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37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379B1
KR101029379B1 KR1020090003191A KR20090003191A KR101029379B1 KR 101029379 B1 KR101029379 B1 KR 101029379B1 KR 1020090003191 A KR1020090003191 A KR 1020090003191A KR 20090003191 A KR20090003191 A KR 20090003191A KR 101029379 B1 KR101029379 B1 KR 101029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ground
signal
ffc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068A (ko
Inventor
타다시노조미 타가하시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고주파 신호를 고속 전송할 수 있고 신뢰성이 뛰어나며, 서로 반대측면에 위치하는 그라운드라인과 그라운드층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값싼 평판 모양의 접속대상물이 이용 가능하고 접촉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한 쪽 면에 시그널라인(S)과 그라운드라인(G)을 구비하고 다른 쪽 면에 그라운드라인과 연속하지 않는 그라운드층(GL)을 형성한 평판모양의 접속대상물(100)을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인슐레이터(20)와 시그널라인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접촉부(54, 55)를 가지는 시그널컨택트(50)와 그라운드라인과 그라운드층에 각각 접촉하면서 접속대상물을 협지하는 두 갈래 모양의 접촉부(44, 45, 46, 47)를 가진 그라운드컨택트(40)를 구비한다.
커넥터, 고주파 신호, 그라운드라인, 그라운드층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송신 신호의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근년 FFC(Flexible Flat Cable)이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평판 모양의 접속대상물 및 이들의 접속대상물이 접속하는 커넥터에는 고주파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것이 요구되어 있다. 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크로스토크를 저감하고, 더욱 노이즈 대책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일본 특개 2001-68907호 공보의 FPC 케이블(접속대상물)과 커넥터는 이와 같은 과제를 받아서 발명된 것이다. 일본 특개 2001-68907호 공보의 케이블의 한 쪽 면에는 복수의 신호선과 각 신호선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그라운드라인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하여 있고 또 다른 쪽 면에는 FPC 케이블의 내부를 통하는 범프를 통하여 그라운드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그라운드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는 인슐레이터(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 상기 신호선과 접촉하는 컨택트(신호단자)와 인슐레이터에 고정된 컨택트 및 FPC 케이블을 덮고 또 상기 그라운드 층에 접촉하는 셀을 구비하고 있다. 신호단자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신호 회로(컨택트 패드)에 접속하여 있고, 셀은 프린트 배선기판의 접지회로에 접지하여 있다. 따라서 FPC 케이블의 각 신호선 간의 크로스토크는 그라운드라인에 의하여 저감되고, 노이즈는 셀에 의하여 차단된다.
일본 특개 2001-68907호 공보의 FPC 케이블은 한 쪽 면에 형성한 그라운드라인과 다른 쪽 면에 형성한 그라운드층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범프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이 때문에 제조 코스트가 높게 된다.
또한, FPC 케이블은 가뇨성(可撓性)을 가진 특성상, 예를 들면 휴대전화의 힌지부와 같이 신호전달을 하면서 반복하여 굴곡성을 필요로 하는 개소에 사용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FPC 케이블 내에 미세한 범프나 스루홀을 형성하면 굴곡 시에 응력 집중이 생겨서 최악의 경우는 단선에 이르러서 도통 불량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FPC 케이블의 컨택트부 부근에 범프나 스루홀을 형성하면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로 되어 버려서 FPC 케이블 뿐만 아니라 접속상대물인 커넥터도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속대상물을 FPC 케이블에 비하여 값이 싼 FFC로 하는 경우에는 FFC 내부에 그라운드라인을 배치하고, 또 한 쪽 면에 그라운드층을 형성한 후에 범프나 스루홀 등으로 그라운드라인과 그라운드층을 접속하는 것이 제조 구조상 가능하지 않으므로, 상기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 신호를 고속 전송할 수 있고 신뢰성이 뛰어나며, 서로 반대측면에 위치하는 그라운드라인과 그라운드층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값이 싼 평판 모양의 접속대상물이 이용 가능하고 접촉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한 쪽 면에 시그널라인과 그라운드라인을 구비하고 다른 쪽 면에 이 그라운드라인과 연속하지 않는 그라운드층을 형성한 평판모양의 접속대상물을 끼우고 빼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시그널라인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접촉부를 가진다.