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504B1 - Vibrator Using Compressed Air - Google Patents

Vibrator Using Compressed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504B1
KR101025504B1 KR1020080121758A KR20080121758A KR101025504B1 KR 101025504 B1 KR101025504 B1 KR 101025504B1 KR 1020080121758 A KR1020080121758 A KR 1020080121758A KR 20080121758 A KR20080121758 A KR 20080121758A KR 101025504 B1 KR101025504 B1 KR 10102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hole
cylinder
piston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3298A (en
Inventor
이경운
Original Assignee
이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운 filed Critical 이경운
Priority to KR102008012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504B1/en
Publication of KR20100063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2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wherein the vibrator is actuated by pressur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시 소음을 자체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제1구간(5)과 제2구간(7)으로 구성되는 실린더(1); 상기 제1구간(5)을 향해 개방되는 공기유입홀(11); 일단은 상기 제1구간(5)으로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은 상기 제2구간(7)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실린더(1)의 벽체 내부에 마련되는 댐핑홀(15); 헤드부(17)와 로드부(19)로 구성되는 피스톤(3); 일단은 상기 공기유입홀(11)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은 상기 제1구간(5)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1분배홀(23); 일단은 상기 댐핑홀(15)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은 상기 제1구간(5)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2분배홀(25); 일단은 상기 실린더(1) 외부의 외기를 향해 개방되며 타단은 상기 댐핑홀(15)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배기홀(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generator using compressed air, which can attenuate noise itself during operation. Its configuration is a cylinder (1) consisting of a first section (5) and the second section (7); An air inlet hole 11 that opens toward the first section 5; A damping hole (15) having one end selectively opened to the first section (5) and the other end provided inside the wall of the cylinder (1) to open to the second section (7); A piston 3 composed of a head portion 17 and a rod portion 19; A first distribution hole 23 one end of which is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air inlet hole 11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first section 5; A second distribution hole 25 one end of which is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damping hole 15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first section 5; One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haust hole 27 which is open toward the outside air outside the cylinder 1 and the other end is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damping hole 15.

진동, 발생, 컴프레서, 공압, 에어, 피스톤, 실린더, 소음기, 머플러, 완충 Vibration, Generation, Compressor, Pneumatic, Air, Piston, Cylinder, Silencer, Muffler, Shock Absorber

Description

압축공기를 이용한 진동발생기{Vibrator Using Compressed Air}Vibration generator using compressed air {Vibrator Using Compressed Air}

본 발명은 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에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피스톤이 전후로 반복 운동하여 피스톤에 결합된 물체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작동시 소음을 자체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ion generator that allows the piston to vibrate back and forth by virtue of the air pressure flowing into the cylinder to vibrate an object coupled to the piston and to attenuate the noise itself during operation. It is about.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진동발생기는 컴프레서에서 발생된 공기압을 공급받아 일정구간에서 왕복 피스톤운동을 하게 하며 이를 이용하여 특정 부위에 진동 또는 충격을 가하기 위한 기계적 장치이다. 도 12는 종래 본 발명자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으로부터 특허등록을 받은 특허등록 제10-0357699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chanical device for applying the air pressure generated in the compressor to the reciprocating piston movement in a certain section to apply a vibration or shock to a specific portion using this.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357699, which has been patented by the Korean Patent Office. A brief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2 is as follows.

피스톤(100)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가압슬라이드부(120)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로드부(110)와 같이 2단으로 구성된다. 피스톤의 종방향으로는 상기 가압슬라이드부(12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로드부(110)의 일정지점까지 통하도록 공기안내홀(150)이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의 횡방향으로는 공기안내홀(150)로부터 연 장되어 로드부(110)의 외측면으로 통하는 공기유입홀(130)이 마련된다. The piston 100 is composed of two stages, such as the pressure slide unit 120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the rod unit 110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n air guide hole 150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ston so as to pas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slide part 120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rod part 110, and an air guide hole 15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iston. The air inlet hole 130 extending from the through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d 110 is provided.

