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931B1 -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 Google Patents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931B1
KR101025931B1 KR1020100109016A KR20100109016A KR101025931B1 KR 101025931 B1 KR101025931 B1 KR 101025931B1 KR 1020100109016 A KR1020100109016 A KR 1020100109016A KR 20100109016 A KR20100109016 A KR 20100109016A KR 101025931 B1 KR101025931 B1 KR 101025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rifting
control unit
center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철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0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9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13/00Navigational aids and us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13/02Navigational aids and us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using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PURPOSE: A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is provided to rapidly upgrade and inspect a system by easily downloading files. CONSTITUTION: A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comprises a battery, a communication device, a central control unit, and an access control unit(400). The battery is located at the inner center of a lower hemisphere(100) and supplies power. The communication device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battery. The central control device controls a system and communication. The access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and is composed of an outer connector(430), a charging terminal(440), and a flasher(450). The connection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equipment.

Description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본 발명은 표류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점검 및 업그레이드가 용이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fting buo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cean observation drifting buoy that can be easily monitored and upgraded and monitored in real time.

최근 바다 자원에 대한 인류의 관심이 점차 늘고 있는 가운데, 효율적인 자원 활용과 더 나은 자원 형성을 위한 해상 및 해중 시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에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특히, 해중림 어초의 효과 파악, 해상 및 해중 가두리 관리 및 도난 방지, 각종 해상 시설물의 모니터링 등은 해양자원의 효율적인 인용과 관리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With the recent increase in human interest in sea resourc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ystems that can monitor marine and marine facilities for 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and better resource formation. In particular,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marine reefs, managing maritime and marine cages and preventing theft, and monitoring various marine facilities are very important in terms of efficient cit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resources.

현재 국내에서 관련된 기술은 온도, 염분, 풍향, 풍속 등 센서를 통한 각종 데이터를 무선 처리하는 기술은 이미 여러 분야에서 실용화되어 있고, 각종 고가의 장비를 동원하는 TV의 동영상 처리 기술 또한 이미 사용되고 있다.Currently, the technology related to domestic wireless technology for processing various data through senso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wind direction, wind speed, etc. has already been put into practical use in various fields, and the video processing technology of TVs mobilizing various expensive equipment is already used.

우리나라는 지형상 삼면을 바다와 접하고 있어 인근 해양으로부터 많은 경제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고, 이러한 해양자원이 오염되거나 온도 변화 등이 발생하는 경우, 주변의 기후 및 생활환경 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이 현실이다.Our country is facing three sides of the topography of the sea, so it has a lot of economic effects from the nearby ocean, and if such marine resources are polluted or temperature changes occur, it i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the surrounding climate and living environment. to be.

또한, 국토개발과 공업화 등에 의하여 육지의 토양이 인근 해양에 흘러들어가거나 각종 환경오염 물질이 유입 또는 투기되어 해양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지형적 여건상 바다 특히 주변 해양환경은 실생활과 직간접적으로 밀접해 있고, 오염되는 경우 국민 건강과 국가 경제적으로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In addition, due to land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land soil flows into nearby oceans, or various environmental pollutants are introduced or dumped, causing marine pollution. Due to the topographical conditions of Korea, the sea, especially the surrounding marine environment, is directly or indirectly intimately connected with real life, and if it is polluted, it will affect national health and national economics.

이러한 주변 해양환경을 청정하게 관리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육지로부터 토양이 유입되거나 각종 환경오염 물집이 유입되거나 투기 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구 온난화에 의한 온도변화 등에 의한 자연적인 영향 및 불가피한 상황 등에 의하여 해양환경이 심각하게 변화되는 경우도 있다.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inflow of soil from the land, the introduction of va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blisters, or the dumping of the environment. However, due to natural influences and unavoidable circumstances caused by temperature changes due to global warming, In some cases, the marine environment may change significantly.

그러므로 주변의 인근 해양환경 또는 지정된 특정지역의 해양환경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사하여 적절한 대응을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우리나라의 해양환경 조사는 전문 지식을 갖춘 인력이 선박을 이용하여 특정 해양으로 항해하고 해당 해양을 직접 조사 및 샘플채취를 통하여 검사 및 환경변화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식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quickly and accurately investigate the state of the surrounding marine environment or the marine environment of the designated area and take appropriate respon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marine environment survey in Korea is a method in which a person with expert knowledge navigates to a specific ocean using a vessel and directly inspects and samples the ocean to measure the state of inspec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그러나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은 비교적 그 숫자가 많지 않고 업무에 숙련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동시에 조사할 해역이 매우 넓고 해양은 기후변화가 심하여 안전 항해에도 매우 위협적인 동시에 선박으로 항해를 할 수 있는 날짜도 매우 제한적이므로 정작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조사 및 측정을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해양의 급속한 기후 변화 등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연속적인 조사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However, the number of people with expertise is relatively small and it takes a long time to be skilled at the same time, and the sea area to be investigated is very wide, and the ocean is severely threatened to safe voyage due to the severe climate change. Due to the very limited date, it is often difficult to make the necessary surveys and measurements. In addition, the continuous investigation in real time due to the rapid climate change of the ocean is very difficult reality.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양조사 방식은 매우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되고, 연구원 또는 전문인력의 체력과 기후 조건에 의하여 시간적으로 제한되는 동시에 필요한 시기에 실시간으로 조사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marine survey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very economically burdensome, and has been limited in time by the physical and climatic conditions of the researchers or specialists,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investigated in real time.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일부 개선한 것이 고정식 부이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부이(BUOY)는 계선부표(繫船浮漂)를 이야기하고, 해상의 특정 지역에 떠내려가지 않도록 고정되며 다양한 계측 및 관측장비를 구비하여, 바람, 기압, 기온, 습도, 수온, 파고, 유속 등이 포함되는 각종 해양환경 정보를 실시 간으로 취득하는 장점이 있다.Som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of installing a fixed buoy. BUOY talks about mooring buoys, is fixed not to float in a specific area of the sea, and it is equipped with various measuring and observing equipment, so that wind, air pressure, temperature, humidity, water temperature, digging, flow rate, etc. There is an advantage in obtaining various 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d in real time.

