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987B1 - Contactor for Electrical Te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tactor for Electrical Te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987B1
KR101029987B1 KR1020090015145A KR20090015145A KR101029987B1 KR 101029987 B1 KR101029987 B1 KR 101029987B1 KR 1020090015145 A KR1020090015145 A KR 1020090015145A KR 20090015145 A KR20090015145 A KR 20090015145A KR 101029987 B1 KR101029987 B1 KR 101029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portion
layer
pedestal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2636A (en
Inventor
유코 야마다
히데키 히라카와
아키라 소마
타카유키 하야시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ublication of KR2009010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6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9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 드라이브의 반복으로 인한 접촉부의 구부러짐이나 깨짐 등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전기적 시험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전기 시험용 접촉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하단부에서 좌우방향의 최소한 한쪽으로 연장하는 암부, 및 상기 암부의 선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대좌부를 갖춘 판상의 접촉자 본체와, 대좌부의 하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로서 상기 접촉부의 하단을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극에 접촉되는 침선으로 하는 접촉부와, 접촉부 및 대좌부의 최소한 경계부 근방에 배치된 보강부를 포함한다. 보강부는 접촉자 본체와 다른 금속재료로서 접촉부보다도 높은 인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event bending or cracking of a contact portion due to repetition of an overdrive, thereby enabling a normal electrical test. The electrical test contactor includes a plate-shaped contact body having a moun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to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edestal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portion.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ontact portion, the contact portion having a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as a needle contacting the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a reinforcement portion disposed at least near the boundary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edestal portion. The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er toughness than that of the contact part as a metal material different from the contact body.

접촉자 본체, 접촉부, 오버 드라이브, 보강부, 인성, 금속재료, 침선 Contact body, contact, overdrive, reinforcement, toughness, metal material, needle tip

Description

전기 시험용 접촉자 및 그 제조방법{Contactor for Electrical Te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Contact for electrical te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ntactor for Electrical Te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에 나타낸 접촉자의 선단부분(3)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tip portion 3 of the contact shown in FIG.

도4는 도3에 나타낸 선단부분을 도3에서 왼쪽에서 본 우측면도이다.FIG. 4 is a right side view of the tip portion shown in FIG. 3 seen from the left side in FIG.

도5는 도3에 나타낸 선단부분의 저면도이다.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tip portion shown in Fig. 3;

도6은 도4의 6-6선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7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접촉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7에 이어지는 공정도이다.8 is a process chart following FIG. 7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or.

도9는 접촉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8에 이어지는 공정도이다.9 is a process chart following FIG. 8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or.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전기적 접속장치 12: 반도체 디바이스(피검사체)10: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2: semiconductor device (test object)

14: 접촉자 16: 프로브 카드14: Contact 16: Probe card

18: 척 톱(chuck top) 20: 검사 스테이지18: chuck top 20: inspection stage

22: 에어리어 센서(area sensor) 24: 설치부22: area sensor 24: mounting portion

26: 암(arm)부 28: 대좌부(台座部)26 arm part 28 pedestal part

30: 접촉부 30a: 침선30: contact portion 30a: needle tip

40: 보강부40: reinforcement

발명의 분야Field of inven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기적 시험에 이용하는 접촉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or used for electrical testing of a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발명의 배경Background of the Invention

반도체 웨이퍼에 형성된 미절단 집적회로나, 반도체 웨이퍼로부터 절단된 집적회로와 같은 평판상의 반도체 디바이스는, 그것이 시방서대로 제조되어 있는지 아닌지 전기적 시험이 이루어진다.An uncut integrated circuit formed on a semiconductor wafer or a flat plate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cut from a semiconductor wafer is subjected to an electrical test to determine whether it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이러한 종류의 전기적 시험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패드 전극에 각각 눌리는 복수의 프로브 즉 접촉자를 배선기판이나 프로브 기판 등의 기판에 배치한 프로브 카드를 이용하는 행해진다. 그와 같은 프로브 카드는, 패드 전극과, 시험장치 즉 테스터의 전기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테스터에 설치된다.This type of electrical test is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probes pressed by pad electrodes of a semiconductor device, that is, a probe card in which contactors are arranged on a substrate such as a wiring substrate or a probe substrate. Such a probe card is provided in the tester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ad electrode and the electrical circuit of the test apparatus, that is, the tester.

이러한 종류의 프로브 카드에 이용되는 접촉자의 하나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기판에 설치되는 판상의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하단부에서 좌우방향의 한쪽으로 연장하는 판상의 암부와, 상기 암부의 선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판상의 대좌부와, 상기 대좌부의 하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로서 상기 접촉부의 하단을 침선으로 하는 판상 또는 기둥 형상의 접촉부(즉, 패드 전극에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판상의 것이 있다(특허문헌 1).As one of the contacts used for this kind of probe card, a plate-shaped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a substrate in a st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ate-shaped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to one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arm portion A plate-shaped base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tip portion, and a plate-shaped or plate-shaped contact portion (that is, a contact portion to the pad electrode) having a needle tip as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as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edestal portion. There is a thing (patent document 1).

상기 접촉자에 있어서, 설치부, 암부 및 대좌부는 도전성 금속재료로 판상으로 형성된 접촉자 본체로 되어 있다. 그와 같은 접촉자는 설치부의 상단에서 기판에 설치되고, 그 기판에 캔틸레버 형상으로 지지된다.In the contactor, the mounting portion, the arm portion, and the pedestal portion is a contact body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Such a contactor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at the top of the mounting portion, and is supported in the cantilever shape on the substrate.

상기와 같은 접촉자를 다수 기판에 배치한 프로브 카드는, 테스터에 설치된다. 각 접촉자는 프로브 카드가 테스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침선을 패드 전극에 누르고, 그에 의해 오버 드라이브가 접촉자에 작용한다.The probe card which arrange | positioned many of the said contacts on a board | substrate is provided in a tester. Each contact presses the needle needle against the pad electrode with the probe card installed in the tester, whereby the overdrive acts on the contact.

이에 의해, 접촉자는 암부에서 탄성 변형하여, 패드 전극 표면의 산화막을 침선으로 깎아낸다. 전극 표면의 산화막을 침선으로 깎아내는 작용은, 시험해야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마다 반복된다.As a result, the contact member elastically deforms in the arm portion, and the oxide film on the surface of the pad electrode is scraped off by needle bar. The action of scraping off the oxide film on the electrode surface with a needle line is repeated for each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접촉자에 있어서, 접촉자는 상기와 같이 오버 드라이브가 작용하면, 접촉부를 암부 쪽 부분을 중심으로 구부러지게 하는 큰 부하가 접촉부에 작용한다.However, in this kind of contactor, if the contactor acts as described above, a large load acting on the contact portion causes the contact portion to bend about the female side portion.

이 때문에, 패드 전극으로의 누름이 반복됨으로써, 금, 깨짐, 구부러짐 등의 손상이 접촉부에 생긴다. 또, 패드 전극에 대한 침선의 위치가 어긋남으로 인해, 침선이 패드 전극 이외의 부분에 눌리거나, 패드 전극의 단부에 접촉됨으로써, 뒤틀리는 힘이 접촉자, 특히 접촉부에 작용하여 접촉부가 손상되는 일도 적지 않다. 이와 같이 손상된 접촉부를 갖는 접촉자는, 최종적으로 접촉부가 구부러져 사용 불가능하게 된다.For this reason, when pressing to the pad electrode is repeated, damages such as cracks, cracks, and bends occur to the contact portion. In addition, due to the misalignment of the position of the needle line with respect to the pad electrode, the needle tip is pressed against a portion other than the pad electrode or contacts the end of the pad electrode, so that the twisting force acts on the contactor, in particular, the contact portion, and thus the contact portion is not damaged. . The contactor having such a damaged contact portion is finally bent and the contact portion becomes unusable.