실린더(200)는 그 내경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00)의 가압슬라이드부(120)가 밀착하여 삽입되는 직경의 제1내경부 및 로드부(110)가 밀착하여 삽입되는 직경의 제2 내경부로 구성되되, 외부의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212)은 상기 제1내경부 해당되는 실린더(200) 측벽에 관통 형성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공(232)은 제2내경부에 해당되는 실린더(200) 측벽에 관통 형성된다. The cylinder 200 has, in its inner diameter, a first inner diameter part of a diameter into which the pressure slide part 120 of the piston 100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and a second inner diameter part of a diameter into which the rod part 110 is in close contact. Consists of the air inlet hole 212 is introduced into the compressed air from the outside is formed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cylinder 2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the air discharge hole 232 is discharged air is the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It is formed through the cylinder 200 corresponding to the side wall.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진동시 충격파에 의한 소음이 생긴다는 것이며, 이를 방지하고자 진동발생기에 소음기(muffler)를 별도로 부착하여 사용해왔다. 그러나 소음기를 별도로 부착함에 의해 진동발생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와 단가상승의 문제가 부수적으로 발생하였다. The problem in the prior art is that the noise generated by the shock wave during vibra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has been used to attach a muffler (muffler) separately to the vibration generator. However, by attaching the silencer separately, the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vibration generator increases and the unit cost rises incidentally.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한 장소에 적용 가능하며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진동발생기를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자체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진동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problem is to provide a vibration generator that is applicable to a narrow place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vibrate only the necessary portion. More specificall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bration generator capable of self-attenuating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위와 같은 목적은,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는 제1구간과, 상기 제1구간과 연속되되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제2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구간의 끝이 밀폐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제1구간을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벽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입홀; 일단은 상기 제1구간으로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은 제2구간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벽체 내부에 마련되는 댐핑홀;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first sect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inner diameter, and a second section continuous with the first section and having a relatively small inner diameter, the end of the first section of the cylinder is sealed; An air inlet hole formed through the wall of the cylinder to open toward the first section; A damping hole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ylinder so that one end is selectively opened to the first section and the other end is opened to the second section;

상기 실린더에 끼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을 겪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구간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헤드부와 상기 제2구간 전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로드부로 구성되는 피스톤; 일단은 상기 공기유입홀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은 상기 제1구간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1분배홀; 일단은 상기 실린더 외부의 외기를 향해 개방되며 타단은 상기 댐핑홀을 향해 개방되는 배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진동발생기에 의해 달성된다. A piston which is fitted to the cylinder and undergoes a reciprocating mo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piston comprising a head part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ection and a rod part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second section; A first distribution hole having one end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air inlet hole and the other end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first section; One end is opened to the outside air outside the cylinder and the other end is achieved by a vibration generator using compressed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haust hole opening toward the damping hole.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일단은 상기 댐핑홀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은 상기 제1구간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2분배홀이 더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may be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damping hole and the other en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distribution hole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first sec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댐핑홀은 상기 실린더 벽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되, 각 댐핑홀이 서로 소통되도록 하여 댐핑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damping hole is formed in a plural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wall, it characterized in that each damping ho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damping room.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작동공기의 분배가 적절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피스톤의 실린더 내에서의 왕복운동이 보다 유연하며, 상 기 댐핑홀에 의해 공기의 급속한 팽창에 의한 소음이 극히 감쇄되며, 피스톤과 실린더의 물리적 충격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진동발생기가 제공된다. 피스톤의 후단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물을 설치하게 되면 해당 목적물에 반복적 충격을 가해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진동발생기 자체에 소음기가 별도로 부착되지 않아도 되므로 더욱 소형으로 진동발생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of the working air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pressure is applied makes the reciprocating motion in the cylinder of the piston more flexible, and the noise caused by the rapid expansion of air by the damping hole A vibration generator is provided which is extremely attenuated and in which no physical shock of the piston and the cylinder occurs. When an object for providing vibratio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iston, the object may be repeatedly applied to the object to cause vibr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ilencer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attached to the vibration generator itself, the vibration generator can be manufactured more compactly.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발생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10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 operating stat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동발생기는 실린더(1), 피스톤(3) 및 실린더(1)와 피스톤(3) 자체에 마련되는 다수의 유로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유로는 홀(hole)로 표현된다.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ylinder (1), a piston (3) and a plurality of flow paths provided in the cylinder (1) and the piston (3) itself. Hereinafter, the flow path is represented by a hole.