상기 부이는 지정된 특정 해상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정보를 취득하는 해역이 매우 제한적이고, 넓은 해역의 해양환경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서는 많은 해역에 부이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되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Since buoys are fixed on a specific specific sea, there are very limited sea areas for obtaining information, and in order to acquire 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in a large sea area, buoys need to be installed in many sea areas, which is economically burdensome. Still remains.

또한, 특정 해상에 고정되어 설치되므로 각종 부착생물이 기생하여 정밀한 고가 측정 장비들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훼손시키므로 주기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는 등과 같이 시간이 지날수록 측정된 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fixedly installed at a specific sea, various attached organisms are parasitic and degrade or degrade the performance of precise high-value measuring equipment, requiring periodic management, such as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information decreases over time and maintenance costs. This takes a lot of trouble and so on.

그러므로 넓은 해역을 적정한 비용으로 안전하게 무인 표류하며 해양 또는 해수 샘플을 수집하고 해양환경 정보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빈번히 발생하는 기름유출 사고로 인하여 효율적으로 해양유류오염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ique for safely and unattended drifting a large sea area at a reasonable cost, collecting marine or seawater samples, precisely measuring 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roviding in real tim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and a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monitoring the marine oil pollution situation due to frequent oil spill accidents.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표층(Surface Film)의 흐름을 관측하기 위하여, 연안역에서 저비용으로 운영하고, 실질적인 실시간 관측이 가능하고, 커버를 손쉽게 열어 간단히 스위치를 통해 시스템 전원을 ON/OFF 하거나, 접속단자를 두어 시스템의 셋팅 및 자료 다운로드가 용이하여 빠르게 시스템 업그레이드 또는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표류부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operate at low cost in the coastal area, real-time observation is possible, and to easily open the cov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wind and observe the flow of the surface film (Surface Film) It is to provide drifting buoys that can perform system upgrade or inspection quickly by easily turning on / off system power or setting connection terminal to download system and download data.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상반구와 하반구의 결합으로 몸체를 형성하는 표류형 부이에 있어서, 상기 하반구 내부 중심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상부에 위치하는 통신장치; 시스템 및 통신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MCU);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상반구 최상부 중앙에 돌출 연장되는 돌출관에 삽입되어 노출되는 접속 제어부; 및 상기 접속 제어부를 덮고, 개폐가 가능한 돔형 커버를 포함한다.A fir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drifting buoy to form a body by a combination of the upper and lower hemisphere, the battery locat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to supply power; A communication device located above the battery; A central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the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A connec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inserted into and exposed to a protruding tube that protrudes and extends in the center of the upper half of the upper hemisphere; And a domed cover covering the connection control unit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여기서, 상기 통신장치는 CDMA 이동통신 모듈, VHF 모듈 및 인공위성 통신 모듈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하반구 중심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원기둥 형태의 배터리 함체 및 상기 배터리 함체 내부에 삽입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mmunication device preferably includes any one of a CDM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VHF module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battery is a cylindrical battery housing fix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and the inside of the battery hous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attery inserted in.

또한, 바람직하게는 원형 링 형태로 상기 몸체의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함체를 고정지지하고, 상기 원형 링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반원 홈이 형성된 중심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배터리 상부에 위치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 상부 중앙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안테나와, 위치를 파악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the battery housing is fixed and supported, and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support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mi-circular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ring,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 modem positioned above the battery, an antenna positioned vertically at the center of the modem, and a GPS receiver for detecting a position.

또한,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전원을 강제로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 상기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외부 접속단자; 외부전원과 연결하여 상기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단자; 및 외부에 표시광을 표시할 수 있는 점멸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switch capable of forcibly turning on / off the power;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uploading or downloading a program of the system; A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the power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flashing light capable of displaying the display light to the outside.

더 나아가, 상기 커버는 투광형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합은 상기 상반구 및 하반구의 둘레에 연장된 결합 단부가 복수개의 볼트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돔형 커버는 상기 돌출관과 나사결합 형태의 개폐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cover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the coupling is preferably a coupling end extending around the upper and lower hemispheres are joined by a plurality of bolts, the dome-shaped cover and the protrusion tub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in the form of a screw.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해양 관측형 표류부이로서, 상반구와 하반구의 결합으로 몸체를 형성하는 표류형 부이에 있어서, 상기 하반구 최하부에 돌출 연장되어 해수면 하부에 수장되는 것으로, 해양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해양정보 센서부; 상기 센서부 상부에 위치하고, 하반구 내부 중심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상부에 위치하는 통신장치; 시스템 및 통신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MCU);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상반구 최상부 중앙에 돌출 연장되는 돌출관에 삽입되어 노출되는 접속 제어부; 및 상기 접속 제어부를 덮고, 개폐가 가능 돔형 커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rine observation type drifting buoy, a drifting buoy forming a body by combining the upper and lower hemispheres, which protrudes at the bottom of the lower hemisphere and is stored under the sea surface, and is physically stored in the ocean. Or a marine information sensor unit capable of measuring chemical information; A battery positioned above the sensor unit and positioned at an inner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to supply power; A communication device located above the battery; A central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the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A connec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inserted into and exposed to a protruding tube that protrudes and extends in the center of the upper half of the upper hemisphere; And a domed cover covering the connection control unit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여기서, 상기 통신장치는 CDMA 이동통신 모듈, VHF 모듈 및 인공위성 통신 모듈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하반구 중심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원기둥 형태의 배터리 함체 및 상기 배터리 함체 내부에 삽입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mmunication device preferably includes any one of a CDM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VHF module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battery is a cylindrical battery housing fix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and the inside of the battery hous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attery inserted in.