상기와 같은 각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침선이 암부의 탄성 변형에 따라 패드 전극 위를 미끄러지는 방향(즉, 스크럽(scrub) 방향)에서의 접촉부 부분을 보강하는 기술(특허문헌 2)이 제안되어 있다. 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뒤틀림에 대하여 스크럽 방향과 직각인 방향에서의 접촉부 부분을 보강하는 기술을 발명하였다(일본특허출원 제2006-270543호).In order to solve each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patent document 2) which reinforces the contact por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edle glides on the pad electrode according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arm portion (that is, the scrub direction) is proposed. It is. In addi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invented a technique for reinforcing the contact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crub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distor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6-270543).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타입의 접촉자에 있어서는, 그 접촉자에 오버 드라이브가 작용했을 때, 금, 깨짐, 구부러짐, 뒤틀림 등을 접촉자에 생기게 하는 복잡한 힘이 접촉부에 작용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2의 기술 및 제안한 기술과 같이, 각각의 과제를 해결하는데 지나지 않는 기술을 상기 복잡한 힘이 접촉부에 작용하는 특허문헌 1의 접촉자에 적용해도, 그 접촉자 특유의 과제는 해결되지 않는다.However, in the contactor of the typ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overdrive acts on the contactor, the complex force that causes the contactor to cause cracks, cracks, bends, distortions, etc. acts on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technique of Patent Literature 2 and Like the proposed technique, even if a technique that is only used to solve each problem is applied to the contactor of Patent Document 1 in which the complex force acts on the contact portion, the problem peculiar to the contactor is not solved.

[특허문헌 1] WO 2006/075408 A1[Patent Document 1] WO 2006/075408 A1

[특허문헌 2] 일본 특개2007-19271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92719

본 발명의 목적은, 오버 드라이브의 반복으로 인한 접촉부의 구부러짐이나 깨짐 등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전기적 시험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bending or cracking of a contact portion due to repetition of an overdrive, thereby enabling a normal electrical test.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시험용 접촉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하단부에서 좌우방향의 최소한 한쪽으로 연장하는 암부, 및 상기 암부의 선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대좌부를 갖춘 판상의 접촉자 본체와, 상기 대좌부의 하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로서 그 접촉부의 하단을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극에 접촉되는 침선으로 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대좌부의 최소한 경계부 근방에 배치된 보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접촉자 본체와 다른 금속재료로서 상기 접촉부보다도 높은 인성(靭性)을 갖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An electrical test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shaped contact body having an installation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arm portion extending in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portion, and a pedestal portion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arm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project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portion of the pedestal portion, the contact portion having a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being a needle bar in contact with an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a reinforcement portion disposed at least near the boundary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edestal portion. The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er toughness than the contact part as a metal material different from the contact body.

상기 보강부는, 상기 대좌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접촉부에 걸친 표면 영역으로서 상기 침선을 제외하고 남는 모든 표면 영역에 걸쳐 피복한 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may include a film coated over all of the remaining surface area except the needle line as the surface area from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to the contact portion.

상기 보강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금속재료는 최소한 2종류의 금속원소를 포함하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al material forming the reinforcement part may include an alloy including at least two metal elements.

상기 보강부는 적층된 최소한 2종류의 금속재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part may include at least two kinds of metal material layers stacked.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시험용 접촉자의 제조방법은, 판상의 접촉자 본체와, 상기 접촉자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선단을 침선으로 하는 접촉부를 갖춘 전기 시험용 접촉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적용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 test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 test contactor having a plate-shaped contact body and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ntact body and having a tip as a needle.

그와 같은 제조방법은 하기의 공정을 포함한다.Such a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최소한 상기 접촉부를 본뜬 제1 요소(凹所)를 갖는 제1 포토레지스트층을 베이스 부재 위에 형성하고, 희생층을 적절한 재료의 퇴적에 의해 상기 제1 요소에 형성하는 제1 공정.A first step of forming a first photoresist layer having at least a first element modeled after the contact portion on a base member, and forming a sacrificial layer on the first element by deposition of a suitable material.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한 후, 상기 접촉부와 그 접촉부 근방의 상기 접촉자 본체의 부위를 본뜬 제2 요소를 갖는 제2 포토레지스트층을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보다 높은 인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의 퇴적에 의해 제1 보강층을 상기 제2 요소에 형성하고, 게다가 상기 제1 보강층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도전성 재료의 퇴적에 의해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2 요소에 형성하는 제2 공정.After removing the first photoresist layer, a second photoresist layer having a second element, which is modeled after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body near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the base member, and has a higher toughness than the contact portion. A second process of forming a first reinforcing layer on said second element by deposition of a material and further forming said contact portion on said second element by deposition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said first reinforcing layer.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고, 상기 접촉자 본체를 본뜬 제3 요소를 갖는 제3 포토레지스트층을 베이스 부재 위에 형성하고, 상기 제1 보강층과 다른 도전성 재료로서 상기 접촉부보다 높은 인성의 도전성 재료의 퇴적에 의해 상기 접촉자 본체를 상기 제3 요소에 형성하는 제3 공정.The second photoresist layer is removed, and a third photoresist layer having a third element, which is modeled after the contact body, is formed on the base member, and as a conductive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reinforcing layer, a tougher conductive material of higher toughness than the contact portion. And a third step of forming the contact body on the third element by deposition.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한 후, 상기 접촉부와 그 접촉부 근방의 상기 접촉자 본체의 부위를 본뜬 제4 요소를 갖는 제4 포토레지스트층을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보다 높은 인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로서 상기 프로브 본체와 다른 도전성 재료의 퇴적에 의해 제2 보강층을 상기 제4 요소에 형성하는 제4 공정.After removing the third photoresist layer, a fourth photoresist layer having a fourth element, which is modeled after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ortion of the contact body near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the base member, and has a higher toughness than the contact portion. And a fourth step of forming a second reinforcing layer on the fourth element by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different from the probe body as a material.

상기 제1 보강층, 상기 접촉부, 상기 접촉자 본체, 및 상기 제2 보강층을 포함하는 접촉자를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분리하는 제5 공정.And a fifth step of separating the contactor including the first reinforcement layer, the contact portion, the contact body,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layer from the base member.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각 요소에의 재료의 퇴적은 전기 도금 기술, 스퍼터링(sputtering) 기술 및 증착 기술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the deposition of the material on each of the above elements may be formed b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an electroplating technique, a sputtering technique, and a deposition technique.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s described.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2에서 설치부쪽 및 침선쪽을 각각 위쪽 및 아래쪽으로 하는 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하고, 접촉자의 암부의 선단부쪽 및 기단부쪽을 각각 왼쪽 및 오른쪽으로 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하고,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직교하는 종이 뒷방향(접촉자의 두께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tallation part side and the needle tip side are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is referred to as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tal end and the proximal end of the arm part of the contactor are respectively referred to as left and right, The paper back directio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tactor) orthogonal to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is called front-back direction.

그러나 그들 방향은, 다수의 접촉자가 배치된 기판을 테스터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그 기판의 자세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하방향은 다수의 접촉자가 배치된 기판을 테스터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하 반대로 되는 상태로 되어도 좋고, 비스듬한 방향이 되는 상태로 되어도 좋다.However, those directions differ depending on the attitude | position of the board | substr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board | substrate with many contacts arrange | positioned in the tester. Therefore, for example, the up-down direc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 state of being upside down or in an oblique direction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contacts are provided on a tester.