실린더(1)는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는 제1구간(5, 도 3 참조, 이하 같음)과, 상기 제1구간(5)과 연속되되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제2구간(7, 도 3 참조, 이하 같음)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구간(5)의 끝은 나사결합 또는 볼트결합 등으로 캡(9)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제1,2 구간(5,7)은 실린더 내부의 공간(space)을 지시하는 개념이다. 피스톤(3)은 이 제1구간(5)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1구간(5)과 제2구간(7)의 행정비(L1:L2)는 0.8 ~1.2 : 1 이며(도 5 참조), 직경비(D1:D2)는 1 : 0.3 ~0.9 이다(도 3 참조). 이 수치는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The cylinder 1 has a first section 5 having a relatively large inner diameter (see FIG. 3), and a second section 7 having a relatively small inner diameter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section 5. Reference, which is the same as below), and the end of the first section 5 is sealed by the cap 9 by screwing or bolting.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5 and 7 are concepts for indicating a space inside the cylinder. The piston 3 is inserted and installed through this first section 5. The stroke ratio L1: L2 of the first section 5 and the second section 7 is 0.8 to 1.2: 1 (see Fig. 5), and the diameter ratio D1: D2 is 1: 0.3 to 0.9 (Fig. 3). Reference). This figure is illustrated and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유입홀(11)은 제1구간(5)을 향해 개방되도록 실린더의 벽체(1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공기유입홀(11)은 제1,2 구간(5,7)의 경계부위에 마련된다. 공기유입홀(11)은 공기압발생수단으로서의 컴프레서(미도시됨)에 연결될 것임이 분명하다. The air inlet hole 11 is formed through the wall 13 of the cylinder so as to open toward the first section 5. The air inlet hole 11 is provided at the boundary of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5 and 7. It is clear that the air inlet hole 11 will be connected to a compressor (not shown) as the air pressure generating means.

댐핑홀(15)이 일단(15a)은 상기 제1구간(5)으로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15b)은 제2구간(7)을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벽체(13) 내부에 마련된다. 댐핑홀의 일단(15a)은 공기유입홀(11)과 반대측에 위치된다. One end 15a of the damping hole 15 is selectively opened to the first section 5, and the other end 15b is provided inside the wall 13 of the cylinder to open toward the second section 7. One end 15a of the damping hole i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air inlet hole 11.

피스톤(3)은 실린더(1)에 끼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을 겪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구간(5)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헤드부(17)와 상기 제2구간(7) 전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로드부(19)로 구성된다. 헤드부(17)와 로드부(19)가 동시에 실린더(1)의 내벽에 밀착되어 기동하게 된다. 피스톤의 헤드부(17)는 제1구간(5) 내에 부분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제1구간(5)을 제1압력실(R1)과 제2압력실(R2)로 구획하게 된다. 피스톤(3)이 도면상 좌우로 기동하면서 제1,2압력실(R1,R2)의 부피를 변화시키게끔 되어 있다. 피스톤의 헤드부(17)부터 로드부(19) 중간지점까지 센터홀(2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센터홀(21)은 후술되는 제1,2분배홀(23,25)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센터홀(21)은 헤드부 선단(17a)에서 확개되어 있어 유속을 낮출 수 있게 되어 있다. The piston 3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1 and undergoes a reciprocating mo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iston 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head portion 17 and the second section 7 that are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ection 5. It is composed of a rod 19 to be fitted. The head portion 17 and the rod portion 19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ylinder 1 to be started simultaneously. The head 17 of the piston is partially in contact with the first section 5 to partition the first section 5 into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and the second pressure chamber R2. The piston 3 is made to change in the volume of the 1st, 2nd pressure chamber R1, R2, starting to the left and right on drawing. The center hole 21 is provided from the head 17 of the piston to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rod 19. The center hole 21 constitutes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holes 23 and 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enter hole 21 is expanded at the head end 17a so that the flow velocity can be lowered.