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한 시그널컨택트와 상기 그라운드라인과 그라운드층에 각각 접촉하면서 상기 접속대상물을 협지하는 두 갈래 모양의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한 그라운드컨택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대상물은 시그널컨택트 및 그라운드컨택트 중 어느 한 쪽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속대상물과 시그널컨택트 사이의 접촉압력과 상기 접속대상물과 그라운드컨택트 사이의 접촉압력 중 적어도 한 쪽을 높이는 액츄에이터를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이 인슐레이터에 삽입한 상기 접속대상물을 걸어맞춤으로써 이 접속대상물의 빼내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유지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평판모양의 접속대상물의 그라운드라인과 그라운드층에 각각 접속하는 두 갈래 모양의 접속부를 가지는 그라운드컨택트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을 그라운드라인과 그라운드층이 서로 연속하지 않아 신뢰성이 높고 또한 값이 싼 것으로 형성하더라도, 그라운드라인과 그라운드층을 회로기판에 접지접속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라인과 그라운드층이 서로 연속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접속대상물을 FFC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라운드라인에 의하여 시그널라인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라운드층에 의하여 외부 노이즈 등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고주파 신호의 고속 전송화를 실현하기가 쉽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접속대상물과 시그널컨택트 사이의 접촉압력과 접속대상물과 그라운드컨택트 사이의 접촉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이 높아지기 때문에 신호를 확실히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과 같이 유지수단을 설치하면 인슐레이터에 삽입한 접속대상물이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액츄에이터의 접속대상물과 시그널컨택트, 그라운드컨택트로의 접촉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의 각 방향은 도면의 화살표를 기준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스캐너 기능, 팩스 기능을 가진 프린터와 같은 소위 MEP(Multifunction Peripheral)나 광학 드라이브, 휴대 단말기 등에 내장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며, 도시한 접속대상물(예를 들면,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100))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것이다.
평판모양의 장착물인 FFC(100)는 전체가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 구조이다. 즉 탄성을 가진 베이스재(102)의 한 쪽 면에는 서로 평행하도록 나란히 복수의 시그널라인(S)과 그라운드라인(G)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재(102)의 다른 쪽 면에는 그라운드층(GL)이 형성되어 있다. 각 시그널라인(S)과 각 그라운드라인(G)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절연재로 된 커버층(103)으로 코팅되어 있고 그라운드층(GL)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절연재로 된 커버층(104)으로 코팅되어 있다. 또한 그라운드층(GL)의 양단부는 베이스재(102)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그라운드층(GL)의 양단부와 베이스재(102)의 양단부 사이에는 절연재로 된 단부보강재(105)가 위치하여 있다.
FFC(100)의 양단부(걸어맞춤돌출부(101)를 제외한 부분)는 이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보다 폭이 좁으며, 이 양단부의 양측부에는 걸어맞춤돌출부(101)가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시그널라인(S)은 8본 이내, 그라운드라인(G)은 5본이고 차동쌍을 구성하는 2본1조의 시그널라인(S)의 양측에 그라운드라인(G)을 배치하고 있다.