[전기적 접속장치 및 접촉자의 실시예][Examples of Electrically Connected Devices and Contacts]

도1을 참조하면, 전기적 접속장치(10)는, 반도체 웨이퍼에 형성된 집적회로와 같은 평판상의 피검사체를 반도체 디바이스(12)로 하고, 그 반도체 디바이스(12)가 시방서대로 제조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전기적 시험에서, 반도체 디바이스(12)의 패드 전극과 테스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0 uses a flat object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formed on a semiconductor wafer as a semiconductor device 12, and whether or not the semiconductor device 12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In the test, it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ad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12 and the tester.

반도체 디바이스(12)는, 도시한 예에서는, 반도체 웨이퍼에 형성된 미절단의 것이지만, 절단된 반도체 디바이스여도 좋다. 전기적 접속장치(10)를 이용하는 전기적 시험에 있어서는, 복수의 반도체 디바이스(12)가 동시에 전기적으로 시험된다.Although the semiconductor device 12 is an uncut thing formed in the semiconductor wafe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emiconductor device 12 may be a cut semiconductor device. In the electrical test us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0,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devices 12 are electrically tested at the same time.

전기적 접속장치(10)는, 전기적 시험용 복수의 접촉자(14)를 갖춘 프로브 카드(16)와, 반도체 디바이스(12)를 윗면에 받는 척 톱(18)과, 척 톱(18)을 최소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3방향으로 3차원적으로 이동시키는 검사 스테이지(20)와, 최소한 하나의 접촉자(14)를 촬영하도록 검사 스테이지(20)에 배치된 에어리어 센서(22)를 포함한다.Th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0 includes a probe card 16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14 for electrical testing, a chuck saw 18 receiving the semiconductor device 12 on its upper surface, and a chuck saw 18 at leas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n inspection stage 20 which three-dimensionally moves in three directions of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up and down directions, and an area sensor 22 disposed in the inspection stage 20 to photograph at least one contactor 14.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접촉자(1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상의 설치부(24)와, 설치부(24)의 하단부에서 좌우방향의 한쪽으로 연장하는 판상의 암부(26)와, 암부(26)의 선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판상의 대좌부(28)와, 대좌부(28)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판상 또는 기둥 형상의 접촉부(30)를 포함 한다.As shown in Fig. 2, each contactor 14 includes a plate-shaped mounting portion 24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ate-shaped arm portion 26 extending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24; , A plate-shaped pedestal portion 28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tip of the arm portion 26, and a plate- or columnar contact portion 3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portion 28.

설치부(24)는, 상단부에서 나중에 설명하는 기판에 설치되는 판상의 설치영역(24a)과, 설치영역(24a)의 하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판상의 연장부(24b)를 일체로 갖는다.The mounting portion 24 has a plate-shaped mounting region 24a provided on the substrate described later at the upper end portion, and a plate-shaped extension portion 24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ounting region 24a.

암부(26)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상의 제1 및 제2 암(32 및 34)과, 제1 및 제2 암(32 및 34)을 그들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서 각각 연결하는 판상의 제1 및 제2 연결부(36 및 38)를 갖춘다.The arm portion 26 has plate-shaped first and second arms 32 and 34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arms 32 and 34 at their front and rear ends. It has a plate-shaped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36 and 38, respectively, to connect.

또, 암부(26)는, 암부(26)가 설치부(24)(실제로는 연장부(24b))의 하단부에 일체로 이어짐과 동시에, 제1 및 제2 암(32, 34)이 설치부(24)의 하단부에서 좌우방향의 한쪽으로 연장하도록, 기단 쪽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38)에서 설치부(24)에 지지되어 있다.Moreover, the arm part 26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part of the installation part 24 (actually the extension part 24b), and the 1st and 2nd arms 32 and 34 are installation parts, respectively. It is supported by the installation part 24 by the 2nd connection part 38 located in the base end side so that it may extend to one side of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part of 24.

대좌부(28)는, 상기 대좌부(28)가 제2 암(34)의 선단부의 아래쪽을 좌우방향 및 아래쪽으로 연장해 있고, 또 상기 선단쪽의 아래 가장자리와 제1 연결부(36)의 아래 가장자리에 일체로 이어져 있다. 대좌부(28)는, 설치부(24) 및 암부(26)와 함께 판상의 접촉자 본체를 형성하고 있다.As for the pedestal part 28, the pedestal part 28 extends the lower side of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2nd arm 34 to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edge of the front end side, and the lower edge of the 1st connection part 36. 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se part 28 forms the plate-shaped contact body with the installation part 24 and the arm part 26. As shown in FIG.

접촉자 본체를 함께 형성하는, 설치부(24), 암부(26) 및 대좌부(28)는, 전후방향에서의 거의 같은 균일한 두께치수를 갖는 일체의 판(板)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자(14)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판상으로 되어 있다.The attaching part 24, the arm part 26, and the pedestal part 28 which together form a contactor main body are in the shape of the integral board which has substantially the same uniform thickness dimens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refore, the contactor 14 has a flat plate shape as a whole.

도3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좌부(28)의 접촉부(30)의 주위에 위치하는 아래면 영역은, 접촉부(30)를 아래쪽에서 봤을 때, 접촉부(30)의 주위에 위치 하는 6개의 면(44a, 44b, 44c, 44d, 44e 및 44f)을 갖는다.3 to 5, the bottom region located around the contact portion 30 of the pedestal portion 28 is located around the contact portion 30 when the contact portion 30 is viewed from below. Four sides 44a, 44b, 44c, 44d, 44e and 44f.

6개의 면(44a, 44b, 44c, 44d, 44e 및 44f)의 각각은, 아래쪽 부분이 접촉부(30)쪽이 되도록, 환언하면, 접촉부(30)쪽 부분이 아래쪽이 되도록, 수평면(접촉부(30)의 중심을 지나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적인 축선(48))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Each of the six surfaces 44a, 44b, 44c, 44d, 44e, and 44f has a horizontal surface (contact portion 30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the contact portion 30, in other words, the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30 is downward. Inclined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axis 48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past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6개의 면 중, 2개의 경사면(44a 및 44b)은, 각각 접촉부(30)에 대하여 좌우방향에서의 한쪽 및 다른 쪽에 위치되어 있다. 다른 2개의 경사면(44c 및 44d)은, 각각 접촉부(30)에 대하여 좌우방향에서의 한쪽에 있고 전후방향에서의 한쪽 및 다른 쪽에 위치되어 있다. 남은 2개의 경사면(44e 및 44f)은, 각각 접촉부(30)에 대하여 좌우방향에서의 다른 쪽에 있고 전후방향에서의 한쪽 및 다른 쪽에 위치되어 있다.Of the six surfaces, the two inclined surfaces 44a and 44b are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30, respectively. The other two inclined surfaces 44c and 44d are located on one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30, respectively, and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emaining two inclined surfaces 44e and 44f are located on the other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30, respectively, an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도3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30)는 하단을 반도체 디바이스(12)의 전극에 내리눌려지는 평탄한 침선(30a)으로 되어 있고, 또 전후방향을 두께방향으로 하는 판의 형상을 갖는다. 전후방향에서의 접촉부(30)의 두께치수는, 동방향에서의 다른 부위, 특히 접촉자 본체의 두께치수보다 작다.3 to 5, the contact portion 30 has a flat needle line 30a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12 at its lower end, and has a shape of a plate whos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in the thickness direction. .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contact part 30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dimension of another part in the same direction, especially the contactor main body.