제1분배홀(23)이 센터홀(21)에 합류함으로써 일단은 공기유입홀(11)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은 제1구간(5)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게끔 마련된다. 제1분배홀(23)은 공기유입홀(11)과 제1구간(5), 특히 헤드부(17)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압력실(R1)이 선택적으로 소통되게 한다. As the first distribution hole 23 joins the center hole 21, one end is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air inlet hole 11, and the other end is selectively opened to the first section 5. The first distribution hole 23 allows the air inlet hole 11 and the first section 5, in particular,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located in front of the head 17 to communicate selectively.

제2분배홀(25)은 센터홀(21)에 합류함으로써 일단이 상기 댐핑홀(15)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이 상기 제1구간(5)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제2분배홀(25)은 피스톤(3)의 왕복기동에 따라 특정 순간에 제1압력실(R1) 내의 공기압에 의한 폐회로를 만들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제2분배홀(25)은 최선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선택적 사항이다. The second distribution hole 25 joins the center hole 21 so that one end thereof is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damping hole 15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first section 5. The second distribution hole 25 creates a closed circuit by the air pressure in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at a specific moment in accordance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the second distribution hole 25 is optional according to the best embodiment.

배기홀(27)은 일단이 실린더(1) 외부의 외기를 향해 개방되며 타단이 상기 댐핑홀(15)을 향해 개방된다. 배기홀(27)은 피스톤 로드부(19)의 원주면 일부 구간이 평면이 되게끔 연삭해서 만든다. 배기홀(27)은 피스톤(3)의 왕복에 의해 특정 순간에는 댐핑홀(15)과 연결됨으로써 댐핑홀(15)과 외기를 소통시킨다. One end of the exhaust hole 27 opens toward the outside air outside the cylinder 1, and the other end opens toward the damping hole 15. The exhaust hole 27 is made by grinding so th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rod 19 becomes flat. The exhaust hole 27 is connected to the damping hole 15 at a specific moment by the reciprocation of the piston 3 to communicate the damping hole 15 with the outside air.

댐핑홀(15)은 실린더 벽체(13)의 원주방향을 따라 여러 곳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댐핑홀(15)은 서로 소통되게끔 되어 있다. 여러 개의 댐핑홀(15)이 모여 댐핑룸(15', damping room)을 형성한다. 이 댐핑룸(15')이 충격에 의한 소음 을 감쇄시키는 소음기로서의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실린더(1) 자체가 소음기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The damping hole 15 may be provided in various pla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wall 13. And each damping hole 15 is to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damping holes 15 are gathered to form a damping room 15 '. The damping room 15 'acts as a silencer that attenuates the noise caused by the impact. In other words, the cylinder 1 itself i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the silencer.

각각의 댐핑홀(15)은 실린더의 외벽에서 구멍을 뚫는 방식으로 가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댐핑홀(15)이 대칭적으로 마련된다. 댐핑홀(15)의 개수는 충분히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 외벽으로 개방된 폐쇄되어야할 구멍들은 플러그(29)에 의해 밀폐된다. 피스톤 로드부(19)와 제2구간(7)의 마찰면에는 원주벽을 따라 그루브(31, groove)가 패여 있는데, 이 그루브(31)는 유체베어링의 기능을 위한 것이다. Each damping hole 15 is machined by drilling a hole in the outer wall of the cylin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eight damping holes 15 are symmetrically provided. The number of damping holes 15 can be sufficiently modified. And the holes to be closed which are opened to the outer wall of the cylinder 1 are closed by the plug 29. In the friction surface of the piston rod 19 and the second section 7, grooves 31 are grooved along the circumferential wall, which grooves 31 serve for the function of the fluid bearing.