또한, 바람직하게는 원형 링 형태로 상기 몸체의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함체를 고정지지하고, 상기 원형 링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반원 홈이 형성된 중심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배터리 상부에 위치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 상부 중앙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안테나와, 위치를 파악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the battery housing is fixed and supported, and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support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mi-circular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ring,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 modem positioned above the battery, an antenna positioned vertically at the center of the modem, and a GPS receiver for detecting a position.

더하여,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전원을 강제로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 상기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외부 접속단자; 외부전원과 연결하여 상기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단자; 및 외부에 표시광을 표시할 수 있는 점멸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버는 투광형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controller may include a switch for forcibly turning on / off the power;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uploading or downloading a program of the system; A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the power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lashing light that can display the display light on the outside, the cover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한편, 상기 결합은 상기 상반구 및 하반구의 둘레에 연장된 결합 단부가 복수개의 볼트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돔형 커버는 상기 돌출관과 나사결합 형태의 개폐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oupling end extending around the upper hemisphere and the lower hemisphere with a plurality of bolts, and the dome-shaped cover is preferably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protrusion tube and screwing type.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공하면,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표층(Surface Film)의 흐름을 관측하기 위하여, 연안역에서 저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wind and to observe the flow of the surface (Surface Fil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operated at a low cost in the coastal area.

또한, 실질적인 실시간 관측이 가능하고, 커버를 손쉽게 열어 간단히 스위치를 통해 시스템 전원을 ON/OFF 하거나, 간단한 접속단자를 두어 시스템의 셋팅 및 자료 다운로드가 용이하여 빠르게 시스템 업그레이드 또는 점검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real-time observation is possible, and the cover can be easily opened to simply turn on / off the system power through a switch, or a simple connection terminal can be used to easily set up the system and download data.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류형 부이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류형 부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류형 부이에서 접속 제어부와 돔형 커버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control unit and the dome cover in 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류형 부이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류형 부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류형 부이에서 접속 제어부(400)와 돔형 커버(500)를 분해한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nection control unit 400 in 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d the domed cover 50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류형 부이는 상반구(200)와 하반구(100)의 결합으로 몸체를 형성하는 표류형 부이에 있어서, 상기 하반구(100) 내부 중심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상부에 위치하는 통신장치; 시스템 및 통신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330)(MCU);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상반구(200) 최상부 중앙에 돌출 연장되는 돌출관(250)에 삽입되어 노출되는 접속 제어부(400); 및 상기 접속 제어부(400)를 덮고, 개폐가 가능한 돔형 커버(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1 to 3, 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fting buoy forming a body by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hemisphere 200 and the lower hemisphere 100, the inner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100 A battery located at the power supply; A communication device located above the battery; A central control unit 330 (MCU) for controlling the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A connection control unit 400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inserted into and exposed to a protruding tube 250 protruding and extending in a center of an uppermost part of the upper hemisphere 200; And a dome-shaped cover 500 covering the connection controller 400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본원 발명의 표류형 부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반구(200)와 하반구가 결합되는 구형 몸체로 형성된 구조이고, 상반구(200)의 상부 중앙에 돌출되어 연장된 돌출관(250)을 통하여 외부에서 손쉽게 전원을 제어하거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접속제어부가 삽입되어 노출되고, 상기 접속 제어부(400)를 돔형의 커버(500)로 용이하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은 상반구(200) 및 하반구(100)의 둘레에 연장된 결합 단부(120,220)가 복수개의 볼트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안정되고 강화된 결합을 위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rifting buo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ormed of a spherical body coupled to the upper hemisphere 200 and the lower hemisphere, and protrudes through the protruding tube 250 extending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upper hemisphere 200. In order to be able to easily control the power supply or attempt to connect from the outside, the connection controller is inserted and exposed, and the connection controller 400 is configured to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the dome-shaped cover 500. Here, the coupling is preferably the coupling end portion 120, 220 extending around the upper hemisphere 200 and the lower hemisphere 100 is bonded by a plurality of bolts. This is because it is a structure for more stable and strengthened bonding.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반구(100)는 표류부이가 해상에 띄워져 있는 경우, 수장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시스템 전체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된다. 배터리의 수납은 배터리 함체(310)를 통해 고정 수납되고, 배터리의 무게로 인하여 구형상의 표류부이의 중심을 잡아주는 중심잡이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lower hemisphere 100 is a part that is stored when the drift buoy is floating on the sea,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entire system is stored therein. The storage of the battery is fixedly received through the battery housing 310, and also serves as a center grip for holding the center of the spherical drifting por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battery.

해상에 표류하다 보면 다양한 환경(태풍 등)이나 다른 물체(배 등)에 충돌하여 표류부이가 전복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접속단자(430)가 해수에 노출되는 경우, 시스템이 파손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표류부이가 해상에서 중심을 잡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가장 무거운 배터리를 하반구(100) 내부 중심에 위치 고정시키게 되면, 무게 중심의 하부중심으로 쏠리게 되므로, 외부의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서도 항상 중심을 잡을 수 있게 된다.Drifting on the sea may cause damage to the system if the connection terminal 430 exposed to the sea is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collision with various environments (typhoons) or other objects (ships, etc.).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drifting buoys to be centered at sea.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viest battery is fixed to the inner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100, the center of gravity is direct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center of gravity.

여기서, 본원 발명에서 배터리를 하부 중심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함체(310)와, 상기 배터리 함체(310)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중심에 고정시켜 주는 원형 링 형태의 중심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배터리 함체(310)는 원통형으로 반구의 내부 둘레와 대칭적으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형상이다. 배터리 함체(310)와 하반구(100)의 내부들레를 접촉하여 고정시키는 원형 링 형태의 중심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한다. 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fixing the battery in the lower center, as shown in Figure 2, the battery housing 310 and the battery housing 310 is of a circular ring shape to fix the center at a constant interval It comprises a central support. The battery enclosure 310 is cylindrical and shaped to be spac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emisphere. It further comprises a central support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for contacting and fixing the inner housing of the battery housing 310 and the lower hemisphere 100.

