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928B1 -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928B1
KR101024928B1 KR1020090096604A KR20090096604A KR101024928B1 KR 101024928 B1 KR101024928 B1 KR 101024928B1 KR 1020090096604 A KR1020090096604 A KR 1020090096604A KR 20090096604 A KR20090096604 A KR 20090096604A KR 101024928 B1 KR101024928 B1 KR 10102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tand body
hinge module
portable terminal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to KR102009009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대를 스프링으로 휴대단말기의 본체에 고정하여, 강한 힘에 의해 거치대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더라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힌지모듈과; 상기 힌지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탠드바디와;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를 상호 결합시키고, 상기 스탠드바디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1탄성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가 분리된다.
거치대, 탈착, 탄성

Description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 Stand hinge be able to separated and fixed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를 비스듬하게 지지하여 휴대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에게 잘 보이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간편하면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사진기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영상출력부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 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전자기기를 어느 장소에서도 장시간 세울 수 있도록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장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자기기용 거치대는 영상출력장치 후면에 부착되어 미사용 시에는 접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거치대를 펼쳐 고정한 후 전자기기를 비스듬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기기용 거치대는 공개특허공보 10-2009-0041540에 상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 기술된 종래의 전자기기용 거치대는 거치대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에 강한 힘을 가하거나 전자기기를 높은 곳에서 떨어뜨렸을 경우 거치대 또는 전자기기와 거치대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거치대를 스프링으로 휴대단말기의 본체에 고정하여, 강한 힘에 의해 거치대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더라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힌지모듈과; 상기 힌지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탠드바디와;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를 상호 결합시키고, 상기 스탠드바디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1탄성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가 분리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각각 삽입 배치되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삽입 배치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는 각각 중심부가 상기 결합돌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의 중심부가 삽입 배치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의 중심부를 잇는 원호의 지름은 상기 결합돌기의 외경보다 작다.
상기 힌지모듈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스탠드바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바디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상기 제1탄성부재가 삽입 배치되는 장착홈이 각각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부재의 양측면에는 상기 장착홈의 상부에 삽입되는 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캡돌기와 상기 장착홈의 하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길이보다 크다.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캡부재를 결합시키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캡부재의 반대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스탠드바디에는 안테나가 구비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본체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모듈과; 상기 힌지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탠드바디와;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스탠드바디에 장착되는 자 석과;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와; 상기 자력감지센서의 측정값으로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를 상호 결합시키고, 상기 스탠드바디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1탄성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가 분리되며, 상기 스탠드바디의 전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자력이 감소하면 디스플레이부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는 상기 스탠드바디가 삽입 장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스탠드바디의 전개시 상기 스탠드바디의 양측면은 상기 안착홈에 있는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의 내측면과 각각 접하여 힌지모듈에 대한 상기 스탠드바디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스탠드바디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1탄성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가 분리됨으로써, 상기 스탠드바디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힌지모듈이나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 및 상기 스탠드바디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다른 부품을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스탠드 바디를 상기 힌지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의 중심부가 상기 결합돌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가 상기 결합돌기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돌기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의 중심부를 잇는 원의 지름을 상기 결합돌기의 외경보다 작게 하고,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의 탄성력이 상기 결합돌기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캠돌기와 상기 장착홈의 하부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1탄성부재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탄성부재가 외력에 의해 이완되어 길이가 늘어날 때 상기 장착홈의 내측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캡부재의 반대방향으로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캡부재에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접촉면적과 결합부위를 증가시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부재에 안테나를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안테나 없이 상기 지지부재가 안테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하게 하며 크기를 축소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감지센서가 측정한 자력의 세기가 감소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동작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탠드바디의 전개시 상기 자석이 상기 자력감지센서와 멀어짐에 따라 상기 자력감지센서로 측정된 자력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휴대단말기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전개시 지지부재의 양측면이 상기 안착홈에 있는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힌지모듈에 대해 상기 지지부재가 저절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힌지모듈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주요부분에 대한 일방향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주요부분에 대한 타방향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일방향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타방향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동작 과정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동작 과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는 휴대단말기 본체(110), 자력감지센서(120), 제어부(미도시), 힌지모듈(200), 결합돌기(211), 스탠드바디(300) 및 제1탄성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는 사각형 형상으로 전면에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후면에 상기 힌지모듈(200)과 상기 스탠드바디(30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의 후면에는 상기 힌지모듈(200)과 상기 스탠드바디(300)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1)은 너비가 상기 힌지모듈(200) 및 상기 스탠드바디(300)의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모듈(200)과 상기 스탠드바디(300)가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에는 상기 자력감지센서(120)가 장착된다.
