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293B1 -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293B1
KR101029293B1 KR1020100137977A KR20100137977A KR101029293B1 KR 101029293 B1 KR101029293 B1 KR 101029293B1 KR 1020100137977 A KR1020100137977 A KR 1020100137977A KR 20100137977 A KR20100137977 A KR 20100137977A KR 101029293 B1 KR101029293 B1 KR 101029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dapter
connection bar
adapter assembly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춘근
Original Assignee
(주)서전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전기전 filed Critical (주)서전기전
Priority to KR102010013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02B1/0523Mounting on rails locked into position by a slid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 부스바에 접속하는 어댑터의 확장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배전반용 분기 부스바(15)와 접촉하는 접속바(110)를 구비한 어댑터케이스(100); 상기 어댑터케이스(100) 내에 배치되며 상기 분기 부스바(15)와 접속바(110)를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어댑터고정금구(200); 및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의 상부에 대하여 배전용 차단기(14)가 설치되는 슬라이딩 플래이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케이스(100)는 상기 접속바(1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부터 분할결합되는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분기 부스바의 부하 배선의 갯수에 맞추어 상기 어댑터케이스를 2P, 3P, 4P 등으로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어댑터케이스를 종류별로 생산해야 했던 금형설계비용 및 초기 투자비용 등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반의 부하 변동에 따라 단상에서 삼상 또는 그 이상으로의 교체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DISTRIBUTING BORAD USING DETACHABLE MULTI ADAPTER ASSEMBLY}
본 발명은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기 부스바에 접속하는 어댑터의 확장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공장 또는 아파트 등에는 전력회사에서 공급하는 전기를 받아들여 각 수용가의 부하로 배전하는 수배전장치가 구비된다. 수배전장치는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를 공급받아 용도에 맞게 감압한 뒤 수용가의 각 부하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 감전 및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소정 크기의 캐비닛과, 이 캐비닛의 내부에 개폐기, 변압기, 주 차단기, 콘덴서, 배전용 차단기, 파워휴즈, 피로기와 같은 각종 차단기와 보호장비, 그리고 변류기, 전력계, 영상 변류기, 전류계, 전압계 등과 같은 각종 계전장비가 설치된다. 그리고 수배전장치는 고압 또는 특고압을 수전하기 위한 특고압수전반(LBS반), 계기용변압변류기반(MOF반), 계기용변압기반(PT반), 특고차단기반(VCB반) 등으로 구성된 고압반, 변압기가 설치된 변압기반, 그리고 저압 차단기반과 배전반(동력반)으로 구성된 저압 배전반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저압 배전반(이하, '배전반'이라 함)에 관한 것인데, 이러한 배전반은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일련의 장치를 통해 각 부하에 배분해 주고,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기나 보호계전기 등과 같은 각종 단위기기와, 이들 단위기기를 부착 지지하는 구조물과, 상기 단위기기를 접속 및 연결하는 도체(Busbar, Cable)의 집합체이다.
한편, 배전반은 건물의 크기와 전력소모에 적합하도록 개별적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배전반은 표준화된 제품을 제공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배전반은 각각의 전력수요에 맞도록 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메인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의 접점 위치를 계산한 다음, 부스바를 절단, 절곡이나 홀 가공한 후 조립하기 때문에 그 제작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반드시 숙련된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전반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반(10)은 소정의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된 메인 차단기(12)와, 이 메인 차단기(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배전용 차단기(14)와, 소정의 부스바 시스템(1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차단기(12)는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개폐시킴과 아울러 과부하, 단로 등의 이상 발생시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이고, 상기 배전용 차단기(14)는 메인 차단기(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메인 차단기(12)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부하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부스바 시스템(16)은, 상기 메인 차단기(12)와 배전용 차단기(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 차단기(12)와 접속되어 있는 메인 부스바(13)와 다수의 배전용 차단기(14)가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분기 부스바(15)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전반(10)은, 상기 메인 차단기(12)의 출력단(122)에 메인 부스바(13)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부스바(13)에 직교하도록 다수의 분기 부스바(15)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각 분기 부스바(15)의 끝 부분에는 배전용 차단기(1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전용 차단기(14)의 출력단(142)에는 각각 부하가 접속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차단기(12)의 입력단(121)에는 변압기로부터 전력을 수전하는 메인 부스바(17)(11)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배전반(10)은 수직하게 설치된 메인 부스바(13)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분기 부스바(15)가 직교하고, 상기 분기 부스바(15)의 양단에는 배전용 차단기(14)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하는 메인 부스바(13)와 분기 부스바(15)를 교차시킴과 아울러 소정의 교차접점에서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각 교차접점에 체결구멍(18)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 부스바(15)의 접점에 절곡부(19)를 형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메인 부스바(13)와 분기 부스바(15)의 교차접점의 위치는 배전반의 설계에 따라 달라지므로 부스바를 미리 절곡하거나 홀 가공할 수 없고 그때그때 체결위치를 선정한 후에 절곡 및 홀 가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분기 부스바(15)에 대하여 배전용 