중심 지지부는 상기 배터리 함체(310)와 하반구(100)의 내부면 사이에 끼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원형 링은 상기 함체와 내부면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여 배터리를 비롯한 내부장치가 외부의 충격에도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즉 시스템 전체의 고정 지지부가 되는 것이다.A central support is fixed between the battery housing 3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emisphere 100. Such a circular ring is an important factor for allowing the internal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to be fixed without shaking by equaliz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inner surface. That is, it becomes a fixed support of the whole system.

그리고, 상기 중심 지지부의 둘레면 외측에는 복수개의 반원형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표류부이의 내부 장치를 조립하는 경우 하반구(100) 내부에 삽입된 배터리 함체(310) 또는 각종의 장치를 분해하는 경우 오픈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반원형 홈이 오픈 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emi-circular grooves are formed outsid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support, which is a battery housing 310 or various devices inserted into the lower hemisphere 100 when assembling the inner device of the drifting buoy.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disassembly, a space that can be held by a hand must be formed in order to open the semicircular groove, and when the semicircular groove is opened, the handle can serve as a handle.

그리고,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인 통신장치는 상기 배터리 상부에 위치하는 모뎀(320)과, 모뎀(320)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진 안테나(325)와, 표류부이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In addition, a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a core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m 320 positioned above the battery, an antenna 325 vertical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odem 320, and a GPS receiver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drifting buoy. Consists of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른 표류부이는 바다의 해수유동에 따라 표류하면서 실시간(혹은 준실시간)으로 위치정보 및 기타 해양관측정보를 전송하여 해수 유동의 특성과 기타 해양관측정보 수집 목적으로, 위치정보 및 해양관측정보의 실시간 전송을 위하여 CDMA, VHF 혹은 인공위성 통신을 활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and other marine observ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or near real time) while drifting according to the sea water flow of the sea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eawater flow and other marine observ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marine observation. It is a device that can be monitored by using CDMA, VHF or satellite communication for real-tim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장치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표층(Surface Film)의 흐름을 관측하기 위하여, 연안역에서 저비용으로 표류부이를 운영할 수 있도록, VHF모뎀(320), 인공위성 및 CDMA 무선데이터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표류부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해 GPS 수신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munication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VHF modem 320, satellite and CDMA radio data module to operate the drift buoy at low cost in the coastal area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wind and observe the flow of the surface film. It is preferable to use including.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GPS receive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rifting buoy in real tim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표류부이는 기본적으로 관측시간, 위치정보 (위경도, WGS-84), 속도 및 방향뿐만 아니라 축전지 전압, 소모전류 및 운영 가능시간, GPS 관련 정보 (GPS 수신 위성 개수 및 GPS 신호상태 정보) 및 CDMA 등 무선모듈의 관련 정보 (CDMA의 경우 신호강도, 잡음대신호비 등) 등을 송신하여 중앙 관제소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not only observation time, position information (latitude and longitude, WGS-84), speed and direction, but also battery voltage, current consumption and operation time, GPS-related information (number of GPS receiving satellites and GPS). It transmits the signal status inform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of the wireless module such as CDMA (signal strength, noise-to-signal ratio, etc. in case of CDMA) so that it can be monitored at the central control station.

즉, 외부 중앙 관제소 등에서 통신모듈을 통해 표류부이의 상태정보 및 관측 시간 간격 등을 원격제어함으로써 양방향통신이 가능하고,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CDMA 무선모듈 통신의 경우 최소 5초 간격으로 관측자료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종래의 표류부이(관측전송주기: 30분~수 시간; Near Real-time) 보다 실질적인 Real time 관측 가능한 장점이 있다.That is, two-way communication is possible by remotely controll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observation time interval of the drifting buoy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t the external central control station, and the CDMA radio module communication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observation data at least 5 seconds apart. Because of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ctual real time can be observed than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drifting unit (observation transmission cycle: 30 minutes to several hours; Near Real-time).

그리고, 송신간격 이외에는 시스템 및 무선모뎀(320) 등을 Sleep 상태로 두어 소모전류를 최소화하여 장기간의 관측이 가능하도록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40AH Li-Polymer 배터리 사용의 경우 CDMA모뎀(320)은 14일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Sleep 상태로 두어 소모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interval, the system and the wireless modem 320 may be placed in a sleep state to minimize current consumption and to operate for a long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the 40AH Li-Polymer battery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DMA modem 320 can be used for 14 days, it is desirabl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leaving the Sleep state when not using communication. Do.

그리고, GPS 수신장치(323)는 다수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해발(sea level) 및 시간 정보를 검출하여 중앙 제어장치(MCU)에 인가하고, 상술한 각종 위치정보를 외부의 중앙 관제소 또는 해양센터로 실시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해상정보의 취득과 함께 상기 표류부이의 이동경로 및 속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GPS receiver 323 analyzes signal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to detect latitude, longitude, sea level, and time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thereby detecting a central controller (MCU).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various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to an external central control center or a marine center,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movement route and speed of the drifting buoy with the acquisition of various marine information.

본 발명에서는 통신방법으로 CDMA 통신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해안 근처에 다수의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해안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인근 해양에서 실시간으로 양질의 통신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CDMA communication module as a communication method, since it is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near the coast, so that high quality communication can be used in real time in a nearby ocean tens of kilometers away from the coas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코드분할 다중 접속방법으로 휴대전화와 같은 이동통신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방법으로,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를 동시에 사용하고 각 송신자의 통화에 특별한 확산코드를 더하여 주파수 대역을 넓혀 송신하며, 부여된 코드에 따라 수신측에서도 부여된 것과 동일한 코드에 의해 자기에게 오는 통화를 구별해 내는 방식이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i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pplied to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a cellular phone. It is a method of widening the transmission and distinguishing the call coming to itself by the same code as that given at the receiving side according to the assigned code.