상기 자력감지센서(1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바디(300)에 장착된 자석(130)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스탠드바디(300)의 전개시 상기 자력감지센서(120)에서 측정된 자력이 감소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감지센서(120)가 측정한 자력의 세기가 감소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동작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탠드바디(300)의 전개시 상기 자석(130)이 상기 자력감지센서(120)와 멀어짐에 따라 상기 자력감지센서(120)로 측정된 자력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힌지모듈(200)은 상기 안착홈(111)에서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에 힌지결합되어 일정각도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모듈(200)은 힌지하우징(210), 회전축(220), 회전캠(230), 제2탄성부재(240) 및 고정캠(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하우징(210)은 반원형상의 통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에 회전되게 장착되고, 타단은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회전축(220), 상기 제2탄성부재(240) 및 상기 회전캠(230)이 삽입 장착된다.
또한 상기 힌지하우징(210)에는 상기 스탠드바디(300) 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2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11)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바디(300) 방향의 외주면은 경사지게 모따기 처리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211)는 상기 스탠드바디(300)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스탠드바디(300)와 상기 힌지하우징(210)을 상호 결합 고정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11)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부재(400)가 삽입되는 결합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12)은 상기 결합돌기(211)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형상으로 형성 된다.
상기 회전축(220)은 원통형의 긴 축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힌지하우징(210)에 회전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캠(250)에 회전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캠(230)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개방되어 상기 회전축(220)이 삽입 관통하고, 상기 힌지하우징(210)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힌지하우징(210)과 함께 상기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캠(230)에는 상기 고정캠(250) 방향의 일면에 제1캠부(231a,231b)와 정지홈(23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캠부(231a,231b)는 상기 고정캠(250) 방향에 형성된 홈으로, 약 90도 간격으로 총 2개 형성되며,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정지홈(232)은 약 90도 정도의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캠부(231a,231b)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캠(250) 방향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정지홈(232)은 상기 제1캠부(231a,231b)와 달리 양측의 각 단부가 직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캠(230)은 상기 제2탄성부재(240)에 의해 상기 고정캠(250)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24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하우징(210)에 삽입 장착되고,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220)이 삽입 관통된다.
이러한 상기 제2탄성부재(240)는 일단이 상기 힌지하우징(210)의 내측면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회전캠(230)과 접하여 상기 회전캠(230)을 상기 고정캠(25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고정캠(250)은 상기 회전캠(230)과 마찬가지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11)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캠(250)에는 상기 회전캠(230) 방향의 일면에 제2캠부(251)와 정지돌기(25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캠부(251)는 상기 제1캠부(231a,231b)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캠부 (251)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1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캠(230)의 회전에 따라 2개의 상기 제1캠부(231a,231b)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2캠부(251)는 양측이 상기 제1캠부(231a,231b)와 맞물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정지돌기(252)는 상기 정지홈(23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정지홈(232)에 삽입되고, 상기 정지홈(232)의 양측 단부와 접하여 상기 회전캠(230)의 회전을 저지한다.