접촉부(30)는, 접촉부(30)를 전후방향에서 봤을 때 2등변삼각형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접촉부(30)는 대좌부(28)와 마찬가지로, 접촉부(30)를 침선(30a)의 아래쪽에서 봤을 때 접촉부(3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최소한 4개의 면(46a, 46b, 46c 및 46d)을 포함한다.The contact portion 30 has a shape similar to an isosceles triangle when the contact portion 30 is viewed from the front-back direction. For this reason, the contact part 30 is similar to the pedestal part 28, and at least 4 surface 46a, 46b, 46c which for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part 30 when the contact part 30 is seen from below the needle line 30a, and 46d).

2개의 면(46a 및 46b)은, 각각 축선(48)에 대하여 왼쪽 및 오른쪽에 위치되 고, 축선(48)쪽 부분이 아래쪽이 되도록, 환언하면, 아래쪽 부분이 축선(48)쪽이 되도록, 수평면(및 축선(48))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다른 2개의 면(46c 및 46d)은, 각각 축선(48)에 대하여 앞쪽 및 뒤쪽에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면으로 되어 있다.The two faces 46a and 46b are respectively located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axis 48, so that the part of the axis 48 is downward, in other words, so that the lower part is toward the axis 48,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axis line 48). The other two faces 46c and 46d are vertical planes which are locat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axis 48, respectively, and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에 대하여, 접촉부(30)의 하단면 즉 침선(30a)은, 반도체 디바이스(12)의 전극에 눌리도록, 축선(48)에 직각인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In contrast,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30, that is, the needle bar 30a, is a flat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axis line 48 so as to be pressed by an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12.

면(44a와 44b, 44c와 44d, 44e와 44f, 44c와 44e, 44d와 44f, 46a와 46b, 46c와 46d)의 각각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그들 면(面)끼리는, 수평면 및 축선(48)에 대하여 다른 각도를 갖고 있어도 좋다.Each of the faces 44a and 44b, 44c and 44d, 44e and 44f, 44c and 44e, 44d and 44f, 46a and 46b, 46c and 46d may be formed symmetrically or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That is, these surfaces may have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axis line 48.

도3 내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자(14)는 또 접촉부(30) 및 대좌부(28)의 경계부 근방에 배치된 보강부(40)를 포함한다. 보강부(40)는, 접촉자 본체와 다른 금속재료로서 접촉부(30)의 재료보다도 높은 인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to 7, the contactor 14 also includes a reinforcing portion 40 disposed near the boundary of the contact portion 30 and the pedestal portion 28. The reinforcement part 40 is formed with the metal material which has a toughness higher than the material of the contact part 30 as a metal material different from a contact body.

도3 내지 도5에 있어서는, 보강부(40)는 파단한 사선의 영역으로 나타내어진다. 이에 대하여, 도4에서의 6-6선 단면도인 도6에 있어서는, 보강부(40)는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사선의 영역으로서 나타내어진다.3 to 5, the reinforcement part 40 is shown by the broken diagonal area. In contrast, in Fig. 6 which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6-6 in Fig. 4, the reinforcement part 40 is shown as the area | region of the diagonal line which goes to the right side.

보강부(40)는, 상기와 같은 금속재료를 대좌부(28)의 하단부에서 접촉부(30)에 걸친 표면 영역으로서 침선(30a)을 제외하고 남는 모든 표면 영역에 걸쳐 피복함으로써 형성된 막으로 되어 있다.The reinforcement part 40 is a film | membrane formed by coat | covering the above-mentioned metal material over all the surface area | region except the needle line 30a as a surface area | region from the lower end part of the base part 28 to the contact part 30. .

즉, 보강부(40)는, 도시한 예에서는, 침선(30a)을 제외한 접촉부(30)의 남는 모든 표면 영역과, 대좌부(28) 중 접촉부(30)쪽의 모든 표면 영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That is, the reinforcement part 40 is provided in all the remaining surface areas of the contact part 30 except the needle line 30a, and all the surface areas of the contact part 30 side of the base part 28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have.

그러나 대좌부(28)의 면(44a, 44b, 44c, 44d, 44e 및 44f)의 최소한 일부의 보강부(40)는 생략해도 좋다.However, at least part of the reinforcement part 40 of the surface 44a, 44b, 44c, 44d, 44e, and 44f of the base part 28 may be abbreviate | omitted.

보강부(40)를 제외한 접촉자(14)의 다른 부위의 소재로서, 니켈(Ni), 니켈·인 합금(Ni-P), 니켈·텅스텐 합금(Ni-W), 로듐(Rh), 인청동, 파라듐·코발트 합금(Pd-Co), 및 파라듐·니켈·코발트 합금(Pd-Ni-Co) 등의 도전성 금속재료를 들 수 있다.As materials of other parts of the contactor 14 except for the reinforcing part 40, nickel (Ni), nickel phosphorus alloy (Ni-P), nickel tungsten alloy (Ni-W), rhodium (Rh), phosphor bronze, And conductive metal materials such as palladium cobalt alloy (Pd-Co) and palladium nickel cobalt alloy (Pd-Ni-Co).

보강부(40)를 제외한 접촉자(14)의 다른 부위는, 그들 전체를 상기 재료로 제작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접촉부(30)는 최소한 대좌부(28)와 다른 재료, 특히 대좌부(28)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해도 좋다. 후자의 경우, 대좌부(28)는 양 암(32, 34), 양 연결부(36, 38), 설치영역(24a) 및 연장영역(24b)과 같은 재료로 제작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재료로 제작되어 있어도 좋다.The other part of the contactor 14 except the reinforcement part 40 may be made with the said material in the whole. However, the contact portion 30 may be made of at least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pedestal portion 28, in particular a material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pedestal portion 28. In the latter case, the pedestal portion 28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wo arms 32, 34, the both connecting portions 36, 38, the installation area 24a and the extension area 24b, and may be made of other materials. You may be.

도시한 예에서는, 접촉부(30)는, 대좌부(28)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부(30)는, 접촉부(30)와 같은 도전성 금속재료로 제작된 결합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대좌부(28)에 견고하게 유지되어 있다. 결합부는 그 일부가 대좌부(28)의 전후방향에서의 한쪽 면에 노출하는 상태로 묻혀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ntact portion 3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pedestal portion 28. For this reason, the contact part 30 is firmly held by the pedestal part 28 by the coupling part (not shown) made from the same conductive metal material as the contact part 30. The engaging portion is buried in a state in which part thereof is exposed to one surfa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pedestal portion 28.

보강부(40)를 제외한 접촉자(14)의 다른 부위의 전체를 같은 재료로 제작하 거나, 또는 접촉부(30) 및 보강부(40)를 제외한 부분을 같은 재료로 제작하면, 접촉자(14)의 제조가 용이해진다.If the whole other parts of the contactor 14 except for the reinforcement part 40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or if the parts except for the contact part 30 and the reinforcement part 40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Manufacturing becomes easy.

보강부(40)의 소재로는, 상기 보강부(40)를 제외한 접촉자(14)의 다른 부위, 특히 최소한 접촉자 본체의 소재와 다른 금속재료로서 접촉부(30)보다 높은 인성을 갖는 금속재료가 이용된다.As the material of the reinforcement part 40, other parts of the contactor 14 except for the reinforcement part 40, in particular, a metal material having higher toughness than the contact part 30 as a metal material different from at least the material of the contactor body is used. do.

예를 들어, 대좌부(28)가 니켈제이고, 접촉부(30)가 로듐제 또는 텅스텐제일 때, 보강부(40)의 소재로서, 니켈 이외의 금속재료로, 게다가 로듐 또는 텅스텐보다 높은 인성을 갖는 금속재료가 이용된다.For example, when the pedestal portion 28 is made of nickel and the contact portion 30 is made of rhodium or tungsten, the material of the reinforcing portion 4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ther than nickel, and also has higher toughness than rhodium or tungsten. The metal material which has is used.