커넥터(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조이며, 주요 구성요소로서 인슐레이터(20), 그라운드컨택트(40), 시그널컨택트(50) 및 액츄에이터(60)를 구비하고 있다.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이며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한 것이다. 인슐레이터(20)의 양측부 근방부에는 아래쪽으로 향해 뻗어 있는 삽입홈(21)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인슐레이터(20)의 양측단부를 구성하는 액츄에이터지지 부(22)에는 그의 하단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걸림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삽입홈(21)의 내측에는 좌우 한 쌍의 측벽(24)이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측벽(24)의 상면에는 오목부(25)가 아래로 향하여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8, 도 13 참조) 인슐레이터의 전벽(27)과 전벽(27)보다 치수가 낮은 후벽(28)과 좌우의 측벽(24)으로 포위되고 상하로 열려 있는 공간에는, 그의 좌우 양단이 좌우의 측벽(24)에 각각 접속하는 칸막이벽(29)이 설치되어 있다. 후벽(28)과 칸막이벽(29)의 대향면에는 그라운드컨택트(40)의 압입부(43)와 시그널컨택트(50)의 압입부(53)를 압입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고정홈(31)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합계 13본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전벽(27)에서 칸막이벽(29)과의 대향면에는 합계 13본의 변형허용홈(32)이 대응하는 고정홈(31)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형태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벽(27)과 좌우의 측벽(24)의 접속부에는 해당 부분의 상면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뻗어 있는 걸어맞춤돌출부 삽입홈(34)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측벽(24)의 상단부에는 걸어맞춤돌출부 삽입홈(34) 내에 돌출하는 임시고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합계 8본의 그라운드컨택트(40)와 합계 5본의 시그널컨택트(50)는 같이 스탬핑 성형에 의해 얻어진 일체물이다. 스탬핑 성형하여 얻어진 기재(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beryllium copper alloy), 티탄동, 스테인리스, 코로손계 동합금) 상에 하지도금(예를 들면, 니켈도금)을 실시한 후 마무리 도금(예를 들면, 금도금, 은(시그널라인 Sn)-동(Cu) 도금, 주석(시그널라인 Sn)-납(Pb) 도금)을 실시하여 제조한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진 부재이다.
그라운드컨택트(40)는 대략 수평으로 후단에 테일부(42)를 가진 수평부(41)와 수평부(41)의 후단부 근방에서 위쪽으로 뻗은 압입부(43)와 그라운드컨택트(40)의 전단부에서 앞쪽으로 뻗은 후에 위쪽으로 향하여 뻗어있으며, 또 상단에 접촉돌출부(45) (접촉부)가 돌출되게 설치된 제1탄성변형부(44)(접촉부)와, 압입부(43)의 하단부 근방에서 앞쪽으로 뻗은 후에 뒤로 윗방향을 향하여 뻗으며(수평부(41)에서 뻗은 구조이어도 된다), 또 상단에 접촉돌출부(47)(접촉부)가 돌출되게 설치된 제2탄성변형부(46)(접촉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그라운드컨택트는 압입부(43)를 인슐레이터(20)의 대응하는 고정홈(31)에 압입함으로써, 도시한 배열로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 고정하여 있고, 각 그라운드컨택트(40)의 제1탄성변형부(44)의 앞부분(상하방향으로 뻗은 부분)은 대응하는 변형허용홈(3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라운드컨택트(40)가 자유상태일 때 제1탄성변형부(44)의 접촉돌출부(45)와 제2탄성변형부(46)의 접촉돌출부(47) 사이의 간극은 FFC(100)의 단부의 판 두께보다 약간 넓다.
시그널컨택트(50)는 대략 수평으로 전단에 테일부(52)를 가진 수평부(51)와 이 수평부(51)의 후단부 근방에서 위쪽으로 뻗은 압입부(53)와, 압입부의 하단부 근방에서 앞쪽으로 뻗은 후에 위쪽으로 향하여 뻗으며 그 상단에 접촉돌출부(55)(접촉부)가 돌출되게 설치된 탄성변형부(54)(접촉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그라운드컨택트(50)는 2본1조로 차동쌍을 구성하고 있고, 또 각 차동쌍이 이웃하는 그라운드컨택트(40)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홈(31)에 압입부(53)를 압입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고정되어 있다. 각 시그널컨택트(50)의 탄성변형부(54)의 앞부분 (상하방향으로 뻗은 부분)은 대응하는 변형허용홈(32)의 내부에 위치하여 있다.
각 그라운드컨택트(40)의 테일부(42)는 회로기판(CB)(도 1 및 도 6에 도시. 다른 도면은 생략) 위의 접지패턴(도시 생략)에 납땜되어 있고, 각 시그널컨택트(50)의 테일부(52)는 회로기판(CB) 상의 회로패턴(도시 생략)에 납땜되어 있다.