CDMA의 특징은 첫째, 아날로그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에 비해 대역폭당 사용자 채널을 최대 10~20배 증가시킬 수 있고, 둘째, 송신주파수가 광대역이므로 다중 경로 신호에 의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에 강하며, 셋째, 비화성이 확보된다. The characteristics of CDMA are as follows: First, it can increase user channel per bandwidth up to 10 ~ 20 times compared to analog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Second, because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wideband, it is strong in frequency selective fading by multipath signal. Third, non-flammability is ensured.

이와 같이 기존 방식보다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대용량이므로 서비스 지역의 광역화에 따른 셀 수의 감소와 주파수 계획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을 갖는 CDMA 통신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안지역에서 활용하기 위한 표류부이의 통신장치는 CDMA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uch, since the subscriber capacity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number of cells and the frequency planning are simple due to the wider service area. In order to use the CDMA communication method having such an advantage,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drift buoy for use in the coasta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CDMA communication modu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류부이의 구성요소 중 접속 제어부(40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반구(200)의 상부 중앙에는 원통관이 돌출 연장되어 있고, 이와 같은 돌출관(250)을 통해 접속 제어부(400)를 삽입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도 2와 연관하여 살펴보면 상기 돌출관(250)은 안테나(325)가 표류부이의 상부에 수직으로 직립 장착이 용이하도록 상반구(200)에 연장되어 돌출된 구조이다.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nection control unit 400 of the components of 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 cylindrical tube protrudes and extends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upper hemisphere 200, and the connection control unit 400 is inserted and exposed through the protrusion tube 250. Referring to FIG. 2, the protruding pipe 25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ntenna 325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hemisphere 200 so that the antenna 325 can be vertically mounted to the top of the drifting buoy.

그리고, 상기 돌출관(250) 상부에 삽입되어 노출되도록 접속제어부를 위치시킨다. 접속 제어부(400)는 시스템 전원을 강제로 on/off 시킬 수 있는 스위치(420),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외부 접속단자(430), 외부전원과 연결하여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단자(440) 및 LED와 같은 점멸등(4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Then, the connection control unit is positioned so as to be inserted and exposed above the protruding tube 250. The connection control unit 400 is a switch 420 for forcibly turning on / off the system power,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430 for uploading or downloading a program of the system, and connecting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power. It comprises a charging terminal 440 and a flashing light 450 such as an LED.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접속제어부는 표류부이를 운행하다가 특별히 점검이 필요하거나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등, 전반적인 점검을 수행하는 경우에 시스템 전체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간단한 조작으로 빠른 충전 및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요소이다.The connection control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drifting buoys, and in particular, when performing an overall inspection, such as a special inspection or upgrading of a program, a quick charging and inspe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simple operation without disassembling the entire system. It is a key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외부에 노출되는 접속제어부를 덮고, 방수하기 위한 커버(500)로 개폐가 가능한 돔형 커버(500)를 사용한다. 돔형 커버(500)는 상기 돌출관(250)의 일면과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돌출관(250)의 외면과 돔형 커버(500) 하단 내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나사형 개폐구조는 손쉽게 개폐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잠금 기능이 우수하여 방수성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Then, a dome-shaped cover 500 that covers the connection control unit exposed to the outside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500 for waterproofing is used. Dome-shaped cover 500 is a screw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tube 250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ome-shaped cover 500 to be screwed with one surface of the protruding tube 250. Such a screw-typ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and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locking performance and excellent waterproof performance.

또한, 돔형 커버(500)는 투광형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속 제어부(400) 중앙부에 LED와 같은 점멸등(450)이 표시하여 외부로 표시광을 비추기 위해서는 투광성 재질이어야 하고, 외부의 충돌에 의한 갑작스런 충격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강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omed cover 50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reinforced plastic material. This is a flashing light 450 such as an L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control unit 400 to display the light to the outside to be transparent material, and can withstand a sudden impact due to external impact, for example, polycarbonate ( It is preferably a reinforced plastic material such as PC).

이처럼, 일반적인 종래의 표류부이는 표류부이 전체를 열거나 케이블 연결을 통하여 시스템을 ON/OFF하는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류부이는 상부에 위치한 접속 제어부(400)는 돔형 커버(500)를 손쉽게 열어 간단히 스위치(420)를 통해 시스템 전원을 ON/OFF 하거나, 접속단자(430)를 두어 시스템의 셋팅 및 자료 다운로드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drifting part opens the whole drifting part or turns on / off the system through a cable connection, the drif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nection control part 400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me cover 500. It is configured to simply turn on / off the system power through the switch 420, or to have a connection terminal 430 to facilitate the setting and download of the system.

본 발명은 개폐가 용이한 접속제어부를 활용함으로써 현장에서 표류부이를 준비 혹은 점검하는데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해양유류오염사고 및 조난자 수색 과정 중에서 사용되는 경우, 현장에서 쉽고 편리하게 시스템을 점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prepare or check the drift buoy in the field by utilizing the connection control unit that is easy to open and close. For example, when used during the marine oil pollution accident and the distress search process, there is a big advantage in that the system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ed on site.

또한, 본 발명의 접속 제어부(4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한 안테나(325) 및 I/O 단자를 위한 장치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기상관측센서 혹은 길이가 큰 안테나(32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로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control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support for supporting a simple antenna 325 and the device for the I / O terminal, as well as an additional meteorological sensor or a large antenna 325. 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s.

그리고, 접속 제어부(400)는 기능상의 편이성과 더불어 표류부이 자체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균형성(Balnce)를 유지시켜주는 목적도 있는데, 이는 중심 상단부에 소정의 무게를 갖는 접속제어부를 위치시킴으로써, 하반구(100)에 위치한 배터리의 무게와의 조합으로 삼각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control unit 400 also has a purpose of maintaining a balance (balance) in which the drift portion determines its stability as well as functional convenience, which is located by placing a connection control uni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t the center upper end, This is because the role of holding the triangular balance in combination with the weight of the battery located in the hemisphere (100).