차단기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어댑터케이스를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배전용 차단기의 설치작업이나 교체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배전반용 이중 착탈식 어댑터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용 어댑터는 분기 부스바의 부하 배선에 따라 2P, 3P, 4P 등의 어댑터케이스를 종류별로 각각 사출성형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초기 투자비용 및 제조단가를 크게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전반의 부하 변동에 따라 단상에서 삼상으로 교체시 어댑터케이스도 그에 맞추어 일체로 교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기 부스바의 부하 배선에 따라 접속하는 어댑터의 확장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분기 부스바에 대하여 한층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은, 메인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가 설치되는 캐비닛과, 상기 메인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에 각각 연결되는 메인 차단기와 배전용 차단기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있어서,
분기 부스바와 접촉하는 접속바를 구비한 어댑터케이스;
상기 어댑터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분기 부스바와 접속바를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어댑터고정금구; 및,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부에 대하여 배전용 차단기가 설치되는 슬라이딩 플래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케이스는 상기 접속바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부터 분할결합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수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수용돌기의 내부 중심에는 각각의 체결공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와 수용돌기를 관통하는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분기 부스바의 부하 배선의 개수에 맞추어 상기 어댑터케이스를 추가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어댑터케이스의 결합돌기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연결볼트와, 상기 수용돌기의 체결공 내에 배치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어댑터케이스에는 접속바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접속바가 다른 분기 부스바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어댑터고정금구는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접속바가 끼워지고 상기 분기 부스바에 걸쳐지도록 걸림부를 형성한 고정본체 및 상기 고정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나사회전을 통해 상기 접속바와 분기 부스바를 가압하는 가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케이스와 슬라이딩 플래이트는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의 체결홈과 체결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 플래이트에는 상기 배전용 차단기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고정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과 상기 슬라이딩 홈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블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어댑터케이스에는 상기 접속바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케이스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케이스에는 다수의 아크방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케이스는 상기 접속바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부터 분할결합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관통하는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분기 부스바의 부하 배선의 갯수에 맞추어 상기 어댑터케이스를 2P, 3P, 4P 등으로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어댑터케이스를 종류별로 생산해야 했던 금형설계비용 및 초기 투자비용 등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반의 부하 변동에 따라 단상에서 삼상 또는 그 이상으로의 교체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고정금구는 가압볼트의 회전작용을 통해 상기 접속바를 직접 누르는 힘과 고정본체의 걸림부가 상기 분기 부스바를 들어올리는 힘이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접속바와 분기 부스바를 보다 견고한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플래이트에는 상기 배전용 차단기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고정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과 상기 슬라이딩 홈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블럭이 형성됨으로써, 배전용 차단기의 다양한 크기나 규격에 관계없이 고정위치에 대한 호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메인 차단기와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바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어댑터케이스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어댑터케이스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고정금구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플래이트가 어댑터케이스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플래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 따른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은 감전 및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소정 크기의 캐비닛(미도시)과, 이 캐비닛의 내부에 개폐기, 변압기, 메인 차단기, 콘덴서, 배전용 차단기, 파워휴즈, 피로기 등의 각종 차단기와 그리고 변류기, 전력계, 영상 변류기, 전류계, 전압계 등과 같은 각종 계전장비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공지된 기술로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은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메인 차단기와 배전용 차단기(14)를 경유하여 각 부하로 공급함과 아울러 과부하, 단로 등의 이상 발생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부하를 보호하는 것으로, 분기 부스바(15)와 접촉하는 접속바(110)를 구비한 어댑터케이스(100)와, 상기 어댑터케이스(100) 내에 배치되며 상기 분기 부스바(15)와 접속바(110)를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어댑터고정금구(200)와,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의 상부에 대하여 배전용 차단기(14)가 설치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슬라이딩 플래이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케이스(100)는 절연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상기 분기 부스바(15)와 접촉하는 접속바(110)가 배치된다.