이러한 상기 정지돌기(252)는 양단이 상기 정지홈(232)의 단부와 마찬가지로 직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탠드바디(300)는 상기 힌지모듈(200)과 연결되어 상기 힌지모듈(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탠드바디(300)는 지지부재(310), 캡부재(320) 및 고정핀(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힌지하우징(210)과 연결되고 타단이 바닥면과 접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를 바닥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10)의 너비는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의 상기 안착홈(111)의 너비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10)가 회전할 때에도 상기 지지부재(310)는 양측면이 상기 안착홈(111)에 있는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의 내측면과 각각 접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10)의 전개시 지지부재(310)의 양측면이 상기 안착홈(111)에 있는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힌지모듈(200)에 대해 상기 지지부재(310)가 저절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지지부재(310)와 상기 힌지모듈(2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10)의 일단에는 삽입부(311)와 장착홈(3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11)는 상하방향 및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결합돌기(211)가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311)의 양측에는 상기 장착홈(3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312)은 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삽입부(311)와 서로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제1탄성부재(400)의 양단이 각각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10)에는 상기 캡부재(320)의 반대방향으로 고정홈(313) 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313)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이 라운드 처리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10)에는 자석(130)이 구비된다.
상기 자석(130)은 상기 지지부재(3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310)가 상기 안착홈(111)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자력감지센서(120)와 인접하고, 상기 지지부재(310)의 전개시 상기 자력감지센서(120)와 멀어진다.
상기 캡부재(320)는 상기 삽입부(311)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삽입부(311)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밀폐하고, 상기 지지부재(3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캡부재(320)에는 상기 장착홈(312)의 상부에 삽입되는 캡돌기(321)가 형성된다.
상기 캡돌기(321)는 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캡부재(320)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400)와 접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400)가 상기 삽입부(3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캡돌기(321)와 상기 장착홈(312)의 하부 사이의 거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부재(400)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캡돌기(321)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홈(312)의 길이가 상기 제1탄성부재(400)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돌기(321)와 상기 장착홈(312)의 하부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1탄성부재(400)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탄성부재(400)가 외력에 의해 이완되어 길이가 늘어날 때 상기 장착홈(312)의 내측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320)에는 상기 고정홈(31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2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22)는 상기 고정홈(313)과 마찬가지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라운드 처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10)에 상기 캡부재(320)의 반대방향으로 고정홈(313)을 형성하고, 상기 캡부재(320)에 상기 고정홈(31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2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10)와 상기 캡부재(320)의 접촉면적과 결합부위를 증가시켜 상기 지지부재(310)와 상기 캡부재(3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320)는 상기 고정핀(33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10)와 결합된다.
상기 고정핀(330)은 원통형 형상으로 양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311)에 삽입된 상기 캡부재(320)를 지나 상기 지지부재(310)의 타측면까지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핀(330)은 상기 고정돌기(322)와 함께 상기 캡부재(320)가 상기 삽입부(3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재(310)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10)에는 안테나(미도시)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테나는 와이어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3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본체(110)와 연결되어 안테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10)에 안테나를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안테나 없이 상기 지지부재(310)가 안테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하게 하며 크기를 축소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재(400)는 원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며, 외력에 의해 쉽게 신축 이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400)는 제1결합부(410), 제2결합부(420) 및 제3결합부(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부(410)와 상기 제2결합부(420)는 상기 결합돌기(21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이격 배치되고, 각각 상기 결합돌기(211)의 외주면에 각각 삽입된다.
즉 상기 제1결합부(410)와 상기 제2결합부(420)는 상기 결합돌기(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212)에 각각 삽입 장착된다.
