원부 118: 아웃브래스부
120: 풍선
200: 서버
B: 날숨 M: 약

Claims (13)

  1. 사용자의 날숨이 들어오는 인브래스(In-Breath)부;
    상기 인브래스부를 통해 들어오는 날숨에 빛을 조사(照射)하는 조사부;
    상기 조사부에 의해 날숨에 조사된 빛이 입력되고, 입력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인브래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약투여부; 및
    상기 조사부, 분석부 및 약투여부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빛은 레이저(Las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상태를 서버 측으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기준 투여량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측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투여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며,
    상기 약투여부는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의 투여량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기준 투여량이 저장된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투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약의 기준 투여량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약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입력되는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7. 사용자의 날숨이 들어오는 인브래스(In-Breath)부;
    상기 인브래스부를 통해 들어오는 날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상태를 서버 측으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인브래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약투여부; 및
    상기 분석부, 통신부 및 약투여부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기준 투여량이 저장된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투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약의 기준 투여량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약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9. 제3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10. 제5항 및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상태에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기준 투여량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측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약의 투여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며,
    상기 약투여부는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약의 투여량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12. 제1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날숨이 나가는 아웃브래스(Out-Breath)부; 및
    상기 아웃브래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날숨으로 불어지는 풍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투여부는 상기 풍선부에 불어진 상기 사용자의 날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13. 사용자의 날숨이 들어오는 인브래스부;
    상기 사용자의 날숨이 나가는 아웃브래스부;
    상기 아웃브래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날숨으로 불어지는 풍선부; 및
    상기 풍선부에 불어진 상기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상기 인브래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약을 투여하는 약투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환자용 투약기.
KR1020090083565A 2009-09-04 2009-09-04 천식환자용 투약기 KR10103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565A KR101030495B1 (ko) 2009-09-04 2009-09-04 천식환자용 투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565A KR101030495B1 (ko) 2009-09-04 2009-09-04 천식환자용 투약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479A KR20110025479A (ko) 2011-03-10
KR101030495B1 true KR101030495B1 (ko) 2011-04-25

Family

ID=4393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565A KR101030495B1 (ko) 2009-09-04 2009-09-04 천식환자용 투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4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236B1 (ko) 2000-12-16 2003-08-21 정우협 네브라이져기 제어 전자장치
US20060036134A1 (en) 2002-09-18 2006-02-16 E-San Limited Telemedicine system
KR20070041976A (ko) * 2005-10-17 2007-04-20 넷코덱(주) 휴대용 천식 경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식 진단 시스템
KR20090011610A (ko) * 2007-07-27 2009-02-0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 약물 주사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236B1 (ko) 2000-12-16 2003-08-21 정우협 네브라이져기 제어 전자장치
US20060036134A1 (en) 2002-09-18 2006-02-16 E-San Limited Telemedicine system
KR20070041976A (ko) * 2005-10-17 2007-04-20 넷코덱(주) 휴대용 천식 경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식 진단 시스템
KR20090011610A (ko) * 2007-07-27 2009-02-0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 약물 주사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479A (ko)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22839B (zh) 病人监测***和护理***
EP3368116B1 (en) Breathing training, monitoring and/or assistance device
JP5296892B2 (ja) ユーザ地において意識鎮静看護システムを用いることによって繰り返し発生する利益を電子的に追跡するための方法
JP4377226B2 (ja) 適切な臨床的発見法に従って意識のある患者の医療または手術手法に伴う苦痛または不安を緩和するためのシステム
Schwartzstein et al. Dyspnea: a sensory experience
EP3134094B1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treatment of complications arising from, and/or prevention of respiratory disorders caused by bacterial, viral, protozoal, fungal and/or microbial infections, preferably for the treatment of complications arising from cystic fibrosis
US201200036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idal volume of a self-ventilation subject
US201901920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 inhaler
US7299802B2 (en) Carbon dioxide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030495B1 (ko) 천식환자용 투약기
Krause-Sorio et al. Inspiratory muscle training for obstructive sleep apnea: protocol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home practice by sedentary adults
JP2011005262A (ja) 患者の応答性を自動的に評価およびモニタする装置および方法
Atkins et al. Anesthetic considerations and surgical caveats for awake airway surgery
Lindqvist et al. Minimal flow anaesthesia for short elective day case surgery; high vaporiser settings are needed but still cost-effective
Gillespie et al. The effects of hyper-and hypocapnia on phonatory laryngeal airway resistance in women
Madney et al. The impact of changing patient interfaces on delivering aerosol with titrated oxygen in the high flow system
Conti et al. Effects of low‐dose alfentanil administration on central respiratory drive and respiratory pattern in spontaneously breathing ASA 1 patients
Yüksel et al. Two different methods of lidocaine inhalation before diagnostic flexible bronchoscopy: effects on post-bronchoscopy respiratory symptoms
CN108721753A (zh) 用于局部麻醉治疗的辅助诊疗设备及其操作方法
Iacovazzo et 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High Flow CPAP
Khirani et al. Ventilator support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vasive and noninvasive
Panos Is it time to “go with the (high) flow”?
Wilson et al. 170 Safety of nebulised hypertonic saline via Pari eFlow with Pari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PEP) device in circuit for paediatric cystic fibrosis patients
Acevedo et al. CLINICAL AND FINANCIAL IMPACT OF RESPIRATORY THERAPIST ASSUMING MDI AND DPI ADMINISTRATION FROM NURSING IN LUNG PARTNERS PATIENTS.
Muggeridge et al. 169 The use of Airvo™ high flow humidification with cystic fibrosis patients–development of the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