더하여, 접속 제어부(4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점멸등(450)은 평상시 야간에는 위치확인 및 주변 운항 선박에게 주의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고, 표류부이를 인양할 경우, 인양선박(모선)의 위치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모선이 접근할 때 특수점멸 신호를 보내 위치확인 및 인양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lashing light 45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control unit 400 functions to check the position and warn the surrounding operating vessels at night, and when lifting the drifting buoy, It can automatically calculate the distance of the car and send a special flashing signal when the bus is approaching to assist in positioning and lifting.

여기서, 거리 계산은 표류부이의 위치와 모선의 위치를 중앙 관제소에서 계산하여 거리가 일정거리 이내로 들어오면 특수점멸신호를 표류부이가 나타낼 수 있도록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자동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distance calculation may be remotely controlle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special flashing signal can be displayed by the drifting buoy when the distance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drifting buoy and the position of the mothership at the central control sta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는 도 1에서 예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해양정보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해양정보 센서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further includes a marine information sensor unit. 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marine information sensor is the sam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표류부이는 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해양관측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온, 염분 및 유분농도 등 관측센서를 반구 하단부에 설치 구성하여 위치정보와 함께 해양관측시스템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stall observation sens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oil concentration at the lower end of the hemisphere in order to use for ocean observation as well as position information to perform a function as a marine observation system with posi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표류부이는 하반구(100)가 수장되어 있기 때문에, 하반구(100)의 중앙 하부에 다양한 해양정보 센서를 장착하게 되면, 해 표면의 흐름, 기름유출사고에 의한 유류의 유분관측 등 해 표면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drifting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hemisphere 100 stored therein, when various marine information sensors are mount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100, the oil flow is observed due to the flow of the sea surface and the oil spill accident. It will be possible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on the surface.

특히, 유류오염 사고 발생시 유분관측센서를 설치하여 유류오염이 발생하여 확산되는 정보를 위치, 속도, 방향 등의 정보와 함께 유분 농도를 측정하여 유류오염에 적극적인 대처를 할 수 있고, 유분 관측은 형광특성을 이용한 광학센서를 설치하여 최소한의 공간에서 유분 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case of an oil pollution accident, an oil sensor can be install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oil along with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speed, and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ecisely measure the oil concentration in the minimum space by installing the optical sensor using the characteristic.

또한, 태풍 관측용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표류부이 상단의 접속 제어부(400) 부분에 기압관측센서를 설치하여 태풍 이동경로에 따른 기압의 변화와 이동 위치정보 등을 관측하여 실시간 전송토록 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도시하지 않음)
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for typhoon observa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on the connection control unit 400 at the upper part to observe the change in air pressure and moving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hoon movement path and transmit it in real time. (Not shown)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owns it can easily find out.

100: 하반구, 200: 상반구, 230: 볼트, 250: 돌출관, 310: 배터리 함체,
320: 모뎀, 330: 중앙 제어 장치(MCU), 323: GPS 수신장치, 325: 안테나
350: 중심 지지부, 400: 접속 제어부, 410: 기판, 420: 스위치,
430: 접속단자, 440: 충전단자, 450: 점멸등, 500: 돔형 커버
100: lower hemisphere, 200: upper hemisphere, 230: bolt, 250: protrusion tube, 310: battery compartment,
320: modem, 330: central control unit (MCU), 323: GPS receiver, 325: antenna
350: center support part, 400: connection control part, 410: substrate, 420: switch,
430: connection terminal, 440: charging terminal, 450: flashing light, 500: dome type cover

Claims (18)