상기 접속바(110)는 어댑터케이스(10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일단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고 다시 어댑터케이스(100)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대략 'ㄷ'자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바(110)는 절곡된 양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제1 절곡부(111)와 제2 절곡부(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절곡부(111)는 후술할 어댑터고정금구(200)에 끼워지는 접속부(111a)와, 상기 어댑터케이스(100) 내에 설치되는 절연커버()에 안착되는 고정단(11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부(111a)는 고정단(111b)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함몰된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접속바(110)의 제1 절곡부(111)는 분기 부스바(15)의 배열된 개수에 대응하여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제작된다.
특히, 상기 어댑터케이스(100)는 상기 접속바(1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부터 분할결합되는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케이스(100a)의 내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돌기(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케이스(100b)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20)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수용돌기(1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20)와 수용돌기(130)의 내부 중심에는 후술할 연결수단(140)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121,131)이 관통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케이스(100)는 결합돌기(120)와 수용돌기(130)를 관통하는 연결수단(140)에 의해 상기 분기 부스바(15)의 부하 배선의 개수에 맞추어 상기 어댑터케이스(100)를 추가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케이스(100)는 분기 부스바의 개수에 따라 2P, 3P, 4P 등으로 적절히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어댑터케이스(100)를 종류별로 생산해야 했던 금형설계비용 및 초기 투자비용 등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반의 부하 변동에 따라 단상에서 삼상 또는 그 이상으로의 교체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본원발명의 따른 어댑터케이스(100)는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가 상호 분할결합되는 2P의 단품 구성으로만 사출성형하여 분기 부스바의 부하 배선의 개수에 맞추어 추가적으로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어댑터케이스와 같이 2P, 3P, 4P, 등의 종류별로 생산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단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수단(140)은 어댑터케이스(100)의 결합돌기(120)의 체결공(121)을 관통하는 연결볼트(141)와, 상기 수용돌기(130)의 체결공(131) 내에 배치되는 연결너트(142)로 구성되는 나사체결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착탈식 끼움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의 내측면 하부에는 후술할 어댑터고정금구(200)와 절연커버(150)가 끼움결합되는 각각의 결합홈(101a,10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의 타측 단부에는 후술할 슬라이딩 플레이트(300)가 나사고정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 사이에 고정너트(160)가 개재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에는 접속바(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바(110)가 다른 분기 부스바(15)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커버(150)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절연커버(150)는 절연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바(110)의 고정단(111b) 바닥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채널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접속바(110)의 제1 절곡부(111)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구성품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절연커버(150)의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홈(101b)에 대응하여 끼움결합되는 구조의 결합돌기(15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어댑터고정금구(200)는 상기 어댑터케이스(100) 내에 배치되어 상기 분기 부스바(15)와 접속바(110)를 동시에 가압하여 견고한 접속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접속바(110)가 끼워지도록 대략 'ㄷ'자 구조로 이루어지며, 절곡된 일측 단부에는 상기 분기 부스바(15)에 걸쳐지는 걸림부(211)가 형성된 고정본체(210) 및 상기 고정본체(210)의 상면에 배치되어 나사회전을 통해 상기 접속바(110)와 분기 부스바(15)를 가압하는 가압볼트(220)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어댑터고정금구(200)는 전도성이 좋은 금속재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 고정본체(210)의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홈(101a)에 대응하여 끼움결하되는 구조의 결합돌기(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본체(210)의 걸림부(211)의 표면에는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고정본체(210)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볼트(220)가 나사회전하는 나사구멍(213)이 관통형성된다.
도 5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고정금구(200)는 고정본체(2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12)가 어댑터케이스(100)의 결합홈(101a)에 끼움 고정되면, 상기 고정본체(210)에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접속바(110)가 끼워지는 상태로 안착된다. 이후 고정본체(210)의 걸림부(211)를 통해 상기 어댑터케이스(100)를 상기 분기 부스바(15)에 걸쳐지는 상태로 걸어 놓고 상기 가압볼트(2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의 접속바(110)와 분기 부스바는 밀착 고정된다. 즉, 상기 가압볼트(2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볼트(220)의 일단부가 상기 접속바(110)를 누르는 가압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본체(210)는 상기 가압볼트(220)의 나사회전방향에 의해 상승하여 걸림부(211)가 상기 분기 부스바(15)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플래이트(300)는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의 개방된 상면을 마감함과 동시에 배전용 차단기(14)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 플래이트(300)는 절연이 우수한 합성수지의 사각 판상으로 제작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에 개재된 고정너트(160)와 연통되는 나사공(301)이 형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플래이트(300)는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에 대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과정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슬라이딩 플래이트(300)에 고정되는 배전용 차단기(14)와 어댑터케이스(100) 간의 착탈 결합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와 슬라이딩 플래이트(300)의 양측면에는 상호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경사진 구조의 체결홈(170)과 체결부(310)가 각각 형성된다.