상기와 같은 접촉자(14)는, 포토레지스트의 노광 및 현상과, 현상에 의해 형성된 요소에의 도전성 재료의 퇴적을 복수회 이상 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Such a contactor 14 can be manufactured by exposing and developing a photoresist and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n element formed by the development a plurality of times or more.

각 접촉자(14)는, 설치부(24)의 윗면에서, 프로브 카드(16)의 아래면에 형성된 평탄한 도전성부(도시한 예에서는, 하기에 설명하는 설치 랜드)에 납땜질과 같은 방법에 의해 캔틸레버 형상으로 설치된다.Each contactor 14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4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to a flat conductive portion (installation land described later in the examp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be card 16. Cantilever shape is installed.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브 카드(16)는, 유리 함유 에폭시와 같은 전기 절연재료로 제작된 배선기판(50)과, 배선기판(50)의 아래면에 설치된 세라믹 기판(52)과, 세라믹 기판(52)의 아래면에 설치된 프로브 기판(54)과, 배선기판(50)의 윗면에 설치된 보강판(56)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probe card 16 includes a wiring board 50 made of an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such as glass-containing epoxy, a ceramic substrate 52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iring board 50, and a ceramic. And a reinforcing plate 5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ing board 50 and a probe substrate 54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52.

배선기판(50)과 세라믹 기판(52)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내부 배선을 갖는다. 또, 배선기판(50)은, 도시하지 않은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테스터 랜드와 같은 복수의 접속단자를 윗면의 외주부에 갖고 있다. 각 접속단자는 배선기판(50)의 내부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wiring board 50 and the ceramic board 52 have a plurality of internal wir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wiring board 50 has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such as tester lands electrically connected to testers (not shown)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Each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wiring of the wiring board 50.

프로브 기판(54)은, 세라믹 기판(52)의 내부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내부 배선을 다층으로 갖는 다층 기판으로 되어 있고, 또 그들 내부 배선에 일대일의 형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설치 랜드를 아래면에 갖는다. 각 접촉자(14)는 설치 랜드에 설치되어 있다.The probe board 54 is a multilayer board having a plurality of internal wir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wires of the ceramic substrate 52 in multiple layers, and the plurality of mounting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wires in a one-to-one form. The land is on the bottom. Each contactor 14 is provided on an installation land.

보강판(56)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있고, 또 세라믹 기판(52)과 함께 배선기판(50)의 휨을 방지하고 있다.The reinforcing plate 56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and prevents the warping of the wiring board 50 together with the ceramic substrate 52.

척 톱(18)은, 반도체 디바이스(12)를 진공적으로 흡착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검사 스테이지(20)는, 척 톱(18)을,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3차원 이동기구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척 톱(18)을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 주위에 각도적으로 회전시키는 θ 이동기구를 갖추고 있다.The chuck saw 18 suctions the semiconductor device 12 in a vacuum manner and keeps it inmovable. The inspection stage 20 is a three-dimensional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chuck saw 18 in three directions, the front-back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axis line extending the chuck top 18 in the vertical direction. Equipped with a θ moving mechanism that rotates angularly around.

에어리어 센서(22)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선(58)을 집속하여 특정 접촉자(14)의 침선(30a)을 향해 지향시켜 침선(30a) 및 그 근방을 조명하고, 침선(30a) 및 그 근방으로부터의 반사광을 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에어리어 센서(22)의 출력신호는 특정 접촉자(14)의 좌표위치를 결정하는 화상처리장치에 공급된다.As shown in FIG. 1, the area sensor 22 focuses the light ray 58 and directs it toward the needle line 30a of the specific contactor 14, illuminating the needle line 30a and its vicinity, and the needle line 30a. And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vicinity thereof to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output signal of the area sensor 22 is supplied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determines the coordinate position of the specific contact 14.

도시한 예에서는, 광축에 대한 광선(58)의 벌어진 각도는, 수평면에 대한 대좌부(28)의 경사면(44a, 44b, 44c, 44d, 44e 및 44f)의 경사각도보다 작다. 그러나 그와 같은 벌어진 각도는 대좌부(28)의 경사면(44a, 44b, 44c, 44d, 44e 및 44f)의 경사각도와 같아도 좋고, 커도 좋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pread angle of the light beam 58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inclined surfaces 44a, 44b, 44c, 44d, 44e and 44f of the pedestal 28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However, such a flared angle may be the sam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s 44a, 44b, 44c, 44d, 44e, and 44f of the base portion 28, and may be large.

상기의 전기적 접속장치(10)에 있어서, 접촉자(14)의 아래쪽에서 침선영역(26)으로 조사되는 광선(58)은, 접촉부(30)의 외표면 및 대좌부(28)의 각 경사면에서 반사되고, 에어리어 센서(22)에 입사한다. 에어리어 센서(22)의 출력신호는 화상 처리된 후, 반도체 디바이스(12) 또는 테스터에 대한 침선(30a)의 좌표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In th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10 described above, the light rays 58 irradia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act 14 to the needle point region 26 are reflec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30 and the respective inclined surfaces of the pedestal portion 28. And enters the area sensor 22. The output signal of the area sensor 22 is used to determine the coordinate position of the needle bar 30a with respect to the semiconductor device 12 or the tester after image processing.

상기와 같이 접촉자(14)를 다수 프로브 기판(54)에 배치한 프로브 카드(16)는 척 톱(18), 검사 스테이지(20) 및 에어리어 센서(22)를 포함하는 테스터에 설치된다. 각 접촉자(14)는, 프로브 카드(16)가 테스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침선(30a)을 패드 전극에 누르고, 그에 의해 오버 드라이브가 접촉자에 작용한다.The probe card 16 having the contactors 14 arranged on the plurality of probe substrates 54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tester including the chuck saw 18, the inspection stage 20, and the area sensor 22. Each contactor 14 presses the needle bar 30a on the pad electrode while the probe card 16 is installed in the tester, whereby the overdrive acts on the contactor.

이에 의해, 접촉자(14)는 암부(26)에서 탄성 변형하고, 패드 전극 표면의 산화막을 침선(30a)으로 깎아낸다. 전극 표면의 산화막을 침선(30a)으로 깎아내는 작용은 시험해야 할 반도체 디바이스(12)마다 반복된다.As a result, the contact member 14 elastically deforms in the arm portion 26, and the oxide film on the surface of the pad electrode is scraped off by the needle bar 30a. The action of scraping off the oxide film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with the needle bar 30a is repeated for each semiconductor device 12 to be tested.

그러나 접촉자(14)에 있어서는, 보강부(40)가 접촉자 본체와 다르고 게다가 접촉부(30)보다도 높은 인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30)가 스크럽 방향 이외의 뒤틀림에 의해 생겨 접촉자(14)에 삼차원적으로 작용하는 불규칙한 힘에 대하여 유연해지고, 접촉부(30)가 손상 및 파손하기 어려워진다.However, in the contactor 14, since the reinforcement part 40 is formed from the metal material which differs from the contactor main body, and has higher toughness than the contact part 30, the contact part 30 arises by distortion other than a scrub direction, and a contactor It becomes flexible against the irregular force acting three-dimensionally on 14, and the contact part 30 becomes hard to be damaged and broken.

또, 보강부(40)가 대좌부(28)의 하단부에서 접촉부(30)에 걸친 표면 영역으로서 침선(30a)을 제외한 모든 표면 영역에 걸쳐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30)가 불규칙한 힘에 대하여 보다 유연해지고, 보다 손상 및 파손하기 어려워진다.Moreover, since the reinforcement part 40 is covered in all the surface areas except the needle bar 30a as the surface area from the lower end part of the pedestal part 28 to the contact part 30, the contact part 30 is against the irregular force. It becomes more flexible and more difficult to damage and break.