그리고 그라운드컨택트(40)의 테일부(42) 및 시그널컨택트(50)의 테일부(52)를 도시한 위치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하거나, 테일부(42)와 테일부(52)를 같은 측의 단부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테일부(42)와 테일부(52)를 그라운드컨택트(40)와 시그널컨택트(50)의 양단부에 형성하여도 된다.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한 부재인 액츄에이터(60)는 상부를 구성하는 조작용손잡이(61)와 조작용손잡이(61)의 하면의 양측부 근방에서 늘어진 한 쌍의 측편(62)과, 조작용손잡이(61)의 하면에서 늘어지고 또 그의 양단부와 좌우의 측편(62) 사이에 오목홈(64)(도 8, 도 13 참조)을 구성하는 압압부(63)를 구비하고 있다. 측편(62)의 외측면에는 상측 돌출부(65)와 하측 돌출부(66)가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압압부(63)의 후면에는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걸어맞춤 오목부(67)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용손잡이(61)의 앞부분에는 그의 좌우 양측면이 측편(62)의 내측면과 연속하고 또 그의 전면이 압압부(63)의 전면과 연속하는 수용오목부(69)가 오목하게 만들어져 있다. 또한 압압부(63)의 전면에는 압압부(63)의 하단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뻗은 5본의 압압용홈(71)이 오목하게 만들어져 있다.
액츄에이터(60)는 좌우의 측편(62)을 좌우의 삽입홈(21)에 삽입하고, 액츄에 이터지지부(22)의 상부 측편(62) 및 하측 돌출부(66)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좌우의 하측 돌출부(66)를 걸림오목부(23) 내에 위치시키고 또한 압압부(63) 하단부를 인슐레이터(20)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가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좌우의 하측 돌출부(66)를 좌우의 액츄에이터지지부(22)의 상부의 하면에 걸리게 하면 액츄에이터(60)는 도 1, 도 3~도 13에 나타낸 압압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한다. 액츄에이터(60)가 압압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할 때 액츄에이터(60)는 도 3~도 13에 나타낸 걸어맞춤오목부(67)를 각각 그라운드컨택트(40)의 압입부(43)의 상단부에 걸어맞추어지게 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지지부(22)의 상부를 상측 돌출부(65)와 하측 돌출부(66)로 끼움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인슐레이터(20)와 평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츄에이터(60)를 압압하지 않는 위치에서 하방으로 이동시켜 액츄에이터지지부(22)의 상부 측편(62) 및 좌우의 상측 돌출부(65)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좌우의 상측 돌출부(65)를 걸림오목부(23) 내에 위치시키면 액츄에이터(60)는 압압부(63)가 전벽(27)과 칸막이벽(29) 사이 (제1탄성변형부(44)와 제2탄성변형부(46)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60)의 좌우의 오목홈(64)이 좌우의 측벽(24)에 걸어맞추어지고 좌우의 오목홈(64)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좌우의 오목부(25)에 걸어맞추어진다. 또 칸막이벽(29)이 걸어맞춤오목부(67)에 걸어맞추어지는 압압위치(도 14~도 17의 위치)에 위치한다. 압압위치에 위치할 때 조작용손잡이(61)의 후부의 하면은 후벽(28)의 상면에 접촉하고, 또 조작용손잡이(61)의 상면이 전벽(27)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이어서 커넥터(10)에 FFC(100)를 접속하는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에 FFC(100)를 접속하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6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뒤쪽으로 경사시키면서 압압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시켜 놓는다. 그리고 도 3~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FFC(100)의 한 쪽 단부를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시키면서 액츄에이터(60)의 바로 앞에 위치시키고, 또 FFC(100)의 단부의 걸어맞춤돌출부(101) 보다 위쪽으로 위치하는 부분을 수용오목부(69) 내에 위치시키고, 다시 FFC(100)의 좌우 걸어맞춤돌출부(101)를 좌우의 측벽(24)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다. (도 8 참조)
이어서 FFC(100)을 도 3~도 8의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FFC(100)의 상기 단부가 탄성변형함으로써 좌우의 걸어맞춤돌출부(101)가 대응하는 임시고정돌출부(35)를 아래쪽으로 타고 넘어가기 때문에 도 9~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걸어맞춤돌출부(101)는 좌우의 임시고정돌출부(35)의 바로 아래로 이동한다. 그러면, 걸어맞춤돌출부(101)와 임시고정돌출부(35)에 대해 액츄에이터(60)의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위쪽으로의 상대이동이 규제되고, 또 FFC(100)의 단부가 상하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FFC(100)가 구부러진다. 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FFC(100)의 단부가 각 그라운드컨택트(40)의 제1탄성변형부(44)와 제2탄성변형부(46) 사이에 위치한다.