특히, 도 3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플래이트(300)에는 상기 배전용 차단기(14)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고정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320)과 상기 슬라이딩 홈(320)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블럭(3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볼럭(330)은 슬라이딩 홈(32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배전용 차단기(14)의 다양한 크기나 규격에 따른 고정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그 고정위치에 대응토록 적절한 위치조정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배전용 차단기로부터 호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슬라이딩 블럭(330)의 표면에는 배전용 차단기(14)의 고정볼트(14a)가 나사체결되는 나사홀(331)이 형성되는 것을 당연하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에는 상기 접속바(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케이스(40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절연케이스(400)는 어댑터케이스(100)로부터 노출되는 접속바(110)에 의한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00)에 고정설치되는 배전용 차단기(14)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절연케이스(40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수직부재(410)와 수평부재(420)가 연결된 대략 'ㄱ'자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재(410)에는 어댑터케이스(100)로부터 노출되는 각각의 접속바(110)를 감싸도록 다수의 격벽(411)에 의해 구획된다(도 6참조).
또한, 상기 수직부재(410)의 하단에는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의 일단에 대하여 슬라이딩 끼움결합되는 끼움부재(412)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부재(410)의 표면에는 접속바(110)와 배전용 차단기(14)의 상호 통전에 의한 아크 발생시 아크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아크방출홈(4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420)의 선단부에는 배전용 차단기(14)의 상면에 대하여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부(4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케이스(100)는 상기 접속바(1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부터 분할결합되는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를 관통하는 연결수단(140)에 의해 상기 분기 부스바(15)의 부하 배선의 개수에 맞추어 상기 어댑터케이스(100)를 2P, 3P, 4P 등으로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어댑터케이스(100)를 종류별로 생산해야 했던 금형설계비용 및 초기 투자비용 등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반의 부하 변동에 따라 단상에서 삼상 또는 그 이상으로의 교체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고정금구(200)는 가압볼트(220)의 회전작용을 통해 상기 접속바(110)를 직접 누르는 힘과 고정본체(210)의 걸림부(211)가 상기 분기 부스바(15)를 들어올리는 힘이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접속바(110)와 분기 부스바(15)를 보다 견고한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플래이트(300)에는 상기 배전용 차단기(14)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고정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320)과 상기 슬라이딩 홈(320)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블럭(330)이 형성됨으로써, 배전용 차단기(14)의 다양한 크기나 규격에 관계없이 고정위치에 대한 호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어댑터케이스
100a : 제1 케이스
100b : 제2 케이스
110 : 접속바
140 : 연결수단
200 : 어댑터고정금구
210 : 고정본체
211 : 걸림부
220 : 가압볼트
300 : 슬라이딩 플래이트
310 : 체결부
320 : 슬라이딩 홈
330 : 슬라이딩 블럭
400 : 절연케이스

Claims (11)

  1. 메인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15)가 설치되는 캐비닛과, 상기 메인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15)에 각각 연결되는 메인 차단기와 배전용 차단기(14)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15)와 접촉하는 접속바(110)를 구비한 어댑터케이스(100);
    상기 어댑터케이스(100) 내에 배치되며 상기 분기 부스바(15)와 접속바(110)를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어댑터고정금구(200); 및,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의 상부에 대하여 배전용 차단기(14)가 설치되는 슬라이딩 플래이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케이스(100)는 상기 접속바(1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부터 분할결합되는 제1 케이스(100a)와 제2 케이스(10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100a)의 내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돌기(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케이스(100b)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20)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수용돌기(13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20)와 수용돌기(130)의 내부 중심에는 각각의 체결공(121,131)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20)와 수용돌기(130)를 관통하는 연결수단(140)에 의해 상기 분기 부스바(15)의 부하 배선의 개수에 맞추어 상기 어댑터케이스(100)를 추가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40)은 어댑터케이스(100)의 결합돌기(120)의 체결공(121)을 관통하는 연결볼트(141)와, 상기 수용돌기(130)의 체결공(131) 내에 배치되는 연결너트(1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어댑터케이스(100)에는 접속바(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접속바(110)가 다른 분기 부스바(15)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커버(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고정금구(200)는,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접속바(110)가 끼워지고 상기 분기 부스바(15)에 걸쳐지도록 걸림부(211)를 형성한 고정본체(210) 및,