상기와 같은 접촉자(14)는, 대좌부(28) 및 접촉부(30)가 복잡한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노광 기술을 이용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기술과, 전기 도금 기술, 스퍼터링 기술, 증착 기술 등을 이용하는 도전성 금속재료의 퇴적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The contactor 14 described above has a photolithography technique using an exposure technique, an electroplating technique, a sputtering technique, a deposition technique, and the like, even though the pedestal 28 and the contact portion 30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It can be produced using a metal deposition technique.

[접촉자의 제조방법의 실시예][Example of Manufacturing Method of Contact]

이하, 도7 내지 도8을 이용하여, 접촉자(14)의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 내지 도8은, 접촉자(14)를 도6에서의 축선(48)을 따라 왼쪽에서 봤을 때의 단면도로서 나타낸다.Hereinafter, the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tactor 14 is demonstrated using FIGS. 7-8 show the contactor 14 a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left along the axis 48 in FIG.

먼저, 도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제 또는 스테인레스제의 판상을 한 베이스 부재(60) 면에 니켈(Ni)과 구리(Cu)가 스퍼터링되고, 제조 후의 접촉자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얇은 박리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7A, nickel (Ni) and copper (Cu) are sputtered on the surface of a silicon or stainless plate-shaped base member 60 to facilitate peeling of the contactor after manufacture. Thin release layer (not shown) is formed.

이어서, 도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60)(실제로는 박리층) 위에 포토레지스트(62)가 도포에 의해 층상으로 형성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B, a photoresist 62 is formed in a layered manner on the base member 60 (actually a release layer) by application.

계속해서, 도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62)가, 최소한 접촉부(30)를 본뜬 요소(64)를 포토레지스트(62)에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씌운 상태로 노광되고, 그 후 현상 처리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 (C), the photoresist 62 is exposed with a mask for forming the photoresist 62 on the photoresist 62 having at least the element 64 modeled after the contact portion 30. After development is processed.

이어서, 도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 치수를 갖는 희생층(66)이 전기 도금, 스퍼터링, 증착 등의 퇴적 기술에 의해 요소(64)에 형성된다.Then, as shown in Fig. 7D, a sacrificial layer 66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dimension is formed on the element 64 by deposition techniques such as electroplating, sputtering, and vapor deposition.

이어서, 도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62)가 제거된 후, 베이스 부재(60) 및 희생층(66) 위에 포토레지스트(68)가 도포에 의해 층상으로 형성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E, after the photoresist 62 is removed, the photoresist 68 is formed in a layered manner on the base member 60 and the sacrificial layer 66 by application.

계속해서, 도7(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68)가, 포토레지스트(68)에 마스크를 씌운 상태로 노광되고, 그 후 현상 처리된다. 이에 의해, 요소(70)가 포토레지스트(68)에 형성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F, the photoresist 68 is exposed with a mask on the photoresist 68, and then developed. As a result, an element 70 is formed in the photoresist 68.

이어서, 도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72)에 유사한 형상을 갖는 크랭크(crank) 형상의 제1 보강층(74)이, 전기 도금, 스퍼터링, 증착 등의 퇴적 기술에 의해 요소(70)에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보강층(74)은 상기와 같은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층상으로 형성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A, the crank-shaped first reinforcement layer 74 having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tip portion 72 is formed by depositing techniques such as electroplating, sputtering, and vapor deposition. Crank shape). The first reinforcement layer 74 is formed in layers using the conductive metal material as described above.

제1 보강층(74)을 위한 퇴적 기술에는, 백금, 니켈 등의, 접촉부(30)에 이용하는 재료보다도 우수한 인성을 갖고 접촉자 본체와 다른 금속재료가 이용된다. 그러나 제1 보강층(74)은,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각각 갖는 복수 종류의 금속재료를 적층한 2층 이상의 금속재료층이어도 좋다.In the deposition technique for the first reinforcing layer 74, the contact body and a metal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act body, which is superior to the material used for the contact portion 30 such as platinum or nickel, is used. However, the first reinforcement layer 74 may be two or more layers of metal material layers in which a plurality of kinds of metal materials each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are laminated.

이어서, 도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72)가 전기 도금, 스퍼터링, 증착 등의 퇴적 기술에 의해 요소(70) 내의 제1 보강층(74) 위에 형성된다. 선단부(72)는, 로듐(Rh), 텅스텐(W) 등의 고경도의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하고, 제1 보강층(74)과 유사한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된다.Then, as shown in Fig. 8B, the tip portion 72 is formed on the first reinforcement layer 74 in the element 70 by deposition techniques such as electroplating, sputtering, and vapor deposition. The tip portion 72 is formed in a crank shape similar to the first reinforcement layer 74 by using a conductive metal material of high hardness such as rhodium (Rh) and tungsten (W).

요소(70)는, 도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자(14)의 선단부(72)를 본뜬다. 선단부(72)는, 접촉부(30)를 형성하는 부위(72a)와, 대좌부(28)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위(72b)로서 접촉부(30)에 일체로 이어짐과 동시에 대좌부(28)의 잔여 부위에 결합되는 부위(72b)이고, 보강부(40)의 일부의 배치영역에 대응한다.The element 70 simulates the tip portion 72 of the contactor 14, as shown in Fig. 8B. The tip portion 72 is a portion 72a for forming the contact portion 30 and a portion 72b for forming a portion of the pedestal 28,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30, and at the same time. A portion 72b coupled to the remaining portion corresponds to an arrangement area of a part of the reinforcing portion 40.

계속해서, 도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68)가 제거된 후, 베이스 부재(60), 희생층(66) 및 선단부(72) 위에 포토레지스트(75)가 도포에 의해 층상으로 형성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C, after the photoresist 68 is removed, the photoresist 75 is applied to the base member 60, the sacrificial layer 66, and the tip end portion 72 by coating. Is formed.

이어서, 도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75)가, 포토레지스트(75)에 마스크를 씌운 상태로 노광되고, 그 후 현상 처리된다. 이에 의해, 접촉자 본체를 본뜬 요소(76)가 포토레지스트(75)에 형성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D, the photoresist 75 is exposed with a mask on the photoresist 75, and then developed. As a result, an element 76 shaped like the contact body is formed in the photoresist 75.

계속해서, 도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72)의 부위(72b)와 함께 대좌부(28)로서 작용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접촉자 본체를 본뜬 본체부(80)가, 전기 도금, 스퍼터링, 증착 등의 퇴적 기술에 의해 요소(76)에 형성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E, the main body portion 80 modeling the contact body including the portion acting as the pedestal portion 28 together with the portion 72b of the tip portion 72 is electroplated. It is formed in element 76 by deposition techniques such as sputtering, vapor deposition, and the like.

본체부(80)는, 니켈·인 합금(Ni-P), 니켈·텅스텐 합금(Ni-W), 로듐(Rh), 인청동, 니켈(Ni), 파라듐·코발트 합금(Pd-Co), 및 파라듐·니켈·코발트 합금(Pd-Ni-Co) 등, 접촉부(30)보다 인성이 우수한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The main body 80 includes nickel phosphorus alloy (Ni-P), nickel tungsten alloy (Ni-W), rhodium (Rh), phosphor bronze, nickel (Ni), palladium cobalt alloy (Pd-Co), And a conductive metal material superior in toughness to the contact portion 30, such as a palladium nickel cobalt alloy (Pd-Ni-Co).