이어서 액츄에이터(60)를 상하방향과 평행하게 하면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 면, 액츄에이터(60)는 도 14~도 17에 나타낸 압압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러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벽(29)과 FFC(100) 사이에 위치하고 압압부(63)가 FFC(100)를 앞쪽으로 누르기 때문에 각 시그널컨택트(50)의 접촉돌출부(55)와 FFC(100)의 각 시그널라인(S)이 높은 접촉압력으로 접촉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FFC(100)의 단부가 각 그라운드컨택트(40)의 제2탄성변형부(46)와 칸막이벽(29) 사이에 위치하고 압압부(63)의 압압용홈(71) 내에 대응하는 그라운드컨택트(40)의 제2탄성변형부(46)가 위치한다. 그래서, 각 압압용홈(71)의 밑면(후면)이 대응하는 제2탄성변형부(46)를 제1탄성변형부(44)측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제2탄성변형부(46)의 접촉돌출부(47)가 FFC(100)의 그라운드층(GL)에 접촉하고, 또 제1탄성변형부(44)의 접촉돌출부(45)가 FFC(100)의 각 그라운드라인에 접촉하고, 도시를 생략한 FFC(100)의 다른 쪽의 단부도 도시한 커넥터(10)의 근방에 배치한 커넥터(10)와 같은 방향으로 향한 커넥터(커넥터(10)와 동일구조)에 같은 요령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60)를 압압되지 않는 위치로 되돌리면, FFC(100)의 양단부를 각 커넥터(1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FFC(100)를 통하여 한 쌍의 커넥터(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면, 2개의 커넥터(10)에 고정한 회로기판(CB)의 상기 패턴끼리가 각 커넥터(10)의 시그널컨택트(50) 및 FFC(100)의 시그널라인(S)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2본1조의 시그널라인(S) 및 시그널컨택트(50)에 의하여 고주파 신호가 차동전송된다.
그리고, FFC(100)의 한쪽 면에 2본1조의 시그널라인(S)을 끼우도록 하여 그 라운드라인(G)을 설치하고, 또 FFC(100)의 다른 쪽 면을 그라운드층(GL)으로 덮고, 또한 각 그라운드컨택트(40)의 제1탄성변형부(44)(접촉돌출부(45))와 제2탄성변형부(46)(접촉돌출부(47))가 FFC(100)의 그라운드라인(G)과 그라운드층(GL)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FFC(100)의 그라운드라인(G)와 그라운드층(GL)을 각 커넥터(10)에 고정한 회로기판(CB)의 상기 접지패턴에 접지하여 있다. 이 때문에 시그널라인(S)의 각 조 사이의 크로스토크가 그라운드라인(G)에 의해 저감되고, 또한 외부 노이즈가 FFC(100)의 상기 다른 쪽 면으로부터 각 시그널라인(S)에 미치거나, 각 시그널라인(S) 및 그라운드라인(G)에서 발생한 내부 노이즈가 커넥터(1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그라운드층(GL)이 방지한다. 이와 같이, 크로스토크 및 노이즈 면에서 고안이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10) 및 FFC(100)는 각 시그널컨택트(50) 및 각 시그널라인(S)에 흐르는 고주파 신호를 고속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FFC(100)는 그라운드층(GL)과 각 그라운드라인(G)이 서로 연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조가능하고 값이 싸다. 그 때문에 FFC(100)과 커넥터(10)(및 회로기판(CB))로 되는 장치 전체의 제조 코스트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FFC(100)와 인슐레이터(20)에 FFC(100)의 단부가 인슐레이터(20)로부터 뽑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유지수단, 임시고정돌출부(35) 및 걸어맞춤돌출부(101)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FFC(100)의 단부와 커넥터(10)를 용이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액츄에이터(60)에 의하여 그라운드컨택트(40) 및 시그널컨택트(50)와 FFC(100)사이의 접촉압력을 높아지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각 신호를 확실히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을 실행하면서 실시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FFC(100)와 인슐레이터(20) 사이의 유지수단을 인슐레이터(20)의 임시고정돌출부(35)와 FFC(100)의 걸어맞춤돌출부(101)에 의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FFC(100) 측에 형성한 오복무와 인슐레이터(20) 측에 형성한 이 오목부와 걸어맞추는 돌출부에 의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FFC(100) 또는 인슐레이터(20)에 형성한 돌출부를 탄성을 가진 금속에 의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액츄에이터(60)를 압압위치까지 삽입할 때에 압압부(63)가 그라운트컨택트(40), 시그널컨택트(50), FFC(100)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그라운드컨택트(40)와 FFC(100) 사이의 접촉압력 및 시그널컨택트(50)와 FFC(100) 사이의 접촉압력을 높이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액츄에이터를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상대회전가능한 회전식 액츄에이터로 하여도 된다.