상기 제3결합부(430)는 상기 제1결합부(410)의 일단과 상기 제2결합부(420)의 일단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제1결합부(410) 및 상기 제2결합부(420)와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돌기(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212)에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410), 상기 제2결합부(420) 및 상기 제3결합부(430)는 각각 중심부가 상기 결합돌기(2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결합부(410), 상기 제2결합부(420) 및 상기 제3결합부(430)는 중 심부가 상기 결합돌기(211)의 상기 결합홈(212)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410), 상기 제2결합부(420) 및 상기 제3결합부(430)의 중심부가 상기 결합돌기(2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410), 상기 제2결합부(420) 및 상기 제3결합부(430)가 상기 결합홈(212)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돌기(211)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11) 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제1결합부(410), 상기 제2결합부(420) 및 상기 제3결합부(430)의 중심부는 각각 상기 결합홈(212)에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410), 상기 제2결합부(420) 및 상기 제3결합부(430)의 중심부를 잇는 원의 지름은 상기 결합돌기(211)의 외경보다 작다.
즉 상기 제1결합부(410)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2결합부(420)의 중심부를 잇는 선의 길이는 상기 결합돌기(211)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제3결합부(430)의 중심부와 상기 제1결합부(410)의 중심부를 잇는 최단 직선거리는 상기 결합돌기(211)의 반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제3결합부(430)의 중심부와 상기 제2결합부(420)의 중심부를 잇는 최단 직선거리는 상기 결합돌기(211)의 반지름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부(410), 상기 제2결합부(420) 및 상기 제3결합부(430)의 중심부가 동시에 상기결합돌의 외주면과 접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400)는 이완되고, 상기 제1결합부(410), 상기 제2결합부(420) 및 상기 제3결합부(430)의 중심부가 상기 결합홈(212)에 삽입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400)는 수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410), 상기 제2결합부(420) 및 상기 제3결합 부(430)의 중심부를 잇는 원의 지름을 상기 결합돌기(211)의 외경보다 작게 하고, 상기 결합돌기(211)의 외주면에 결합홈(21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홈(212)에 삽입된 상기 제1결합부(410), 상기 제2결합부(420) 및 상기 제3결합부(430)의 탄성력이 상기 결합돌기(211)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결합돌기(211)와 상기 제1탄성부재(4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211)를 상기 지지부재(310)에 형성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400)를 상기 힌지모듈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동작 과정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동작 과정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바디(3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안착홈(111)에 삽입 배치되며, 이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410), 상기 제2결합부(420) 및 상기 제3결합부(430)는 각각 상기 결합홈(212)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스탠드바디(300)를 상기 힌지모듈(200)에 결합시킨다.
또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모듈(200)은 상기 회전캠(230)의 상기 제1캠부(231a)에 상기 고정캠(250)의 상기 제2캠부(251)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2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하지 않는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바디(300)를 사용하기 위해 수동으로 상기 스탠드바디(300)를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에 대해 회전시키면 상기 스탠드바디(300)는 상기 힌지모듈(200)과 함께 약 90정도 회전한다.
이때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캠(230)은 회전하고 상기 고정캠(250)을 회전하기 않기 때문에 상기 제2캠부(251)는 상기 제1캠부(231a)에서 이탈하고, 상기 회전캠(230)은 상기 제2탄성부재(240)를 압축하며 상기 고정캠(250)의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계속해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제1캠부(31b)의 경사면이 상기 제2캠부(251)와 접할 때까지 상기 스탠드바디(3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탄성부재(24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제2캠부(251)가 상기 제1캠부(231a,231b)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캠(230)이 자동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캠(230)은 상기 제2캠부(251)가 상기 제1캠부(231b)에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회전하며, 상기 정지돌기(252)가 상기 정지홈(232)의 단부와 접하면 상기 회전캠(230)은 정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모듈(200)은 상기 제1캠부(231a,231b)가 형성된 상기 회전캠(230)과 상기 제2캠부(251)가 형성된 상기 고정캠(250)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탠드바디(300)를 외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면 나머지를 자동으로 회전되게 하여 회전감을 좋게 하고,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바디(300)가 전개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1탄성부재(400)는 상기 결합돌기(211)의 상기 결합홈(212)에 삽입 배치 되어 상기 결합돌기(211)가 상기 지지부재(310)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한다.