이어서, 도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75)가 제거된 후, 베이스 부재(60), 희생층(66), 선단부(72) 및 본체부(80) 위에 포토레지스트(82)가 도포에 의해 층상으로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9A, after the photoresist 75 is removed, the photoresist 82 is disposed on the base member 60, the sacrificial layer 66, the tip portion 72, and the main body portion 80. Is formed into a layer by application.

계속해서, 도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82)가 노광되고, 그 후 현상 처리된다. 이에 의해, 요소(84)가 포토레지스트(82)에 형성된다. 요소(84)는, 도8(A) 및 (B)에 나타낸 요소(70)와 마찬가지로, 접촉자(14)의 선단부(72)를 본뜬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9B, the photoresist 82 is exposed and then developed. As a result, an element 84 is formed in the photoresist 82. The element 84 mimics the tip portion 72 of the contactor 14, similarly to the element 70 shown in FIGS. 8A and 8B.

이어서, 도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보강층(74)과 거의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크랭크 형상의 제2 보강층(86)이, 전기 도금, 스퍼터링, 증착 등의 퇴적 기술에 의해 요소(84)에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보강층(86)은, 제1 보강층(74)과 같은 도전성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층상으로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 9C, the second crank-shaped reinforcing layer 86 having a shape substantially symmetrical with the first reinforcing layer 74 is formed by the deposition techniques such as electroplating, sputtering, and vapor deposition. 84) is formed into a crank shape. The second reinforcement layer 86 is formed in a layer form using the same conductive metal material as the first reinforcement layer 74.

제2 보강층(86)을 위한 퇴적 기술에는, 제1 보강층(74)과 동일하게, 백금, 니켈 등의, 접촉부(30)에 이용하는 재료보다도 우수한 인성을 갖고 접촉자 본체와 다른 금속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보강층(86)도, 복수 종류의 금속재료를 적층한 2층 이상의 금속재료층으로 해도 좋다.In the deposition technique for the second reinforcement layer 86, similar to the first reinforcement layer 74, the contact body and a metal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act body can be used, with toughness superior to that of the material used for the contact portion 30, such as platinum and nickel. . The second reinforcement layer 86 may also be a two or more metal material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kinds of metal materials are laminated.

이어서, 도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82)가 제거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9D, the photoresist 82 is removed.

계속해서, 도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희생층(66)이 에칭에 의해 제거되고, 완성된 접촉자(14)가 베이스 부재(60)로부터 떼어내어진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9E, the sacrificial layer 66 is removed by etching, and the completed contact 14 is removed from the base member 60.

상기의 결과, 도2 내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금속재료를 대좌부(28)의 하단부에서 접촉부(30)에 걸친 표면 영역으로서 침선(30a)을 제외하고 남는 모든 표면 영역에 걸쳐 피복함으로써 형성된 보강부(40)를 포함하는 접촉자(14)가 제조된다.As a result of this, as shown in Figs. 2 to 7, a predetermined metal material is coated over all the surface areas remaining except for the needle bar 30a as the surface area from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part 28 to the contact part 30. The contactor 14 including the reinforcement part 40 formed by this is manufactured.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보강부(40)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침선(30a)을 제외한 접촉부(30)의 남는 모든 표면 영역과, 대좌부(28) 중, 접촉부(30)쪽의 모든 표면 영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The reinforcement part 40 manufactured as mentioned above has all remaining surface areas of the contact part 30 except the needle line 30a, and all the surfaces of the contact part 30 side of the base part 28 as mentioned above. It is installed over the area.

대좌부(28) 및 접촉부(30)의 좌우방향의 측면 및 대좌부(28)의 하향면에 대응하는 보강부(40)의 부위는, 예를 들어 도9(B) 및 (C)의 공정에 있어서, 요소(84) 의 대응하는 부분의 치수를 접촉자(14)의 대응하는 부분의 치수보다 제2 보강층(86)의 두께분(分)만큼 크게 하고, 상기 요소(84)에 소정의 금속재료를 퇴적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The site | part of the reinforcement part 40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pedestal part 28 and the contact part 3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downward surface of the pedestal part 28 is a process of FIG. 9 (B) and (C), for example. In the above, the dimens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element 84 is made larger by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86 than the dimens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tactor 14, and the predetermined amount of metal is added to the element 84. It can form by depositing a material.

도9(C) 내지 도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접촉자에 있어서, 제2 보강층(86)의 최소한 제1 보강층(74)과 반대쪽인 부분은 본체부(8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C to 9E, in the contact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the por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layer 86 opposite to at least the first reinforcing layer 74 is the main body portion ( 80).

암부(26)는, 단일 암(32 또는 34)을 갖추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연결부(36, 38)를 생략하고, 접촉부(30)를 암(32 또는 34)의 선단 쪽에 그 선단 쪽과 일체로 형성하고, 연장영역(24b)을 암(32 또는 34)의 후단 쪽에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The arm 26 may have a single arm 32 or 34.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s 36 and 38 are omitted, the contact part 3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end side of the arm 32 or 34, and the extension area 24b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arm 32 or 34. You may form integrally in the side.

보강부(40)는, 접촉부(30) 및 대좌부(28)의 최소한 경계부 근방의 두께방향에서의 양면에 직각인 스크럽 방향에서의 양면에 최소한 2종류의 막(膜)의 형태로 배치해도 좋다. 그와 같은 막은, 포토리소그래피 기술과 퇴적 기술을 스크럽 방향에서의 양면에 최소한 2회 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part 40 may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form of at least 2 types of film | membrane on both surfaces in the scrub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surfac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tact part 30 and the base part 28 at least near the boundary part. . Such a film can be formed by performing photolithography technique and deposition technique at least twice on both sides in the scrub direc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에 형성된 미절단 집적회로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의 전기적 시험용뿐만 아니라, 절단된 집적회로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의 전기적 시험을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electrical testing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uncut integrated circuits formed on semiconductor wafers, but also for electrical testing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cut integrated circuits.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thereof.

보강부가 접촉자 본체와 다른 금속재료로서 접촉부보다도 높은 인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면, 접촉부가 스크럽 방향 이외의 뒤틀림에 의해 생겨 접촉자에 3차원적으로 작용하는 불규칙한 힘에 대하여 유연해지고, 접촉부가 손상 및 파손하기 어려워진다.If the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er toughness than the contact part as the metal material different from the contact body, the contact part is caused by distortion outside the scrub direction and becomes flexible against the irregular force acting three-dimensionally on the contact, and the contact part is damaged. And difficult to break.