또한, 자유상태에 있는 그라운드컨택트(40)의 접촉돌출부(45)와 접촉돌출부(47)의 간격을 FFC(100) 두께보다도 좁게 하고, FFC(100)을 삽입하였을 때의 협지력에 의해 FFC(100)의 뽑아짐을 방지하여도 된다. 이 때에 또한, 시그널컨택트(10)의 접촉돌출부(55)의 간격도 FFC(100)의 두께보다도 좁게 하여 액츄에이터를 생략하는 것으로, FFC(100)의 삽입만으로 접촉도통을 얻는 소위 NON-ZIF 구조의 커넥터로 할 수 있다.
또한, 평판모양의 접촉대상물로서는 FFC 이외의 것, 예를 들면,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도 FPC의 한 쪽 면에서, 시그널라인(S)과 그라운드라인(G)을 노출시키고, 다른 쪽 면에 그라운드층(GL)을 형성하며, 시그널라인(S)과 그라운드라인(G)은 그라운드층(GL)에 대하여 연속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시그널라인(S) 및 그라운드라인(G)을 그라운드층(GL)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FPC에 의하여 제조 코스트가 값싸게 된다. 게다가 이 FPC는 내부에 미세한 범프나 스루홀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반복하여 굴곡하여도 범프나 스루홀이 단선하여 도통 불량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또한 이 FPC는 범프나 스루홀을 구비하는 FPC에 비하여 데드 스페이스가 작아지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접속상대물인 커넥터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시그널라인(S)과 그라운드라인(G)의 배열 및 그라운드컨택트(40)와 시그널컨택트(50)의 배열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시그널라인(S)과 그라운드라인(G) 및 그라운드컨택트(40)와 시그널컨택트(50)를 1본씩 번갈아가며 배치하여도 된다.
또한, 그라운드컨택트(40)가 자유상태일 때에 제1탄성변형부(44)의 접촉돌출부(45)와 제2탄성변형부(46)의 접촉돌출부(47) 사이의 간격을 접속대상물의 단부의 판 두께보다 좁게 하고 액츄에이터가 어느 위치에 있어도, 접속대상물의 단부를 제1탄성변형부(44)와 제2탄성변형부(46) 사이에 삽입하면 제1탄성변형부(44)와 제2탄성변형부(46)가 접속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커넥터(10)에 셀부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커넥터(10)를 사용할 때의 방향을 상기 실시형태의 방향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0)를 횡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FFC(100)(접속대상물)의 단부를 접속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커넥터(액츄에이터는 압압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와 FFC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시그널컨택트와 그라운드컨택트를 생략하여 나타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액츄에이터가 압압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커넥터에 FFC를 경사지게 하면서 삽입을 시작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사시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 사시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 - VI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 - VII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VIII - VIII 화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액츄에이터가 압압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커넥터에 FFC를 완전히 삽입하여 FFC를 수직상태로 한 때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 사시도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9 사시도의 도 6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 사시도의 도 7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 사시도의 도 8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액츄에이터를 압압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의 커넥터와 FFC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 사시도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 사시도의 도 6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 사시도의 도 7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FFC의 중간부를 생략한 종단 측면도이다.