한편 상기 스탠드바디(300)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힌지모듈(200)은 상기 정지돌기(252)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기 스탠드바디(300)가 상기 힌지모듈(200)에 대해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한다.
이 힘이 상기 제1탄성부재(400)의 탄성력보다 커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10)는 상기 제1탄성부재(400)와 함께 상기 힌지모듈(200)에 대해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400)는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돌기(211)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완되고, 상기 결합홈(212)에서 이탈된다.
이 후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212)을 이탈한 상기 제1탄성부재(400)는 결합력이 약해져 상기 결합돌기(211)와 분리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탠드바디(300)와 상기 힌지모듈(200)는 완전히 분리된다.
상기 스탠드바디(300)를 다시 상기 힌지모듈(200)과 결합시킬 때에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상기 삽입부(311)에 상기 결합돌기(211)를 삽입하고, 상기 지지부재(310)를 상기 힌지모듈(200) 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상기 제1탄성부재(400)가 상기 결합돌기(211)의 외주면과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이완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400)는 상기 결합홈(212)에 삽입되어 상기 스탠드바디(300)와 상기 힌지모듈(200)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스탠드바디(300)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돌 기(211)가 상기 제1탄성부재(40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힌지모듈(200)과 상기 스탠드바디(300)가 분리됨으로써, 상기 스탠드바디(300)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힌지모듈(200)과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힌지모듈(200)이나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110) 및 상기 스탠드바디(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다른 부품을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스탠드바디(300)를 상기 힌지모듈(200)에 탈착 가능하게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주요부분에 대한 일방향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주요부분에 대한 타방향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일방향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타방향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동작 과정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모듈의 동작 과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휴대단말기 본체, 120 : 자력감지센서, 130 : 자석, 200 : 힌지모듈, 211 : 결합돌기, 212 : 결합홈, 300 : 스탠드바디, 310 : 지지부재, 320 : 캡부재, 33 : 고정핀, 400 : 제1탄성부재,

Claims (8)

  1. 휴대단말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힌지모듈과;
    상기 힌지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탠드바디와;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를 상호 결합시키고,
    상기 스탠드바디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1탄성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각각 삽입 배치되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삽입 배치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는 각각 중심부가 상기 결합돌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의 중심부가 삽입 배치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의 중심부를 잇는 원호의 지름은 상기 결합돌기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모듈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스탠드바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바디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상기 제1탄성부재가 삽입 배치되는 장착홈이 각각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부재의 양측면에는 상기 장착홈의 상부에 삽입되는 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캡돌기와 상기 장착홈의 하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길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캡부재를 결합시키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캡부재의 반대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바디에는 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7.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본체와;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모듈과;
    상기 힌지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탠드바디와;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스탠드바디에 장착되는 자석과;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와;
    상기 자력감지센서의 측정값으로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를 상호 결합시키고,
    상기 스탠드바디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1탄성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힌지모듈과 상기 스탠드바디가 분리되며,
    상기 스탠드바디의 전개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자력이 감소하면 디스플레이부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는 상기 스탠드바디가 삽입 장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스탠드바디의 전개시 상기 스탠드바디의 양측면은 상기 안착홈에 있는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의 내측면과 각각 접하여 힌지모듈에 대한 상기 스탠드바디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KR1020090096604A 2009-10-12 2009-10-12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KR101024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604A KR101024928B1 (ko) 2009-10-12 2009-10-12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604A KR101024928B1 (ko) 2009-10-12 2009-10-12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928B1 true KR101024928B1 (ko) 2011-03-31