피스톤의 로드부(19)의 끝에는 진동을 전달해주기 위한 목적물(33)이 결합된다. 목적물은 때에 따라서 충격을 전달하기 위한 해머가 될 수도 있다. 이 목적물(33)의 구체적 내용은 실로 다양할 것이며 본 발명과는 직접적 관계가 없다. The end of the rod portion 19 of the piston is coupled to the object 33 for transmitting vibration. The object may sometimes be a hammer to transmit an impact. The specific content of this object 33 will vary widely and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작용상태로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피스톤이 1행정을 겪는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piston undergoes one strok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0 as the operating state.

도 5는 피스톤(3)이 제1위치(P1), 즉 도면상 최대한 우측으로 치우친 상태이다. 엔진으로 비교할 때 하사점에 해당되는 상태이다. 공기유입홀(11)을 통해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압력은 헤드부의 저면(17b)에 작용하게 되어 피스톤(3)을 좌측으로 밀게 될 것이다. 제1압력실(R1)에 있는 공기는 댐핑홀(15)을 따라 댐핑룸(15')에 공기압을 공급하는 동시에 나머지는 제2분배홀(25)을 통과하여 다시금 제1압력실(R1)로 흐르게 한다. 즉, 제1압력실(R1)에는 별다른 압력이 발생하지 않아 피스 톤(3)은 저항 없이 좌측으로 기동하여 도 6의 상태로 가게 된다. 5 shows the piston 3 in a first position P1, ie, as far as possible in the drawing. Compared to the engine, this corresponds to the bottom dead center. When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11, the pressure will act on the bottom face 17b of the head portion and will push the piston 3 to the left. The air in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supplies the air pressure to the damping room 15 'along the damping hole 15, while the rest passes through the second distribution hole 25, and again,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To flow. That is, no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so that the piston 3 starts to the left without resistance and goes to the state of FIG. 6.

도 6은 피스톤(3)이 제2위치(P2)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피스톤(3)은 계속 좌측으로 이동될 것이며, 압축공기는 계속해서 헤드부의 저면(17b)을 압박한다. 제2분배홀(25)은 폐쇄되어 제1압력실(R1)과 댐핑룸(15')의 공기압은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그렇지만 제2압력실(R2)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크기 때문에 피스톤(3)은 좌측으로 기동하여 도 7의 상태까지 이르게 된다. 6 shows a state where the piston 3 is in the second position P2. The piston 3 will continue to move to the left and compressed air will continue to press the bottom face 17b of the head portion. The second distribution hole 25 is closed so that the air pressure of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and the damping room 15 ′ gradually increases. However, sinc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pressure chamber R2 is greater, the piston 3 starts to the left and reaches the state of FIG. 7.

도 7은 피스톤(3)이 제3위치(P3)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제1압력실(R1)을 향해 개방되어 있던 댐핑홀(15)은 폐쇄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제1분배홀(23)이 개방되기 시작하는 순간이 도시된다. 이 순간에도 여전히 피스톤(3)은 좌측으로 힘을 받아 기동하여 도 8의 상태가 된다. 7 shows a state where the piston 3 is in the third position P3. The damping hole 15 opened toward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starts to close. And the moment when the 1st distribution hole 23 starts to open is shown. Even at this moment, the piston 3 is still driven by the force to the left and becomes the state of FIG. 8.