상반구와 하반구의 결합으로 몸체를 형성하는 표류형 부이에 있어서,
상기 하반구 내부 중심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상부에 위치하는 통신장치;
시스템 및 통신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MCU);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상반구 최상부 중앙에 돌출 연장되는 돌출관에 삽입되어 노출되는 접속 제어부; 및 상기 접속 제어부를 덮고, 개폐가 가능한 돔형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전원을 강제로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와, 상기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외부 접속단자와, 외부전원과 연결하여 상기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단자와, 외부에 표시광을 표시할 수 있는 점멸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표류형 부이.
In the drifting buoy to form a body by combining the upper and lower hemispheres,
A battery positioned at an inner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to supply power;
A communication device located above the battery;
A central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the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A connec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inserted into and exposed to a protruding tube that protrudes and extends in the center of the upper half of the upper hemisphere; And covering the connection control, including a domed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connec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switch for forcibly turning on / off the power,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for uploading or downloading a program of the system,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power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Drift buoy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ashing light that can display the display light on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CDMA 이동통신 모듈, VHF 모듈 및 인공위성 통신 모듈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형 부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 drifting buoy comprising any one of a CDM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VHF module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modu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하반구 중심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원기둥 형태의 배터리 함체 및
상기 배터리 함체 내부에 삽입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형 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attery is a cylindrical battery housing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and
A drifting buoy comprising a battery inserted into the battery enclosure.
제3항에 있어서,
원형 링 형태로 상기 몸체의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함체를 고정지지하고, 상기 원형 링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반원 홈이 형성된 중심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형 부이.
The method of claim 3,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a drifting buoy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support for holding the battery housing, the plurality of semi-circular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r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배터리 상부에 위치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 상부 중앙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안테나와,
위치를 파악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형 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mmunication device,
A modem located above the battery;
An antenna positioned vertically in the upper center of the modem;
A drifting buoy comprising a GPS receiver for positioning.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광형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형 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ver is a drifting buo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transmissive reinforced plastic materi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상기 상반구 및 하반구의 둘레에 연장된 결합 단부가 복수개의 볼트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형 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upling is a drifting buo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end extending around the upper and lower hemisphere is joined by a plurality of bolt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커버는 상기 돌출관과 나사결합 형태의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형 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ome-shaped cover is a drifting buoy,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rotrusion tube and the screw can be opened.
상반구와 하반구의 결합으로 몸체를 형성하는 표류형 부이에 있어서,
상기 하반구 최하부에 돌출 연장되어 해수면 하부에 수장되는 것으로, 해양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해양정보 센서부;
상기 센서부 상부에 위치하고, 하반구 내부 중심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상부에 위치하는 통신장치;
시스템 및 통신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MCU);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상반구 최상부 중앙에 돌출 연장되는 돌출관에 삽입되어 노출되는 접속 제어부; 및
상기 접속 제어부를 덮고, 개폐가 가능한 돔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양 관측형 표류부이.
In the drifting buoy to form a body by combining the upper and lower hemispheres,
A marine information sensor unit which protrudes at the lowermost half of the lower hemisphere and is stored under the sea surface and can measure physical or chemical information of the ocean;
A battery positioned above the sensor unit and positioned at an inner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to supply power;
A communication device located above the battery;
A central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the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A connec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inserted into and exposed to a protruding tube that protrudes and extends in the center of the upper half of the upper hemisphere; And
A marine observation type drifting unit covering the connection control unit, the dome-shaped cov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CDMA 이동통신 모듈, VHF 모듈 및 인공위성 통신 모듈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형 표류부이.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mmunication apparatus is a marine observation type drifting unit comprising any one of a CDM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VHF module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module.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하반구 중심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원기둥 형태의 배터리 함체 및
상기 배터리 함체 내부에 삽입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형 표류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battery is a cylindrical battery housing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and
An ocean observation type drifting unit comprising a battery inserted into the battery housing.
제12항에 있어서,
원형 링 형태로 상기 몸체의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함체를 고정지지하고, 상기 원형 링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반원 홈이 형성된 중심 지지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형 표류부이.
The method of claim 12,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the marine observation type drift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support for holding the battery housing, the plurality of semi-circular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ring.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배터리 상부에 위치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 상부 중앙에 위치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안테나와,
위치를 파악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형 표류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communication device,
A modem located above the battery;
An antenna positioned vertically in the upper center of the modem;
A marine observation type drifting unit comprising a GPS receiver for detecting a position.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전원을 강제로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
상기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외부 접속단자;
외부전원과 연결하여 상기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단자; 및
외부에 표시광을 표시할 수 있는 점멸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형 표류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connection control unit,
A switch capable of forcibly turning on / off the power;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uploading or downloading a program of the system;
A charging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the power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ocean observation type drifting unit comprising a flashing light capable of displaying a display light to the outside.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광형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형 표류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cover is a marine observation type drif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transparent reinforced plastic material.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상기 상반구 및 하반구의 둘레에 연장된 결합 단부가 복수개의 볼트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형 표류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coupling is marine observation type drif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end extending around the upper and lower hemisphere is joined by a plurality of bolts.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커버는 상기 돌출관과 나사결합 형태의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형 표류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dome-shaped cover is a marine observation type drif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rotrusion tube and the screw can be opened.



KR1020100109016A 2010-11-04 2010-11-04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KR101025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016A KR101025931B1 (en) 2010-11-04 2010-11-04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016A KR101025931B1 (en) 2010-11-04 2010-11-04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931B1 true KR101025931B1 (en) 2011-03-30