    상기 고정본체(210)의 상면에 배치되어 나사회전을 통해 상기 접속바(110)와 분기 부스바(15)를 가압하는 가압볼트(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11)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와 슬라이딩 플래이트(300)는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의 체결홈(170)과 체결부(31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래이트(300)에는 상기 배전용 차단기(14)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고정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320)과 상기 슬라이딩 홈(320)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블럭(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케이스(100)에는 상기 접속바(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케이스(400)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케이스(400)에는 다수의 아크방출홈(4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KR1020100137977A 2010-12-29 2010-12-29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KR10102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977A KR101029293B1 (ko) 2010-12-29 2010-12-29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977A KR101029293B1 (ko) 2010-12-29 2010-12-29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293B1 true KR101029293B1 (ko) 2011-04-18

Family

ID=4405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977A KR101029293B1 (ko) 2010-12-29 2010-12-29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2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921A (ko) * 2016-04-22 2018-12-17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버스바 시스템의 터치-보장 접촉을 위한 배열체
CN109244782A (zh) * 2018-02-19 2019-01-18 Psz电子有限公司 用于传输电能的接触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90Y1 (ko) 2005-06-23 2005-09-13 (주)서전기전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KR200395578Y1 (ko) 2005-06-22 2005-09-13 (주)서전기전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US20090239399A1 (en) 2008-03-21 2009-09-24 Abb S.P.A. Adapter device for a low voltage switching device
KR20090116432A (ko) * 2008-05-07 2009-11-1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부스바 체결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78Y1 (ko) 2005-06-22 2005-09-13 (주)서전기전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KR200395590Y1 (ko) 2005-06-23 2005-09-13 (주)서전기전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US20090239399A1 (en) 2008-03-21 2009-09-24 Abb S.P.A. Adapter device for a low voltage switching device
KR20090116432A (ko) * 2008-05-07 2009-11-1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부스바 체결 클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921A (ko) * 2016-04-22 2018-12-17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버스바 시스템의 터치-보장 접촉을 위한 배열체
KR102189167B1 (ko) * 2016-04-22 2020-12-09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버스바 시스템의 터치-보장 접촉을 위한 배열체
CN109244782A (zh) * 2018-02-19 2019-01-18 Psz电子有限公司 用于传输电能的接触装置
CN109244782B (zh) * 2018-02-19 2020-06-09 Psz电子有限公司 用于传输电能的接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4207C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individually isolatable functional zones
US9007745B1 (en) Configurable electrical load center
US11837829B2 (en) Adapter device for power busbar systems
KR100816102B1 (ko) 저압 배전반용 이중 착탈식 어댑터
EP3163695A1 (en) Fixed vertical distribution bus bar
KR102081988B1 (ko) 변압기 함내 분전대의 저압측 부스바 접속장치
EP3254347B1 (en) Consumer units, receptacles for consumer units and consumer unit systems
KR101029293B1 (ko)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KR101301964B1 (ko) 다각형 부스바와 이의 유동방지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KR200431626Y1 (ko) 수배전반용 배선차단기의 부스바 접속장치
KR200331163Y1 (ko) 배전반
EP2124303A1 (en) Adapter, adapter in combination with an MCCB for a low voltage switchboard, use of such adapter and an electric switchboard comprising such adapter
KR200395590Y1 (ko)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KR200395579Y1 (ko)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KR200395578Y1 (ko)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US10297985B2 (en) Modular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the same
KR101931786B1 (ko) 배전반 및 그 조립 방법
US7859130B2 (en)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equipment with varying requirements for the power supply
JPH1118216A (ja) 絶縁配線配電盤及び裏配線用端子台
US20230261445A1 (en) Plug-on neutral device and kit
EP3399608A1 (en) System for attaching a fuse-disconnector to a busbar
AU2008100118A4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individually isolatable functional zones
JP2003070109A (ja) スイッチギヤ
HU176721B (hu) Háromfázisú függőleges elrendezésű lemezfiókos csoportos biztosító szerelvé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