도 8은 피스톤(3)이 제4위치(P4)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제1압력실(R1)로 개방되었던 댐핑홀(15)은 완전히 폐쇄되고 동시에 제1분배홀(23)이 제1압력실(R1)과 소통되게 된다. 그러므로 압축공기는 제1분배홀(23)을 통해 제1압력실(R1)로 향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진다. 이 상태에서 제1압력실(R1)의 압력과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헤드부(17)를 좌측으로 미는 압력이 동등해지면 피스톤(3)은 최대한 좌측으로 치우치는 위치(P4', 점선으로 표시됨), 즉 상사점에 다다르게 된다. 8 shows a state where the piston 3 is in the fourth position P4. In this state, the damping hole 15, which has been opened to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is completely clos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distribution hole 23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Therefore, the compressed air has a condition that can be directed to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through the first distribution hole (23). In this state, if the pressure of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and the pressure pushing the head 17 to the left by the inflow of compressed air are equal, the piston 3 is positioned to the left as far as possible (P4 ', indicated by a dotted line). That is, top dead center.

한편 제1분배홀(23)을 통해 압축공기가 제1압력실(R1)로 계속해서 유입되므로 제1압력실(R1)과 제2압력실(R2)의 압력에 반전이 생기게 된다. 즉, 제1압력실(R1)의 압력이 더 높아지는 것이다. 그 순간부터는 피스톤(3)을 우측으로 기동시 키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피스톤(3)은 제3위치(P3)까지 이르러 도 9의 상태가 된다. Meanwhile, since the compressed air continues to flow into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through the first distribution hole 23, the pressure in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and the second pressure chamber R2 is reversed. That is, the pressure of the 1st pressure chamber R1 becomes high. From that moment, the force to actuate the piston 3 to the right acts. By this action, the piston 3 reaches the 3rd position P3, and will be in the state of FIG.

이 과정에서 배기홀(27)을 통해 댐핑룸(15')에 차있던 압축공기가 배출되는데 댐핑룸(15')의 압력이 높지는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부피가 커 댐핑작용을 하기 때문에) 배기홀(27)을 통해서는 공기가 빠져나간다. 그리고 다시금 댐핑룸(15')은 저압상태가 된다. In this process, the compressed air filled in the damping room 15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 27, but the pressure of the damping room 15' is not high (due to the large volume and damping action). Air escapes through the hole 27. The damping room 15 'is again in a low pressure state.

도 9는 피스톤(3)이 제3위치(P3)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아직은 제1압력실(R1)의 압력이 제2압력실(R2)의 압력보다 높은 상태이다. 유입공기는 제1분배홀(23)을 통해 계속해서 제1압력실(P1)로 공급되어 피스톤(3)으로 하여금 우측으로 기동하게 한다. 한편 도 9는 댐핑홀(15)과 제1압력실(R1)이 소통되는 순간을 도시한다. 제1분배홀(23)의 일단은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이 상태도 제1압력실(R1)의 압력이 높은 관계로 피스톤(3)은 우측으로 기동하여 도 10의 상태가 된다. 도 8의 상태에서 헤드부(17)가 P4'의 위치에 있을 때의 제1압력실(R1)의 압력이 극도로 높기 때문에 그에 의한 여력으로 피스톤(3) 헤드부(17)는 댐핑홀(15)을 건너 도면상 우측으로 계속하여 기동될 수 있다. 9 shows a state where the piston 3 is in the third position P3. The pressure of the 1st pressure chamber R1 is still higher than the pressure of the 2nd pressure chamber R2. Inflow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irst pressure chamber P1 through the first distribution hole 23 to cause the piston 3 to start to the right. 9 illustrates a moment in which the damping hole 15 and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e end of the first distribution hole 23 is partially closed. In this state, the piston 3 starts to the right and becomes the state of FIG. 10 because the pressure of the 1st pressure chamber R1 is high. Since the pressure in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is extremely high when the head portion 17 is in the position of P4 'in the state of FIG. 8, the piston 3 head portion 17 has a damping hole due to the remaining force. It can be activated to continue to the right in the drawing across 15).