Family

ID=4393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604A KR101024928B1 (ko) 2009-10-12 2009-10-12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92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668B1 (ko) 2012-07-16 2012-11-23 장건상 스마트폰 받침대
WO2012173338A2 (ko) * 2011-06-15 2012-12-20 Park Hong Gyu 휴대폰 케이스
WO2014036570A1 (en) * 2012-08-31 2014-03-06 Steiner Russell C Cell phone case with integral resilient suspension hook
KR101392562B1 (ko) 2013-04-05 2014-05-09 최상효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WO2014112667A1 (ko) 2013-01-18 2014-07-24 크루셜텍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098008A (ko) 2015-02-10 2016-08-18 박진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106051429A (zh) * 2015-04-13 2016-10-26 硕天科技股份有限公司 可伸缩式支撑器
KR101930931B1 (ko) 2016-06-18 2018-12-20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보호 케이스용 킥스탠드
WO2019156470A1 (ko) * 2018-02-09 2019-08-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339012B1 (ko) * 2020-06-23 2021-12-14 주식회사 리어스 슬라이딩 킥스탠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085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캠 구조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46361A (ko) * 2006-11-22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구조
KR20090079269A (ko) * 2008-01-17 2009-07-22 (주)엘티엠에이피 전자기기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085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캠 구조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46361A (ko) * 2006-11-22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구조
KR20090079269A (ko) * 2008-01-17 2009-07-22 (주)엘티엠에이피 전자기기용 거치대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338A2 (ko) * 2011-06-15 2012-12-20 Park Hong Gyu 휴대폰 케이스
KR101224437B1 (ko) 2011-06-15 2013-01-22 박대규 휴대폰 케이스
WO2012173338A3 (ko) * 2011-06-15 2013-03-28 Park Hong Gyu 휴대폰 케이스
WO2014014168A1 (ko) * 2012-07-16 2014-01-23 Jang Geon Sang 스마트폰 받침대
KR101203668B1 (ko) 2012-07-16 2012-11-23 장건상 스마트폰 받침대
WO2014036570A1 (en) * 2012-08-31 2014-03-06 Steiner Russell C Cell phone case with integral resilient suspension hook
WO2014112667A1 (ko) 2013-01-18 2014-07-24 크루셜텍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392562B1 (ko) 2013-04-05 2014-05-09 최상효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WO2014163233A1 (ko) * 2013-04-05 2014-10-09 Choi Sanghy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60098008A (ko) 2015-02-10 2016-08-18 박진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106051429A (zh) * 2015-04-13 2016-10-26 硕天科技股份有限公司 可伸缩式支撑器
CN106051429B (zh) * 2015-04-13 2018-03-13 硕天科技股份有限公司 可伸缩式支撑器
KR101930931B1 (ko) 2016-06-18 2018-12-20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보호 케이스용 킥스탠드
WO2019156470A1 (ko) * 2018-02-09 2019-08-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339012B1 (ko) * 2020-06-23 2021-12-14 주식회사 리어스 슬라이딩 킥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928B1 (ko)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KR101797241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림형 거치대
CN101762951B (zh) 镜头模组及应用该镜头模组的电子装置
US20090296328A1 (en) Computer with a rotary module driven by magnetic forces
KR20130008729A (ko) 휴대 단말기의 슬림 퀵 거치대
US10284754B2 (en) Camera assembly configured to be detachably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KR101549074B1 (ko)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CN105495882A (zh) 穿戴设备
JP6650952B2 (ja) 携帯電話ケース
CN107995406B (zh) 拍摄装置及终端
KR20090058614A (ko) 회전 힌지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N104378464A (zh) 移动终端设备
KR20090045675A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
CN204156926U (zh) 移动终端设备
KR100944592B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KR101630459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744788B1 (ko) 휴대전자기기용 힌지장치
JP2012055122A (ja) 充電器
KR200428621Y1 (ko) 스윙 폰의 반자동스윙힌지장치
CN205005124U (zh) 电子设备自拍杆
KR200474707Y1 (ko) 전자기기용 홀더
KR102291149B1 (ko)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JP2004304684A (ja) 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同装置用アンテナ
CN215981793U (zh) 支架
KR20110062892A (ko)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