보강부가 대좌부의 하단부에서 접촉부에 걸친 표면 영역으로서 침선을 제외한 모든 표면 영역에 걸쳐 피복된 막을 포함하면, 접촉부가 불규칙한 힘에 대하여 보다 유연해지고, 보다 손상 및 파손하기 어려워진다.If the reinforcement comprises a film coated over all surface areas except for the needle line as the surface area from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to the contact, the contact becomes more flexible against irregular forces and more difficult to damage and break.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di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하단부에서 좌우방향의 최소한 한쪽으로 연장하는 암부, 및 상기 암부의 선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대좌부를 갖춘 판상의 접촉자 본체;A plate-shaped contact body having an installation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arm portion extending in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installation portion, and a pedestal portion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arm portion; 상기 대좌부의 하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로서 상기 접촉부의 하단을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극에 접촉되는 침선으로 하는 접촉부; 및A contact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edestal portion, the contact portion having a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being a needle line in contact with an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대좌부의 경계부에 배치된 보강부;A reinforcement part disposed at a boundary between the contact part and the pedestal part;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접촉자 본체와 다른 금속재료로서 상기 접촉부보다도 높은 인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험용 접촉자.And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er toughness than that of the contact portion as a metal material different from the contac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대좌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접촉부에 걸친 표면 영역으로서 상기 침선을 제외하고 남는 모든 표면 영역에 걸쳐 피복한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험용 접촉자.The electrical test contact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reinforcement part includes a film coated over all the surface areas remaining except the needle line as the surface area from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to the contact par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금속재료는 최소한 2종류의 금속원소로 형성된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험용 접촉자.3. The electrical test contac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etal material forming the reinforcing portion comprises an alloy formed of at least two metal elem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적층된 최소한 2종류의 금속재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험용 접촉자.The electrical test contact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part includes at least two metal material layers stacked. 판상의 접촉자 본체와, 상기 접촉자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선단을 침선으로 하는 접촉부를 갖춘 전기 시험용 접촉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test contactor having a plate-shaped contact body and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ntact body and having a tip as a needle line, 최소한 상기 접촉부를 본뜬 제1 요소를 갖는 제1 포토레지스트층을 베이스 부재 위에 형성하고, 희생층을 상기 제1 요소에 형성하는 제1 공정;A first step of forming a first photoresist layer having at least a first element that mimics the contact portion on the base member, and forming a sacrificial layer in the first element;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한 후, 상기 접촉부와 그 접촉부 쪽의 상기 접촉자 본체 부위를 본뜬 제2 요소를 갖는 제2 포토레지스트층을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보다 높은 인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의 퇴적에 의해 제1 보강층을 상기 제2 요소에 형성하고, 게다가 상기 제1 보강층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도전성 재료의 퇴적에 의해 상기 접촉부를 상기 제2 요소에 형성하는 제2 공정;After removing the first photoresist layer, a second photoresist layer having a second element, which is modeled after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body portion on the contact portion side, is formed on the base member, and has a higher toughness than the contact portion. A second step of forming a first reinforcing layer on the second element by deposition of a second layer, and further forming the contact portion on the second element by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first reinforcing layer;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고, 상기 접촉자 본체를 본뜬 제3 요소를 갖는 제3 포토레지스트층을 베이스 부재 위에 형성하고, 상기 제1 보강층과 다른 도전성 재료로서 상기 접촉부보다 높은 인성의 도전성 재료의 퇴적에 의해 상기 접촉자 본체를 상기 제3 요소에 형성하는 제3 공정;The second photoresist layer is removed, and a third photoresist layer having a third element, which is modeled after the contact body, is formed on the base member, and as a conductive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reinforcing layer, a tougher conductive material of higher toughness than the contact portion. A third step of forming the contact body in the third element by deposition;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한 후, 상기 접촉부와 그 접촉부 쪽의 상기 접촉자 본체 부위를 본뜬 제4 요소를 갖는 제4 포토레지스트층을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보다 높은 인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로서 상기 접촉자 본체와 다른 도전성 재료의 퇴적에 의해 제2 보강층을 상기 제4 요소에 형성하는 제4 공정; 및After removing the third photoresist layer, a fourth photoresist layer having a fourth element modeled after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body portion on the contact side is formed on the base member, and has a higher toughness than the contact portion. A fourth step of forming a second reinforcing layer in said fourth element by depositing said contact body and another conductive material; And 상기 제1 보강층, 상기 접촉부, 상기 접촉자 본체, 및 상기 제2 보강층을 포함하는 접촉자를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분리하는 제5 공정;A fifth process of separating a contactor including the first reinforcement layer, the contact portion, the contact body,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layer from the base member;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험용 접촉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for electrical test,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요소에의 재료의 퇴적은, 전기 도금 기술, 스퍼터링 기술 및 증착 기술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험용 접촉자의 제조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eposition of material onto each of the elements is formed b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electroplating techniques, sputtering techniques, and deposition techniques.
KR1020090015145A 2008-03-25 2009-02-24 Contactor for Electrical Te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299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78560 2008-03-25
JP2008078560A JP2009229410A (en) 2008-03-25 2008-03-25 Contactor for electric te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36A KR20090102636A (en) 2009-09-30
KR101029987B1 true KR101029987B1 (en) 2011-04-20

Family

ID=4124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145A KR101029987B1 (en) 2008-03-25 2009-02-24 Contactor for Electrical Te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229410A (en)
KR (1) KR101029987B1 (en)
TW (1) TWI39954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2342B2 (en) 2011-09-30 2015-06-09 Formfactor, Inc. Probe with cantilevered beam having solid and hollow sections
JP2014016204A (en) 2012-07-06 2014-01-30 Micronics Japan Co Ltd Electric contact and contact method of electric contact
JP5968158B2 (en) 2012-08-10 2016-08-10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Contact probe and probe card
JP6068925B2 (en) * 2012-10-23 2017-01-25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Probe manufacturing method
KR102466151B1 (en) * 2015-11-30 2022-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probe card and tes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21028603A (en) 2019-08-09 2021-02-25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Electric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7353859B2 (en) * 2019-08-09 2023-10-02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Electrical contacts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s
CN111825056A (en) * 2020-07-17 2020-10-27 杭州电子科技大学 Method for forming cantilever probe based on femtosecond laser and high temperature and cantilever prob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131A (en) 1999-03-25 2000-12-08 Tokyo Cathode Laboratory Co Ltd Probe for probe card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1337110A (en) 2000-05-29 2001-12-07 Bureijingu:Kk Probe pin and probe car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865A (en) * 1989-09-01 1991-04-16 Sumitomo Electric Ind Ltd Probe of probe card
JP4527267B2 (en) * 2000-11-13 2010-08-1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Contactor manufacturing method
EP1624308B1 (en) * 2003-05-13 2007-06-20 Kabushiki Kaisha Nihon Micronics Probe for testing electric conduction
JP2005351846A (en) * 2004-06-14 2005-12-22 Micronics Japan Co Ltd Probe needle
WO2006075408A1 (en) * 2005-01-14 2006-07-20 Kabushiki Kaisha Nihon Micronics Continuity testing probe
JP2007192719A (en) * 2006-01-20 2007-08-02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Probe card
JP2007271343A (en) * 2006-03-30 2007-10-18 Sumitomo Electric Ind Ltd Contact pro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131A (en) 1999-03-25 2000-12-08 Tokyo Cathode Laboratory Co Ltd Probe for probe card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1337110A (en) 2000-05-29 2001-12-07 Bureijingu:Kk Probe pin and probe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40999A (en) 2009-10-01
JP2009229410A (en) 2009-10-08
KR20090102636A (en) 2009-09-30
TWI399544B (en)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987B1 (en) Contactor for Electrical Te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42513B1 (en) Contactor for Electrical Test,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or
JP4421481B2 (en) Probe for current test
JP4792465B2 (en) Probe for current test
KR101034979B1 (en) Contact for Electrical Test of Electronic Device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obe Assembly
JP2009229410A5 (en)
KR20020022130A (en) Contact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robe contact assembly using same
KR20060124562A (en) Probe for use in electric test
JP4917017B2 (en) Probe for energization test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ing the same
JP5631131B2 (en) Probe for probe test and probe assembly
JP5438908B2 (en) Contact for electrical test,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ing the cont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JP2006337229A (en) Probe for burn-in test
JP2009216562A5 (en)
US7316065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plurality of elastic probes in a row
KR20080011562A (en) Probe, method of forming the probe and probe card having the probe
JP2010002391A (en) Contact prob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960437B1 (en) Electric Conduction pi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ic conduction pin
JP2007113946A (en) Probe for burn-in test
JP4571007B2 (en) Probe for current test
JP5351453B2 (en) Contact probe complex
KR100963369B1 (en) Electric Conduction pi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ic conduction pin
JP2003121469A (en) Probe manufacturing method and probe card manufacturing method
JP508737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ical test contact
KR100743978B1 (en) Contact element for probe car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1898223A1 (en) Probe substrate for tes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