도 10은 피스톤이 제2위치(P2)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배기홀(27)은 폐쇄되어 있으며, 제1압력실(R1)의 압축공기는 댐핑홀(15)의 일단을 통해 댐핑룸(15')으로 확산되기 시작하며 제1압력실(R1)의 압력은 저하된다. 피스톤(3)은 관성에 의해 제1압력실(R1)과 제2압력실(R2)의 압력이 같아질 때까지 우측으로 더 이동하여 도 5의 상태가 되며 이로써 피스톤(3)의 1행정이 종료된다. 10 shows a state where the piston is in the second position P2. The exhaust hole 27 is closed, and the compressed air of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starts to diffuse into the damping room 15 'through one end of the damping hole 15 and the pressure of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is reduced. Is degraded. The piston 3 moves further to the right until the pressures of the first pressure chamber R1 and the second pressure chamber R2 are equal to each other by inertia, and the piston 3 is in the state of FIG. It ends.

본 발명에 의하면 피스톤이 좌우로 기동될 때 제1,2압력실(R1,R2) 내의 공기압은 쿠션의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 그러므로 피스톤의 헤드부(17)는 실린더(1) 벽에 부딪히지 않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ressure in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chambers R1 and R2 acts as a cushion when the piston is actuated left and right. Therefore, the head 17 of the piston does not hit the cylinder 1 wall.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실시예와 다르게 제2분배홀(25, 도 3 참조)이 없고 제1분배홀(23) 하나만 마련되어 있다. 다만 제1분배홀(23)의 구경이 다소 크게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re is no second distribution hole 25 (see FIG. 3), and only one first distribution hole 23 is provided. However, the aperture of the first distribution hole 23 may need to be designed somewhat larger.

그리고 배기홀(27)은 전 실시예와 다르게 항시 개방되어 외기와 소통되도록 실린더의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끝에는 소형 소음구(35)가 부착될 수 있다. 이 소음구(35)는 공지의 것으로서 실린더(1) 후단에 나사결합된다. In addition, the exhaust hole 27 may extend to the rear end of the cylinder so that the exhaust hole 27 is always open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ir. At the end thereof, a small silencer 35 may be attached. This sounding hole 35 is known and screwed to the rear end of the cylinder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5-10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 operating stat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발생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진동발생기의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ibration generato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실린더 3 ; 피스톤One ; Cylinder 3; piston

5,7 ; 제1,2구간 9 ; 캡5,7; First and second section 9; cap

11 ; 공기유입홀 15 ; 댐핑홀11; Air inlet hole 15; Damping hole

15' ; 댐핑룸 17 ; 헤드부15 '; Damping room 17; Head

19 ; 로드부 21 ; 센터홀19; Rod part 21; Center hall

23,25 ; 제1,2 분배홀 27 ; 배기홀23,25; First and second distribution holes 27; Exhaust hole

29 ; 플러그 33 ; 목적물29; Plug 33; prize

35 ; 소음구35; Noise exit

Claims (3)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는 제1구간(5)과, 상기 제1구간(5)과 연속되되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제2구간(7)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구간(5)의 끝이 밀폐되어 있는 실린더(1); A first section 5 having a relatively large inner diameter and a second section 7 having a relatively small inner diameter continuous with the first section 5, and having an end of the first section 5. A sealed cylinder 1; 상기 제1구간(5)을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실린더(1)의 벽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입홀(11); An air inlet hole (11) formed through the wall of the cylinder (1) to open toward the first section (5); 일단은 상기 제1구간(5)으로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은 상기 제2구간(7)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실린더(1)의 벽체 내부에 마련되는 댐핑홀(15); A damping hole (15) having one end selectively opened to the first section (5) and the other end provided inside the wall of the cylinder (1) to open to the second section (7); 상기 실린더에 끼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을 겪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구간(5)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헤드부(17)와 상기 제2구간(7) 전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로드부(19)로 구성되는 피스톤(3); It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to undergo a reciprocating mo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ad portion 17 is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ection 5 and the rod portion 19 is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second section (7). A piston (3) consisting of; 일단은 상기 공기유입홀(11)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은 상기 제1구간(5)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1분배홀(23); A first distribution hole 23 one end of which is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air inlet hole 11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first section 5; 일단은 상기 실린더(1) 외부의 외기를 향해 개방되며 타단은 상기 댐핑홀(15)을 향해 개방되는 배기홀(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진동발생기. One end is open toward the outside air of the cylinder (1) and the other end is a vibration generator using a compressed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haust hole (27) opening toward the damping hole (15).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댐핑홀(15)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타단은 상기 제1구간(5)을 향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2분배홀(25)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진동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e end further comprises a second distribution hole 25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damping hole 15 and the other end selectively opened toward the first section 5. Vibration generator using compressed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홀(15)은 상기 실린더 벽체(13)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되, 각 댐핑홀(15)이 서로 소통되도록 하여 댐핑룸(1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진동발생기.The damping hole 15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wall 13, and the damping holes 15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damping room 15 '. Vibration generator using compressed air.
KR1020080121758A 2008-12-03 2008-12-03 Vibrator Using Compressed Air KR101025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758A KR101025504B1 (en) 2008-12-03 2008-12-03 Vibrator Using Compressed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758A KR101025504B1 (en) 2008-12-03 2008-12-03 Vibrator Using Compressed 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298A KR20100063298A (en) 2010-06-11
KR101025504B1 true KR101025504B1 (en) 2011-04-04