Family

ID=4393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016A KR101025931B1 (en) 2010-11-04 2010-11-04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931B1 (en)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68B1 (en) 2011-09-30 2012-03-06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Built-in observatories type void sphere buoy for oceanographic observation
KR101167685B1 (en) 2012-01-04 2012-07-20 오션테크 주식회사 Ocean observing buoy
KR101174117B1 (en) 2011-04-25 2012-08-16 주식회사 이건창호 Buoy with dye-sensitized solar cell system and solar power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285139B1 (en) 2013-05-15 2013-07-11 주식회사 유투스 Barometer module assembly for marine observation buoy
KR101380912B1 (en) * 2013-03-04 2014-04-02 최형욱 Ocean current observing buoy apparatus
KR101469070B1 (en) * 2013-12-12 2014-12-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ybrid sensor for flowing fluid and flowing fluid monitoring system using it
KR101559491B1 (en) * 2015-07-01 2015-10-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Drifter buoy
WO2015194688A1 (en) * 2014-06-19 2015-12-23 (주)케이스포유 Gps and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floating voyage capsule for measuring flow line and flow rate
KR101645240B1 (en) 2015-12-11 2016-08-03 한국기상산업진흥원 Ocean observation buoy with indirect mooring type
KR101742313B1 (en) * 2015-12-02 2017-06-15 지마텍 주식회사 Drifting buoys that observe the flow of coastal waters
US9709396B2 (en) * 2015-09-25 2017-07-18 Metocean Telematics Limited Air deployable ocean drifter buoy
KR101880695B1 (en) * 2018-05-02 2018-07-20 (주)미래해양 Automatic mooring mount for marine observation equipment
CN109292044A (en) * 2018-10-22 2019-02-01 国家***第二海洋研究所 A kind of safety assisting system of ocean data buoy
KR102127515B1 (en) 2019-03-05 2020-06-26 주식회사 이트랜씨엔씨 Smart buoy for ocean observation
KR20210000064A (en) 2019-06-24 2021-01-04 (주)유비바다 Buoy for monitoring environments of the sea
KR102206403B1 (en) * 2019-09-17 2021-01-22 선두전자(주) A transmitter for smart buoy, smart buoy and smart buoy system
KR20220040176A (en) 2020-09-23 2022-03-30 (주)대한엔지니어링 Data Processing Device for Wave-going Buoy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4578449A (en) * 2022-03-04 2022-06-03 重庆交通大学 Underground river hydrogeology detection ball
CN115367052A (en) * 2022-08-13 2022-11-22 山东广为海洋科技有限公司 Maintenance-free water sample collecting buoy for marine environment shore-based monitoring system
CN117382811A (en) * 2023-10-19 2024-01-12 河北省张家口水文勘测研究中心 Novel hydrologic test buoy device and system
KR102660146B1 (en) * 2023-10-04 2024-04-24 대한민국 Mounting device of signal checking apparatus for unmanned marine observation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814A (en) * 1996-09-19 1998-04-07 Hakko Denki Kk Float
KR20050102731A (en) * 2004-04-21 2005-10-2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Buoy for oceanographic observ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814A (en) * 1996-09-19 1998-04-07 Hakko Denki Kk Float
KR20050102731A (en) * 2004-04-21 2005-10-2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Buoy for oceanographic observation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117B1 (en) 2011-04-25 2012-08-16 주식회사 이건창호 Buoy with dye-sensitized solar cell system and solar power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121568B1 (en) 2011-09-30 2012-03-06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Built-in observatories type void sphere buoy for oceanographic observation
KR101167685B1 (en) 2012-01-04 2012-07-20 오션테크 주식회사 Ocean observing buoy
KR101380912B1 (en) * 2013-03-04 2014-04-02 최형욱 Ocean current observing buoy apparatus
KR101285139B1 (en) 2013-05-15 2013-07-11 주식회사 유투스 Barometer module assembly for marine observation buoy
KR101469070B1 (en) * 2013-12-12 2014-12-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ybrid sensor for flowing fluid and flowing fluid monitoring system using it
WO2015194688A1 (en) * 2014-06-19 2015-12-23 (주)케이스포유 Gps and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floating voyage capsule for measuring flow line and flow rate
KR101559491B1 (en) * 2015-07-01 2015-10-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Drifter buoy
US9709396B2 (en) * 2015-09-25 2017-07-18 Metocean Telematics Limited Air deployable ocean drifter buoy
KR101742313B1 (en) * 2015-12-02 2017-06-15 지마텍 주식회사 Drifting buoys that observe the flow of coastal waters
KR101645240B1 (en) 2015-12-11 2016-08-03 한국기상산업진흥원 Ocean observation buoy with indirect mooring type
KR101880695B1 (en) * 2018-05-02 2018-07-20 (주)미래해양 Automatic mooring mount for marine observation equipment
CN109292044B (en) * 2018-10-22 2023-08-18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Safety auxiliary system of ocean data buoy
CN109292044A (en) * 2018-10-22 2019-02-01 国家***第二海洋研究所 A kind of safety assisting system of ocean data buoy
KR102127515B1 (en) 2019-03-05 2020-06-26 주식회사 이트랜씨엔씨 Smart buoy for ocean observation
KR20210000064A (en) 2019-06-24 2021-01-04 (주)유비바다 Buoy for monitoring environments of the sea
KR102206403B1 (en) * 2019-09-17 2021-01-22 선두전자(주) A transmitter for smart buoy, smart buoy and smart buoy system
KR20220040176A (en) 2020-09-23 2022-03-30 (주)대한엔지니어링 Data Processing Device for Wave-going Buoy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4578449A (en) * 2022-03-04 2022-06-03 重庆交通大学 Underground river hydrogeology detection ball
CN114578449B (en) * 2022-03-04 2024-04-26 重庆交通大学 Underground river hydrogeology condition detection ball
CN115367052A (en) * 2022-08-13 2022-11-22 山东广为海洋科技有限公司 Maintenance-free water sample collecting buoy for marine environment shore-based monitoring system
KR102660146B1 (en) * 2023-10-04 2024-04-24 대한민국 Mounting device of signal checking apparatus for unmanned marine observation apparatus
CN117382811A (en) * 2023-10-19 2024-01-12 河北省张家口水文勘测研究中心 Novel hydrologic test buoy device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931B1 (en) Drift buoy for marine observation
CN203561360U (en) Ecological buoy monitoring system
KR20120042230A (en) Monitoring system of a fishing net
CN105092810A (en) Intelligent multiparameter-monitoring buoy device
CN103342153B (en) A kind of sounding buoy of spilled-oil tracking under water system of tracking and early warning semi-submersible oil
Jannasch et al. The Land/Ocean Biogeochemical Observatory: A robust networked mooring system for continuously monitoring complex biogeochemical cycles in estuaries
KR20050102731A (en) Buoy for oceanographic observation
Subbaraya et al. Circling the seas: Design of Lagrangian drifters for ocean monitoring
CN207866811U (en) Water body nuclear radiation automatic monitoring warning buoyage
CN204882535U (en) Intelligence multi -parameter monitoring buoyage
US20210223041A1 (en) Sensor and telemetry unit (stu) adapted for securable coupling to a floating object or buoyant aid to navigation (aton) to operate as a selectively deployable ocean data acquisition system (odas)
RU130290U1 (en) AUTONOMOUS POSITIONAL STATION FOR WATER SENSING
CN109246641A (en) A kind of deep-sea fishing breeding water body tour gauging system based on Beidou communication system
WO2003062044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nderwater conditions
CN211196528U (en) Buoy for observing drifting of offshore surface layer
CN102889946A (en) Device for sensing and measuring temperature and salinity of water body on surface layer
Nam et al. Application of real-time monitoring buoy systems for physical and biogeochemical parameters in the coastal ocea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KR101197753B1 (en) monitoring apparatus of a fishing net
RU2485447C1 (en) Double-medium research and navigation complex with system of provision of accurate navigational referencing for underwater mobile technical objects
CN211167298U (en) Ocean information comprehensive online monitoring buoy system
CN109133364A (en) It can the mobile artificial ecological system of remote automatic control
CN211000798U (en) Amphibious sampling monitoring boat
CN203567902U (en) Underwater oil spillage tracking and detecting buoy system capable of semi-submersible oil tracking and pre-warning
TWM530407U (en) Buoy structure improvement of marine meteorological observation operation
US11939030B1 (en) Marine information integrated online monitoring buo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