도 19는 변형예의 도 15와 같은 모양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넥터 20: 인슐레이터
21: 삽입홈 22: 액츄에이터지지부
23: 걸림오목부 25: 오목부
27: 전벽 28: 후벽
29: 칸막이벽 31: 고정홈
32: 변형허용홈 34: 걸어맞춤돌출부 삽입홈
35: 임시고정돌출부(유지수단) 40: 그라운드컨택트
41: 수평부 42: 테일부
43: 압입부 44: 제1탄성변형부(접촉부)
45: 접촉돌출부(접촉부) 46: 제2탄성변형부(접촉부)
47: 접촉돌출부(접촉부) 50: 시그널컨택트
51: 수평부 52: 테일부
53: 압입부 54: 탄성변형부(접촉부)
55: 접촉돌출부(접촉부) 60: 액츄에이터
61: 조작용손잡이 62: 측편
63: 압압부 64: 오목홈
65: 상측돌출부6 66: 하측돌출부
67: 걸어맞춤오목부 69: 수용오목부
71: 압압용홈
100: FFC(Flexible Flat Cable)(접속대상물)
101: 걸어맞춤돌출부(유지수단) 102: 베이스재
103: 커버층 104: 커버층
105: 단부보강재 CB: 회로기판
G: 그라운드라인 GL: 그라운드층
S: 시그널라인

Claims (3)

  1. 한 쪽 면에 시그널라인과 그라운드라인을 구비하고, 다른 쪽 면에 상기 그라운드라인과 연속하지 않는 그라운드층을 형성한 평판모양의 접속대상물을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인슐레이터와,
    상기 시그널라인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한 시그널컨택트와,
    상기 그라운드라인과 그라운드층에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각각 접촉하면서 상기 접속대상물을 협지하고 두 갈래 모양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제 1 탄성변형부와 제 2 탄성변형부를 가지며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한 그라운드컨택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대상물, 시그널컨택트 및 그라운드컨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속대상물과 시그널컨택트 사이의 접촉압력과 상기 접속대상물과 그라운드컨택트 사이의 접촉압력 중 적어도 한 쪽을 높이는 액츄에이터를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한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한 상기 접속대상물과 걸어맞춤으로써 상기접속대상물의 빠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유지수단을 형성한 커넥터.
KR1020090003191A 2008-11-13 2009-01-15 커넥터 KR101029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1052A JP2010118268A (ja) 2008-11-13 2008-11-13 コネクタ
JPJP-P-2008-291052 2008-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068A KR20100054068A (ko) 2010-05-24
KR101029379B1 true KR101029379B1 (ko) 2011-04-13

Family

ID=4227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191A KR101029379B1 (ko) 2008-11-13 2009-01-15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118268A (ko)
KR (1) KR101029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113626C2 (xx) 2011-06-02 2017-02-27 Композиція для лікування діабету, що містить кон'югат інсуліну тривалої дії та кон'югат інсулінотропного пептиду тривалої ді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774A (ja) 2003-03-11 2003-09-26 Yamaichi Electronics Co Ltd Fpc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080082882A (ko) * 2007-03-09 2008-09-12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US20080261422A1 (en) * 2004-08-31 2008-10-23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774A (ja) 2003-03-11 2003-09-26 Yamaichi Electronics Co Ltd Fpc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20080261422A1 (en) * 2004-08-31 2008-10-23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KR20080082882A (ko) * 2007-03-09 2008-09-12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068A (ko) 2010-05-24
JP2010118268A (ja)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US7766680B2 (en)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US727595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451393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TWI336978B (ko)
US737443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flat-type circuit board
US7632107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853382B2 (en) Connector
US1155242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oating contacts each with multiple impedances
US6592407B2 (en) High-speed card edge connector
KR101179242B1 (ko) 커넥터
EP1878093A1 (en) Board-to-board connector pair
CN101228674A (zh) 连接器
KR20090075774A (ko) 커넥터
EP1885028A1 (en) Low profile connector
US6790073B2 (en) Low profile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JP2007173043A (ja) コネクタ
JP4365422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る携帯端末
US20080176435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4803761B2 (ja) コネクタ装置
CA2965355A1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KR101029379B1 (ko) 커넥터
JP4795461B2 (ja) コネクタ
US11462851B2 (en) Machine case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KR102565933B1 (ko)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