Family

ID=4236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758A KR101025504B1 (en) 2008-12-03 2008-12-03 Vibrator Using Compressed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50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350A (en) * 2016-10-31 2018-05-10 이경운 Vibrational transferring machine having double rod vibrator
KR20220094685A (en) 2020-12-29 2022-07-06 경성시험기주식회사 Vibration tester with phase compensation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6259A (en) * 2017-10-18 2018-02-23 佛山市特亚菲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neumatic linear vibrator of stroke adjustable type
CN110274742A (en) * 2019-07-17 2019-09-24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A kind of Frequency Adjustable air activation power performance test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699B1 (en) 2000-04-04 2002-10-25 이경운 Vibration generator
KR200363316Y1 (en) 2004-06-21 2004-10-01 김상진 Air vib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699B1 (en) 2000-04-04 2002-10-25 이경운 Vibration generator
KR200363316Y1 (en) 2004-06-21 2004-10-01 김상진 Air vib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350A (en) * 2016-10-31 2018-05-10 이경운 Vibrational transferring machine having double rod vibrator
KR20220094685A (en) 2020-12-29 2022-07-06 경성시험기주식회사 Vibration tester with phase compensation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298A (en)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662832A1 (en) Percussive machine
KR101034317B1 (en) Vehicle damper
KR101056005B1 (en) Control valves and methods for impact devices with an operating cycle with several coupling moments
KR101025504B1 (en) Vibrator Using Compressed Air
US20080118375A1 (en) Axially Driven Piston-Cylinder Unit
RU2418146C1 (en) Air impact mechanism
JP2004299036A (en) Working tool
KR101889367B1 (en) Vibrational transferring machine having double rod vibrator
CN110410444B (en) Active impact receiving buffer device and impact equipment
RU2701006C1 (en) Double action compression-vacuum impact machine
DE102004015065A1 (en) Vibration damper with amplitude-dependent damping force has cylinder filled with damping medium, piston rod with piston guided to move axially and that divides cylinder into working volumes, has adjustable maximum displacement distance
RU2056998C1 (en) Pneumatic shock machine
JP2877735B2 (en) Air hammer anti-vibration device
JP4870394B2 (en) Linear compressor
SU964129A2 (en) Pneumatic hammer
KR100515514B1 (en) Oil pressure cylinder that is absorbed shock rapidity
SU785478A1 (en) Percussive-action device
JPS642808B2 (en)
SU1239303A1 (en) Pneumatic pick hammer with air throttle
KR200309435Y1 (en) Oil pressure cylinder that is absorbed shock rapidity
KR101874293B1 (en) Double rod vibrator
RU2574648C1 (en) Pneumatic striker
RU2015321C1 (en) Air-operated hammer with throttling air distribution
JPH0683967B2 (en) Hydraulic drifter device
SU1430254A1 (en) Exhaust silencer for pneumatic percussiv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